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999B1 -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 Google Patents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999B1
KR102258999B1 KR1020200177314A KR20200177314A KR102258999B1 KR 102258999 B1 KR102258999 B1 KR 102258999B1 KR 1020200177314 A KR1020200177314 A KR 1020200177314A KR 20200177314 A KR20200177314 A KR 20200177314A KR 102258999 B1 KR102258999 B1 KR 102258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crew
modular
bas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티앤씨
Priority to KR1020200177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2001/02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wound up when not in use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방벽(110A,110B) 상단에서 스크류드럼(120)을 이송시키는 레일(111)이 일체로 모듈형으로 성형된 상부 개방형 베이스부(110); 구동모터(121)의 동력을 감속하고 구동모터축(122)과 나란하게 동력을 제공하는 감속기(120); 감속기(120)의 동력으로 회전하며 와이어(131)를 나선형 와이어홈(132)에 감김 및 풀림 작용을 하며 구동모터(121)와 나란히 설치되는 스크류드럼(130); 스크류드럼(130) 표면에 와이어 마다 경사지게 안내하며 베이스부(110) 내부 공간에 와이어 개수만큼 설치된 가이드휠(140); 스크류드럼(130)의 회전축(133) 양단에서 회전축(133)이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고정판(151)과, 그 하단에 부가되어 상기 레일(111)을 따라서 이동하는 가이드블럭(152)과, 일측의 고정판(151) 외측에 노출된 회전축(133)과 결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너트체(153), 상기 너트체(153)를 베이스부(110)에 지지하는 지지블럭(154)을 포함하는 이송부(150); 상기 가이드휠(140)에서 스크류드럼(120) 표면 접선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접점부위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롤러(181)와, 이탈방지롤러축(182)이 스크류드럼(130) 외경과 동축으로 이동 가능토록 맞추는 장공의 호형홈(183)을 가지는 이탈방지롤러브라켓(184)을 가지는 모듈형 이탈방지롤러부(180)를 포함하는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이다.

Description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Modular wire winch for stage equipment}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극, 무용, 오페라 등 각종 무대 공연의 주요 요소인 무대 배경, 조명기구, 무대막, 플래그, 프랭카드등 공연 및 행사의 연출에 필요한 무대장치를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와이어를 이용한 윈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무대장치용 와이어 윈치는 무대장치와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에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휠을 크게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와이어 윈치는 와이어가 회전드럼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회전드럼의 표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와이어홈에 정확히 안착되지 못하고 감겨 꼬임이 발생되거나 심각하게는 가이드휠에서 이탈되어 무대장치의 오작동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가이드휠과 회전드럼은 동일한 위치에서 회전동작만을 하고 있지만 회전드럼에 권취되는 와이어는 회전드럼에 형성된 나선홈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꺾여져 인출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와이어 윈치는 와이어가 직선방향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가이드 수단을 장착하였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51751호 및 10-1611238호에는 회전드럼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가이드휠을 슬라이드 이동되게 하는 가이드수단 및 작동수단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 또는 작동수단은 회전드럼의 회전운동에 의해 가이드휠을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이동 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가이드수단 또는 작동수단은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휠을 회전드럼의 회전운동에 연동되게 이송시켜 회전드럼상에서 와이어를 풀거나 감을 시에 직진방향으로 유도되게끔 하는 구성을 갖는다.
