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855A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설물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설물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855A
KR20170094855A KR1020160016098A KR20160016098A KR20170094855A KR 20170094855 A KR20170094855 A KR 20170094855A KR 1020160016098 A KR1020160016098 A KR 1020160016098A KR 20160016098 A KR20160016098 A KR 20160016098A KR 20170094855 A KR20170094855 A KR 20170094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facility
adjusting nut
fixing member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이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호 filed Critical 이영호
Priority to KR102016001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4855A/ko
Publication of KR20170094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에 설치되는 시설물을 건물의 천장부와의 거리에 맞추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시설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띠 형상의 부재로 마련되어, 내측에 시설물을 수용하고, 일측에 상기 시설물이 인 입출 될 수 있도록 시설물결합부가 마련되는 시설물받침;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시설물받침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막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막대의 일측에 나란히 설치되며, 일단부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제2 막대; 판 모양으로 마련되고, 양단부가 직각방향으로 꺾여 날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날개부 각각에는 상기 제1 막대 및 제2 막대가 나란히 관통될 수 있도록 막대관통구멍이 형성되는 막대고정부재; 상단부에는 상기 제1 막대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시설물결합부와 체결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막대 및 시설물받침을 연결하는 이음부재; 중심부가 움푹 들어간 허리부가 마련된 풀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관통되어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이음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구멍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막대부제가 삽입 체결되는 제1 조절너트; 상기 막대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시설물받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막대에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막대를 이동시키는 제2 조절너트; 및 상기 막대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시설물받침을 향한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제2 막대에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막대를 이동시키는 제3 조절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절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제1 막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막대고정부재와 상기 시설물받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제3 조절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제2 막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막대고정부재와 상기 천장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설물을 건물의 벽이나 천장부에 고정 설치하는 시설물 장치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설물과 건물의 벽면 또는 천장부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시설물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설물 고정 장치{Fixing Apparatus For Adjustable High And Low Of Facility}
본 발명은 시설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에 설치되는 시설물, 공기 덕트, 오수 및 하수 배관, 배선 덕트, PVC 배관 등의 시설물을 건물의 천장부와의 거리에 맞추어 높낮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시설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되는 시설물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6958호에는 상기 내용의 배선 덕트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내용에 관한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덕트와 같은 시설물이 설치되는 건물의 벽이나 천장과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거리에 따라 길이가 다른 시설물 고정 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695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설물을 건물의 벽이나 천장부에 고정 설치하는 시설물 고정 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설물과 건물의 벽면 또는 천장부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높낮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시설물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띠 형상의 부재로 마련되어, 내측에 시설물을 수용하고, 일측에 상기 시설물이 인 입출 될 수 있도록 시설물결합부가 마련되는 시설물받침;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시설물받침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막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막대의 일측에 나란히 설치되며, 일단부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제2 막대; 판 모양으로 마련되고, 양단부가 직각방향으로 꺾여 날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날개부 각각에는 상기 제1 막대 및 제2 막대가 나란히 관통될 수 있도록 막대관통구멍이 형성되는 막대고정부재; 상단부에는 상기 제1 막대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시설물결합부와 체결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막대 및 시설물받침을 연결하는 이음부재; 중심부가 움푹 들어간 허리부가 마련된 풀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관통되어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이음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구멍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막대부제가 삽입 체결되는 제1 조절너트; 상기 막대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시설물받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막대에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막대를 이동시키는 제2 조절너트; 및 상기 막대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시설물받침을 향한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제2 막대에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막대를 이동시키는 제3 조절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절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제1 막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막대고정부재와 상기 시설물받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제3 조절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제2 막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막대고정부재와 상기 천장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설물을 건물의 벽이나 천장부에 고정 설치하는 시설물 고정 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설물과 건물의 벽면 또는 천장부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높낮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시설물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시설물받침과 이음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제1, 제2, 제3 조절너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가 천장구조물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가 천장구조물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보호덮개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보호덮개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에 보호덮개가 덮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막대고정부재에 보호덮개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의 제3 막대에 의하여 각각의 막대고정부재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설물 고정 장치는 시설물받침(10), 제1 막대(20), 제2 막대(30), 막대고정부재(40), 이음부재(50), 제1 조절너트(60), 제2 조절너트(70), 제3 조절너트(80)를 포함한다.
