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966B1 -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966B1
KR101563966B1 KR1020150095077A KR20150095077A KR101563966B1 KR 101563966 B1 KR101563966 B1 KR 101563966B1 KR 1020150095077 A KR1020150095077 A KR 1020150095077A KR 20150095077 A KR20150095077 A KR 20150095077A KR 101563966 B1 KR101563966 B1 KR 101563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portions
square nut
nut
portions
in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기
Original Assignee
(주)상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상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95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5Connections of mullions and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재와 수평채널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사각너트의 움직임을 수평채널 내부에서 일부분 구속하여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한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랜지(31)(32)의 끝부분에서 안쪽을 향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내향절곡부(33)(34); 사각너트(50)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플랜지(31)(32)와 내향절곡부(33)(34)가 만나는 절곡부위의 안쪽코너로 삽입되어 걸리는 누름턱(52)(54); 사각너트(50)에 설치되는 평판형의 고정판(61)과, 고정판(61)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S"자 모양의 파형절곡부(62)(63)와, 파형절곡부(62)(63) 끝부분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향절곡부(33)(34)의 외측면에 일방향으로 걸리는 탄성걸림편(64)(65)과, 탄성걸림편(64)(65)의 측부에 형성되는 해제손잡이(66)(67)를 갖는 판스프링(60); 및 사각너트(50)와 고정판(61)을 결합하는 파스너(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Curtain Walls Prefabricated Trusses Connector for Appara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재와 수평채널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사각너트의 움직임을 수평채널 내부에서 일부분 구속하여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한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튼월은 주로 공장에서 생산된 부재를 이용해서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비내력 외벽으로, 수직력은 받지 않고 횡력(풍력, 지진력 등)만 받는다. 특히,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구실을 하며 기둥과 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유리 등을 사용한 근대적인 벽면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커튼월의 뼈대에 해당하는 조립식 트러스에 관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37544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을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십자모양으로 교차하는 수직재(10)와 수평재(12)를 볼트(14)와 고정철물(16)에 의해 연결하도록 된 것으로, 수직재(10)에 형성된 체결구멍(11)으로 볼트(14)를 관통시킨 다음 반대편으로 돌출된 볼트(14) 끝을 가이드채널(18)에 형성된 관통구멍(19)에 끼운 후 수평재(12) 내부에 위치된 고정철물(16)에 형성된 나사구멍(17)에 볼트(14)를 결합해서 수직재(10)와 수평재(12)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었다.
또, 양끝이 같은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직각절곡부(부호생략)를 갖는 가이드채널(18)을 수직재(10)와 수평재(12) 사이에 설치하여 가이드채널(18)에 형성된 직각절곡부가 수평재(12)에 형성된 립(13)의 절곡부위 외측에 밀착되면서 수평재(12)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볼트(14)와 고정철물(16)을 서로 결합하기 전까지 고정철물(16)이 수평재(12) 내부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별도로 만들어진 가이드채널(18)을 수직재(10)와 수평재(12) 사이에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취급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설치도중에 분실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고정철물(16)이 볼트(14)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따라 돌기 때문에 고정철물(16)의 끝부분이 립(13)의 절곡부위 안쪽 코너의 라운드 부위에 접촉되면서 고정철물(16)과 립(13) 사이가 들뜨고 불완전하게 결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3754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볼트와 사각너트를 결합할 때 사각너트를 잡지 않고 조립할 수 있으며, 취급이 간편하고 부품 분실의 염려를 덜 수 있고, 수평채널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볼트와 사각너트를 결합할 때 사각너트가 볼트와 함께 따라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는 플랜지의 끝부분에서 안쪽을 향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내향절곡부; 사각너트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플랜지와 내향절곡부가 만나는 절곡부위의 안쪽코너로 삽입되어 걸리는 누름턱; 사각너트에 설치되는 평판형의 고정판과, 고정판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S"자 모양의 파형절곡부와, 파형절곡부 끝부분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향절곡부의 외측면에 일방향으로 걸리는 탄성걸림편과, 탄성걸림편의 측부에 형성되는 해제손잡이를 갖는 판스프링; 및 사각너트와 고정판을 결합하는 파스너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각너트를 판스프링에 의해 수평채널에 형성된 내향절곡부에 걸리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볼트와 사각너트 체결 작업시 사각너트를 잡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볼트 체결작업을 보다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평채널에 형성된 내향절곡부가 사각너트에 형성된 누름턱에 걸려 있기 때문에 수평채널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종래와 같은 가이드채널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취급이 간편하고 부품 분실위험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름턱과 내향절곡부에 형성된 활주면이 서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를 회전시킬 때 사각너트가 볼트와 함께 따라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각너트와 플랜지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판스프링에 형성된 파형절곡부가 "S"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걸림편의 일방향 걸림작용에 대한 예민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해제손잡이를 이용해서 탄성걸림편의 걸림을 해제하여 사각너트를 내향절곡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각너트를 수평채널로부터 분리/결합하는 것이 자유롭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2는 종래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와 판스프링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가 판스프링에 의해 수평채널에 고정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이 해제손잡이에 의해 걸림이 해제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가 수평채널로부터 분리된 것을 보인 분리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재(20)와 수평채널(30)의 교차부위가 볼트(40)와 사각너트(50)에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재(20)에 밀착되는 플랜지(31)(32)가 수평채널(30)에 형성된다.
