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171B1 -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 버팀대 - Google Patents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 버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171B1
KR101897171B1 KR1020160155637A KR20160155637A KR101897171B1 KR 101897171 B1 KR101897171 B1 KR 101897171B1 KR 1020160155637 A KR1020160155637 A KR 1020160155637A KR 20160155637 A KR20160155637 A KR 20160155637A KR 101897171 B1 KR101897171 B1 KR 101897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fastening
rod
rod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7238A (ko
Inventor
김대식
김상문
Original Assignee
김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문 filed Critical 김상문
Priority to KR1020160155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17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7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 버팀대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로드홀이 형성된 체결부재 및 상기 로드홀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체결부재 외부로 노출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가 건물 구조물에 체결될수록 상기 로드의 일측은 상기 로드홀로 이동하고 타측은 상기 체결부재 외부로 노출된다.

Description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 버팀대{tightening apparatus and supporter for prevent oscilla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 버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시공자가 체결장치 조임 정도, 특히 규정된 토크에 의해 체결장치가 정확하게 체결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 버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진 발생시 소방용 배관(이하 배관이라 함)(가스, 소방수, 상수도, 하수도 등의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배관)이 건축 구조물과 별개로 흔들릴 경우 배관 연결부위 파손 및 스프링쿨러 헤드가 건축 구조물의 충격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이에, 국민안전처 소방제도과에서 제정 발효(2016.01.25.)된 소방시설의 내진설계에 관한 법률에 의거 배관을 지진에 대비해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이용하여 건축 구조물과 연결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흔들림 방지 버팀대는 건축 구조물과 연결되는 고정 브래킷 및 일측이 고정 브래킷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클램프를 통해 배관과 연결된 브레이싱바를 포함한다.
고정 브래킷과 건축 구조물, 고정 브래킷과 브레이싱바는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시공자가 볼트의 조임 정도, 특히 규정된 토크에 의해 볼트가 정확하게 결합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1755호 (2016.05.24.)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치 시 브레이싱바 고정용 브래킷과 건축 구조물, 브레이싱바 고정용 브래킷과 브레이싱바를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결합할 때 시공자가 체결장치의 조임 정도 및 규정된 토크로 정확하게 결합하였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로드홀이 형성된 체결부재 및 상기 로드홀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체결부재 외부로 노출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가 건물 구조물에 체결될수록 상기 로드의 일측은 상기 로드홀로 이동하고 타측은 상기 체결부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로드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로드홀에 배치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체결부재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될수록 상기 로드홀로 삽입되는 접촉부 및 상기 몸체부 타측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될수록 상기 체결부재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와 상기 표시부의 직경은 상기 로드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접촉부의 직경은 상기 몸체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로드홀의 직경보다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표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표시홈의 둘레는 채색될 수 있다.
상기 표시홈의 채색은 축광안료 또는 글라스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비드는 30 내지 70㎛의 평균입자 직경을 갖는 구형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용 버팀대는 전술한 체결장치, 건물 구조물과 연결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조절부, 일측이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배관과 연결될 수 있는 브레이싱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장치의 체결부재가 브레이싱바 고정용 브래킷 에 체결됨에 따라 로드의 타측에 형성된 표시부가 체결부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표시부의 노출로 시공감독 및 시공자가 체결부재의 조임 상태가 규정된 토크에 의해 정확한 시공(조임) 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홈의 축광안료 또는 글라스비드에 의해 표시부의 시인성이 향상되어 육안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의 체결장치의 표시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체결장치로 브레이싱바가 브래킷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로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1의 체결장치가 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도 6의 브레이싱바 고정용 브래킷 확대도.
도 9은 도 8의 단면도.
도 10는 도 1의 체결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11 내지 16은 흔들림 방지 버팀대에 적용된 체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17은 도 6의 브래킷과 다른 구조의 브래킷과 브레이싱바가 브래킷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로 나타낸 개략도.
도 18 및 도 19는 도 17의 브래킷에 적용된 흔들림 방지 버팀대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체결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체결장치의 표시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체결장치로 브레이싱바가 브래킷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로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7은 도 1의 체결장치가 흔들림 방지 버팀대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6의 브레이싱바 고정용 브래킷 확대도이며, 도 9은 도 8의 단면도이고, 도 10는 도 1의 체결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장치(20)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로드홀(221)이 형성된 체결부재(21) 및 로드홀(221)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체결부재(21) 외부로 노출된 로드(22)를 포함한다. 체결부재(21)가 건물 구조물에 체결될수록 로드(22)의 일측은 로드홀(211)로 이동하고 타측은 체결부재(21) 외부로 노출된다.
