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010B1 -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 - Google Patents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010B1
KR102438010B1 KR1020220016201A KR20220016201A KR102438010B1 KR 102438010 B1 KR102438010 B1 KR 102438010B1 KR 1020220016201 A KR1020220016201 A KR 1020220016201A KR 20220016201 A KR20220016201 A KR 20220016201A KR 102438010 B1 KR102438010 B1 KR 102438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sides
frame
ceil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풍산물산
차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풍산물산, 차현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풍산물산
Priority to KR1020220016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6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nap action of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의 골조가 되는 다수의 프레임들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더불어 마감재의 결합을 위한 위치 수정 또한 극히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적인 사용 가치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극히 간소화된 구성만으로도 우수한 수준의 시공성을 발휘하여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 등으로 인해 시공의 편의성과 효율성 또한 극대화 유도되는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지붕에서 기설정 간격으로 하향 배치되는 복수의 행거(100);와, 행거에 거치되어 지붕 하단에 일 방향 복수 배열되며, 길이 방향으로 레일(21)이 구비되어 체결구 일부가 개입되는 메인프레임(200);과, 메인프레임 하단에서 직교 방향으로 기설정 간격 복수 배열되는 보조프레임(300);과, 메인프레임 상단에서 클립 형태로 하향 끼움되어 보조프레임을 구속시키는 복수의 체결구(400);와, 보조프레임에 끼움 방식 복수 결합되어 천장을 형성하는 마감재(5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Lightweight steel frame structure for earthquake-pro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물에 천장(天障)을 시공하기 위해 사전 설치되는 천장용 기초 구조물에 관련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의 골조가 되는 다수의 프레임들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더불어 마감재의 결합을 위한 위치 수정 또한 극히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적인 사용 가치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극히 간소화된 구성만으로도 우수한 수준의 시공성을 발휘하여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 등으로 인해 시공의 편의성과 효율성 또한 극대화 유도되는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건물의 천장 시공법으로는 H빔 또는 골조용 파이프 등을 종과 횡으로 적층 배치하여 격자 형상의 기초 골조를 구축하고, 구축된 기초 골조에 나사 또는 리벳 등으로 마감재를 빈틈없이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기초 골조는 종 프레임과 횡 프레임을 용접이나 볼팅 방식으로 결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종 프레임과 횡 프레임의 위치 선정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마감재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시공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시공을 완료하더라도 완성도가 현저히 저하되므로 사전에 치밀한 설계작업이 선행되어야만 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다양한 방식의 천장 구조물이 개발되었으며,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2230065호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가 게재되어 있다. 해당 기술은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에 수용되는 체결너트와,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관통홀에 개입되어 체결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나선봉과, 나선봉의 하부측에 결합되고 천장구조물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고정브라켓의 관통홀과 나선봉 사이에 유격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구조의 나선봉에 외력이 가해지면 나선봉이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면서 충격을 흡수하였다.
다른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1703982호 "조립식 천장구조물"이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실내 설비를 구비하여 천장에 설치되며 외주를 따라 수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커버패널 및 상호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상기 커버패널 사이에 조립될 수 있도록 수용부에 대응하여 체결 가능하게 형성된 체결부가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마감패널로 구성되며, 이로부터 나사나 볼트 등을 포함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시간 및 설치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이다.
또 다른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2143612호 "천장구조물용 행거장치"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천장슬래브의 하부에 설치되는 천장마감구조물의 메인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천장구조물용 행거장치의 메인프레임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천장마감구조물의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또 다른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2310694호 "내진용 천장 구조물"이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본 출원인이 개발한 기술로서 천장의 골조가 되는 기초 프레임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더불어 마감재의 결합을 위한 위치 수정 또한 극히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성과 작업의 효율적인 사용 가치를 확보할 뿐 만 아니라 극히 간소화된 구성만으로도 우수한 수준의 시공성을 발휘하여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 등으로 인해 시공의 편의성과 효율성 또한 극대화가 유도되는 기술이다.
