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061A - 마스트 지지 방식 건설용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트 지지 방식 건설용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061A
KR20200098061A KR1020190015688A KR20190015688A KR20200098061A KR 20200098061 A KR20200098061 A KR 20200098061A KR 1020190015688 A KR1020190015688 A KR 1020190015688A KR 20190015688 A KR20190015688 A KR 20190015688A KR 20200098061 A KR20200098061 A KR 20200098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frame
bracket
mas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8507B1 (ko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호 filed Critical 김윤호
Priority to KR1020190015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5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피트를 장치가 설치되는 구조물의 벽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면서도,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피트의 형태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및 운영 안정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 장치의 피트를 장치가 설치되는 구조물의 벽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면서도,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피트의 형태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및 운영 안정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는 높이가 높은 건축물 또는 구조물에서 사람을 원하는 높이로 이송하기 위해 설치 및 운영된다. 이러한 승강기는 일반적으로 건축물 또는 구조물(이하 "구조물"로 통칭 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식과 외부에 설치되는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의 내부에서 설치되는 승강기는 구조물이 아파트, 빌딩과 같이 장기간 사용될 목적으로 건축되는 건축물인 경우 주로 이용된다. 반면에 외부에 설치되는 승강기는 건축현장, 선박의 건조, 타워크레인과 같이 비교적 짧은 기간동안 이용되고 해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건축물의 설치 당시에 고려되지 않은 승강기를 설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조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승강기는 설치환경의 특성상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기와 다른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으로 구조물 외부 승강기는 철골 골조 형태의 피트를 높이 방향으로 설치하고, 피트의 측면에 레일을 설치하여, 레일을 따라 승객이 탑승하는 드라이브 유닛이 이동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외부 승강기는 피트의 높이가 높아질 수록 구조적으로 취약하기 때문에 피트의 일정 위치마다 구조물과 연결하여 구조적 취약점을 보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조물과 피트를 연결하는 경우, 피트는 일직선으로 만들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구조물의 외면을 따라 굴절이 발생하여 드라이브 유닛이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6604호 (2000. 12. 01.) "건축 공사용 승강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피트를 장치가 설치되는 구조물의 벽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면서도,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피트의 형태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및 운영 안정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되어 구조물의 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복수의 수직 프레임과 복수의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마스트 프레임;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마스트 프레임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라이브 유닛; 및 상기 마스트 프레임과 상기 구조물을 연결하여 상기 마스트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피트를 장치가 설치되는 구조물의 벽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면서도,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피트의 형태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및 운영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피트와 구조물의 벽체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예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평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지지프레임, 구조물 및 마스트 프레임의 단면을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5는 도 지지프레임과 구조물을 측면과 위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지지프레임과 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결합프레임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피트와 구조물의 벽체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한 평면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피트 또는 마스트 프레임(40)와 드라이브 유닛(미도시), 드라이브유닛의 구동을 위한 구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드라이브 유닛(미도시)은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승하차를 위한 도어가 마련된다. 이 드라이브 유닛(미도시)은 피트(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장치(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피트(10)를 따라 이동하여 승객을 수송한다. 이를 위해 드라이브 유닛은 피트(10)에 마련되는 레일 또는 수직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장치와 기어 및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다.
