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842B1 -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2842B1 KR102292842B1 KR1020190112079A KR20190112079A KR102292842B1 KR 102292842 B1 KR102292842 B1 KR 102292842B1 KR 1020190112079 A KR1020190112079 A KR 1020190112079A KR 20190112079 A KR20190112079 A KR 20190112079A KR 102292842 B1 KR102292842 B1 KR 1022928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 carrying bar
- square
- insert hole
-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passing through the other member, both members laying at least partly in the same plane
- E04B9/125—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passing through the other member, both members laying at least partly in the same plane both members being continuous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이 빈 사각의 단면 구조를 갖고 양측면에 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관통되는 한 쌍의 사각 인서트홀을 갖는 사각바; 상기 사각바와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는 캐링바; 상기 사각바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천장패널; 상단이 천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어 매달리고 하단이 상기 캐링바에 결합되는 행거부재; 및 상기 인서트홀에 상기 캐링바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홀과 상기 캐링바 간의 사이공간에 끼워져 상기 캐링바를 지지하게 되는 홀딩수단;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함으로써, 사각바와 캐링바 간의 상호 교차 삽입 구조 및 캐링바 지지 구조를 통해 시공이 용이하면서 천장슬래브와 천장패널 간의 공간 폭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장슬래브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에어컨 시스템이나 각종 배선, 배관, 스프링클러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천장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호 교차되게 상하 배치되는 사각바들에 의한 천장틀 구조에서 탈피하여 사각바 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캐링바가 삽입되는 천장틀 구조를 구현하고, 또 삽입된 캐링바를 다양한 구조의 홀딩수단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이 용이하면서 천장슬래브와 천장패널의 간을 공간 폭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에 관한 기술이다.
가로 세로로 엮어져 격자형 틀로 완성된 후 천장슬래브에 정착된 행거들에 의해 매달리도록 설치되어 건물의 천장 마감패널을 부착하여 지지시켜 주는 천장틀 구조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08073호 (2003.11.20.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천정틀의 설치구조』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1은 건물의 천정슬래브에 그 상단부가 정착되면서 하부로 수직하게 뻗어 내려와 상호간에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설되는 행거재들과, 양측의 길이면들에 4각채널 형상의 굽힘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파이고, 상면에 절곡 성형시 말아서 압착하여 놓은 이음보강부가 길이방향의 중앙선상을 따라 형성되며, 하면에 3각홈 형상으로 파이는 골부가 길이방향의 중앙선상을 따라 형성되는 각형체로 성형되며, 상기 행거재들의 하단에 연결 고정되어서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설되는 상단 형강재들과, 상기 상단 형강재와 마찬가지로 양측의 길이면들과 상면 및 하면에 4각채널 형상의 굽힘살부와 말아서 압착하여 놓은 이음보강부 및 3각홈 형상으로 파이는 골부가 형성되는 각형체로 성형되며, 상기 상단 형강재들의 하면에 그 상면이 맞대어져 직교하면서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설되는 하단 형강재들과, 상기 상단 형강재와 하단 형강재가 교차하는 지점들에 설치되어 상ㅇ하단 형강재들을 결속하는 결착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하단 형강재들의 하면에 천정 마감패널을 부착하여 지지시키도록 한 천정틀의 설치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33699호 (2013.02.08.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티바와 천장패널의 결합구조』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2는 천장에 격자 형태로 설치된 티바와, 교차되는 티바의 이웃하는 면을 따라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며, 교차되는 티바를 연결시키는 연결클립과, 상기 연결클립 중, 어느 하나의 절곡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형성되며, 티바의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걸림편과, 상기 티바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걸림편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고정후크를 포함하는 고정부가 설치된 천장패널과, 상기 고정후크에 걸려 지지된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걸림편의 장공에 걸려 탄성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 중, 장공의 단부에 밀착된 부위는 장공의 외측을 향해 절곡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 향상 및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티바에 대한 천장패널의 체결력을 향상시킨 티바와 천장패널의 결합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65092호 (2012.07.05.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천장 패널 설치 구조』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3은 상대 부품에 삽입이 유도되는 인서트 가이드와 짤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클램프 사이드를 가지는 인서트 파트가 형성된 간격 프레임과, 베이스 사이드의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하이트 사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하이트 사이드의 상측에 가로 방향으로 탑 사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탑 사이드의 내측에는 하측 세로 방향으로 인너사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하이트 사이드에 오목하게 그루브가 형성되며, 상기 인너 사이드가 상기 클램프 사이드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엠바와, 제1 탑 사이드의 양측에 각각 제1 하이트 사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하이트 사이드의 하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각각 