상기와 같이 천장 구조물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설치하기 위한 노력과, 외력으로부터 진동을 흡수 내지 분산시켜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과, 천장 구조물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위치 이탈 또는 원치않는 회전을 방지하여 견고한 시공성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기울여졌다.
이에 따라 본 발명 역시 기존의 개발 방향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안전성과 내구성 또한 적극 확보하고, 더불어 결합력과 시공성이 우수하여 시공 작업의 효율성이 극대화됨은 물론 설치 후 부분적인 시공 수정이 가능하면서 제반 구성요소의 간소화로 하여금 취급과 관리가 용이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30065호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등록특허공보 제10-1703982호 "조립식 천장구조물" 등록특허공보 제10-2143612호 "천장구조물용 행거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2310694호 "내진용 천장 구조물"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천장에 선행 설치되는 기초 골조의 구성요소와 각 구성요소 간의 결합 형태를 극히 간소화시켜 운반성, 시공성, 취급성 및 관리 등이 용이한 천장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진 설계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달된 각종 외력과 진동을 흡수하거나 분산시킴으로써 건물의 붕괴방지에 일조할 수 있는 내진형 천장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 골조 구축후 마감재를 설치하거나 또는 추후 마감재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기초 골조와 마감재 간 나사 또는 리벳 등의 체결 위치가 다를 경우에도 기초 골조의 위치 수정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하고, 또한 수정 과정이 극히 간편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뛰어난 천장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 골조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지붕과 기초 골조 간의 이격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프레임 간의 횡 방향과 종 방향 모두 범위에 제약없이 자유 수정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천장 구조물은 건물의 지붕에서 기설정 간격으로 하향 배치되는 복수의 행거(100);와, 행거에 거치되어 지붕 하단에 일 방향 복수 배열되며, 길이 방향으로 레일(21)이 구비되어 체결구 일부가 개입되는 메인프레임(200);과, 메인프레임 하단에서 직교 방향으로 기설정 간격 복수 배열되는 보조프레임(300);과, 메인프레임 상단에서 클립 형태로 하향 끼움되어 보조프레임을 구속시키는 복수의 체결구(400);와, 보조프레임에 끼움 방식 복수 결합되어 천장을 형성하는 마감재(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행거(100)는 건물 지붕으로부터 하향 설치되는 앵카볼트(110);와, 앵카볼트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게 조립되고 메인프레임(200) 하단을 지지하여 건물의 설정 높이에 위치되게 하는 거치대(120);와, 거치대 상단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거치대에 수용된 메인프레임의 이탈을 방지되게 하는 고정볼트(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결구(400)는 메인프레임(200) 상단에 밀착되는 평판(411) 및 평판 양측에 입벽 형태로 하향 연장되어 메인프레임 양면을 압박하는 날개(412)로 이루어지는 바디(410);와, 날개의 양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보조프레임(300)의 걸림을 유도하는 고리편(420);과, 바디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레일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기설정 각도로 개입되어 메인프레인과 바디 사이에 탄성력 부여 및 좌우 이동에 대한 경로를 안내하는 탄성편(4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리편(420)은 날개(412)의 양측에서 하향 연장되는 연장면(421);과, 각 연장편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기설정 각도 상향 절곡되어 보조프레임(300) 일부와 결합이 유도되는 걸림부(4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장면(421)은 날개(412)의 양측에서 정면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기설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연장면(421a);과, 제1연장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제2연장면(421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면(421a)은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고, 제2연장면(421b)은 내측 방향으로 재절곡되어 탄성력이 보유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300)은 체결구(400)의 걸림부(422)에 거치되는 거치편(310);과, 거치편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며 집게 형태로 이루어져 클립 