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508B1 -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508B1
KR102111508B1 KR1020190138599A KR20190138599A KR102111508B1 KR 102111508 B1 KR102111508 B1 KR 102111508B1 KR 1020190138599 A KR1020190138599 A KR 1020190138599A KR 20190138599 A KR20190138599 A KR 20190138599A KR 102111508 B1 KR102111508 B1 KR 102111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wire
base frame
load cell
guid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백승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백승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백승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138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1/028Means for moving hanging scen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16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the drums or barrels being freely rotatable, e.g. having a clutch activated independently of a brake
    • B66D1/18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the drums or barrels being freely rotatable, e.g. having a clutch activated independently of a brake and the power being transmitted from a continuously operating and irreversible prime mover, i.e.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g. on a motor vehicle or a portable win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2Planetary or differential gearings, i.e. with planet gears having movable axes of rotation
    • B66D1/225Planetary or differential gearings, i.e. with planet gears having movable axes of rotation variable ratio or reversing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 설비를 연결한 와이어를 감고 푸는 스크류드럼.
베이스프레임 위에 설치된 스크류드럼 직선이동수단,
아래가 막힌 나란한 일조의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의 와이어 인입측에 와이어인입방향으로 일조를 이루토록 안내활차 프레임으로 연결되고, 제2 안내활차축 부위를 힌지점으로 제 1안내활차 방향으로 와이어 당김력발생시 안내활차 후단 연장부에 로드셀 일단을 고정설치하고 타단은 로드셀고정판에 고정되어 로드셀 변형으로 와이어 당김력 변화를 인식하는 로드셀 일체형 안내활차부,
스크류드럼에 인입되는 와이어 간격마다 폭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며 베이스프레임 내에 설치된 경사활차. 경사활차를 베이스프레임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활차브라켓, 경사활차 간격으로 베이스프레임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부는 와이어 이동공간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경사활차 이격브라켓을 포함하는 경사활차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와이어 인입간격이 줄어 설치공간이 줄어들고, 수직 및 수평설치가 가능하고, 와이어당김력 변화를 인식하여 안정성을 제공하는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이다.

Description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Free horizontal vertical installation and load detection sheaves all-in-one stage drive machine}
본 발명은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대구동장치는 무대의 시설물을 매다는 바튼을 걸어주는 와이어들과, 와이어들을 천정으로 당겨주는 수직활차와, 수직활차를 거쳐 수평이로 이동한 것을 스크류드럼에 보내감기도록 하는 활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활차에서 스크류드럼간의 거리를 줄이기 위하여 스크류드럼으로 각도를 직각으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활차의 각도를 경사지게 고정하는 방식이 국내특허등록10-0978064호로 개시되었으나, 고정된 경사각으로 인하여, 각도의 차이나 설치 위치의 차이가 있을 때 이를 분해하여 재조립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활차의 각도를 가변시키도록 브라켓에 활차브라켓을 힌지 결합하는 방식이 국내특허10-1457811호 및 10-1745514호로 개시되었으나, 활차브러켓의 폭이 더하여지고 경사지는 경사위치 만큼의 공급와이어간의 간격이 늘어나서 인입와이어를 그대로 스크류드럼 간격대로 공급하지 못하고, 먼저 와이어 간격을 넓힌 다음 경사활차를 통과하도록하여야 하므로 와이어 간격 넓힘 수단이 더 필요하고, 스크류드럼이 넓은 멀티활차 폭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어 설치 공간이 넓게되고 사용이 범용성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크류드럼의 측면에 멀티활차를 설치하되 와이어 공급간격은 설치환경에 따라 경사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해결하는 특허기술이 국내특허등록 제 10-1566913호로 개발되었으나, 이는 스크류드럼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사방으로 설치 가능한 편리함과 와이어 간격을 줄여 사용 가능한 편리함은 있으나 설치 공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하중 감시를 위한 구성방식은 도 1 과 같이 모터(1)의 동력을 감속기(5)에서 감속시켜 드럼지지판(31)에 회전축이 유착되는 스크류드럼(30)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감속기(5) 하우징과 드럼지지판(31)사이에 상호 양단이 고정되는 로드셀(70)을 설치하여 감속기(5) 출력 발생시 통상의 뒤틀림력을 로드셀(70) 변형력으로 인식하고 있다가, 정해진 사용 하중보다 큰 변형력이 발생하면, 와이어로 당기는 무대세트물이 장애물에 걸린 것으로(와이어당김력 과부하) 인식하여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에서 비상조치를 취하도록 기능한다. 