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831B1 -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831B1
KR101799831B1 KR1020170103745A KR20170103745A KR101799831B1 KR 101799831 B1 KR101799831 B1 KR 101799831B1 KR 1020170103745 A KR1020170103745 A KR 1020170103745A KR 20170103745 A KR20170103745 A KR 20170103745A KR 101799831 B1 KR101799831 B1 KR 101799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astening
hole
groo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명섭
Original Assignee
(주)대산시큐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산시큐리티 filed Critical (주)대산시큐리티
Priority to KR1020170103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7Ceil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예: CCTV카메라 , 프로젝터, 조명기구 등) 고정용 가동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판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판이 조립 설치되는 천장고정설치부; 상기 천장고정설치부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베이스박스와 이 베이스박스의 내부 하단에 고정판이 조립 설치되는 상단봉연결부; 및 상기 상단봉연결부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체결판과 이 체결판의 하단으로 상단봉과 하단봉이 돌출 구비되는 디바이스체결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호 용이하게 체결되는 고정판과 체결판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안전성과 내구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도록 한 것이고, 중앙 통공 적용으로 케이블 작업 편리 및 꼬임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며, 다양한 직경의 상단봉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브라켓 외관의 심미성과 미려함 및 균형감이 우수하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브라켓의 품질과 신뢰성 및 설치 호환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Movable bracket for device fix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바이스(예: CCTV카메라 , 프로젝터, 조명기구 등) 고정용 가동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용이하게 체결되는 고정판과 체결판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안전성과 내구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도록 한 것이고, 중앙 통공 적용으로 케이블 작업 편리 및 꼬임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며, 다양한 직경의 상단봉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브라켓 외관의 심미성과 미려함 및 균형감이 우수하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브라켓의 품질과 신뢰성 및 설치 호환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CCTV카메라는 은행, 편의점 등의 사업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CCTV이고, DVR장비나 DVR카드가 설치된 PC와 연결을 해야만 카메라가 촬영중인 화면을 볼 수 있다.
그리고 CCTV카메라는 감시 카메라로 불리기도 하며, 물리적인 보안을 위해 사용되는 보안 장비 중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이다.
상기 CCTV카메라는 CCTV 브라켓에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CCTV 브라켓은 CCTV카메라를 벽이나 기둥 특히 천장 등에 부착할 수 있게 해주는 제품이다.
상기 CCTV 브라켓은 브라켓 모양에 따라 I자형, L자형 등 종류가 다양하며, 카메라 무게를 견딜 수 있는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근래에 들어 날로 사회가 현대화되면서 쇼핑센터, 아파트 지하 주차장, 지하철, 극장 등 대중이 모이는 곳에서 각종 범죄의 발생이 빈번해 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필요적으로 무인 감시 체제가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어떤 일정한 위치를 감시하기 위하여, CCTV와 CCTV 카메라를 사용하게 되며, CCTV는 주로 실내의 사무실이나 특정 장소에 설치하기 때문에 별문제가 되지 않으나, CCTV용 카메라는 주로 벽이나 천정에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카메라를 적절한 방향과 높이에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이 필요하였다.
최근에는 이중봉 구조로 CCTV용 카메라의 높이가 조절되고, 각도조절패널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어 위치 및 방향 설정이 가능한 가변형 브래킷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상기 종래 기술은 대부분 ABS 재질로 무게를 지탱하여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은 베이스박스와 상단봉 결합시 연결부위가 보다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 및 구조적 결함으로 체결시 안전성이 약화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사출 베이스판 케이블홀 맞댐 구조로 되어 있어 케이블 인입후 회전시 꼬임 발생 우려가 있었다.
