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696B1 -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 Google Patents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696B1
KR102471696B1 KR1020210128025A KR20210128025A KR102471696B1 KR 102471696 B1 KR102471696 B1 KR 102471696B1 KR 1020210128025 A KR1020210128025 A KR 1020210128025A KR 20210128025 A KR20210128025 A KR 20210128025A KR 102471696 B1 KR102471696 B1 KR 102471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ed
hanger
main body
fram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학열
Original Assignee
류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학열 filed Critical 류학열
Priority to KR1020210128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2009/186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arrangements for damping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천정에 상부가 고정되는 행거부와, 행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메인프레임부와, 메인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중계프레임부와, 중계프레임부의 지지훅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및 중계프레임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프레임부와, 서브프레임부에 지지되고, 하부에는 마감패널을 파지하기 위한 클립이 결합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행거부는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메인바디의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하단은 메인바디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절곡된 지지리브가 형성되며, 메인바디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행거와, 보조행거의 상면에 형성된 장공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하방향으로 보조행거의 장공을 통해 지지되는 지지홈이 복수개 형성된 수직지지부분과, 수직지지부분의 상단에서 수평상으로 절곡된 수평지지부분을 갖는 지지편과, 지지편을 천정에 매달리는 상태로 지지하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감쇄홀더를 구비한다. 이러한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에 의하면,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변형 및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lightweight steel frame structure for earthquake-pro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도록 된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선체의 벽들 또는 천장들을 커버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패널링 시스템들이 다수 공지되어 있다. 이들 대부분은 상호 동일한 형태로 패널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 플랜지 및 각 플랜지의 자유단부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비드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패널과, 패널들의 길이에 대한 일반적으로 수직하게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플랜지의 비드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들을 가진 복수의 지지 스트링거를 구비하고 있다.
일 예로, 국내등록특허 제10-0379657호에는 패널링 및 그 지지 스트링거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패널링 및 그 지지 스트링거는 축선을 갖는 가늘고 긴 몸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몸체에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의 지지 돌출부가 제공되어 있고, 각각의 지지 돌출부는 하나 이상의 후크를 구비하고, 후크는 몸체의 축에 대해 예각으로 연장되고 패널의 플랜지 단부 상에서 외부로 굴곡 된 비드에 의해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내부표면을 구비한다. 또한, 각각의 지지 돌출부 후크는 내부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외부표면을 구비하고, 외부표면은 내부표면의 예각과 동일한 형태로 몸체의 축에 대하여 예각으로 연장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패널링 및 지지 스트링거는 후크가 몸체의 축에 대해 예각으로 연장되어 있고, 패널의 플랜지 상단부에서 굴곡 된 비드와 후크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훅크로부터 플랜지를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패널링 및 지지 스트링거는 지진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변형 및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는 천정에 상부가 고정되는 행거부와; 상기 행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메인프레임부와;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및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훅이 형성된 중계프레임부와; 상기 중계프레임부의 지지훅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및 상기 중계프레임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프레임부와; 상기 서브프레임부에 지지되고, 하부에는 마감패널을 파지하기 위한 클립이 결합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프레임부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으로 각각 절곡되게 연장된 메인절곡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프레임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으로 진입되고 서로 이격 및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진입부와, 상기 진입부의 상부에서 상기 진입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상기 메인절곡리브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걸림판부와, 상기 진입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훅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프레임부는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 및 상기 중계프레임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서로 연결되어 폐쇄되게 형성된 서브바디와, 상기 서브바디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상기 서브바디의 내측으로 각각 절곡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훅에 각각 결합되는 서브절곡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메인바디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절곡된 지지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행거와; 상기 보조행거의 상면에 형성된 장공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하방향으로 상기 보조행거의 장공을 통해 지지되는 지지홈이 복수개 형성된 수직지지부분과, 상기 수직지지부분의 상단에서 수평상으로 절곡된 수평지지부분을 갖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을 