그런에 이러한 방식은 모터(1) 및 감속기(5)와 드럼지지판(31)을 로드셀(70) 하나로 고정하여야 하는 방식으로 동작 시 마다 구동부의 진동이 발생되고, 이러한 진동은 주기적인 법적 안전 진단에서 진동 규정에 위배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곤 한다. 즉, 초기 설치 시에는 볼트 고정 등을 정밀하게 할 수 있지만 반복되는 작동에 충격에 의한 유격 발생으로 구동부(모터, 감속기, 브레이크)에 진동이 발생되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진동규정을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무대구동장치의 베이스프레임 입구측 안내활차부에 와이어 당김력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는 로드셀을 베이스 프레임 부위에 일체로 부가하여 와이어 당김하중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로운 경사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수평수직 설치가 자유로운 무대구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의 목적은 수직활차를 경유하여 인입하는 와이어 입입간격과 같은 피치로 인입 가능한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로운 경사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의 목적은 무대구동장치의 베이스프레임 입구측 안내활차부를 길이방향으로 이어지게 일조로 설치하되 첫번째 제1안내활차는 와이어를 상부와이어홈으로 인입하고, 두번째 제2안내활차는 하부와이어홈으로 인입하도록 수평위치를 바꾼다음, 바꾼 아래에서 경사활차로 이어 공급되도록 와이어 인입 위치를 가변시켜, 와이어 인입에 따른 공간을 가변위치 만큼 줄여 구동장치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로운 경사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의 목적은 무대구동장치를 이루는 베이스프레임 내부공간에 인입 와이어를 받아들이는 안내활차부에서 와이어의 상부와이어홈에서 하부와이어홈으로 와이어의 이동 수평위치를 낮추고, 경사활차부도 베이스프레임내부공간에 설치하여 구동장치의 구성요소가 베이스프레임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베이스프레임의 바닥은 와이어처짐방지베이스로 막아 처짐이 방지되므로, 수직 또는 수평설치나 그 혼합 방식이 가능한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로운 경사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의 목적은 무대구동장치를 이루는 베이스프레임 내부공간에 인입 와이어를 받아들이는 안내활차부에서 와이어의 상부와이어홈에서 하부와이어홈으로 와이어의 이동 수평위치를 낮추고, 경사활차부도 베이스프레임내부공간에 설치하는 원리이므로, 베이스프레임 길이방향 양측에 안내활차부를 두고, 경사활차의 경사각만 재배열하면 양측에서 동시에 와이어 인입도 가능한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로운 경사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의 목적은 무대구동장치를 이루는 베이스프레임 내부공간에 인입 와이어를 받아들이는 안내활차부에서 와이어의 상부와이어홈에서 하부와이어홈으로 와이어의 이동 수평위치를 낮추고, 경사활차부도 베이스프레임내부공간에 설치하는 원리이므로, 베이스프레임 길이방향 양측에 안내활차부를 두고, 경사활차의 경사각만 재배열하면 양측에서 동시에 와이어 인입도 가능하고, 베이스프레임의 바닥은 와이어처짐방지베이스로 막아 처짐이 방지되므로, 무대의 바닥이나 천정 또는 벽면에 선택하여 설치 가능하고, 좌측, 우측 또는 중간부 어느 위치에서도 설치 가능한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로운 경사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원발명 청구항1은 제 1 내지 제 7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a)모터의 동력을 감속기를 거쳐서 공급받으며, 무대장치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각 와이어를 일정 길이 간격으로 감거나 푸는 스크류드럼;
b)스크류드럼을 양단에서 자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드럼지지판이나 회전축 중의 하나에 설치되어 스크류드럼의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며, 스크류드럼의 직선이동시 함께 이동하는 드럼지지판을 지지하는 직선이동수단;
c)상기 드럼지지판을 직선이동 가능토록 아래에서 지지하고 그리드아이언이나 보강빔이나 무대바닥에 설치되는 나란한 베이스프레임판과 바닥을 막는 와이어처짐방지베이스판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프레임;
d)베이스프레임의 와이어 인입 입구측에 와이어 인입방향으로 일조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안내활차를 동시에 하나의 안내활차 프레임으로 각각 자전 가능토록 연결하고, 제 2 안내활차축 대응부위에 부가한 안내활차브라켓의 힌지공에서 힌지 기능을 하도록 하며, 제1안내활차 상부와이어홈을 지나 제2안내활차의 하부와이어홈으로 공급하면서 제 1안내활차를 통해 와이어 당김력발생시 제 2안내활차 후단의 안내활차프레임 연장부에 당김력 측정을 위한 로드셀의 일단을 고정설치하고, 베이스프레임에 고정된 로드셀고정판에 로드셀 타단을 각각 고정하고, 와이어 당김력발생시 로드셀 변형으로 와이어당김력 변화를 인식하는 로드셀 일체형 안내활차부; 및
e)스크류드럼에 인입되는 와이어 간격마다 설치되며 베이스프레임 내부 공간에서 와이어 인입 이격 거리를 두고 베이스프레임 내부 바닥 부위에 폭방향으로 순차 이격된 경사활차, 각 경사활차를 베이스프레임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활차브라켓, 각 경사활차 길이방향의 이격 간격마다 베이스프레임의 폭방향을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하부는 각 와이어의 이동공간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경사활차이격브라켓을 포함하는 경사활차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경사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청구항 2는 제1, 제 3내지 5목적을 이루기 위한 해결수단이며,
청구항 3 및 4는 제 1목적을 이루기 위한 해결수단이며,
청구항 5는 제 1목적을 이루기 위한 부가적 해결수단이며,
청구항 5 및 6은 수평설치를 가능토록 하는 제 2 목적을 위한 수단이며,
청구항 7은 제 7목적을 이루기 위한 해결수단이며,
청구항 8은 제 1 및 제 6목적을 이루기 위한 해결수단이며,
청구항 9는 수직 설치를 가능토록 하는 제 2 목적을 이루기 위한 해결수단 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수평수직 설치가 자유로와 공간 및 장소에 상관없이 설치 가능하다.
