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765B1 - 이동벽체 - Google Patents
이동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6765B1 KR102286765B1 KR1020200145983A KR20200145983A KR102286765B1 KR 102286765 B1 KR102286765 B1 KR 102286765B1 KR 1020200145983 A KR1020200145983 A KR 1020200145983A KR 20200145983 A KR20200145983 A KR 20200145983A KR 102286765 B1 KR102286765 B1 KR 1022867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coupling
- rail
- coupled
- coupling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6311 Urethane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XAMGRAIZSSWIH-UHFFFAOYSA-N 2-[3-[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1,2,4-oxadiazol-5-yl]-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1=NOC(=N1)CC(=O)N1CC2=C(CC1)NN=N2 SXAMGRAIZSSWI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ZFUQSJFWNHZHM-UHFFFAOYSA-N 2-[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O)N1CC2=C(CC1)NN=N2 WZFUQSJFWNHZH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RPAUEVGEGEPFQ-UHFFFAOYSA-N 2-[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yrazol-1-yl]-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1C=NN(C=1)CC(=O)N1CC2=C(CC1)NN=N2 ZRPAUEVGEGEP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JLUBHOZZTYQIP-UHFFFAOYSA-N 2-[5-[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1,3,4-oxadiazol-2-yl]-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1=NN=C(O1)CC(=O)N1CC2=C(CC1)NN=N2 YJLUBHOZZTYQ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ONKBQPVFMXDOV-QHCPKHFHSA-N 6-[(5S)-5-[[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methyl]-2-oxo-1,3-oxazolidin-3-yl]-3H-1,3-benzoxazol-2-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N1CCN(CC1)C[C@H]1CN(C(O1)=O)C1=CC2=C(NC(O2)=O)C=C1 CONKBQPVFMXDOV-QHCPKHFH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벽체 설치를 보다 쉽고 빠르게 진행 가능한 이동벽체에 관한 것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벽체부; 벽체부에 결합되어 벽체부를 레일이 형성하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이송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체를 슬래브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벽체 설치를 보다 쉽고 빠르게 진행 가능한 이동벽체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미리 전기 설비 박스와 배선용 파이프를 배치한 상태에서 경량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작됨으로써, 전기 설비 박스와 배선용 파이프가 내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콘크리트 패널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조립식 욕실 공간을 형성하는 콘크리트벽체에 욕실벽체를 고정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볼트의 머리부가 콘크리트벽체에 고정되며 상기 볼트에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너트를 설치한 후 상기 너트의 표면에 조립식 욕실 벽체를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욕실공간을 형성하 는 콘크리트 벽체의 공사진행에 관계없이 어느때라도 욕실벽체를 설치할 수 있어 전체적인 공기를 단축 시킬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욕실벽체가 콘크리트 벽체에 견고하게 지지고정 됨으로써 욕실출입문의 개폐 동작 시 벽체가 흔들리거나 울림이 발생되지 않는 조립식 욕실의 벽체 설치구조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배면에 결합편을 구비한 벽체 배수판을 설치함에 있어서, 한 쌍의 외향 걸림턱을 구비하여 벽면에 배열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외향 걸림턱에 대응 결합되는 내향 걸림편을 구비하여 고정부재와 조립 결합 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벽체 배수판의 결합편을 수용하도록 전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탄성 압박 슬롯을 구비하고,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걸림턱을 구비한 클립 바; 상기 클립 바를 고정부재에 연결 결합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배수판 설치용 조립식 프레임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건축물 외측벽에 외측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외측 거푸집과 이격되도록 단열재를 설치하되, 상기 단열재는 측면에 단열재의 전면부 및 후면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합성연결재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합성연결재가 측면에 부착된 단열재를 서로 부착시켜 조립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합성연결재가 형성된 단열재와 이격되도록 건축물에 내측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외측 거푸집과 내측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조립 설치된 단열재와 합성연결재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슬래브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벽체 설치를 보다 쉽고 빠르게 진행 가능한 이동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동벽체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벽체부(100); 상기 벽체부(100)에 결합되며, 상기 벽체부(100)를 레일이 형성하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이송모듈(2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동벽체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이송모듈(200)은 레일에 결합되어 레일을 따라 상기 벽체부(100)를 이송하는 레일 결합부(21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벽체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레일 결합부(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몸체(211); 상기 결합 몸체(211)에 결합되는 롤러부(212); 일단이 상기 결합 몸체(211)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2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부(213);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벽체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롤러부(212)는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롤러부(212A); 