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332B1 - 브레이스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 Google Patents

브레이스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332B1
KR101996332B1 KR1020180160615A KR20180160615A KR101996332B1 KR 101996332 B1 KR101996332 B1 KR 101996332B1 KR 1020180160615 A KR1020180160615 A KR 1020180160615A KR 20180160615 A KR20180160615 A KR 20180160615A KR 101996332 B1 KR101996332 B1 KR 101996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e
bolt hole
rectangular
circular
hol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160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means of two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브레이스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사각형 브레이스 또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원형 브레이스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브레이스 결합장치로서, 상기 사각형 브레이스의 단부 또는 상기 원형 브레이스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중공 형상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사각형 브레이스가 접하여 지지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원형 브레이스가 접하여 지지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브레이스 결합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브레이스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Brace coupling device and piping support hang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브레이스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을 천정 또는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배관 지지 행거가 사용된다.
배관 지지 행거는 천정 지지면 또는 벽 지지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와,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지지부재와, 고정 부재와 배관 지지 부재를 연결하는 브레이스를 포함한다.
이때, 브레이스의 양단부에는 각각 브레이스와 고정 부재 그리고 브레이스와 배관지지부재를 연결하는 브레이스 결합장치가 결합된다.
통상적으로 브레이스 결합장치는 특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브레이스와 결합하기 때문에 종전 브레이스와 다른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브레이스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종전 브레이스 결합장치도 함께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 작업이 복잡하고 교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브레이스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브레이스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사각형 브레이스 또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원형 브레이스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브레이스 결합장치로서, 상기 사각형 브레이스의 단부 또는 상기 원형 브레이스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중공 형상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사각형 브레이스가 접하여 지지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원형 브레이스가 접하여 지지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브레이스 결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내측면은 상기 사각형 브레이스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의 내측면은 상기 원형 브레이스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는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홀에는 상기 몸체부에 삽입된 상기 사각형 브레이스 또는 상기 원형 브레이스를 상기 몸체부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볼트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볼트홀은 상기 제 2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 중 상기 볼트홀이 형성된 볼트홀 형성부의 두께는 주변부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볼트홀 형성부는 상기 주변부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주변부에 형성된 결합홀에 결합되고, 상기 볼트홀 형성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변부에 형성된 결합홀에는 상기 수나사부에 맞물리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에 결합된 상기 볼트홀 형성부는 상기 결합홀의 관통 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볼트홀 형성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볼트홀 형성부의 위치 조절 과정에서 상기 볼트홀 형성부가 상기 몸체부에 삽입된 상기 사각형 브레이스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연결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단면은 절개부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브레이스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브레이스 결합장치는 사각형 브레이스 또는 원형 브레이스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 원형 단면을 가지는 브레이스에서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브레이스로 교체하거나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브레이스에서 원형 단면을 가지는 브레이스로 교체할 때 브레이스 결합장치도 브레이스 단면 형상에 맞게 함께 교체해야 하는 종래 기술과 브레이스 자체만을 교체할 수 있어 브레이스 교체 작업이 간단해지고 교체 비용도 저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스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의 제작 공정, 유지 보수 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작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스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1 브레이스 결합장치의 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몸체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브레이스의 일례로서,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브레이스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브레이스의 다른 예로서, 원형 단면을 가지는 브레이스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1 브레이스 결합장치의 몸체부에 삽입된 사각형 브레이스가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1 브레이스 결합장치의 몸체부에 삽입된 원형 브레이스가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몸체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제 2 브레이스 결합장치의 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몸체부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배관지지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4 및 도 11에 도시된 몸체부의 제 2 영역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볼트홀 형성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볼트홀 형성부의 위치 조절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스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스 결합장치(200, 400)는 배관 지지 행거(10)의 일부를 구성하며 배관 지지 행거(10)의 다른 구성인 브레이스(30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하, 브레이스(30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브레이스 결합장치(200)'를 '제 1 브레이스 결합장치(200)'라하고, 브레이스(30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브레이스 결합장치(400)'를 '제 2 브레이스 결합장치(400)'라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배관 지지 행거(10)는 고정 브라켓(100)과, 제 1 브레이스 결합장치(200)와, 브레이스(300)와, 제 2 브레이스 결합장치(400)와, 배관지지부재(50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정 브라켓(100)은 구조물의 일측면에 지지된다. 예컨대, 고정 브라켓(100)은 도 1과 같이 구조물의 천장면(S)에 지지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구조물의 벽면에 지지될 수 있다. 구조물은 건물과 같은 육상 구조물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고정 브라켓(100)은 구조물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의 양측부에 상호 마주보며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연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에는 구조물의 천장면(S)과의 결합을 위한 볼트(미도시)가 관통하는 관통홀(100a)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부(130)에는 각각 후술하는 제 1 브레이스 결합장치(200)와의 결합을 위한 관통홀(100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브레이스 결합장치(200)는 고정 브라켓(100)에 결합된다.
