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001Y1 - 프로젝터 또는 감시 카메라 설치를 위한 브래킷용 베이스와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브래킷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또는 감시 카메라 설치를 위한 브래킷용 베이스와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001Y1
KR200450001Y1 KR2020080007893U KR20080007893U KR200450001Y1 KR 200450001 Y1 KR200450001 Y1 KR 200450001Y1 KR 2020080007893 U KR2020080007893 U KR 2020080007893U KR 20080007893 U KR20080007893 U KR 20080007893U KR 200450001 Y1 KR200450001 Y1 KR 200450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ipe
base plate
brack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885U (ko
Inventor
이장옥
Original Assignee
이장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옥 filed Critical 이장옥
Priority to KR2020080007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001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8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8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0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7Ceiling suppor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로젝터나 감시 카메라 등을 천정에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브래킷의 베이스 측을 천정에 설치할 때에 그 설치가 용이하도록 고안된 프로젝터나 감시 카메라 등의 기기를 천정에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의 베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가로대를 사용함으로써, 브래킷을 천정에 설치시, 벽체를 천공하는 일 없이, 간단하게 드라이버만을 가지고 그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작업이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고, 나아가 천정의 벽체 시공시 아울렛 박스가 주변 구조와 조화되지 않고 삐뚤어지게 설치된 경우에도, 상기 아울렛 박스에 부착되는 베이스의 위치를 주변 구조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제1 파이프가 연결되는 베이스의 파이프 결합부를 이중적 구조로 함으로써, 베이스와 제1 파이프를 견고하면서도 흔들리지 않게 결합하여 장착할 수 있다.
브래킷, 베이스

Description

프로젝터 또는 감시 카메라 설치를 위한 브래킷용 베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브래킷{BASE OF BRAKET FOR THE INSTALLATION OF PROJECTOR OR CCTV CAMERA, AND ADJUSTABLE BRAKET COMPRISING THE SAME}
본 고안은 프로젝터나 감시 카메라 등을 천정에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브래킷의 베이스 측을 천정에 설치할 때에 그 설치가 용이하도록 고안된 프로젝터나 감시 카메라 등의 기기를 천정에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의 베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프로젝터나 감시 카메라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프로젝터의 경우에는 강의실이나 강당 등에, 감시 카메라의 경우에는 지하 주차장 등에 고정 배치하여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이들 기기들은 주로 벽이나 천정에 부착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적절한 방향과 높이에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에 따른 종래의 브래킷들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 1에 따른 감시 카메라용 브래킷(100)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100)은 천정(160)에 볼트(113)로 고정된다. 상기 볼트(113)는 2개 내지 4개가 적절하며, 상기 볼트(113) 대신에 앵커 볼트로 고정하여도 좋다. 도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브래킷(100)의 최상부는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2개 내지 4개의 구멍이 천공된 베이스(110)를 가진다. 상기 베이스(110)의 아래쪽에는 제1 파이프(120)가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110)와 제1 파이프(120)의 강도보강을 위하여 보강 부재(121)가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파이프(110) 하단에는, 상기 제1 파이프(120)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2 파이프(130)가 삽통되며, 상기 제2 파이프(130)는 카메라 장착부(140)와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1 파이프(120)의 하단부에는 나사 이를 가진 볼트 구멍이 1개 또는 2개가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구멍에 체결 볼트(122)가 체결되어 제2 파이프(130)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브래킷(100)의 모든 구성 요소는 철재로 형성되어 있어서 미관이 그리 좋지 않으며, 배선 인입구를 만들 수 없어 파이프가 굵고 투박한 사이즈를 선택할 수밖에 없고 배선이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고, 상기 베이스(110)와 제1 파이프(120)가 용접되어 있으므로 운반과정이나 포장에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제1 파이프(120)와 제2 파이프(130)의 직경의 공차에 의해 수직, 수평방향으로 불균형을 보였으며, 제2 파이프(130)가 흔들리는 단점이 있었고, 카메라 장착부(140)에서 밑판(141)의 각도를 조정하여 카메라의 각도를 조정해야 하므로 카메라 장착부(140)를 크게 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으며, 카메라 수리시 분리할 때 수공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고려하여, 본 고안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선된 가변형 브래킷(종래 기술 2)을 제안한바 있다(실용등록 제0394883호).