본 발명은 수직활차를 경유하여 인입하는 와이어 입입간격과 같은 피치로 인입 가능한 무대구동장치를 제공하여 좁은공간에서도 추가 와이어 간격 확장수단이 필요없이 설치 가능하다.
본 발명은 무대구동장치의 베이스프레임 입구측 안내활차부에 와이어 당김력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는 로드셀 일단을, 베이스 프레임 부위의 로드셀고정판에 타단을 일체로 고정하여 와이어 당김하중변화를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대구동장치의 베이스프레임 입구측 안내활차부를 길이방향으로 이어지게 일조로 설치하되 첫번째 제1안내활차는 상부와이어홈으로 인입하고, 두번째 제2안내활차는 하부와이어홈으 수평위치를 바근다음 경사활차로 공급되도록하여, 와이어 인입 위치를 아래로 가변시킴에의한 와이어 인입 공간을 줄여 구동장치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대구동장치를 이루는 베이스프레임 내부공간에 인입 와이어를 받아들이는 안내활차부에서 와이어의 상부와이어홈에서 하부와이어홈으로 와이어의 이동 수평위치를 낮추고, 경사활차부도 베이스프레임내부공간에 설치하여 구동장치의 구성요소가 베이스프레임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베이스프레임의 바닥은 와이어처짐방지베이스로 막아 처짐이 방지되므로, 수직 또는 수평설치나 그 혼합 방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무대구동장치를 이루는 베이스프레임 내부공간에 인입 와이어를 받아들이는 안내활차부에서 와이어의 상부와이어홈에서 하부와이어홈으로 와이어의 이동 수평위치를 낮추고, 경사활차부도 베이스프레임내부공간에 설치하는 원리이므로, 베이스프레임 길이방향 양측에 안내활차부를 두고, 경사활차의 경사각만 재배열하면 양측에서도 동시에 와이어 인입을 가능토록한다.
본 발명은 무대구동장치를 이루는 베이스프레임 내부공간에 인입 와이어를 받아들이는 안내활차부에서 와이어의 상부와이어홈에서 하부와이어홈으로 와이어의 이동 수평위치를 낮추고, 경사활차부도 베이스프레임내부공간에 설치하는 원리이므로, 베이스프레임 길이방향 양측에 안내활차부를 두고, 경사활차의 경사각만 재배열하면 양측에서도 동시에 와이어 인입이 가능하고, 베이스프레임의 바닥은 와이어처짐방지베이스로 막아 처짐이 방지되므로, 무대의 바닥이나 천정 또는 벽면에 선택하여 설치 가능하고, 좌측, 우측 또는 중간부 어느 위치에서도 설치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하중감지용 로드셀 설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로드셀일체형 안내활차부 원리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로드셀일체형 안내활차부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로드셀일체형 안내활차부와 경사활차부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로드셀일체형 안내활차부와 경사활차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드럼지지판에서 본 경사활차부의 각 경사활차의 폭방향이격 상태를 중첩하여 보인 우측단면도,
도 9는 도 4의 가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나 부분 단면도,
도 11은 도 4 의 다 부분 단면도,
도 12는 하나의 경사활차를 분리하여 도시한 우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좌측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을 다수 설치한 좌측면 상태 배열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수평구동부를 다수 설치한 상태의 평면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수직구동부로 사용시의 예를 보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수직구동부를 다수 설치한 상태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수평구동부로 우측에 설치한 상태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수평구동부로 좌측에 설치한 상태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수평구동부로 수평중간 부위에 설치한 상태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수직구동부로 우측에 설치한 상태 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수직구동부로 좌측에 설치한 상태 예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와이어 인입 간격이 줄어드는 것을 보이는 실측 평면예시도 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모터(1)의 동력을 감속기(5)를 거쳐서 공급받으며, 무대장치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각 와이어(3)를 일정 길이 간격으로 감거나 푸는 스크류드럼(30);
