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9551B1 - 커튼월 및 이를 건축 구조물에 장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커튼월 및 이를 건축 구조물에 장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9551B1
KR100859551B1 KR1020080046583A KR20080046583A KR100859551B1 KR 100859551 B1 KR100859551 B1 KR 100859551B1 KR 1020080046583 A KR1020080046583 A KR 1020080046583A KR 20080046583 A KR20080046583 A KR 20080046583A KR 100859551 B1 KR100859551 B1 KR 100859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bar
angle
curtai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지
Priority to KR1020080046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9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월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주체구조인 골조나 외벽에 장착되는 수평바와 수직바, 상기 수평바에 체결되는 수평앵글, 상기 수직바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앵글과 탄성적으로 암수결합되는 수직앵글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앵글은 전체적으로 ㄱ 자 형상을 갖도록 상기 수평바와 면하고 있는 수평부와 상기 수직바와 면하고 있는 탄성부인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부에는 체결수단인 나사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수직부는 상기 수직바와 면하고 있는 면이 매끈한 평면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선단에서 기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는 캠부를 상기 면과 등을 지고 있는 면의 하단에서 구비하고 있고, 두께가 축소된 단차부를 상기 캠부의 기단에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직앵글은 기립몸체, 상기 수직바와 면하고 있는 측에 상기 수직부가 위치결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 상태에서 상기 기립몸체의 상단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을 가진 수직돌출부, 상기 수직돌출부의 상단에서 상기 수직바에 대하여 멀어지는 쪽으로 돌출되어 탄성을 가진 수평돌출부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기립몸체의 중앙에는 체결수단인 나사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수직바와 면하고 있는 상기 수직돌출부의 면에는 상기 수직부의 면과 암수결합될 수 있는 형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튼월. 앵글

Description

커튼월 및 이를 건축 구조물에 장착하는 방법{CURTAIN WALL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TO A STRUCTURE}
본 발명은 커튼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튼월의 틀인 수직바와 수평바를 결합하는 앵글을 일체형이 아닌 분리형으로 만들어 커튼월의 수평바와 수직바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되는 커튼월의 수평바와 수직바 간의 결합구조와 커튼월을 건축구조물에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커튼월의 수평바와 수직바 간의 결합은 용접에 의해 수행되고 있었다.
하지만, 커튼월은 통상적으로 고층건물의 주체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에 결합되는 것이어서, 커튼월의 수평바와 수직바 간의 결합을 용접에 의해 수행한다면, 용접불똥이 고층건물 밖으로 튀어나가게 되어 화제나 인접 보행자의 화상을 유발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요즘에는 커튼월의 수평바와 수직바 간의 결합은 일체형 앵글에 의해서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수행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직바를 고층건물의 주체구조물에 고정하고, 그 다음 수평바의 단부를 상기 수직바의 단부와 맞춘 상태에서 일체형 앵글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수평바와 수직바를 고정시켜, 수평바와 수직바 간의 맞춤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수평바를 상기 주체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일체형 앵글을 이용하여 커튼월의 수평바와 수직바를 결합하는 방식은 위보기자세 체결과 위와 옆보기자세 맞춤이 동시에 이루지는 작업을 작업자에게 요구하여 커튼월의 설치 작업현장이 고층외벽 부근인 관계로, 작업자로 하여금 위험성을 극복하면서 세밀한 위치맞춤을 수행하게 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체형 앵글을 이용하여 수평바와 수직바가 서로 결합된 종래의 커튼월는 일체형 앵글, 체결수단, 수평바 및 수직바 간의 열팽창률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항상 동일한 재질의 앵글, 체결수단, 수평바 및 수직바로 이루어지게 되어 사계절의 온도차에 따른 커튼월의 구성요소들 간의 어긋남 또는 구성요소의 파손을 방지하고 있어서, 그 만큼 높은 제조비용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커튼월은 일체형 앵글을 실내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수평바와 수직바를 결합하는 방식이어서 미관상 좋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의 주체구조인 골조나 외벽에 장착되 는 수평바와 수직바, 상기 수평바에 체결되는 수평앵글, 상기 수직바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앵글과 탄성적으로 암수결합되는 수직앵글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앵글은 전체적으로 ㄱ 자 형상을 갖도록 상기 수평바와 면하고 있는 수평부와 상기 수직바와 면하고 있는 탄성부인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부에는 체결수단인 나사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수직부는 