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724B1 -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 Google Patents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724B1
KR101877724B1 KR1020170012779A KR20170012779A KR101877724B1 KR 101877724 B1 KR101877724 B1 KR 101877724B1 KR 1020170012779 A KR1020170012779 A KR 1020170012779A KR 20170012779 A KR20170012779 A KR 20170012779A KR 101877724 B1 KR101877724 B1 KR 101877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elastic
fixing bracket
fastening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기수
Original Assignee
신영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는 옥내소화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함과 도어 프레임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벽체에 매립되는 내함과, 내함의 전방 측에 배치되는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을 내함에 결합하기 위한 고정브라켓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고정브라켓을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 조립하는 옥내소화전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볼트가 관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주변에는 볼트의 직경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이루어져 볼트와 맞물려 체결되는 복수의 탄성부를 구비한 체결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Indoor fire hydrant with improved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는 옥내소화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함과 도어 프레임과의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전(fire hydrant)은 소화 호스를 장치하기 위하여 상수도의 급수관에 설치하는 시설로서, 특히 옥내 소화전은 건물 안에 설치한 소화전을 말하며, 화재 초기에 소방대상물의 거주자가 소화전에 비치되어 있는 호스 및 노즐을 이용하여 소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설비이다.
이러한, 옥내소화전에는 벽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소화배관과 소화호스 및 노즐 등이 수납되는 내함과, 상기 내함의 전방에 설치되어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소화전 표시등 경보벨, 펌프가동 표시등 및 수동조작버튼과 같은 소방법규에 규정된 소방기구들이 부착되는상부 도어와, 소화전임을 알리는 명판과 사용요령이 표기된 소화전 표지판이 부착되어 있는 하부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옥내소화전은 내함을 벽체 내에 가설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따라 옥내소화전 설치가 가능한 공간이 상기 내함에 의해 벽체에 확보되고, 상기와 같이 벽체에 내함을 매설하여 확보되어진 공간으로 위치한 소화배관에 소화호스 및 소화호스에 연결되는 노즐 등을 연결 설치한 후, 도어프레임을 내함에 조립하여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옥내소화전에 있어서 도어프레임을 내함의 전면부에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주로 용접에 의한 고정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도어프레임을 내함에 용접으로 고정할 경우, 내함이 벽체에 매설되어 상태에서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게 때문에 용접을 위한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용접에 따른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렇게 용접 작업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인건비의 상승이 초래되어 소화전 시공에 따른 전체 시공비를 줄이는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내함에 도어프레임을 용접할 경우 용접시 발생하는 용접 불똥 등에 의한 안전사고가 유발됨은 물론 소화전 유지보수시 도어프레임이 내함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 즉, 좁은 공간에서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종래의 또 다른 옥내소화전 구조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10) 내에 매립된 내함(20)에 도어프레임(30)을 현장 설치함에 있어, 상기 내함(20)의 일측에 고정브래킷(40)을 지지한 상태에서 볼트(50)를 도어프레임(30)과 고정브래킷(40)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너트(60)로 결합하는 체결방식을 채택하여 종래의 용접방식에 의한 작업성 저하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정브래킷(40)을 이용한 체결방식 또한 도어프레임(30)을 고정브래킷(40)을 이용하여 내함(20)에 체결할 경우 도어프레임(30)과 고정브래킷(40)을 관통한 볼트(50)의 끝단 부분에 너트(60)를 체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내함(20)의 협소한 내부공간으로 손을 집어넣어 불완전한 자세에서 볼트(50) 끝단에 너트(60)를 일일이 조여서 체결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어, 결국 전체 시공비를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9174호(2006.06.12)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볼트가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부분에 볼트의 간섭에 의해 신축 변형되며 볼트와 맞물리는 복수의 탄성부가 구비된 체결부재를 고정 설치하여 볼트의 체결작업시 체결부재에 구비된 복수의 탄성부 사이로 볼트를 밀어 넣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내함과 도어프레임의 조립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에 매립되는 내함과, 내함의 전방 측에 배치되는 도어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을 내함에 결합하기 위한 고정브라켓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고정브라켓을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 조립하는 옥내소화전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볼트가 관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 주변에는 볼트의 직경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이루어져 볼트와 맞물려 체결되는 복수의 탄성부를 구비한 체결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는 복수의 탄성부의 신축작용을 통해 개구부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브라켓 상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에는 개구부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복수의 탄성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탄성부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볼트의 주위를 원 구조를 이루며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각 탄성부의 내면에는 