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788B1 - 풀림방지행거와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풀림방지행거와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788B1
KR102134788B1 KR1020190017427A KR20190017427A KR102134788B1 KR 102134788 B1 KR102134788 B1 KR 102134788B1 KR 1020190017427 A KR1020190017427 A KR 1020190017427A KR 20190017427 A KR20190017427 A KR 20190017427A KR 102134788 B1 KR102134788 B1 KR 102134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horizontal
tubular
portions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2582A (ko
Inventor
정민시
Original Assignee
정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시 filed Critical 정민시
Publication of KR20190022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0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with a member penetrating the screw-threaded surface of at least one part, e.g. a pin, a wedge, cotter-pin, screw
    • F16B39/0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with a member penetrating the screw-threaded surface of at least one part, e.g. a pin, a wedge, cotter-pin, screw with a pin or staple parallel to the bol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0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pipes with a rectangula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산볼트, 전산볼트에 체결되는 관형너트, 상기 관형너트와 암수결합되는 수용부, 및 상기 관형너트와 상기 전산볼트 사이에 개재된 탄성의 쐐기를 포함하되, 상기 관형너트의 하단에는 상기 수용부의 수평부에 중력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구멍을 관통할 수 없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형너트의 윗면 일부 또는 상부 벽부 일부에 상기 관형너트의 나사가공부와 상기 전산볼트의 나사가공부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쐐기를 삽입할 수 있는 절결부가 형성된 풀림방지행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풀림방지행거와 시공방법 {lock hanger}
본 발명은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에 의해 풀림이 방지되는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에는 소방설비 또는 상수관과 같이 유체가 원활하게 흐를수 있도록 배열되거나 또는 전기설비에 필요한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내장된 관을 배열한 배관라인을 복수 개의 행거를 개재하여 매달아 설치하고 있다.
행거는 베어링, 파이프, 빔(beam) 등을 천장에 매달아 지지하는 쇠붙이를 말한다.
상기 복수 개의 행거는 천장에 일정 패턴으로 배열되어 상부가 매립 고정되는 복수 개의 전산볼트, 및 상기 복수 개의 전산볼트에 각각 체결 고정된 상태에서 배관을 감싸 고정하는 브래킷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행거는 지진이나 태풍 등의 외력 및 진동이 건물에 강하게 전달되면, 천장에 매립 고정된 전산볼트를 통해서 브래킷에 진동이 전달되어 배관라인이 뒤틀려 파손되거나, 또는 브래킷이 전선볼트에서 임의로 이탈되어 낙하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고, 특히 배관에 고압가스 또는 고열의 유체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더 큰 2차 사고를 유발하는 가장 큰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방진기능을 구비한 행거가 제공되었으며, 그 일례로 특허등록 제1031544호(명칭: 배관용 파이프 행거)가 공개되었다.
상기 공개된 행거는 천장에 상단이 고정되는 전산볼트, 전산볼트의 하단에 체결고정되는 너트부, 상기 너트부에 볼트를 개재하여 수평방향에서 체결고정되면서 배관을 감싸 지지하게 되는 브래킷 및 상기 너트부와 브래킷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된 행거는 큰 힘이 스프링에 전달되게 되면, 스프링이 변형되어 너트부와 전산볼트 간에 풀릴 염려가 있고, 너트부와 수용부가 수평방향에서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진동풀림방지를 위해 풀림방지부를 둠으로써 공구를 사용해서 최종결합을 하거나 높이조절시 손에 많은 피로도가 발생하여 작업능율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전산볼트, 전산볼트에 체결되는 관형너트, 상기 관형너트와 암수결합되는 수용부, 및 상기 관형너트와 상기 전산볼트 사이에 개재된 탄성의 쐐기를 포함하되, 상기 관형너트의 하단에는 상기 수용부의 수평부에 중력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구멍을 관통할 수 없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형너트의 윗면 일부 또는 상부 벽부 일부에 상기 관형너트의 나사가공부와 상기 전산볼트의 나사가공부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쐐기를 삽입할 수 있는 절결부가 형성된 풀림방지행거를 제공함으로써, 공구없이 손만으로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진동대응부를 분리결합함으로써 작업의 능률성을 높이면서 진동에 풀리지 않도록 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행거에 큰 힘이 전달되어도 관형너트와 전산볼트가 쐐기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풀릴 염려가 없고, 더욱이 수용부와 관형너트가 암수결합식으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부품수가 줄어들어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높낮이 조절 후 풀림방지핀을 결합하므로 작업의 피로도를 최소화가 가능하여 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실, 교량 등 진동이 많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각종 기계설비 배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풀림방지행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풀림방지행거의 수용부 일부를 절결하여 관형너트와 함께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피지지물의 보강이 필요한 경우의 수용부와 보강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11은 도 1의 수용부에 대한 실시 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관형너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도 13은 도 12의 관형너트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풀림방지행거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실시 예의 풀림방지행거가 부호 10으로 지시되어 있다.