특히 종래 기술은 한가지 직경 사이즈의 상단봉을 체결할 수 있게 이루어져 다양한 직경 사이즈로 호환되게 결합할 수 없고 따라서 다양한 설치 환경에 대한 대응 및 설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67939호(2008. 11. 04)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455호(2010. 12. 08)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13314호(2016. 04. 11)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48916호(2016. 08. 10)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9-0012885호(2009. 12. 17)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단봉연결부는 베이스박스와 고정판으로 이루어지고, 천장고정설치부는 베이스판과 회전판으로 이루어지며, 디바이스체결부는 체결판과 상단봉 및 하단봉으로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원터치 체결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고정판과 체결판에 의해 브라켓의 체결성이 용이하고 우수하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상호 용이하게 체결되는 고정판과 체결판을 금속재질로 하고 안전성과 내구성 및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구조화하여 다양한 직경의 상단봉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중앙 통공 적용으로 케이블 작업 편리 및 꼬임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다양한 직경의 상단봉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여 기존제품보다 설치 환경에 대한 유연성 및 호환성을 좋게 한 것이고, 제6목적은 브라켓 외관의 심미성과 미려함 및 균형감이 우수하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브라켓을 작업자 1인이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8목적은 간단한 원터치 탈착방식으로 브라켓의 조립 설치시간이 짧아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고, 제9목적은 이로 인해 브라켓의 품질과 신뢰성 및 설치 호환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판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판이 조립 설치되는 천장고정설치부; 상기 천장고정설치부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베이스박스와 이 베이스박스의 내부 하단에 고정판이 조립 설치되는 상단봉연결부; 및 상기 상단봉연결부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체결판과 이 체결판의 하단으로 상단봉과 하단봉이 돌출 구비되는 디바이스체결부;가 포함되되, 상기 체결판에 구비되는 상단봉은 직경 사이즈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호 호환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단봉연결부는 베이스박스와 고정판으로 이루어지고, 천장고정설치부는 베이스판과 회전판으로 이루어지며, 디바이스체결부는 체결판과 상단봉 및 하단봉으로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원터치 체결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고정판과 체결판에 의해 브라켓의 체결성이 용이하고 우수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호 용이하게 체결되는 고정판과 체결판을 금속재질로 하고 안전성과 내구성 및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구조화하여 다양한 직경의 상단봉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통공 적용으로 케이블 작업 편리 및 꼬임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양한 직경의 상단봉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여 기존제품보다 설치 환경에 대한 유연성 및 호환성을 좋게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브라켓 외관의 심미성과 미려함 및 균형감이 우수하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브라켓을 작업자 1인이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간단한 원터치 탈착방식으로 브라켓의 조립 설치시간이 짧아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브라켓의 품질과 신뢰성 및 설치 호환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의 상면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의 저면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의 평면도.
도 6 은 도 5 의 A-A선 단면도.
도 7 은 도 5 의 B-B선 단면도.
도 8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의 실제 제품
상면을 보인 사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의의 실제 제
품 저면을 보인 사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디바이스(예: CCTV카메라 , 프로젝터, 조명기구 등) 고정용 가동 브라켓은 도 1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된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210)과 이 베이스판(21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판(250)이 조립 설치되는 천장고정설치부(20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천장고정설치부(200)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베이스박스(110)와 이 베이스박스(110)의 내부 하단에 고정판(150)이 조립 설치되는 상단봉연결부(10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상단봉연결부(100)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체결판(310)과 이 체결판(310)의 하단으로 상단봉(320)과 하단봉(330)이 돌출 구비되는 디바이스체결부(3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판(310)에 구비되는 상단봉(320)은 직경 사이즈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호 호환되게 용접 등의 결합수단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회전판(250)에는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은 중앙 제2통공(251)을 중심으로 외곽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나사 및 칼블럭홀(252)과 앙카홀(25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 및 칼블럭홀(252)은 볼트 머리를 끼운 후 회전시켜 체결되도록 모양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앙카홀(253)은 간격 유지를 위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210)에는 케이블이 통과되는 중앙 제1통공(211)을 중심으로 외곽에 형성되어 상기 나사 및 칼블럭홀(252) 또는 앙카홀(253)과 일치되도록 한 한 쌍의 혼합홀(2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210)의 저면에는 회전판(250)이 삽입되어 작동되도록 한 작동홈(213)과 이 작동홈(213)의 외곽에 형성되어 회전판(25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편(214)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2통공(211)(251)은 케이블 작업시 꼬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해주게 된다.