볼트의 수나사부와 각각 맞물릴 수 있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탄성부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개구부 주위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탄성부 및 제2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의 내측에는 개구부를 관통한 볼트의 수나사부와 각각 맞물리는 다수의 이를 갖는 치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의 각 치면 사이가 이루는 간격은 볼트의 수나사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치면은 볼트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원통 면 형상을 갖는 다수의 이가 서로 평행을 이루며 배열된 원호 형상의 치면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는 각 외면 사이가 볼트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에는 지지부의 반대편 위치에서 개구부 주변의 고정브라켓 상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에는 수나사부와 볼트의 헤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나사부의 직경보다 큰 매끈한 형태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간격유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체결부재가 고정브라켓에 체결된 이후, 상기 제1 및 제2탄성부의 걸림부와 고정브라켓 사이에는 유동방지부재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과 대면하는 지지부 부분에는 영구자석이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내소화전의 내함과 도어프레임의 조립구조에 따르면, 도어프레임을 내함에 조립할 경우 작업자가 도어프레임의 외측에서 볼트를 도어프레임에 관통시켜 체결부재의 탄성부 사이로 밀어넣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볼트와 체결부재와의 체결이 완료될 수 있기 때문에 내함과 도어프레임의 조립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인건비의 상승이 억제되어 옥내소화전의 전체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고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의 탄성부 외면에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를 개구부 내에 삽입하여 고정브라켓에 결합하는 경우 탄성부의 경사면 부분이 개구부의 내측과 간섭되며 탄성부의 변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통해 개구부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브라켓상에 체결부재의 체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에 볼트의 체결작업이 완료된 이후, 탄성부의 걸림부와 고정브라켓 사이에 형성된 유격공간 내에 유동방지부재를 끼워 결합함에 따라, 볼트가 체결부재에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유동방지부재에 의해 양측 탄성부가 내외측으로 신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아울러, 체결부재가 헐거워져 흔들거리거나 덜렁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프레임과 내함의 견고한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고정브라켓과 대면하는 체결부재의 지지부 부분에 영구자석을 매립하여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지지부를 고정브라켓 면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롬 함으로써 체결부재가 고정브라켓에 결합된 상태에서 흔들거리거나 덜렁거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와 같이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체결부재의 지지부가 고정브라켓 상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의 걸림부와 고정브라켓 사이에 유동방지부재가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는 상하 폭으로 유격공간이 자연적으로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유격공간 내부로 유동방지부재를 끼워 결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유동방지부재를 결합하기 전에 사용자가 상기 유동방지부재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유격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브라켓과 체결부재 부분을 손으로 잡고 일일이 벌리면서 작업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 없기 때문에 조립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옥내소화전에 있어서 도어프레임이 고정브라켓을 통해 내함에 조립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옥내소화전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어프레임이 볼트 및 체결부재를 통해 내함에 조립된 단면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재의 구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개구부에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고정브라켓에 결합된 체결부재에 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체결부재에 볼트가 체결된 이후 체결부재와 고정브라켓 사이에 유동방지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체결부재와 고정브라켓 사이에 유동방지부재가 끼워져 결합된 단면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체결부재의 지지부에 매립된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지지부가 고정브라켓에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옥내소화전의 조립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옥내소화전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어프레임이 볼트 및 체결부재를 통해 내함에 조립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옥내소화전은, 건물의 벽체(102)에 매립되는 내함(110)과, 내함(110)의 전면부에 조립되는 도어프레임(120)과, 내함(110)의 상부공간(114)과 하부공간(116)을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프레임(120)에 각각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도어(120a) 및 하부 도어(1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하부 도어(120a,120b)는 각각 경첩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도어프레임(120)에 체결되고, 상기 상,하부 도어(120a,120b)와 도어프레임(120)의 서로 맞닿는 부분에는 상,하부 도어(120a,120b)을 닫아둘 경우 쉽게 열리지 않도록 걸림장치(미도시)가 장착된다.
내함(110)은 건물의 벽체(102)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공간인 개구부(104)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소정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내함(110)의 내부는 격판(112)으로 구획된 상부공간(114)과 하부공간(116)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상부공간(114)에는 위치표시등, 경종, 발신기 등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공간(116)에는 앵글밸브, 호스, 관창 등이 설치된다.
