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999A -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 Google Patents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999A
KR20180089999A KR1020170014853A KR20170014853A KR20180089999A KR 20180089999 A KR20180089999 A KR 20180089999A KR 1020170014853 A KR1020170014853 A KR 1020170014853A KR 20170014853 A KR20170014853 A KR 20170014853A KR 20180089999 A KR20180089999 A KR 20180089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groove
bracing bar
clearan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628B1 (ko
Inventor
김대식
김상문
Original Assignee
김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문 filed Critical 김상문
Priority to KR1020170014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62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means of two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체인 브레이싱바의 상측 내외면 및 하측 내외면과 더불어 브레이싱바의 좌우측면을 각각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지진파와 같은 외부충격의 전달 시에도 브레이싱바의 양측 연결부위에서 유격의 발생을 차단시켜 주어, 브레이싱바의 한쪽에 연결된 배관이 지진파와 같은 외부충격에도 최대한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게 제공하여 주는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에 관한 것으로, 관체의 브레이싱바(100)와; 건물 내부의 벽체 쪽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가 개방되어 배치공간(210)이 형성된 일측고정몸체(200)와; 상기 일측고정몸체(2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아 상기 일측고정몸체(200)의 배치공간(210)에 배치되는 일측회동몸체(300)와; 양측부를 각각 절개하여 상측돌출편(410), 중측돌출편(420) 및 하측돌출편(430)이 돌출되고, 상측진입홈(441) 및 하측진입홈(442)이 형성되며, 그 형성된 상측진입홈(441)에 상기 일측회동몸체(300)의 중앙부 및 상기 브레이싱바(100)인 관체의 일단 상측 쪽이 진입되어 끼움되고, 그 형성된 하측진입홈(442)에 상기 브레이싱바(100)인 관체의 일단 하측 쪽이 진입되어 끼움되게 하는 일측유격제거체(400)와; 상기 일측고정몸체(200), 상기 일측회동몸체(300) 및 상기 일측유격제거체(400) 간을 연결시켜 상기 일측고정몸체(200)에 내재된 상기 일측회동몸체(300)가 회동연결될 수 있게 안내하는 연결축(510)과; 상기 브레이싱바(100)의 타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배관을 고정시키는 클램프(C);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Supporter for prevent oscillation}
본 발명은 관체인 브레이싱바의 상측 내외면 및 하측 내외면과 더불어 브레이싱바의 좌우측면을 각각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지진파와 같은 외부충격의 전달 시에도 브레이싱바의 양측 연결부위에서 유격의 발생을 차단시켜 주어, 브레이싱바의 한쪽에 연결된 배관이 지진파와 같은 외부충격에도 최대한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게 제공하여 주는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pipe)는 관 또는 튜브(tube)라고도 하며, 가스, 소방수, 상수도, 하수도 등과 같이 일상 생활 시설뿐만 아니라 각종 공업용시설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파이프는 주로 유체(기체 및 액체 포함) 및 분체의 수송에 사용되며, 땅 속이나 옥내의 배선을 할 때나 전선 및 케이블의 보호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파이프에 의해 구성되는 유체의 통로 등을 관로라고 하고, 유체의 유량, 물성값 및 마찰저항 등을 생각해서 합리적으로 관로를 설치하는 것을 배관이라 한다.
한편, 합성수지관, 주철관, 강관(흑가스관), 아연도금강관(백가스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배관은 건물 내부의 각종 구조물에 고정되어 사용되는데, 지진 발생시 야기되는 지진파로 인해 건물 내부의 각종 구조물과 엇갈리게 흔들리면 배관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위험성을 인지한 정부에서는 국민안전처 소방제도과를 통해 소방시설의 내진설계에 관한 법률에 의거 배관을 지진에 대비해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이용하여 배관과 건축 구조물을 연결하는 것을 의무화(2016년01월25일 제정 발효) 하였다.
이에, 배관 관련 제조업체에서도 예전부터, 배관을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을 제안하고 있다.