또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정판(150)에는 중앙 제3통공(151)을 중심으로 근방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체결구(152)와 외곽에 끼움돌기(117)에 끼워지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끼움홈(15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박스(110)에는 저면에 체결판(310)의 착탈을 서포트 해주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개구부(115)와 걸림턱(116)이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베이스박스(110)에는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
즉, 도 1,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예: 아답터, 증폭기 등)를 일측면에서 넣었다 뺄 수 있도록 한 장홀(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홀(111)에 선택적으로 조립 설치되며, 케이블을 인입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절개홈(113)이 형성된 측면커버(11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박스(110)의 타측면에는 케이블을 측면에서 인입시키는 제2절개홈(114)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체결판(310)은 고정판(150)과 상호 맞닿아 설치되되, 외곽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며, 걸림턱(116)과 개구부(115)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한 걸림편(3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체결구(152)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체결판(310)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체결홈(312)이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체결판(310)과 고정판(150)에는 인위적으로 체결판(310)의 해체를 방지하게 스크류가 체결되는 제1스크류체결홀(313)과 제2스크류체결홀(153)이 형성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체결구(152)는 체결홈(312)의 좁은 홀에 걸려지도록 내측에 로킹부(152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312)은 체결구(152)가 끼워지는 부위는 홈의 구멍이 크게 형성되고, 회전시 걸려지는 부위 홈의 구멍은 로킹부(152a)에 걸려지도록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정판(150)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삽입홈(156)을 형성하고, 이 판스프링삽입홈(156)에는 우수한 체결성과 체결판(310)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하는 판스프링(155)이 조립 설치된다.
도면상 미 설명부호 350은 하부커버로, 좌우 대칭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별도의 스크류 없이 베이스박스(110)의 하단에 탈부착되며, 곡선미로 심미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면상 미 설명부호 321은 상단봉(320)에 형성된 보조홀로, 이 보조홀을 통해 케이블을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하거나, 외부의 케이블을 상단봉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디바이스(예: CCTV카메라 , 프로젝터, 조명기구 등) 고정용 가동 브라켓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상호 용이하게 체결되는 고정판과 체결판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안전성과 내구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도록 한 것이고, 중앙 통공 적용으로 케이블 작업 편리 및 꼬임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며, 브라켓 외관의 심미성과 미려함 및 균형감이 우수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의 상면을 보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도 2 는 상기 도 1 의 결합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의 저면을 보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부품들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도 4 는 상기 도 3 의 결합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아울러 도 6 은 상기 도 5 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더하여 도 7 은 상기 도 5 의 B-B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상단봉연결부(100)를 중심으로 상단에는 천장고정설치부(200)가 하단에는 디바이스체결부(300)가 상호 조립 설치된다.