하지만,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기존의 와이어 윈치는, 가이드수단 또는 작동수단이 마련되기 때문에 장치의 전체적인 제조비용 및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수단 또는 작동수단이 회전드럼과 복잡한 연결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치의 마모나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승강장치의 전체적인 부피와 하중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승강장치의 설치가 제한적임과 더불어 이에 따른 설치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선행 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51751호 및 10-1745514호의 '무대설비 장치'가 알려져 있으나, 판재형의 베이스부위에 설치되는 것이어서 무대장치마다 필요한 사양으로 설치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고, 안내활차가 노출되는 방식이어서 외관상 보기 흉하고, 무대마다의 독특한 그리드아이언이나 베이스빔 위치를 찾아서 설치하여야하고, 이를 위하여 베이스빔 위치마다 고정설치할 악어크립을 해당지점에 나사공을 뚫고 설치하여야 하는데 설치가 어렵고 정확한 구멍위치를 맞추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각 와이어를 해당 가이드휠을 경유하여 스크류드럼(회전드럼)에 감거나 풀리도록 할 때 각 와이어의 인입 및 인출시 상호 접촉으로 소음이 나거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와이어윈치를 이루는 스크류드럼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의 전,후방벽 상단에 스크류드럼의 회전축을 양단에서 지지하는 고정판 하단의 가이드블럭이 이동하는 레일을 일체화시켜, 베이스부와 스크류드럼을 모듈형으로 무대의 설치위치에 해당하는 베이스빔에 쉽게 설치토록 하는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의 목적은 베이스부가 전,후방벽을 갖도록 모듈화하고, 전후방벽에는 나사홈, 전선 삽입용 전선공을 삽입하여 외관이 깔끔하고, 별도 용접이 필요없고, 조립분해 가능하여 수리 및 부품교체가 용이한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의 목적은 구동모터의 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가 수직으로 감속 기어결합하는 제 1 내지 제 3감속부가 아래로 이어지게하고, 제 3감속부의 감속 헤리컬기어축이 스크류드럼의 회전축과 축결합하여도 구동모터와 스크류드럼의 외경이 겹치지 않도록 구성하여 전체 높이를 줄여 좁은 설치공간에서도 설치 가능토록 하는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의 목적은 가이드휠에서 스크류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 접점이 스크류드럼의 길이방향 수평라인과 일치하지 않기에 이탈 방지용으로 설치하는 이탈방지 롤러부의 이탈방지롤러가 장공으로 조절 가능토록 하고, 이탈방지롤러를 지지하는 이탈방지롤러브라켓이 베이스부의 전후방벽의 각 내면벽에 동시에 고정되어 요동없이 설치 가능토록 하는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의 목적은 베이스부를 이루는 좌우측벽에 와이어의 인입/인출용 와이어공을 형성하고, 와이어공에는 와이어 처짐 인식용 인식판을 두어 베이스부 양쪽 또는 어느 한 쪽에서 와이어를 설치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와이어 처짐 없이 인입/인출 가능토록 하는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의 목적은 바닥 베이스판의 인입/인출부와 가이드휠 사이에 각 와이어의 요동방지용 고정홀을 가지는 고정모듈을 설치하여 와이어 요동을 방지하므로 수평, 수직, 경사지게 설치 가능하고, 와이어 인입/인출도 베이스부 양단 또는 어느 일측으로 필요에 따라 가변 설치 가능한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의 목적은 베이스부 양단에는 리미트스위치를, 스크류드럼을 지지하는 고정판 외면에는 설정 수평이동 위치를 벗어날 경우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시켜 구동모터를 멈추도록 푸시로드를 설치하여 물리적으로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8의 목적은 베이스부를 전후방벽을 갖도록 모듈화하고, 전후방벽에는 나사헤드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이동하는 나사홈을 이루므로, 나사홈에 설치한 나사에 악어크립을 결합하면 무대천정이나 바닥 또는 측벽의 베이스빔의 레일헤드에 쉽게 고정할 수 있어 설치가 편리한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원발명은 전,후방벽 상단에서 와이어윈치를 이루는 스크류드럼을 와이어 감김 및 풀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레일이 일체로 모듈형으로 성형된 상부 개방형 베이스부;
구동모터의 동력을 받아 연속된 헬리컬기어 결합으로 감속되고 구동모터축과 나란하게 동력을 제공하는 감속기;
감속기에서 동력을 받아 회전하며 와이어를 나선형 와이어홈에 감김 및 풀림 작용을 하며 구동모터와 나란히 설치되는 스크류드럼;
스크류드럼 표면에 감거나 풀리도록 와이어 마다 경사지게 안내하며 베이스부 내부 공간에 와이어 개수만큼 각각 설치된 가이드휠;
스크류드럼의 회전축 양단에서 회전축이 회전 가능토록 각각 지지하는 고정판과, 각 고정판 하단에 부가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가이드블럭과, 일측의 고정판 외측에 노출된 회전축과 너트 결합하여 스크류드럼 회전운동을 좌우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너트체, 상기 너트체를 베이스부에 지지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가이드휠에서 스크류드럼 표면 접선방향으로 이송하는 접점부위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롤러와, 이탈방지롤러의 이탈방지롤러축이 스크류드럼 외경과 동축으로 이동 가능토록 맞추는 장공의 호형홈을 가지는 이탈방지롤러브라켓을 가지는 모듈형 이탈방지롤러부를 포함하는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스크류드럼을 지지하는 베이스부의 전,후방벽 상단에 스크류드럼의 회전축을 양단에서 지지하는 고정판 하단의 가이드블럭이 이동하는 레일을 일체화시켜, 베이스부와 스크류드럼을 모듈형으로 무대의 설치위치에 해당하는 베이스빔에 쉽게 설치토록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가 전,후방벽을 갖도록 모듈화하고, 전후방벽에는 나사홈, 전선 삽입용 전선공을 삽입하여 외관이 깔끔하고, 별도 용접이 필요없고, 조립분해 가능하여 수리 및 부품교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가 수직으로 감속 기어결합하는 제 1 내지 제 3감속부가 아래로 