그에 대한 일예로, 종래의 상수 파이프 고정부재는 고정구 몸체와 내부 지지체가 나사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파이프의 설치작업시 소음 및 떨림 발생을 방지하도록 파이프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상수 파이프 고정부재를 이루는 고정구 몸체의 외연은 지진파 전달되는 경로 즉, 층간 슬라브와 직접적으로 접촉되고, 그 접촉된 고정구 몸체와 상수 파이프의 외연 또한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달되는 지진파로 인해 흔들리는 건물 내부의 각종 구조물과 부딪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위험성이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흔들림 방지 버팀대가 제안되었다.
종래의 개선된 흔들림 방지 버팀대는 일측이 건축 구조물과 연결되고 타측이 배관과 연결되어 배관과 건물 내부의 각종 구조물 사이를 이격시켜 지진파로 흔들리는 건물 내부의 각종 구조물이 배관과 부딪히는 것을 최소화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흔들림 방지 버팀대는 건축 구조물과 연결되는 고정 브래킷 및 일측이 고정 브래킷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클램프를 통해 배관과 연결된 브레이싱바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는 건축 내부의 구조물에 고정된 형강(S)에 상측부가 고정되는 고정부(10), 내주면이 배관(P)의 외주면을 가압접촉시켜 배관(P)을 고정시키는 클램프(20), 클램프(20)에 일측이 연결되는 관형상의 브레이싱바(30), 일측이 브레이싱바(30)에 고정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고정부(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부(4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브레이싱바(30)와 조절부(40) 간의 결합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조절부(40)의 일측에는 관형상을 갖는 브레이싱바(3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브레이싱바 삽입홀(41)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브레이싱바 삽입홀(41)을 기준으로 조절부(40)의 일측 일부분은 브레이싱바(30) 내부로 삽입되고, 그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42)를 통해 가압접촉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 때문에, 종래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브레이싱바(30)와 조절부(40) 간의 결합구조는 브레이싱바(30)인 관의 일측 내외경이 브레이싱바 삽입홀(41)이 형성된 조절부의 내측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42)를 통한 가압고정구조이기 때문에, 브레이싱바(30)인 관의 타측 부분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여서 지진 발생에 따른 지진파가 벽체로부터 형강(S)을 따라 조절부(40)까지 전달되면, 조절부(40)에 관의 일측만 연결된 브레이싱바(30)의 흔들림에 따른 유격이 발생하여 브레이싱바(30)가 조절부(40)로부터 이탈되는 위험성을 내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에서, 배관(P)을 고정시켜주는 클램프(20)와 브레이싱바(30)인 관 사이의 결합구조에서도 클램프(20)에 내삽된 브레이싱바(30)의 외측면에 볼트를 통한 가압고정구조로 이 또한, 브레이싱바(30)의 일측 부분만을 가압하여 고정됨으로써, 지진 발생에 따른 지진파가 전달 시 브레이싱바(30)의 흔들림에 따른 유격이 발생하여 브레이싱바(30)로부터 클램프(20)가 이탈되는 위험성도 내포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0566931호(등록일자 : 2006년03월27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체인 브레이싱바의 상측 내외면 및 하측 내외면을 각각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지진파와 같은 외부충격의 전달 시에도 브레이싱바의 양측 연결부위에서 유격의 발생을 차단시켜 주어, 브레이싱바의 한쪽에 연결되는 배관이 지진파와 같은 외부충격에도 최대한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게 제공하는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체인 브레이싱바의 좌우측면도 각각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브레이싱바의 네 면을 각각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지진파와 같은 외부충격의 전달 시에도 유격의 발생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하여 주는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는, 관체의 브레이싱바와; 건물 내부의 벽체 쪽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가 개방되어 배치공간이 형성된 일측고정몸체와; 상기 일측고정몸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아 상기 일측고정몸체의 배치공간에 배치되는 일측회동몸체와; 양측부를 각각 절개하여 상측돌출편, 중측돌출편 및 하측돌출편이 돌출되고, 상측진입홈 및 하측진입홈이 형성되며, 그 형성된 상측진입홈에 상기 일측회동몸체의 중앙부 및 상기 브레이싱바인 관체의 일단 상측 쪽이 진입되어 끼움되고, 그 형성된 하측진입홈에 상기 브레이싱바인 관체의 일단 하측 쪽이 진입되어 끼움되게 하는 일측유격제거체와; 상기 일측고정몸체, 상기 일측회동몸체 및 상기 일측유격제거체 간을 연결시켜 상기 일측고정몸체에 내재된 상기 일측회동몸체가 회동연결될 수 있게 안내하는 연결축과; 상기 브레이싱바의 타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배관을 고정시키는 클램프;로 이루어진다.
