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244A -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 Google Patents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244A
KR20200098244A KR1020190016134A KR20190016134A KR20200098244A KR 20200098244 A KR20200098244 A KR 20200098244A KR 1020190016134 A KR1020190016134 A KR 1020190016134A KR 20190016134 A KR20190016134 A KR 20190016134A KR 20200098244 A KR20200098244 A KR 20200098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structure
spiral rod
fixing bracket
ceiling
support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065B1 (ko
Inventor
문재성
Original Assignee
문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성 filed Critical 문재성
Priority to KR1020190016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0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2009/186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arrangements for damping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마감패널, 찬넬, 루바 등의 천장구조물을 거치하어 지지하는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과 같은 외력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천장구조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거치하고, 설치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한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는 천장에 고정결합되고,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체결너트; 상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너트에 체결되는 나선봉; 상기 나선봉의 하부측에 결합되고, 천장구조물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관통홀과 나선봉 사이에는 유격공간이 형성되어서, 상기 나선봉은 외력이 가해지면 수평방향으로 흔들려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Hanger for ceiling}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마감패널, 찬넬, 루바 등의 천장구조물을 거치하어 지지하는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과 같은 외력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천장구조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거치하고, 설치작업이 신속하고 편리한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에는 케이블, 배관, 덕트 등이 지나가고, 이들은 마감패널로 덮여 은폐된다.
이처럼 건물의 천장에 구비되는 케이블, 배관, 덕트, 마감패널, 찬넬, 루바 등의 천장구조물은 지지행거로 천장에 지지된다.
도1은 등록특허 제10-1320568호 "천장구조물용 행거"의 도1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기술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를 도시한 것으로서, 천장에 박히는 너트부재(1), 상단이 상기 너트부재(1)에 스크류결합되는 앙카볼트(2), 상기 앙카볼트의 하단에 너트(3)로 체결되는 'ㄷ'자 모양의 거치대(3), 상기 거치대(3)에 체결되어 천장구조물(9)이 상기 거치대(3)에서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체결핀(5)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지지행거는 너트부재(1)는 천장에 박혀 고정되고, 앙카볼트(2)는 너트부재(1)에 견고히 스크류결합되는 구조이어서, 너트부재(1)나 앙카볼트(2)가 움직일 수 있는 여지가 거의 없다. 그래서 지진이 발생하여 건물이 흔들리거나 천장구조물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그 충격은 대부분이 너트부재(1)나 앙카볼트(2)에 전달되어 손상되기 쉽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지지행거는 앙카볼트(2)에 스크류 체결된 두 너트(4)가 거치대(3)의 양측을 조이는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너트(4)가 서서히 풀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지지행거는 천장구조물(9)을 거치대(3)에 체결시키기 위해 체결핀(5)을 준비해야 하고, 체결핀은 거치대(3)를 관통한 후에 단부를 절곡시켜 거치대(3)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기에 체결작업이 간단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천장에 연결되는 나선봉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충격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여지를 주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손상을 방지하고, 거치대를 나선봉의 하단에 결합시켜 조이는 조임너트에 탄지스프링을 개재시켜 거치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며 조임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는
천장에 고정결합되고,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체결너트;
상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너트에 체결되는 나선봉;
상기 나선봉의 하부측에 결합되고, 천장구조물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관통홀과 나선봉 사이에는 유격공간이 형성되어서, 상기 나선봉은 외력이 가해지면 수평방향으로 흔들려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나선봉의 외주연으로 삽입되어서 상기 거치대의 상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탄지스프링;
상기 나선봉에 스크류결합되어서 상기 탄지스프링의 단부를 조이는 조임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네 절곡편과, 상기 절곡편의 내면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체결너트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펀칭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나선봉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천장구조물이 거치되는 'ㄷ'자 모양의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의 제1수직부 단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제2수직부에는 젖혀져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체결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는 나선봉이 관통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의 관통홀과 나선봉 사이에 유격공간을 형성하여, 지진이나 외력 등의 충격이 가해지면 나선봉이 수평방향으로 흔들려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손상을 예방하고, 거치대를 나선봉의 하단에 조여 결합시키는 조임너트에 탄지스프링을 개재하여 거치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며 조임너트의 풀리을 방지하고, 나선봉의 상단은 고정브라켓의 수용홈에 수용된 체결너트에 간편하게 체결되어 결합되고, 거치대에 거치된 천장구조물은 절개편에 의해 간편신속하게 체결되는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가 설치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의 사시도.