방식에 기인하여 마감재(50)를 결부시키는 끼움편(3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끼움편(320)은 거치편(310) 저부 양측에서 상광하협의 형태로 하향 연장되는 탄성면(321);과, 탄성면의 단부에서 반원형으로 절곡되어 마감재(500)의 끼움 체결을 유도하는 구속부(322);와, 구속부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확장 절곡되어 마감재의 개입을 허용하는 개구부(3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감재(500)는 지붕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담파몰딩(510);과, 담파몰딩과 결합하여 지붕의 하단을 차폐하는 천장부재(520);와, 천장부재 상단에서 보조프레임(300)과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하고, 구속부(322)와의 결합에 기인하여 천장부재를 보조프레임에 구속시키는 구속돌기(530);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행거와 체결구만으로도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을 조립하여 천장에 시공할 수 있는 등 극히 간소화된 구성요소에 기인한 취급과 관리 및 운반이 매우 뛰어나고, 특히 볼트나 나사 등 별도의 체결부품없이도 신속 간편하게 기초골조 구축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시간 단축과 인력소모 절감 등 시공적인 부분에서 효율성이 매우 뛰어난 이점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구에 형성된 탄성편과 고리편에 기인하여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에 각각 내진 기능이 부여됨에 따라 외력에 의한 각종 진동을 흡수 내지 분산시켜 기초 골조 내 모든 결합부위에 대한 원치 않는 풀림과 분해를 방지하여 건물의 붕괴 방지에 일조하는 천장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행거와 메인프레임, 메인프레임과 체결구, 체결구와 보조프레임, 보조프레임의 모든 결합 부위에 대해 신속, 간편, 정밀한 위치 보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기초 골조 구축후 마감재를 설치하거나 또는 추후 마감재의 교체과정에서 마감재의 크기와 기초 골조의 결합 부위가 불일치하거나 기초 골조와 마감재 간 나사 또는 리벳의 체결 위치에 차이가 있을 경우 행거, 메인프레임, 체결구, 보조프레임의 위치를 신속하게 보정하여 마감재를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과 유지 및 관리가 뛰어난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천장 구조물 간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행거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천장 구조물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체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체결구의 삼각도.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천장 구조물의 정면도이자 체결구의 탄성편이 메인프레임의 레일에 안착된 형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체결구의 고리편에 보조프레임과 마감재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체결구의 보다 상세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건물에 천장(天障)을 시공하기 위해 사전 설치되는 천장용 기초 구조물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한 것이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천장의 골조가 되는 다수의 프레임들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더불어 마감재의 결합을 위한 위치 수정 또한 극히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적인 사용 가치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극히 간소화된 구성만으로도 우수한 수준의 시공성을 발휘하여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 등으로 인해 시공의 편의성과 효율성 또한 극대화 유도되는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건물의 지붕에서 기설정 간격으로 하향 배치되는 복수의 행거(100);와, 행거에 거치되어 지붕 하단에 일 방향 복수 배열되며, 길이 방향으로 레일(21)이 구비되어 체결구 일부가 개입되는 메인프레임(200);과, 메인프레임 하단에서 직교 방향으로 기설정 간격 복수 배열되는 보조프레임(300);과, 메인프레임 상단에서 클립 형태로 하향 끼움되어 보조프레임을 구속시키는 복수의 체결구(400);와, 보조프레임에 끼움 방식 복수 결합되어 천장을 형성하는 마감재(500);로 구성된다.
상기 행거(100)는 건물 내부의 지붕에 결합하며 지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기설정 간격으로 하향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200)은 H빔이나 골조용 파이프로 이루어져 행거에 각 거치되며 행거의 설치 방향에 따라 지붕 하단에서 종 또는 횡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며, 상기 보조프레임(300)은 메인프레임 하단에서 직교 방향으로 기설정 간격 복수 배열되어 메인프레임과 동반하여 전체적으로 격자 형태를 구성하고, 상기 체결구(400)는 메인프레임 상단에서 클립 형태로 하향 끼움되어 보조프레임을 구속시키며, 상기 마감재(500)는 석고보드 또는 각종 천장용 마감재로 이루어져 보조프레임의 저면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된다.