로드(2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로드홀(221)에 배치된 몸체부(221), 몸체부(221) 일측과 연결되어 체결부재(21)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체결부재(21)가 체결될수록 로드홀(221)로 삽입되는 접촉부(222) 및 몸체부(221) 타측과 연결되어 있고 체결부재(21)가 체결될수록 체결부재(21)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부(223)를 포함하며, 몸체부(221)와 표시부(223)의 직경은 로드홀(211)의 직경보다 작고, 접촉부(222)의 직경은 몸체부(223)에서 멀어질수록 로드홀(211)의 직경보다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표시부(223)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표시홈(223a)이 형성되어 있고 표시홈(223a)의 둘레는 채색될 수 있다. 표시홈(223a)의 채색은 축광안료 또는 글라스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비드는 30 내지 70㎛의 평균입자 직경을 갖는 구형입자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체결장치가 적용된 흔들림 방지 버팀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방지 버팀대(3)는 브레이싱바(302), 브레이싱바 고정용 브래킷(이하, 고정 브래킷이라 함)(301) 및 체결장치(20)를 포함하며 체결장치(20)의 조임 정도 및 규정된 토크로 정확하게 결합하였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브레이싱바(30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의 단면은 원형 또는 사각 모양일 수 있다. 브레이싱바(302)의 일측은 고정 브래킷(301)을 통해 건물 구조물(이하, 형강이라 함)(2)과 연결되고 타측은 배관(1)을 감싸는 클램프(303)를 통해 배관(1)과 연결되어 있다. 클램프(303)는 배관(1)의 단면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 브래킷(301)에 대해서 설명한다.
고정 브래킷(301)은 고정부(10), 조절부(30), 연결축(40) 및 각도 표시부(50)를 포함하며 브레이싱바(302)를 형강(2)에 고정하는 동시에 각도 측정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설치 각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10)는 형강(2)에 설치된다. 형강(2)은 등변ㄱ형강, 부등변ㄱ형강, H형강, I형강, ㄷ형강, Z형강, T형강 등일 수 있다. 고정부(10)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배치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0)의 일측 모서리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고정부(10) 일측에는 고정 관통홀(11)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0)에는 형강(2)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형강 삽입홀(13)이 형성되어 있다. 형강 삽입홀(13)은 배치공간(12)과 연결되어 있고 둘레에는 형강(2)과 접하는 요철(14)들이 형성되어 있다. 요철(14) 들은 형강(2)과의 접촉력이 증대되도록 한다. 형강 삽입홀(13)의 모양은 형강(2)의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고정부(10)의 타측면에는 배치공간(12)과 연결된 체결홀(15)이 관통되어 있고, 체결홀(15)의 둘레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장치(20)는 체결홀(15)에 체결되어 있으며 고정부(10)를 형강(2)에 고정한다. 체결장치(20)는 체결부재(21) 및 로드(22)를 포함한다.
체결부재(21)는 볼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결홀(15)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볼트에 머리부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머리부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볼트에 육각홈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21)의 일측은 배치공간(12)에 위치하여 형강(2)과 간격을 두고 마주할 수 있다. 그러나 체결부재(21)는 체결홀(15)에 체결됨에 따라 형강(2) 방향으로 이동하여 형강(2)과 접할 수 있다. 체결부재(21)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로드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로드홀(211)의 직경은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로드(22)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로드홀(211)에 배치되어 있으며 몸체부(221), 접촉부(222) 및 표시부(223)를 포함한다.
몸체부(221), 접촉부(222) 및 표시부(223)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부(221)와 표시부(223)는 로드홀(211)에 위치하고 접촉부(222)는 체결부재(21) 일측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접촉부(222)의 끝 부분은 형강(2)과 접할 수 있다. 접촉부(222)는 체결부재(21)가 형강(2) 방향으로 이동하면 로드홀(2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표시부(223)는 체결부재(21)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몸체부(221)와 표시부(223)의 둘레 직경은 동일하며 로드홀(211)의 직경보다 작다. 접촉부(222)는 몸체부(221)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증가한다. 접촉부(222)의 증가하는 직경은 로드홀(211)의 직경보다 크다.