천정에 매달리는 상태로 지지하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감쇄홀더;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감쇄홀더는 일단이 천정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의 수평지지부분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관통되게 삽입되는 앵커볼트와; 상기 지지편의 수평지지부분 상부에서 상기 앵커볼트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진동을 완충시키는 제1완충스프링과; 상기 지지편의 수평지지부분 저부에서 상기 앵커볼트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진동을 완충시키는 제2완충스프링과; 상기 제1완충스프링 상부에서 상기 제1완충스프링의 유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앵커볼트와 결합된 제1스토퍼와; 상기 제2완충스프링의 하부에서 상기 제2완충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앵커볼트와 결합된 제2스토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완충스프링의 상부와 상기 지지편의 수평 지지부분의 저면 사이에 장착되어 인가되는 가압력에 대응하는 전력을 생성하는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가 설정된 경고조건에 해당하면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행거의 상면에는 수직지지부분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방향에서 각각 상기 장공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지지부분을 통해 인가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제1 및 제2끼움패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끼움패드는 상기 보조 행거의 상면에 상기 장공의 양단에 각각 근접되는 위치에 결합된 고정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부분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방향에서 상기 수직지지부분과의 사이의 상기 장공에 각각 끼움결합되며 탄성소재로 탈착가능하게 형성된 끼움편과; 상기 끼움편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연결된 연결띠;를 구비하고, 상기 끼움편의 측면에는 상기 장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장공의 가장자리가 일정깊이 삽입을 허용하도록 링형태로 측면을 따라 형성된 끼움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부의 상기 서브바디는 상호 이격된 상기 서브절곡리브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수직연장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수직연장부분의 하단에서 상호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처리되되 상호 대향되며 개방되며 상기 파지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제1 및 제2슬롯홈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슬롯형성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슬롯형성부분의 상단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및 제2 지지훅 사이에 걸림지지될 수 있게 상단이 좁고 하부가 넓은 삼각형상의 걸림부분을 갖는 지지강화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감쇄홀더는 일단이 천정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된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에 고정되어 수평상으로 연장된 보조지지판과; 상기 지지편의 수평지지부분 상면과 대향되는 상기 보조지지판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홀을 통해 머리부분이 지지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나사몸통부분을 갖되 상기 지지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된 행거바와; 상기 지지편의 수평지지부분 상부와 상기 보조지지판의 저면사이에서 상기 행거바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진동을 완충시키는 제1완충스프링과; 상기 지지편의 수평지지부분 저부에서 상기 행거바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진동을 완충시키는 제2완충스프링과; 상기 제2완충스프링 하부에서 상기 제2완충스프링의 유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행거바와 결합된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행거바의 상기 머리부분은 상기 나사몸통부분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될 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반구형상을 갖는 반구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지지판의 상기 지지홀은 상기 반구부분의 안착 및 미끄럼 회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반구형태로 인입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에 의하면,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변형 및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의 조립상태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쇄홀더 구조를 나타내 보인 부분 발췌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압전소자와 연계된 부분에 대한 제어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의 조립상태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100)는 천정에 상부가 고정되는 행거부(110), 메인프레임부(160), 중계프레임부(170), 서브프레임부(180) 및 파지부(190)를 구비한다.
행거부(110)는 건물과 같은 구조물의 천정에 상부가 고정되며 메인프레임부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행거부(110)는 보조행거(120), 지지편(130) 및 감쇄홀더(140)를 구비한다.
보조행거(120)는 메인프레임부(160)의 메인바디(161)의 양측을 감싸도록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보조바디(121)와, 보조바디(121)의 하단에 메인바디(151)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절곡된 지지리브(122)가 형성되어 메인바디(16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조 바디(121)는 사각체 형상의 메임바디(161)의 양측면에 대응되게 이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밀착부분(121a)과, 밀착부분(121)의 상단에서 상호 거리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된 경사부분(121b) 및 경사부분(121b)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상판부분(121c)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경사부분(121b)의 수직상의 높이는 후술되는 지지편(130)이 높이조절 범위를 확보할 수 있게 적절하게 적용하면 된다.
보조행거(120)의 상면이 되는 상판부분(121c)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관통된 장공(123)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130)은 보조행거(120)의 상면에 형성된 장공(123)을 따라 삽입을 허용하되 방향전환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가능하게 상하방향으로 보조행거(120)의 장공(123)을 통해 지지되는 지지홈(131a)이 복수개 형성된 수직지지부분(131)과, 수직지지부분(131)의 상단에서 수평상으로 절곡된 수평지지부분(13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수평지지부분(132)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홀(135)이 형성되어 있다.