스크류드럼(30)을 양단에서 자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드럼지지판(32)이나 회전축 중의 하나에 설치되어 스크류드럼(30)의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며, 스크류드럼(30)의 직선이동시 함께 이동하는 드럼지지판(32)을 지지하는 직선이동수단(40);
상기 드럼지지판(32)을 직선이동 가능토록 아래에서 지지하고 그리드아이언(4) 이나 보강빔(51)이나 무대바닥에 선택 설치되도록 나란한 베이스프레임판(50a, 50b)과, 바닥을 막는 와이어처짐방지베이스판(50c)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프레임(50);
베이스프레임(50)의 와이어 인입 입구측에 와이어 인입 방향으로 일조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안내활차(60,64)를 동시에 하나의 안내활차 프레임(62)으로 각각 자전 가능토록 연결하고, 제 2 안내활차축 대응부위에 각각 부가한 안내활차브라켓(66)의 힌지공(67)에서 힌지 기능을 하도록 하며, 제 1안내활차(60) 상부와이어홈을 지나 제2안내활차부(64)의 하부와이어홈으로 공급하면서, 제1안내활차(60)를 통한 와이어 당김력발생시 제 2안내활차(64) 후단의 안내활차프레임(62) 연장부(62a)에 당김력 측정을 위한 로드셀(70) 일단을 고정설치하고, 베이스프레임(50)에 고정된 로드셀고정판(71)에 로드셀(70) 타단을 각각 고정하고, 와이어 당김력발생시 로드셀(70) 변형으로 와이어당김력 변화를 인식하는 로드셀 일체형 안내활차부(60a); 및
스크류드럼(30)에 인입되는 와이어(3) 간격마다 설치되며 베이스프레임(50) 내부 공간에서 와이어 인입 이격 거리를 두고 베이스프레임(50) 내부 바닥 부위에 폭방향으로 순차 이격된 경사활차(80-1~80-n). 각 경사활차(80-1~80-n)를 베이스프레임(50)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활차브라켓(82), 경사활차(80-1~80-n) 길이방향의 이격 간격마다 베이스프레임(50)의 폭방향을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하부는 각 와이어(3)의 이동공간(85)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경사활차이격브라켓(81)을 포함하는 경사활차부(8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안내활차부(60a)는 제2안내활차(64)의 활차축(67a) 양단부를 각각 유착시키는 힌지공(67)을 가지는 일 조의 안내활차브라켓(66), 각 안내활차브라켓(66)을 동시에 지지하며 베이스프레임판(50a, 50b)에 양단이 고정되는 안내활차지지브라켓(63)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안내활차지지브라켓(63) 바닥은 제2안내활차(64) 하부와이어홈으로의 인입 와이어 이탈을 방지하는 와이어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상기, 후단연장부(62a) 양단에는 폭방향으로 후단연장부(62a)를 브리지 형태로 이어주는 로드셀누름판(68)을 부가하고,
로드셀누름판(68)에 누름판고정나사(73)로 로드셀(70) 일단을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로드셀(70)의 다른 단은 로드셀고정나사(72)로 로드셀(70) 다른단 상단에서 수평의 로드셀고정판(71)에 고정되고,
로드셀고정판(71) 양단은 베이스프레임판(50a, 50b)에 고정하는 수직절곡판(71a, 71b)을 이룬 것이 좋다.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베이스프레임판(50a, 50b)은 등을 마주하는 ㄷ자형이며, 하부 평면부(52)는 보강빔(51)이나 그리드아이언(4)이나 벽면이나 천정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공(53)을 포함하고,
상부평면부(54)에는 가이드레일(41)이 설치된다.
상기, 각 베이스프레임판(50a, 50b)의 상부평면부(54)에는 베이스프레임판(50a,50b)을 위에서 브리지 형태로 이어주는 레일지지판(41a)이 부가되고,
상부평면부(54)위의 레일지지판(41a)에 가이드레일(41)이 설치된다.