이때, 제 1 브레이스 결합장치(200)는 고정 브라켓(100)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브라켓(100)에 대한 제 1 브레이스 결합장치(200)의 틸팅 각도가 조절될 수 있고, 구조물의 일측면에 대한 제 1 브레이스 결합장치(20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 1 브레이스 결합장치(200)는 후술하는 브레이스(30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1 브레이스 결합장치의 몸체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몸체부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브레이스 결합장치(200)는 몸체부(210)를 포함한다.
몸체부(210)는 고정 브라켓(100)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된다. 몸체부(210) 및 고정 브라켓(100)에는 각각 틸팅 결합 볼트(B1)가 관통하는 관통홀(210b, 100b)이 형성된다. 틸팅 결합 볼트(B1)는 일렬로 정렬된 몸체부(210) 및 고정 브라켓(100)의 관통홀(210b, 100b)을 관통한다. 관통홀(210b, 100b)을 관통한 틸팅 결합 볼트(B1)의 끝단부에는 너트(미도시)가 체결된다.
틸팅 결합 볼트(B1)에 체결된 너트(미도시)가 느슨하게 풀리면 몸체부(21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틸팅 결합 볼트(B1)에 체결된 너트(미도시)가 단단히 조이면 몸체부(210)의 각도가 고정된다.
몸체부(210)는 브레이스(30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중공 형상을 가진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브레이스의 일례로서,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브레이스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브레이스의 다른 예로서, 원형 단면을 가지는 브레이스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몸체부(210)에 삽입되는 브레이스(300)는 도 5와 같이 사각형 단면을 가지거나 도 6과 같이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5와 같이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브레이스(300)를 '사각형 브레이스(300a)'라하고 도 6과 같이 원형 단면을 가지는 브레이스(300)를 '원형 브레이스(300b)'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각형 브레이스(300a) 또는 원형 브레이스(300b)는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몸체부(210)에는 사각형 브레이스(300a)의 일단부 또는 원형 브레이스(300b)의 일단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몸체부(210)에 기 결합된 사각형 브레이스(300a)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기존 사각형 브레이스(300a) 대신 원형 브레이스(300b)가 몸체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배관 지지 행거(10)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원래 사용하고자 하는 원형 브레이스(300b)의 재고가 없을 때 사각형 브레이스(300a)가 몸체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몸체부(210)는 사각형 브레이스(300a)가 접하여 지지되는 제 1 영역(211)과, 원형 브레이스(300b)의 외주면이 접하여 지지되는 제 2 영역(213)을 포함한다.
몸체부(210)의 단면 상에서 제 1 영역(211)과 제 2 영역(213)은 도 4와 같이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영역(211)과 제 2 영역(213)은 도 4와 같이 교대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210)에 사각형 브레이스(300a)의 일단부가 삽입되면, 사각형 브레이스(300a)의 외주면은 제 1 영역(211)의 내측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때, 사각형 브레이스(300a)의 외주면 중 일부는 제 1 영역(211)의 내측면에 접하여 지지되고, 나머지는 제 2 영역(213)에 접하지 않는다.
몸체부(210)에 원형 브레이스(300b)의 일단부가 삽입되면, 원형 브레이스(300b)의 외주면은 제 2 영역(213)의 내측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때, 원형 브레이스(300b)의 외주면 중 일부는 제 2 영역(213)의 내측면에 접하여 지지되고, 나머지는 제 1 영역(211)에 접하지 않는다.
