KR20200101804A - 열전도 효율이 향상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 - Google Patents

열전도 효율이 향상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804A
KR20200101804A KR1020190020141A KR20190020141A KR20200101804A KR 20200101804 A KR20200101804 A KR 20200101804A KR 1020190020141 A KR1020190020141 A KR 1020190020141A KR 20190020141 A KR20190020141 A KR 20190020141A KR 20200101804 A KR20200101804 A KR 20200101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induction heating
heat conduction
wireless induction
ric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식
김완수
박병규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0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1804A/ko
Priority to EP20153135.7A priority patent/EP3698682A1/en
Priority to US16/785,407 priority patent/US11627644B2/en
Publication of KR20200101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2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serts for cooking different foods separately at the same time; Insert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54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nductive pieces to direct the induced magnetic fiel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 H05B1/0266Cookto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2Induction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9/00Foods and beverages: apparatus
    • Y10S99/14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가열방식을 통해 가열되는 내솥의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키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밥솥은 유도가열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에 있어서, 조리가 수행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체결되는 뚜껑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유도가열장치의 가열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가열되는 내솥을 포함하고, 상기 내솥은 바닥면, 외부면 및 내부면에 둘러싸인 열전도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전도 효율이 향상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WIRELESS INDUCTION HEATING COOKER WITH IMPROVED HEAT CONDUCTION EFFICIENCY}
본 발명은 유도가열방식을 통해 가열되는 내솥의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키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한 다양한 조리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밥솥 시장에서는 자체적으로 열을 발생시켜 조리물을 가열하는 방식이 아닌, 유도가열장치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등록특허 제5943770호(이하, 선행문헌)에는 유도가열 방식을 통해 조리물을 가열하는 전기밥솥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선행문헌에 개시된 전기밥솥과 종래 전기밥솥에 구비되는 내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유도 가열 밥솥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종래 내솥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은 도 2a에 도시된 내솥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은 선행문헌의 도면(도 2)를 발췌한 것으로서, 선행문헌에 개시된 전기밥솥(100')의 전반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도면 부호는 선행문헌에 기재된 도면 부호와 일부 다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전기밥솥(100')은 내솥수용부(14')에 내솥(30')이 수용되며, 내솥수용부(14')의 하부에는 내솥(30')을 가열하기 위한 유도가열 코일(15')이 구비된다. 취반유닛(10')의 본체부(12')의 바닥면에는 유도가열 코일(15')에 공급되는 전력을 전원 유닛(20')으로부터 수전하기 위한 가열용 수전코일(16')이 구비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선행문헌에 따르면, 가열용 수전코일(16')에는 전원 유닛(20')에 구비된 가열용 전원 공급 코일(23')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한 유도전류가 발생한다. 또한, 유도가열 코일(15')에는 가열용 수전코일(16')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한 유도전류가 발생하고, 유도가열 코일(15')에 발생한 유도전류는 내솥(30')을 가열한다.
전술한 선행문헌은 내솥(30')의 가열을 위해 가열용 전원 공급 코일(23')과 가열용 수전코일(16')간의 1차 전력 전달 과정 및 가열용 수전코일(16')과 유도가열 코일(15')간의 2차 전력 전달 과정이 필수적이므로, 각 전력 전달 과정에서 전력(열)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전달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내솥에 직접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내솥을 가열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조리물의 조리 완료 이후 해당 조리물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종래 내솥의 하부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이하, 라운딩부, RA)은 라운딩(rounding) 처리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내솥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내솥 하부에 평판 가열코일이 구비되는 경우, 라운딩부(RA)는 평판 가열코일과 수직적으로 멀어지는 구조를 가지므로 라운딩부(RA)에 대한 열전도 효율이 감소한다.
