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5190B1 -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5190B1
KR101695190B1 KR1020160106004A KR20160106004A KR101695190B1 KR 101695190 B1 KR101695190 B1 KR 101695190B1 KR 1020160106004 A KR1020160106004 A KR 1020160106004A KR 20160106004 A KR20160106004 A KR 20160106004A KR 101695190 B1 KR101695190 B1 KR 101695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nut
ring
hole
rotary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규
Original Assignee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106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5Connections of mullions and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재와 수평채널의 연결을 견고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평채널(20)의 개구부(26)로 출입하는 회전링(30); 회전링(30)의 외측에 형성되는 후방걸림턱(31)(32); 회전링(30)에 형성되는 원형관통구멍(33); 원형관통구멍(33)에 형성되는 경방향걸림홈(34)(35); 원형관통구멍(33)에 형성되는 축방향걸림홈(36)(37); 회전링(30)에 겹치거나 서로 이격되는 회전너트(40); 회전너트(40)에 형성되어 후방걸림턱(31)(32)과 'X'자 모양으로 교차되는 전방걸림턱(41)(42); 원형관통구멍(33)으로 삽입되는 원통회전부(43); 원통회전부(43)의 중심에 형성되는 나사구멍(46); 원통회전부(43)에 형성되는 걸림돌기(44)(45);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에 설치되는 스프링걸림핀(52)(54); 회전너트(40)와 회전링(30)에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리턴스프링(50); 원통회전부(43)에 설치되는 날개와셔(70); 날개와셔(70)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편(71)(72); 회전너트(40)와 회전링(30) 사이에서 반발하는 잠금스프링(80)(82); 잠금스프링(80)(82)을 수용하는 스프링걸림홈(47)(48)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Truss Coupling Device for Apparatment Curtain Wall}
본 발명은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재와 수평채널의 연결을 견고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튼월은 주로 공장에서 생산된 부재를 이용해서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비내력 외벽으로서, 수직력은 받지 않고 횡력(풍력, 지진력 등)만 받는다. 특히,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구실을 하며 기둥과 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유리 등을 사용한 근대적인 벽면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커튼월의 뼈대에 해당하는 조립식 트러스에 관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75443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재(10)와 수평채널(12)의 교차부위를 볼트(14)와 사각너트(16)를 이용해서 연결하도록 된 것으로, 수직재(10)에 형성된 체결구멍(11a)(11b)으로 볼트(14)를 통과시킨 다음 반대편으로 돌출된 볼트(14)의 끝 부분을 사각와셔(18)에 형성된 관통구멍(19)에 끼운 후 수평채널(12)의 내부에 위치된 사각너트(16)의 나사구멍(17)에 결합해서 수직재(10)와 수평채널(12)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었다.
양끝이 나란하게 절곡된 수평절곡부(18a)(18b)를 갖는 사각와셔(18)를 수직재(10)와 수평채널(12) 사이에 설치하여 사각와셔(18)에 형성된 수평절곡부(18a)(18b)가 수평채널(12)에 형성된 상부립(12a)과 하부립(12b)의 절곡부위 외측모서리에 밀착되면서 수평채널(12)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었다.