상기 수평채널(30)에 형성된 플랜지(31)(32)의 끝부분에서 안쪽을 향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내향절곡부(33)(34)를 형성하고, 상기 사각너트(50)의 상하부에는 플랜지(31)(32)와 내향절곡부(33)(34)가 만나는 절곡부위의 안쪽코너로 삽입되어 걸리는 누름턱(52)(54)을 형성하며, 사각너트(50)를 내향절곡부(33)(34)에 걸리도록 하기 위한 판스프링(60)을 구비한다.
상기 판스프링(60)은, 사각너트(50)에 설치되는 평판형의 고정판(61)과, 고정판(61)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S"자 모양의 파형절곡부(62)(63)와, 파형절곡부(62)(63) 끝부분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향절곡부(33)(34)의 외측면에 일방향으로 걸리는 탄성걸림편(64)(65)과, 탄성걸림편(64)(65)의 측부에 형성되는 해제손잡이(66)(67)를 갖는다.
또, 판스프링(60)에 형성된 고정판(61)을 파스너(fastener)(70)에 의해 사각너트(50)에 결합하며, 파스너(70)는 예를 들면 리벳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 판스프링(60)에 형성된 고정판(61)과 사각너트(50)에 서로 중심이 일치되는 리벳구멍(56)(68)을 형성하여 리벳으로 결합하도록 한다.
사각너트(50)의 중앙에는 볼트(40)와 나사 결합되는 탭구멍(58)이 형성되며, 판스프링(60)에 형성된 고정판(61)에는 탭구멍(58)과 중심이 일치되는 관통구멍(69)을 형성하여 수직재(20)에 형성된 체결공(22)(24)과 고정판(61)에 형성된 관통구멍(69)을 통해 볼트(40)가 통과된 후 탭구멍(58)에 결합되도록 한다.
누름턱(52)(54)과 내향절곡부(33)(34)에는 서로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평평한 활주면(33s)(52s)을 형성하여 볼트(40)에 의해 사각너트(50)가 당겨질 때 누름턱(52)(54)에 형성된 활주면(52s)이 내향절곡부(33)(34)에 형성된 활주면(33s)에서 미끄러지면서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판스프링(60)에 형성되는 고정판(61), 파형절곡부(62)(63), 탄성걸림편(64)(65), 해제손잡이(66)(67)는 모두 하나의 강판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특히 해제손잡이(66)(67)는 탄성걸림편(64)(65)의 양단에 각각 형성하여 판스프링(60)의 양쪽 또는 한쪽에서 해제손잡이(66)(67)를 잡고 탄성걸림편(64)(65)의 걸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60)과 결합된 사각너트(50)를 수평채널(30)의 단부를 통해 안쪽으로 집어넣은 다음 도 10의 화살표방향으로 밀게 되면, 누름턱(52)(54)이 플랜지(31)(32)와 내향절곡부(33)(34)가 이루는 안쪽의 코너로 진입되면서 누름턱(52)(54)에 형성된 활주면(52s)이 내향절곡부(33)(34)에 형성된 활주면(33s)을 타고 미끄러지게 된다.