라운딩부(RA)에 대한 열전도 효율 감소는 깊이에 따른 내솥 온도 분포를 불균일하게 하므로, 전기밥솥의 취반성능(cooking quality)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유도가열 방식을 통해 가열되는 내솥의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키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누설 없이 전달받을 수 있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도 부재를 통해 열전도 효율을 추가적으로 상승시키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내솥의 바닥면, 외부면 및 내부면에 의해 둘러싸인 열전도 공간을 통해 내솥의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솥 바닥면의 넓이를 가열 코일이 형성하는 영역의 넓이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가열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누설 없이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도 공간 내부에 열전도 공간을 이루는 물질보다 열전도도가 높은 열전도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열전도 효율을 추가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솥의 내부 공간 중 유도가열 방식에 의해 직접 가열되지 못하는 위치까지 열전도를 통해 가열함으로써 내솥 내부 온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취반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누설 없이 전달받음으로써, 유도가열장치의 모든 출력을 내솥 온도 상승에 이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치간의 열전달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도 부재를 통해 열전도 효율을 추가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매우 간단한 구성을 통해 취반성능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유도 가열 밥솥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종래 내솥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은 도 2a에 도시된 내솥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유도가열장치에 상에서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내솥의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2a에 도시된 종래 내솥과 도 4a에 도시된 본 발명 내솥의 열전도 성능을 비교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a에 도시된 종래 내솥과 도 4a에 도시된 본 발명 내솥의 높이에 따른 온도 변화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
도 8a 및 도 8b는 열전도 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열전도 부재의 각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4a에 도시된 내솥과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내솥의 열전도 성능을 비교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4a에 도시된 내솥과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내솥의 높이에 따른 온도 변화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0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유도가열방식을 통해 가열되는 내솥의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키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밥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유도가열 밥솥이 유도가열장치에 상에서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내솥의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a에 도시된 종래 내솥과 도 4a에 도시된 본 발명 내솥의 열전도 성능을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도 2a에 도시된 종래 내솥과 도 4a에 도시된 본 발명 내솥의 높이에 따른 온도 변화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열전도 공간 내부에 구비되는 열전도 부재의 각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a에 도시된 내솥과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내솥의 열전도 성능을 비교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4a에 도시된 내솥과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내솥의 높이에 따른 온도 변화를 각각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 유도가열 밥솥(1)은 본체부(10), 뚜껑부(20) 및 내솥(30)을 포함하며, 뚜껑부(20)는 제어 모듈(21), 통신 모듈(22), 압력추(23), 소음 저감 모듈(24), 증기 배출 모듈(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유도가열 밥솥(1)은, 전자기 유도 현상을 통해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임의의 유도가열장치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유도가열 밥솥(1)은 가열 코일(H.C.)이 구비된 임의의 유도가열장치의 상부 플레이트(U.P.)에 놓여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유도가열 밥솥(1)은 가열 코일(H.C.)의 수직선상에서 상부 플레이트(U.P.)에 놓여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가열 코일(H.C.)에는 유도가열장치의 제어에 따라 전류가 흐를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열 코일(H.C.)은 자기장(magnetic field)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가열 코일(H.C.)에서 발생된 자기장은 후술하는 내솥(30)에 전류를 유도하여 내솥(30)을 가열시킬 수 있다.
본체부(10)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의 하부 및 측부를 지지하는 케이스로, 예컨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일 수 있고, 그 내부에서는 조리가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에는 후술하는 내솥(30)이 수납되며, 쌀과 같은 다양한 곡물은 내솥(30) 내부에서 가열 조리될 수 있다.
뚜껑부(20)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의 상부를 밀폐하는 케이스로서, 본체부(10)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뚜껑부(20)는 본체부(10)의 상면에 대해 개폐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뚜껑부(20)는 본체부(10)에 힌지(hinge)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뚜껑부(20)는 본체부(10) 상부 일면의 모서리에 구비된 힌지축에 결합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본체부(10)의 상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뚜껑부(20)는 본체부(10)에 탈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뚜껑부(20)는 본체부(10) 상부 모서리에 복수로 구비된 체결부재에 의해 본체부(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뚜껑부(20)는 본체부(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20)에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21), 전술한 유도가열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22)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 모듈(21)과 통신 모듈(22)은 다수 IC(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뚜껑부(20)에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1)의 내부 압력을 일정 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한 압력추(23)와, 증기 배출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다수의 흡음 부재를 내부에 포함하는 소음 저감 모듈(24)이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뚜껑부(20)에는 특정 제어 신호에 따라 무선 유도가열 밥솥(1)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 배출 모듈(25)(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이 구비될 수 있다.