감쇄홀더(140)는 지지편(130)을 천정에 매달리는 상태로 지지하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감쇄홀더(140)는 앵커볼트(141), 제1완충스프링(145), 제2완충스프링(146), 제1스토퍼(147), 제2스토퍼(148), 제1 및 제2끼움패드(150a)(150b), 압전소자(155) 및 알람유니트(156)를 구비한다.
앵커볼트(141)는 일단이 천정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지편(130)의 수평지지부분(132)에 형성된 관통홀(135)을 통해 관통되게 하방으로 삽입되어 있다.
제1완충스프링(145)은 지지편(130)의 수평지지부분(132) 상부에서 앵커볼트(141)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진동을 완충시킨다.
제2완충스프링(146)은 지지편(130)의 수평지지부분(132) 저부에서 앵커볼트(141)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진동을 완충시킨다.
제1스토퍼(147)는 제1완충스프링(145) 상부에서 제1완충스프링(145)의 유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외경이 제1완충스프링(145)보다 크며 앵커볼트(141)와 나사 결합된 너트로 적용되어 있다.
제2스토퍼(148)는 제2완충스프링(146)의 하부에서 제2완충스프링(146)의 이탈을 방지 하도록 외경이 제2완충스프링(146)보다 크며 앵커볼트(141)와 나사 결합된 너트로 적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스토퍼(147)(148)는 제1 및 제2완충스프링(145)(146)과 탄성적 긴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위치상에서 적절하게 결합되면 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너트를 적용함으로써 탄성적 긴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끼움패드(150a)(150b)는 보조 행거(120)의 상면에 장착되어 수직지지부분(131)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방향에서 장공(123)에 각각 삽입되어 수직지지부분(131)을 통해 인가되는 진동을 감쇠시킨다.
제1 및 제2끼움패드(150a)(150b) 장공(123)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방향에서 장착되어 있고 동일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제1 및 제2끼움패드(150a)(150b)는 보조 행거(120)의 상면에 장공(123)의 양단에 각각 근접되는 위치에 결합된 고정부재(151)와, 수직지지부분(131)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방향에서 수직지지부분(131)과의 사이의 장공(123)에 각각 끼움결합되며 탄성소재로 탈착가능하게 형성된 끼움편(152) 및 끼움편(152)과 고정부재(151) 사이에 연결된 연결띠(153)를 구비한다.
여기서 끼움편(152)은 장공(123)의 삽입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장공(123)의 폭보다 약간 큰 크기로 형성하되 측면에는 장공(123)에 탄성적 변형을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장공(123)의 가장자리가 일정깊이 삽입을 허용하도록 링형태로 측면을 따라 형성된 끼움홈(152a)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편(152)은 고무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편(152)은 지지편(130)을 보조홀더(120)의 장공(123)을 통해 장착하는 과정에서는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지지편(130)이 보조홀더(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공(123)에 끼움결합되게 삽입하면 된다.
이러한 감쇄홀더(140) 구조에 의하면, 천정으로부터 인가되는 진동 또는 메임바디(161)로부터 역으로 인가되는 진동을 제1 및 제2완충스프링(145)(146)과 제1 및 제2끼움패드(150a)(150b)에 의해 효율적으로 분산 흡수하여 감쇄시킬 수 있다.
감쇄홀더는 이와는 다르게 구축될 수 있고 그 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쇄홀드(240)는 앵커볼트(241), 보조지지판(243), 행거바(244), 제1완충스프링(245), 제2완충스프링(246), 스토퍼(248)를 구비한다.