한편, 상,하부 도어(120a,120b)가 장착되는 도어프레임(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함(110)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고정브라켓(130)과 볼트(150) 및 체결부재(140)를 통해 내함(110)과 조립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브라켓(130)은 도어프레임(120)과 내함(110)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 다수의 개소에 투입되어 볼트(150) 및 체결부재(140)를 통해 도어프레임(120)과 체결된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130)은 직사각형 형태의 철판을 다수 회 절곡시켜 제작한 것으로서, 절곡된 제1면(130a)은 체결부재(140)와 결합되어 볼트(150)를 통해 도어프레임(120)과 상호 결합되고, 제2면(130b) 및 제3면(130c)은 내함(110)의 전면부에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절곡단(117)의 내측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제1면(130a) 부분에는 체결부재(140)가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 개구부(132)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어프레임(120)을 내함(110)의 전면부에 조립하게 될 경우, 도 3과 같이 도어프레임(120)을 내함(110)의 전방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체결부재(140)가 결합되어 있는 고정브라켓(130)의 제2면(130b)과 제3면(130c)을 내함(110) 전면부에 형성된 절곡단(117)의 안쪽에 맞대어 거치시킨 다음, 도어프레임(120)의 플랜지(122)에 형성된 체결공(141a)에 고정브라켓(130)의 제1면(130a)에 결합된 체결부재(140)의 체결공(141a)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122)의 외측에서 양측 체결공(141a) 내부로 볼트(150)를 관통 삽입시켜 밀어 넣는 과정을 통해 볼트(150)가 체결부재(140)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도어프레임(120)과 내함(110)이 상호 조립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볼트(150)가 체결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130)의 제1면(130a) 부분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40)의 구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40)는 서로 동일한 형상 구조를 이루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탄성부(142a,142b)와, 상기 한 쌍의 탄성부(142a,142b)가 지지되는 지지부(141)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탄성부(142a,142b)와 지지부(141)는 하나의 플라스틱 구조물을 이루도록 일체로 성형 제작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141)는 직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는 볼트(1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공(14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탄성부(142a,142b), 즉, 제1탄성부(142a) 및 제2탄성부(142b)는 지지부(141)의 중앙에 형성된 체결공(141a)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상에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어, 외력이 가해지게 되는 경우 안쪽 또는 바깥쪽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2탄성부(142a,142b)의 안쪽에는 상기 지지부(141)의 체결공(141a)을 통해 관통 삽입된 볼트(150)의 외면과 상호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요철 구조를 갖는 치면(143a,143b)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2탄성부(142a,142b)의 안쪽에 형성된 각각의 치면(143a,143b)은 볼트(150)의 외주면, 즉 수나사부(152)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 면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 면 형태의 치면(143a,143b)에 원호 형상을 갖는 다수의 이(143)가 볼트(150)의 수나사부(152) 나사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상하로 배열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제2탄성부(142a,142b)의 바깥쪽 외면은 개구부(132) 내부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각 외면 사이의 간격이 볼트(15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도록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며 기울어진 형태의 경사면(144)으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141)와 인접한 상기 경사면(144)의 단부에는 상기 제1,2탄성부(142a,142b)가 개구부(132) 부분에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130) 부분에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안쪽 방향으로 단차진 형태의 걸림부(145)가 형성된다.