이어지게하고, 제 3감속부의 감속 헤리컬기어축이 스크류드럼의 회전축과 축결합하여도 구동모터와 스크류드럼의 외경이 겹치지 않도록 구성하여 전체 높이를 줄여 좁은 설치공간에서도 설치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은 가이드휠에서 스크류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 접점이 스크류드럼의 길이방향 수평라인과 일치하지 않기에 이탈 방지용으로 설치하는 이탈방지 롤러부의 이탈방지롤러가 장공으로 조절 가능토록 하고, 이탈방지롤러를 지지하는 이탈방지롤러브라켓이 베이스부의 전후방벽의 각 내면벽에 동시에 고정되어 요동없이 설치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를 이루는 좌우측벽에 와이어의 인입/인출용 와이어공을 형성하고, 와이어공에는 와이어 처짐 인식용 인식판을 두어 베이스부 양쪽 또는 어느 한 쪽에서 와이어를 설치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와이어 처짐 없이 인입/인출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은 바닥 베이스판의 인입/인출부와 가이드휠 사이에 각 와이어의 요동방지용 고정홀을 가지는 고정모듈을 설치하여 와이어 요동을 방지하므로 수평, 수직, 경사지게 설치 가능하고, 와이어 인입/인출도 베이스부 양단 또는 어느 일측으로 필요에 따라 가변 설치 가능하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 양단에는 리미트스위치를, 스크류드럼을 지지하는 고정판 외면에는 설정 수평이동 위치를 벗어날 경우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작동시켜 구동모터를 멈추도록 푸시로드를 설치하여 물리적으로 안정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부를 전후방벽을 갖도록 모듈화하고, 전후방벽에는 나사헤드가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이동하는 나사홈을 이루므로, 나사홈에 설치한 나사에 악어크립을 결합하면 무대천정이나 바닥 또는 측벽의 베이스빔의 레일헤드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베이스부 좌측벽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베이스부를 이루는 전후방벽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탈방지롤러부가 스크류드럼에 와이어를 안내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4 의 이탈방지롤러브라켓의 호형홈에 이탈방지롤러가 가변 설치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 의 이탈방지롤러부 모듈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모듈을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좌측벽 부위를 보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감속기와 스크류드럼 회전축 및 구동모터의 축결합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베이스부 설치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모터 하향식 측벽 설치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모터 상향식 측벽 설치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단 설치시 간격이 줄어드는 것을 보이는 배치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수평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수직 설치를 보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와이어처짐 인식판부위 확대도,
도 18은 도 17의 제어 구성 예시도,
도 19는 종래의 다단 설치시의 간격을 보이는 배치 구성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전,후방벽(110A,110B) 상단에서 스크류드럼(120)을 와이어 감김 및 풀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레일(111)이 일체로 모듈형으로 성형된 상부 개방형 베이스부(110);
구동모터(121)의 동력을 받아 연속된 헬리컬기어 결합으로 감속되고 구동모터축(122)과 나란하게 동력을 제공하는 감속기(120);
감속기(120)에서 동력을 받아 회전하며 와이어(131)를 나선형 와이어홈(132)에 감김 및 풀림 작용을 하며 구동모터(121)와 나란히 설치되는 스크류드럼(130);
스크류드럼(130) 표면에 감거나 풀리도록 와이어 마다 경사지게 안내하며 베이스부(110) 내부 공간에 와이어 개수만큼 각각 설치된 가이드휠(140);
스크류드럼(130)의 회전축(133) 양단에서 회전축(133)이 회전 가능토록 각각 지지하는 고정판(151)과, 각 고정판(151) 하단에 부가되어 상기 레일(111)을 따라서 이동하는 가이드블럭(152)과, 일측의 고정판(151) 외측에 노출된 회전축(133)과 너트 결합하여 스크류드럼 회전운동을 좌우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너트체(153), 상기 너트체(153)를 베이스부(110)에 지지하는 지지블럭(154)을 포함하는 이송부(150);
상기 가이드휠(140)에서 스크류드럼(120) 표면 접선방향으로 이송하는 접점부위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롤러(181)와, 이탈방지롤러축(182)이 스크류드럼(130) 외경과 동축으로 이동 가능토록 맞추는 장공의 호형홈(183)을 가지는 이탈방지롤러브라켓(184)을 가지는 모듈형 이탈방지롤러부(18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나란한 전방벽(110A) 및 후방벽(110B)과, 전방벽(110A) 및 후방벽(110B)의 바닥을 막아주어 베이스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판(110C)으로 이루어지며;
전방벽(110A) 및 후방벽(110B)의 내외면 및 좌우측면에는 나사헤드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토록 끼우는 헤드홈(112)과, 나사홈(113)과, 전선 삽입용 전선공(114)을 포함한 구성을 길이방향으로 이어지게 압출 성형한다.
본 발명에서의 너트체(153)는 리드스크류, 볼스크류 방식 공히 사용 가능하지만, 볼스크류를 사용하면 마찰력이 줄어들어 내구성이 보다 증가한다.