상기, 각 경사활차(80-1~80-n)를 베이스프레임(50)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활차브라켓(82)은 일단은 각 경사활차(80-1~80-n)의 활차축을 자전 가능토록 지지하며,
다른단은 활차이격브라켓(81)에 고정되며,
경사활차브라켓(82) 폭은 각 경사활차(80-1~80-n)의 직경보다 작도록하여 와이어의 길이방향 인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안내활차부(60a)는 베이스프레임(50)의 양단에 동시에 설치하고, 경사활차부(80)는 인입와이어 개수에 따라 경사활차를 구분하여 분리 설치한다.
상기, 직선이동수단(40)은 스크류드럼(30)의 회전축과 이어진 나사봉(49)과, 나사봉(49)과 나사결합하여 스크류드럼(3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너트체(47)와, 너트체(47)를 고정하고 베이스프레임(50) 상단에 고정되는 너트체고정브라켓(48)을 포함하고,
상기 너트체고정브라켓(48)의 내면에 너트체(47)가 설치되고, 너트체고정브라켓(48) 외면에는 너트체(47)의 이동 공간 보다 큰 거리를 둔 일조의 C형강인 일조의 이격 잔넬(55)을 부가하여 수평외에 수직으로도 설치 가능토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안내활차부(60a)가 와이어 이송방향으로 일조를 이루어 안내활차프레임(62)으로 동시에 지지되고, 안내활차프레임(62)은 제2안내활차(64)의 활차축(67a)을 유착하는 힌지공(67)을 가지는 안내활차브라켓(66)에서 활차축(67a)과 힌지 결합하므로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세트물 하중으로 와이어(3) 당김력에 예기치 않은 부하가 발생한 경우 제 1안내활차(60)의 상부와이어홈에 수평으로 와이어(3)가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세트물하중이 걸리고, 제1안내호라차(60)와 제2안내활차(64)는 안내활차프레임(60)에 일체로 결합되고, 제2안내활차 활차축(67a)은 안내활차프레임(62)을 지지하는 안내호라차브라켓(66)의 힌지공(67)에 유착되므로, 안내활차프레임(62)은 활차축(67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도 3의 제1안내호라차(60) 부위의 하중작용표시 화살표 방향), 이는 안내활차프레임(62) 후단의 후단연장부(62a)에 브리지 형대로 부가한 로드셀누름판(68)이 로드셀(70)의 일단을 누름판고정나사(73)로 고정하여 함께 위로 향하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9도 3의 연장부(62a)에 표기한 하중작용2 화살표 방향으로 도 3에 "다"로 표기한 지점을 향한 방향).
그러나 로드셀(70)의 다른 단은 양 베이스프레임판(50a,50b) 사이를 이어주는 도 4에 보인 로드셀고정판(71)이 로드셀고정나사(72)로 고정되어 있어, 로드셀(70)은 내부에서 뒤틀림력이 발생하고, 이는 내부 전류의 변화를 유도하고, 전류의 변화값의 차이를 가지고 와이어당김력으로 역산하여 인식하는 것은 로드셀의 알려진 기술이다.
따라서 안내활차부(60a)에서 와이어(30)의 인입 당김력의 변화를 인식하고, 와이어(3)는 제 1 안내활차(60)의 상부와이어홈을 지나 제 2안내활차(64)의 하부와이어홈으로 공급하고, 이는 와이어(3)가 위에서 아래로 수평위치를 바꾸어 인입하는 방식이므로 소위 도르레를 거치면서 당김힘이 반으로 줄어드는 원리와 같이 큰 당김힘이 발생하여도 로드셀(70)에는 각 제 1 및 제 2안냐활차(60,64)로 힘이 분산되어 로드셀(70)에 전달되므로, 로드셀(70)의 응력 내구력이 안정적으로 작용한다. 이는 기존의 도 1 과 같은 감속기(5) 하우징과 드럼지지판(31)가이에 설치하던 종래의 방식이 아닌, 와이어 입입부에서 로드셀일체형이면서 와이어 인입방향으로 제 1 및 제 2안내활차(60,64)가 배열된 안내활차부(60a)방식으로 새로이 완성함으로써, 와이어 당김력의 미세한 감지가 가능하고, 감속기(5)의 초기 구동에도 스크류드럼의 초기 뒤틀림으로 인한 소음 및 안전 문제가 해소되어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완벽하게 완성하게된다.
또한 제 2안내활차(64)의 저면에는 도 4 와 같이 안내활차 힌지브라켓(66)에 고정된 안내활차지지브라켓(63)의 수평부위에서 와이어(3) 이탈방지 기능을 하므로 안정적인 와이어 인입을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활차축(67a)의 힌지 기능시 안정적인 지지력을 베이스프레임(50)에서 제공받도록 기능한다.