뚜껑부(20)에 구비되는 요소들은 전술한 구성요소에 한정되지 않으며,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뚜껑부(20)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 패널(미도시) 및 무선 유도가열 밥솥(1)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내솥(30)은 본체부(10) 내부에 수납되어 유도가열장치의 가열 코일(H.C.)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유도가열 밥솥(1)이 유도가열장치의 상부에 놓인 경우, 내솥(30)의 하면과 가열 코일(H.C.)은 본체부(10)의 바닥면(31)을 사이에 두고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가열 코일(H.C.)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가열 코일(H.C.)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내솥(30)에 전류를 유도할 수 있고, 내솥(30)에는 유도된 전류에 의한 줄열(Joule's heat)이 발생할 수 있다.
내솥(30)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내솥(30)은 자성을 띄는 임의의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솥(30)은 철(Fe) 성분이 포함된 주철(cast iron)이나, 철(Fe), 알루미늄(Al), 및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을 접합시킨 클래드(cla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30)은 가열 코일(H.C.)과 수평적으로 마주보는 바닥면(외부 바닥면, 31), 본체부(10)의 내면에 접하는 외부면(32) 및 피조리물이 담기는 내부면(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 상에서, 내솥(30)은 바닥면(31), 외부면(32) 및 내부면(33)에 의해 둘러싸인 열전도 공간(H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열전도 공간(HA)은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로 채워진 공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열전도 공간(HA)은 내솥(30)의 일부로서 내솥(3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솥(30)을 구성하는 독립된 공간으로써 내솥(30)과는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열전도 공간(HA)이 내솥(30)과 일체로 형성되어 내솥(30)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내솥(30)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내솥(30)의 바닥면(31)은 본체부(10) 하면에 밀착되는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종래 내솥(30')과 달리 본 발명의 내솥(30)은 바닥면(31)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그 전체 면이 본체부(10) 하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바닥면(31)의 넓이는 가열 코일(H.C.)이 형성하는 영역의 넓이보다 좁을 수 있다. 여기서 가열 코일(H.C.)이 형성하는 영역은, 가열 코일(H.C.)의 모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최소 영역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예에서 가열 코일(H.C.)은 원형 평판 코일일 수 있다. 이 때, 가열 코일(H.C.)이 형성하는 영역의 넓이는 가열 코일(H.C.)의 중심으로부터 가열 코일(H.C.)의 외주면까지의 거리인 코일반경(Rc)에 의해 결정되는 원의 넓이일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31)의 넓이는 내솥(30)의 중심 수직선(HL)으로부터 외부면(32) 사이의 거리인 내솥(30)의 외경(Ro)에 의해 결정되는 원의 넓이일 수 있다.
이 경우, 내솥(30)의 외경(Ro)에 의해 결정되는 원의 넓이는 코일반경(Rc)에 의해 결정되는 원의 넓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 코일(H.C.)에서 생성된 자기장은, 내솥(30)이 배치된 영역 내에서 누설 없이 모두 내솥(30)의 바닥면(31)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열 코일(H.C.)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누설 없이 전달받음으로써, 유도가열장치의 모든 출력을 내솥(30) 온도 상승에 이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치간의 열전달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내솥(30)의 바닥면(31)에는 전자기 유도 현상에 따른 열이 발생할 수 있고, 열전도 공간(HA)은 바닥면(31)에 발생한 열을 내솥(30)의 상부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도 공간(HA)은 내솥(30)의 중심 수직선(HL)을 기준으로 한 반경 반향으로 내솥(30)의 측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열전도 공간(HA)은 바닥면(31)에 발생한 열을 내솥(30)의 측단부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면(31)에 인접하지 않는 내솥(30)의 다른 부분에도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열전도 공간(HA)의 열전도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닥면(31)의 모서리와 인접한 내부면(33)에는 라운딩부(R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딩부(RA)는 바닥면(31)의 둘레를 이루는 모서리부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솥(30)의 중심 수직선(HL)으로부터 내부면(33) 사이의 거리인 내솥(30)의 내경(Ri)은 미리 설정된 깊이까지는 일정하다가, 미리 설정된 깊이 이상인 부분에서는 깊이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여 내부 바닥면에서 최소(Ri')가 될 수 있다.