사각너트(16)는 한쪽 변 길이가 수평채널(12)에 형성된 상부립(12a)과 하부립(12b) 사이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장방형으로 되어 있는데, 사각너트(16)를 수평채널(12)의 안쪽으로 진입시킬 때 사각너트(16)를 수평하게 회전시킨 상태에서 수평채널(12)의 안쪽으로 집어넣고 다시 수직으로 세워서 사각너트(16)가 상부립(12a)과 하부립(12b)의 내측에 걸리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너트(16)를 수평채널(12)의 내측에서 회전시킬 때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각너트(16)의 상하단부와 수평채널(12) 사이에 갭(G1)(G2)을 부여해야 하기 때문에 사각너트(16)의 상하단을 상부립(12a)과 하부립(12b)의 내측 코너에 완전하게 밀착시킬 수 없으므로 견고한 결합력을 얻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것을 해결하려고 사각너트(16)를 수평채널(12)의 끝 부분을 통해 수평채널(12)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해서 조립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수평채널(12)을 수직재(10)에 설치하기 전에 조립에 필요한 수량의 사각너트(16)를 미리 수평채널(12)에 집어넣은 상태에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분실의 위험도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754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직재와 수평채널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고, 조립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는, 수평채널에 형성된 절곡부 사이의 개구부로 출입하는 회전링; 회전링의 외측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절곡부에 걸리는 한 쌍의 후방걸림턱; 회전링의 중심에 형성되는 원형관통구멍; 원형관통구멍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경방향걸림홈; 원형관통구멍의 후방측 구멍모서리를 따라 각각 원호모양으로 형성되고, 서로 상반된 위치의 한쪽 끝 부분이 경방향걸림홈과 각각 만나는 한 쌍의 축방향걸림홈; 회전링에 겹치거나 서로 이격되는 회전너트; 회전너트의 외측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절곡부에 걸리고, 후방걸림턱과 'X'자 모양으로 교차되는 한 쌍의 전방걸림턱; 회전너트의 중심에 형성되고, 원형관통구멍으로 삽입되는 원통회전부; 원통회전부의 중심에 형성되어 볼트와 결합되는 나사구멍; 원통회전부에 형성되고, 회전너트와 회전링의 상대 회전각에 따라 경방향걸림홈에 걸리거나 축방향걸림홈을 따라 미끄러지는 한 쌍의 걸림돌기; 후방걸림턱과 전방걸림턱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걸림핀; 스프링걸림핀에 양단이 연결되고, 후방걸림턱과 전방걸림턱의 상하부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회전너트와 회전링에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리턴스프링; 원통회전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날개와셔; 날개와셔에 형성되어 축방향걸림홈으로 진입되거나 회전링의 후면에 걸려서 미끄러지는 이탈방지편; 회전너트와 회전링 사이에서 반발하여 회전너트와 회전링을 이격시키는 잠금스프링; 회전너트에 형성되어 잠금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걸림홈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에 각각 형성된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을 수평채널(20)에 형성된 상부립(22)과 하부립(24)의 내측 코너에 완전히 밀착시켜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수직재(21)와 수평채널(20)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를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의 상하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를 수평채널(20)에 형성된 개구부(26)로 진입시킬 수 있으므로, 수직재(21)와 수평채널(20)의 조립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의 상하 높이가 낮아진 상태를 걸림돌기(44)(45)와 경방향걸림홈(34)(35)에 의해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를 수평채널(20)의 개구부(26)로 진입시키는 동안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걸림돌기(44)(45)가 경방향걸림홈(34)(35)에 걸림 상태에서 잠금스프링(80)(82)의 반발력을 이용해서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의 사이가 좁아지지 못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돌기(44)(45)와 경방향걸림홈(34)(35)의 걸림이 자연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를 서로 밀착시키면 걸림돌기(44)(45)와 경방향걸림홈(34)(35)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리턴스프링(50)에 의해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가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이 수평채널(20)에 형성된 상부립(22)과 하부립(24)의 안쪽에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가 리턴스프링(50)에 의해 회전될 때 걸림돌기(44)(45)가 축방향걸림홈(36)(37)에 걸린 채 축방향걸림홈(36)(37)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의 사이가 벌어질 때 날개와셔(70)에 형성된 이탈방지편(71)(72)이 축방향걸림홈(36)(37)에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의 벌어지는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가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의 후방측 모서리에 형성된 면취부(31c)(32c)(41c)(42c)에 의해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이 