구동장치(미도시)는 외부 전원과 드라이브 유닛에 설치되는 제어반에 의해 동작하여 드라이브 유닛을 피트(10)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동장치는 외부 전원과 제어반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모터, 모터의 회전을 감속 또는 가속하는 감속기, 감속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풀리, 풀리에 권취되고 드라이브 유닛에 연결되는 와이어,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어 드라이브 유닛의 중량을 배분하는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피트(10)는 드라이브 유닛의 이동을 위한 레일의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기립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피트(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 또는 파이프 구조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트(10)는 베이스 프레임(20), 마스트 프레임(40) 및 지지 프레임(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0)은 마스트 프레임(40)을 지면에 고정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 프레임(20)은 지면에 설치되고, 마스트 프레임(40)과 결합된다. 베이스 프레임(20)은 지면에 프레임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앵커 결합부, 마스트 프레임(40)과 베이스 프레임(20)의 연결을 위한 프레임 연결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20)의 형태는 공지의 마스트 구조물에 의해 다양한 형태가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스트 프레임(40)은 베이스 프레임(20)에 결합되어 고정 및 지지되고, 구조물의 측면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면에 수평인 방향의 90도 각도를 이루는 방향을 X, Y방향, 이 두 방향(또는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Z방향(또는 높이 방향)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이러한 마스트 프레임(40)은 Z방향으로 설치되고 서로 간격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41)과, 복수의 수직 프레임 상호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수평프레임(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프레임(43)은 사선으로 구성되는 사선 프레임(45)을 포함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마련되어 수직 프레임과 함께 마스트 프레임(40)을 구성한다.
마스트 프레임(40)에는 드라이브 유닛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레일(50)이 설치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레일(50)은 표면에 매끄럽게 형성되어 드라이브 유닛의 이탈을 방지하고, 마스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랙 기어(rack gear) 형태로 형성되어 승강기의 정지시 위치를 고정하거나, 드라이브 유닛을 효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이드레일(50)의 형태는 드라이브 유닛의 구동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다양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마스트 프레임(40)의 수평 프레임(43) 중 일부에는 지지프레임(80)이 결합된다.
지지 프레임(80)은 전술한 마스트 프레임(40)의 수평프레임(43)과 구조물의 벽체를 연결하여 마스트 프레임(40)을 지지함과 아울러, 마스트 프레임(40)이 구조물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지지 프레임(80)은 복수의 수평 프레임(43) 중 미리 정해진 간격에 위치하는 수평 프레임(43)에 결합되고, 결합된 수평 프레임(43)과 최단 거리의 구조물 벽멱에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8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프레임(81)과 제2지지프레임(8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지지프레임(81)은 마스트 프레임(40)과 벽면(99)을 연결하기 위해 마련되며, 일단은 마스트 프레임(40)에 타단은 구조물의 벽면(99)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지지프레임(81)은 복수로 구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2지지프레임(83)은 복수의 제1지지프레임(81)을 상호 연결하여 프레임의 강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2지지프레임(83)은 복수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60)은 마스트 프레임(40)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며, 마스트 프레임(40)의 높이에 따라 수는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트 프레임(40)의 수직프레임(41)과 수직을 이루도록 수평프레임(43)을 연장한 것과 같은 형태로 구조물(2)의 벽면(99)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지지프레임(80)과 결합되는 구조물(2)의 벽면(99)이 결합에 부적합한 형상이거나, 허공인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도 1에서와 같이 구조물(2)이 다층 구조물로 건축되고 지지프레임(80)의 결합 위치가 층간에 형성되는 허공인 경우 지지프레임(80)을 결합시키는 것이 곤란해질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80)이 지면과 수평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지지프레임(81)에 의해서만 마스터프레임(40)을 지지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강성이 부족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2실시예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베이스 프레임(20), 마스트프레임(40) 및 지지프레임(18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베이스 프레임(20)과 마스트프레임(40)은 제1실시예와 구성과 특징이 거의 동일하다. 때문에,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가지는 지지프레임(180)을 위주로 상세히 설명하며,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프레임(180)은 구조물(2)의 벽면(99)과 마스트프레임(40)의 위치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관절구조의 쌍으로 구성되고, 마스트프레임(40) 및 구조물(2)에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을 구비한다.
