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749B1 -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 - Google Patents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749B1
KR102562749B1 KR1020230009960A KR20230009960A KR102562749B1 KR 102562749 B1 KR102562749 B1 KR 102562749B1 KR 1020230009960 A KR1020230009960 A KR 1020230009960A KR 20230009960 A KR20230009960 A KR 20230009960A KR 102562749 B1 KR102562749 B1 KR 102562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oad
height
load contro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의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시스템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시스템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시스템아트
Priority to KR1020230009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8Safety gear responsive to excess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 B66D2700/0191Cable guiding during winding or paying 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는 동력을 전달받아 무대에서 승하강하는 세트프레임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를 권취하는 스크류드럼 일측에서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무대장치로서, 와이어가 스크류드럼 상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권취되도록, 스크류드럼 일측에서 스크류드럼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순차 배열되어 와이어를 대응 지지하는 대응지지부 및 대응지지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와이어를 지지하며, 와이어로 인한 하중변화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켜 인가되는 하중을 제어하는 하중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 {STAGE DEVICE WITH LOAD CONTROL}
본 발명은 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을 전달받아 무대에서 승하강하는 세트프레임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를 권취하는 스크류드럼 일측에서 와이어로 인한 하중변화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켜 인가되는 하중을 제어할 수 있는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연이나 행사 등이 이루어지는 무대는 조명이나 커튼을 설치하기 위한 각종 무대장치나 소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대의 천정에 위치한 세트프레임을 와이어를 통해 승하강 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커튼을 포함한 각종 무대장치, 소품 등을 견인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막간에 무대설비나 무대장치의 배치를 신속하게 바꾸어 줄 수도 있고 필요한 위치로 무대설비를 편리하게 움직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 무대에서 승하강하는 세트프레임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를 권취하는 스크류드럼을 통해 세트프레임을 승하강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와이어 또는 세트프레임에 외력이 인가되면서 예상치 못한 이유로 와이어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견인장치에 문제 등이 발생하여 위험한 경우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다.
특히 무대에 배우나 스탭이 있는 경우, 대처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없어 세트프레임의 추락 시 인명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는 대응지지부를 통해 와이어가 스크류드럼 상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권취되도록, 스크류드럼 일측에서 스크류드럼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순차 배열되어 와이어를 대응 지지하고, 하중제어부를 통해 대응지지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와이어를 지지하며, 와이어로 인한 하중변화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켜 인가되는 하중을 제어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는, 동력을 전달받아 무대에서 승하강하는 세트프레임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를 권취하는 스크류드럼 일측에서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무대장치로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스크류드럼 상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권취되도록, 상기 스크류드럼 일측에서 상기 스크류드럼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순차 배열되어 상기 와이어를 대응 지지하는 대응지지부; 및 상기 대응지지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며, 상기 와이어로 인한 하중변화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켜 인가되는 하중을 제어하는 하중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중제어부는, 상기 대응지지부 일측에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높이에 위치한 제1 축을 따라 축회전하여 와이어를 상방 지지하는 보조롤러; 및 상기 제1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축과 평행한 제2 축을 따라 축회전하여 상기 와이어를 하방 지지하는 주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롤러는, 상기 와이어로 인해 인가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면 상기 제2 축을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하강시켜 하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롤러는, 복수의 상기 와이어가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제2 축을 따라 회전하는 지지부재;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2 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축의 승하강에 종속되어 이동하는 기준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과 상기 기준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하강된 상기 기준부재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제어부는, 상기 주롤러의 상기 제2 축이 상기 제2 높이로 하강됨을 감지하는 감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제2 높이보다 낮은 제3 높이를 갖는 가상의 평면 또는 직선을 형성하고, 상기 주롤러의 기준면이 상기 가상의 평면 또는 직선에 접촉되면 상기 제2 축이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하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는 상기 제2 축이 상기 제2 높이로 하강되면 상기 와이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와이어의 외주면 하부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와이어의 곡률과 동일한 접촉홈이 배열된 하판부재 및 상기 와이어의 외주면 상부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와이어의 곡률과 동일한 접촉홈이 배열된 상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제한축을 따라 서로 접촉되거나 반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는 상기 스크류드럼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기 