상부립(22)과 하부립(24)의 모서리를 부드럽게 타고 넘어가도록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탈방지편(71)(72)에 형성된 면취부(71c)(72c)에 의해 이탈방지편(71)(72)이 축방향걸림홈(36)(37)의 끝 부분에 형성된 모서리를 타고 넘는 것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2는 종래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측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너트와 회전링이 수평채널의 개구부를 통해 수평채널의 안쪽으로 진입되고, 볼트에 결합된 것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7은 도 6의 상태로부터 회전너트와 회전링이 회전되어 후방걸림턱과 전방걸림턱이 상부립과 하부립에 걸린 것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너트와 회전링, 리턴스프링 및 그 주변 부품들이 하나의 뭉치 형태로 조립된 상태에서 수직재와 수평채널로부터 분리된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의 배면측 분리사시도
도 10은 도 6의 정단면도
도 11은 도 7의 정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측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링과 회전너트의 사이가 벌어진 것을 보인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상태로부터 회전너트와 회전링에 서로 밀착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16은 도 14의 배면도
도 17은 도 15의 배면도
도 18은 도 16의 사시도
도 19는 도 17의 사시도
도 20은 도 16의 정면사시도
도 21은 도 17의 정면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와셔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채널(20)에 형성된 상부립(22)과 하부립(24) 사이의 개구부(26)로 출입하는 회전링(30); 회전링(30)의 외측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립(22)과 하부립(24)에 각각 걸리는 한 쌍의 후방걸림턱(31)(32); 회전링(30)의 중심에 형성되는 원형관통구멍(33); 원형관통구멍(33)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경방향걸림홈(34)(35); 원형관통구멍(33)의 후방측 구멍모서리를 따라 각각 원호모양으로 형성되고, 서로 상반된 위치의 한쪽 끝 부분이 경방향걸림홈(34)(35)과 각각 만나는 한 쌍의 축방향걸림홈(36)(37)을 포함한다.
회전링(3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경방향걸림홈(34)(35)과 축방향걸림홈(36)(37)은 원형관통구멍(33)의 구멍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대칭되게 형성할 수 있고, 축방향걸림홈(36)(37)은 회전링(30)의 후면에서 회전링(30)의 두께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전링(30)에 겹치거나 서로 이격되는 회전너트(40); 회전너트(40)의 외측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립(22)과 하부립(24)에 각각 걸리고, 후방걸림턱(31)(32)과 'X'자 모양으로 교차되는 한 쌍의 전방걸림턱(41)(42); 회전너트(40)의 중심에 형성되고, 원형관통구멍(33)으로 삽입되는 원통회전부(43); 원통회전부(43)의 중심에 형성되어 볼트(28)와 결합되는 나사구멍(46); 원통회전부(43)에 형성되고, 회전너트(40)와 회전링(30)의 상대 회전각에 따라 경방향걸림홈(34)(35)에 걸리거나 축방향걸림홈(36)(37)을 따라 미끄러지는 한 쌍의 걸림돌기(44)(45)를 포함한다.
나사구멍(46)은,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너트(40)와 원통회전부(43)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걸림돌기(44)(45)의 전후방향 두께는 축방향걸림홈(36)(37)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원통회전부(43)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하며, 회전너트(40)의 후면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걸림돌기(44)(45)를 형성한다.
걸림돌기(44)(45)는, 도 10 및 도 11,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방향걸림홈(34)(35)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회전너트(40)와 회전링(3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회전너트(40)와 회전링(30)의 축방향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역할을 하고, 걸림돌기(44)(45)가 축방향걸림홈(36)(37)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회전너트(40)와 회전링(30)의 축방향 이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회전너트(40)와 회전링(30)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돌기(44)(45)는, 원통회전부(43)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통회전부(43)의 외주면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할 수 있다.
회전너트(40)에 형성된 전방걸림턱(41)(42)의 후면은,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가 밀착되었을 때 후방걸림턱(31)(32)의 후면과 동일 평면으로 일치되도록 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후방걸림턱(31)과 전방걸림턱(41)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걸림핀(52)(54); 스프링걸림핀(52)(54)에 양단이 연결되고,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의 상하부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회전너트(40)와 회전링(30)에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리턴스프링(50)을 포함한다.