복수의 인서트 사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인서트 사이드의 양측에 가로 방향으로 각각 복수의 제2 탑 사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탑 사이드의 외측에는 하측 세로 방향으로 제3 하이트 사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하이트 사이드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바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탑 사이드와 상기 제1 하이트 사이드는 간격 프레임의 상측과 양측면에 각각 닿도록 결속되고, 상기 제2 탑 사이드와 상기 제3 하이트 사이드는 상기 엠바의 탑 사이드와 상기 하이트 사이드에 각각 닿도록 결속되며, 상기 바브가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클램프 클립을 포함함으로써, 간격 프레임과 엠바의 결속 강도를 향상시켜 간격 프레임과 엠바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천장 패널 설치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09748호 (2017.02.17.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4'라고 함) 『천장마감 경량철골구조체』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4는 천정에 상부가 고정되는 행거부와, 상기 행거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메인프레임부와,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및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훅이 형성된 중계프레임부와, 상기 중계프레임부의 지지훅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마감패널이 결합되는 패널결합부가 형성된 서브프레임부를 구비함으로써, 프레임들과 훅, 그리고 훅과 마감패널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며, 훅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천장마감 경량철골구조체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87203호 (2018.08.03.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5'라고 함) 『면진 기능을 구비한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5는 천장에 설치되는 다수의 행거와, 상기 행거에 걸려지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캐리어바와, 상기 캐리어바의 하측에서 캐리어바와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엠바와, 상기 캐리어바의 상부에서 캐리어바의 외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엠바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캐리어바와 엠바를 일체로 연결해주는 연결클립과, 상기 연결클립과 캐리어바의 사이에 억지끼움 형태로 끼워져 캐리어바와 엠바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방진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쐐기형 고정구와, 상기 엠바의 하부에 설치되어 천장을 마감하는 마감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캐리어바와 연결클립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키고 면진 기능이 향상되도록 하고, 연결클립을 통해 캐리어바와 엠바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연결클립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시공성이 우수한 면진 기능을 구비한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천장틀을 이루는 사각바와 이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삽입 지지되는 캐링바를 통해 천장슬래브와 천장패널 간의 공간 폭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각바 내로 삽입되는 캐링바를 다양한 구조의 홀딩수단으로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비용 절감 및 공기(工期)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행거부재에 내진 기능을 제공하여 지진 등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는,
속이 빈 사각의 단면 구조를 갖고 양측면에 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관통되는 한 쌍의 사각 인서트홀을 갖는 사각바;
상기 사각바와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는 캐링바;
상기 사각바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천장패널;
상단이 천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어 매달리고 하단이 상기 캐링바에 결합되는 행거부재; 및
상기 인서트홀에 상기 캐링바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홀과 상기 캐링바 간의 사이공간에 끼워져 상기 캐링바를 지지하게 되는 홀딩수단;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는,
사각바와 캐링바 간의 삽입지지 구조를 통해 천장슬래브와 천장패널 간의 공간 폭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또 사각바 및 이의 삽입형 캐링바 결합 구조 등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캐링바에 대한 다양한 구조의 홀딩수단을 마련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기존 대비 캐링바 및 사각바 각각의 설치 간격을 늘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타공 작업이나 행거부재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각각의 설치 수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입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측단면 구성도,
도 5는 제1 및 제2 구현예의 홀딩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3구현예의 홀딩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3구현예의 홀딩수단에 의해 캐링바가 고정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제4구현예의 홀딩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9는 제4구현예의 홀딩수단에 의해 캐링바가 고정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 구성도,
도 10은 제5구현예의 홀딩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1은 제5구현예의 홀딩수단에 의해 캐링바가 고정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 구성도,
도 12는 제5구현예의 홀딩수단에서 여러 다른 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3은 행거부재에 내진 기능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시공 상태를 나타낸 시공 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입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측단면 구성도,
