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746B1 - 배관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 Google Patents

배관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746B1
KR101918746B1 KR1020170045154A KR20170045154A KR101918746B1 KR 101918746 B1 KR101918746 B1 KR 101918746B1 KR 1020170045154 A KR1020170045154 A KR 1020170045154A KR 20170045154 A KR20170045154 A KR 20170045154A KR 101918746 B1 KR101918746 B1 KR 101918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lamp
slip prevention
pipe
b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725A (ko
Inventor
김계식
Original Assignee
김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계식 filed Critical 김계식
Priority to KR102017004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74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means of two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배관 지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는, 배관과 동일한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버팀대에 결합되고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 장치로서, 상기 버팀대에 결합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클램프 부재; 및 상기 배관과 상기 클램프 부재 사이의 슬립을 방지하는 슬립 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Pipe support apparatus and Hang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관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진 및 화산 활동이 활발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내진(耐震) 장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내진(耐震) 기술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을 천정에 매달아 고정하기 위해 배관 지지 행거가 사용된다. 내진(耐震) 기능이 없는 배관 지지 행거는 지진 발생시 그 진동 및 충격을 배관에 직접 전달하게 됨으로써 배관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파손 발생시 유류나 가스 배관인 경우 화재 및 폭발의 2차적인 위험발생의 원인이 된다.
최근 내진(耐震) 기능을 가지는 배관 지지 행거의 필요성이 증대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내진(耐震) 기능을 가지는 배관 지지 행거가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 배관 지지 행거는 지진 발생 시 배관을 고정하고 있는 클램프에 와 배관 사이에 슬립이 쉽게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관 클램프에 대한 배관의 슬립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배관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관과 동일한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버팀대에 결합되고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 장치로서, 상기 버팀대에 결합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클램프 부재; 및 상기 배관과 상기 클램프 부재 사이의 슬립을 방지하는 슬립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버팀대가 관통하되 그 일측에 개방된 제 1 베이스 단절부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버팀대의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버팀대가 관통하되 그 일측에 개방된 제 1 베이스 단절부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클램프 부재는 상기 배관이 관통하되 그 일측에 개방된 제 1 클램프 단절부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제 1 베이스 단절부를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며 배치되고, 체결 볼트가 관통하는 베이스 관통홀이 형성된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부재에는 제 1 클램프 단절부를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체결 볼트가 관통하는 클램프 관통홀이 형성된 한 쌍의 클램프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립 방지 부재에는 상기 체결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관을 향하는 상기 슬립 방지 부재의 끝단부에는 상기 배관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톱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립 방지 부재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 중 제 1 베이스 결합부와 체결되되,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 1 베이스 결합부의 베이스 관통홀과 상기 슬립 방지 부재의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체결 부재에는 상기 체결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결합부 중 제 2 베이스 결합부와 마주보는 상기 슬립 방지 부재의 일측 모서리에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경사부에 접하는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와 마주보는 상기 슬립 방지 부재의 양측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는 상기 경사부와 접하는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구조물의 일측면에 지지되는 버팀대; 및 상기 버팀대에 결합되고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상기 배관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 지지 장치가 슬립 방지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배관과 클램프 부재 사이의 슬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분해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클램프 부재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슬립 방지 부재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슬립 방지 부재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슬립 방지 부재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슬립 방지 부재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관 지지 행거(10)는 버팀대(100)와 배관 지지 장치(200)를 포함한다.
버팀대(100)는 구조물의 일측면에 지지된다. 예컨대, 버팀대(100)는 도 1과 같이 구조물의 천장면(20)에 지지될 수 있다. 또는 버팀대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구조물의 벽면에 지지될 수 있다. 구조물은 건물과 같은 육상 구조물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버팀대(100)는 제 1 몸체(110)와 제 2 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몸체(110)는 천장면(20)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 1 몸체(110)는 제 2 몸체(120)를 천장면(20)에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으로 기능한다.