한편, 내솥(30)의 중심 수직선(HL)과 외부면(32) 사이의 수평거리인 내솥(30)의 외경(Ro)은 내솥(30)의 깊이에 관계없이 일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솥(30)의 외부면(32)은 내솥(30)의 깊이에 관계 없이 내솥(30)의 중심 수직선(HL)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솥(30)에 라운딩부(RA)가 형성되고, 내솥(30)의 외경(Ro)이 일정한 경우, 외부면(32)과 내부면(33) 사이의 수평거리는 내솥(30)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다시 도 4b를 참조하면, 라운딩부(RA)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부분에서부터 내솥(30)의 내부 바닥면까지, 외부면(32)과 내부면(33) 사이의 수평거리(Rd)는 내솥(30)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솥(30)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汰? 부분에서의 외부면(32)과 내부면(33) 사이의 수평거리(Rd)는, 내솥(30)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은 부분에서의 외부면(32)과 내부면(33) 사이의 수평거리(Rd')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종래의 내솥(30')에 비해 열전도 효율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2a에 도시된 종래 내솥(30')과 도 4a에 도시된 본 발명의 내솥(30)이 동일한 물질(예컨대, 클래드)로 이루어진 경우, 내솥(30', 30)의 하부를 동일한 출력(예컨대, 1000[W])으로 가열하였을 때 내솥(30', 30)의 높이에 따른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종래 내솥(30')의 경우 내솥(30')의 바닥면(31)은 186[oC]까지 가열되나, 내솥(30')의 상부는 122[oC]도까지밖에 가열되지 않으므로, 내솥(30') 표면의 온도 차가 최대 64[oC]로 매우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내솥(30)의 경우 내솥(30)의 바닥면(31)은 167[oC]까지 가열되고, 내솥(30)의 상부는 125[oC]까지 가열되므로, 내솥(30) 표면의 온도 차가 최대 42[oC]로 종래 내솥(30') 대비 22[oC]가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내솥(30)은 종래 내솥(30')보다 온도 분포의 균일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도 2a에 도시된 종래 내솥(30') 온도(T')와 도 4a에 도시된 본 발명의 내솥(30) 온도(T)를 내솥(30', 30)의 높이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부분에서 측정되는 내솥(30)의 온도를 종래 내솥(30')에 비해 낮추고(A),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부분에서 측정되는 내솥(30)의 온도를 종래 내솥(30')에 비해 높임으로써(B), 전체적인 온도 분포가 균일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솥(30)의 내부 공간 중 유도가열 방식에 의해 직접 가열되지 못하는 위치까지 열전도를 통해 가열함으로써 내솥(30) 내부 온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취반성능(cooking quality)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열전도 공간(HA)의 열전도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전도 공간(HA) 내부에는 열전도 공간(HA)을 이루는 물질보다 열전도도가 높은 열전도 부재(34)가 구비될 수 있다.
열전도 부재(34)는 열전도 공간(HA)과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도 공간(HA)이 주철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경우, 열전도 부재(34)는 열전도 공간(HA)보다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높은 구리(Cu)나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열전도 부재(34)는 열전도 공간(HA)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열전도 부재(34)는 내솥(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원호 길이를 갖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열전도 부재(34)는 내솥(30)의 중심 수직선(HL)에 대한 중심각(central angle)이 30o인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각 열전도 부재(34)는 일정 중심각만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열전도 부재(34)는 열전도 공간(HA) 내부에서 내솥(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일체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도 공간(HA)은 내솥(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열전도 부재(34)는 열정도 공간 내에서 내솥(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열전도 부재(34)는 내솥(30)의 중심 수직선(HL)에 대해 중심각 360o인 단일의 링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전도 부재(34)는 열전도 공간(HA) 내부에서 내솥(30)의 깊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내솥(30a)은 그 열전도 공간(HA)에 내솥(30a)의 깊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열전도 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내솥(30a)의 측단면도 상에서 열전도 부재(34)는 'I'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솥(30a)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열전도 부재(34)의 길이는 제한하지 않으나, 바닥면(31) 측에 인접한 열전도 부재(34)의 일단은 바닥면(31)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열전도 부재(34)가 열전도도가 높은 대신에 자성을 띄지 않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열전도 부재(34)에는 자기장에 의한 유도 전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전도 부재(34)의 일단이 바닥면(31)과 접촉하게 되면 해당 부분에서는 유도 전류에 의한 열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유도 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영역은 전체 바닥면(31)의 넓이에서 열전도 부재(34)의 일단면의 넓이만큼 감소하게 되므로, 열전도 부재(34)의 일단은 바닥면(31)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열전도 부재(34)의 일단은 열전도 공간(HA)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내솥(30b)은 그 열전도 공간(HA)에 내솥(30b)이 깊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다가 그 일단이 수평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열전도 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내솥(30b)의 측단면도 상에서 열전도 부재(34)는 'L'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열전도 