이렇게 인입된 와이어(3)들은 경사활차부(80)로 인입되어 스크류드럼(30)에 감기게 된다. 이 경우 베이스프레임(50)의 폭방향 바닥에는 도 8과 같이 와이어처짐방지베이스(50c)가 있어서 초기 와이어 인입 안내시 와이어들을 수평상에 위치하여 혼자서 작업하여도 와이어 찾는 수고를 줄여준다. 동시에 도 도 5 및 도 8에 보인바와 같이 각 와이어(3-1~3-n)를 전달받는 각 경사활차(80-1~80-n)의 와이어홈과 와이어처짐방지 베이스(50c)가 와이어(3) 인입공간을 유지하도록 설치하여 와이어 이탈방지 기능과 초기 설치시 와이어의 수평상에서 쉽게 찾아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도 7 및 도 8 과 같이 각 경사활차(80-1~80-n)설치 길이방향으로의 일정 간격마다 경사활차이격브라켓(81)이 설치되고, 각 경사활차이격브라켓(81) 하부의 베이스프레임(50) 부위에는 와이어(3)의 이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며 진동시에도 접촉을 차단하는 정도의 여유있는 이동공간(85)을 이룬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일정 간격마다 경사활차이격브라켓(81)이 설치되어도 이동공간(85)으로 와이어(3)가 마지막의 경사활차(80-1)까지 이동 가능하고, 동시에 각 경사활차(83)의 직경은 도 2 와 같이 경사활차브라켓(82)의 폭보다 크므로 와이어(3)의 길이방향 이동시에 저항없이 베이스프레임(50) 내부공간내에서 공급가능하게 된다. 동시에 와이어(3) 이동시 경사활차브라켓(82)은 와이어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경사활차(83)로만 와이어(3)가 공급되므로 와이어 간격이 도 23과 같이 12~14mm정도로 기존의 와이어 공급 와이어 중심간의 간격에도 여유있게 적용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베이스프레임(50) 내부에 경사활차 이격브라켓(81)과 경사활차브라켓(82)과 경사활차(83)가 일체로 모듈화되고, 동시에 인입와이어측에는 로드셀일체형 안내활차부(60a)역시 일체로 모듈화 되고, 베이스 프레임(50) 바닥은 와이어처짐방지베이스(50c)가 부가되어, 베이스프레임(50) 이 로드셀일체형 안내활차부(60a), 경사활차부(80)일체로 된 모듈형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와이어의 인입간격이 경사활차를 사용하여도 경사활차브라켓이 와이어 이동을 방해하는 구성이 없어 기존의 와이어 공급간격에 설치 가능하고,
인입와이어의 당김부하발생사고가 발생하여도 2개 일조의 로드셀일체형 안내활차부에서 먼저 인식하므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이를 인식하여 전체 무대구동을 제어하는 기술 자체는 본원발명의 범위 밖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경사활차가 베이스프레임 내부에 일체로 설치되므로 베이스프레임에 추가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구동장치 설치 밀집도를 높이고,
수평설치시에는 베이스프레임(50)을 보강빔(51)이나 그리드아이언이나 바닥에 도 14 및 도 1 5와 같이 설치할 수 있고,
수직설치시에는 너트체고정브라켓(48)외측에 부가한 잔넬(55)을 사용하여 역시 그리드아이언이나 바닥에 도 16 및 도 17과 같이 설치할 수 있고,
무대에서 수평으로 설치시에도 도 18과 같이 수평우측에, 도 19와 같이 수평좌측에, 도 20과 같이 수평 중간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무대에서 도 21과 같이 수직 우측에, 도 22와 같이 수직 좌측에 설치할 수 있다.