우선 지지프레임(180)은 이웃한 수평프레임(43a, 43b)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쌍(180a, 18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지지프레임쌍(180a, 180b)는 상부지지프레임(180a)과 하부지지프레임(18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지지프레임(180a)과 하부지지프레임(180b)은 서로 이웃하는 수평프레임(43a, 43b)에 설치될 수도 있고, 다른 수평프레임(43)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수평프레임(43)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쌍(180a, 180b)은 관절구조로 구성되고,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를 통해 X,Y, Z 방향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어 구조물(2)의 원하는 위치에 지지프레임(180)을 결합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는 지지프레임(80)의 길이 또는 결합위치의 변경이 곤란하여 구조물(2)의 벽면에 굴곡이 발생하는 경우 지지프레임(80)에 의해 지지되는 마스트프레임(40)이 구조물(2)의 굴곡에 따라 굴곡지게 된다. 이로 인해 드라이브 유닛의 원활한 동작이 곤란해지고, 구조적 강성도 약해지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2실시예에서는 지지프레임(180)을 쌍(180a, 180b)로 구성하여 지지력을 높임과 아울러, 각 지지프레임(180a, 180b)을 관절구조 및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하여 구조물(2)의 굴곡에 무관하게 마스트 프레임(40)의 원래형태를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특히, 이러한 지지프레임(180)의 구조를 통해 구조물(2)의 설치 위치가 부적절한 경우 설치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마스트 프레임(40)의 적절한 위치에 지지프레임(180a, 180b)을 설치하여 마스트 프레임(40)의 지지력을 제1실시예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지지프레임, 구조물 및 마스트 프레임의 단면을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지지프레임과 구조물을 측면과 위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지프레임(180)은 한쌍의 제1지지프레임(181)과 제1지지프레임(181) 쌍을 연결하는 제2지지프레임(1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1지지프레임(181)은 한쌍의 프레임이 지면에 대해 수평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마스트 프레임(40)에 인접할 수록 서로 가까워지게 설치된다. 즉, 마스트 프레임(40)과 연결되는 부분의 제1지지프레임(181) 간의 거리가 구조물(2)에 연결되는 부분의 제1지지프레임(181) 간 거리에 비해 좁게 구성된다.
이러한 제1지지프레임(181)은 양단에서 결합프레임(200) 및 브라켓(250)과 힌지결합되며 이를 위한 힌지(185, 187)가 마련된다.
제1지지프레임(181)은 결합프레임(200)과 힌지(185)에 의해 결합되고, 결합프레임(200)에 의해 마스트 프레임(40)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지지프레임(181)은 브라켓(250)과 힌지(187)에 의해 결합되고, 이를 통해 구조물(2)에 결합된다.
브라켓(250)에는 상부지지프레임(180a) 및 하부지지프레임(180b)과의 결합을 위해 힌지 결합부(251)가 상부 및 하부지지프레임(180a, 180b) 각각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도 있고, 하나의 힌지 결합부에 상부 및 하부 지지프레임(180a, 180b)이 함께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특징은 도 5를 통해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도 5는 상부 지지프레임(180a)와 하부 지지프레임(180b)가 한쌍의 결합프레임(200) 및 브라켓(250)과 결합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브라켓(250)은 상부 지지프레임(180a)과 대략 수평인 위치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러한 브라켓(250)에는 상부 및 하부 지지프레임(180a, 180b)과 결합을 위한 힌지결합부(251)가 마련되며, 힌지결합부(251)와 힌지(187)에 의해 가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에서와 같이 브라켓(250)이 상부 지지프레임(180a)과 수평인 위치에 설치된 경우 하부 지지프레임(180b)이 브라켓(250)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길이증가와 연결각도의 조절이 필요해진다. 이러한 연결각도의 조절은 힌지결합부(251, 201)와 힌지(185, 187)에 의해 해소가 가능하다.
그리고, 길이의 조절을 위해 결합프레임(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연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제2실시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지지프레임(180a, 180b)과 브라켓(250), 그리고 마스트 프레임(40)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측면에서 바라본 형태)의 지지구조를 가지게 되어 더욱 견고하게 마스트 프레임(4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3에서와 같이 이러한 삼각형 구조는 구조물(2)과 브라켓(25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삼각형의 형태를 달리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구조물(2)의 형태에 따른 설치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구조를 통해 마스트 프레임(40)을 지지프레임(181)에 의해 구조물(2)에 결합시킴으로써, 구조물(2)의 형태에 의해 마스트 프레임(4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지지프레임과 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결합프레임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181)은 브라켓(250)에 의해 구조물(2)에 결합된다.