부재(34)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곡선의 형태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a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바닥면(31)과 마주보는 열전도 부재(34)의 일단은 바닥면(31)과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도 9는 도 4a에 도시된 내솥(30)과,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내솥(30a 30b)의 하부를 동일한 출력으로 가열하였을 때 내솥(30, 30a, 30b)의 높이에 따른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4a에 도시된 내솥(30)의 경우 내솥(30) 표면의 온도가 최소 120[oC]에서 최대 224[oC]로 확인되고, 도 8a에 도시된 내솥(30a)의 경우 내솥(30a) 표면의 온도가 최소 120[oC]에서 최대 206도로 확인되며, 도 8b에 도시된 내솥(30b)의 경우 내솥(30b) 표면의 온도가 최소 120[oC]에서 최대 200도로 확인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열전도 부재(34)가 추가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온도 분포의 균일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I'자 형태의 열전도 부재(34)가 구비된 경우보다 'L'자 형태의 열전도 부재(34)가 구비된 경우 온도 분포의 균일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도 4a에 도시된 내솥(30) 온도(T)와 도 8a에 도시된 내솥(30a) 온도(Ta) 및 도 8b에 도시된 내솥(30b) 온도(Tb)를 내솥(30, 30a, 30b)의 높이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열전도 부재(34)가 추가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부분에서 측정되는 내솥(30a, 30b)의 온도가 낮고(A),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부분에서 측정되는 내솥(30a, 30b)의 온도가 높음으로써(B), 전체적인 온도 분포가 균일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L'자 형태의 열전도 부재(34)가 구비된 경우 'I'자 형태의 열전도 부재(34)가 구비된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부분에서 측정되는 내솥(30b)의 온도가 낮고(A),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부분에서 측정되는 내솥(30b)의 온도가 높음으로써(B), 전체적은 온도 분포가 균일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전도 부재(34)를 통해 열전도 효율을 추가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매우 간단한 구성을 통해 취반성능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내솥(30) 바닥면(31)에는 가열 코일(H.C.)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가열되는 금속 플레이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열전도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솥(30)은 열전도도가 높은 대신에 자성을 거의 또는 전혀 띄지 않는 물질(예컨대, 알루미늄(Al), 구리(Cu)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내솥(30)의 바닥면(31)에서는 자기장에 의한 유도 전류가 거의 또는 전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에는, 내솥(30)의 열전도도가 높다고 하더라도 내솥(30) 바닥면(31)에서 열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내솥(30)에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내솥(30) 바닥면(31)에는 금속 플레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는 자성을 띄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내솥(30) 바닥면(31)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금속용사(metal spraying) 공정을 통해 내솥(30) 바닥면(31)에 코팅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가열 코일(H.C.)에 자기장이 발생하는 경우 금속 플레이트에는 유도 전류에 의한 열이 발생할 수 있고, 내솥(30)에는 금속 플레이트에서 발생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내솥(30)이 열전도도가 높은 대신에 자성을 띄지 않는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내솥(30)의 열전도 공간(HA) 내부에는 내솥(30)을 이루는 물질보다 열전도도가 더 높은 열전도 부재(34)가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3)

  1. 유도가열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에 있어서,
    조리가 수행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체결되는 뚜껑부; 및
    상기 본체부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유도가열장치의 가열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가열되는 내솥을 포함하고,
    상기 내솥은 바닥면, 외부면 및 내부면에 의해 둘러싸인 열전도 공간을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본체부에 힌지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거나, 상기 본체부에 탈착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공간은 상기 바닥면에 발생하는 열을 상기 내솥의 상부 방향으로 전달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바닥면은 상기 본체부 하면에 밀착되는 평판 형상을 갖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넓이는 상기 가열 코일이 형성하는 영역의 넓이보다 좁은 무선 유도가열 밥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의 모서리와 인접한 상기 내부면에는 라운딩부가 형성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중심 수직선과 상기 외부면 사이의 수평거리는 상기 내솥의 깊이에 관계없이 일정한 무선 유도가열 밥솥.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면과 상기 내부면 사이의 수평거리는 상기 내솥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증가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공간 내부에는 상기 열전도 공간을 이루는 물질보다 열전도도가 높은 열전도 부재가 구비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부재는 상기 열전도 공간 내부에서 상기 내솥의 깊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부재의 일단은 상기 열전도 공간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부재는 상기 열전도 공간 내부에서 상기 내솥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링 형상을 갖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가열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가열되는 금속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무선 유도가열 밥솥.