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 2의 브래킷(200)은, 베이스 박스(211)와 베이스 파이프(212)로 구성된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 파이프(212)에 연결되는 제1 파이프(220)와, 상기 제1 파이프(220)에 연결되는 제2 파이프(240)와, 제1 각도 조절판과 제2 각도 조절판이 부착된 각도 지지 조절부(250) 및 카메라 장착부(2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변형 브래킷(200)의 설치는, 먼저 베이스 박스(211)의 상측 모서리에 마련된 복수의 구멍(213)을 통하여 천정에 볼트로 직접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박스(210)의 하측에 마련된 베이스 파이프(212)에 제1 파이프(220)가 돌기 맞춤 방식으로 연결되고, 그 다음 상기 제1 파이프(220)의 하측 내부로 제2 파이프(230)가 삽입되어 텔레스코픽식으로 연결되고, 조절 너트(230)에 의해 필요한 길이로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파이프 하측으로는 각도 지지 조절부(250) 및 카메라 장착부(260)가 용접 등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종래 기술 2에 의하여, 종래 기술 1이 갖고 있던 대부분의 문제점이 해결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 2에서도 여전히 베이스를 천정에 볼트나 앵커 볼트 등으로 직접 고정하여야 하고, 이렇게 직접 천정의 벽체에 고정하는 것은, 작업 자체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벽체를 천공하는 작업과정에서 날리는 분진 등은 작업자가 브래킷을 설치하는 작업을 더욱 어렵게 한다. 또한 브래킷의 베이스가 노출되어 주변 구조물과 조화 등 미관을 고려해야 하는 환경에서는, 어렵게 천정에 브 래킷의 베이스를 설치하는 작업을 마친 경우에도, 작업과정에서 베이스가 주변 구조물과 삐뚤어져 부착되는 경우, 노출된 베이스가 주변 구조물과 구조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미관을 해치게 되어 설치 작업을 다시 하여야 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프로젝터나 감시 카메라 설치용 브래킷을 천정에 설치시, 천정에 별도의 천공을 하지 않고 볼트 등에 의하여 조립 설치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 설치가 간단하면서도 용이하도록 고안된 브래킷용 베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브래킷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나 감시 카메라 등의 기기를 천정에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용 베이스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는 복수의 원통 형상의 안내 구멍 및 배선 인입구가 형성된 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고, 길이 방향으로 일자형상인 한 쌍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가로대와, 상측 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삽입되도록 개구되고, 상기 상측 단부의 내측으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에 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으로 원통 형상의 파이프 결합부가 마련된 베이스 박스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가로대가 각 중심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박스의 상측 내부에 형성된 턱에 안착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용 베이스이다.
또한, 상기 가로대의 각 체결구멍의 길이 방향의 측면에 트임 구멍이 형성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결합부는, 2중 구조의 원주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원주의 바깥쪽 표면에 복수의 오목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박스의 측면에 개폐창이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나 감시 카메라 등의 기기를 천정에 설치하기 위한 가변형 브래킷은,
상기된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결합부의 하측 단부에 삽입되고, 상측 단부는 외경이 상기 파이프 결합부의 하측 단부의 내경보다 작고, 복수개의 복수열로 형성된 결합 돌기를 가지며, 하측 단부에는 복수개의 슬릿과 나사산을 가진 원통 형상의 제1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의 하측 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측 단부는 상기 제1 파이프의 내경에 적합하게 끼워지는 외경을 갖고, 하측 단부에 각도 조절 지지부가 부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제2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를 조여 고정시켜 주는 조임 너트와, 상기 각도 조절 지지부에 부착되는 제1 각도 조절판 및 제2 각도 조절판과, 상기 제2 각도 조절판의 하측으로 부착된 기기 장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브래킷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 및 가로대를 사용함으로써, 브래킷을 천정에 설치시, 벽체를 천공하는 일 없이, 간단하게 드라이버만을 가지고 그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작업이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고, 나아가 설치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치 전에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가로대가 회전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천정의 벽체 시공시 아울렛 박스가 주변 구조와 삐뚤어지게 설치된 경우에도 간단하게 베이스의 위치를 주변 구조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파이프가 연결되는 베이스의 파이프 결합부를 이중적 구조로 함으로써, 베이스와 제1 파이프를 견고하면서도 흔들리지 않게 결합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박스 측면에 개폐가능한 창을 형성함으로써, 어뎁터 등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베이스를 분해하지 않고 베이스 박스의 내측으로 어뎁터 등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의 파이프 결합부와 제1 파이프의 연결을 돌기 맞춤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조립이 용이하며 높은 공간에서 작업하기가 매우 편리하며, 또한 베이스 부분과 제1 파이프의 분리가 가능하여 운반과정과 포장이 편리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는 조임 너트에 의해 길이 조정이 가능하여 프로젝터나 감시 카메라를 용이하게 원하는 높이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파이프에 대한 기기 장착부의 각도를 각도 조절 볼트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배선을 베이스 박스,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를 통하여 기기에 접속할 수 있어서 보안과 미관이 좋아진다.