상기, 감속기(120)는 구동모터(121)의 구동모터축(122)에 제1,제2헤리컬기어(H1,H2)가 이어져 감속출력을 제공하는 제1감속부(125);
제2헤리컬기어(H2)와 동축 결합된 제 3헤리컬기어(H3)와, 제 3헤리컬기어(H3)와 감속 기어결합하는 제 4헤리컬기어(H4)로 이루어진 제2감속부(126);
제4헤리컬기어(H4)와 동축 결합된 제5헤리컬기어(H5)와, 제5헤리컬기어(H5)와 감속 기어결합하는 제 6헤리컬기어(H6)로 이루어진 제 3감속부(127)를 포함하고;
상기 제6헤리컬기어(H6)의 기어축(128)은 회전축(133)과 동력전달 가능한 축결합을 이루며;
상기 제 1,2헤리컬기어(H1,H2), 제 3,4헤리컬기어(H3, H4), 제 5,6헤리컬기어(H5, H6)는 상하로 기어결합하도록 배열되어 구동모터(121)와 스크류드럼(130) 외경이 겹치지 않고 나란하게 설치되어 설치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휠(140)은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10-1745514호의 구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알려진 구성이어서 세부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탈방지롤러부(180)의 이탈방지롤러브라켓(184)은 스크류드럼(130) 외경부 전방부위에서 저면 부위를 거쳐 후방벽(110B)의 내면부로 연장되는 메인브라켓(185)과,
메인브라켓(185)에서 전방벽(110A)의 내면벽 부위로 연장되는 보조브라켓(186)과,
각 브라켓(185, 186)에서 상기 전,후방벽(110A,110B)의 내면벽과 나란하게 절곡되어 각각 나사결합공(189)을 가지는 절곡판(187,188)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전,후방벽(110A, 110B)의 좌우측에는 좌측벽(110D) 및 우측벽(110E)이 도 11에 보인 나사홈(113)과 나사결합되고,
좌측벽(110D) 및 우측벽(110E)에는 와이어 개수만큼 수평으로 이격 인입 및 인출되는 와이어공(190)과,
와이어공(190) 하단 외측에는 와이어 처짐을 전기의 도통 여부로 인식하도록 와이어 이송부위마다 각각 동판이 부가된 와이어처짐 인식판(19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와이어처짐 인식판(192)은 와이어공(190) 하부 외측으로 연장된 수평판(193)과,
수평판(193) 표면의 해당 와이어(131) 이송방향으로 이격된 제1동판(194) 및 제 2동판(19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동판(194) 및 제 2동판(195)에 도 18에 보인 와이어(131)가 하강하여 동시에 닿을 때 와이어 처짐은 제어부(240)에서 인식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와이어공(190)은 가이드휠(140) 상부 위치에 형성되고;
전,후방벽(110A, 110B)과 가이드휠(140) 사이에는 와이어공(190)을 통해 인입된 각 와이어를 베이스판(110C)부위로 안내하는 제 1안내활차(210)와, 제 1안내활차(210)에서 가이드휠(140) 하부 위치로 안내하는 제2안내활차(220)가 베이스부(110) 길이방향으로 이어지게 베이스부(110)위의 내부공간에 모듈형으로 설치한다.
상기, 제 2안내활차(220)와 가이드휠(140) 사이의 베이스판(110C)에는 각 와이어(131)의 상호 간섭을 없애도록 위치(W1~Wn)를 고정하는 고정홀(231~23n)을 각각 가지는 고정모듈(230)을 부가한다.
상기, 각 고정판(151) 외측면에는 푸시로드(251)가 부가되고, 스크류드럼(130)의 와이어 감김 및 풀림 위치를 벗어난 시점에 상기 푸시로드(251)와 연동하여 스위치 접점이 변하도록 전,후방벽(110A, 110B)중의 1개소에 모듈형으로 터치형 리미트스위치(252)를 전,후방벽(110A, 110B)의 베이스공간 양단에 각각 설치한다.
상기, 전,후방벽(110A, 110B) 외면벽에는 상하로 헤드홈(112)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하부의 헤드홈(112)에는 무대그리드나 베이스빔(260)위치로 이동시켜 해당 베이스빔(260)의 레일헤드(263)에 악어크립(270)을 고정하고,
악어크립(270)에는 하부의 헤드홈(112)과 나사(271)로 고정하도록 나사공(272)을 형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도 3 및 도 11에 보인바와 같이 베이스부(110)를 이루는 전방벽(110A) 및 후방벽(110B)을 예를 들어 알루미늄 프라파일로 압출 성형하고, 상단에는 레일(111)을 일체로 성형하였기로 모듈형으로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와이어윈치를 가이드블럭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치하기에 용이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구현 할 수 있다. 즉, 기존에는 설치할 무대 환경에 따라 그 장소에 맞게 설계하여 고정위치나 크기등을 가변시켜 제작하였으나, 본원발명은 모듈형태로 베이스부(110)를 만들고 고정위치나 나사설치 위치로 나사 헤드홈을 따라 나사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어떤 무대환경에서도 설치 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는 가공 및 페인트 도장 등의 공정을 단축하며, 일반 스틸 제품에 비하여 알루미늄 압출형으로 제조하고 전선공 등과 같이 속을 비우므로 무게가 경량화 된다.