제 1 영역(211)의 내측면은 사각형 브레이스(300a)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평면으로 형성되고, 제 2 영역(213)의 내측면은 원형 브레이스(300 b)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몸체부(210)에 삽입된 브레이스(300) 즉, 사각형 브레이스(300a) 또는 원형 브레이스(300b)는 고정볼트(230)에 의해 몸체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부(210)에는 고정볼트(230)를 위한 볼트홀(2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볼트홀(210a)은 몸체부(210)의 단면 상에서 분산 배치된 제 2 영역들(2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볼트홀(210a)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볼트홀(210a)을 관통하여 결합된 고정볼트(230)는 도 7과 같이 몸체부(210)에 삽입된 사각형 브레이스(300a)를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는 볼트홀(210a)을 관통하여 결합된 고정볼트(230)는 도 8과 같이 몸체부(210)에 삽입된 원형 브레이스(300b)를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참고로, 도 7은 제 1 브레이스 결합장치의 몸체부에 삽입된 사각형 브레이스가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제 1 브레이스 결합장치의 몸체부에 삽입된 원형 브레이스가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사각형 브레이스(300a) 또는 원형 브레이스(300b)의 일단부는 고정볼트가 아닌 공지된 다른 방법으로 몸체부(2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210)의 단면은 도 4와 같이 링 형상을 가진다. 이때, 몸체부(210)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연결된 폐루프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210)는 단면 상에서 도 4와 같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몸체부(210)는 제 1 영역(211) 및 제 2 영역(213)의 두께가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부(210-1)는 단면상에서 도 9와 같이 전체적으로 비균일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210-1)의 외주면은 도 9와 같이 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몸체부(210-1)는 도 9와 같이 제 1 영역(211-1) 및 제 2 영역(213-1)의 두께가 상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제 2 영역(213-1)은 도 9와 같이 제 1 영역(211-1)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몸체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210)는 주물 방식으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2 브레이스 결합장치(400)는 브레이스(300)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제 2 브레이스 결합장치의 몸체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몸체부의 정면도이다.
도 1, 도 5, 도 6,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브레이스 결합장치(400)는 몸체부(410)를 포함한다.
몸체부(410)는 브레이스(30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중공 형상을 가진다.
몸체부(410)에는 사각형 브레이스(300a)의 타단부 또는 원형 브레이스(300b)의 타단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몸체부(410)에 기 결합된 사각형 브레이스(300a)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기존 사각형 브레이스(300a) 대신 원형 브레이스(300b)가 몸체부(4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배관 지지 행거(10)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원래 사용하고자 하는 원형 브레이스(300b)의 재고가 없을 때 사각형 브레이스(300a)가 몸체부(410)에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410)는 사각형 브레이스(300a)가 접하여 지지되는 제 1 영역(411)과, 원형 브레이스(300b)의 외주면이 접하여 지지되는 제 2 영역(413)을 포함한다.
몸체부(410)의 단면 상에서 제 1 영역(411)과 제 2 영역(413)은 도 11과 같이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영역(411)과 제 2 영역(413)은 도 11과 같이 교대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410)에 사각형 브레이스(300a)의 타단부가 삽입되면, 사각형 브레이스(300a)의 외주면은 제 1 영역(411)의 내측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때, 사각형 브레이스(300a)의 외주면 중 일부는 제 1 영역(411)의 내측면에 접하여 지지되고, 나머지는 제 2 영역(413)에 접하지 않는다.
몸체부(410)에 원형 브레이스(300b)의 타단부가 삽입되면, 원형 브레이스(300b)의 외주면은 제 2 영역(413)의 내측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때, 원형 브레이스(300b)의 외주면 중 일부는 제 2 영역(413)의 내측면에 접하여 지지되고, 나머지는 제 1 영역(411)에 접하지 않는다.
제 1 영역(411)의 내측면은 사각형 브레이스(300a)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평면으로 형성되고, 제 1 영역(211)의 내측면은 원형 브레이스(300b)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410)에 삽입된 브레이스(300) 즉, 사각형 브레이스(300a) 또는 원형 브레이스(300b)는 고정볼트(430)에 의해 몸체부(41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부(410)에는 고정볼트(430)를 위한 볼트홀(4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볼트홀(410a)은 몸체부(410)의 단면 상에서 분산 배치된 제 2 영역들(413)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볼트홀(410a)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볼트홀(410a)을 관통하는 고정볼트(430)는 몸체부(410)에 삽입된 사각형 브레이스(300a)를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고정볼트(430)는 사각형 브레이스(300a)또는 볼트홀(410a)을 관통하는 고정볼트(430)는 몸체부(410)에 삽입된 원형 브레이스(300b)를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다.