또한, 프로젝터나 감시 카메라 등의 기기가 ㄷ자형 카메라 장착부에 내장되어 분리가 신속하여 A/S 처리가 신속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프로젝터나 감시 카메라 등의 기기를 천정에 설치하기 위한 가변형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 6에 따르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브래킷(1)은, 천정에 매설된 아울렛 박스(60)에, 베이스 플레이트(11)와 가로대(12) 및 베이스 박스(13)로 이루어진 베이스(10)가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 박스(10)의 하측에 마련된 파이프 결합부(14)에 제1 파이프(20)가 결합되고, 상기 제1 파이프 하측으로 각도 조절 지지부(40)가 부착된 제2 파이프(30)가 조임너트(21)에 의해 결합 고정되고, 상기 각도 조절 지지부(40)에 제1각도 조절판(41)과 제2 각도 조절판(42)이 직각으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2 각도 조절판(42)의 하부에 프로젝터나 감시 카메라 등의 기기 장착부(50)가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0)에 대하여 도 3내 도 5에 의하여,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의 (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0)의 분해 사시도 이고, (b) 는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이다. 또한, 도 4의 (a)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평면도이고, (b) 및 (c)는 가로대(12)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파이프 결합부(1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상기 베이스(10)는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와, 가로대(12)와, 베이스 박스(13) 및 파이프 결합부(14)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도 4의 (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중심부에 마련된 중심축 구멍(11f)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는 복수의 원호 형상의 안내 구멍(11a,11b)과, 아울렛 박스(60)로부터 인입되는 배선이 통과하는, 하나 또는 복수배선 인입구(11c,11d)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안내 구멍(11a,11b)의 폭(d1)은 후술하는 가로대의 체결구멍(12a, 12b)의 길이(d2)와 거의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 구멍(11a,11b)으로 형성되는 원호의 길이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강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도면에서는 안내 구멍(11a,11b)이 1쌍으로 도시되었지만, 적절하게 2쌍, 3쌍으로 안내 구멍(11a,11b)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모서리 또는 주변부에는 후술하는 베이스 박스(13)와 체결하기 위한 결합구멍(11e)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도면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형상이 4각형의 판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6각, 8각 또는 원형의 판형상 등 어떤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결합구멍(11e)들은 그 형상에 따라 모서리 또는 주변부에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가로대(12)는 중앙에 마련된 중심축 구멍(12c)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가로대의 길이와 나란한 일자형의 체결구멍(12a, 1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로대(1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는 각각의 중앙부에 마련된 중심축 구멍(12c와 11f)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때 상기 가로대(12)의 체결구멍(12a, 12b)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안내 구멍(11a,11b)과 정합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대(12)의 체결구멍(12a, 12b)의 길이(d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안내 구멍(11a,11b)의 폭(d1)은 거의 일치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를 가로대(12)에 대하여 회전을 시켜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안내 구멍(11a,11b)과 상기 가로대(12)의 체결 구멍(12a, 12b)은 계속하여 일치되어 있게 된다.