제 2 몸체(120)는 제 1 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 몸체(120)는 빔(beam) 또는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몸체(120)는 도 1과 같이 다수의 몸체 유니트(121, 122)가 그 길이 방향으로 상호 결합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제 2 몸체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일 몸체로 제작될 수 있다.
제 2 몸체(120)는 제 1 몸체(110)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몸체(110)에 대한 제 2 몸체(120)의 틸팅 각도가 조절될 수 있고, 천장면(20)에 대한 제 2 몸체(12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버팀대는 전체적으로 단일 몸체로 제작되어 천장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버팀대(100)의 측부에는 후술하는 베이스 부재(210)의 삽입 돌기(215)가 삽입되는 삽입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30)은 다수로 제공될 수 있고, 다수의 삽입홈(130)은 버팀대(100)의 연장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삽입홈(130)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수의 삽입홈(130) 중 삽입 돌기(215)가 삽입된 위치에 따라 버팀대(100)에 대한 베이스 부재(210)의 위치가 바뀔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 지지 장치(200)는 배관(P)과 동일한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버팀대(100)에 결합되고 상기 배관(P)을 지지한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배관(P)은 XZ평면 상에 연장되고, 버팀대(100) 역시 XZ평면 상에서 연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의 분해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배관 지지 장치(200)는 베이스 부재(210)와, 클램프 부재(230)와, 슬립 방지 부재(250)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210)는 버팀대(100)에 결합된다.
베이스 부재(210)는 버팀대(100)가 관통하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베이스 부재(210)에는 버팀대(100)가 관통하는 버팀대 관통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210)는 그 일측에 개방된 제 1 베이스 단절부(212)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210)는 버팀대(100)의 횡단면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부재(210)는 도 3과 같이 제 1 베이스 단절부(212)를 제외한 나머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210)는 그 횡단면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 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베이스 부재를 구성하는 한 쌍의 베이스 유니트가 제 1 베이스 단절부(212)의 반대측부에서 힌지에 의해 상호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부재는 힌지를 중심으로 베이스 유니트들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그 횡단면이 변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는 버팀대(100)의 횡단면을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2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버팀대(100)의 횡단면에 대응하여 사각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베이스 부재는 버팀대(100)의 횡당면에 대응하여 원형링, 삼각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210)의 내측면에는 버팀대(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30)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215)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돌기(215)가 버팀대(100)의 삽입홈(130)에 삽입되면 버팀대(100)에 대한 베이스 부재(210)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후, 베이스 부재(210)가 그 횡단면이 커지도록 변형되면 삽입 돌기(215)는 버팀대(100)의 삽입홈(130)에서 이탈하고 베이스 부재(210)는 버팀대(1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베이스 부재(210)는 삽입 돌기(215) 없이 베이스 부재(210)의 측부를 관통하여 삽입홈(130)에 삽입되는 핀(미도시) 또는 볼트에 의해 버팀대(100)에 대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클램프 부재(230)는 베이스 부재(210)에 결합되고 배관(P)을 지지한다.
클램프 부재(230)는 배관(P)이 관통하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클램프 부재(230)에는 배관(P)이 관통하는 관통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배관(P)은 클램프 부재(230)를 관통한 상태로 클램프 부재(230)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클램프 부재(23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일측에 제 1 클램프 단절부(232)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 2 클램프 단절부(233)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클램프 부재(230)는 배관(도 1의 P)의 일부를 감싸는 제 1 클램프 유니트(230a)와 배관(도 1의 P)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제 2 클램프 유니트(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 마주보는 제 1 클램프 유니트(230a)의 일단부와 제 2 클램프 유니트(230b)의 일단부 그리고 상호 마주보는 제 1 클램프 유니트(230a)의 타단부와 제 2 클램프 유니트(230b)의 타단부 사이에 각각 제 1 클램프 단절부(232)와 제 2 클램프 단절부(233)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클램프 유니트(230a)와 제 2 클램프 유니트(230b)는 체결 볼트(221B) 및 서브 체결 볼트(222B)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배관(도 1의 P)을 지지하기 위한 링 형상을 유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클램프 부재(230')는 도 4와 같이 일측에 제 1 클램프 단절부(232)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클램프 부재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램프 부재(230')는 배관(도 1의 P)의 일부를 감싸는 제 1 클램프 유니트(230a)와 배관의 나머지 부분(도 1의 P)을 감싸는 제 2 클램프 유니트(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 마주보는 제 1 클램프 유니트(230a)의 일단부와 제 2 클램프 유니트(230b)의 일단부는 제 1 클램프 단절부(23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클램프 유니트(230a)의 타단부와 제 2 클램프 유니트(230b)의 타단부는 힌지축(h)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힌지축(h)은 배관(도 1의 P)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는 베이스 부재(210)에는 제 1 베이스 단절부(212)를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며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213, 214)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결합부(213, 214)에는 체결 볼트(221B)가 관통하는 베이스 관통홀(213a, 214b)이 형성된다.