KR1020190020141A 2019-02-20 2019-02-20 열전도 효율이 향상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 KR20200101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141A KR20200101804A (ko) 2019-02-20 2019-02-20 열전도 효율이 향상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
EP20153135.7A EP3698682A1 (en) 2019-02-20 2020-01-22 Wireless induction heating cooker with improved heat conduction efficiency and wireless induction hea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16/785,407 US11627644B2 (en) 2019-02-20 2020-02-07 Wireless induction heating cooker with improved heat conduction effici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141A KR20200101804A (ko) 2019-02-20 2019-02-20 열전도 효율이 향상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804A true KR20200101804A (ko) 2020-08-28

Family

ID=6918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141A KR20200101804A (ko) 2019-02-20 2019-02-20 열전도 효율이 향상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27644B2 (ko)
EP (1) EP3698682A1 (ko)
KR (1) KR2020010180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9927B (zh) * 2020-11-06 2022-04-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多段ih电饭煲控制方法、装置、多段ih电饭煲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9595A (en) 1975-01-09 1976-05-25 Sperry Rand Corporation Digital signal multiplexer/concentrator
JPH10146273A (ja) * 1996-11-19 1998-06-02 Hitachi Home Tec Ltd 炊飯器
ITTO20070640A1 (it) * 2007-09-11 2009-03-12 B & C S R L Recipiente per la cottura di cibi.
JP5338108B2 (ja) * 2008-03-29 2013-11-13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炊飯器
US10729280B2 (en) * 2010-11-03 2020-08-04 Jong Peter Park Multi-purpose microwave cookware
JP5816796B2 (ja) * 2012-03-22 2015-1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誘導加熱炊飯器
JP5943770B2 (ja) * 2012-08-09 2016-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炊飯器
US10085599B2 (en) * 2014-12-19 2018-10-02 Whirlpool Corporation Multi-cook and food processing prep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27644B2 (en) 2023-04-11
EP3698682A1 (en) 2020-08-26
US20200267807A1 (en)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551B1 (ko) 고주파 유도가열 기술을 이용한 인덕션렌지
KR101307594B1 (ko) 유도가열 히터가 구비된 전기 조리기기
JP5322831B2 (ja) 誘導加熱調理器
EP3616573A1 (en) Smart kettle using induction heating
CN111513545B (zh) 加热装置和烹饪器具
JP5473864B2 (ja) 誘導加熱装置
KR20200101804A (ko) 열전도 효율이 향상된 무선 유도가열 밥솥
KR20120107059A (ko) 고주파 유도가열 기술을 이용한 인덕션렌지
KR20200101825A (ko) 무선 유도가열 밥솥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유도가열 시스템
JP2007075506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容器
JP5241629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2110636A (ja) 誘導加熱調理器用調理容器
JP2009123603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2043043A (ja) 電磁誘導加熱装置
JP5625296B2 (ja) 誘導加熱装置
JP2012059582A (ja) Ih中華レンジ
JPH06235527A (ja) 加熱調理装置
JP3292059B2 (ja) 電気炊飯器
JP5501500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9212360A (ja) 加熱コイルユニット及び加熱調理器
JP2006302754A (ja) 誘導加熱調理器
TWI762689B (zh) 烹調器
CN209678200U (zh) 一种速热保温锅
JP5353738B2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厨房装置
CN207382619U (zh) 智能线圈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