도 5는 제1 및 제2 구현예의 홀딩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3구현예의 홀딩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3구현예의 홀딩수단에 의해 캐링바가 고정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제4구현예의 홀딩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9는 제4구현예의 홀딩수단에 의해 캐링바가 고정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 구성도,
도 10은 제5구현예의 홀딩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1은 제5구현예의 홀딩수단에 의해 캐링바가 고정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 구성도,
도 12는 제5구현예의 홀딩수단에서 여러 다른 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3은 행거부재에 내진 기능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시공 상태를 나타낸 시공 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행거부재의 행거바디 측을 하부 또는 하방, 행거볼트 측을 상부 또는 상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는,
크게 사각바(10), 캐링바(20), 천장패널(30), 행거부재(40) 및 홀딩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사각바(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판재를 포밍(forming)하여 속이 빈 사각 구조로 성형한 후, 양단부를 헤밍(hemming)하여 서로 결속시킴으로써, 완성된 사각의 바 구조를 이룬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사각바(10)의 일측면 중앙 영역에는 내측으로 요입되는 리세스(recess)(11)가 형성되는데, 상기 리세스(11)는 사각의 홈 구조이면서 금속 판재 포밍 시 함께 성형됨에 따라 상기 사각바(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리세스(11)는 상기 사각바(10)를 관통하는 형태로 삽입되어 배치되는 상기 캐링바(20) 및 이에 가해지는 외력(하중 등)에 의해 상기 사각바(10)가 변형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 향상에 기여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상기 사각바(10)의 양측면에 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관통되는 한 쌍의 사각 인서트홀(1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인서트홀(12)에 상기 캐링바(20)가 삽입되며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사각바(10)와 상기 캐링바(20)가 십자(+) 형태로 교차되게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인서트홀(12)은 상기 캐링바(20) 보다 큰 공간 크기를 갖는다.
캐링바(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바(10)와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로 긴 사각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캐링바(20)에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공간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1)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된 개구부(開口部)(22)가 형성됨으로써, 결국 상기 캐링바(20)는 'ㅁ'자 단면 형상이되, 일측이 개방된 단면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캐링바(20)는 상기 사각바(10)와 마찬가지로 금속 판재를 이용해 포밍 성형하거나, 또는 금속 원재를 이용한 압출 성형에 의해 일체형 바 구조를 이룬다.
천장패널(3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바(1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천장을 마감하기 위한 패널로써,
사각의 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석고보드나 금속보드, 목재보드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행거부재(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천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어 매달리고 하단이 상기 캐링바(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예로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행거부재(40)는
하단에 U자 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행거바디(41),
상기 행거바디(41)의 상단에 체결되는 행거볼트(42), 그리고
상기 행거바디(41)의 내부 공간에 상기 캐링바(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들을 관통하거나 이들의 상부 측을 이격되게 지나가면서 체결되는 둘 이상의 스크루(screw)(4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4에서와 같이, 다른 예의 행거부재(40)는
하단에 U자 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행거바디(41)와,
상호 이격되게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플랜지(44)와,
상기 각 플랜지(44)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각 플랜지(44)의 둘레를 따라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원형 탄성와이어(45)와,
상기 각 플랜지(44) 상하 외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체결부(45)와,
상기 행거바디(41)를 지나 상기 하부 측 플랜지(44)의 체결부(45)와 상호 체결되는 중계볼트(46)와,
상기 상부 측 플랜지(44)의 체결부(45)와 상호 체결되는 행거볼트(42)
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탄성와이어(45)는 천장슬래브 측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상쇄시켜 줌으로써, 상기 상부 측 플랜지(44)로 전달된 진동이 상기 탄성와이어(45)에서 상쇄되어 하부 측 플랜지(44) 측으로 전달되지 못하므로 상기 하부 측 플랜지(44)에 연결되어 있는 행거바디(41) 및 이에 지지된 캐링바(20) 등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기에 결국 상기 탄성와이어(45)는 지진 등 발생 시 내진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홀딩수단은
상기 인서트홀(12)에 상기 캐링바(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홀(12)과 상기 캐링바(20) 간의 사이공간(S)에 끼워져 상기 캐링바(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우선,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사이공간(S)이 상기 각 인서트홀(12)에 상기 캐링바(2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각 인서트홀(12)의 상단과 상기 캐링바(20)의 상단 간의 상하 이격 공간(S1)인 상태에서,
상기 홀딩수단은 크게 제1 내지 제3 구현예로 이루어지고, 제1구현예의 홀딩수단은 '60A', 제2구현예의 홀딩수단은 '60B', 제3구현예의 홀딩수단은 '60C'로 도면부호를 구분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제1구현예의 홀딩수단(60A)은
홀딩플레이트(611)와, 상기 홀딩플레이트(611)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각 인서트홀(12)의 상단에 걸리게 되는 한 쌍의 후크부(612)와, 상기 홀딩플레이트(611) 양단에서 하방 절곡되어 상기 캐링바(20)의 상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스커트(613)로 이루어진다.