또한 본원발명은 도 3 및 도 11에 보인바와 같이 베이스부(110)를 이루는 전방벽(110A) 및 후방벽(110B)과 도 2 에 분리한 좌측벽(110D)및 우측벽(110E)이 나사홈(113)에서 나사로 조립 및 분해 가능하여, 베이스부(110) 설치를 모듈화 할 수 있고, 나사홈(113)이 사출형태로 일정하므로 항상 정위치의 정확한 모듈을 반복적으로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고, 전선공(114)으로는 제어부와의 구동제어 전선을 삽입하여 외부로 전선 노출을 없애,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필요시 좌측벽(110D)이나 우측벽(110E)을 개방하여 수리 및 부품 교체도 가능하여, 사고시 전체를 뜯지 않고도 수리를 가능토록 하기에 용이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도 9 및 도 10과 같이 감속기(120)를 이루는 제 1 내지 제3감속부(125,126,127)를 이루는 각 헤리컬기어(H1~H6)의 감속 기어결합을 이루고, 이러한 감속부(125,126,127)의 헤리컬기어 결합이 상하로 이어지게 일정한 길이를 제공하므로, 구동모터(121)를 수평으로 설치하면 수직 설치시보다 높이가 낮아지고, 이렇게 수평으로 설치하여도 스크류드럼(130) 외경과는 접촉하지 않는것은 수직배열의 감속기(120) 구조를 결합하였기에 구동모터(121)와 스크류드럼(130)이 겹치지 않고 나란하게 설치되어 설치 높이가 줄어들고, 이는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수평설치와 수직 설치가 무대 환경에 맞춰 설치 가능한 본 발명의 제 3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도 4 와 같이 설치되고 우측면 상태에서는 도 5 및 6과 같이 이탈방지롤러부(180)를 설치하고, 이탈방지롤러부(180)를 이루는 이탈방지롤러브라켓(184)의 메인브라켓(185) 상부에 호형홈(183)을 스크류드럼(130)과 동축으로 형성하였다. 이는 이탈방지롤러(181)의 이탈방지롤러축(182)을 호형홈(183)을 따라 스크류드럼(130)의 외경에 일치하도록 조정하여 사용한다. 이는 와이어(131)를 스크류드럼(130)의 해당 와이어홈(132)으로 이송할 때 가이드휠(140)에서 경사지는 각도와 설치 위치에 따라 도 5 와 같이 각도가 다른데, 본 발명은 이를 쉽게 조정하여 모듈식으로 설치가능하고, 또한 이탈방지롤러브라켓(184)이 메인브라켓(185)과 보조브라켓(186)으로 나누어 메인브라켓(185) 하단은 절곡판(187)에 형성한 나사공에 후방벽(110B)의 내면벽에 형성한 헤드홈(112)에 헤드가 끼워진 나사와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므로 어느 위치에서나 쉽게 설치 가능하고, 동시에 보조브라켓(186) 하단은 도 11과 같이 전방벽(110A)의 내면벽에 형성한 헤드홈(112)에 헤드가 끼워진 나사와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므로 이탈방지롤러브라켓(184)은 아래에서 두곳에서 지지결합하므로 요동없이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원리로 악어크립(270)을 전후방벽(110A, 110B)의 헤드홈(112)에 나사로 가 결합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 후 고정 설치 할 수 있어 베이스빔의 레일헤드에 쉽게 설치 할 수 있는등의 제 4 및 제 8의 목적을 이룰 수 있다.