스프링걸림핀(52)(54)은,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걸림턱(31)과 전방걸림턱(41)에 형성된 핀구멍(31h)(41h)으로 압입하기 위한 압입부(52b)(54b)가 형성되며, 리턴스프링(50)의 양단을 걸기 위한 환형홈(52a)(54a)이 스프링걸림핀(52)(54)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리턴스프링(50)은, 예를 들면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양 끝을 고리 형태로 구부려서 만든 인장 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통회전부(43)의 단부에 설치되는 날개와셔(70); 날개와셔(70)에 형성되어 축방향걸림홈(36)(37)으로 진입되거나 회전링(30)의 후면에 걸려서 미끄러지는 이탈방지편(71)(72)을 포함한다.
날개와셔(70)는, 예를 들면 도 4, 도 5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체결공(73)(74)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날개와셔(70)에 천공하고, 원통회전부(43)의 단면에는 체결공(73)(74)과 대응하는 위치에 탭구멍(43a)(43b)을 형성해서 체결공(73)(74)을 통해 스크류(75)(76)를 통과시킨 다음 탭구멍(43a)(43b)에 결합해서 날개와셔(70)를 원통회전부(43)의 단부에 고정할 수 있다.
날개와셔(70)는, 일정한 두께의 강판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날개와셔(70)의 중심에는 볼트(28)를 중심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도넛구멍(77)을 형성한다.
이탈방지편(71)(72)은, 회전너트(40)와 회전링(30)이 이격되었을 때에는 축방향걸림홈(36)(37)으로 진입되어 걸리고, 회전너트(40)와 회전링(30)이 서로 밀착되었을 때에는 축방향걸림홈(36)(37)으로부터 벗어난 후 회전너트(40)와 함께 회전되면서 회전링(30)의 후면에 걸린다.
이탈방지편(71)(72)의 후방측 모서리에 면취부(71c)(72c)를 형성해서 이탈방지편(71)(72)이 축방향걸림홈(36)(37)으로부터 벗어날 때 모서리를 부드럽게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의 후방측 모서리에 면취부(31c)(32c)(41c)(42c)를 형성해서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가 회전될 때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이 면취부(31c)(32c)(41c)(42c)에 의해 상부립(22)과 하부립(24)의 모서리를 부드럽게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회전너트(40)와 회전링(30) 사이에서 반발하여 회전너트(40)와 회전링(30)을 이격시키는 잠금스프링(80)(82); 회전너트(40)에 형성되어 잠금스프링(80)(82)을 수용하는 스프링걸림홈(47)(48)을 포함한다.
잠금스프링(80)(82)은, 예컨대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만든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걸림홈(47)(48)은, 회전너트(40)의 후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회전너트(40)와 회전링(30)이 서로 밀착되었을 때 압축된 잠금스프링(80)(82)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며, 회전너트(40)와 회전링(30)이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잠금스프링(80)(82)은 회전너트(40)와 함께 회전되고 회전링(30)의 정면에서 미끄러진다.
도면 중 21은 수평채널(20)과 교차 결합되는 수직재를 나타낸 것이고, 21a와 21b는 수직재(21)에 형성되어 볼트(28)가 삽입되는 볼트구멍을 나타낸 것이며, 23은 수직재(21)와 수평채널(20) 사이에 위치되는 사각와셔를 나타낸 것이고, 23h는 사각와셔(23)에 형성된 삽입구멍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 날개와셔(70), 리턴스프링(50) 및 주변 부품들이 하나의 뭉치로 조립된 상태에서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의 상하높이는 낮아지고 좌우 폭은 넓어지도록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를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리턴스프링(50)의 길이가 점차 신장되면서 수축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게 되고, 걸림돌기(44)(45)는 원호형의 축방향걸림홈(36)(37)을 따라 미끄러지게 된다.
이때 걸림돌기(44)(45)가 축방향걸림홈(36)(37)의 끝에 이르러서 경방향걸림홈(34)(35)에 일치되면, 잠금스프링(80)(82)의 신장력에 의해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며, 걸림돌기(44)(45)가 경방향걸림홈(34)(35)을 따라 축방향으로 미끄러지는 동안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는 회전이 정지된 채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의 사이가 벌어지는 동안 날개와셔(70)에 형성된 이탈방지편(71)(72)이 축방향걸림홈(36)(37)으로 진입되어 걸리면,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가 더 이상 이격되지 않고 제한된 거리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이 이루는 상하높이가 낮아지면서 수평채널(20)에 형성된 개구부(26)로 진입할 수 있는 높이로 된다.