상기 풀림방지행거(10)는 도시되지 않은 천장에 상부가 매립 고정되는 전산볼트(1), 상기 복수 개의 전산볼트에 체결 고정되는 관형너트(2), 및 피지지물(P)을 수용하면서 상기 관형너트(2)에 암수결합식으로 결합되는 수용부(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관형너트(2)는, 상부 내부면이 나사가공된 관형부(20); 상기 관형부(20)의 나사 가공부와 연이어지는 나사 가공부의 관경보다 넓은 관형면(28)이 구성되어 있으며; 하단 외부면에 형성된 플랜지부(21); 상기 관형부(20)의 상부 벽부 일부에 상기 전산볼트(1)가 노출되게 형성된 절결부(22); 및 상기 절결부(22)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전산볼트(1)의 나사가공부와 상기 관형부(20)의 관형면(28)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전산볼트(1)와 상기 관형너트(2) 간의 나선운동을 방지하는 탄성의 쐐기(23)를 포함하거나 상기 절결부(22)에 접합재를 주입하여 전산볼트(1)의 나사 가공부와 상기 관형부(20)의 관형면(28)사이로 침투, 상호 접합하여 관형너트(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3)가 외력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지핀(26)을 선택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절결부(22)는 상기 쇄기(23)가 상기 관형부(20)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관형부(20)를 관통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게 한 쌍으로 상기 관형부(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형너트(2)는, 상기 전산볼트(1)와의 결합될 시에 상기 전산볼트(1)가 상기 관형너트(2)에 삽입되는 깊이를 눈으로 파악하기 위해, 한 쌍으로 된 상기 절결부(22) 중 어느 하나의 절결부에 연이어서 절결되어 상기 관형부(20)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상기 관형부(20)에 형성된 투시구멍(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3)의 상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지핀(26)을 삽입하는 방지구(25)가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쐐기(23)는, 힘을 가할 수 있게 형상화된 파지부(23a), 상기 파지부(23a)에서 절곡되어 선단으로 갈 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일자로 뻗은 뻗음부(23b) 및 상기 뻗어음(23b)에 연이어서 형성된 곡선부(23c)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또한, 방지핀(26)은 머리부(26a)와 몸체부(26b)로 구성된다. 머리부(26a)는 수용부(3)의 관통구멍(32)을 통과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몸체부(26b)는 방지구(25)를 관통 후 휘어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곡선부(23c)는 뾰족하면서 만곡되어, 외압에 의해 휘어지면서 관형부와 전산볼트 사이를 용이하게 삽입되고, 이후에 선단으로 갈 수록 두께가 얇은 뻗음부(23b)는 관형부의 곡면을 따라 휘어지면서 들어가 탄성이 발생하고, 더 밀어넣어지면, 쐐기형의 마찰이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 예에서, 상기 관형너트(2)가 상기 관형부(20)의 상부 벽부 일부에 상기 전산볼트(1)가 노출되게 형성된 절결부(22)를 포함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관형부(20)의 윗면 일부에 상기 전산볼트(1)가 노출되게 하나의 절결부(2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용부(3)는, 상기 관형너트(2)의 축선에 직각으로 뻗은 수평부(30); 상기 수평부(30)에 일체로 결합되어 피지지물(P)을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진 선반부(31); 및 상기 관형부(20)가 관통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21)가 관통될 수 없은 크기와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관형너트(2)의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수평부(30)에 형성된 관통구멍(3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용부(3)는, 제1실시 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겹침되는 한 쌍의 수평부(30, 30); 상기 한 쌍의 수평부(30, 30)의 외측단에서 아래로 절곡된 한 쌍의 연장부(30a, 30a); 및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연장부(30a, 30a)에 일체로 결합되어, 피지지물(P)을 감싸게 만곡되어 있는 선반부(3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실시 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 예의 변경실시 예로서, 수평부(30)가 한 쌍으로 되어 있지 않고 하나의 수평부(30)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부(3)에 피지지물(P)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관형너트(2)와 상기 수용부(3)를 서로 결합할 시에 여유공간을 주기위해, 상기 한 쌍의 수평부(30, 30)의 관통구멍(32)이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30a, 30a)의 길이가 상기 관형너트(2)의 용이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방향 길이를 가지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피지지물(P)의 하중이 무겁거나 수용부(3)의 설치간격을 확보하지 못 할 경우, 피지지물(P)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피지지물의 종단 무게중심부에 보강대(M)를 수용부(3)의 하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보강대 결합부(35)가 구성되어 보강대(M)을 결합하여 피지지물(P)의 하중을 지탱한다.