결국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각 후크부(612)가 상기 각 인서트홀(12)의 상단에 걸리게 된 상태에서 상기 각 스커트(613)가 상기 캐링바(20)의 상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각 후크부(612)가 상기 각 인서트홀(12)의 상단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각 스커트(613)는 이의 단부가 상기 캐링바(20)의 상단에 접하되 상기 캐링바(20) 측으로 탄성 발휘할 수 있도록 적정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각 스커트(613)의 하단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부(613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구현예의 홀딩수단(60A)에는
도 5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각 스커트(613)의 하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플로어(614)가 구비될 수 있고,
또는 도 5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각 스커트(613)의 하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는 플로어(6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플로어(614)는 상기 캐링바(20)와의 접촉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상기 캐링바(20)에 대한 지지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도 5의 [다]에서와 같이, 제2구현예의 홀딩수단(60B)은
사각블록(621)과, 상기 사각블록(621)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각 인서트홀(12)의 상단에 걸리게 되는 한 쌍의 후크홈(62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사각블록(621)은 탄성수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제3구현예의 홀딩수단(60C)은
각 일단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각 타단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간격이 점차 멀어지게 되는 단면 구조를 갖는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631)와, 상기 각 경사플레이트(631)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외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각 인서트홀(12) 중 하나의 인서트홀(12) 상단에 걸리게 되는 경사후크부(632)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경사플레이트(631) 각 타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그립서포트(633)가 더 형성됨으로써, 손으로 파지가 용이하면서 가압 시 누르는 힘을 좀 더 용이하게 줄 수 있고 쐐기 형태로 상기 캐링바(20)를 가압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후크부(632)는 상기 각 경사플레이트(631)의 외측단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각 경사플레이트(631)의 외측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됨에 따라 적정 위치의 경사후크부(632)가 상기 인서트홀(12)의 상단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각 인서트홀(12)에 대한 상기 각 경사플레이트(631)의 삽입 깊이 등을 조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각 경사플레이트(631)가 상기 각 인서트홀(12)과 이에 배치된 캐링바(20)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정도 등을 조정할 수 있다. 결국 가압된 상기 각 경사플레이트(631)가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탄성 발휘함으로써 상기 각 인서트홀(12)에 배치된 캐링바(20)를 탄성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사이공간(S)이 상기 각 인서트홀(12)에 상기 캐링바(20)가 안착되면서 상기 각 인서트홀(12)의 좌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각 인서트홀(12)의 우단과 상기 캐링바(20)의 우단 간의 좌우 이격 공간(S2)인 상태에서,
상기 홀딩수단은 크게 제4 및 제5 구현예로 이루어지고, 제4구현예의 홀딩수단은 '60D', 제5구현예의 홀딩수단은 '60E'로 도면부호를 구분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제4구현예의 홀딩수단(60D)은
상기 인서트홀(12)의 우단과 상기 캐링바(20)의 우단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와이어(641)와, 상기 각 메인와이어(641) 우단에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홀(12)의 우단에 각각 걸리게 되는 한 쌍의 와이어후크부(642)와, 상기 각 메인와이어(641) 좌단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캐링바(20)의 우단을 지지하는 서포트와이어(643)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각 와이어후크부(642)가 상기 인서트홀(12)의 우단에 각각 걸리도록 한 후 상기 메인와이어(641)를 회전시켜 상기 서포트와이어(643)가 상기 캐링바(20)의 우단에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포트와이어(643)가 상기 캐링바(20)의 우단을 탄성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와이어(641)는 상기 서포트와이어(643)가 상기 캐링바(20)의 우단에 접한 상태에서 탄성 발휘할 수 있도록 적정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제5구현예의 홀딩수단(60E)은