고정볼트(430)가 사각형 브레이스(300a)를 압박하여 고정하거나 원형 브레이스(300b)를 압박하여 고정하는 메커니즘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설명된 고정볼트(230)의 동작 메커니즘과 동일하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사각형 브레이스(300a) 또는 원형 브레이스(300b)의 타단부는 고정볼트가 아닌 공지된 다른 방법으로 몸체부(4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410)의 단면은 도 11과 같이 절개부(415)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진다. 달리 표현하면, 몸체부(410)의 단면은 일부가 절개된 링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몸체부(410)는 사각형 브레이스(300a) 또는 원형 브레이스(300b)와의 결합 과정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여 결합이 용이하다.
이러한 몸체부(410)는 주물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몸체부(410)는 프레스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브레이스 결합장치(400)는 결합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50)는 절개부(415)에 인접하여 몸체부(410)에 형성된다. 결합부(450)는 절개부(415)를 중심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결합 플레이트(45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50)에는 배관(P)을 지지하는 후술하는 배관지지부재(500)에 몸체부(410) 또는 제 2 브레이스 결합장치(400)를 틸팅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틸팅 결합 볼트(B2)가 관통하는 관통홀(410b)이 형성된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배관지지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배관지지부재(500)는 제 2 브레이스 결합장치(400)에 결합되고 배관(P)을 지지한다.
배관지지부재(500)는 배관(P)이 관통하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배관지지부재(500)에는 배관(P)이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배관은 배관지지부재(500)를 관통한 상태로 배관지지부재(500)에 지지된다.
배관지지부재(500)는 배관(P)의 일부를 감싸는 제 1 배관지지부재(510)와 배관(P)의 다른 부분을 감싸는 제 2 배관지지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 마주보는 제 1 배관지지부재(500)의 일단부와 제 2 배관지지부재(500)의 일단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브레이스 결합장치(400)의 결합부(450)와 틸틸 결합볼트(B2)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제 1 배관지지부재(500)의 일단부와 제 2 배관지지부재(500)의 일단부 그리고 결합부(450)를 관통한 틸팅 결합 볼트(B2)의 끝단부에는 너트(N2)가 체결된다.
그리고 상호 마주보는 제 1 배관지지부재(510)의 타단부와 제 2 배관지지부재(520)의 타단부는 결합볼트(B3)에 의해 결합된다. 제 1 배관지지부재(510)의 타단부와 제 2 배관지지부재(520)의 타단부를 관통한 결합볼트(B3)의 끝단부에는 너트(N3)가 체결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스 결합장치(200, 400) 즉, 제 1 브레이스 결합장치(200) 및 제 2 브레이스 결합장치(400)는 사각형 브레이스(300a) 또는 원형 브레이스(300b)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원형 단면을 가지는 브레이스에서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브레이스로 교체하거나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브레이스에서 원형 단면을 가지는 브레이스로 교체할 때 브레이스 결합장치도 브레이스 단면 형상에 맞게 함께 교체해야 하는 종래 기술과 브레이스 자체만을 교체할 수 있어 브레이스 교체 작업이 간단해지고 교체 비용도 저감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스 결합장치(200, 400)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10)의 제작 공정, 유지 보수 공정이 간단해지고 제작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스 결합장치(200, 400)의 몸체부(210, 410)의 제 2 영역(213, 413)은 도 4 및 도 11과 같이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영역(213-2, 413-2) 중 볼트홀(210a, 410a)이 형성된 볼트홀 형성부(2131, 4131)는 그 주변부(2132, 4132)에 비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3은 도 4 및 도 11에 도시된 몸체부의 제 2 영역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볼트홀 형성부(2131, 4131)는 주변부(2132, 4132)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주변부(2132, 4132)에 비해 두께가 두꺼운 볼트홀 형성부(2131, 4131)에 볼트홀(210a, 410a)이 형성되면, 볼트홀(210a, 410a)에 결합된 고정볼트(230, 430)의 지지력이 향상되고 볼트홀 형성부(2131, 4131)의 구조 강도가 향상된다.