상기 일측회동몸체의 중앙부 양단 중 적어도 한쪽이 절개되어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유격제거체의 상측돌출편에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그 형성된 고정홈에 의해, 걸림돌기가 돌출됨으로써, 상기 고정홈에 상기 일측회동몸체의 중앙부 쪽이 안치되고, 그 안치된 일측회동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연결축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일측회동몸체와 상기 일측유격제거체 사이에는 한 쌍의 이동방지용 원통체;가 배치된다.
상기 연결축 주변에 형성된 각도 표시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에는, 끝단이 상기 일측회동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브레이싱바의 외측면을 가압고정시키는 일측 보강용고정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는, 중앙부분이 상기 배관의 일측부에 접촉되고, 그 중앙부분에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돌출되는 일측고정대와; 중앙부분이 상기 배관의 타측부에 접촉되고, 그 중앙부분에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돌출되되, 상기 일측고정대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과 대응되는 타측고정대와; 상기 브레이싱바가 내재되게 내부에 배치공간이 형성된 타측고정몸체와; 양측부를 각각 절개하여 상측돌출편, 중측돌출편 및 하측돌출편이 돌출되고, 상측진입홈 및 하측진입홈이 형성되며, 그 형성된 상측진입홈)에 상기 브레이싱바인 관체의 타단 상측 쪽이 진입되어 끼움되고, 그 형성된 하측진입홈에 상기 브레이싱바인 관체의 타단 하측 쪽이 진입되어 끼움되게 하는 타측유격제거체와; 상기 일측고정대를 이루는 상측의 가장자리 부분, 상기 타측고정대를 이루는 상측의 가장자리 부분, 상기 타측고정몸체, 상기 타측유격제거체 간을 연결시켜 상기 일측고정대 및 상기 타측고정대가 회동연결될 수 있게 안내하는 상측연결축과; 상기 일측고정대를 이루는 하측의 가장자리 부분 및 상기 타측고정대를 이루는 하측의 가장자리 부분을 연결고정시켜주는 하측 고정볼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타측고정몸체의 중앙부 양단 중 적어도 한쪽이 절개되어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유격제거체의 상측돌출편에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그 형성된 고정홈에 의해, 걸림돌기가 돌출됨으로써, 상기 고정홈에 상기 타측고정몸체의 중앙부 쪽이 안치되고, 그 안치된 타측고정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상측연결축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일측고정대를 이루는 하측의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타측고정대를 이루는 하측의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는 이동방지용 원통체;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에는, 끝단이 상기 타측고정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브레이싱바의 외측면을 가압고정시키는 타측 보강용고정볼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관체인 브레이싱바의 상측 내외면 및 하측 내외면을 각각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지진파와 같은 외부충격의 전달 시에도 브레이싱바의 양측 연결부위에서 유격의 발생을 차단시켜 주어, 브레이싱바의 한쪽에 연결되는 배관이 지진파와 같은 외부충격에도 최대한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게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체인 브레이싱바의 좌우측면도 각각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브레이싱바의 네 면을 각각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지진파와 같은 외부충격의 전달 시에도 유격의 발생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이루는 구성 중 브레이싱바의 상측부분을 천장 쪽에 연결 시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연결하는데 필요한 각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이루는 구성 중 브레이싱바의 상측부분을 천장 쪽에 연결 시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연결하는데 필요한 각 구성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이루는 구성 중 브레이싱바의 상측부분을 천장 쪽에 연결 시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연결하는데 필요한 각 구성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이루는 구성 중 브레이싱바의 상측부분을 천장 쪽에 연결 시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연결하는데 필요한 각 구성의 결합된 외관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이루는 구성 중 브레이싱바의 하측부분에 연결되는 클램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이루는 구성 중 브레이싱바의 하측부분에 연결되는 클램프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이루는 구성 중 브레이싱바의 하측부분과 클램프가 연결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가 건물 내부의 벽체에 직접 고정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가 건물 내부의 벽체에 구비된 형강에 연결설치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는 크게, 브레이싱바(100), 일측고정몸체(200), 일측회동몸체(300), 일측유격제거체(400), 연결축(510) 및 클램프(C)로 이루어진다.