또한, 도 4의 (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가로대(12)의 체결구멍(12a, 12b)의 각 측면에 트임 구멍(12d, 12e)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트임 구멍(12d, 12e)이 형성된 가로대(12)에 의하면, 아울렛 박스(60)가 깊게 매립되어 아울렛 박스(60)에 형성된 너트 구멍(61)들을 쉽게 찾을 수 없는 경우에도, 먼저 아울렛 박스(60)에 형성된 너트 구멍(61)들에 볼트를 먼저 체결하고, 노출된 볼트를 상기 트임 구멍(12d, 12e)을 통해 가로대(12)의 체결구멍(12a, 12b)으로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베이스 박스(13)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측 단부는 개구되 어, 그 내측으로 상기 가로대(12)가 결합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박스(13) 상측 단부의 형상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 형상과 정합적인 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있어서는, 베이스 박스(13)의 상측 단부가 4각 형상으로 개구되어 있지만, 이 형상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형상에 따라 6각, 8각 또는 원형 등 어느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베이스 박스(13)의 상측 단부의 내측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에 턱 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턱 부분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결합구멍(11e) 들에 대응하는 베이스 박스(13)의 결합구멍(13a)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박스(13)의 측면으로는 개폐창(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창(15)은 덮개(15a)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개폐창(15)에 의하여, 어뎁터 등을 베이스 박스(13) 내의 공간에 넣어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베이스(10) 자체를 분해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박스(13)의 하측으로는 돌출된 원통 형상의 파이프 결합부(14)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제1 파이프(20)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파이프 결합부(14)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중 구조의 원주(14a, 14b)로 구성되고, 내측 원주(14b)의 바깥쪽 표면에 복수의 오목 홈(14c)들이 형성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오목 홈(14c)들은 F자 형상으로, 2개 내지 10개 범위에서 적절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파이프 결합부(14)를 2중 구조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제1 파이프(20)를 결합했을 때. 결합된 부위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0)를 포함한 프로젝터 또는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변형 브래킷(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 또는 감시 카메라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변형 브래킷(1)의 분해 사시도 이다.
다만, 상기 가변형 브래킷(1)은, 베이스(10)와, 제1 파이프(20)와, 제2 파이프(30)와, 조임 너트(21)와, 각도 지지 조절부(40)와, 제1 각도 조절판(41)과, 제2 각도 조절판(42) 및 기기 장착부(50) 등으로 구성되었지만, 이 중에서 베이스(10)에 관해서는, 위에서 이미 설명되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상기 베이스(10)를 제외한 다른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10)의 파이프 결합부(14)에 체결되는 제1 파이프(20)는, 원통 형상으로, 상측의 단부의 외경은 상기 베이스(10)의 파이프 결합부(14)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파이프 결합부(14)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결합부(14)의 내측으로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파이프 결합부(14)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중 구조의 원주(14a, 14b)로 구성되고, 내측 원주(14b) 바깥쪽 표면에 복수의 오목 홈(14c)들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제1 파이프(20)의 상측 단부의 외경 및 둘레의 두께는, 상기 파이프 결합부(14) 외측 원주(14a)와 내측 원주(14b)사이에 적합하게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파이프(20)의 체결 돌기(20a)들은 상기 파이프 결합 부(14)의 내측 원주(14b) 바깥쪽 표면에 마련된 복수의 오목 홈(14c)들에 정합적으로 결합되도록, 상측 단부의 안쪽으로 형성되어 있게 된다. 즉, 제1 파이프(20)의 체결 돌기(20a)들은, 상기 파이프 결합부(14)의 오목 홈(14c)의 폭과 거의 같은 폭을 갖고, 상기 파이프 결합부(14)의 오목 홈(14c)의 깊이와 거의 같은 크기로, 상측 단부의 안쪽으로 형성되어 있게 된다
또한 제1 파이프(20)의 하측에는 조임 너트(21)가 마련되어 있고, 하측 단부에는 복수개의 슬릿과 나사산이 형성(도시 생략)되어 있어, 후술하는 제2 파이프(30)를 제1 파이프(20) 내측에 삽입한 후 조임 너트(21)로 조여주어 밀착하여 고정시킨다. 즉, 제1 파이프(20)의 내측으로, 제2 파이프(30)를 삽입한 후에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파이프 전체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한 후에 조임 너트(21)로 조여주어 밀착하여 결합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제2 파이프(30)에 있어서, 상측 단부의 외경은, 상기 제2 파이프(30)가 상기 제1 파이프(20) 내측으로 밀착하여 삽입 가능한 정도로, 상기 제1 파이프(2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 단부의 부근에 배선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말단부에는 각도 조절 지지부(40)가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각도 조절 지지부(40)에는 제1각도 조절판(41)과 제2 각도 조절판(42)이 직각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 1각도 조절판(41)에는 하나의 반달형 요홈(41a)이 형성되어 있고, 제2 각도 조절판(42)에는 두 개의 반달형 요홈(42b)이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의 앙각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지점 너트(41c)와 각도 조절 너트(41b)를 적당히 푼 후, 각도를 맞추고 각도 조절 너트(41b)와 지점 너트(42c)를 조이면 된다. 카메라의 좌우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2 각도 조절판(42)의 하부에 있는 기기 장착부(50)를 두 개의 나비 너트(42a)를 약간 풀고 각도를 조정한 후, 두 개의 나비 너트(42a)를 고정하면 된다.