또한, 보강대(M)의 견고한 직립을 위하여 보강대 결합부(35)는 보강구(36)에 보강핀(37)을 결합하여 수용부(3)의 벌어짐을 방지하고 보강대의 이탈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구(36)는 간격을 두고 다수로 형성되어 있어 넓은 보강핀(37a)을 결합 후 보강대(M) 방향으로 굽힐 수 있어, 수용부(3)의 벌어짐 방지를 강화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3)는, 제2실시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겹침되는 한 쌍의 수평부(30, 30), 상기 한 쌍의 수평부(30, 30)의 외측단에서 아래로 절곡된 한 쌍의 연장부(30a, 30a); 및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연장부(30a, 30a)의 선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 단이 서로 암수결합되어, 피지지물(P)을 감싸게 만곡되어 있는 한 쌍의 선반부(31, 3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3)는, 제3실시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평부(30), 및 상기 하나의 수평부(30)의 양단에서 일체로 결합되어 2개의 피지지물(P)을 일부를 감싸게 만곡되어 뻗어 있는 한 쌍의 선반부(31)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3실시 예의 변경 실시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겹칩되는 한 쌍의 수평부(30); 상기 한 쌍의 수평부(30, 30)의 외측단에서 아래로 절곡된 한 쌍의 연장부(30a, 30a); 상기 한 쌍의 연장부(30a, 30a)의 선단에 양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2개의 피지지물(P)을 일부를 감싸게 만곡되어 뻗어 있는 하나의 선반부(31); 및 서로 겹쳐진 상기 한 쌍의 수평부(30, 30)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구멍(32, 32)과 마주하는 상기 하나의 선반부(31)의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관형너트(2)의 관형부(20)가 관통하게 되는 관통구멍(3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3)는, 제4실시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수평부(30, 30), 상기 한 쌍의 수평부(30, 30) 중 어느 하나의 수평부 단부에서 위로 절곡된 하나의 연장부(30a), 및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수평부(30, 30)의 다른 하나의 수평부(30)와 상기 하나의 연장부(30a)에 일체로 결합되어 피지지물(P)을 감싸게 만곡되어 있는 선반부(31)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4실시 예의 변경실시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수평부(30, 30), 상기 한 쌍의 수평부(30, 30)에 일체로 상부와 하부가 결합되어 피지지물(P)을 감싸게 장방형단면 형상을 가진 선반부(3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3)는, 제5실시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평부(30); 상기 하나의 수평부(30)의 양단에서 아래로 절곡되어 뻗어 있고, 선단에서 위로 절곡된 암형부(30b)가 구비된 한 쌍의 연장부(30a, 30a); 및 양단에 상기 암형부(30b)에 암수결합될 수 있는 있는 숫형부(31a)가 형성된 상태에서, 피지지물(P)을 감싸게 채널단면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선반부(31)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5실시 예의 변경 실시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평부(30); 및 상기 하나의 수평부(30)의 양단에서 양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피지지물(P)을 감싸게 채널단면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선반부(31)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산볼트(1)가 한 쌍으로 되어 간격을 두고 도시되지 않은 천장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수용부(3)도 한 쌍으로 될 수 있으며, 이 때에는 제6실시 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수용부(3, 3')중 하나의 수용부(3)는 상기 관형부(20)가 관통하게 되는 관통구멍(32)이 형성된 수평부(30) 및 상기 수평부(30)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선단이 상기 수평부(30)의 일측으로 뻗은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의 일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개의 관통구멍(34)이 형성된 암형관형부(35)를 포함하고, 그리고 다른 하나의 수용부(3')는 상기 관형부(20)가 관통하게 되는 관통구멍(32)이 형성된 수평부(30') 및 상기 수평부(30')에 타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선단이 상기 수평부(30)의 타측으로 뻗은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의 타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개의 관통구멍(34')이 형성되어 상기 암형관형부(35)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숫형부(3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수용부(3, 3')는, 