먼저, 브레이싱바(100)는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파이프 즉, 관체로서 관체의 단면은 원형 또는 사각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싱바(100)는 상측이 후술되는 일측고정몸체(200)와 연결되고, 타측이 후술되는 클램프에 연결되어진다.
상기 일측고정몸체(200)는 건물 내부의 벽체 쪽에 고정되는 것으로, 평판의 양측 부분을 절곡하여 "п"형상을 갖게 함으로써, 내부가 개방되게 하여 배치공간(210)이 형성되게 한 구조를 갖는다. 이를 통해, 후술되는 일측회동몸체(300)가 내재될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일측고정몸체(200)의 절곡된 양측부에는 후술되는 연결축(510)이 삽입될 수 있게 관통홀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일측고정몸체(200)의 절곡된 양측부 중 한쪽의 절곡부에는 각도표시부(220)가 구비되어진다.
이러한 각도표시부(220)는, 각도눈금(221) 및 기준눈금(222)을 포함하며, 연결축(510)을 기준으로 후술되는 일측회동몸체(300)의 회전 각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각도눈금(221)은 관통홀 주변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각도눈금(221)의 배열각도(R)는 15˚이다. 여기서, 각도눈금(221)의 배열각도는 설치 장소 및 설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도눈금(221)은 음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기준눈금(222)은 관통홀과 이웃하여 일측고정몸체(200)와 중첩되지 않은 일측회동몸체(300) 타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기준눈금(222)은 음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기준눈금(222)은 일측회동몸체(300)가 회전할 때 각도눈금(221) 중 어느 한 눈금과 일치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현장에서 각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일측회동몸체(300)가 일측고정몸체(200)와 이루는 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각도눈금(221)과 기준눈금(222)에는 축광안료 또는 글라스비드 등이 도포될 수 있다. 축광안료 또는 글라스비드를 통해 어두운 작업 환경에서도 일측회동몸체(300)의 각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일측회동몸체(300)는 일측고정몸체(2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아 일측고정몸체(200)의 배치공간(210)에 배치되어진다. 즉, 일측회동몸체(300)도 평판의 양측 부분을 절곡하여 "п"형상을 갖게 하되, 그 크기는 일측고정몸체(200)에 내재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게 제공한다.
또한, 일측회동몸체(300)의 중앙부 양단 중 적어도 한쪽을 절개시켜 걸림홈(311,312)이 형성되도록 제공한다. 여기서, 걸림홈(311,312)의 개수는 후술되는 일측유격제거체(400)의 상측돌출편(410)에 돌출된 걸림돌기(411) 쪽에 대응되는 위치에 1개 내지는 양측에 각각 해서 2개일 수 있다.
상기 일측유격제거체(400)는 평판 일측면의 상하 양측부를 각각 절개하여 상측돌출편(410), 중측돌출편(420) 및 하측돌출편(430)이 돌출되게 하고, 그 상측돌출편(410), 중측돌출편(420) 및 하측돌출편(430) 사이마다 상측진입홈(441)과 하측진입홈(442)이 형성되게 한 구조를 갖는다.
이를 통해, 일측유격제거체(400)는 그 형성된 상측진입홈(441)에 일측회동몸체(300)의 중앙부 및 브레이싱바(100)인 관체의 일단 상측 쪽이 진입되어 끼움되고, 그 형성된 하측진입홈(442)에 브레이싱바(100)인 관체의 일단 하측 쪽이 진입되어 끼움되게 제공한다.