도 2는 천장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천장 구조물(1)은 지붕 내부에서 하향 설치되는 행거(100);와, 행거에 거치되어 종 방향(본 발명의 도면 기준)으로 배열되는 메인프레임(200);과, 메인프레임의 하단에 횡 방향(본 발명의 도면 기준)으로 배열되는 보조프레임(300);과, 메인프레임 상측에서 하향 끼움되어 하단 일부가 메인프레임 하측으로 노출되고 노출된 영역으로 보조프레임을 구속시켜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을 일체화 유도되게 하는 체결구(400);로 이루어진다.
도 3은 행거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천장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행거(100)는 건물 지붕으로부터 하향 설치되는 앵카볼트(110)와, 앵카볼트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게 조립되고 메인프레임(200) 하단을 지지하여 건물의 설정 높이에 위치되게 하는 거치대(120)와, 거치대 상단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거치대에 수용된 메인프레임의 이탈을 방지되게 하는 고정볼트(130)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앵카볼트(110)는 벽체 등에 매립되는 확장부(111)와, 대상물에 체결되는 나사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앵카볼트(110)는 지붕 내부에서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확장부(111)를 지붕에 매립시켜 견고하게 구속되게 하고, 이에 따라 하향 배치된 나사부(112)에 거치대(120) 일부를 관통시켜 너트(113)로 고정한다.
상기 거치대(120)는 앵카볼트(110)의 나사부(112)가 결합되는 제1절곡부(121)와, 제1절곡부로부터 하측으로 직각 절곡되어 메인프레임(200)의 배면에 밀착하는 제2절곡부(122)와, 제2절곡부로부터 전방으로 직각 절곡되어 메인프레임의 저면에 밀착하는 제3절곡부(123)와, 제3절곡부로부터 상향 직각 절곡되어 메인프레임의 정면을 밀착하는 제4절곡부(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대(120)는 너트(113)의 조임 정도에 따라 앵카볼트(110)의 허용 범위 내에서 상하 위치 조절이 이루어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3,4절곡부(122, 123, 124)의 조합으로 메인프레임(200)이 안정적으로 거치된다.
상기와 같이 제2,3,4절곡부(122, 123, 124)에 메인프레임이 안착 거치된 상태에서 제2절곡부와 제4절곡부를 가로질러 고정볼트(130)가 설치됨에 따라 메인프레임이 상측으로 벗어나는 문제를 차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200)은 내부가 내통된 사각의 파이프로써,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기설정 깊이의 홈으로 이루어진 레일(210)이 겸비되어 있다.
상기 레일(210)은 아래 후술하겠지만 메인프레임(200)의 상면과 체결구(400) 간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마찰 유발을 감소시키고, 특히 레일(210)에 탄성편(430)이 맞춤 개입됨에 따라 상호 간 결합력 향상을 도모함과 더불어 체결구의 위치 보정시 좌우 이동에 대한 경로 안내를 정밀하게 유도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체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체결구의 삼각도이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체결구(400)는 메인프레임(200)의 상측에서 클립 방식으로 하향 끼움되는 바디(410)와, 바디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보조프레임(300)의 걸림을 유도하는 고리편(420)과, 바디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레일(210)에 개입되는 탄성편(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410)는 메인프레임(200)의 상측으로 진입하여 메인프레임 상단에 안착되는 평판(411)과, 평판 양측에서 입벽 형태로 하향 연장되어 메인프레임의 양면을 압박하는 좌우 한 쌍의 날개(41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리편(420)은 날개(412)의 좌우 양측에서 각 1개소씩 총 2개 1조로 하향 연장되는 연장면(421);과, 각 연장편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기설정 각도 상향 절곡되어 보조프레임(300) 일부와 결합이 유도되는 걸림부(422);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연장면(421)은 날개(412)의 양측에서 정면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기설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연장면(421a);과, 제1연장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제2연장면(421b);으로 구분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연장면(421a)은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고, 제2연장면(421b)은 내측 방향으로 재절곡되어 탄성력이 보유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제1연장면(421a)과 제2연장면(421b)은 설정의 넓은 폭을 보유하므로 보조프레임(300)의 높은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422) 역시 연장면(421)과 동일한 폭으로 구성되므로 보조프레임(300)과의 접촉면이 확장되어 높은 지지력과 향상된 결합력을 발휘한다.