표시부(223)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함몰된 표시홈(223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표시홈(223a)의 둘레는 채색되어 있다. 표시홈(223a)의 채색은 축광안료 또는 글라스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222)와 로드홀(211)의 직경 차이로 체결부재(21)에 기설정된 토크를 가해야 한다. 토크는 20 내지 40ft/1bs일 수 있다. 바람직한 토크는 34ft/1bs일 수 있다. 토크가 20ft/1bs 미만인 경우 체결부재(21)의 단부가 접촉부(222)에 걸려 체결부재(21)가 체결되지 않는다. 이에 체결부재(21) 체결(조임)시 기설정된 이상 토크를 가해야지만 접촉부(222)는 체결부재(21)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표시부(223)는 체결부재(21)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체결부재(21)가 완전하게 체결되면 표시부(223)의 표시홈(223a) 또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접촉부(222)의 직경이 로드홀(211)의 직경보다 크므로 접촉부(222)가 로드홀(211)의 둘레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로드(22)는 체결부재(21)의 머리부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는다.
체결장치(20)는 가압패널(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패널(23)은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배치공간(12)에 배치된 상태에서 양측이 형강 삽입홀(13)에 위치한다. 가압패널(23)은 체결부재(21)와 단부 결합되어 있다. 가압패널(23)은 체결부재(21)의 체결에 따라 형강(2)을 가압할 수 있다. 아울러, 체결부재(21) 단부는 가압패널(23)을 관통하여 형강(2)과 접할 수 있다.
조절부(30)는 고정부(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다. 조절부(30)의 일측에는 브레이싱바(302)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브레이싱바 삽입홀(31)이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싱바 삽입홀(31)을 기준으로 조절부(30)의 일측 일부분은 브레이싱바(30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조절부(30)의 일측은 보강리브(32)로 보강되어 있다. 이에 조절부(30)의 일측 두께는 타측보다 두껍다. 조절부(30)의 일측에는 브레이싱바 삽입홀(31)과 연통되어 있고 나사를 가지는 체결홀(33)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홀(33)에는 체결장치(20)가 결합되어 있다. 브레이싱바(302)는 체결장치(20)에 의해 조절부(30)에 고정된다.
조절부(30)의 타측은 배치공간(12)에 위치하여 고정부(10) 일측과 중첩되어 있다. 조절부(30)의 외부 둘레와 배치공간(12)의 둘레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관통홀(11)과 중첩된 조절부(30) 부분에는 고정 관통홀(11)과 연통된 조절 관통홀(34)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40)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외부 둘레 직경은 고정 관통홀(11) 및 조절 관통홀(34)의 직경보다 작다. 연결축(40)은 고정 관통홀(11) 및 조절 관통홀(34)을 관통하며 조절부(30)와 고정부(10)를 회전할 수 있게 연결한다. 조절부(30)와 고정부(10)는 연결축(40)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축(4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연결축(40)은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며, 고정 관통홀(11) 및 조절 관통홀(34)을 관통한 볼트가 너트와 결합될수록 틈새가 좁혀져 조절부(30) 외부 둘레와 배치공간(12)의 둘레가 접하여 고정된다. 고정된 고정부(10)와 조절부(30)는 연결축(40)을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연결축(40)의 볼트와 너트가 헐겁게 체결된 상태에서 조절부(30)와 고정부(10)는 연결축(4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고정부(10)가 형강(2)에 고정되면 조절부(30) 만 연결축(4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각도표시부(223)는, 각도눈금(51) 및 기준눈금(52)을 포함하며, 연결축(40)을 기준으로 조절부(30)의 회전 각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각도눈금(51)은 고정 관통홀(11) 주변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각도눈금(51)의 배열각도(R)는 15˚이다. 그러나 각도눈금(51)의 배열각도는 설치 장소 및 설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각도눈금(51)은 고정 관통홀(11) 종 방향 가상 중심선(11c)을 기준으로 고정부(10) 일측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다. 