특히, 일측회동몸체(300)의 중앙부 양단에 형성된 걸림홈(311,31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유격제거체(400)의 상측돌출편(410)에는 고정홈(443)을 형성하여, 그 형성된 고정홈(443)에 의해, 걸림돌기(411)가 돌출됨으로써, 그 형성된 고정홈(443)에 일측회동몸체(300)의 중앙부 쪽이 안치되고, 그 안치된 일측회동몸체(300)의 중앙부에 형성된 걸림홈(311,312)에 걸림돌기(411)가 걸려 고정되게 함으로써, 일측유격제거체(400)의 상부 쪽이 일측회동몸체(300)에 고정될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일측유격제거체(400)의 하부 쪽도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후술되는 연결축(510)을 통해 연결되는 일측회동몸체(300)와 일측유격제거체(400) 사이에 이동방지용 원통체(521,522)를 각각 끼움제공함으로써, 각 이동방지용 원통체(521,522)의 양측면이 일측회동몸체(300)의 내측면 및 일측유격제거체(400)의 양측면에 접촉됨으로써, 일측유격제거체(400)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제공한다.
한편, 브레이싱바(100)의 상하측이 일측유격제거체(400)에 의해 지지고정되는데, 브레이싱바(100)의 좌우측도 견고하게 고정시킬 경우 지진발생에 따른 지진파의 전달 시에도 유격의 발생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측회동몸체(300)의 양측면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일측회동몸체(300)의 양측면에 각각 일측 보강용고정볼트(530,540)를 나사체결하면, 그 나사체결되는 일측 보강용고정볼트(530,540)의 끝단이 일측회동몸체(300)의 측면을 관통하여 브레이싱바(100)의 좌우 외측면을 가압 고정 시켜준다.
이에 따라, 관체인 브레이싱바(100)의 상측 내외면 및 하측 내외면과 더불어 브레이싱바(100)의 좌우측면을 각각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지진파와 같은 외부충격의 전달 시에도 브레이싱바(100)의 상측 연결부위에서 유격의 발생을 차단시켜 주어, 브레이싱바(100)의 한쪽에 연결된 배관(P)이 지진파와 같은 외부충격에도 최대한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게 제공하여 준다.
상기 연결축(510)은 일측고정몸체(200), 일측회동몸체(300) 및 일측유격제거체(400) 간을 연결시켜 일측고정몸체(200)에 내재된 일측회동몸체(300)가 회동연결될 수 있게 안내하는 부재이다.
상기 클램프(C)는 브레이싱바(100)의 타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배관(P)을 고정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또한, 클램프(C)도 그 연결된 브레이싱바(100)에 지진파와 같은 외부충격이 전달시에도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공하여 준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클램프(C)의 세부구성은 일측고정대(610), 타측고정대(620), 타측고정몸체(700), 타측유격제거체(800), 상측연결축(640) 및 하측 고정볼트(650)로 이루어진다.
먼저, 일측고정대(610)는 중앙부분이 배관(P)의 일측부에 접촉되도록 반원형상을 갖고, 그 반원형상의 중앙부분의 양측이 연장되어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돌출된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고정을 위해 관통홀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타측고정대(620)는 앞에서 언급한 일측고정대(6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중앙부분이 배관(P)의 타측부에 접촉되도록 반원형상을 갖고, 그 반원형상의 중앙부분의 양측이 연장되어 돌출되되, 일측고정대(61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과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돌출된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도 고정을 위해 관통홀이 형성되어진다.
여기서, 후술되는 하측고정볼트(650)을 통해 연결되는 일측고정대(610)를 이루는 하측의 가장자리 부분과 타측고정대(620)를 이루는 하측의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 이동방지용 원통체(630)를 끼움제공함으로써,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제공한다.
상기 타측고정몸체(700)는 브레이싱바(100)가 내재되게 내부에 배치공간(710)이 형성된 부재로, 앞에서 언급한 일측고정몸체(2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평판의 양측 부분을 절곡하여 "п"형상을 갖게 함으로써, 내부가 개방되게 하여 배치공간(710)이 형성되게 한 구조를 갖는다. 이를 통해, 브레이싱바(100)가 내재될 수 있게 제공한다.