하측에 상기 상부 롤러부(212A)와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는 하부 롤러부(212B);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벽체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레일 결합부(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몸체(211); 상기 결합 몸체(211)에 결합되며 단부가 레일과 접하게 배치되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결합부(214);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벽체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이송모듈(200)은 상기 벽체부(100)와 결합되는 벽체 결합부(22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벽체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이송모듈(200)은 상기 벽체부(100)의 너비방향 가장자리 양측 상면며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이송모듈(200A); 중앙부 상면에 높이방향으로 움직임을 가질 수 있게 결합되는 제2 이송모듈(200B);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벽체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벽체부(100)의 흔들림을 제한하는 가이드립(30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슬래브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벽체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벽체부(100); 상기 벽체부(100)에 결합되며, 상기 벽체부(100)를 레일이 형성하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이송모듈(200); 상기 이송모듈(200)은 상기 벽체부(100)와 결합되는 벽체 결합부(220); 상기 벽체 결합부(220)는 상기 벽체부(10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수평 결합부(221); 상기 수평 결합부(221)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며 두께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결합 돌기부(223); 상기 벽체부(100)는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부(223)가 삽입되는 끼움 홈(110), 두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끼움 홈(110)과 연통되는 제1 관통홀(130), 상기 제1 관통홀(130) 및 상기 결합 돌기부(223)의 관통홀에 끼워지며 중앙부에 관통볼트(224-1)가 체결되는 제2 관통홀(141)이 형성되는 부싱(140); 상기 부싱(140)은 우레탄고무로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슬래브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벽체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벽체부(100); 상기 벽체부(100)에 결합되며, 상기 벽체부(100)를 레일이 형성하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이송모듈(200); 상기 이송모듈(200)은 상기 벽체부(100)와 결합되는 벽체 결합부(220); 상기 벽체 결합부(220)는 상기 벽체부(10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수평 결합부(221); 상기 수평 결합부(221)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며 두께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결합 돌기부(223); 상기 벽체부(100)는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부(223)가 삽입되는 끼움 홈(110), 두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끼움 홈(110)과 연통되는 제1 관통홀(130), 상기 제1 관통홀(130) 및 상기 결합 돌기부(223)의 관통홀에 끼워지며 중앙부에 관통볼트(224-1)가 체결되는 제2 관통홀(141)이 형성되는 부싱(140); 상기 부싱(140)은 우레탄고무로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슬래브 측면에 결합되는 벽체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여 결합 위치에 포지셔닝 시킬 수 있으므로, 벽체 설치를 보다 쉽고 빠르게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롤러가 레일의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므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벽체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롤러와 레일의 접촉이 점접촉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레일과 롤러의 접촉면에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발생하는 장치의 파손 또는 롤러의 이탈 문제를 해소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테프론 부시를 통하여 롤러와 회전축이 결합되므로, 장치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송모듈이 벽체부에 대한 반경방향 변위를 가질 수 있게 결합되어, 벽체가 흔들릴 시 발생하는 롤러와 레일의 결합부 파손을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동벽체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이동벽체가 레일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이동벽체에 가이드립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이동벽체의 이동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인 이동벽체의 레일 결합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인 이동벽체의 벽체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인 이동벽체를 구성하는 이송모듈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인 이동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인 이동벽체가 레일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이동벽체에 가이드립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이동벽체의 이동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인 이동벽체의 레일 결합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인 이동벽체의 벽체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인 이동벽체를 구성하는 이송모듈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인 이동벽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인 이동벽체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벽체부(100); 상기 벽체부(100)에 결합되며, 상기 벽체부(100)를 레일이 형성하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이송모듈(200); 을 포함한다.
종래의 벽체 장착은 상측과 하측에 설치된 슬래브(S)를 파이프(P)를 이용하여 지지하고, 지지된 슬래브(S)의 측면에 벽체를 장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벽체의 경우 인력으로 이동시키기 어려운 무게를 가지기 때문에, 벽체를 슬래브(S)에 결합하여야 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어려워, 벽체를 설치하는 공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송모듈(200)이 슬래브(S) 상에 형성된 레일(L)을 타고 벽체부(100)를 설치 위치까지 이송 가능하게 하였다.