앵커볼트(241)는 일단이 천정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지지판(243)은 앵커볼트(241)에 고정너트(242)를 통해 고정되어 수평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지지홀(243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홀(243)은 후술되는 반구부분(244b)의 안착 및 미끄럼 회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반구형태로 인입되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행거바(244)는 지지편(130)의 수평지지부분(132) 상면과 대향되는 보조지지판(143)의 상면에 형성된 지지홀(243a)을 통해 머리부분이 지지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나사몸통부분(244a)을 갖되 지지편(130)에 형성된 관통홀(135)을 통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행거바(244)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연장된 나사몸통부분(244a)에 관통되게 삽입되며 상방으로 연장될 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반구형상을 갖게 형성되어 지지홀(243)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링형태의 반구부분(244b)과, 반구부분(244b)의 이탈을 제한하도록 상부에서 나사몸통부분(244a)과 나사결합되는 상부너트(244c)에 의해 나사몸통부분(244a)에 대해 분리가능한 머리부분을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반구부분(244b)이 나사몸통부분(244a)에 일체로 접합되어 머리부분을 형성한 구조로 형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완충스프링(245)는 지지편(130)의 수평지지부분(132) 상부와 보조지지판(243)의 저면사이에서 행거바(244)의 나사몸통부분(244a)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된 진동을 완충시킨다.
제2완충스프링(246)은 지지편(130)의 수평지지부분(132) 저부에서 행거바(244)의 나사몸통부분(244a)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진동을 완충시킨다.
스토퍼(248)는 제2완충스프링(246) 하부에서 제2완충스프링(246)의 유동범위를 제한하도록 행거바(244)의 나사몸통부분(244a)에 나사결합된 너트가 적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행거바(244)의 회동을 허용함으로써 내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압전소자(155)는 제1완충스프링(145)(245)의 저부와 지지편(130)의 수평지지부분(132) 상면 사이 및 제2완충스프링(146)(246)의 상부와 지지편(130)의 수평 지지부분(132)의 저면 사이에 각각 장착되어 인가되는 가압력에 대응하는 전력을 생성한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압전소자(155)는 제1완충스프링(145)의 저부와 지지편(130)의 수평지지부분(132) 상면 사이와 제2완충스프링(146)의 상부와 지지편(130)의 수평 지지부분(132)의 저면 사이 중 어느 한측에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알람유니트(156)는 지지편(130)에 장착되어 있고,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알람유니트(156)는 충전부(157), 제어부(158) 및 스피커(159)를 구비한다.
충전부(157)는 압전소자(155)로부터 인가된 진동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전력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력을 제어부(158)와 스피커(159)의 구동전력으로 공급한다.
제어부(158)는 압전소자(155)에서 발생되어 충전부(157)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받아 모니터링하면서 설정된 경고조건에 해당하면 스피커(159)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한다. 제어부(155)는 압전소자(155)에서 발생되어 충전부(157)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전압 또는 전류가 설정된 알람조건에 도달하면 경고조건에 해당하도록 구축되거나, 압전소자(155)에서 발생되어 충전부(157)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전압 또는 전류가 설정된 기준조건 이상이면서 반복주기가 설정된 기준 주기범위에 속하면 경고조건에 해당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부(160)는 행거부(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의 메인바디(161)와, 메인바디(161)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메인바디(161)의 내측으로 각각 절곡되게 연장된 메인절곡리브(162)를 갖는 구조로 되어 보조행거(120)를 통해 지지된다.
중계 프레임부(170)는 메인프레임부(16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및 메인프레임부(160)의 메인바디(161)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제1 및 제2지지훅이 형성되어 있다.
중계프레임부(170)를 구분하면, 메인바디(161)의 하부를 통해 메인바디(161)의 내측으로 진입되고 서로 이격 및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진입부(171)와, 진입부(171)의 상부에서 진입부(17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메인프레임부(160)의 메인절곡리브(162)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걸림판부(172)와, 진입부(171)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훅(173)(174) 및 상호 대향되는 제1 지지훅(173)의 하단 및 상호 대향되는 제2지지훅(174)의 하단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분(175)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 및 제2지지훅은 진입부(171)위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네크부분과 네크부분의 하단 양측에서 네크부분보다 확장된 폭을 갖게 연장되면서 상방으로 경사져 걸림홈을 형성하며 하방으로 연장된 걸림부분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서브 프레임부(180)는 중계프레임부(170)의 제1 및 제2지지훅(173)(174)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및 중계프레임부(17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프레임부(180)를 구분하면, 메인프레임부(160)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 및 중계프레임부(17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서로 연결되어 폐쇄되게 형성된 서브바디(181)와, 서브바디(181)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서브바디(181)의 내측으로 각각 절곡되게 연장되어 제1 및 제2 지지훅(173)(174)에 각각 결합되는 서브절곡리브(182)로 되어 있다.