상기 암형관형부(35)에 상기 숫형부(35')가 원하여지는 길이로 삽입되어 그 삽입된 위치에서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관통구멍(34)과 상기 복수 개의 관통구멍(34') 중 서로 마주하게 되는 관통구멍(34, 34')에 삽입되는 T자형 삽입고정편(3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실시 예들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21)와 상기 수평부(30) 각각에는 서로 마주하는 부위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27, 37)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관통구멍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T자형 삽입고정편(38)을 더 포함하게 되면, 상기 수용부(3)가 상기 관형너트(2)에 대하여 상대적인 선회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풀림방지행거(10)는 제1실시 예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작용될 수 있다.
먼저, 전산볼트(1)가 천장에 상부가 매립 고정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수용부(3)의 한 쌍의 수평부(30, 30)가 서로에 이격된 상태에서, 피지지물(P) 상기 선반부(31)에 얹어놓은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수평부(30, 30)가 서로 겹쳐지게 하여, 상기 수용부(3)내에 상기 피지지물(P)이 수용되게 한다.
그 다음, 관형너트(2)의 플랜지부(21)가 아래에 위치된 자세를 갖게 한 상태에서 한 쌍의 수평부(30)와 한 쌍의 연장부(30a, 30a)에 의해 구회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상기 관형너트(2)의 관형부(20)의 상단이 상기 서로 겹쳐진 한 쌍의 수평부(30, 30)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구멍(32 32)을 관통하여 상기 플랜지부(21)가 상기 수평부(30)에 밀착되게 한다.
그 다음, 관형너트(2)를 상기 전산볼트(1)에 체결한다.
이 때에, 상기 관형너트(2)에 체결되는 상기 전산볼트(1)의 상기 관형부(20)에 대한 체결깊이를 상기 투시구멍(24)을 통하여 확인한 다음, 쐐기(23)의 파지부(23a)를 잡고서 상기 만곡부(23b)를 상기 절결부(22)을 통하여 상기 전산볼트(1)의 나사가공부와 상기 관형부(20)의 나사가공부 사이에 밀어넣어 박혀서 상기 관형너트(2)가 상기 전산볼트(1)에 강제적으로 위치고정되어 풀림이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풀림방지행거(10)에 진동이 전달되어도 관형너트(2)와 전산볼트(1)가 쐐기방식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풀림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이 수용부(3)와 관형너트(2)가 암수결합식으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보다 부품수가 줄어들어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상기 관형너트(2)의 관형부(20) 상단 내부면이 나사가공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형너트(2)의 관형부(20) 하단 내부면이 나사가공될 수도 있다.
상기 관형너트(2)의 관형부(20) 하단 내부면이 나사가공되어 있으면, 천장에 상부가 매립 고정되는 상기 전산볼트(1)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 상기 전산볼트(1)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산볼트(1) 이외의 다른 전산볼트(1')를 상기 관형너트(2)의 관형부(20)의 하단에 체결되어 또 다른 쐐기(23')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관형부(20)의 하부 벽부 일부에 상기 다른 전산볼트(1')가 노출되게 형성된 절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형너트(2)에 다른 전산볼트(1')가 적용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실시 예, 실시 예부(3)가 상기 관형부(20)의 플랜지부(21)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른 전산볼트(1')에 상기 수용부(3) 이외의 다른 수용부(3')가 체결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수용부(3')는 상기 다른 전산볼트(1') 또는 상기 전산볼트(1)에 체결될 수 있게 내부면에 나사가공된 관통구멍(32')을 구비한 몸체(30')와 상기 몸체(30')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피지지물(P)을 지지하게 채널단면 형상을 가진 선반부(3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다른 수용부(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산볼트(1)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전산볼트(1')에 장착된 자세에서 상하가 뒤바뀐 자세로 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세에서는 상기 선반부(31')에 도시되지 않은 파이프를 삽입하여 파이프의 수평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풀림방지행거를 이용한 내진 시공방법은,
1단계는 환경조사 단계로써, 공사현장의 진동, 충격의 원인은 무엇이며, 그에 따른 주기, 형태, 강도 등을 조사하는 단계,
2단계는 충격 및 진동에 적합한 자재 선정단계로써,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회전방지 방법을 선정한다. 선정 방법으로는 쐐기(23)방식의 핀 타입 또는 삽입고정핀(38) 활용방법 중 선택 적용한다.