상기 걸림부(422)는 제2연장면(421b)의 단부를 체결구(400)의 중심부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며, 걸림부에 거치된 보조프레임(300)이 상측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기설정 각도 상향 절곡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갈고리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탄성편(430)은 평판(411)의 좌우 양측에서 레일(210)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레일의 내부공간으로 기설정 각도로 절곡되어 메인프레임과 바디 사이에 탄성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좌우 위치 이동에 대한 경로 안내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천장 구조물의 정면도이자 체결구의 탄성편이 메인프레임의 레일에 안착된 형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과 같이 상기 체결구(400)는 메인프레임(200)의 상측에서 하향 개입하여 평판(411)의 내면과 메인프레임 상면이 접촉되고, 이때 탄성편(430)은 레일(210)에 삽입되어 레일의 바닥면에 안착된다. 한편, 상기 체결구(400)는 탄성편(430)의 절곡 각도에 따라 메인프레임(200) 상면에 밀착 조립되거나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탄성편(430)의 하향 절곡 정도가 완만할 경우 체결구(400)는 메인프레임(200)의 상면에 밀착되고, 결과적으로 탄성편은 단순히 체결구의 위치 보정에 대해서 이동 경로를 정밀하게 안내한다. 반면, 탄성편(430)의 하향 절곡 정도가 상승할 경우 레일(210) 바닥면에서 탄성편이 바디(410) 전체를 지지하게되면서 체결구(400)가 메인프레임(200)으로부터 이격되고, 탄성편의 탄성력에 기인하여 충격 완화 및 진동 흡수 등 내진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도 7은 체결구의 고리편에 보조프레임과 마감재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과 같이 상기 보조프레임(300)은 천장의 폭에 맞춰 길게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상광하협의 집게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는 체결구(400)의 고리편(420)에 거치되고, 하부는 끼움 방식으로 마감재(500)가 결부된다.
상기 보조프레임(300)은 체결구(400)의 걸림부(422)에 거치되는 거치편(310)과, 거치편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며 집게 형태로 이루어져 클립 방식에 기인하여 마감재(50)를 결부시키는 끼움편(320)으로 구분 구성된다.
특히 상기 끼움편(320)은 거치편(310) 저부 양측에서 상광하협의 형태로 하향 연장되는 탄성면(321);과, 탄성면의 단부에서 반원형으로 절곡되어 마감재(500)의 끼움 체결을 유도하는 구속부(322);와, 구속부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확장 절곡되어 마감재의 개입을 허용하는 개구부(323);로 구분 구성된다.
한편, 상기 마감재(500)는 지붕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담파몰딩(510);과, 담파몰딩과 결합하여 지붕의 하단을 차폐하는 천장부재(520);와, 천장부재 상단에서 보조프레임(300)과 대응하는 위치마다 설치하고, 구속부(322)와의 결합에 기인하여 천장부재를 보조프레임에 구속시키는 구속돌기(530);로 구성된다.
상기 담파몰딩(510)이란 석재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천장부재(520)를 설치할 수 있도록 거치 구조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경우에 따라 배선이나 배관 등의 설치 경로를 제공하기도 한다. 상기 담파몰딩(510)은 지붕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설치 면적이 넓을 경우 공간을 분할하여 보강 설치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천장부재(520)는 대체로 석고보드를 의미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철재나 석재 등 천장에 사용되는 모든 마감부재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구속돌기(530)는 천장부재(520)를 특정 배열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도 7과 같이 천장부재를 보조프레임(300)에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구속돌기(530)는 보조프레임(300)의 끼움편(320)에 형성된 반원형 공간에 대응하는 타원형의 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300)의 개구부(330)를 거쳐 끼움편(320)에 개입됨으로써 천장부재를 보조프레임에 결합되게 한다.