이와 같은 볼트홀 형성부(2131, 4131)은 주변부(2132, 4132)와 주물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볼트홀 형성부(2131, 4131)은 주변부(2132, 4132)는 제 2 영역(213-2, 413-2)에 대한 탭 가공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제 2 영역(213-3, 413-3) 중 볼트홀(210a, 410a)이 형성된 볼트홀 형성부(2131, 4131)는 그 주변부(2132, 4132)에 비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볼트홀 형성부(2131, 4131)는 주변부(2132, 4132)와 별도로 제작되어 주변부(2132, 4132)에 형성된 결합홀(2132a, 4132a)에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볼트홀 형성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결합홀(2132a, 4132a)의 관통 방향은 볼트홀(210a, 410a)의 관통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이때, 볼트홀 형성부(2131, 413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134, 4134)가 형성되고, 결합홀(2132a, 4132a)의 내주면에는 수나사부(2134, 4134)에 맞물리는 암나사부(2136, 4136)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2132a, 4132a)에 결합된 볼트홀 형성부(2131, 4131)가 회전하면 회전 방향에 따라 볼트홀 형성부(2131, 4131)는 결합홀(2132a, 4132a)의 관통 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볼트홀 형성부(2131, 4131)는 볼트홀 형성부(2131, 4131)와 마주보는 사각형 브레이스(300a) 또는 원형 브레이스(300b)의 외측면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위치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볼트홀 형성부(2131, 4131)는 도 15와 같이 마주보는 원형 브레이스(300b)의 외주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볼트홀 형성부(2131, 4131)는 도 16과 같이 마주보는 사각형 브레이스(300a)의 외주면에 가까워지도록 위치 조절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5 및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볼트홀 형성부의 위치 조절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볼트홀 형성부(2131, 4131)가 도 16과 같이 마주보는 사각형 브레이스(300a)의 외측면에 가까워지면 볼트홀 형성부(2131, 4131)가 주변부(2132, 4132)에 대해 위치 고정된 도 13의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고정볼트(230, 430)를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고정볼트(230, 430)를 지지하는 구조인 볼트홀 형성부(2131, 4131)가 도 16과 같이 마주보는 사각형 브레이스(300a)의 외측면에 가까워지면 볼트홀 형성부(2131, 4131)가 주변부(2132, 4132)에 대해 위치 고정된 도 13의 경우에 비해 볼트홀(210a, 410a)에서 돌출되어 사각형 브레이스(300a)를 압박하는 고정볼트(230, 430)의 돌출 부분이 상대적으로 짧아져 사각형 브레이스(300a)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30, 430)의 구조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볼트홀 형성부(2131, 4131)의 외주면에는 볼트홀 형성부(2131, 4131)의 위치 조절 과정, 예컨대, 볼트홀 형성부(2131, 4131)의 끝단부가 마주보는 사각형 브레이스(300a)의 외측면과 가까워지는 과정에서 볼트홀 형성부(2131, 4131)가 설정된 위치에서 더 이상 사각형 브레이스(300a)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2138, 4138)가 형성된다.
스토퍼(2138, 4138)는 볼트홀 형성부(2131, 4131)의 외주면에서 측면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토퍼(2138, 4138)는 도 15와 같이 원형 브레이스(300b)가 사용되는 경우 주변부(2132, 4132)와 이격되어 접하지 않고, 도 16과 같이 사각형 브레이스(300a)가 사용되는 경우 볼트홀 형성부(2131, 4131)의 끝단부가 사각형 브레이스(300a)의 외측면에 접촉할 때 주변부(2132, 4132)에 접하여 걸린다. 이때, 볼트홀 형성부(2131, 4131)는 볼트홀 형성부(213, 4131)의 끝단부가 사각형 브레이스(300a)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더 이상 사각형 브레이스(300a) 쪽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이 경우, 볼트홀 형성부(2131, 4131)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2134, 4134)는 볼트홀 형성부(2131, 4131)의 끝단부에서 스토퍼(2138, 4138) 사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배관 지지 행거
100 : 고정 브라켓
200 : 제 1 브레이스 결합장치
210 : 몸체부
211 : 제 1 영역
213 : 제 2 영역
230 : 고정볼트
300 : 브레이스
300a : 사각형 브레이스
300b : 원형 브레이스
400 : 제 2 브레이스 결합장치
410 : 몸체부
411 : 제 1 영역
413 : 제 2 영역
430 : 고정볼트
450 : 결합부
500 : 배관지지부재

Claims (10)

  1.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사각형 브레이스 또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원형 브레이스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브레이스 결합장치로서,
    상기 사각형 브레이스의 단부 또는 상기 원형 브레이스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중공 형상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사각형 브레이스가 접하여 지지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원형 브레이스가 접하여 지지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홀에는 상기 볼트홀의 암나사부와 맞물리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삽입된 상기 사각형 브레이스 또는 상기 원형 브레이스를 상기 몸체부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볼트홀은 상기 제 2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 중 상기 볼트홀이 형성된 볼트홀 형성부의 두께는 주변부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볼트홀 형성부는 상기 주변부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주변부에 형성된 결합홀에 결합되고,