이는 베이스부(110)의 레일(111)을 따라서 좌우 직선운동을 하고, 베이스부(110) 내부 공간에 가이드휠(140)과 이탈방지롤러부(180) 까지 설치하므로 스크류드럼(130)을 지지하는 고정판보다 공간이 넓을 필요가 없어 폭이 좁아지고, 베이스부(110) 내부 공간에 구성 부품을 설치하므로 인접하는 와이어 윈치와 별도의 이격 거리를 도 19와 같이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에 도 14와 같이 좁은 공간에 촘촘히 이웃하게 붙여 설치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도 2 및 도 9 와 같이 좌측벽(110D)및 우측벽(110E)에 와이어공(190)을 두어 각 와이어(131)가 위치(W1~Wn)마다 동시에 인입/인출 할 수도 있고, 나누어 각각 인입/인출 할 수도 있다. 또한 와이어공(190)의 외벽에 와이어의 처짐시 이를 인식하는 와이어처짐 인식판(192)을 설치하였고, 와이어처짐 인식판(192)은 도 17과 같이 수평판(193)에 각 와이어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제1동판(195)과 제2동판(196)을 설치하고, 와이어(131)가 도 18과 같이 실선 상태가 정상이나 아래로 처짐이 발생하면 와이어(131)가 제 1 동판(195)과 제 2동판(196)을 동시에 접촉하게 되고, 이는 바테리전원이 전기적으로 제 1동판(195)과 제 2동판(196)을 동시에 도통하도록 소위 턴온(turn on) 작용을 하여 램프가 켜지고, 동시에 제어부(240) 입력단에는 로레벨(low level) 상태에서 하이레벨(high level)로 레벨이 변한 입력신호가 인가(apply)되고 제어부(240)에서는 이를 와이어 처짐으로 인식하고, 이에따라 제어부(240)는 구동모터(121)의 동력을 차단(차단을 위한 연결수단의 도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도시를 생략 함)하여 회전을 멈춤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기능하는 제 5의 목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베이스부(110)를 전후방벽(110A,110B), 베이스판(110C), 좌우측벽(110D, 110E)으로 모듈형으로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그 내부공간의 베이스판(110C)적어도 한 곳에는 도 7과 같이 고정모듈(230)을 설치하고, 고정모듈(230)에는 와이어(131) 위치(W1~Wn) 대응 고정홀(231~23n)로 이격되게 인가되므로, 각 와이어 간의 마찰 없이 작동하고, 이는 윈치를 수직, 수평으로 설치하여도 와이어가 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 6 의 목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도 1, 도 2, 도 8 에서와 같이 스크류드럼(130)을 지지하는 고정판(151) 외벽에 푸시로드(251)를, 스크류드럼의 왕복 이동 위치를 벗어난 지점에서 상기 푸시로드(251)와 접촉하는 스위치(252)를 설치하여 제어부(240)에서 이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관련된 종래 기술은 기본적으로 각종 모터제어용 엔코더나 캠리미트스위치박스 및 위치 센서를 통한 안전 기능을 수행하지만 이러한 종래 스위치박스 구조는 박스의 정밀성이 요구되고 IP55 이상의 방수 기능이 있어야 하고, 커버를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풀고 조여야하고 기존 구동부와의 조립에 필요한 커플링 등의 부속이 필요하고, 이러한 조립시의 조립불량(직진도 불량으로 인한 떨림 현상, 쳬결 불량으로 인한 회전력 전달 불량 등)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정전이나 비상시의 오동작을 물리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스위치(252)를 설치하고, 접점 조절은 푸시로드(251)의 길이를 턴버클이나 나사결합길이 조정방식등의 나사 결합으로 조절 가능토록 하면 미세 조절이 용이하고, 작동 상태도 눈으로 확인 가능하고, 리미트스위치를 사용하는 스위치(252)가 방수 등급으로 출하되는 것을 사용하므로, 방수에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위치와의 리미트 조정이 용이하고 신속 설치 가능하고, 유지 보수시에도 별도의 커버가 없어 쉽게 확인 가능하고, 비상시 인입 전원선을 차단토록 기능하여 안정성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제 7 의 목적을 이룰수 있도록 기능한다.
110;베이스부 110A;전방벽 110B;후방벽 110C;베이스판 110D;좌측벽 110E;우측벽 111;레일 112;헤드홈 113;나사홈 114;전선공 120;감속기 121;구동모터 122;구동모터축 125;제1감속부 126;제2감속부 127;제3감속부 H1;제1헤리컬기어 H2;제2헤리컬기어 H3;제3헤리컬기어 H4;제4헤리컬기어 H5;제5헤리컬기어 H6;제6헤리컬기어 130;스크류드럼 131;와이어 132;와이어홈 133;회전축 140;가이드휠 151;고정판 152;가이드블럭 153;너트체 154;지지블럭 180;이탈방지롤러부 181;이탈방지롤러 182;이탈방지롤러축 183;호형홈 184;이탈방지롤러브라켓 185;메인브라켓 186;보조브라켓 187,188;절곡판 189;나사결합공 190;와이어공 192;와이어처짐 인식판 193;수평판 194;제1동판 195;제2동판 210;제1안내활차 220;제2안내활차 230;고정모듈 231~23n;고정홀 240;제어부 251;푸시로드 252;스위치 260;베이스빔 262;레일헤드 270;악어크립 271;나사 272;나사공

Claims (10)

  1. 전,후방벽(110A,110B) 상단에서 스크류드럼(120)을 와이어 감김 및 풀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레일(111)이 일체로 모듈형으로 성형된 상부 개방형 베이스부(110);
    구동모터(121)의 동력을 받아 연속된 헬리컬기어 결합으로 감속되고 구동모터축(122)과 나란하게 동력을 제공하는 감속기(120);