도 5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체결부재(140)가 고정브라켓(130)의 개구부(132)를 통해 압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이 체결부재(140)에 있어서 제1,2탄성부(142a,142b) 사이가 이루는 최대 간격 폭은 고정브라켓(130)에 형성된 개구부(132)의 폭(A2)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제1,2탄성부(142a,142b) 사이에 신축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제1,2탄성부(142a,142b)가 개구부(132) 내로 삽입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체결부재(14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1,2탄성부(142a,142b) 사이에 탄성 변형에 따른 신축작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부재(140)의 제1,2탄성부(142a,142b) 단부를 개구부(132) 부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힘을 주어 안쪽으로 밀게 되면 제1 및 제2탄성부(142a,142b)가 각 외면에 형성된 경사면(144)에 의해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개구부(132)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브라켓(13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정브라켓(130) 상에 체결부재(140)의 결합이 완료된 경우에는 개구부(132)보다 큰 면적을 갖는 지지부(141)는 상기 개구부(132)를 통과하지 못하고 고정브라켓(130)의 일측 면에 지지되고, 제1,2탄성부(142a,142b)에 형성된 걸림부(145) 부분은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타측 면에 걸려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체결부재(140)는 고정브라켓(130)으로부터 자발적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도 6은 상기와 같이 고정브라켓(130)의 개구부(132) 주변에 체결부재(14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140) 내부로 볼트(15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도 6에서는 편의상 볼트와 체결부재 만의 결합을 도시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트(150)의 수나사부(152)의 직경(D1)은 체결부재(140)의 제1,2탄성부(142a,142b) 간에 형성된 간격(D2)보다 크기 때문에, 만일 제1,2탄성부(142a,142b) 간에 신축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상기 제1,2탄성부(142a,142b) 사이로 볼트(150)의 삽입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체결부재(140)에 구비되는 제1,2탄성부(142a,142b)는 볼트(150)의 직경방향으로 탄성 변형에 의한 신축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6에서와 같이 볼트(150)가 체결부재(140)의 체결공(141a)을 통해 제1,2탄성부(142a,142b) 사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2탄성부(142a,142b)가 볼트(150)의 단부와 간섭되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볼트(150) 외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52)가 제1,2탄성부(142a,142b)의 내측에 형성된 양측 치면(143a,143b)의 이(143)와 단계적으로 맞물리는 과정을 통해 상기 볼트(150)가 체결부재(140)와 용이하게 체결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150)를 고정브라켓(130) 상에 결합된 체결부재(140)의 체결공(141a) 내부로 밀어 넣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 볼트(150)를 체결부재(140)와 체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어프레임(120)과 내함(110)의 조립을 위한 볼트(150) 체결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140)와 상호 체결이 이루어지는 볼트(150)는 상기한 실시 예 형태와 달리 몸체의 외주면 전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몸체의 일부분에만 수나사부가 형성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나사부가 형성되지 않는 볼트 몸체의 다른 부분은 외주면이 매끈한 원형 곡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볼트(150)에 있어서 한쪽 끝단부에 형성된 헤드와, 이 헤드의 반대편 끝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 사이에 상기 볼트(150)가 체결부재(140)에 체결될 경우 지지부(141)에 형성된 체결공(141a)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체결공(141a) 주변의 지지부(141) 상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수나사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외주면을 갖는 간격유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재(140)의 체결공(141a) 직경은 볼트(150)의 수나사부 직경보다는 크고 상기 간격유지부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됨에 따라, 볼트(150)의 수나사부는 상기 체결공(141a)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한편 상기 큰 직경을 이루어진 간격유지부 부분은 상기 체결공(141a) 내부로 삽입되지 못하고 체결공(141a) 주변의 지지부(141) 상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150)에 형성된 간격유지부가 체결공(141a)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체결공(141a) 주변의 지지부(141) 면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도어프레임(120)의 플랜지(122)와 고정브라켓(130)의 제1면(130a) 사이에 이루는 간격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도어프레임(120)과 내함(110)을 고정브라켓(130)을 이용하여 여러 개소에서 조립하게 될 경우, 어떠한 개소에서 볼트(150)가 더 체결되거나 덜 체결되는 등의 편차발생 없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체결력으로 체결될 수 있어서 도어프레임(120)과 내함(110) 간의 조립 오차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볼트(150)가 체결부재(140)에 체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체결부재(140)는 제1,2탄성부(142a,142b)의 걸림부(145)와 지지부(141)가 반대편 위치에서 개구부(132) 주변의 고정브라켓(130)과 맞물려 결합력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2탄성부(142a,142b)의 걸림부(145)와 고정브라켓(130) 사이에는 제1,2탄성부(142a,142b)의 신축변형을 가능케 하는 일정 폭의 유격공간(SP)이 존재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체결부재(140)는 상기 유격공간(SP)의 형성으로 인해 고정브라켓(130) 