상기 수직바와 면하고 있는 면이 매끈한 평면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선단에서 기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는 캠부를 상기 면과 등을 지고 있는 면의 하단에서 구비하고 있고, 두께가 축소된 단차부를 상기 캠부의 기단에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직앵글은 기립몸체, 상기 수직바와 면하고 있는 측에 상기 수직부가 위치결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 상태에서 상기 기립몸체의 상단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을 가진 수직돌출부, 상기 수직돌출부의 상단에서 상기 수직바에 대하여 멀어지는 쪽으로 돌출되어 탄성을 가진 수평돌출부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기립몸체의 중앙에는 체결수단인 나사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수직바와 면하고 있는 상기 수직돌출부의 면에는 상기 수직부의 면과 암수결합될 수 있는 형상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바는 내부에 상기 수직앵글과 수평앵글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게 횡단면이 ㅁ 자 형상으로 되어 있는 수평바이며, 그 바닥부는 상기 수평바의 몸체로부터 탈착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양 다리부 선단의 내면에는 암형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의 양 측부에는 상기 요철부와 암수결합될 수 있게 상기 몸체 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을 갖지고 있는 숫형 요철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바와 면하고 있는 상기 수평부의 면에는 상기 관통구멍의 주위에서 두께가 축소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바와 면하고 있는 상기 기립몸체의 면에는 상기 관통구멍의 주위에서 두께가 축소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은 수평부재에 체결된 수평앵글을 수직부재에 체결된 수직앵글에 탄성적으로 억지끼워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은 상기 수평앵글과 수직앵글이 커튼월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수평바, 수직바 및 체결수단 등)와 다른 재질이어도 사계절에 따른 구성요들 간의 열팽창에 의한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은 수평바의 바닥면이 탈착가능하게 되어, 앵글이 수평바 내부 속에 삽입될 수 있어 미관을 좋게 한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커튼월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주체구조인 골조나 외벽에 장착되는 수평바(10)와 수직바(20), 상기 수평바(10)에 체결되는 수평앵글(30), 상기 수직바(20)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앵글(30)과 탄성적으로 암수결합되는 수직앵글(40)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앵글(30)은 전체적으로 ㄱ 자 형상을 갖도록 상기 수평바(10)와 면하고 있는 수평부(31)와 상기 수직바(20)와 면하고 있는 탄성부인 수직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31)에는 체결수단인 나사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바(10)와 면하고 있는 상기 수평부(31)의 면에는 상기 관통구멍(31a)의 주위에서 두께가 축소된 함몰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32)는 상기 수직바(20)와 면하고 있는 면(32a)이 매끈한 평면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선단에서 기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는 캠부(32c)를 상기 면(32a)과 등을 지고 있는 면(32b)의 하단에서 구비하고 있고, 두께가 축소된 단차부(32d)를 상기 캠부(32c)의 기단에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직앵글(40)은 기립몸체(41), 상기 수직바(20)와 면하고 있는 측에 상기 수직부(32)가 위치결정될 수 있는 공간(S)을 마련한 상태에서 상기 기립몸체(41)의 상단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을 가진 수직돌출부(42), 상기 수직돌출부(42)의 상단에서 상기 수직바(20)에 대하여 멀어지는 쪽으로 돌출되어 탄성을 가진 수평돌출부(43)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립몸체(41)의 중앙에는 체결수단인 나사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 멍(4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바(20)와 면하고 있는 상기 기립몸체(41)의 면에는 상기 관통구멍(41a)의 주위에서 두께가 축소된 함몰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바(20)와 면하고 있는 상기 수직돌출부(42)의 면(42a)에는 상기 수직부(32)의 면(32b)과 암수결합될 수 있는 형상부(42a1)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수평바(10)는 내부에 상기 수직앵글(30)과 수평앵글(4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게 횡단면이 ㅁ 자 형상으로 되어 있는 수평바이며, 그 바닥부(10b)은 상기 수평바(10)의 몸체(10a)로부터 탈착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몸체(10a)의 양 다리부 선단의 내면에는 암형 요철부(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10b)의 양 측부에는 상기 요철부(a)와 암수결합될 수 있게 상기 몸체(10a) 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을 갖지고 있는 숫형 요철부(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함몰부들(31b, 41b)은 수직앵글(40)과 수평앵글(40)이 서로 결합될 시 수직부(32)와 수직 돌출부(42)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것에 조력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커튼월은 다음과 같이 작용될 수 있다.