상기 인서트홀(12)의 우단과 상기 캐링바(20)의 우단 사이에 배치되는 판형블록(651)과, 상기 판형블록(651)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판형후크부(652)로 이루어져, 상기 각 판형후크부(652) 중 상기 인서트홀(12)의 우단과 인접한 판형후크부(652)가 상기 인서트홀(12)의 우단에 걸리게 되고, 다른 판형후크부(652) 측이 상기 캐링바(20)의 우단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판형블록(651)은 상기 각 판형후크부(652)가 인서트홀(12)의 우단과 캐링바(20)의 우단을 지지한 상태에서 양측으로 탄성 발휘할 수 있도록 적정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12의 [가] 및 [나]에서와 같이, 상기 판형블록(651)의 일단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후크부(653)가 구비되거나,
또는 도 12의 [다] 및 [라]에서와 같이, 상기 판형블록(651)의 중단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후크부(653)가 구비되거나,
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판형블록(651)의 타단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후크부(653)가 구비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각 사이드후크부(653) 중 상기 인서트홀(12)의 하단과 인접한 사이드후크부(653)가 상기 인서트홀(12)의 하단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인서트홀(12)로부터 상기 판형블록(651)이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 사이드후크부(653)는 수직 형태이거나 도 12의 [다]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2의 [라]에서와 같이 상기 각 사이드후크부(653)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서브서포트(654)가 구비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구성은 상기 인서트홀(12)에서의 상기 각 사이드후크부(653)에 대한 결속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는 브래킷(5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브래킷(5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바(10)의 양단부를 지지하고 벽체에 설치되는 'ㄷ'자 단면 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브래킷(50)에서 벽체와 마주하는 면에 둘 이상의 요입형 수용부(5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브래킷(50)에 가해지는 휨모멘트에 의한 피로도를 줄여 변형을 방지하고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브래킷(50)과 벽체 사이공간, 그리고 상기 수용부(51)에 채워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완충부재(52)가 구비됨으로써, 벽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등의 충격이나 소음 등을 상쇄 및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52)로는 실리콘 등을 도포하여 경화된 레이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브래킷(50)과 벽체 사이공간, 그리고 상기 수용부(51)에 채워지는 형태로 이미 제작된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져 시공 시 바로 설치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 및 방법으로 구현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는
상기 사각바(10)와 이의 인서트홀(12)에 삽입 지지되어 교차되게 배치되는 상기 캐링바(20)를 통해 천장틀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상하로 교차되게 한 쌍의 사각바를 상하 배치한 기존 구조에 비해 천장틀 구조의 상하 폭을 하나의 사각바 두께만큼 대폭 낮출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층 바닥에서 천장패널(30) 사이의 높이를 나타내는 천장고를 대폭 늘릴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층 바닥에서 상부 측 바닥 간의 높이를 나타내는 층고를 늘어난 천장고만큼 줄일 수 있어 전체적인 건축구조물의 높이를 낮추거나 기존 건축구조물 대비하여 더 많은 층을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 대비 본 발명에 의한 천장틀 구조는 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사각바(10)와 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사각바(10) 간의 간격을 대폭 늘릴 수 있고, 또 상기 캐링바(20)와 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캐링바(20) 간의 간격 또한 대폭 늘릴 수 있으며, 상기 캐링바(20)를 매달기 위한 상기 행거부재(40)의 수량 또한 대폭 줄일 수 있고, 각 구성 간에 상호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스크루 등의 부품 수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결국 부품을 간소화하고, 이를 통해 비용 절감 및 공기(工期) 단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사각바(10)의 인서트홀(12)에 캐링바(20) 삽입 및 고정이 용이하며, 지진 등 발생 시 행거부재(40)의 내진 기능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사각바