또한, 타측고정몸체(700)의 절곡된 양측부에도 후술되는 상측연결축(640)이 삽입될 수 있게 관통홀이 형성되어진다.
또한, 타측고정몸체(700)의 중앙부 양단 중 적어도 한쪽을 절개시켜 걸림홈(711,712)이 형성되도록 제공한다. 여기서, 걸림홈(711,712)의 개수는 후술되는 일측유격제거체(400)의 상측돌출편(810)에 돌출된 걸림돌기(811) 쪽에 대응되는 위치에 1개 내지는 양측에 각각 해서 2개일 수 있다.
상기 타측유격제거체(800)는 앞에서 언급한 일측유격제거체(4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평판 일측면의 상하 양측부를 각각 절개하여 상측돌출편(810), 중측돌출편(820) 및 하측돌출편(830)이 돌출되게 하고, 그 상측돌출편(810), 중측돌출편(820) 및 하측돌출편(830) 사이마다 상측진입홈(841)과 하측진입홈(842)이 형성되게 한 구조를 갖는다.
이를 통해, 타측유격제거체(800)는 그 형성된 상측진입홈(841)에 브레이싱바(100)인 관체의 타단 상측 쪽이 진입되어 끼움되고, 그 형성된 하측진입홈(842)에 상기 브레이싱바(100)인 관체의 타단 하측 쪽이 진입되어 끼움되게 제공한다.
특히, 타측고정몸체(700)의 중앙부 양단에 형성된 걸림홈(711,71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타측유격제거체(800)의 상측돌출편(810)에는 고정홈(843)을 형성하여, 그 형성된 고정홈(843)에 의해, 걸림돌기(811)가 돌출됨으로써, 그 형성된 고정홈(843)에 타측고정몸체(700)의 중앙부 쪽이 안치되고, 그 안치된 타측고정몸체(700)의 중앙부에 형성된 걸림홈(711)에 걸림돌기(811)가 걸려 고정되게 함으로써, 타측유격제거체(800)의 상부 쪽이 타측고정몸체(700)에 고정될 수 있게 제공한다.
한편, 브레이싱바(100)의 하단쪽 상하측이 타측유격제거체(800)에 의해 지지고정되는데, 브레이싱바(100)의 하단쪽 좌우측도 견고하게 고정시킬 경우 지진발생에 따른 지진파의 전달 시에도 유격의 발생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타측고정몸체(700)의 양측면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타측고정몸체(700)의 양측면에 각각 타측 보강용고정볼트(660)를 나사체결하면, 그 나사체결되는 타측 보강용고정볼트(660)의 끝단이 타측고정몸체(700)의 측면을 관통하여 브레이싱바(100)의 좌우 외측면을 가압 고정시켜준다.
이에 따라, 관체인 브레이싱바(100)의 하단쪽 상측 내외면 및 하측 내외면과 더불어 브레이싱바(100)의 좌우측면을 각각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지진파와 같은 외부충격의 전달 시에도 브레이싱바(100)의 하측 연결부위에서 유격의 발생을 차단시켜 주어, 브레이싱바(100)의 한쪽에 연결된 배관(P)이 지진파와 같은 외부충격에도 최대한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게 제공하여 준다.
상기 상측연결축(640)은 일측고정대(610)를 이루는 상측의 가장자리 부분, 타측고정대(620)를 이루는 상측의 가장자리 부분, 타측고정몸체(700), 타측유격제거체(800) 간을 연결시켜 일측고정대(610) 및 타측고정대(620)가 회동연결될 수 있게 안내하는 부재이다.
상기 하측 고정볼트(650)는 일측고정대(610)를 이루는 하측의 가장자리 부분 및 타측고정대(620)를 이루는 하측의 가장자리 부분을 연결고정시켜주는 부재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는 건물 내부의 벽체에 직접 고정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을 주로 참조하여, 일측고정몸체(200)를 벽체에 앙카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도 12를 주로 참조하여, 건축 내부의 구조물에 고정된 형강(S)에 일측고정몸체(200)가 고정연결되어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일측고정몸체(200)의 상부에는 형강(S)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구가 구비되어지고, 그 구비되어지는 고정구는 고정몸체(20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짐으로써, 다양한 방위에서 고정설치될 수 있게 제공한다.