이때 판스프링(60)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걸림편(64)(65)이 파형절곡부(62)(63)에 의해 내향절곡부(33)(3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면서 내향절곡부(33)(34)에서 미끄러지면서 누름턱(52)(54)이 플랜지(31)(32)를 향해 움직이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이 판스프링(60)에 의해 내향절곡부(33)(34)에 걸려 있는 사각너트(50)가 도 10에 나타낸 화살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는 경우 이번에는 탄성걸림편(64)(65)이 파형절곡부(62)(63)에 의해 내향절곡부(33)(34)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휘면서 사각너트(50)가 내향절곡부(33)(3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너트(50)가 내향절곡부(33)(34)에 물려 있는 상태에서 수평채널(30)을 수직재(20)에 십자모양으로 밀착시킨 다음 사각너트(50)를 수평채널(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여서 수직재(20)에 형성된 체결공(22)(24)의 구멍중심에 사각너트(50)에 형성된 탭구멍(58)의 중심이 일치시킨다.
이후 수직재(20)에 형성된 체결공(22)(24)을 통해 볼트(40)를 집어넣고, 다시 판스프링(60)의 고정판(61)에 형성된 관통구멍(69)으로 볼트(40)를 통과시켜서 사각너트(50)에 형성된 탭구멍(58)에 나사결합해서 조이게 되면, 사각너트(50)가 수직재(20)를 향해 움직이면서 누름턱(52)(54)에 의해 플랜지(31)(32)가 수직재(20)에 강하게 밀착되고, 수평채널(30)과 수직재(20)이 서로 밀착되면서 결합력을 갖게 된다.
이때 내향절곡부(33)(34)가 누름턱(52)(54)에 걸려 있기 때문에 수평채널(30)의 플랜지(31)(32)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볼트(40)와 사각너트(50)를 결합할 때 사각너트(50)를 잡고 있지 않아도 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누름턱(52)(54)에 형성된 활주면(52s)이 내향절곡부(33)(34)에 형성된 활주면(33s)에서 미끄러지면서 안내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40)의 회전력에 의해 사각너트(50)가 따라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직재(20)와 수평채널(30)을 서로 분리하는 경우에는 우선 볼트(40)를 풀어서 사각너트(50)로부터 분리한 다음 판스프링(60)이 갖는 해제손잡이(66)(67)를 손가락으로 잡고 도 11에 나타낸 화살표방향인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탄성걸림편(64)(65)이 내향절곡부(33)(34)로부터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사각너트(50)를 도 12에 도시한 화살표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사각너트(50)가 내향절곡부(33)(34)로부터 분리되어 수평채널(30)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잡고 있던 해제손잡이(66)(67)로부터 손을 떼게 되면, 탄성걸림편(64)(65)이 파형절곡부(62)(6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재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 파형절곡부(62)(63)가 "S"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절곡부위가 다수로 되고, 탄성변형구간이 연장되어 보다 작은 힘으로도 큰 변형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탄성걸림편(64)(65)의 움직임이 예민하게 된다.
20 : 수직재 22,24 : 체결공
30 : 수평채널 31,32 : 플랜지
33,34 : 내향절곡부 33s,52s : 활주면
40 : 볼트 50 : 사각너트
52,54 : 누름턱 58 : 탭구멍
56,68 : 리벳구멍 60 : 판스프링
61 : 고정판 62,63 : 파형절곡부
64,65 : 탄성걸림편 66,67 : 해제손잡이
69 : 관통구멍 70 : 파스너

Claims (1)

  1. 수직재(20)와 수평채널(30)의 교차부위가 볼트(40)와 사각너트(50)에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재(20)에 밀착되는 플랜지(31)(32)가 수평채널(30)에 형성된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1)(32)의 끝부분에서 안쪽을 향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내향절곡부(33)(34);
    상기 사각너트(50)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31)(32)와 내향절곡부(33)(34)가 만나는 절곡부위의 안쪽코너로 삽입되어 걸리는 누름턱(52)(54);
    상기 사각너트(50)에 설치되는 평판형의 고정판(61)과, 상기 고정판(61)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S"자 모양의 파형절곡부(62)(63)와, 상기 파형절곡부(62)(63) 끝부분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내향절곡부(33)(34)의 외측면에 일방향으로 걸리는 탄성걸림편(64)(65)과, 상기 탄성걸림편(64)(65)의 측부에 형성되는 해제손잡이(66)(67)를 갖는 판스프링(60); 및
    상기 사각너트(50)와 상기 고정판(61)을 결합하는 파스너(7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KR1020150095077A 2015-07-03 2015-07-03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KR101563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077A KR101563966B1 (ko) 2015-07-03 2015-07-03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077A KR101563966B1 (ko) 2015-07-03 2015-07-03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966B1 true KR101563966B1 (ko) 2015-10-28