세트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와이어의 개수에 대응하게 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지지하는 방향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는 무대에서 움직이는 피인식체의 동작을 감지하도록 상기 세트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동작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는, 와이어 또는 세트프레임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하중을 제어하여 예상치 못한 이유로 와이어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견인장치에 문제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가 무대에 설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가 와이어를 지지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의 대응지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의 하중제어부에 기설정된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의 하중제어부에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한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의 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에서 제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가 무대에 설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가 와이어를 지지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의 대응지지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의 하중제어부에 기설정된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의 하중제어부에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한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의 제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에서 제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10)는, 무대에서 승하강하는 세트프레임(C)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W)를 권취하는 스크류드럼(SD)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술한 와이어(W)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때 스크류드럼(SD)은 모터 및 감속기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와이어(W)를 권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10)는, 크게 대응지지부(100), 하중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응지지부(100)는 스크류드럼(SD) 일측에 배치되어 스크류드럼(SD)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순차 배열되어 와이어(W)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대응지지부(100)로 인해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와이어(W)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스크류드럼(SD) 상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권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지지부(100)는 단위롤러(101)가 스크류드럼(SD)에 권취되는 와이어(W) 간격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단위롤러(101)는 스크류드럼(SD)의 회전축에 수직되는 가상의 기준축에 경사지는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W)가 서로 간의 간섭없이 스크류드럼(SD) 상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권취될 수 있다면, 각각의 단위롤러(101)의 경사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때 하중제어부(200)는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지지부(100)의 일측 및 후술할 방향전환부(300) 사이에 마련되어 와이어(W)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하중제어부(200)에 인가되는 하중은, 와이어(W)의 끼임이나 세트프레임(C)의 끼임 등 다양한 이유로 미리 설정된 하중을 초과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하중제어부(200)는 와이어(W)로 인해 인가되는 하중변화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켜 인가되는 하중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하중제어부(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프레임(210), 보조롤러(220), 주롤러(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10)은 대응지지부(100) 일측에 마련되어 하중제어부(200)의 전체위치를 잡고 후술할 보조롤러(220) 및 주롤러(240)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조롤러(220)는 상기 프레임(210)의 바닥면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높이에 위치한 제1 축을 따라 축회전하여 와이어(W)를 상방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롤러(2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와이어(W)보다 높은 위치에서 와이어(W)의 외주면 상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주롤러(240)는 보조롤러(220)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보조롤러(220)에 의해 지지된 와이어(W)를 하방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롤러(240)는 제1 높이에 위치하고 제1 축과 평행한 제2 축을 따라 축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주롤러(240)의 상측으로 와이어(W) 외주면의 하측이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주롤러(240)는, 와이어(W)로 인해 인가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면 제2 축을 상술한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하강시켜 하중을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롤러(240)는, 지지부재(241), 기준부재(242), 탄성부재(244)를 통해 와이어(W)로 인해 인가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면 제2 축을 제1 높이에서 제2 높이로 하강시키고, 인가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 이하가 되면 다시 제2 축을 제2 높이에서 제1 높이로 복귀시킬 수 있다.
먼저 제2 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재(241)는 복수의 와이어(W)가 제2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홈 각각은 와이어(W)의 곡률과 동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준부재(242)는 프레임(210)의 바닥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제2 축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부재(242)는 제2 축의 하강에 종속되어 하강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축의 상승에 종속되어 상승될 수 있다.
이때 기준부재(242)는 'ㄷ'가 세워진 판형태로 마련되어 개방된 상측으로 상술한 지지부재(241)가 인입되고, 지지부재(241)와 기준부재(242)는 제2 축에 축결합 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축은 프레임(210) 상에서 제1 높이에서 제2 높이로 이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면 그 구조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축은 프레임(210) 상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에 배치되어 장공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간편할 것이다.