여기서, 형강(S)의 종류에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T형강 또는 등변ㄱ형강, 부등변ㄱ형강, H형강, I형강, ㄷ형강, Z형강 등 다양한 종류의 형강(S)을 선택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을 주로 참조하여, 고정몸체(20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구는 형강(S)의 일측에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고정구에는 측부 걸이용 고리를 추가로 구비하여 형강(S)의 타측에 그 추가로 구비되는 측부 걸이용 고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형강(S)의 양측에 모두 걸림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형강(S)은 I형강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고정부 20 : 클램프
30,100 : 브레이싱바 40 : 조절부
200 : 일측고정몸체 210,710 : 배치공간
220 : 각도표시부 221 : 각도눈금
222 : 기준눈금 300 : 일측회동몸체
311,312,711,712 : 걸림홈 400 : 일측유격제거체
410,810 : 상측돌출편 411,811 : 걸림돌기
420,820 : 중측돌출편 430,830 : 하측돌출편
441,841 : 상측진입홈 442,842 : 하측진입홈
443,843 : 고정홈 510 : 연결축
521,522,630 : 이동방지용 원통체
610 : 일측고정대 620 : 타측고정대
640 : 상측연결축 650 : 하측 고정볼트
660 : 타측 보강용고정볼트 700 : 타측고정몸체
800 : 타측유격제거체

Claims (9)

  1. 관체의 브레이싱바와;
    건물 내부의 벽체 쪽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가 개방되어 배치공간이 형성된 일측고정몸체와;
    상기 일측고정몸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아 상기 일측고정몸체의 배치공간에 배치되는 일측회동몸체와;
    양측부를 각각 절개하여 상측돌출편, 중측돌출편 및 하측돌출편이 돌출되고, 상측진입홈 및 하측진입홈이 형성되며, 그 형성된 상측진입홈에 상기 일측회동몸체의 중앙부 및 상기 브레이싱바인 관체의 일단 상측 쪽이 진입되어 끼움되고, 그 형성된 하측진입홈에 상기 브레이싱바인 관체의 일단 하측 쪽이 진입되어 끼움되게 하는 일측유격제거체와; 상기 일측고정몸체, 상기 일측회동몸체 및 상기 일측유격제거체 간을 연결시켜 상기 일측고정몸체에 내재된 상기 일측회동몸체가 회동연결될 수 있게 안내하는 연결축과;
    상기 브레이싱바의 타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배관을 고정시키는 클램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회동몸체의 중앙부 양단 중 적어도 한쪽이 절개되어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유격제거체의 상측돌출편에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그 형성된 고정홈에 의해, 걸림돌기가 돌출됨으로써, 상기 고정홈에 상기 일측회동몸체의 중앙부 쪽이 안치되고, 그 안치된 일측회동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일측회동몸체와 상기 일측유격제거체 사이에는 한 쌍의 이동방지용 원통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 주변에 형성된 각도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5. 제1항에 있어서,
    끝단이 상기 일측회동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브레이싱바의 외측면을 가압고정시키는 일측 보강용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중앙부분이 상기 배관의 일측부에 접촉되고, 그 중앙부분에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돌출되는 일측고정대와;
    중앙부분이 상기 배관의 타측부에 접촉되고, 그 중앙부분에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돌출되되, 상기 일측고정대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과 대응되는 타측고정대와;
    상기 브레이싱바가 내재되게 내부에 배치공간이 형성된 타측고정몸체와;
    양측부를 각각 절개하여 상측돌출편, 중측돌출편 및 하측돌출편이 돌출되고, 상측진입홈 및 하측진입홈이 형성되며, 그 형성된 상측진입홈)에 상기 브레이싱바인 관체의 타단 상측 쪽이 진입되어 끼움되고, 그 형성된 하측진입홈에 상기 브레이싱바인 관체의 타단 하측 쪽이 진입되어 끼움되게 하는 타측유격제거체와;
    상기 일측고정대를 이루는 상측의 가장자리 부분, 상기 타측고정대를 이루는 상측의 가장자리 부분, 상기 타측고정몸체, 상기 타측유격제거체 간을 연결시켜 상기 일측고정대 및 상기 타측고정대가 회동연결될 수 있게 안내하는 상측연결축과;
    상기 일측고정대를 이루는 하측의 가장자리 부분 및 상기 타측고정대를 이루는 하측의 가장자리 부분을 연결고정시켜주는 하측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고정몸체의 중앙부 양단 중 적어도 한쪽이 절개되어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유격제거체의 상측돌출편에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그 형성된 고정홈에 의해, 걸림돌기가 돌출됨으로써, 상기 고정홈에 상기 타측고정몸체의 중앙부 쪽이 안치되고, 그 안치된 타측고정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걸림홈에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연결축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일측고정대를 이루는 하측의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타측고정대를 이루는 하측의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는 이동방지용 원통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9. 제6항에 있어서,