11 : 리세스
12 : 가이드홀
20 : 캐링바
21 : 공간부
22 : 개구부
30 : 천장패널
40 : 행거부재
41 : 행거바디
42 : 행거볼트
43 : 스크루
44 : 플랜지
45 : 탄성와이어
46 : 중계볼트
50 : 브래킷
51 : 수용부
52 : 완충부재
60A, 60B, 60C, 60D, 60E : 홀딩수단
611 : 홀딩플레이트
612 : 후크부
613 : 스커트
613a : 테이퍼부
614 : 플로어
621 : 사각블록
622 : 후크홈
631 : 경사플레이트
632 : 경사후크부
633 : 그립서포트
641 : 메인와이어
642 : 와이어후크부
643 : 서포트와이어
651 : 판형블록
652 : 판형후크부
653 : 사이드후크부
654 : 서브서포트
S : 사이공간
S1 : 상하 이격 공간
S2 : 좌우 이격 공간
11 : 리세스
12 : 가이드홀
20 : 캐링바
21 : 공간부
22 : 개구부
30 : 천장패널
40 : 행거부재
41 : 행거바디
42 : 행거볼트
43 : 스크루
44 : 플랜지
45 : 탄성와이어
46 : 중계볼트
50 : 브래킷
51 : 수용부
52 : 완충부재
60A, 60B, 60C, 60D, 60E : 홀딩수단
611 : 홀딩플레이트
612 : 후크부
613 : 스커트
613a : 테이퍼부
614 : 플로어
621 : 사각블록
622 : 후크홈
631 : 경사플레이트
632 : 경사후크부
633 : 그립서포트
641 : 메인와이어
642 : 와이어후크부
643 : 서포트와이어
651 : 판형블록
652 : 판형후크부
653 : 사이드후크부
654 : 서브서포트
S : 사이공간
S1 : 상하 이격 공간
S2 : 좌우 이격 공간
Claims (11)
- 속이 빈 사각의 단면 구조를 갖고 양측면에 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관통되는 한 쌍의 사각 인서트홀(12)을 갖는 사각바(10);
상기 사각바(10)와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는 캐링바(20);
상기 사각바(1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천장패널(30);
상단이 천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어 매달리고 하단이 상기 캐링바(20)에 결합되는 행거부재(40); 및
상기 인서트홀(12)에 상기 캐링바(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홀(12)과 상기 캐링바(20) 간의 사이공간(S)에 끼워져 상기 캐링바(20)를 지지하게 되는 홀딩수단;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이공간(S)은 상기 각 인서트홀(12)에 상기 캐링바(2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각 인서트홀(12)의 상단과 상기 캐링바(20)의 상단 간의 상하 이격 공간(S1)이고,
상기 홀딩수단(60A)은 홀딩플레이트(611)와, 상기 홀딩플레이트(611)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각 인서트홀(12)의 상단에 걸리게 되는 한 쌍의 후크부(612)와, 상기 홀딩플레이트(611) 양단에서 하방 절곡되어 상기 캐링바(20)의 상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스커트(6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60A)에는 상기 각 스커트(613)의 하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플로어(61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 속이 빈 사각의 단면 구조를 갖고 양측면에 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관통되는 한 쌍의 사각 인서트홀(12)을 갖는 사각바(10);
상기 사각바(10)와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는 캐링바(20);
상기 사각바(1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천장패널(30);
상단이 천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어 매달리고 하단이 상기 캐링바(20)에 결합되는 행거부재(40); 및
상기 인서트홀(12)에 상기 캐링바(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홀(12)과 상기 캐링바(20) 간의 사이공간(S)에 끼워져 상기 캐링바(20)를 지지하게 되는 홀딩수단;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이공간(S)은 상기 각 인서트홀(12)에 상기 캐링바(2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각 인서트홀(12)의 상단과 상기 캐링바(20)의 상단 간의 상하 이격 공간(S1)이고,
상기 홀딩수단(60B)은 사각블록(621)과, 상기 사각블록(621)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각 인서트홀(12)의 상단에 걸리게 되는 한 쌍의 후크홈(62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 속이 빈 사각의 단면 구조를 갖고 양측면에 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관통되는 한 쌍의 사각 인서트홀(12)을 갖는 사각바(10);
상기 사각바(10)와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는 캐링바(20);
상기 사각바(1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천장패널(30);
상단이 천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어 매달리고 하단이 상기 캐링바(20)에 결합되는 행거부재(40); 및
상기 인서트홀(12)에 상기 캐링바(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홀(12)과 상기 캐링바(20) 간의 사이공간(S)에 끼워져 상기 캐링바(20)를 지지하게 되는 홀딩수단;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이공간(S)은 상기 각 인서트홀(12)에 상기 캐링바(2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각 인서트홀(12)의 상단과 상기 캐링바(20)의 상단 간의 상하 이격 공간(S1)이고,