도 4 는 도3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2 내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는 고정브라켓(10), 체결너트(20), 나선봉(30), 거치대(40), 탄지스프링(50), 조임너트(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라켓(10)은 천장(6)에 고정결합되어서, 여기에 결합된 지지행거를 천장에 매단다.
상기 고정브라켓(10)의 바닥에는 상기 나선봉(30)이 삽입관통되는 관통홀(11)이 형성되고, 바닥의 주변으로는 네개의 절곡편(12)이 사방으로 연결되고, 네 절곡편(12)은 수직으로 절곡되어서 내부에 수용홈(13)을 형성하고, 다시 외측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서 천장에 접촉되는 고정부(14)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14)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고정홀(15)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3)에는 삽입관통된 나선봉(30)이 스크류체결되는 체결너트(20)가 수용된다. 상기 수용홈(13)에 수용된 체결너트(20)가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홈(13)을 형성하는 절곡편(12)의 내면에는 펀칭돌기(1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펀칭돌기(16)는 하측과 측면을 절개한 후에 내측으로 펀칭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돌출길이가 길어지는 경사진 모양을 갖고 하단은 수평한 모양을 가져 체결너트(20)를 수용홈(13)으로 밀어넣으면 펀칭돌기(16)의 경사면을 타고 쉽게 수용되지만 일단 수용된 후에는 체결너트(20)가 하단에 걸려 쉽게 분리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관통홀(11)과 여기에 관통된 나선봉(30) 사이에는 유격공간(17)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관통홀(11)의 직경은 나선봉(30)의 외경보다 커서 그 차이만큼 유격공간(17)이 형성된다.
상기 유격공간(17)은 상기 나선봉(30)은 수평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는 여지를 주어서, 지진의 발생 등으로 건물이 흔들리거나나 천장구조물(9)에 충격이 가해지는 등으로 지지행거가 외력을 받는 경우, 나선봉(30)은 그 외력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흔들려 충격을 흡수한다. 이때, 나선봉(30)의 상단은 천장(6)에 접촉지지되어서 상하방향으로의 흔들림과 수평방향으로 지나친 흠들림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봉(30)은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상부는 체결너트(20)를 통해 상기 고정브라켓(10)에 연결되고, 하부는 조임너트(60)를 통해 상기 거치대(40)에 연결된다.
상기 거치대(40)는 상기 나선봉(30)의 하부에 연결되고, 찬넬, 루바 등의 천장구조물(9)이 거치된다.
상기 거치대(40)는 상기 나선봉(30)의 하부가 관통하여 결합되고 조임너트(60)로 조여져 결합되는 결합부(41)와, 상기 결합부(41)의 하부로 연결되고 'ㄷ'자 모양을 가져 그 내부에 천장구조물(9)이 안착되어 거치되는 거치부(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대(40)의 결합부(41)는 양측에서 조임너트(60)가 나선봉(30)에 스크류결합되어서 조인다. 이때,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조임너트(60)가 서서히 풀릴 수 있고, 조임너트(60)가 풀리면 작은 충격에도 거치대(40)가 요동되어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손상될 수 있다.
이에, 조임너트(60)와 거치대(40)의 결합부(41) 사이에 탄지스프링(50)이 개재되도록 상기 나선봉(30)의 외주연에는 탄지스프링(50)이 삽입되어서, 외력에 의해 조임너트(60)의 조임이 풀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탄지스프링(50)은 조임너트(60)의 조임이 풀리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거치대(4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고 거치대(40)를 보호한다.
상기 거치대(40)의 거치부(45)에 거치된 천장구조물(9)이 거치부(45)에서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거치부(45)의 제1수직부(46) 단부에는 걸림홈(48)이 형성되고, 제2수직부에는 젖힘이 가능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48)으로 삽입되어 걸림체결되는 체결편(49)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홈(48)의 외측으로는 걸림돌기(48a)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체결편(49)에는 상기 걸림돌기(48a)의 단부에 걸림결합되는 걸림턱(49a)이 형성된다.
도5를 보면, 체결편(49) 대신하여 별도의 체결핀(43)을 이용해 천장구조물(9)이 거치부(45)에서 분리이탈되지 않도록 체결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지지행거가 도시되어 있다.