또한, 기기 장착부(50)는, 도 6의 도면에서는 ㄷ자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테인리스나 ABS 수지로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9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10) 및 상기 베이스(10)를 포함하는 가변형 브래킷(1)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브래킷(1)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7 내지 도 9는 아울렛 박스(60)에, 베이스 플레이트(11)와 가로대(12), 베이스 박스(13), 및 제1 파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다.
먼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심축 구멍(11f)과 가로대(12)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심축 구멍(12c)을 볼트나 힌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체결한다. 따라서 이때 볼트나 힌지는 체결 수단뿐만 아니라 축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11)와 가로대(12)를 천정에 매설된 아울렛 박스(60)에 부착하여 설치되는데, 이미 설치된 아울렛 박스(60)의 복수의 너트구멍(61)을 확인하고, 아울렛 박스(60)로 들어온 배선을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배선 인입구(11c,11d)로 빼낸 후에, 가로대(12)의 체결 구멍(12a, 12b)과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안내구멍(11a, 11b)과 아울렛 박스(60)의 복수의 너트구멍(61)을 일치시킨 다음, 가로대(12)의 체결 구멍(12a, 12b)을 통해 볼트를 삽입시켜 아울렛 박스(60)의 복수의 너트구멍(61)과 느슨하게 체결한다. 그 다음,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회전시켜 가며 주변 건물의 벽체와 조화롭게 위치를 맞춘 다음에, 가로대(12)의 체결 구멍(12a, 12b)을 통해 삽입된 볼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11)와 가로대(12)의 중심부에 체결되는 볼트 등을 조여 고정시키면,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1)와 가로대(12)는 중심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처음 벽체에 아울렛 박스(60)를 시공한 작업자가 아울렛 박스(60)를 주변 벽체와 대비하여 비뚤어지게 매설한 경우에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회전시켜 가며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주변 벽체와 조화롭게 베이스(1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만일 아울렛 박스(60)가 조금 깊게 매설되어, 평상상태에서는 아울렛 박스(60) 내의 너트구멍(61)이 확인되지만, 위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를 덮는 경우 빛이 가려져서 아울렛 박스(60) 내의 너트구멍(61)이 잘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12)의 각 체결 구멍(12a, 12b)의 측면에 트임 구멍(12d, 12e)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에 트임 구멍(12d, 12e)이 있는 가로대(12)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아울렛 박스(60) 내의 너트구멍(61)들의 각각에 볼트를 체결한다. 그 다음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안내 구멍(11a, 11b)으로 상기 볼트의 머리부를 통과시켜 노출시킨 후에, 상기 가로대(12)의 트임 구멍(12d, 12e)으로 상기 볼트들을 밀어 넣어 상기 볼트들이 상기 가로대(12)의 체결구멍(12a, 12b)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 다음,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회전시켜 가며 위치를 정하고, 상기 볼트들을 꼭 조여 베이스 플레이트(11)와 가로대(12)를 고정시키면, 상기한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상태와 마찬가지의 상태로 체결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와 가로대(12)를 매설된 아울렛 박스(60)에 부착하여 고정시킨 후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가 베이스 박스((13) 안쪽의 턱 부분으로 삽입되도록, 베이스 박스((13)의 상측 개구부로 베이스 플레이트(11)를 덮은 후에, 베이스 박스(13) 측의 결합구멍(13a)들과 이에 대응하여 마련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복수의 결합구멍(11e)들을 각각 볼트로 체결하면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베이스(10)의 설치는 완료되고, 그 설치된 모양은 도 8과 같다.