클램프 부재(230)에는 제 1 클램프 단절부(232)를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며 배치되는 한 쌍의 클램프 결합부(235, 236)가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 결합부(235, 236)에는 체결 볼트(221B)가 관통하는 클램프 관통홀(235a, 236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 볼트(221B)가 일렬로 정렬된 베이스 관통홀(213a, 214b)과 클램프 관통홀(235a, 236a)을 통과하여 체결 너트(221N)와 체결되면 클램프 부재(230)는 베이스 부재(210)에 결합될 수 있다.
클램프 부재(230)와 베이스 부재(210)는 체결 볼트(221B)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클램프 부재(230)에는 제 2 클램프 단절부(233)를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며 배치되는 한 쌍의 서브 클램프 결합부(235, 236)가 형성될 수 있다. 서브 클램프 결합부(235, 236)에는 서브 체결 볼트(221B)가 관통하는 서브 클램프 관통홀(235a, 236a)이 형성될 수 있다. 서브 체결 볼트(222B)에 결합된 서브 체결 너트(222N)가 조여지면 제 1 클램프 유니트(230a)와 제 2 클램프 유니트(230b)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슬립 방지 부재(250)는 배관(P)과 클램프 부재(230) 사이의 슬립을 방지한다.
슬립 방지 부재(250)는 체결 볼트(221B), 베이스 부재(210) 및 클램프 부재(230) 중 적어도 하나에 지지된 상태에서 클램프 부재(230)가 둘러싸고 있는 배관(P)의 외측면과 접촉한다. 이때, 슬립 방지 부재(250)와 배관(P)의 접촉면 사이에 발생된 마찰력은 클램프 부재(230)와 배관(P)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배관(P)을 향하는 슬립 방지 부재(250)의 끝단부에는 배관(P)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톱니부(251)가 형성될 수 있다. 톱니부(251)는 클램프 부재(230)에 지지되는 배관(P)의 외측면을 파고들어 마찰력을 향상시킨다.
슬립 방지 부재(250)는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213, 2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슬립 방지 부재(250)에는 체결 볼트(221B)가 관통하는 관통홀(25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 볼트(221B)가 일렬로 정렬된 베이스 관통홀(213a, 214b)과 클램프 관통홀(235a, 236a)과 관통홀(252)을 통과하여 체결 너트(221N)와 체결되면 슬립 방지 부재(250)는 클램프 부재(230)와 베이스 부재(210)와 결합될 수 있다.
클램프 부재(230), 베이스 부재(210) 및 슬립 방지 부재(250)는 체결 볼트(221B)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200')는 베이스 부재(210)와 슬립 방지 부재(250')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200)와 달리 체결 볼트(221B)가 사용되기 전에 체결 부재(240)에 의해 미리 체결된다.
슬립 방지 부재(250')는 체결 부재(240)에 의해 베이스 부재(210)의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213, 214) 중 제 1 베이스 결합부(213)와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 부재(240)는 제 1 베이스 결합부(213)의 베이스 관통홀(213a)과 슬립 방지 부재(250')의 관통홀(252)을 관통한 상태로 제 1 베이스 결합부(213)와 슬립 방지 부재(250')를 체결한다. 위와 같은 체결 부재(240)는 예컨대, 리벳 형태를 가진다.