각도눈금(51)은 음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기준눈금(52)은 조절 관통홀(34)과 이웃하여 고정부(10)와 중첩되지 않은 조절부(30) 타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기준눈금(52)은 조절 관통홀(34) 횡 방향 가상 중심선(34c)과 일치한다. 기준눈금(52)은 음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기준눈금(52)은 조절부(30)가 회전할 때 각도눈금(51) 중 어느 한 눈금과 일치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현장에서 각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조절부(30)가 고정부(10)와 이루는 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각도눈금(51)과 기준눈금(52)에는 축광안료 또는 글라스비드 등이 도포될 수 있다. 축광안료 또는 글라스비드를 통해 어두운 작업 환경에서도 조절부(30)의 각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브레이싱바(302)와 조절부(30)가 체결장치(2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브레이싱바(302)는 조절부(30)와 동일하게 고정부(10)와 기설정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 브래킷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연결축(40)이 헐겁게 결합된 상태에서 배관(1)과 이웃한 형강(2)에 고정부(10)를 위치시켜 형강 삽입홀(13)에 형강(2)을 위치시킨다. 가압패널(23)은 형강(2)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고 접촉부(222)는 체결부재(2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체결장치(20)의 체결부재(21)를 조이는 방향으로 체결하면 접촉부(222) 단부는 형강(2)과 접하며 체결부재(21)를 지속적으로 조이면 체결부재(21)가 형강(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접촉부(222)는 체결부재(21) 내부로 점진적으로 삽입되고 이와 비례하여 표시부(223)는 체결부재(21) 외부로 노출된다. 표시부(223)의 노출로 표시홈(223a)이 체결부재(21) 외부로 노출된다. 표시홈(223a)의 노출로 체결부재(21)의 체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가압패널(23)은 형강(2)을 가압할 수 있다. 그러나 체결부재(21) 단부가 형강(2)을 직접 가압할 수 있다.
체결부재(21) 체결 시 기설정된 이상(20ft/1bs)의 토크를 가해야지 체결부재(21)는 형강(2) 방향으로 이동하고 표시부(223)는 로드홀(211)로 이동할 수 있다. 체결부재(21) 단부 또는 가압패널(23)이 형강(2)에 접하게 되면서 고정부(10)는 형강(2)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배관(1)을 감싸 고정하는 클램프(303)가 결합된 브레이싱바(302)를 체결장치(20)를 이용하여 조절부(30)에 고정한다.
배관(1)의 위치에 맞춰 연결축(40)을 기준으로 조절부(30)를 회전시킨다. 이때 각도 표시부(50)의 각도눈금(51)과 기준눈금(52)을 확인하면서 조절부(30)의 각도를 조절한다. 각도 표시부(50)에 의해 작업자는 각도 측정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부(10)를 기준으로 조절부(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30)의 각도가 조절되면 연결축(40)을 조여 조절부(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부(10)와 고정한다. 클램프(303)를 배관(1)에 결합하여 배관(1)이 형강(2)에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흔들림 방지용 버팀대(3)에 의해 배관(1)과 형강(2)이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 배관은 형강과 일체거동된다. 이에 배관에 가해지는 진동을 저감시키고 충격에너지를 소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이상의 토크를 체결부재(21)에 가하면 접촉부(222)가 체결부재(21) 내부로 이동하고 표시부(223)는 체결부재(21)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시공감독 및 시공자가 체결부재의 조임 상태가 규정된 토크에 의해 정확한 시공(조임) 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체결장치(20)는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한 다양한 형태의 흔들림 방지 버팀대에 적용되어 시공감독 및 시공자가 체결부재의 조임 상태가 규정된 토크에 의해 정확한 시공(조임) 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 형태의 브레이싱바 삽입홀을 갖는 고정 브래킷에 적용될 수 있다. 브레이싱바(302)의 적어도 일부분이 브레이싱바 삽입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도 18 및 도 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장치(20)가 고정 브래킷의 양측에서 브레이싱바 삽입홀에 삽입된 브레이싱바를 고정할 수 있다.