도 8은 체결구의 보다 상세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고리편(420) 날개의 양측에서 하향 연장되도록 절곡될 때, 고리편의 상측 부위와 날개(412) 부위에 원형의 절곡공(h)이 형성되어 고리편(420)의 가공을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면서도 고리편(420)과 날개(412)의 인접면에 대한 파손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고리편(42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리편(420)의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부(p)가 형성되어 고리편(420)으로 강도를 제공하여 보조프레임(300)의 걸림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천장 구조물은 행거와 체결구만으로도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을 조립하여 천장에 시공할 수 있는 등 극히 간소화된 구성요소에 기인한 취급과 관리 및 운반이 매우 뛰어나고, 특히 볼트나 나사 등 별도의 체결부품없이도 신속 간편하게 기초골조 구축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시간 단축과 인력소모 절감 등 시공적인 부분에서 효율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체결구에 형성된 탄성편과 고리편에 기인하여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에 각각 내진 기능이 부여됨에 따라 외력에 의한 각종 진동을 흡수 내지 분산시켜 기초 골조 내 모든 결합부위에 대한 원치 않는 풀림과 분해를 방지하여 건물의 붕괴 방지에 일조하는 천장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행거와 메인프레임, 메인프레임과 체결구, 체결구와 보조프레임, 보조프레임의 모든 결합 부위에 대해 신속, 간편, 정밀한 위치 보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기초 골조 구축후 마감재를 설치하거나 또는 추후 마감재의 교체과정에서 마감재의 크기와 기초 골조의 결합 부위가 불일치하거나 기초 골조와 마감재 간 나사 또는 리벳의 체결 위치에 차이가 있을 경우 행거, 메인프레임, 체결구, 보조프레임의 위치를 신속하게 보정하여 마감재를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과 유지 및 관리가 뛰어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행거
200. 메인프레임
300. 보조프레임
400. 체결구
500. 마감재
1. 천장 구조물

Claims (5)

  1. 건물의 지붕에서 기설정 간격으로 하향 배치되는 복수의 행거(100);
    행거에 거치되어 지붕 하단에 일 방향 복수 배열되며, 길이 방향으로 레일(21)이 구비되어 체결구 일부가 개입되는 메인프레임(200);
    메인프레임 하단에서 직교 방향으로 기설정 간격 복수 배열되는 보조프레임(300);
    메인프레임 상단에서 클립 형태로 하향 끼움되어 보조프레임을 구속시키는 복수의 체결구(400);
    보조프레임에 끼움 방식 복수 결합되어 천장을 형성하는 마감재(500);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구(400)는, 메인프레임(200) 상단에 밀착되는 평판(411) 및 평판 양측에 입벽 형태로 하향 연장되어 메인프레임 양면을 압박하는 날개(412)로 이루어지는 바디(410)와,
    날개의 양측에서 하향 연장되어 보조프레임(300)의 걸림을 유도하는 고리편(420)과,
    바디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레일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기설정 각도로 개입되어 메인프레인과 바디 사이에 탄성력 부여 및 좌우 이동에 대한 경로를 안내하는 탄성편(430)을 포함하는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편(420)은,
    날개(412)의 양측에서 하향 연장되는 연장면(421);
    각 연장편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기설정 각도 상향 절곡되어 보조프레임(300) 일부와 결합이 유도되는 걸림부(422);
    를 포함하는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면(421)은,
    날개(412)의 양측에서 정면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기설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연장면(421a);
    제1연장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제2연장면(421b);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면(421a)은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고, 제2연장면(421b)은 내측 방향으로 재절곡되어 탄성력이 보유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300)은,
    체결구(400)의 걸림부(422)에 거치되는 거치편(310);
    거치편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며 집게 형태로 이루어져 클립 방식에 기인하여 마감재(50)를 결부시키는 끼움편(320);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편(320)은,
    거치편(310) 저부 양측에서 상광하협의 형태로 하향 연장되는 탄성면(321)과,
    탄성면의 단부에서 반원형으로 절곡되어 마감재(500)의 끼움 체결을 유도하는 구속부(322)와,