그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10)의 하측에 마련된 파이프 결합부(14)에 제1 파이프(20)를 삽입하여 돌기 맞춤식으로 연결하면 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 결합부(14)가 2중 구조의 원주(14a, 14b)로 구성되고 내측 원주(14b) 바깥쪽 표면에 복수의 오목 홈(14c)들이 마련되고, 이에 상응하도록 제1 파이프(20)의 상측 단부의 안쪽에 체결 돌기(20a)가 마련된 경우에는, 제1 파이프(20)의 상측 단부의 안쪽에 마련된 체결 돌기(20a)를 파이프 결합부(14)의 내측 원주(14b) 바깥쪽에 마련된 오목 홈(14c)들의 수직 방향으로 삽입한 후에 수평방향으로 이어진 부분에서 돌려서 체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박스(10)의 아래 쪽에 제1 파이프(20)를 연결한 상태는 도 9와 같다.
다음으로, 하측 단부로 각도 조절 지지부(40)가 구비된 제2 파이프(30)를 상기 제1 파이프(20) 내측에 삽입한 후 조임 너트(21)에 의하여 텔레스코픽식으로 조여서 밀착하여 고정시키고, 그 다음 제2 파이프(30)의 하측으로 부착된 각도 조절 지지부(40)에, 에는 제1각도 조절판(41)과 제2 각도 조절판(42)이 직각으로 부착하고, 제2 각도 조절판(42)의 하부에 있는 기기 장착부(50)가 장착된다.
도 1은 종래기술 2에 따른 감시 카메라용 브래킷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 2에 따른 감시 카메라용 브래킷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용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가로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의 파이프 결합부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변형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용 베이스를 설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용 베이스를 설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브래킷용 베이스를 설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변형 브래킷 10 : 베이스
11: 베이스 프레이트 12 : 가로대
13 : 베이스 박스 14 : 파이프 결합부
15 : 개폐창 20 : 제1 파이프
21 : 조임 너트 30 : 제2 파이프
40 : 각도 조절 지지부 41 : 제1 각도 조절판
42 : 제2 각도 조절판 50 : 기기 장착부
60 : 아울렛 박스

Claims (10)

  1. 프로젝터나 감시 카메라 등의 기기를 천정에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용 베이스에 있어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는 복수의 안내 구멍 및 배선 인입구가 형성된 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고, 길이 방향으로 일자형상인 한 쌍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가로대와,
    상측 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삽입되도록 개구되고, 상기 상측 단부의 내측으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에 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으로 원통 형상의 파이프 결합부가 마련된 베이스 박스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가로대가 각 중심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박스의 상측 내부에 형성된 턱에 안착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용 베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의 각 체결구멍의 길이 방향의 측면에 트임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용 베이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결합부가, 2중 구조의 원주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원주의 바깥쪽 표면에 복수의 오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용 베이스.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박스의 한 측면에 개폐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용 베이스.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안내 구멍과 상기 가로대의 체결 구멍이 서로 정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안내 구멍의 폭과 상기 가로대의 체결 구멍의 길이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래킷용 베이스.
  6. 프로젝터나 감시 카메라 등의 기기를 천정에 설치하기 위한 가변형 브래킷으로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는 복수의 안내 구멍과 배선 인입구가 형성된 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심부와 중심부에서 결합되고,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고, 길이 방향으로 일자형인 한 쌍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가로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주변부 또는 모서리부에서 결합되고, 상측 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삽입되도록 개구되고, 상기 상측 단부의 내측으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에 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으로 원통 형상의 파이프 결합부가 마련된 베이스 박스가 구비된 베이스와,
    상기 파이프 결합부의 하측 단부에 삽입되고, 상측 단부는 외경이 상기 파이프 결합부의 하측 단부의 내경보다 작고, 복수개의 복수열로 형성된 체결 돌기를 가지며, 하측 단부에 복수개의 슬릿과 나사산을 가진 원통 형상의 제1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의 하측 단부의 내측으로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측 단부는 상기 제1 파이프의 내경에 적합하게 끼워지는 외경을 갖고, 하측 단부에 각도 조절 지지부가 부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제2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와 제2 파이프를 조여 고정시켜 주는 조임 너트와,
    상기 각도 조절 지지부에 부착된 제1 각도 조절판 및 제2 각도 조절판과,
    상기 제2 각도 조절판의 하측으로 부착된 기기 장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브래킷.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의 각 체결구멍의 길이방향의 측면에 트임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변형 브래킷.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결합부는, 2중 구조의 원주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원주의 바 깥쪽 표면에 복수의 오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는, 상측 단부의 외경 및 둘레의 두께가 상기 파이프 결합부의 외측 원주와 내측 원주 사이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결합부의 내측 원주 바깥쪽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 홈과 정합적으로 결합되도록, 상측 단부의 안쪽에 체결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브래킷.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박스의 측면에 개폐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브래킷.