이때 탄성부재(244)는 하강된 기준부재(242)를 다시 원위치시키기 위해 프레임(210)의 바닥면과 기준부재(24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하중제어부(200)는, 감지부재(2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중제어부(200)는, 감지부재(246)를 통해 주롤러(240)의 제2 축이 제2 높이로 하강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재(246)는, 적어도 하나의 수발광 센서를 통해 제2 높이보다 낮은 제3 높이를 갖는 가상의 평면 또는 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가상의 평면 또는 직선에 상기 주롤러(240)의 기준면, 구체적으로 전술한 기준부재(242)의 하부면이 가상의 평면 또는 직선에 접촉되면 제2 축이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하강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볼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롤러(240)는 상술한 프레임(210)에서 외부로 돌출된 제2 축의 양단을 보호하는 커버(2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249)는 일측 및 그 반대인 타측의 직경이 다른 원통형태로 마련되어 외측면이 곡률을 가지도록 마련됨으로써, 기타 외부물질로 인해서 제2 축의 양단을 향한 외력이 발생되면, 외력의 방향을 변경시켜 외력이 제2 축을 향해 직접전달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커버(249)는 내부로 수분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어 부식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부재(24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커버(249)의 내부공간(249a)에는 커버(249) 상에 의도되지 않은 틈새를 통해 내부공간(249a)으로 수분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제2 축과 접촉할 수 없도록 겔(Gel) 타입의 충진부재가 충진될 수 있으며, 이때 충진부재는 내부공간(249a) 전체에 충진되되, 제2 축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충진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249)에 충진부재가 포함된 경우, 충진부재는 제2 축의 하강 시에는 상기 제2 축의 하측과 접촉하면서 제2 축의 하강속도를 감속시켜 제2 축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10)는 제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부(500)는 제2 축이 제2 높이로 하강되는 조건에서 와이어(W)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한부(500)는, 예를 들어 하판부재(520), 상판부재(5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판부재(520)는 와이어(W)의 곡률과 동일한 접촉홈이 배열되어 와이어(W)의 외주면 하부에 면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판부재(540)는 와이어(W)의 외주면 상부에 면접촉하도록, 와이어(W)의 곡률과 동일한 접촉홈이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판부재(540)와 하판부재(520)는 접촉홈이 배열된 동일한 형상으로 와이어(W)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한부(500)의 하판부재(520)와 상판부재(540)는 와이어(W)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제한축(560)을 따라 서로 접촉되거나 반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술한 제2 축이 제2 높이로 하강되는 조건에서 와이어(W)의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한부(50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형의 단위돌기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와이어(W)를 향해 돌출된 형태의 융기부재를 더 포함하여, 하판부재(520) 및 상판부재(5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됨으로써 미끄러짐 저항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융기부재의 경도와 재질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융기부재의 재질은 카본블랙 및 정제실리카를 첨가한 고무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한부(500)의 하판부재(520) 및 상판부재(5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기설정된 두께를 갖는 저항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저항층은 하판부재(520) 및 상판부재(540) 균일한 두께로 도포시킬 수 있으며, 하판부재(520) 또는 상판부재(540)를 적어도 두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표면에 서로 다른 두께로 도포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저항층의 조성물은 마찰 계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우레탄수지,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클로로술폰화 에틸렌 고무 및 염소화 에틸렌 고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층은 마찰력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천연규사 분말, 다공성 산화알루미늄, 구리분말, 카본 나노 튜브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첨가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10)는 방향전환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트프레임(C)이 스크류드럼(SD)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경우에, 방향전환부(300)는 상기 와이어(W)의 개수에 대응하게 세트프레임(C)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방향전환부(300)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와이어(W)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방향전환부(300)는 세트프레임(C)에 이격되어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W)들을 세트프레임(C)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당겨주고, 방향전환되게 지지되면서 와이어(W)는 전술한 하중제어부(200)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10)는 안전확보를 위해 동작감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감지부(400)는 광센서 또는 움직임감지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세트프레임(C)에서 무대방향으로 설치되어 무대에서 움직이는 피인식체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는 와이어 또는 세트프레임에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하중을 제어하여 예상치 못한 이유로 와이어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견인장치에 문제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
SD: 스크류드럼
C: 세트프레임
W: 와이어
100: 대응지지부
101: 단위롤러
200: 하중제어부
210: 프레임
220: 보조롤러
240: 주롤러
241: 지지부재
242: 기준부재
244: 탄성부재
246: 감지부재
300: 방향전환부
400: 동작감지부
500: 제한부
520: 하판부재
540: 상판부재
560: 제한축

Claims (10)

  1. 동력을 전달받아 무대에서 승하강하는 세트프레임에 연결된 복수의 와이어를 권취하는 스크류드럼 일측에서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무대장치로서,
    상기 와이어가 상기 스크류드럼 상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권취되도록, 상기 스크류드럼 일측에서 상기 스크류드럼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순차 배열되어 상기 와이어를 대응 지지하는 대응지지부;