서브바디(181)는 평판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를 구분하면, 제1 및 제2수직연장부분(181a)(181b)과, 제1 및 제2슬롯형성부분(181c)(181d) 및 지지강화부분(181e)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수직연장부분(181a)(181b)는 상호 이격된 서브절곡리브(182)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제1 및 제2슬롯형성부분(181c)(181d)는 제1 및 제2수직연장부분(181a)(181b)의 하단에서 상호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처리되되 상호 대향되며 수평상으로 개방되며 파지부(190)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제1 및 제2슬롯홈(183)(184)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제1 및 제2슬롯형성부분(181c)(181d)은 지그재그 형태로 수평상으로 2번 절곡하여 제1 및 제2슬롯홈(183)(184)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강화부분(181e)은 제1 및 제2슬롯형성부분(181c)(181d)의 상단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 1 및 제2 지지훅(173)(174) 사이에 걸림지지될 수 있게 상단이 좁고 하부가 넓은 삼각형상의 걸림부분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파지부(190)는 서브프레임부(180)에 지지되고, 하부에는 마감패널(10)을 파지하기 위한 클립(20)이 결합된다.
파지부(190)는 서브프레임부(180)의 하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슬롯홈(183)(184)을 통해 서프바디(181)의 내측으로 삽입 및 서브바디(181)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회전각도에 따라 서브바디(181)에 끼움 결합되거나 분리되게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19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191)와, 베이스(191)의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한 쌍의 수직부(192)와, 수직부(192) 각각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슬롯홈(183)(184)에 삽입되는 걸림날개(193)로 되어 있다.
클립(20)은 파지부(190)의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베이스(191)에 형성된 한 쌍의 경사리브(미도시)에 일 측이 삽입되어 구속되고, 타 측은 마감패널(10)의 가장자리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클립(20)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 마감패널(10)의 스커트부(12)를 양측에서 서로 가압하여 마감패널(10)들을 지지하며, 마감패널(10) 당 4개가 적용된다. 파지부(190)의 베이스(191)에는 한 쌍의 경사리브가 4방향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에 의하면,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변형 및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행거부 160: 메인프레임부
170: 중계프레임부 180: 서브프레임부
190: 파지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천정에 상부가 고정되는 행거부와;
    상기 행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메인프레임부와;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및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훅이 형성된 중계프레임부와;
    상기 중계프레임부의 지지훅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및 상기 중계프레임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프레임부와;
    상기 서브프레임부에 지지되고, 하부에는 마감패널을 파지하기 위한 클립이 결합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프레임부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양측 하단으로부터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으로 각각 절곡되게 연장된 메인절곡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프레임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으로 진입되고 서로 이격 및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진입부와, 상기 진입부의 상부에서 상기 진입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상기 메인절곡리브에 걸리도록 결합되는 걸림판부와, 상기 진입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지지훅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프레임부는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 및 상기 중계프레임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서로 연결되어 폐쇄되게 형성된 서브바디와, 상기 서브바디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상기 서브바디의 내측으로 각각 절곡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훅에 각각 결합되는 서브절곡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메인바디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상방으로 절곡된 지지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행거와;
    상기 보조행거의 상면에 형성된 장공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하방향으로 상기 보조행거의 장공을 통해 지지되는 지지홈이 복수개 형성된 수직지지부분과, 상기 수직지지부분의 상단에서 수평상으로 절곡된 수평지지부분을 갖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을 천정에 매달리는 상태로 지지하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감쇄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감쇄홀더는
    일단이 천정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의 수평지지부분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관통되게 삽입되는 앵커볼트와;
    상기 지지편의 수평지지부분 상부에서 상기 앵커볼트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진동을 완충시키는 제1완충스프링과;