상기한 본 발명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은 천장 내,외부에 설치된 정크션 박스(junction box)에 고정 설치하거나, 바로 천장 벽면에 나사 및 칼블럭 또는 세트앙카 등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회전판(250)을 회전시켜가면서 나사 및 칼블럭 또는 세트앙카를 칼블럭홀(252) 또는 앙카홀(253)에 일치시킨 후 상호 체결하여 결합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먼저 베이스판(210)의 저면 작동홈(213)에 회전판(250)을 조립 설치하는 것으로, 이때 이탈방지편(214)은 회전 작동하는 회전판(25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조립 과정에서 별도의 스크류 작업 필요 없이 조립 설치가 가능하고, 중앙 제1,2통공(211)(251)을 통해서는 케이블 작업시 꼬임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회전판(250)은 원형판 형태로서 베이스판(210)과 원판 회전판(250)이 상호 맞닿는 면적이 커서 지지력이 안정적이고, 혼합홀(212) 및 나사 및 칼블럭홀(252)과 앙카홀(253)을 통해 칼블럭, 세트앙카 둘다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고정판(150)은 베이스박스(110)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이때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홈(154)이 깨움돌기(117)에 끼워지게 되어 고정판(150)이 베이스박스(110) 내부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조립된 베이스박스(110)를 베이스판(210)의 저면에 상호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박스(110) 내부에는 각종 장비(예: 아답터, 증폭기 등)를 내장 설치하거나 또는 측면커버(112)를 분리한 상태에서 장홀(111)을 통해 장비를 넣거나 뺄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측면커버(112)에 형성된 제1절개홈(113)이나 또는 타측면에 형성된 제2절개홈(114)을 떼어낸 후 홀을 통해 케이블을 인입시킬 수 있게 된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조립된 베이스박스(110)의 하단에는 디바이스체결부(300)를 조립 설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단봉(320)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판(310)을 베이스박스(110) 하단에 조립된 고정판(150)에 조립 설치하는 것으로, 이때 체결판(31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편(311)과 베이스박스(110)의 하단에 형성된 개구부(115) 및 걸림턱(116)을 이용하여 상호 조립 설치하되, 상단봉(320)의 선택적인 정역 회전에 따라 원터치로 체결 및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조립 과정에서 체결판(310)에 형성된 체결홈(312)이 체결구(152)에 걸려지도록 하게 되는데, 이때 체결홈(312)의 어느 일측은 체결구(152)의 머리가 끼워지게 구성이 크게 형성되고, 반대편은 체결구(152)의 로킹부(152a)가 걸려지도록 구멍이 작게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상단봉(320)을 고정판(150)에 긴밀히 조립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조립 과정도 상단봉(320)의 정역 회전에 따라 체결 및 분리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체결판(310)은 베이스박스(110)와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정성과 내구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조립 과정에서 판스프링(155) 적용으로 체결성 우수 및 체결판(310)의 역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판(150)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삽입홈(156)이 형성되고, 이 판스프링삽입홈(156)에는 판스프링(155)이 조립 설치되어 고정판(150)과 체결판(310)이 상호 맞닿게 되면 판스프링(155)의 눌림 작용으로 체결판(310)이 역회전 또는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제1스크류체결홀(313)과 제2스크류체결홀(153)에 스크류가 체결되어 디바이스체결부(300)의 인위적 해체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8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의 실제 제품 상면을 보인 사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의의 실제 제품 저면을 보인 사진으로, 실제로 적용 가능한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상단봉연결부
110: 베이스박스
150: 고정판
200: 천장고정설치부
210: 베이스판
250: 회전판
300: 디바이스체결부
310: 체결판
320: 상단봉
330: 하단봉

Claims (7)

  1.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판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판이 조립 설치되는 천장고정설치부;가 구비되되, 상기 회전판에는 중앙 제2통공을 중심으로 외곽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나사 및 칼블럭홀과 앙카홀; 및 상기 베이스판에는 중앙 제1통공을 중심으로 외곽에 형성되어 나사 및 칼블럭홀 또는 앙카홀과 일치되도록 한 한 쌍의 혼합홀;이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는 회전판이 삽입되어 작동되도록 한 작동홈과 이 작동홈의 외곽에 형성되어 회전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편;이 포함되고,
    상기 천장고정설치부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베이스박스와 이 베이스박스의 내부 하단에 고정판이 조립 설치되는 상단봉연결부; 및
    상기 상단봉연결부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는 체결판과 이 체결판의 하단으로 상단봉과 하단봉이 돌출 구비되는 디바이스체결부;가 포함되되,
    상기 체결판에 구비되는 상단봉은 직경 사이즈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호 호환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는,