먼저, 시설물받침(10)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도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설물받침(1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띠 형상의 부재로 마련되어, 내측에 시설물을 수용한다. 상기 시설물받침(10)은 상기 시설물과 체결되어 상기 시설물을 지지 또는 고정 한다. 상기 시설물받침(10)은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시설물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시설물받침(10)은 시설물결합부(11)를 포함한다.
시설물결합부(11)는 상기 시설물받침(10)의 일측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설물결합부(11)는 상기 시설물이 인입출 될 수 있도록 상기 시설물받침(10)의 일측에 돌출되어 마련된다. 상기 시설물결합부(11)는 구멍이 마련되어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되고, 상기 시설물받침(10)에 설치되는 상기 시설물의 크기에 맞추어 상기 볼트 및 너트를 조이고 푸는 방법으로 상기 시설물받침(10)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다음으로, 상기 시설물받침(10)의 상부에 제1 막대(2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막대(20)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모양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1 막대(20)는 상기 시설물받침(10)의 상부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막대(20)의 일측에 제2 막대(3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막대(30)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모양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2 막대(30)는 상기 제1 막대(20)의 일측에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제2 막대(30)의 일단부는 건물의 천장부에 여러 가지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되고, 타단부는 하기 막대고정부재(40)에 삽입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를 연결하는 막대고정부재(4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막대고정부재(40)는 판 모양으로 마련되어 양단부가 직각방향으로 꺾여 날개부(41)를 형성한다. 상기 날개부(41)는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를 흔들리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41)의 각각에는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가 관통되는 막대관통구멍(43)이 마련된다. 상기 날개부(41)의 상기 막대관통구멍(43)에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가 나란히 삽입 설치된다. 상기 막대고정부재(40)의 양단에 상기 날개부(41)가 설치되어, 상기 날개부(41)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제1막대(20) 및 제2 막대(30)가 이격되거나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시설물받침(10)과 상기 제1 막대(20)를 연결하는 이음부재(5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음부재(50)는, 상단부에는 상기 제1 막대(20)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시설물결합부(11)와 체결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막대(20) 및 시설물받침(10)을 연결한다. 상기 이음부재(50)의 상부는 하기 제1 조절너트(60)의 허리부(61)에 결합되어 하기 제1 조절너트(60)가 이탈되지 않고, 하기 제1 조절너트(60)에 수평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이음부재(50)의 하부는 상기 시설물결합부(11)에 삽입되고 상기 시설물결합부(11)와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음부재(50)의 상단부에 제1 조절너트(6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조절너트(60)는 중심부가 움푹 들어간 허리부(61)가 마련된 풀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관통되어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조절너트(60)는 허리부(61)가 상기 이음부재(5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구멍에 결합된다. 즉, 상기 이음부재(50)의 상부가 상기 제1 조절너트(60)의 허리부(61)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조절너트(6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제1 조절너트(60)는 상기 제1 막대(20)가 삽입되고, 상기 제1 조절너트(6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막대(20)의 나사산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상기 제1 막대(20)를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조절너트(60)는 상기 제1 막대(2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이음부재(50)에 자유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이음부재(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막대(20)에 제2 조절너트(7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조절너트(70)는 상기 막대고정부재(40)를 기준으로 상기 시설물받침(1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막대(20)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조절너트(7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막대(20)가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막대고정부재(40)와 상기 시설물받침(10)과의 사이 거리를 조절한다. 상기 제2 조절너트(70)를 회전시킬 때는 상기 제1 막대(20)가 상기 제1 조절너트(6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막대(20)를 손으로 고정한 채로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막대(30)에 제3 조절너트(8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조절너트(80)는 상기 막대고정부재(40)를 기준으로 상기 시설물받침(10)을 향한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제2 막대(30)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3 조절너트(80)는 도 5에 표시된 그림을 상하 반대로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제3 조절너트(80)가 회전하면 상기 제2 막대(30)가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막대고정부재(40)와 상기 건물 천장부와의 거리를 조절한다.