참고로 위 설명과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체결장치(20)가 고정부(10)와 형강(2)을 브레이싱바(301)와 조절부(30)를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체결장치(20) 적용분야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즉, 위 실시예에서의 형강은 제1 부재에 해당하고 고정 브래킷은 제2 부재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고정 브래킷과 형강을 연결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두 개의 대상물을 고정하고 고정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배관 2: 건물 주조물(형강)
3: 흔들림 방지 버팀대
301: 브레이싱바 고정용 브래킷(고정 브래킷)
10: 고정부 11: 고정 관통홀
12: 배치공간 13: 형강 삽입홀
14: 요철 15: 체결홀
20: 체결장치 21: 체결부재
211: 로드홀 22: 로드
221: 몸체부 222: 접촉부
223: 표시부 223a: 표시홈
23: 가압패널 30: 조절부
31: 브레이싱바 삽입홀 32: 보강리브
33: 체결홀 34: 조절 관통홀
34c: 횡 방향 가상 중심선 40: 연결축
50: 각도 표시부 51: 각도눈금
52: 기준눈금 302: 브레이싱바
303: 클램프

Claims (6)

  1.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로드홀이 형성된 체결부재 및
    상기 로드홀에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체결부재 외부로 노출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가 건물 구조물에 체결될수록 상기 로드의 일측은 상기 로드홀로 이동하고 타측은 상기 체결부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로드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로드홀에 배치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체결부재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될수록 상기 로드홀로 삽입되는 접촉부 및 상기 몸체부 타측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될수록 상기 체결부재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표시부의 직경은 상기 로드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접촉부의 직경은 상기 몸체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로드홀의 직경보다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표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표시홈의 둘레는 채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홈의 채색은 축광안료 또는 글라스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비드는 30 내지 70㎛의 평균입자 직경을 갖는 구형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6. 제1항에 정의되어 있는 체결장치,
    건물 구조물과 연결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된 조절부,
    일측이 상기 조절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배관과 연결될 수 있는 브레이싱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 방지용 버팀대.
KR1020160155637A 2016-11-22 2016-11-22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101897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637A KR101897171B1 (ko) 2016-11-22 2016-11-22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 버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637A KR101897171B1 (ko) 2016-11-22 2016-11-22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 버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238A KR20180057238A (ko) 2018-05-30
KR101897171B1 true KR101897171B1 (ko) 2018-09-12

Family

ID=62299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637A KR101897171B1 (ko) 2016-11-22 2016-11-22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 버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1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2608B2 (ja) * 1996-02-26 2001-04-03 三洋電機株式会社 除湿乾燥装置
US20140013577A1 (en) * 2011-05-31 2014-01-16 Cooper B-Line, Inc. Sway Brace Attach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3555A (ko) * 2006-11-14 2008-05-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볼트
JP3152608U (ja) * 2009-05-26 2009-08-06 イーグルクランプ株式会社 ネジ式クランプ
KR200485852Y1 (ko) 2016-04-20 2018-03-06 김대식 내진 흔들림 방지버팀대
KR20160002992U (ko) * 2016-08-10 2016-08-30 김대식 내진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2608B2 (ja) * 1996-02-26 2001-04-03 三洋電機株式会社 除湿乾燥装置
US20140013577A1 (en) * 2011-05-31 2014-01-16 Cooper B-Line, Inc. Sway Brace Attach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238A (ko)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05683C (en) Hydrant cap leak detector with oriented sensor
US8726607B1 (en) Sway brace assembly and method of restraining pipe relative to a building structure
US9383039B2 (en) Pipe brace
KR101923628B1 (ko)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101897170B1 (ko) 브레이싱바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20190075265A (ko) 전산볼트용 내진 커플러
KR101897171B1 (ko)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흔들림 방지 버팀대
EP3187765B1 (en) Liquid pipe connection universal joint and liquid-processing equipment using same
JP2007277963A (ja) クランプ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パイプ結合具
KR101702951B1 (ko) 다차로 도로구조물 연결장치
US7523895B1 (en) Sway brace and method for securing a pipe or conduit against sway
KR101834633B1 (ko) 흔들림 방지 버팀장치
JP2003106478A (ja) 管路における不平均力の支持装置
JP2015080544A (ja) 消火栓装置
KR20210001448A (ko) 소방내진 버팀대
JP2016217516A (ja) 建築構造物の既存設備補強構造
JP5918962B2 (ja) ガスメータの取付け構造
CN216307052U (zh) 可调角度支管连接装置
CN216382888U (zh) 一种结构梁板套管端部防火防水密封组件
JPS61124837A (ja) 高精度リ−ク検出装置
JP6809990B2 (ja) マニホールド型流体制御装置
JP4577646B2 (ja) スプリンクラー装置
CN206902943U (zh) 用于抗震斜杆焊接生根的销孔连接件及其组件
JP2009138336A (ja) 仮設建築物用パイプクランプ及び仮設建築物用パイプ連結装置
JPH052403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