이후 볼트(28)를 수직재(21)에 형성된 볼트구멍(21a)(21b)으로 삽입해서 반대편으로 돌출된 볼트(28)의 나사부위에 사각와셔(23)를 끼운 다음 회전너트(40)에 형성된 나사구멍(46)에 볼트(28)를 결합시킨 후 수평채널(20)을 수직재(21)를 향해 밀착시키게 되면, 회전너트(40)와 회전링(30) 및 전방걸림턱(41)(42)과 후방걸림턱(31)(32)이 수평채널(20)의 개구부(26)를 통해 수평채널(20)의 안쪽으로 진입된다.
이와 같이 사이가 벌어져 있는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를 수평채널(20) 내부에서 강제로 밀착시키게 되면,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의 사이에 있는 잠금스프링(80)(82)은 압축되고, 걸림돌기(44)(45)는 경방향걸림홈(34)(35)을 따라 미끄러지게 된다.
이때 걸림돌기(44)(45)가 경방향걸림홈(34)(35)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축방향걸림홈(36)(37)의 끝에 도달되면, 경방향걸림홈(34)(35)의 걸림은 해제되고 리턴스프링(50)의 수축력에 의해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가 도 7, 도 11, 도 13, 도 17, 도 19,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의 좌우 폭은 좁아지고 상하높이는 높아지면서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이 상부립(22)과 하부립(24)의 내측면에 걸리게 된다.
이때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은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립(22)과 하부립(24)의 내측 코너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날개와셔(70)에 형성된 이탈방지편(71)(72)은 걸림돌기(44)(45)가 축방향걸림홈(36)(37)의 끝에 도달될 때 축방향걸림홈(36)(37)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리턴스프링(50)에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가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이탈방지편(71)(72)이 회전링(30)의 후면에 밀착된 채 미끄러지면서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의 회전을 돕게 된다.
이 과정에서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의 후방측 모서리에 형성된 면취부(31c)(32c)(41c)(42c)에 의해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이 상부립(22)과 하부립(24)의 모서리를 부드럽게 타고 넘는 작용을 해서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의 원활한 회전을 돕게 되며, 이탈방지편(71)(72)의 모서리에 형성된 면취부(71c)(72c)도 이탈방지편(71)(72)이 축방향걸림홈(36)(37)의 모서리를 부드럽게 타고 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가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회전링(30)과 회전너트(40)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잠금스프링(80)(82)은 회전너트(40)에 형성된 스프링걸림홈(47)(48)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너트(40)와 함께 회전되고, 회전링(30)의 정면에서 미끄러지게 된다.