먼저, 수평바(10)와 마주하게 될 수직바(20)의 상하부 일측면에 수직앵글(40)을 체결수단에 의해 장착하고 나서 상기 수직바(20)를 건물의 구조물에 고정한다.
그 다음, 바닥부(10b)가 개방된 수평바(10)의 상면 내면 양측에 수평앵글(30)을 체결수단에 의해 장착하고 나서 양측의 수직앵글(42)과 양측의 수직돌출 부(42) 사이에 마련된 공간(S)에 각각 수평앵글(30)의 수직부(32)를 삽입하여 상기 수직돌출부(42)의 면(42a)과 상기 수직부(32)의 면(32b)과 암수결합되게 하고 나서, 수평바(10)를 건물의 구조물에 고정한다.
그 다음, 수평바(10)의 몸체에 바닥부(10b)를 장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의 수평앵글과 수직앵글의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의 수평바 몸체에 바닥부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5)

  1. 건물의 주체구조인 골조나 외벽에 장착되는 수평바(10)와 수직바(20), 상기 수평바(10)에 체결되는 수평앵글(30), 상기 수직바(20)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앵글(30)과 탄성적으로 암수결합되는 수직앵글(40)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앵글(30)은 전체적으로 ㄱ 자 형상을 갖도록 상기 수평바(10)와 면하고 있는 수평부(31)와 상기 수직바(20)와 면하고 있는 탄성부인 수직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부(31)에는 체결수단인 나사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31a)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수직부(32)는 상기 수직바(20)와 면하고 있는 면(32a)이 매끈한 평면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선단에서 기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커지는 캠부(32c)를 상기 면(32a)과 등을 지고 있는 면(32b)의 하단에서 구비하고 있고, 두께가 축소된 단차부(32d)를 상기 캠부(32c)의 기단에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직앵글(40)은 기립몸체(41), 상기 수직바(20)와 면하고 있는 측에 상기 수직부(32)가 위치결정될 수 있는 공간(S)을 마련한 상태에서 상기 기립몸체(41)의 상단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을 가진 수직돌출부(42), 상기 수직돌출부(42)의 상단에서 상기 수직바(20)에 대하여 멀어지는 쪽으로 돌출되어 탄성을 가진 수평돌출부(43)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기립몸체(41)의 중앙에는 체결수단인 나사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 멍(41a)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수직바(20)와 면하고 있는 상기 수직돌출부(42)의 면(42a)에는 상기 수직부(32)의 면(32b)과 암수결합될 수 있는 형상부(42a1)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10)는 내부에 상기 수직앵글(30)과 수평앵글(4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게 횡단면이 ㅁ 자 형상으로 되어 있는 수평바(10)이며, 상기 수평바(10)의 바닥부(10b)는 상기 수평바(10)의 몸체(10a)로부터 탈착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a)의 양 다리부 선단의 내면에는 암형 요철부(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10b)의 양 측부에는 상기 요철부(a)와 암수결합될 수 있게 상기 몸체(10a) 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을 갖지고 있는 숫형 요철부(b)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10)와 면하고 있는 상기 수평부(31)의 면에는 상기 관통구멍(31a)의 주위에서 두께가 축소된 함몰부(3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바(20)와 면하고 있는 상기 기립몸체(41)의 면에는 상기 관통구멍(41a)의 주위에서 두께가 축소된 함몰부(41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5. 제 2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튼월을 건축 구조물에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수평바(10)와 마주하게 될 수직바(20)의 상하부 일측면에 수직앵글(40)을 체결수단에 의해 장착하고 나서 상기 수직바(20)를 건물의 구조물에 고정하는 단계;
    바닥부(10b)가 개방된 수평바(10)의 상면 내면 양측에 수평앵글(30)을 체결수단에 의해 장착하고 나서 양측의 수직앵글(42)과 양측의 수직돌출부(42) 사이에 마련된 공간(S)에 각각 수평앵글(30)의 수직부(32)를 삽입하여 상기 수직돌출부(42)의 면(42a)과 상기 수직부(32)의 면(32b)과 암수결합되게 하고 나서, 수평바(10)를 건물의 구조물에 고정하는 단계; 및
    수평바(10)의 몸체에 바닥부(10b)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을 건축 구조물에 장착하는 방법.