3단계는 충격 및 진동으로부터 자재의 지탱 수단 선정 단계로써, 풀림방지행거의 설치 간격 결정 또는 보강재 활용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4단계는 풀림방지행거를 이용한 시공단계로써, 전산볼트를 고정하는 단계; 수용부와 관형너트를 결합하는 단계; 관형너트가 결합된 수용부를 피지지물(P)과 결합 또는 관형너트가 결합된 수용부를 설치한 전산볼트에 연결하는 단계; 보강대를 결합하는 단계(선택 적용 단계); 피지지물(P)을 매다는 단계(보강 클립 결합 단계); 관형너트를 회전하여 피지지물(P)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단계;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풀림 또는 회전방지하는 핀을 결합하는 단계 순서로 진행된다.
5단계는 시공검수 단계로써, 전체적인 시공의 정확성과 안정성을 점검한다.
안전성 점검 후 회전방지 쐐기의 기능이 정상적이지 못하거나 미결합되어 있을경우 관형부(20)의 절결부(22) 또는 투시구멍(24)으로 실리콘이나 본드로 코킹처리하여 진동으로 부터 풀림을 방지 함으로써 완성된다.
1; 전산볼트, 2; 관형너트, 3; 수용부, 10; 풀림방지행거

Claims (16)

  1. 천장에 상부가 매립 고정되는 전산볼트(1), 상기 전산볼트(1)에 체결 고정되는 관형너트(2), 및 피지지물(P)을 수용하면서 상기 관형너트(2)에 암수결합식으로 결합되는 수용부(3)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너트(2)는,
    상부 내부면이 나사가공된 관형부(20);
    상기 관형부(20)의 하단 외부면에 형성된 플랜지부(21);
    상기 관형부(20)의 상부 벽부 일부에 상기 전산볼트(1)가 노출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절결부(22); 및
    상기 한 쌍의 절결부(22)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전산볼트(1)의 나사가공부와 상기관형너트(2)의 관형면(28)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전산볼트(1)와 상기 관형너트(2) 간의 나선운동을 방지하는 쐐기(23)포함하며,
    상기 관형너트(2)는 상부 내부면에 나사 가공된 관형부(20)가 구비되어 전산볼트와 결합이 이루어지고, 연이어지는 내부면은 나사 가공된 내경보다 넓은 관형면(28)이 구성되어, 전산볼트(1)와 관형면(28) 사이로 쐐기(23)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절결부(22)는, 상기 쐐기(23)가 상기 관형부(20)를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관형부(2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행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3)는,
    상기 관형너트(2)의 축선에 직각으로 뻗은 수평부(30);
    상기 수평부(30)에 일체로 결합되어 피지지물(P)을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진 선반부(31); 및
    상기 관형부(20)가 관통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21)가 관통될 수 없은 크기와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관형너트(2)의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수평부(30)에 형성된 관통구멍(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행거.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부(20)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상기 관형부(20)에 형성된 투시구멍(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행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23)는, 힘을 가할 수 있게 형상화된 파지부(23a), 상기 파지부(23a)에서 절곡되어 선단으로 갈 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일자로 뻗은 뻗음부(23b) 및 상기 뻗음부(23b)에 연이어서 형성된 곡선부(23c)를 일체로 포함하고서 탄성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행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부(20)는 수용부(3)의 상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핀(26)이 삽입되는 방지구(25)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행거.