이후 회전너트(40)의 나사구멍(46)에 결합되어 있던 볼트(28)를 타이트 하게 조이게 되면, 회전너트(40)에 의해 회전링(30)과 수평채널(20) 및 사각와셔(23)가 수직재(21)에 강하게 밀착되고,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이 상부립(22)과 하부립(24)의 내측 코너에 밀착되어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20 : 수평채널 21 : 수직재
21a,21b : 볼트구멍 22 : 상부립
24 : 하부립 23 : 사각와셔
23h : 삽입구멍 26 : 개구부
28 : 볼트 30 : 회전링
31,32 : 후방걸림턱 31c,32c,41c,42c,71c,72c : 면취부
31h,41h : 핀구멍 33 : 원형관통구멍
34,35 : 경방향걸림홈 36,37 : 축방향걸림홈
40 : 회전너트 41,42 : 전방걸림턱
43 : 원통회전부 43a,43b : 탭구멍
44,45 : 걸림돌기 46 : 나사구멍
47,48 : 스프링걸림홈 50 : 리턴스프링
52,54 : 스프링걸림핀 52a,54a : 환형홈
52b,54b : 압입부 70 : 날개와셔
71,72 : 이탈방지편 73,74 : 체결공
75,76 : 스크류 77 : 도넛구멍
80,82 : 잠금스프링

Claims (1)

  1. 수평채널(20)에 형성된 상부립(22)과 하부립(24) 사이의 개구부(26)로 출입하는 회전링(30);
    상기 회전링(30)의 외측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립(22)과 하부립(24)에 각각 걸리는 한 쌍의 후방걸림턱(31)(32);
    상기 회전링(30)의 중심에 형성되는 원형관통구멍(33);
    상기 원형관통구멍(33)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경방향걸림홈(34)(35);
    상기 원형관통구멍(33)의 후방측 구멍모서리를 따라 각각 원호모양으로 형성되고, 서로 상반된 위치의 한쪽 끝 부분이 상기 경방향걸림홈(34)(35)과 각각 만나는 한 쌍의 축방향걸림홈(36)(37);
    상기 회전링(30)에 겹치거나 서로 이격되는 회전너트(40);
    상기 회전너트(40)의 외측에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립(22)과 하부립(24)에 각각 걸리고, 상기 후방걸림턱(31)(32)과 'X'자 모양으로 교차되는 한 쌍의 전방걸림턱(41)(42);
    상기 회전너트(40)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관통구멍(33)으로 삽입되는 원통회전부(43);
    상기 원통회전부(43)의 중심에 형성되어 볼트(28)와 결합되는 나사구멍(46);
    상기 원통회전부(43)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너트(40)와 상기 회전링(30)의 상대 회전각에 따라 상기 경방향걸림홈(34)(35)에 걸리거나 상기 축방향걸림홈(36)(37)을 따라 미끄러지는 한 쌍의 걸림돌기(44)(45);
    상기 후방걸림턱(31)과 상기 전방걸림턱(41)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걸림핀(52)(54);
    상기 스프링걸림핀(52)(54)에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후방걸림턱(31)(32)과 전방걸림턱(41)(42)의 상하부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기 회전너트(40)와 상기 회전링(30)에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리턴스프링(50);
    상기 원통회전부(43)의 단부에 설치되는 날개와셔(70);
    상기 날개와셔(70)에 형성되어 상기 축방향걸림홈(36)(37)으로 진입되거나 상기 회전링(30)의 후면에 걸려서 미끄러지는 이탈방지편(71)(72);
    상기 회전너트(40)와 상기 회전링(30) 사이에서 반발하여 상기 회전너트(40)와 상기 회전링(30)을 이격시키는 잠금스프링(80)(82);
    상기 회전너트(40)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스프링(80)(82)을 수용하는 스프링걸림홈(47)(48);
    을 포함하는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KR1020160106004A 2016-08-22 2016-08-22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KR101695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004A KR101695190B1 (ko) 2016-08-22 2016-08-22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004A KR101695190B1 (ko) 2016-08-22 2016-08-22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190B1 true KR101695190B1 (ko) 2017-01-11

Family

ID=57832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004A KR101695190B1 (ko) 2016-08-22 2016-08-22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19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2588A (zh) * 2018-04-02 2018-08-24 武汉凌云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异形立体多边形单元幕墙的设计方法
CN111021603A (zh) * 2019-12-16 2020-04-17 北京建磊国际装饰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装饰幕墙
CN111255186A (zh) * 2020-03-11 2020-06-09 温州林信科技有限公司 一种装饰外墙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203311B1 (ko) 2020-08-12 2021-01-15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커튼월 트러스 연결장치
CN114000628A (zh) * 2021-11-20 2022-02-01 天津武清建总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单元式幕墙的防跳结构