체결핀(43)은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두 관통부는 길이를 달리한다. 길이가 짧은 제1관통부는 거치대의 제1수직부(46)를 관통하고, 길이가 긴 제2관통부는 거치대의 제1수직부 및 제2수직부를 관통하고, 관통된 제2수직부 외면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거치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고정브라켓 11 : 관통홀
12 : 절곡편 13 : 수용홈
14 : 고정부 15 : 고정홀
16 : 펀칭돌기 17 : 유격공간
20 : 체결너트 30 : 나선봉
40 : 거치대 41 : 결합부
43 : 체결핀 45 : 거치부
46 : 제1수직부 47 : 제2수직부
48 : 걸림홈 49 : 체결편

Claims (4)

  1. 천장에 고정결합되고,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체결너트;
    상단이 상기 고정브라켓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너트에 체결되는 나선봉;
    상기 나선봉의 하부측에 결합되고, 천장구조물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관통홀과 나선봉 사이에는 유격공간이 형성되어서, 상기 나선봉은 외력이 가해지면 수평방향으로 흔들려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봉의 외주연으로 삽입되어서 상기 거치대의 상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탄지스프링;
    상기 나선봉에 스크류결합되어서 상기 탄지스프링의 단부를 조이는 조임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수용홈을 형성하는 네 절곡편과, 상기 절곡편의 내면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체결너트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펀칭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나선봉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천장구조물이 거치되는 'ㄷ'자 모양의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의 제1수직부 단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제2수직부에는 젖혀져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체결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KR1020190016134A 2019-02-12 2019-02-12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KR102230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134A KR102230065B1 (ko) 2019-02-12 2019-02-12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134A KR102230065B1 (ko) 2019-02-12 2019-02-12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244A true KR20200098244A (ko) 2020-08-20
KR102230065B1 KR102230065B1 (ko) 2021-03-19

Family

ID=7229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134A KR102230065B1 (ko) 2019-02-12 2019-02-12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0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696B1 (ko) * 2021-09-28 2022-11-25 류학열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824B1 (ko) * 2021-04-13 2022-02-08 강용욱 건축용 내진 행거
KR102310694B1 (ko) 2021-04-29 2021-10-08 주식회사 풍산물산 내진형 천장 구조물
KR102438010B1 (ko) 2022-02-08 2022-08-30 주식회사 풍산물산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
KR102513113B1 (ko) 2022-04-27 2023-03-23 (주)에잇플러스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천장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672A (ja) * 1994-07-04 1996-01-16 Teruichirou Abiko 吊りボルト用係着金具
JP2015007340A (ja) * 2013-06-25 2015-01-15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振動抑制吊構造
KR20160061464A (ko) * 2014-11-21 2016-06-01 주식회사 대광기업 천장용 캐링채널 고정장치
JP2016142351A (ja) * 2015-02-03 2016-08-08 有限会社アールストーン 吊りボルトの振動抑制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672A (ja) * 1994-07-04 1996-01-16 Teruichirou Abiko 吊りボルト用係着金具
JP2015007340A (ja) * 2013-06-25 2015-01-15 株式会社Nttファシリティーズ 振動抑制吊構造
KR20160061464A (ko) * 2014-11-21 2016-06-01 주식회사 대광기업 천장용 캐링채널 고정장치
JP2016142351A (ja) * 2015-02-03 2016-08-08 有限会社アールストーン 吊りボルトの振動抑制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696B1 (ko) * 2021-09-28 2022-11-25 류학열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065B1 (ko)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065B1 (ko)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KR101948596B1 (ko)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KR200484284Y1 (ko) 내진용 스프링 행거
KR102247602B1 (ko) 수직방향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하는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JP5104764B2 (ja) 建物の天井構造
KR102077192B1 (ko)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KR101918746B1 (ko) 배관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JP2016014288A (ja) 耐震天井
KR101781270B1 (ko) 내진용 스프링 앙카볼트
JP7240852B2 (ja) 建物内の非構造部品用耐震クランプ
KR102098825B1 (ko) 내진용 횡방향 및 종방향 버팀대
KR102008820B1 (ko) 파이프 지지 장치
KR102175172B1 (ko)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JP6804714B2 (ja) 耐震用軽量鉄骨フレームの構造
JP2013167294A (ja) 防振吊り減震構造体
JP2008297741A (ja) 天井防振吊り具
KR102072484B1 (ko) 천장패널용 행거 내진 장치의 설치 방법
JP6379133B2 (ja) 天井下地構造及び吊り部材
JP5181270B2 (ja) 振れ止め用下地材の固定金具
JP2008138464A (ja) 耐震天井構造、天井制震装置及び天井制震装置の取付方法
US11965342B2 (en) Wire mounting solutions
KR20200122125A (ko) 물탱크용 내진 고정브래킷 어셈블리
KR20200071904A (ko)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
KR20200000026A (ko)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KR102247586B1 (ko) 수평방향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하는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