    감속기(120)에서 동력을 받아 회전하며 와이어(131)를 나선형 와이어홈(132)에 감김 및 풀림 작용을 하며 구동모터(121)와 나란히 설치되는 스크류드럼(130);
    스크류드럼(130) 표면에 감거나 풀리도록 와이어 마다 경사지게 안내하며 베이스부(110) 내부 공간에 와이어 개수만큼 각각 설치된 가이드휠(140);
    스크류드럼(130)의 회전축(133) 양단에서 회전축(133)이 회전 가능토록 각각 지지하는 고정판(151)과, 각 고정판(151) 하단에 부가되어 상기 레일(111)을 따라서 이동하는 가이드블럭(152)과, 일측의 고정판(151) 외측에 노출된 회전축(121)과 너트 결합하여 스크류드럼 회전운동을 좌우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너트체(153), 상기 너트체(153)를 베이스부(110)에 지지하는 지지블럭(154)을 포함하는 이송부(150); 및
    상기 가이드휠(140)에서 스크류드럼(120) 표면 접선방향으로 이송하는 접점부위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롤러(181)와, 이탈방지롤러축(182)이 스크류드럼(130) 외경과 동축으로 이동 가능토록 맞추는 장공의 호형홈(183)을 가지는 이탈방지롤러브라켓(184)을 가지는 모듈형 이탈방지롤러부(18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110)는 나란한 전방벽(110A) 및 후방벽(110B)과, 전방벽(110A) 및 후방벽(110B)의 바닥을 막아주어 베이스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판(110C)으로 이루어지며;
    전방벽(110A) 및 후방벽(110B)의 내외면 및 좌우측면에는 나사헤드를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토록 끼우는 헤드홈(112)과, 나사홈(113)과, 전선 삽입용 전선공(114)을 포함한 구성을 길이방향으로 이어지게 압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는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감속기(120)는 구동모터(121)의 구동모터축(122)에 제1,제2헤리컬기어(H1,H2)가 이어져 감속출력을 제공하는 제1감속부(125);
    제2헤리컬기어(H2)와 동축 결합된 제 3헤리컬기어(H3)와, 제 3헤리컬기어(H3)와 감속 기어결합하는 제 4헤리컬기어(H4)로 이루어진 제2감속부(126);
    제4헤리컬기어(H4)와 동축 결합된 제5헤리컬기어(H5)와, 제5헤리컬기어(H5)와 감속 기어결합하는 제 6헤리컬기어(H6)로 이루어진 제 3감속부(127)를 포함하고;
    상기 제6헤리컬기어(H6)의 기어축(128)은 회전축(133)과 동력전달 가능한 축결합을 이루며;
    상기 제 1,2헤리컬기어(H1,H2), 제 3,4헤리컬기어(H3, H4), 제 5,6헤리컬기어(H5, H6)는 상하로 기어결합하도록 배열되어 구동모터(121)와 스크류드럼(130) 외경이 겹치지 않고 나란하게 설치되어 설치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4. 제 1항에 있어서, 이탈방지롤러부(180)의 이탈방지롤러브라켓(184)은 스크류드럼(130) 외경부 전방부위에서 저면 부위를 거쳐 후방벽(110B)의 내면부로 연장되는 메인브라켓(185)과,
    메인브라켓(185)에서 전방벽(110A)의 내면벽 부위로 연장되는 보조브라켓(186)과,
    각 브라켓(185, 186)에서 상기 전,후방벽(110A,110B)의 내면벽과 나란하게 절곡되어 각각 나사결합공(189)을 가지는 절곡판(187,188)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5. 제 1항에 있어서, 전,후방벽(110A, 110B)의 좌우측에는 좌측벽(110D) 및 우측벽(110E)이 나사홈(113)과 나사결합되고,
    좌측벽(110D) 및 우측벽(110E)에는 와이어 개수만큼 수평으로 이격 인입 및 인출되는 와이어공(190)과,
    와이어공(190) 하단 외측에는 와이어 처짐을 전기의 도통 여부로 인식하도록 와이어 이송부위마다 각각 동판이 부가된 와이어처짐 인식판(192)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6. 제 5항에 있어서, 와이어처짐 인식판(192)은 와이어공(190) 하부 외측으로 연장된 수평판(193)과,
    수평판(193) 표면의 해당 와이어(131) 이송방향으로 이격된 제1동판(194) 및 제 2동판(19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동판(194) 및 제 2동판(195)에 와이어(131)가 동시에 닿는 와이어 처짐은 제어부(240)에서 인식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7. 제 5항에 있어서, 와이어공(190)은 가이드휠(140) 상부 위치에 형성되고;
    전,후방벽(110A, 110B)과 가이드휠(140) 사이에는 와이어공(190)을 통해 인입된 각 와이어를 베이스판(110C)부위로 안내하는 제 1안내활차(210)와, 제 1안내활차(210)에서 가이드휠(140) 하부 위치로 안내하는 제2안내활차(220)가 베이스부(110) 길이방향으로 이어지게 베이스부(110)위의 내부공간에 모듈형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8. 제 7항에 있어서, 제 2안내활차(220)와 가이드휠(140) 사이의 베이스판(110C)에는 각 와이어(131)의 상호 간섭을 없애도록 위치(W1~Wn)를 고정하는 고정홀(231~23n)을 각각 가지는 고정모듈(230)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9. 제 1항에 있어서, 각 고정판(151) 외측면에는 푸시로드(251)가 부가되고, 스크류드럼(130)의 와이어 감김 및 풀림 위치를 벗어난 시점에 상기 푸시로드(251)와 연동하여 스위치 접점이 변하도록 전,후방벽(110A, 110B)중의 1개소에 모듈형으로 터치형 리미트스위치(252)를 전,후방벽(110A, 110B)의 베이스공간 양단에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전,후방벽(110A, 110B) 외면벽에는 상하로 헤드홈(112)이 나란하게 형성되고,