이러한 브라켓(250)은 제1브라켓(260a)와 제2브라켓(26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브라켓(260a)은 제1 및 제2지지프레임(181a, 181b)과 제2브라켓(260b)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브라켓(260a)은 플레이트(253)로 형성되고, 이 플레이트(253)의 대를 이루는 양측 종단에는 제1 및 제2지지프레임(181a, 181b)과의 결합을 위한 힌지결합부(251)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플레이트(253)에는 결합부재(270)에 의해 제2브라켓(260b)이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홀(257)이 한 쌍 형성된다. 이 제1브라켓(260a)은 이 결합홀(257)을 관통하는 결합부재(270)에 의해 제2브라켓(260b)과 결합된다.
제2브라켓(260b)은 구조물(2)에 지지프레임(180)의 일단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2브라켓은 90도를 이루는 제1플레이트(262)와 제2플레이트(265)로 구성된다. 제1플레이트(262)는 제1브라켓(260a)과 결합을 위해 마련된다. 이 제1플레이트(262)는 결합부재(270)가 제1플레이트(262)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슬롯(261)이 형성된다. 이 결합슬롯(261)은 Y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 결합슬롯(261)은 결합홀(257)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되고, 일례로 결합홀(257)과 결합슬롯(261)은 2개 형성되는 것이 위치 조절의 용이 및 결합강도 확보에 유리하다.
특히, 결합슬롯(261)과 이웃하여 조정편(264)이 마련된다. 조정편(264)은 제1플레이트(262)의 양면 중 제2플레이트(265) 쪽 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1플레이트(262)와 수직인 X 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조정편(264)에는 조정볼트(255)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26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결합부(263)는 제1브라켓(260a)와 제2브라켓(260b)의 결합시 결합부재(270)를 가압하여 지지프레임(180)의 Y방향 위치를 조정 및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조정볼트(255)의 종단이 결합부재(270)를 가압하여 위치를 한정하도록 함으로써 Y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결합슬롯(261)은 Y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때문에, 결합부(263)는 조정볼트(255)가 나사결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2플레이트(265)는 제2브라켓(260b)을 구조물(2)에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제2플레이트(265)의 양측종단은 제2플레이트(265)의 폭보다 넓은 돌출부(266)가 형성되고, 돌출부(266)에는 고정슬롯(267)이 결합슬롯(261)에 직각인 방향 즉, X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 결합슬롯(261)에는 도시되지 않은 결합수단 예를 들어, 앵커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이 관통하여 구조물(2)에 결합됨으로써 제2브라켓(260b)을 구조물(2)에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결합프레임은 제1지지프레임쌍(181a, 181b)에 대응되는 한쌍의 프레임(210)과 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210)은 지지프레임(180)과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결합부(201)가 일측 종단에 마련된다.
이 프레임(210)은 복수의 결합슬롯(220)이 마련되고, 결합슬롯(220)의 일측 종단에는 조정편(222)이 마련된다. 프레임(210)은 결합슬롯(220)을 관통하여 수평프레임(43)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72)에 의해 마스트 프레임(40)과 결합된다. 그리고, 조정편(222)에 결합되는 조정볼트(255)가 결합부재(272)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위치 조절함으로써 프레임(210)의 X 방향 위치를 조절하게 되고, 이를 통해 지지프레임(180)의 X 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프레임(2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위치에 따라 힌지결합부(201)가 구조물(2) 바향 즉, X 방향으로 후진(위)하거나 아래의 프레임(210)과 같이 전진하여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프레임(210) 내부에 삽입되어 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레임을 별도로 구성하고, 이 프레임 내에 삽입되는 프레임에 힌지결합부(201)를 구성하여 삽입되는 프레임의 돌출 및 삽입을 통해 길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려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피트 20: 베이스프레임
40: 마스트 프레임 41: 수직프레임
43: 수평프레임 45: 사선프레임
50: 가이드레일 80, 180: 지지프레임
180a: 상부 지지프레임 180b: 하부 지지프레임
81, 181: 제1지지프레임 83, 183: 제2지지프레임
185, 187: 힌지 200: 결합프레임
201, 251: 힌지결합부 260a, 260b: 제1 및 제2브라켓
250: 브라켓 253, 262, 265: 플레이트
257: 결합홀 261: 결합슬롯
270: 결합부재

Claims (5)

  1.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기립되어 구조물의 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복수의 수직 프레임과 복수의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마스트 프레임;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마스트 프레임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라이브 유닛; 및