  8. 제 1항에 있어서,
    수용부(3)는 피지지물(P)의 종단 무게중심부에 보강대(M)를 결합 가능하도록 보강대 결합부(3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행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3)는,
    서로 겹침되는 한 쌍의 수평부(30, 30);
    상기 한 쌍의 수평부(30, 30)의 외측단에서 아래로 절곡된 한 쌍의 연장부(30a, 30a); 및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연장부(30a, 30a)에 일체로 결합되어, 피지지물(P)을 감싸게 만곡되어 있는 선반부(31)를 포함하거나,
    하나의 수평부(30),
    상기 하나의 수평부(30)의 외측단에서 아래로 절곡된 한 쌍의 연장부(30a, 30a); 및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연장부(30a, 30a)에 일체로 결합되어, 피지지물(P)을 감싸게 만곡되어 있는 선반부(31)를 포함하거나,
    서로 겹침되는 한 쌍의 수평부(30, 30),
    상기 한 쌍의 수평부(30, 30)의 외측단에서 아래로 절곡된 한 쌍의 연장부(30a, 30a); 및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연장부(30a, 30a)의 선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단이 서로 암수결합되어, 피지지물(P)을 감싸게 만곡되어 있는 한 쌍의 선반부(31)를 포함하거나,
    하나의 수평부(30), 및
    상기 하나의 수평부(30)의 양단에서 일체로 결합되어 2개의 피지지물(P)을 일부를 감싸게 만곡되어 뻗어 있는 한 쌍의 선반부(31)를 포함하거나,
    서로 겹칩되는 한 쌍의 수평부(30);
    상기 한 쌍의 수평부(30, 30)의 외측단에서 아래로 절곡된 한 쌍의 연장부(30a, 30a);
    상기 한 쌍의 연장부(30a, 30a)의 선단에 양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2개의 피지지물(P)을 일부를 감싸게 만곡되어 뻗어 있는 하나의 선반부(31); 및 서로 겹쳐진 상기 한 쌍의 수평부(30, 30)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구멍(32, 32)과 마주하는 상기 하나의 선반부(31)의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관형너트(2)의 관형부(20)가 관통하게 되는 관통구멍(33)을 포함하거나,
    중력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수평부(30, 30), 상기 한 쌍의 수평부(30, 30) 중 어느 하나의 수평부 단부에서 아래로 절곡된 하나의 연장부(30a), 및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수평부(30, 30)의 다른 하나의 수평부(30)와 상기 하나의 연장부(30a)에 일체로 결합되어 피지지물(P)을 감싸게 만곡되어 있는 선반부(31)를 포함하거나,
    중력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수평부(30, 30), 및
    상기 한 쌍의 수평부(30, 30)에 일체로 상부와 하부가 결합되어 피지지물(P)을 감싸게 장방형단면 형상을 가진 선반부(31)를 포함하거나,
    하나의 수평부(30);
    상기 하나의 수평부(30)의 양단에서 아래로 절곡되어 뻗어 있고, 선단에서 위로 절곡된 암형부(30b)가 구비된 한 쌍의 연장부(30a, 30a); 및
    양단에 상기 암형부(30b)에 암수결합될 수 있는 있는 숫형부(31a)가 형성된 상태에서, 피지지물(P)을 감싸게 채널단면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선반부(31)를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의 수평부(30); 및
    상기 하나의 수평부(30)의 양단에서 양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피지지물(P)을 감싸게 채널단면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선반부(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행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32)이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30a, 30a)의 길이가 상기 관형너트(2)의 용이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방향 길이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행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21)와 상기 수평부(30) 각각에는 서로 마주하는 부위에 복수 개의 관통구멍(27, 37)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관통구멍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T자형 삽입고정편(3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행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산볼트(1)가 한 쌍으로 되어 간격을 두고 천장에 장착된 경우에,
    상기 수용부(3)도 한 쌍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수용부(3, 3')중 하나의 수용부(3)는
    상기 관형부(20)가 관통하게 되는 관통구멍(32)이 형성된 수평부(30) 및
    상기 수평부(30)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선단이 상기 수평부(30)의 일측으로 뻗은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30)의 일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개의 관통구멍(34)이 형성된 암형관형부(35)를 포함하고, 그리고
    다른 하나의 수용부(3')는
    상기 관형부(20)가 관통하게 되는 관통구멍(32)이 형성된 수평부(30') 및