상기 제2 조절너트(70) 및 제3 조절너트(80)는 상기 제1 조절너트(6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조절너트(70) 및 제3 조절너트(80)가 중심부가 움푹 들어간 허리부(61)가 마련된 풀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관통되어 내측에 나사산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절너트(70) 및 제3 조절너트(80)의 허리부(61)에 상기 막대고정부재(40)의 날개부(41)가 삽입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2 조절너트(70) 및 제3 조절너트(80)가 상기 제1 조절너트(6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막대고정부재(40)의 날개부(4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3 실시예>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막대고정부재(4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막대고정부재(40)는 판 모양으로 마련되어 양 단부가 직각방향으로 꺾이고, 다시 직각방향으로 꺾여 상기 판 모양 부재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걸림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42)에는 상기 제1 조절너트(60)와 동일한 형상의 제4 조절너트(100)와 및 제5 조절너트(110)가 설치된다. 상기 걸림부(42)는 상기 막대고정부재(40)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구조물(90)에 용이하게 걸릴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막대고정부재(40)가 상기 천장구조물(90)에 설치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천장구조물(90)은 다양한 형태의 빔과 같은 철제 구조물로 주로 구성되는데, 상기 막대고정부재(40)의 걸림부(42)를 상기 천장구조물(90)의 상방으로 굽혀진 하단부에 걸고, 상기 제4 조절너트(100)를 회전시켜 상기 제2 막대(30)를 상승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천장구조물(90)에 상기 막대고정부재(4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 때, 제5 조절너트(100)에 하방으로 볼트를 체결한다면 상기 막대고정부재(40)와 상기 천장구조물(90)은 더욱 단단하게 고정 가능하다. 상기 걸림부(42)와 상기 천장구조물(90)의 상방으로 굽혀진 하단부가 서로 걸리기 때문에 상기 막대고정부재(40)가 상기 천장구조물(90)로부터 이탈되어 추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제4 조절너트(100)는 상기 막대고정부재(40)로부터 자유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2 막대(30)가 회전 하여도 상기 막대고정부재(40)로부터 이탈되어 추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4 실시예>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막대고정부재(4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막대고정부재(40)는 상기 날개부(41)에 직교하는 판 모양의 부재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제6 조절너트(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6 조절너트(120)는 상기 제1 조절너트(60)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즉, 허리부(61)가 형성되어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서 이탈되지 않는 너트인 것이다.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는 보호덮개(14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a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덮개(140)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막대수용부(17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덮개(140)는 상기 막대고정부재(40)와 체결되기 위한 덮개구멍(180)이 마련된다. 상기 막대수용부(170)는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 설치되는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구성 가능하다. 상기 보호덮개(140)는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 체결되는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에 설치되고, 상기 막대고정부재(40)의 상기 덮개구멍(180)을 관통하는 덮개볼트(160)에 의하여 상기 제6 조절너트(120)에 체결된다. 상기 보호덮개(140)는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가 회전하여 상기 제2 조절너트(70) 및 제3 조절너트(8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보호덮개(140)에 의하여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130)의 나사산에 흠집이 생기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막대고정부재(40)는 건물에 설치되는 상기 시설물받침(10)들 간의 거리를 조절하고, 고정함으로써 상기 시설물받침(1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설물받침(10)들은 상기 제4 실시예에 따른 막대고정부재(40)에 의하여 고정 및 설치되고,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는 상기 제6 조절너트(120)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막대고정부재(40)는 제3 막대(13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즉, 각각의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 형성되는 각각의 상기 제6 조절너트(120)에 상기 제3 막대(130)가 삽입 설치됨으로써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3 막대(130)의 일단부는 건물의 벽 또는 빔과 같은 기초구조물에 설치되어 지지된다. 상기 제3 막대(130)가 각각의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 삽입 설치될 때, 또는 통과할 때, 상기 보호덮개(140)가 이탈되지 않는 방향으로 덮개너트(150)가 설치된다. 상기 덮개너트(150)는 상기 제3 막대(130)가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 삽입 설치되기 위하여 회전할 때 상기 보호덮개(140)가 상기 막대고정부재(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막대고정부재(40)는 건물의 천장부에 설치되는 각종 시설물들과의 거리를 조절하고, 각각의 상기 시설물받침(10)들 간의 거리조절과 함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 고정 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2 막대(30)의 일단부를 상기 천장부에 결합시킨다.