슬립 방지 부재(250')는 체결 부재(240)를 중심으로 제 1 베이스 결합부(213)와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체결 부재(240)에는 체결 볼트(221B)가 관통하는 관통홀(24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200)는 베이스 부재(210)와 슬립 방지 부재(250')가 미리 체결되기 때문에 조립하기 전에 보관이 용이하고 조립 과정에서 취급이 용이하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슬립 방지 부재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213, 214)와 마주보는 슬립 방지 부재(250-1)의 양측 모서리에는 경사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너트(도 3의 221N)가 체결 볼트(도 3의 221B)에 조여지는 과정에서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213, 214)는 가까워지고 베이스 결합부(213, 214)의 내측면과 경사부(253)가 접촉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 결합부(213, 214)와 경사부(253)의 접촉 부위(K)에서 베이스 결합부(213, 214)가 슬립 방지 부재(250)를 미는 힘(F)이 작용한다. 위 힘(F) 중에서 배관(도 1의 P)을 향하는 힘 성분(F1)에 의해 슬립 방지 부재(250)는 더 세게 배관(도 1의 P)을 압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립 방지 부재(250)와 배관(도 1의 P) 사이의 마찰력이 더욱 증가한다. 따라서 슬립 방지 부재(250)는 클램프 부재(230)에 대한 배관(도 1의 P)의 슬립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와 마주보는 슬립 방지 부재의 양측 모서리 중 하나에만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슬립 방지 부재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213, 214)와 마주보는 슬립 방지 부재(250-2)의 양측 모서리에는 경사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부(253)와 마주보는 베이스 결합부(213, 214)의 내측면에는 경사부(253)를 타고 올라가는 돌기부(217)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17)가 경사부(253)를 타고 올라가는 과정에서 슬립 방지 부재(250)는 더욱 세게 배관(도 1의 P)을 압박할 수 있고, 클램프 부재(230)에 대한 배관(도 1의 P)의 슬립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슬립 방지 부재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베이스 결합부(214)와 마주보는 슬립 방지 부재(250'-1)의 일측 모서리에는 경사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슬립 방지 부재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베이스 결합부(214)와 마주보는 슬립 방지 부재(250'-2)의 일측 모서리에는 경사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253)와 마주보는 제 2 베이스 결합부(214)의 내측면에는 경사부(253)를 타고 올라가는 돌기부(21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P : 배관
10 : 배관 지지 행거
20 : 천장면
100 : 버팀대
110 : 제 1 몸체
120 : 제 2 몸체
121, 122 : 몸체 유니트
200 : 배관 지지 장치
210 : 베이스 부재
212 : 제 1 베이스 단절부
213, 214 : 베이스 결합부
213a, 214a : 베이스 관통홀
215 : 삽입 돌기
217 : 돌기부
221B : 체결 볼트
221N : 체결 너트
230 : 클램프 부재
230a : 제 1 클램프 유니트
230b : 제 2 클램프 유니트
232 : 제 1 클램프 단절부
233 : 제 2 클램프 단정루
235, 236 : 클램프 결합부
235a, 236a :클램프 관통홀
250 : 슬립 방지 부재
251 : 톱니부
253 : 경사부

Claims (10)

  1. 배관과 동일한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버팀대에 결합되고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 장치로서,
    상기 버팀대에 결합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클램프 부재; 및
    상기 배관과 상기 클램프 부재 사이의 슬립을 방지하는 슬립 방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버팀대가 관통하되 그 일측에 개방된 제 1 베이스 단절부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클램프 부재는 상기 배관이 관통하되 그 일측에 개방된 제 1 클램프 단절부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제 1 베이스 단절부를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며 배치되고, 체결 볼트가 관통하는 베이스 관통홀이 형성된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부재에는 제 1 클램프 단절부를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체결 볼트가 관통하는 클램프 관통홀이 형성된 한 쌍의 클램프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립 방지 부재에는 상기 체결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관을 향하는 상기 슬립 방지 부재의 끝단부에는 상기 배관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톱니부가 형성되는, 배관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버팀대의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가 형성되는, 배관 지지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방지 부재는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 중 제 1 베이스 결합부와 체결되되,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 1 베이스 결합부의 베이스 관통홀과 상기 슬립 방지 부재의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체결 부재에는 상기 체결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배관 지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결합부 중 제 2 베이스 결합부와 마주보는 상기 슬립 방지 부재의 일측 모서리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배관 지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이스 결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경사부에 접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배관 지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와 마주보는 상기 슬립 방지 부재의 양측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배관 지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에는 상기 경사부와 접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배관 지지 장치.