상기 홀딩수단(60C)은 각 일단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각 타단으로 갈수록 서로 간의 간격이 점차 멀어지게 되는 단면 구조를 갖는 한 쌍의 경사플레이트(631)와, 상기 각 경사플레이트(631)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외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각 인서트홀(12) 중 하나의 인서트홀(12) 상단에 걸리게 되는 경사후크부(6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 속이 빈 사각의 단면 구조를 갖고 양측면에 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관통되는 한 쌍의 사각 인서트홀(12)을 갖는 사각바(10);
상기 사각바(10)와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는 캐링바(20);
상기 사각바(1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천장패널(30);
상단이 천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어 매달리고 하단이 상기 캐링바(20)에 결합되는 행거부재(40); 및
상기 인서트홀(12)에 상기 캐링바(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홀(12)과 상기 캐링바(20) 간의 사이공간(S)에 끼워져 상기 캐링바(20)를 지지하게 되는 홀딩수단;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이공간(S)은 상기 각 인서트홀(12)에 상기 캐링바(20)가 안착되면서 상기 각 인서트홀(12)의 좌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각 인서트홀(12)의 우단과 상기 캐링바(20)의 우단 간의 좌우 이격 공간(S2)이고,
상기 홀딩수단(60D)은 상기 인서트홀(12)의 우단과 상기 캐링바(20)의 우단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메인와이어(641)와, 상기 각 메인와이어(641) 우단에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홀(12)의 우단에 각각 걸리게 되는 한 쌍의 와이어후크부(642)와, 상기 각 메인와이어(641) 좌단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캐링바(20)의 우단을 지지하는 서포트와이어(6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 속이 빈 사각의 단면 구조를 갖고 양측면에 이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관통되는 한 쌍의 사각 인서트홀(12)을 갖는 사각바(10);
상기 사각바(10)와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는 캐링바(20);
상기 사각바(1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천장패널(30);
상단이 천장슬래브에 고정 설치되어 매달리고 하단이 상기 캐링바(20)에 결합되는 행거부재(40); 및
상기 인서트홀(12)에 상기 캐링바(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홀(12)과 상기 캐링바(20) 간의 사이공간(S)에 끼워져 상기 캐링바(20)를 지지하게 되는 홀딩수단;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이공간(S)은 상기 각 인서트홀(12)에 상기 캐링바(20)가 안착되면서 상기 각 인서트홀(12)의 좌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각 인서트홀(12)의 우단과 상기 캐링바(20)의 우단 간의 좌우 이격 공간(S2)이고,
상기 홀딩수단(60E)은 상기 인서트홀(12)의 우단과 상기 캐링바(20)의 우단 사이에 배치되는 판형블록(651)과, 상기 판형블록(651)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판형후크부(652)로 이루어져, 상기 각 판형후크부(652) 중 상기 인서트홀(12)의 우단과 인접한 판형후크부(652)가 상기 인서트홀(12)의 우단에 걸리게 되고, 다른 판형후크부(652) 측이 상기 캐링바(20)의 우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60E)에는 상기 판형블록(651)의 중단 양측 또는 일단 양측 또는 타단 양측에서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후크부(653)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각 사이드후크부(653) 중 상기 인서트홀(12)의 하단과 인접한 사이드후크부(653)가 상기 인서트홀(12)의 하단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60E)에는 상기 각 사이드후크부(653)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서브서포트(65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사이드후크부(653)는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 제1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 또는 제7항 또는 제8항 또는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재(40)는
하단에 U자 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행거바디(41)와,
상호 이격되게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플랜지(44)와,
상기 각 플랜지(44)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각 플랜지(44)의 둘레를 따라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원형 탄성와이어(45)와,
상기 각 플랜지(44) 상하 외측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체결부(45)와,