또는, 상기 제2 막대(20)의 상단부에 제3 실시예에 따른 막대고정부재(40)를 결합한 후, 천장구조물(90)에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막대(30)의 하부에 막대고정부재(40)를 결합한다. 상기 제2 막대(30)가 상기 막대고정부재(40)의 날개부(41)에 형성되는 막대관통구멍(43)들 중 어느 한쪽의 상기 막대관통구멍(43)에 삽입 설치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제2 막대(30)의 하단부로부터 제3 조절너트(70)를 삽입 결합하여, 상기 천장부의 반대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날개부(41)의 일측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막대고정부재(40)에 제1 막대(20)를 삽입 설치한다. 상기 날개부(41)에 형성되는 상기 막대관통구멍(43)들 중 상기 제2 막대(30)가 삽입되지 않은 반대 측 구멍으로 삽입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막대(20)의 상단부로부터 제2 조절너트(70)를 삽입 결합시켜, 상기 천장부를 향한 상기 날개부(41)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막대(20)의 하단부에 이음부재(5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제1 조절너트(10)를 삽입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천장부와 시설물과의 높이에 맞추어 상기 제1 막대(20) 및 제2 막대(30)의 상하방향 길이를 조절한다. 상기 시설물과 천장부와의 거리가 먼 경우 상기 제2 막대(30)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3 조절너트(80)를 회전시킨다. 상기 시설물과 천장부와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상기 제2 막대(30)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3 조절너트(80)를 회전시킨다. 상기 시설물과 천장부와의 거리가 더욱 가까운 경우에는 제2 조절너트(70)를 회전시켜 상기 막대고정부재(40)를 하강시킨다. 상기 제2 조절너트(70)를 회전시킬 때, 상기 제1 막대(20)의 하단부가 상기 제1 조절너트(6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막대(20)를 손으로 고정한 채로 상기 제2 조절너트(70)를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시설물에 시설물받침(10)을 체결한다. 상기 시설물받침(10)의 시설물결합부(11)로 상기 시설물을 삽입하고, 이음부재(50)와 함께 결합한다. 이때, 상기 시설물결합부(11)와 이음부재(50)를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를 조절하여 상기 삽입되는 시설물의 크기에 맞추어 상기 시설물받침(10)의 폭을 조절한다.