  10. 구조물의 일측면에 지지되는 버팀대; 및
    상기 버팀대에 결합되고 상기 배관을 지지하는 상기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관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KR1020170045154A 2017-04-07 2017-04-07 배관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KR101918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154A KR101918746B1 (ko) 2017-04-07 2017-04-07 배관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154A KR101918746B1 (ko) 2017-04-07 2017-04-07 배관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423A Division KR20180122997A (ko) 2018-11-08 2018-11-08 배관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25A KR20180113725A (ko) 2018-10-17
KR101918746B1 true KR101918746B1 (ko) 2018-11-14

Family

ID=6409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154A KR101918746B1 (ko) 2017-04-07 2017-04-07 배관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788B1 (ko) 2021-03-21 2021-07-15 유니슨에이치케이알(주) 배관 지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332B1 (ko) * 2018-12-13 2019-07-03 주식회사 선우엔지니어링 브레이스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CN114321504B (zh) * 2021-12-06 2024-04-12 吉林松江河水力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水利水电埋管的固定装置
KR102611323B1 (ko) * 2022-12-30 2023-12-07 특허법인 해안 내진 버팀대 및 이를 이용한 내진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1563B2 (ja) * 1995-08-18 1999-04-12 日栄インテック株式会社 配管具の配管バンド取付装置
KR101709057B1 (ko) * 2016-09-08 2017-02-22 김계식 배관 지지 행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1563B2 (ja) * 1995-08-18 1999-04-12 日栄インテック株式会社 配管具の配管バンド取付装置
KR101709057B1 (ko) * 2016-09-08 2017-02-22 김계식 배관 지지 행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788B1 (ko) 2021-03-21 2021-07-15 유니슨에이치케이알(주) 배관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25A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746B1 (ko) 배관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JP2007519494A (ja) 懸架される格納棚
KR102216665B1 (ko) 내진용 케이블 트레이 행거 장치
KR102230065B1 (ko)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JP2016108893A (ja) 連結構造
KR101862069B1 (ko) 방진 및 내진용 설비 거치대의 구조.
JP2016132868A (ja) 棒状金物
KR20180122997A (ko) 배관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JP2012077496A (ja) 落石防止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エネルギー制御式落石防護網工法
KR101844983B1 (ko) 케이블 지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98825B1 (ko) 내진용 횡방향 및 종방향 버팀대
JP2014074488A (ja) 隙間管理具
JP2015025280A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828265B1 (ko)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설치 공법
KR102003597B1 (ko) 기계설비배관의 내진 및 방진지지장치
JP2016211216A (ja) 天井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2134788B1 (ko) 풀림방지행거와 시공방법
WO2011155629A1 (ja) 天井消火システム
KR101844986B1 (ko) 케이블 지지모듈의 내진기능을 제한하는 제한모듈
KR102017860B1 (ko) 소방용 배관의 흔들림 방지 연결 지지대용 체결유닛
KR101789663B1 (ko) 원통 지지대가 결합된 앵커 볼트 세트
JP2010001682A (ja) 仕口補強用具を備えたブレース構造
KR101563676B1 (ko) 내진용 댐퍼
KR200187864Y1 (ko) 배관용 파이프 고정구의 치수감소 구조
KR20200070964A (ko) 다용도 내진형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