1;모터 3,3-1~3-n;와이어 4;그리드아이언 5;감속기 7;수직활차 30;스크류드럼 31,32;드럼지지판 33;와이어이탈방지수단 40;직선이동수단 41;가이드레일 41a;레일지지판 42;이동레일 47;너트체 48;너트체고정브라켓 49;나사봉 50;베이스프레임 50a,50b;베이스프레임판 50c;와이어처짐방지베이스 51;보강빔 52;하부평면부 53;고정공 54;상부평면부 55;잔넬 60;제1안내활차 60a;안내활차부 61;안내활차홈 62;안내활차프레임 62a;후단연장부 63;안내활차 지지브라켓 64;제2안내활차 65;와이어이탈방지로드 66;안내활차 힌지브라켓 67;힌지공 67a;활차축 68;로드셀누름판 70;로드셀 71;로드셀고정판 71a,71b;수직절곡판 72;로드셀고정나사 73;누름판고정나사 80;경사활차부 80-1~80-n;경사활차 81;경사활차이격브라켓 81a;고정판 82;경사활차브라켓 83;경사활차 84;경사활차축 85;이동공간

Claims (9)

  1. 모터(1)의 동력을 감속기(5)를 거쳐서 공급받으며, 무대장치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각 와이어(3)를 일정 길이 간격으로 감거나 푸는 스크류드럼(30);
    스크류드럼(30)을 양단에서 자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드럼지지판(32)이나 회전축 중의 하나에 설치되어 스크류드럼(30)의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며, 스크류드럼(30)의 직선이동시 함께 이동하는 드럼지지판(32)을 지지하는 직선이동수단(40);
    상기 드럼지지판(32)을 직선이동 가능토록 아래에서 지지하고 그리드아이언(4) 이나 보강빔(51)이나 무대바닥에 선택 설치되도록 나란한 베이스프레임판(50a, 50b)과 바닥을 막는 와이어처짐방지베이스판(50c)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프레임(50);
    베이스프레임(50)의 와이어 인입 입구측에 와이어 인입방향으로 일조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안내활차(60,64)를 동시에 하나의 안내활차 프레임(62)으로 각각 자전 가능토록 연결하고, 제 2 안내활차축 대응부위에 부가한 안내활차브라켓(66)의 힌지공(67)에서 힌지 기능을 하도록 하며, 제 1안내활차(60) 상부 와이어홈을 지나 제2안내활차(64)의 하부와이어홈으로 공급하면서 제1안내활차(60)를 통해 와이어 당김력발생시, 제 2안내활차(64) 후단의 안내활차프레임(62) 연장부(62a)에 당김력 측정을 위한 로드셀(70)의 일단을 고정설치하고, 베이스프레임(50)에 고정된 로드셀고정판(71)에 로드셀(70) 타단을 각각 고정하고, 와이어 당김력발생시 로드셀(70) 변형으로 와이어당김력 변화를 인식하는 로드셀 일체형 안내활차부(60a); 및
    스크류드럼(30)에 인입되는 와이어(3) 간격마다 설치되며 베이스프레임(50) 내부 공간에서 와이어 인입 이격 거리를 두고 베이스프레임(50) 내부 바닥 부위에 폭방향으로 순차 이격된 경사활차(80-1~80-n). 각 경사활차(80-1~80-n)를 베이스프레임(50)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활차브라켓(82), 경사활차(80-1~80-n) 길이방향의 이격 간격마다 베이스프레임(50)의 폭방향을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하부는 각 와이어(3)의 이동공간(85)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경사활차이격브라켓(81)을 포함하는 경사활차부(80)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활차부(60a)는 제2안내활차(64)의 활차축(67a) 양단부를 각각 유착시키는 힌지공(67)을 가지는 일 조의 안내활차브라켓(66), 각 안내활차브라켓(66)을 동시에 지지하며 베이스프레임판(50a, 50b)에 고정되는 안내활차지지브라켓(63)을 더 포함하며;
    안내활차지지브라켓(63) 바닥은 제2안내활차(64) 하부와이어홈으로의 인입 와이어 이탈을 방지하는 와이어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설치공간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후단연장부(62a) 양단에는 폭방향으로 후단연장부(62a)를 브리지 형태로 이어주는 로드셀누름판(68)을 부가하고,
    로드셀누름판(68)에 누름판고정나사(73)로 로드셀(70) 일단을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로드셀(70)의 다른 단은 로드셀고정나사(72)로 로드셀(70) 다른단 상단에서 로드셀고정판(71)에 고정되고,
    로드셀고정판(71) 양단은 베이스프레임판(50a, 50b)에 고정하는 수직절곡판(71a, 71b)을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50)의 베이스프레임판(50a, 50b)은 등을 마주하는 ㄷ자형이며, 하부 평면부(52)는 보강빔(51)이나 그리드아이언(4)이나 벽면이나 천정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공(53)을 포함하고,
    상부평면부(54)에는 가이드레일(4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각 베이스프레임판(50a, 50b)의 상부평면부(54)에는 베이스프레임판(50a,50b)을 위에서 브리지 형태로 이어주는 레일지지판(41a)이 부가되고,
    상부평면부(54)위의 레일지지판(41a)에 가이드레일(4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각 경사활차(80-1~80-n)를 베이스프레임(50)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활차브라켓(82)은 일단은 각 경사활차(80-1~80-n)의 단위 경사활차(83)를 자전시키는 경사활차축(84)을 자전 가능토록 지지하며,
    다른단은 활차이격브라켓(81)에 고정되며,
    경사활차브라켓(82) 폭은 각 경사활차(80-1~80-n)의 직경보다 작도록하여 와이어의 길이방향 인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안내활차부(60a)는 베이스프레임(50)의 양단에 동시에 설치하고, 경사활차부(80)는 인입와이어 개수에 따라 경사활차를 구분하여 분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직선이동수단(40)은 스크류드럼(30)의 회전축과 이어진 나사봉(49)과, 나사봉(49)과 나사결합하여 스크류드럼(3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너트체(47)와, 너트체(47)를 고정하고 베이스프레임(50) 상단에 고정되는 너트체고정브라켓(48)을 포함하고,