    상기 볼트홀 형성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변부에 형성된 결합홀에는 상기 볼트홀 형성부의 수나사부에 맞물리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에 결합된 상기 볼트홀 형성부는 상기 볼트홀 형성부와 마주보는 상기 사각형 브레이스 또는 상기 원형 브레이스의 외측면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결합홀의 관통 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되되,
    상기 볼트홀 형성부가 상기 사각형 브레이스가 마주보는 경우, 상기 볼트홀 형성부는 상기 사각형 브레이스의 외측면에 가까워지도록 위치 조절되고, 상기 볼트홀 형성부가 상기 원형 브레이스와 마주보는 경우, 상기 볼트홀 형성부는 상기 원형 브레이스의 외측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 조절되는 브레이스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내측면은 상기 사각형 브레이스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의 내측면은 상기 원형 브레이스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곡면으로 형성되는, 브레이스 결합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홀 형성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볼트홀 형성부의 위치 조절 과정에서 상기 볼트홀 형성부가 상기 몸체부에 삽입된 상기 사각형 브레이스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브레이스 결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연결된 링 형상을 가지는, 브레이스 결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단면은 절개부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지는, 브레이스 결합장치.
  10. 제1항, 제2항, 제7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레이스 결합장치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KR1020180160615A 2018-12-13 2018-12-13 브레이스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KR101996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15A KR101996332B1 (ko) 2018-12-13 2018-12-13 브레이스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15A KR101996332B1 (ko) 2018-12-13 2018-12-13 브레이스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332B1 true KR101996332B1 (ko) 2019-07-03

Family

ID=6725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615A KR101996332B1 (ko) 2018-12-13 2018-12-13 브레이스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3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0900A (ja) * 2004-02-26 2005-09-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配管用uボルト
KR20110110489A (ko) * 2010-04-01 2011-10-07 (주)어번라이팅 다양한 모양을 수용하는 조인트연결 멀티 하우징
JP2016205441A (ja) * 2015-04-16 2016-12-08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ラックナ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20180089999A (ko) * 2017-02-02 2018-08-10 김상문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20180113725A (ko) * 2017-04-07 2018-10-17 김계식 배관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0900A (ja) * 2004-02-26 2005-09-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配管用uボルト
KR20110110489A (ko) * 2010-04-01 2011-10-07 (주)어번라이팅 다양한 모양을 수용하는 조인트연결 멀티 하우징
JP2016205441A (ja) * 2015-04-16 2016-12-08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ラックナ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20180089999A (ko) * 2017-02-02 2018-08-10 김상문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20180113725A (ko) * 2017-04-07 2018-10-17 김계식 배관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63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elevator car and counterweight guide rails
US11873926B2 (en) Pipe clamp assembly
JPH0612156B2 (ja) 自己調節式パイプ用クランプ兼用継手
KR102125573B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US9683681B2 (en) Lateral sway brace
KR101996332B1 (ko) 브레이스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KR101876317B1 (ko) 건축용 빔 클램프
KR101533829B1 (ko) 다기능 빔 클램프
KR101755111B1 (ko) 결합용 홈볼트
JP7074317B2 (ja) 建物ユニット間距離調整治具
KR20200063878A (ko) 정렬불량 조정 지그
JP2011021413A (ja) ホールダウン金物
JP2019138404A (ja) 電気絶縁プレ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配管固定具
JP2019007593A (ja) 固定金具
JP2012255306A (ja) 昇塔防止装置
JP6924650B2 (ja) パイプサポート用補強金物
JP2004052938A (ja) 流水部材の固定装置
KR100532718B1 (ko) 배관고정구
JP2019143671A (ja) 吊下げ用螺軸の揺れ止め金具
WO2019155549A1 (ja) 室内機及び取付足
KR101454643B1 (ko) 체결구가 형성된 비계 파이프
JP7491818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支持治具及び支持装置
JP3195908U (ja) クランプ金具装置
JP2014169573A (ja) 天井吊り金具及び天井下地材支持構造
CA2910487C (en) Method for forming a pipe joint, pipe joint and flange part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