상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거리게 되는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부재(140)의 유동을 방지하고자 체결부재(140)와 고정브라켓(130) 사이에 별도의 유동방지부재(160)를 설치함으로써 체결부재(140)의 유동에 따른 도어프레임(120)의 흔들거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상기와 같이 체결부재(140)에 볼트(150)가 체결된 이후 체결부재(140)와 고정브라켓(130) 사이에 유동방지부재(160)가 끼워져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30)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부재(140)에 볼트(150)의 체결작업이 완료된 다음, 체결부재(140)의 제1,2탄성부(142a,142b)에 형성된 걸림부(145)와 이와 대면하는 고정브라켓(130) 사이에 'ㄷ' 자 형상의 유동방지부재(160)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 경우 유동방지부재(160)의 두께는 유동방지부재(160)가 제1,2탄성부(142a,142b)의 걸림부(145)와 고정브라켓(130) 사이의 유격공간(SP) 내부로 용이하게 압입될 수 있으면서, 압입된 이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제1,2탄성부(142a,142b)의 걸림부(145)와 고정브라켓(130) 사이의 유격공간(SP) 상하 폭보다 근소하게 작은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140) 상에 볼트(150)의 체결작업이 완료된 이후 상기 제1,2탄성부(142a,142b)의 걸림부(145)와 고정브라켓(130) 사이의 유격공간(SP)에 유동방지부재(160)를 끼워 결합하게 됨으로써 볼트(150)와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진 체결부재(140)가 고정브라켓(130) 상에서 흔들거리거나 덜렁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도어프레임(120)을 내함(110)에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브라켓(130)으로부터 체결부재(14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또 하나의 방안으로, 도 9에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 형태와 같이, 고정브라켓(130)과 대면하는 체결부재(140)의 지지부(141) 부분에 영구자석(170)을 매립하여 상기 영구자석(170)의 자력을 이용하여 지지부(141)를 고정브라켓(130) 면에 부착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브라켓(130)에 결합된 체결부재(14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141)에 매립되는 영구자석(170)은 지지부(141)와 연결되는 제1탄성부(142a,142b) 및 제2탄성부(142a,142b)의 각 연결부위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제1,2탄성부(142a,142b)가 연결되는 지지부(141) 면에 상기 제1,2탄성부(142a,142b)의 연결부위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영구자석(170)을 매립 설치함에 따라, 영구자석(170)의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141)를 금속재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130) 상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정브라켓(130) 상에 결합된 체결부재(140)가 흔들거리거나 덜렁거리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영구자석(170)의 자력으로 체결부재(140)의 지지부(141)가 고정브라켓(130) 상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는 제1,2탄성부(142a,142b)의 걸림부(145)와 고정브라켓(130) 사이의 유격공간(SP)이 유동방지부재(160)가 쉽게 끼워질 수 있는 상하 폭으로 자연적으로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유격공간 내부로 유동방지부재(160)를 끼워 결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유동방지부재(160)를 결합하기 전에 사용자가 상기 유동방지부재(160)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유격공간(SP) 확보를 위하여 상기 고정브라켓(130)과 체결부재(140) 부분을 손으로 잡고 일일이 벌리면서 작업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 없기 때문에 조립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면상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체결부재(140)에 구비된 제1,2탄성부의 상면 부분에 손으로 잡고 제1,2탄성부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벌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손잡이 돌기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체결부재가 불량이거나 파손되는 등 상기 체결부재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상기 제1,2탄성부의 상면에 구비된 양측 손잡이 돌기를 잡고 제1,2탄성부를 강제로 벌려 체결부재에 체결되어 있던 볼트를 분리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볼트의 분리 후 상기 제1,2탄성부 사이의 간격을 다시 좁혀 체결부재를 고정브라켓의 개구부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 시 상기 체결부재로부터 볼트를 분리하거나, 상기 고정브라켓으로부터 체결부재를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 예에 나타나 있는 체결부재의 형상 구조와 달리, 상기 체결부재에 구비되는 복수의 탄성부를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볼트 주위를 원 구조를 이루며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각 탄성부의 내면에 볼트의 수나사부와 각각 맞물릴 수 있는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볼트가 체결부재의 체결공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가 볼트의 직경방향으로 신축이 이루어지며 볼트와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2 : 벽체 104,132 : 개구부
110 : 내함 120 : 도어프레임
122 : 플랜지 124,141a : 체결공
130 : 고정브라켓 140 : 체결부재
141 : 지지부 142a,142b : 제1,2탄성부
143 : 이 143a,143b : 치면
144 : 경사면 145 : 걸림부
150 : 볼트 152 : 수나사부
153 : 헤드 160 : 유동방지부재
170 : 영구자석

Claims (11)