    상기 마스트 프레임과 상기 구조물을 연결하여 상기 마스트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구조물에 결합되는 브라켓;
    일단이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제1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마스트 프레임을 연결하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부 지지프레임과 하부 지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은 일단이 동일한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수평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은 타단은 서로 다른 상기 수평 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결합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상부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이 힌지 결합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고, 상기 구조물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90015688A 2019-02-11 2019-02-11 마스트 지지 방식 건설용 리프트 장치 KR102178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688A KR102178507B1 (ko) 2019-02-11 2019-02-11 마스트 지지 방식 건설용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688A KR102178507B1 (ko) 2019-02-11 2019-02-11 마스트 지지 방식 건설용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061A true KR20200098061A (ko) 2020-08-20
KR102178507B1 KR102178507B1 (ko) 2020-11-13

Family

ID=7229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688A KR102178507B1 (ko) 2019-02-11 2019-02-11 마스트 지지 방식 건설용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059B1 (ko) 2020-11-30 2022-04-20 정명호 케이지 박스 상부에서 케이지를 수동으로 상승하거나 하강시키는 작업시에 사용하는 건설용 리프트 마스트 작업용 스위치장치
KR102340628B1 (ko) 2021-06-30 2021-12-16 김무경 건설 공사용 승강기 안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690A (ja) * 1994-08-02 1996-02-13 Nitto Tekkosho:Kk タワークレーンのマスト支持装置
KR200206604Y1 (ko) 2000-07-20 2000-12-01 황장규 건축공사용 승강기
JP2005200917A (ja) * 2004-01-15 2005-07-28 Sanoyas Hishino Meisho Corp 地上免震建築構造物の工事用エレベータ設置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690A (ja) * 1994-08-02 1996-02-13 Nitto Tekkosho:Kk タワークレーンのマスト支持装置
KR200206604Y1 (ko) 2000-07-20 2000-12-01 황장규 건축공사용 승강기
JP2005200917A (ja) * 2004-01-15 2005-07-28 Sanoyas Hishino Meisho Corp 地上免震建築構造物の工事用エレベータ設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507B1 (ko) 2020-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2352B1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an elevator
US7882936B2 (en) Sheave support apparatus for elevator
CN1183024C (zh) 安装在提升通道壁上的升降机支架
AU753682B2 (en) Cable elevator with a drive plate
US7997000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ositioning the alignment plumb lines of the guide rails of an elevator
KR102178507B1 (ko) 마스트 지지 방식 건설용 리프트 장치
KR102111508B1 (ko)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US6435316B1 (en) Rope support device for elevator
KR102422312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 설치구조
CN114084773A (zh) 模块化电梯组件和导轨
EP2493803B1 (en) Fixing arrangement of a hoisting machine of an elevator and method for installing a hoisting machine of an elevator
EP2162377B1 (en) Elevator shaft
JP5584871B2 (ja) 仮設ガイドレールの取付金具
CN103221624A (zh) 电梯的轿厢
JP2002087741A (ja) エレベータ
US6595331B2 (en) Bracket for securing elevator components
JP5680367B2 (ja) 揚重装置
JP7111663B2 (ja) 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の据付方法
CN117255766A (zh) 用于构造电梯的方法以及这样的电梯
JP5898057B2 (ja) エレベーターの荷重支持ビーム保持装置
EP3748106A1 (en) Work platform system with an adjusting bridge
JP3238039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の施工方法
EP1447370B1 (en) Elevator
CN114718274B (zh) 一种家用电梯钢结构井道
JP395865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