Family

ID=54429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077A KR101563966B1 (ko) 2015-07-03 2015-07-03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96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190B1 (ko) * 2016-08-22 2017-01-11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KR101751888B1 (ko) 2017-05-02 2017-06-29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외장패널 고정장치
CN108729560A (zh) * 2018-07-11 2018-11-02 中国电子系统工程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龙骨接头气密装置
KR102203311B1 (ko) 2020-08-12 2021-01-15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커튼월 트러스 연결장치
KR102615351B1 (ko) 2023-04-10 2023-12-19 주식회사 솔빛엔지니어링 건축용 커튼월의 트러스 연결장치
KR102632517B1 (ko) 2023-04-07 2024-02-05 (주)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커튼월의 트러스 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443B1 (ko) 2000-04-01 2003-03-19 (주)화인커튼월 커튼월용 조립식 철재 트러스
KR100859551B1 (ko) 2008-05-20 2008-09-22 주식회사 대지 커튼월 및 이를 건축 구조물에 장착하는 방법
JP2015030969A (ja) 2013-07-31 2015-02-16 Ykk Ap株式会社 カーテンウォ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443B1 (ko) 2000-04-01 2003-03-19 (주)화인커튼월 커튼월용 조립식 철재 트러스
KR100859551B1 (ko) 2008-05-20 2008-09-22 주식회사 대지 커튼월 및 이를 건축 구조물에 장착하는 방법
JP2015030969A (ja) 2013-07-31 2015-02-16 Ykk Ap株式会社 カーテンウォール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190B1 (ko) * 2016-08-22 2017-01-11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KR101751888B1 (ko) 2017-05-02 2017-06-29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외장패널 고정장치
CN108729560A (zh) * 2018-07-11 2018-11-02 中国电子系统工程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龙骨接头气密装置
KR102203311B1 (ko) 2020-08-12 2021-01-15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용 커튼월 트러스 연결장치
KR102632517B1 (ko) 2023-04-07 2024-02-05 (주)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커튼월의 트러스 연결장치
KR102615351B1 (ko) 2023-04-10 2023-12-19 주식회사 솔빛엔지니어링 건축용 커튼월의 트러스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966B1 (ko)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US9239131B1 (en) Adjustable hanger bars with detachment stop
TWI613347B (zh) 格柵龍骨之周邊修整夾具
US10508446B2 (en) Bridge clip
EP3423741B1 (en) Fixing apparatus and method
US8250822B2 (en) Wall framing system, method and product
CA2907475A1 (en) Bonding washer for a solar panel racking system
JP2017520696A5 (ko)
RU2487285C1 (ru) Стяжной элемент
RU2637670C2 (ru) Поддерживающая металлическая конструкция подвесного потолка
KR101805770B1 (ko) 공동주택용 커튼월 고정장치
WO2007131351A1 (en) Improved connections for suspended ceiling system
RU2699089C1 (ru) Упругий фиксирующий элемент и система фиксации плинтуса, содержащая плинтус и такой упругий фиксирующий элемент
KR100883391B1 (ko) 파이프 체결장치
KR101638598B1 (ko) 공동주택용 석재마감벽 고정장치
JP6591215B2 (ja) 緊結式足場における安全手摺
JP3383234B2 (ja) ビニールハウス端部のパイプ固定金具
KR101604114B1 (ko) 건축용 코너비드 고정장치
KR20110033720A (ko)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
US20120085061A1 (en) Profiled Bar for Frames and Relative Frame
KR101825662B1 (ko) 건축물의 마감패널 고정장치
KR102055240B1 (ko) 원터치로 고정이 가능한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십자 연결 장치
KR101263484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결합클립
JP7133439B2 (ja) 開口枠構造
JP6852899B2 (ja) 配管取付け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