    중앙 제3통공을 중심으로 근방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체결구와 외곽에 끼움돌기에 끼워지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끼움홈;
    상기 베이스박스에는,
    저면에 체결판의 착탈을 서포트 해주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개구부와 걸림턱;
    상기 베이스박스를 중심으로 체결판과 고정판을 상호 견고하고 용이하게 맞닿아 설치하되 체결판에는,
    외곽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며, 걸림턱과 개구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한 걸림편; 및
    체결구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체결홈;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
  4. 청구항 1 또는 3 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박스에는,
    장비를 일측면에서 넣었다 뺄 수 있도록 한 장홀;
    장홀에 선택적으로 조립 설치되며, 케이블을 인입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절개홈이 형성된 측면커버; 및 아울러
    상기 베이스박스의 타측면에는 케이블을 측면에서 인입시키는 제2절개홈;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
  5. 청구항 1 또는 3 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과 고정판에는,
    인위적으로 체결판의 해체를 방지하게 스크류가 체결되는 제1스크류체결홀과 제2스크류체결홀;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
  6.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체결홈의 좁은 홀에 걸려지도록 내측에 로킹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은,
    체결구가 끼워지는 부위는 홈의 구멍이 크게 형성되고, 회전시 걸려지는 부위 홈의 구멍은 로킹부에 걸려지도록 작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
  7. 청구항 1 또는 3 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삽입홈을 형성하고, 이 판스프링삽입홈에는 우수한 체결성과 체결판의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하는 판스프링;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
KR1020170103745A 2017-08-16 2017-08-16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 KR101799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745A KR101799831B1 (ko) 2017-08-16 2017-08-16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745A KR101799831B1 (ko) 2017-08-16 2017-08-16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831B1 true KR101799831B1 (ko) 2017-11-21

Family

ID=6080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745A KR101799831B1 (ko) 2017-08-16 2017-08-16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8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01Y1 (ko) * 2008-06-13 2010-08-30 이장옥 프로젝터 또는 감시 카메라 설치를 위한 브래킷용 베이스와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브래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01Y1 (ko) * 2008-06-13 2010-08-30 이장옥 프로젝터 또는 감시 카메라 설치를 위한 브래킷용 베이스와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35393B2 (en) Handrail and end member assembly
US3612461A (en) Light fixture supporting clip
DE60108971T2 (de) Fern- befestigbare und trennbare kupplung
EP0698699A2 (en) Panel connector for office partition panels
US8813442B1 (en) Snap-together window frame
US6545216B1 (en) Electrical box for supporting various fixtures having different fixture fastener offset widths
KR101695190B1 (ko)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US20110147326A1 (en) Shower rod snap-fit assembly
US20020043033A1 (en) Access door mounted on pivoting frame
US9464476B2 (en) Wall entry tunnel for a pet door
KR101799831B1 (ko)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
JP2011503456A (ja) 接続取付具及び取付構成
US6386518B1 (en) Handrail and end member assembly
EP1331430A2 (en) A device suitable for connection thereto of a component, such as a flat panel display screen, as well as a carrier suitable for use with such a device
US7003129B2 (en) Wall mounted speaker enclosure
KR101622588B1 (ko) 돔형 감시카메라용 설치 높낮이 조절형 마운팅 브래킷
CN214224173U (zh) 一种具有传感器快拆结构的移动机器人
KR101928994B1 (ko)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US6455775B1 (en) Light fixture assembly and installation structure capable of both hanging and suspended applications
KR200361704Y1 (ko) 조명기기의 고정장치
KR20070114573A (ko) 감시카메라 고정장치
CN208548502U (zh) 一种面板组装结构
KR20170119498A (ko) 패널 마감용 클립 브라켓
JPS6322577Y2 (ko)
KR101645094B1 (ko) 펜스형 차단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