다음으로, 상기 시설물받침(10)을 건물에 복수 개 설치한다. 이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시설물받침(10)은 제3 막대(130)에 의하여 체결되어, 각각의 상기 시설물받침(1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건물에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시설물과 천장부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지 않더라도 거리에 맞게 조절하여 상기 시설물을 용이하게 설치,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시설물받침
11 : 시설물결합부
20 : 제1 막대
30 : 제2 막대
40 : 막대고정부재
41 : 날개부
42 : 걸림부
43 : 막대관통구멍
50 : 이음부재
60 : 제1 조절너트
61 : 허리부
70 : 제2 조절너트
80 : 제3 조절너트
90 : 천장구조물
100 : 제4 조절너트
110 : 제5 조절너트
120 : 제6 조절너트
130 : 제3 막대
140 : 보호덮개
150 : 덮개너트
160 : 덮개볼트
170 : 막대수용부
180 : 덮개구멍

Claims (5)

  1. 소정의 면적을 갖는 띠 형상의 부재로 마련되어, 내측에 시설물을 수용하고, 일측에 상기 시설물이 인 입출 될 수 있도록 시설물결합부가 마련되는 시설물받침;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시설물받침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막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막대의 일측에 나란히 설치되며, 일단부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제2 막대;
    판 모양으로 마련되고, 양단부가 직각방향으로 꺾여 날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날개부 각각에는 상기 제1 막대 및 제2 막대가 나란히 관통될 수 있도록 막대관통구멍이 형성되는 막대고정부재;
    상단부에는 상기 제1 막대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시설물결합부와 체결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막대 및 시설물받침을 연결하는 이음부재;
    중심부가 움푹 들어간 허리부가 마련된 풀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관통되어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이음부재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구멍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막대부제가 삽입 체결되는 제1 조절너트;
    상기 막대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시설물받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막대에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막대를 이동시키는 제2 조절너트;및
    상기 막대고정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시설물받침을 향한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제2 막대에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막대를 이동시키는 제3 조절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절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제1 막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막대고정부재와 상기 시설물받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제3 조절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제2 막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막대고정부재와 상기 천장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는,
    상부는 상기 제1 조절너트의 허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조절너트가 이탈되지 않고, 상기 제1 조절너트에 수평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하부는 상기 시설물결합부에 삽입되어 상기 시설물결합부와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고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조절너트의 상부는 너트모양으로 형성되어 용이하게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고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받침의 시설물결합부는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되어, 상기 시설물받침에 설치되는 상기 시설물의 크기에 맞추어 상기 볼트 및 너트를 조이고 푸는 방법으로 상기 시설물받침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고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너트 및 제3 조절너트는 상기 제1 조절너트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막대고정부재의 날개부에 상기 제2 조절너트 및 제3 조절너트가 설치되어, 상기 막대고정부재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고정 장치.
KR1020160016098A 2016-02-12 2016-02-12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설물 고정 장치 KR20170094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098A KR20170094855A (ko) 2016-02-12 2016-02-12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설물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098A KR20170094855A (ko) 2016-02-12 2016-02-12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설물 고정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397A Division KR101885048B1 (ko) 2018-02-02 2018-02-02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설물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855A true KR20170094855A (ko) 2017-08-22

Family

ID=59757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098A KR20170094855A (ko) 2016-02-12 2016-02-12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설물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48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516B1 (ko) * 2018-09-21 2019-05-08 (주)중앙기술단 특고압 배전선 라인 고정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516B1 (ko) * 2018-09-21 2019-05-08 (주)중앙기술단 특고압 배전선 라인 고정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3402B2 (en) Suspended architectural structure
KR101712803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천장용 행거장치
US20090173865A1 (en) Support bracket for electrical box
KR100728793B1 (ko) 위치 및 높이 조정이 가능한 천정패널 고정행거
KR20140035100A (ko) 빔 클램프
US10320325B1 (en) Mounting apparatus to secure solar panel rails to stone-coated metal tile roofs
KR101885048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설물 고정 장치
US9145985B2 (en) Trapeze conduit support system
EP3088813B1 (en) Machinery mounting device and indoor unit
KR100619136B1 (ko) 덕트 지지장치
JP6570367B2 (ja) 天井下地固定金具
KR20170094855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설물 고정 장치
US20210071906A1 (en) Method for Mounting Air Outlet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and Air Outlet Mount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US9163782B2 (en) Support bracket for supporting an electrical box
KR101399375B1 (ko) 수직조절브라켓이 구비되는 스페이스 프레임
US20110048759A1 (en) Mounting assembly for electrical fixture
US20180145490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conduits and channel members
CA3020667C (en) Panel with integrated air conditioner for prefabricated houses
JP2015212503A (ja) 斜め補強部材用取付金具
JP6562622B2 (ja) 吊り天井装置
US5088675A (en) Overhead hanger
KR20140002573U (ko) 래더형 케이블 트레이의 클램프
KR200450428Y1 (ko) 설치각이 가변되는 배관지지용 행거
US9863580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hanging heavy objects
KR20190072361A (ko) 고정 패스너를 포함하는 천정 구조물 고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