  10.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안내 구멍과 상기 가로대의 체결 구멍이 서로 정합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안내 구멍의 폭과 상기 가로대의 체결 구멍의 길이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브래킷.
KR2020080007893U 2008-06-13 2008-06-13 프로젝터 또는 감시 카메라 설치를 위한 브래킷용 베이스와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브래킷 KR200450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893U KR200450001Y1 (ko) 2008-06-13 2008-06-13 프로젝터 또는 감시 카메라 설치를 위한 브래킷용 베이스와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893U KR200450001Y1 (ko) 2008-06-13 2008-06-13 프로젝터 또는 감시 카메라 설치를 위한 브래킷용 베이스와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885U KR20090012885U (ko) 2009-12-17
KR200450001Y1 true KR200450001Y1 (ko) 2010-08-30

Family

ID=44242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893U KR200450001Y1 (ko) 2008-06-13 2008-06-13 프로젝터 또는 감시 카메라 설치를 위한 브래킷용 베이스와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0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831B1 (ko) * 2017-08-16 2017-11-21 (주)대산시큐리티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35267A (zh) * 2017-11-28 2019-06-04 上海碧虎网络科技有限公司 车载投影装置及车载多媒体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192Y1 (ko) 2001-02-27 2001-09-26 주식회사세아정밀 Lcd 프로젝터 고정유니트
KR100731639B1 (ko) 2006-02-13 2007-06-22 주식회사 몬도시스템즈 프로젝터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192Y1 (ko) 2001-02-27 2001-09-26 주식회사세아정밀 Lcd 프로젝터 고정유니트
KR100731639B1 (ko) 2006-02-13 2007-06-22 주식회사 몬도시스템즈 프로젝터 지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831B1 (ko) * 2017-08-16 2017-11-21 (주)대산시큐리티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885U (ko)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2040B2 (en) Low profile mounting of electronic devices
US7271336B2 (en) Adjustable mounting bracket assembly for mounting an electrical box
US9985422B2 (en) Universal pole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an enclosure to a pole
US10267088B2 (en) Adjustable gat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7987948B2 (en) Length adjustable passenger handle assembly for elevator
US20050286028A1 (en) Adjustable security enclosure
US20160073795A1 (en) Modular Food Guard System
US9464476B2 (en) Wall entry tunnel for a pet door
US11025041B2 (en) Weatherproof electrical enclosure with reinforcement
US6658803B2 (en) Access door mounted on pivoting frame
US20180109050A1 (en) Single-fastener mounting plate for electrical outlets
KR200450001Y1 (ko) 프로젝터 또는 감시 카메라 설치를 위한 브래킷용 베이스와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브래킷
US9826834B2 (en) Cabinet foot and cabinet foot system
KR200394883Y1 (ko) 씨씨티비 카메라용 가변형 브래킷
US8959850B2 (en) Wall entry tunnel for a pet door
KR101885048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설물 고정 장치
KR101867079B1 (ko) 방향 조절이 가능한 울타리와 기둥 체결장치
JP5048418B2 (ja) ボックス配設装置
US20140305671A1 (en) Square to Round Ring Assembly, Device, and Method
JP2000248700A (ja) 樋取付け具
KR20220009591A (ko) 프로파일 다방향 체결장치
KR101877724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RU2787407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монтажная коробка-кронштейн для крепления видеокамер на плоские, цилиндрические и многогранные поверхности
US8821045B1 (en) Camera mount
KR20170094855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설물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