    상기 대응지지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며, 상기 와이어로 인한 하중변화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켜 인가되는 하중을 제어하는 하중제어부; 및
    상기 와이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중제어부는,
    상기 대응지지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으로부터 기설정된 제1 높이에 위치한 제1 축을 따라 축회전하여 와이어를 상방 지지하는 보조롤러;
    상기 제1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축과 평행한 제2 축을 따라 축회전하여 상기 와이어를 하방 지지하며, 상기 와이어로 인해 인가되는 하중이 기설정된 하중을 초과하면 상기 제2 축을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하강시켜 하중을 제어하는 주롤러; 및
    상기 주롤러의 상기 제2 축이 상기 제2 높이로 하강됨을 감지하는 감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2 축이 상기 제2 높이로 하강되면 상기 와이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롤러는,
    복수의 상기 와이어가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제2 축을 따라 회전하는 지지부재;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2 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축의 승하강에 종속되어 이동하는 기준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과 상기 기준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하강된 상기 기준부재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제2 높이보다 낮은 제3 높이를 갖는 가상의 평면 또는 직선을 형성하고, 상기 주롤러의 기준면이 상기 가상의 평면 또는 직선에 접촉되면 상기 제2 축이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하강됨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와이어의 외주면 하부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와이어의 곡률과 동일한 접촉홈이 배열된 하판부재; 및
    상기 와이어의 외주면 상부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와이어의 곡률과 동일한 접촉홈이 배열된 상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제한축을 따라 서로 접촉되거나 반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드럼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기 세트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와이어의 개수에 대응하게 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지지하는 방향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무대에서 움직이는 피인식체의 동작을 감지하도록 상기 세트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동작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
KR1020230009960A 2023-01-26 2023-01-26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 KR102562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960A KR102562749B1 (ko) 2023-01-26 2023-01-26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960A KR102562749B1 (ko) 2023-01-26 2023-01-26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749B1 true KR102562749B1 (ko) 2023-08-08

Family

ID=87560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960A KR102562749B1 (ko) 2023-01-26 2023-01-26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7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57991A (zh) * 2024-02-01 2024-03-08 江苏中邦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安全制动的舞台设备起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020U (ko) * 2010-05-20 2011-11-28 주식회사 석화디자인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로프의 충격완화장치
KR102064170B1 (ko) * 2018-11-13 2020-01-09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인체 감지형 리프팅 구조를 가진 조명기구
KR102111508B1 (ko) * 2019-11-01 2020-05-18 주식회사 백승엔지니어링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020U (ko) * 2010-05-20 2011-11-28 주식회사 석화디자인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로프의 충격완화장치
KR102064170B1 (ko) * 2018-11-13 2020-01-09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인체 감지형 리프팅 구조를 가진 조명기구
KR102111508B1 (ko) * 2019-11-01 2020-05-18 주식회사 백승엔지니어링 수평 수직 설치가 자유롭고 하중감지 가능한 활차일체형 무대구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57991A (zh) * 2024-02-01 2024-03-08 江苏中邦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安全制动的舞台设备起重装置
CN117657991B (zh) * 2024-02-01 2024-05-10 江苏中邦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安全制动的舞台设备起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2749B1 (ko)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
WO2017217650A1 (ko) 동조질량댐퍼를 이용한 내진 조명타워
KR102374358B1 (ko) 케이블포설장치
KR100978139B1 (ko) 송배전 철탑용 선로 장력유지장치
KR102023846B1 (ko)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 행거장치
KR20170065656A (ko) 로프 파단 검출 장치
CN107560887B (zh) 一种海水取样器的止荡装置
KR101041445B1 (ko) 무대구동장치
KR101871245B1 (ko) 와이어 스크류 드럼이 움직이는 무대구동장치
KR102297928B1 (ko) 바튼 승강 구동 장치
WO2017135525A1 (ko) 해저케이블용 이중턴테이블
JP728148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0372576A1 (en) A support structure for a linear motor drive type of elevator
KR102670738B1 (ko) 하중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용 브레이크 및 이를 포함하는 무대장치
JP2007008611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検査方法
KR200279728Y1 (ko) 천정설치용 등기구 승강 제어장치
KR102322006B1 (ko) 무대 장치용 승강 구동장치
KR102309588B1 (ko) 회전방지 및 요동방지 구성을 가지는 부체 계류 구조물
KR100861132B1 (ko) 송,배전선의 스페이서
KR102452764B1 (ko) 해저케이블용 이중턴테이블의 권취방법
CN111883294B (zh) 一种抗拉伸耐久性岸电电缆装置
GB2044221A (en) Arrangement for maintenance of equipment at the top of a tower
KR101967996B1 (ko) 승강형 조명타워
JP6258123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210690B1 (ko) 밸런스 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