    상기 수평부(30')에 타단이 일체로 결합되고 선단이 상기 수평부(30)의 타측으로 뻗은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의 타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개의 관통구멍(34')이 형성되어 상기 암형관형부(35)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숫형부(35')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수용부(3, 3')는, 상기 암형관형부(35)에 상기 숫형부(35')가 원하여지는 길이로 삽입되어, 삽입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관통구멍(34)과 상기 복수 개 구멍(34') 중 서로 마주하게 되는 관통구멍(34, 34')에 삽입되는 T자형 삽입고정편(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행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너트(2)의 관형부(20) 하단 내부면이 나사가공되어 있고,
    상기 관형너트(2)의 관형부(20) 하단에는 다른 전산볼트(1')가 체결되어 또 다른 쐐기(23')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관형부(20)의 하부 벽부 일부에 상기 다른 전산볼트(1')가 노출되게 형성된 절결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행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산볼트(1) 및 상기 다른 전산볼트(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다른 수용부(3')가 체결되며,
    상기 다른 수용부(3')는 상기 다른 전산볼트(1') 또는 상기 전산볼트(1)에 체결될 수 있게 내부면에 나사가공된 관통구멍(32')을 구비한 몸체(30')와 상기 몸체(30')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피지지물(P)을 지지하거나 수평이동을 방지하게 채널단면 형상을 가진 선반부(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행거.
  15. 삭제
  16. 삭제
KR1020190017427A 2019-01-18 2019-02-14 풀림방지행거와 시공방법 KR102134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6859 2019-01-18
KR1020190006859 2019-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582A KR20190022582A (ko) 2019-03-06
KR102134788B1 true KR102134788B1 (ko) 2020-07-16

Family

ID=6576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427A KR102134788B1 (ko) 2019-01-18 2019-02-14 풀림방지행거와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22534A (zh) * 2024-02-07 2024-03-19 泰州市华盛消防装备有限公司 一种消防管防护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159Y1 (ko) * 2000-06-07 2001-03-15 김병기 중, 대형 구경의 나사구조
KR200439692Y1 (ko) * 2007-08-23 2008-04-25 문기창 파이프 행거장치
KR101907342B1 (ko) * 2018-01-10 2018-10-11 한경섭 풀림방지너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159Y1 (ko) * 2000-06-07 2001-03-15 김병기 중, 대형 구경의 나사구조
KR200439692Y1 (ko) * 2007-08-23 2008-04-25 문기창 파이프 행거장치
KR101907342B1 (ko) * 2018-01-10 2018-10-11 한경섭 풀림방지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582A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6197B2 (en) Para-seismic support for pipes
KR101860056B1 (ko) 내진형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US7090173B2 (en) Para-seismic support for pipes
US20160252197A1 (en) Frangible hanger assembly and method
KR102109580B1 (ko) 전산볼트용 내진 커플러
KR102134788B1 (ko) 풀림방지행거와 시공방법
JP6148099B2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13181285A (ja) 間仕切り壁の耐震構造
JP2015090199A (ja) 吊り下げ式支持装置用座屈防止具
KR102153214B1 (ko) 내진용 소방 배관 연결구
US20150136940A1 (en) Siesmic mount
KR20230113252A (ko)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102523942B1 (ko) 풀림방지 기능과 높낮이 조절부가 있는 풀림방지 건축행거
JP2016196756A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170032555A (ko) 커버 고정 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
EP2696011A2 (en) Earthquake-proof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structural elements
CN113483153A (zh) 空调安装工程风管结构及其安装方法
KR102228836B1 (ko) 일체로 연결되어 시공이 간편한 배관용 행거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관용 행거
KR20210130082A (ko) 케이블 트레이, 전선관, 버스덕트 지지대의 내진장치
KR20220051974A (ko) 내진 특성을 갖는 펜던트 연결구조
JP6720469B2 (ja) 垂設部材用金具及び当該金具を用いた天井落下防止構造
KR200363128Y1 (ko) 배선관 지지장치
KR20200000024A (ko) 건축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와 그 설치 방법
KR102026991B1 (ko) 건물 배관 내진설계 지지 구조물
KR102422314B1 (ko) 건축 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