    하부의 헤드홈(112)에는 무대그리드나 베이스빔(260)위치로 이동시켜 해당 베이스빔(260)의 레일헤드(263)에 악어크립(270)을 고정하고,
    악어크립(270)에는 하부의 헤드홈(112)과 나사(271)로 고정하도록 나사공(27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KR1020200177314A 2020-12-17 2020-12-17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KR102258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314A KR102258999B1 (ko) 2020-12-17 2020-12-17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314A KR102258999B1 (ko) 2020-12-17 2020-12-17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999B1 true KR102258999B1 (ko) 2021-06-01

Family

ID=7637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314A KR102258999B1 (ko) 2020-12-17 2020-12-17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9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164B1 (ko) * 2021-08-10 2022-04-26 김은숙 무대설비 승강장치
CN116679087A (zh) * 2023-05-24 2023-09-01 国网四川省电力公司攀枝花供电公司 一种电压端子外接试验线固定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583Y1 (ko) * 2005-09-30 2005-12-09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호이스트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
KR200461068Y1 (ko) * 2010-05-20 2012-08-01 스마트산업 주식회사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로프의 충격완화장치
KR101442026B1 (ko) * 2013-12-18 2014-09-24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와이어로프의 처짐을 감지하는 무대장치용 활차
KR101750980B1 (ko) * 2017-01-17 2017-06-28 (주)이엠테크놀리지 무대전용윈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583Y1 (ko) * 2005-09-30 2005-12-09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호이스트용 와이어로프 권취장치
KR200461068Y1 (ko) * 2010-05-20 2012-08-01 스마트산업 주식회사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로프의 충격완화장치
KR101442026B1 (ko) * 2013-12-18 2014-09-24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와이어로프의 처짐을 감지하는 무대장치용 활차
KR101750980B1 (ko) * 2017-01-17 2017-06-28 (주)이엠테크놀리지 무대전용윈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164B1 (ko) * 2021-08-10 2022-04-26 김은숙 무대설비 승강장치
CN116679087A (zh) * 2023-05-24 2023-09-01 国网四川省电力公司攀枝花供电公司 一种电压端子外接试验线固定件
CN116679087B (zh) * 2023-05-24 2024-04-09 国网四川省电力公司攀枝花供电公司 一种电压端子外接试验线固定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999B1 (ko) 무대장치용 모듈형 와이어 윈치
EP2576408B1 (en) Elevator with roller-pinion drive
US20060284151A1 (en) Hoist Assembly
US11111117B2 (en) Compact hoist system
KR102111508B1 (ko)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CN103890300A (zh) 窗户调节器
US6516566B2 (en) Automatic movable partition system housing having a strengthening support leg
KR101750980B1 (ko) 무대전용윈치
CN203064952U (zh) 安装在楼梯栏杆上的可折叠输送装置
JP5500670B2 (ja) ホームドア装置
EP1154114A2 (en) Drive unit for doors, especially elevator doors having a non-rectilinear profile
KR20050079824A (ko) 트랙 이동식 조명 시스템
EP1832703A1 (en) A door of the typ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n automatic mechanism
EP3572136B1 (en) Compact hoist system
CN108203038A (zh) 用于电梯系统的可折叠导轨轨道
KR101150813B1 (ko) 모듈형 전동식 저소음 슬라이딩 도어 장치 및 전동식 저소음 도어개폐유닛
KR102340743B1 (ko) 승강장치
ITBS20080087A1 (it) Coppia di piantane precablate per cancelli scorrevoli o a battente
KR20060110878A (ko) 승강 가능한 트랙 이동식 조명 시스템
KR101892417B1 (ko) 무대기계용 다중리미트 스위치 장치
JP2004132058A (ja) 可動柵
KR102146744B1 (ko) 무대용 드럼이송 구동장치
JP4750603B2 (ja) 吊下げ走行装置
JPH0975150A (ja) 昇降機構を備えた吊り戸棚
WO2015156355A1 (ja) 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