    구속부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확장 절곡되어 마감재의 개입을 허용하는 개구부(323)를 포함하는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
KR1020220016201A 2022-02-08 2022-02-08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 KR102438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201A KR102438010B1 (ko) 2022-02-08 2022-02-08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201A KR102438010B1 (ko) 2022-02-08 2022-02-08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010B1 true KR102438010B1 (ko) 2022-08-30

Family

ID=83114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201A KR102438010B1 (ko) 2022-02-08 2022-02-08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01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234A (ja) * 1996-01-08 1997-07-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天井板押え金具
KR200174945Y1 (ko) * 1999-10-18 2000-03-15 송기정 천장판 지지프레임 고정용 브라켓
KR20010016085A (ko) * 2000-10-31 2001-03-05 정대식 천정용 장식패널
KR101703982B1 (ko) 2015-07-24 2017-02-07 송우용 조립식 천장구조물
KR200489137Y1 (ko) * 2018-11-06 2019-05-07 이상권 천정판 설치용 클립 바와 캐링 채널의 결합 구조
KR102143612B1 (ko) 2019-04-08 2020-08-11 주식회사 뉴비엠 천장구조물용 행거장치
KR102230065B1 (ko) 2019-02-12 2021-03-19 문재성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KR102310694B1 (ko) 2021-04-29 2021-10-08 주식회사 풍산물산 내진형 천장 구조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4234A (ja) * 1996-01-08 1997-07-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天井板押え金具
KR200174945Y1 (ko) * 1999-10-18 2000-03-15 송기정 천장판 지지프레임 고정용 브라켓
KR20010016085A (ko) * 2000-10-31 2001-03-05 정대식 천정용 장식패널
KR101703982B1 (ko) 2015-07-24 2017-02-07 송우용 조립식 천장구조물
KR200489137Y1 (ko) * 2018-11-06 2019-05-07 이상권 천정판 설치용 클립 바와 캐링 채널의 결합 구조
KR102230065B1 (ko) 2019-02-12 2021-03-19 문재성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KR102143612B1 (ko) 2019-04-08 2020-08-11 주식회사 뉴비엠 천장구조물용 행거장치
KR102310694B1 (ko) 2021-04-29 2021-10-08 주식회사 풍산물산 내진형 천장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862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를 사용한 벽체 패널 설치 장치
KR101023526B1 (ko) 이중바닥 내진 구조물
KR101896278B1 (ko) 경량형 트러스 방음터널
KR101814688B1 (ko)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및 단면증설 보강구조
JP2007239441A (ja) 吊り天井の耐震構造
KR20150072142A (ko) 내,여진 성능이 향상된 건축용 무용접 트러스 구조물
JP6025469B2 (ja) 耐震天井構造
KR102310694B1 (ko) 내진형 천장 구조물
KR20180058962A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JP2011074566A (ja) 建物の耐震補強構造及び建物の耐震補強方法
KR102438010B1 (ko) 클립형 체결구를 활용한 간편 조립형 천장 구조물
KR102250444B1 (ko) 내진형 다기능 방음벽
KR102173311B1 (ko) 댐핑브래킷을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7157577B2 (ja) 天井枠吊り下げ構造
KR101554093B1 (ko) 힌지형 대각부재를 이용한 건축물 개구부 보강 구조물
KR102251214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복합패널 조립체
JP2020007882A5 (ko)
KR101864198B1 (ko) Pc기둥 및 pc보의 src 결합구조, 상하부 pc기둥 상호간 플레이트 결합구조
JP7224037B2 (ja) 天井枠吊り下げ構造
CN211369561U (zh) 混凝土输送管垂直段固定装置
JP5213048B2 (ja) 天井振れ止めシステム
KR20230012280A (ko) 벽체 구조물용 프레임 결합구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
KR101273087B1 (ko) 종벽 록킹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KR102097088B1 (ko) 설치가 용이한 교량의 내진강화장치
KR102635932B1 (ko) 흡음재 거치형 우물천장 구조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