CN115012569A (zh) * 2022-07-21 2022-09-06 仪征市恒盛机械有限公司 一种幕墙固定装置及应用该固定装置的幕墙
KR102489024B1 (ko) * 2022-04-27 2023-01-17 (주)에잇플러스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외장패널 지지장치
KR102615351B1 (ko) 2023-04-10 2023-12-19 주식회사 솔빛엔지니어링 건축용 커튼월의 트러스 연결장치
KR102632517B1 (ko) 2023-04-07 2024-02-05 (주)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커튼월의 트러스 연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294A (ja) * 1999-08-23 2001-03-06 Hitachi Metals Techno Ltd 板状部材の支持構造
KR100375443B1 (ko) 2000-04-01 2003-03-19 (주)화인커튼월 커튼월용 조립식 철재 트러스
KR101370380B1 (ko) * 2013-07-29 2014-03-05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기능성 파티션
KR101563966B1 (ko) * 2015-07-03 2015-10-28 (주)상우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294A (ja) * 1999-08-23 2001-03-06 Hitachi Metals Techno Ltd 板状部材の支持構造
KR100375443B1 (ko) 2000-04-01 2003-03-19 (주)화인커튼월 커튼월용 조립식 철재 트러스
KR101370380B1 (ko) * 2013-07-29 2014-03-05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기능성 파티션
KR101563966B1 (ko) * 2015-07-03 2015-10-28 (주)상우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2588A (zh) * 2018-04-02 2018-08-24 武汉凌云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异形立体多边形单元幕墙的设计方法
CN108442588B (zh) * 2018-04-02 2020-11-10 武汉凌云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异形立体多边形单元幕墙的设计方法
CN111021603A (zh) * 2019-12-16 2020-04-17 北京建磊国际装饰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装饰幕墙
CN111255186A (zh) * 2020-03-11 2020-06-09 温州林信科技有限公司 一种装饰外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11255186B (zh) * 2020-03-11 2021-06-08 深圳市科祺装饰科技有限公司 一种装饰外墙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203311B1 (ko) 2020-08-12 2021-01-15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커튼월 트러스 연결장치
CN114000628A (zh) * 2021-11-20 2022-02-01 天津武清建总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单元式幕墙的防跳结构
KR102489024B1 (ko) * 2022-04-27 2023-01-17 (주)에잇플러스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외장패널 지지장치
CN115012569A (zh) * 2022-07-21 2022-09-06 仪征市恒盛机械有限公司 一种幕墙固定装置及应用该固定装置的幕墙
CN115012569B (zh) * 2022-07-21 2023-10-17 仪征市恒盛机械有限公司 一种幕墙固定装置及应用该固定装置的幕墙
KR102632517B1 (ko) 2023-04-07 2024-02-05 (주)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커튼월의 트러스 연결장치
KR102615351B1 (ko) 2023-04-10 2023-12-19 주식회사 솔빛엔지니어링 건축용 커튼월의 트러스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190B1 (ko)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RU2487285C1 (ru) Стяжной элемент
US5297886A (en) Connector bracket
JPH05215112A (ja) 木製部品の固定装置及び方法
EP0467066B1 (de) Vorgehängte Fassade in Elementbauweise
JP2546686Y2 (ja) 固定クリップ
US3720256A (en) Screen framing construction
KR101825662B1 (ko) 건축물의 마감패널 고정장치
US9413150B2 (en) Locking mechanism for control box
DE3808334C1 (en) Clamp for fastening a pipe
US20030000169A1 (en) Corner key with angled ribs
KR101969058B1 (ko) 임시구조물조립장치
US3163264A (en) Joint for securing structural members
JPH04136515A (ja) 結合構造およびパネル状材の結合構造
DE3319264C2 (ko)
GB2033526A (en) Joints
JP6385142B2 (ja) 枠連結金具
KR200144934Y1 (ko) 창문의 프레임 고정장치
KR20190073054A (ko) 가설 방음벽용 클램프
TWI797472B (zh) 建材之連結裝置、其連結構造及其連結方法
JPH0748782Y2 (ja) 溝蓋用受枠の連結装置
SE540264C2 (en) Framing section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1799831B1 (ko) 디바이스 고정용 가동 브라켓
RU2285099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петли
JP6815967B2 (ja) 緩止め治具、及び、緩止め構造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