상기 행거바디(41)를 지나 상기 하부 측 플랜지(44)의 체결부(45)와 상호 체결되는 중계볼트(46)와,
상기 상부 측 플랜지(44)의 체결부(45)와 상호 체결되는 행거볼트(42)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2079A KR102292842B1 (ko) | 2019-09-10 | 2019-09-10 |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2079A KR102292842B1 (ko) | 2019-09-10 | 2019-09-10 |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0664A KR20210030664A (ko) | 2021-03-18 |
KR102292842B1 true KR102292842B1 (ko) | 2021-08-25 |
Family
ID=7523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2079A KR102292842B1 (ko) | 2019-09-10 | 2019-09-10 |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284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108832B (zh) * | 2021-12-07 | 2023-06-02 | 安徽水木建工集团有限公司 | 一种装配式建筑安装简易的连接组件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07380A (ja) * | 2011-03-29 | 2012-10-25 | Sato Katako Seisakusho:Kk | 天井下地構造 |
JP2015086624A (ja) * | 2013-10-31 | 2015-05-07 | 株式会社内山産業 | 落下防止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31535B2 (ja) * | 1994-06-28 | 1999-08-09 | 株式会社佐藤型鋼製作所 | フレ止め装置付金属製角型柱 |
KR100408073B1 (ko) | 2001-01-18 | 2003-12-01 | 상 진 남 | 천정틀의 설치구조 |
KR101233699B1 (ko) | 2010-07-12 | 2013-02-15 | (주)유창 | 티바와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
KR101165092B1 (ko) | 2012-04-23 | 2012-07-12 | 양종택 | 천장 패널 설치 구조 |
KR101709748B1 (ko) | 2015-07-29 | 2017-02-24 | 주식회사 조은데코 | 천장마감 경량철골구조체 |
KR101887203B1 (ko) | 2016-10-12 | 2018-08-09 | 주식회사 한성케이 | 면진 기능을 구비한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
-
2019
- 2019-09-10 KR KR1020190112079A patent/KR1022928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07380A (ja) * | 2011-03-29 | 2012-10-25 | Sato Katako Seisakusho:Kk | 天井下地構造 |
JP2015086624A (ja) * | 2013-10-31 | 2015-05-07 | 株式会社内山産業 | 落下防止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0664A (ko) | 2021-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9748B1 (ko) | 천장마감 경량철골구조체 | |
KR102173314B1 (ko) | 경량 천장틀용 연결클립을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 |
KR101887203B1 (ko) | 면진 기능을 구비한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 |
KR102022856B1 (ko) |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 |
KR102417604B1 (ko) |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 | |
KR102292842B1 (ko) | 조립 구조 개선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 |
KR20120095763A (ko) | 천장틀의 설치구조 | |
KR101193367B1 (ko) | 서스펜션 장치 | |
KR102173311B1 (ko) | 댐핑브래킷을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34673B1 (ko) | 천정패널 클립바 및 그를 이용한 취부구조 | |
JP2018062853A (ja) | 天井下地構造 | |
KR102072056B1 (ko) |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 |
KR102022849B1 (ko) | 층고 낮춤 구조형 천장 마감용 조립 어셈블리 | |
KR101783870B1 (ko) | 건축 구조물의 내장재 시공구조 | |
JP6723060B2 (ja) | 天井補強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KR101642110B1 (ko) | 탈형 데크 플레이트 | |
KR200407109Y1 (ko) | 천정틀 방진 구조 | |
KR100538280B1 (ko) |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 |
KR102616862B1 (ko) | 천장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시스템 | |
KR102683304B1 (ko) | 탄성와이어가 장착된 클립브라켓 및 클립브라켓이 적용된 내진천장시스템 | |
KR101943014B1 (ko) |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 |
KR102712616B1 (ko) | 내진용 행거장치 | |
KR200371856Y1 (ko) |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 |
KR102569120B1 (ko) | 천장재 어셈블리 | |
KR100383792B1 (ko) | 조립성을 개선한 천정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