    상기 너트체고정브라켓(48)의 내면에 너트체(47)가 설치되고, 너트체고정브라켓(48) 외면에는 너트체(47)의 이동 공간 보다 큰 거리를 둔 일조의 C형강인 일조의 이격 잔넬(55)을 부가하여 수평 외에 수직으로도 설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KR1020190138599A 2019-11-01 2019-11-01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KR102111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599A KR102111508B1 (ko) 2019-11-01 2019-11-01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599A KR102111508B1 (ko) 2019-11-01 2019-11-01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508B1 true KR102111508B1 (ko) 2020-05-18

Family

ID=7091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599A KR102111508B1 (ko) 2019-11-01 2019-11-01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5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744B1 (ko) * 2020-05-26 2020-08-21 유성보 무대용 드럼이송 구동장치
KR102297928B1 (ko) * 2021-02-05 2021-09-06 주식회사 신진스테이지 바튼 승강 구동 장치
KR102322006B1 (ko) * 2021-05-11 2021-11-08 주식회사 아트필 무대 장치용 승강 구동장치
KR102562749B1 (ko) * 2023-01-26 2023-08-08 주식회사 한국시스템아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
KR102614828B1 (ko) * 2023-06-14 2023-12-19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무대장치의 이상감지를 기반으로 자동제어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무대설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996B1 (ko) * 2013-11-19 2014-05-30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정밀성이 강화된 승강식 무대장치
KR101750980B1 (ko) * 2017-01-17 2017-06-28 (주)이엠테크놀리지 무대전용윈치
KR101942245B1 (ko) * 2018-10-08 2019-01-25 주식회사 유성이엠지 효율적인 무대 장치 운용을 위한 휠 드럼 방식의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996B1 (ko) * 2013-11-19 2014-05-30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정밀성이 강화된 승강식 무대장치
KR101750980B1 (ko) * 2017-01-17 2017-06-28 (주)이엠테크놀리지 무대전용윈치
KR101942245B1 (ko) * 2018-10-08 2019-01-25 주식회사 유성이엠지 효율적인 무대 장치 운용을 위한 휠 드럼 방식의 구동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744B1 (ko) * 2020-05-26 2020-08-21 유성보 무대용 드럼이송 구동장치
KR102297928B1 (ko) * 2021-02-05 2021-09-06 주식회사 신진스테이지 바튼 승강 구동 장치
KR102322006B1 (ko) * 2021-05-11 2021-11-08 주식회사 아트필 무대 장치용 승강 구동장치
KR102562749B1 (ko) * 2023-01-26 2023-08-08 주식회사 한국시스템아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
KR102614828B1 (ko) * 2023-06-14 2023-12-19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무대장치의 이상감지를 기반으로 자동제어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무대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508B1 (ko)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JP4629963B2 (ja)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の駆動機械の配置方法
CN101626970B (zh) 安装在无机房电梯系统中的机器
JP2001527016A (ja) 駆動プーリを有するケーブルエレベータ
JP2000086114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978064B1 (ko) 무대구동장치
US97900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ment of elevator guide rails
US20210087020A1 (en) Elevator car frame
JP5343635B2 (ja) 電動昇降ボード装置
US5127493A (en) Linear motor elevator system
KR102258999B1 (ko)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KR101451751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구동장치
JP3734851B2 (ja) 液圧式エレベータの懸架装置
KR102178507B1 (ko) 마스트 지지 방식 건설용 리프트 장치
JPH1149463A (ja) 巻き取り式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およびその取付方法
US11970362B2 (en) Fastening apparatus for fastening a drive of an elevator system
EP2406164B1 (en) Elevator system with guide rail bracket
EP2724970B1 (en) Elevator and method for repairing elevator
JPH07285768A (ja) エレベータ乗場ドア装置
FI126645B (en) Elevator
KR102456008B1 (ko) 슬라이딩도어용 롤러장치
CN220072879U (zh) 一种钢板折弯机设备
RU2091290C1 (ru) Лифт
KR102286765B1 (ko) 이동벽체
FI126515B (e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