    끝단이 상기 타측고정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브레이싱바의 외측면을 가압고정시키는 타측 보강용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1020170014853A 2017-02-02 2017-02-02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101923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853A KR101923628B1 (ko) 2017-02-02 2017-02-02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853A KR101923628B1 (ko) 2017-02-02 2017-02-02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999A true KR20180089999A (ko) 2018-08-10
KR101923628B1 KR101923628B1 (ko) 2018-11-30

Family

ID=63229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853A KR101923628B1 (ko) 2017-02-02 2017-02-02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6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332B1 (ko) * 2018-12-13 2019-07-03 주식회사 선우엔지니어링 브레이스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KR20200033590A (ko)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정평이앤씨 배관 지지구조를 강화한 건물 배관 내진설계 지지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113B1 (ko) * 2020-04-29 2022-02-09 성화내진전착볼트 주식회사 가지배관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102413141B1 (ko) 2021-07-07 2022-06-27 성화내진전착볼트 주식회사 건물 천정에 구성되는 배관고정 클램프의 고정하우징 및 그 고정하우징을 이용한 배관고정 클램프의 고정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931B1 (ko) 2004-03-09 2006-04-07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상수 파이프 고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931B1 (ko) 2004-03-09 2006-04-07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상수 파이프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590A (ko) * 2018-09-20 2020-03-30 주식회사정평이앤씨 배관 지지구조를 강화한 건물 배관 내진설계 지지 구조물
KR101996332B1 (ko) * 2018-12-13 2019-07-03 주식회사 선우엔지니어링 브레이스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지지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628B1 (ko) 201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628B1 (ko)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CA2800397C (en) Hub with locking mechanism
KR101179962B1 (ko) 층간 화염 및 유독성가스 차단장치
US4697770A (en) Sway brace for piping
KR20190075265A (ko) 전산볼트용 내진 커플러
KR101330023B1 (ko) 덕트 클램프
US6508441B1 (en) Sway brace
KR102153214B1 (ko) 내진용 소방 배관 연결구
KR102520981B1 (ko) 배관설치를 위한 벽체용 슬리브
JP2019152265A (ja) 配管用固定型支持脚
KR101923631B1 (ko) 방화성능이 구비된 내진용 입상관 고정장치
JP2008045672A (ja) 防火アタッチメント
CN117859024A (zh) 设备出口盒
JP2017066752A (ja) 耐火被覆材及び耐火被覆材を備えた柱
KR101877724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KR101897170B1 (ko) 브레이싱바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20020057958A (ko) 라인용 안티 킹크 보호 장치
KR200488953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KR101897171B1 (ko)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 버팀대
JPH10253419A (ja) ガスメータ取付構造
KR20170121969A (ko) 방진 행거
KR101836391B1 (ko) 소음방지 및 층간화염 방지장치
KR20240058552A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0331763B1 (ko) 파이프배관용 엘보우
JP2002228049A (ja) 配管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