  1. 벽체에 매립되는 내함과, 상기 내함의 전방 측에 배치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을 내함에 결합하기 위한 고정브라켓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고정브라켓을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 조립하는 옥내소화전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상기 볼트가 관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주변에는 상기 볼트의 직경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볼트와 맞물려 체결되는 복수의 탄성부를 구비한 체결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복수의 탄성부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 주위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탄성부 및 제2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탄성부와 상기 제2탄성부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부를 관통한 상기 볼트의 수나사부와 각각 맞물리는 다수의 이를 갖는 치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부와 상기 제2탄성부의 각 치면 사이가 이루는 간격은 상기 볼트의 수나사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탄성부의 걸림부와 상기 고정브라켓 사이에는 일정 폭의 유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유격공간에는 상기 볼트가 상기 체결부재에 체결된 후 상기 제1 및 제2탄성부의 걸림부와 상기 고정브라켓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유동방지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탄성부의 신축작용을 통해 상기 개구부 내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브라켓 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기 개구부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탄성부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부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의 주위를 원 구조를 이루며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각 탄성부의 내면에는 상기 볼트의 수나사부와 각각 맞물릴 수 있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치면은 상기 볼트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원통 면 형상을 갖는 다수의 이가 서로 평행을 이루며 배열된 원호 형상의 치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와 상기 제2탄성부는 각 외면 사이가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와 상기 제2탄성부에는 상기 지지부의 반대편 위치에서 상기 개구부 주변의 고정브라켓 상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10. 삭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과 대면하는 상기 지지부 부분에는 영구자석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KR1020170012779A 2017-01-26 2017-01-26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KR101877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779A KR101877724B1 (ko) 2017-01-26 2017-01-26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779A KR101877724B1 (ko) 2017-01-26 2017-01-26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724B1 true KR101877724B1 (ko) 2018-07-12

Family

ID=62919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779A KR101877724B1 (ko) 2017-01-26 2017-01-26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074B1 (ko) 2020-05-29 2020-12-30 (주)금성다이아몬드 패널 고정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00U (ja) * 1992-08-06 1994-03-1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締結機用ソケット
KR200249162Y1 (ko) * 2001-05-30 2001-11-16 삼립전기 주식회사 자동차용 등화기구의 광축 조정장치
KR20080003023U (ko) * 2007-01-29 2008-08-01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
JP2010104625A (ja) * 2008-10-31 2010-05-13 Itachibori Mfg Co Ltd 消火設備格納箱のフレーム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00U (ja) * 1992-08-06 1994-03-1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締結機用ソケット
KR200249162Y1 (ko) * 2001-05-30 2001-11-16 삼립전기 주식회사 자동차용 등화기구의 광축 조정장치
KR20080003023U (ko) * 2007-01-29 2008-08-01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접속함체용 광케이블 고정소켓
JP2010104625A (ja) * 2008-10-31 2010-05-13 Itachibori Mfg Co Ltd 消火設備格納箱のフレーム取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074B1 (ko) 2020-05-29 2020-12-30 (주)금성다이아몬드 패널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0824A (en) Secure support pipe fastener
KR200483799Y1 (ko) 배관 거치대
KR101877724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US5799804A (en) Wall mounted fixture
US20070235596A1 (en) Conduit positioning system, device, and method
KR101923628B1 (ko)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101330023B1 (ko) 덕트 클램프
KR200427523Y1 (ko) 펜스구조물 조립용 클램프
KR100827604B1 (ko) 건축물용 전기단자함 구조
KR100952314B1 (ko) 파이프 및 패널의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조립체
KR20210003036A (ko) 입상관 고정구
KR200446654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KR200389270Y1 (ko) 가스관용 방범장치
KR101808505B1 (ko) 추락방지망 고정구
KR200479154Y1 (ko) 가림막 장치
KR200343996Y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20130039107A (ko)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
KR100666012B1 (ko)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되는 배수파이프 지지장치
KR101749622B1 (ko) 보일러 튜브 프로텍터
JP2017229167A (ja) ケーブル保護管防護金具およびケーブル保護管防護金具の設置方法
JP3805326B2 (ja) 配管用金具
KR200450001Y1 (ko) 프로젝터 또는 감시 카메라 설치를 위한 브래킷용 베이스와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브래킷
KR101789156B1 (ko) 일체형셋앙카 및 이를 이용한 건물외장재 시공방법
JP2020190183A (ja) 水密扉ユニット
KR100331763B1 (ko) 파이프배관용 엘보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