KR1020080046583A 2008-05-20 2008-05-20 커튼월 및 이를 건축 구조물에 장착하는 방법 KR100859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583A KR100859551B1 (ko) 2008-05-20 2008-05-20 커튼월 및 이를 건축 구조물에 장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583A KR100859551B1 (ko) 2008-05-20 2008-05-20 커튼월 및 이를 건축 구조물에 장착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551B1 true KR100859551B1 (ko) 2008-09-22

Family

ID=40023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583A KR100859551B1 (ko) 2008-05-20 2008-05-20 커튼월 및 이를 건축 구조물에 장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9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966B1 (ko) 2015-07-03 2015-10-28 (주)상우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KR102178456B1 (ko) * 2020-04-02 2020-11-13 조선태 알루미늄 커튼월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974A (ko) * 2000-12-05 2002-06-12 정용주 조립식 커튼월 철재 트러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30171B1 (ko) 2007-04-06 2008-05-20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바노출형 건물용 커튼월에 있어서 그라스패널 설치 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974A (ko) * 2000-12-05 2002-06-12 정용주 조립식 커튼월 철재 트러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30171B1 (ko) 2007-04-06 2008-05-20 한국호진공업 주식회사 바노출형 건물용 커튼월에 있어서 그라스패널 설치 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966B1 (ko) 2015-07-03 2015-10-28 (주)상우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커튼월용 조립식 트러스 연결장치
KR102178456B1 (ko) * 2020-04-02 2020-11-13 조선태 알루미늄 커튼월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6315B2 (en) Connecting device for curtain wall units
KR101751722B1 (ko) 건축용 외장패널의 고정구조
KR101240665B1 (ko) 롤 포밍 프레임 및 스틸평철을 이용한 커튼월 구조물
KR20150112476A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KR100859551B1 (ko) 커튼월 및 이를 건축 구조물에 장착하는 방법
JP2014214498A (ja) デッキ材の固定構造
JP5172744B2 (ja) 窓ユニット
KR100837669B1 (ko) 외장재 마감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101173434B1 (ko) 이중구조 커튼월 및 그 조립방법
JP5330078B2 (ja) 外部用ドア枠における縦枠と下枠の連結構造
KR100987661B1 (ko) 패널조립체
JP2013023862A (ja) 採光機能付建具
KR102505601B1 (ko) 천장 모서리 마감재
KR200378153Y1 (ko) 거푸집 연결구 어셈블리
JP6427032B2 (ja) 出隅方立構造
KR200385251Y1 (ko) 패널조립용 연결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패널조립구조
JP3969353B2 (ja) 壁パネルの連結構造
JP2017008484A (ja) 腰壁パネル固定構造
JP5422510B2 (ja) ドア枠における横枠材とたて枠材の連結構造
JP2016217019A (ja) 笠木の調整構造
JP2003239497A (ja) 外壁材の取付金具及びこの取付金具を用いた施工方法
JP648292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及び建物
JP3723790B2 (ja) パネルの接続構造
JP4103863B2 (ja) ユニットルームの天井取付構造
JP2015186538A (ja) 化粧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