    상기 지지편의 수평지지부분 저부에서 상기 앵커볼트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된 진동을 완충시키는 제2완충스프링과;
    상기 제1완충스프링 상부에서 상기 제1완충스프링의 유동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앵커볼트와 결합된 제1스토퍼와;
    상기 제2완충스프링의 하부에서 상기 제2완충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앵커볼트와 결합된 제2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완충스프링의 상부와 상기 지지편의 수평 지지부분의 저면 사이에 장착되어 인가되는 가압력에 대응하는 전력을 생성하는 압전소자와;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가 설정된 경고조건에 해당하면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행거의 상면에는 수직지지부분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방향에서 각각 상기 장공에 삽입되어 상기 수직지지부분을 통해 인가되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제1 및 제2끼움패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끼움패드는
    상기 보조 행거의 상면에 상기 장공의 양단에 각각 근접되는 위치에 결합된 고정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부분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방향에서 상기 수직지지부분과의 사이의 상기 장공에 각각 끼움결합되며 탄성소재로 탈착가능하게 형성된 끼움편과;
    상기 끼움편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연결된 연결띠;를 구비하고,
    상기 끼움편의 측면에는 상기 장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장공의 가장자리가 일정깊이 삽입을 허용하도록 링형태로 측면을 따라 형성된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부의 상기 서브바디는
    상호 이격된 상기 서브절곡리브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수직연장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수직연장부분의 하단에서 상호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처리되되 상호 대향되며 개방되며 상기 파지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제1 및 제2슬롯홈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슬롯형성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슬롯형성부분의 상단 중앙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및 제2 지지훅 사이에 걸림지지될 수 있게 상단이 좁고 하부가 넓은 삼각형상의 걸림부분을 갖는 지지강화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6. 삭제
KR1020210128025A 2021-09-28 2021-09-28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KR102471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025A KR102471696B1 (ko) 2021-09-28 2021-09-28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025A KR102471696B1 (ko) 2021-09-28 2021-09-28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696B1 true KR102471696B1 (ko) 2022-11-25

Family

ID=8423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025A KR102471696B1 (ko) 2021-09-28 2021-09-28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6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3317A (ja) * 1992-03-13 1993-10-05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の流水判別装置
KR101497877B1 (ko) * 2014-08-29 2015-03-04 이화중 마감재 지지 바아가 직접 결합되는 방식의 캐리어
KR101709748B1 (ko) * 2015-07-29 2017-02-24 주식회사 조은데코 천장마감 경량철골구조체
KR20200098244A (ko) * 2019-02-12 2020-08-20 문재성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3317A (ja) * 1992-03-13 1993-10-05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の流水判別装置
KR101497877B1 (ko) * 2014-08-29 2015-03-04 이화중 마감재 지지 바아가 직접 결합되는 방식의 캐리어
KR101709748B1 (ko) * 2015-07-29 2017-02-24 주식회사 조은데코 천장마감 경량철골구조체
KR20200098244A (ko) * 2019-02-12 2020-08-20 문재성 천장구조물용 지지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748B1 (ko) 천장마감 경량철골구조체
JP2007239441A (ja) 吊り天井の耐震構造
EP2759651B1 (en) A suspended ceiling with a noise damper
KR102417604B1 (ko)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
JP5794868B2 (ja) 天井下地構造
KR20190014329A (ko) 천장 설치물 지지를 위한 천장용 내진 행거 및 이를 갖는 내진 천장틀
KR102252231B1 (ko) 볼트 일체형 내진행거 및 그의 조립방법
KR102471696B1 (ko) 내진용 경량철골 조립구조체
JP6378535B2 (ja) 防振吊り金具
JP6144030B2 (ja) 面状構造体の補強構造及び面状構造体の補強方法
JP5997914B2 (ja) 天井下地構造
KR20220003373A (ko) 내진 성능을 가진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0383793B1 (ko) 천정구조물용 방진행거
JP5181270B2 (ja) 振れ止め用下地材の固定金具
KR102094075B1 (ko) 건물 천장 판넬 설치용 내진 장치
CN210197615U (zh) 对夹式风管支架
KR102292842B1 (ko)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JP3140777U (ja) 収納ケース
JP7189728B2 (ja) 天井の下地構造
KR101177498B1 (ko) 진동 저감 및 방향 조절이 용이한 케이블 정착 구조
KR102616862B1 (ko) 천장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시스템
JPH0125146Y2 (ko)
KR100982906B1 (ko) 행어케이블 연결구조
JP2008082452A (ja) 制振装置並びに制振性に優れた道路橋及び歩道橋
JPH0441385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の耐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