이때, 상기 벽체부(100)는 상기 슬래브(S)에 결합되어 내측에 위치되는 주거공간과 외부를 격리 가능한 구조체로, 두께방향 양측면에 위치되는 한 쌍의 외벽체, 한 쌍의 외벽체 사이에 위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구비되는 보강재, 내화성을 높이기 위하여 외벽체 표면에 위치되는 난연재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모듈(200)은 레일(L)에 결합되어 레일(L)을 따라 이동 가능한 레일 결합부(210)와, 상기 벽체부(100)가 결합되는 벽체 결합부(220)를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레일 결합부(210)와 벽체 결합부(220)의 세부 구조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이동벽체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200)은 레일에 결합되어 레일을 따라 상기 벽체부(100)를 이송하는 레일 결합부(21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레일 결합부(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몸체(211); 상기 결합 몸체(211)에 결합되는 롤러부(212); 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결합 몸체(211)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2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부(213); 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 결합부(210)는 상기 롤러부(212)가 상기 레일(L)에 결합되어 레일(L)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롤러부(212)가 상기 레일(L)을 타고 보다 자유롭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롤러부(212)가 회전 가능하여야 하므로, 롤러부(212)는 회전축이 되는 상기 회전결합부(213)를 통해 상기 결합 몸체(211)와 연결되는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212)는 상기 결합 몸체(21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212)는 상기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롤러부(212A); 하측에 상기 상부 롤러부(212A)와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는 하부 롤러부(212B); 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부(212)는 상기 벽체부(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상부 롤러부(212A)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힘에 대한 상기 벽체부(10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하부 롤러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 롤러부(212A)와 상기 하부 롤러부(212B) 사이에 레일(L)이 끼워진 상태로 롤러부(212)가 레일(L)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부 롤러부(212A)와 하부 롤러부(212B)는 상기 결합 몸체(211)가 연장 형성된 너비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어, 너비가 긴 벽체부(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벽체부(100)의 하중 지지는 상기 상부 롤러부(212A)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기 상부 롤러부(212A)는 벽체부(100)의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하부 롤러부(212B)보다 크고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권장하며, 필요에 따라 상부 롤러부(212A)는 하부 롤러부(212B)보다 많은 개수가 결합 몸체(2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2-6)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212)는 레일이 끼워지는 제1 홈부(212-1); 를 포함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2-6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212-1)는 굴곡진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롤러부(212)가 레일(L)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레일(L)을 이탈하게 되면 큰 사고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롤러부(212) 상에는 레일(L)이 끼워지는 제1 홈부(121-1)가 형성되어, 제1 홈부(212-1)에 레일(L)이 끼워진 상태로 롤러부(212)가 레일(L)을 타고 이동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212)와 상기 레일(L)이 면접할 경우, 롤러부(212)와 레일(L)의 접촉부위에 먼지, 모래 등의 공사장 상의 이물질이 유입되면, 이물질로 인하여 롤러부(212)와 레일(L) 사이의 마찰력이 커져 롤러부(212)가 레일(L)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롤러부(212)는 레일(L)이 끼워지는 제1 홈부(212-1)가 굴곡진 단면 형상을 가져, 제1 홈부(212-1)를 형성하는 롤러부(212)가 레일(L)을 점지지 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롤러부(212)와 레일(L)이 서로 점접촉 하게 만들어 롤러부(212)와 레일(L)이 접하는 면에 이물질이 위치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공사장과 같이 많은 이물질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이물질 유입으로 인해 장치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 가능하다.
(실시예 2-8)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212)는 중앙에 끼워지며 상기 회전결합부(213)가 끼워지는 제3 관통홀(1)이 형성되는 베어링(212-2); 를 포함한다.
(실시예 2-9)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212)는 중앙에 끼워지며 상기 회전결합부(213)가 끼워지는 제4 관통홀(2)이 형성되는 테프론 부시(212-3); 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부(212)의 회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져야 롤러부(212)가 레일(L)을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롤러부(212)의 중앙에는 베어링(212-2)이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212-2)에는 상기 회전결합부(213)가 끼워지는 제3 관통홀(1)이 형성되어, 베어링(212-2)을 통해 롤러부(212)와 회전결합부(21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어링(212-2)은 상기 회전결합부(213)가 이동하려는 힘을 회전력으로 변환 가능한 다양한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볼베어링, 플레인베어링, 유체베어링, 자기베어링, 슬리브베어링, 피복 베어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의 경우 복잡한 구조로 인해 단가가 높으므로, 필요에 따라 상기 롤러부(212)의 중앙부에는 상기 테프론 부시(212-3)가 결합되어, 테프론 부시(212-3)를 통해 상기 롤러부(212)와 회전결합부(213)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테프론 부시(213-3)는 테프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결합부(213)가 끼워지는 제4 관통홀(2)이 형성되는 부재로, 마찰력이 매우 작은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결합부(213)가 제4 관통홀(2)에 끼워지면, 회전결합부(213)가 이동하려는 힘에 대응하여 테프론 부시(213-3)가 회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이동벽체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레일 결합부(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몸체(211); 상기 결합 몸체(211)에 결합되며 단부가 레일과 접하게 배치되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결합부(214); 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14)는 레일과 접하는 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면(214-1); 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14)는 레일과 접하는 단부에 형성되며 레일이 끼워지는 제2 홈부(214-2); 를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14)는 테프론 재질을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 결합부(210)는 슬라이드 결합부(214)를 통해 레일(L)과 슬라이드 결합되어, 레일 결합부(210)가 레일(L)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14)는 레일(L)과의 마찰이 최소화 되어야 슬라이드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슬라이드 결합부(214)는 마찰력을 최소화 가능한 테프론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권장하나, 이 외에도 레일(L)과 직접 접하는 슬라이드 결합부(214)의 단부만 테프론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드 결합부(214)는 레일(L)과 접하는 단부에 경사면(214-1)이 형성되어, 레일(L)과 접촉하는 면적을 확장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214)는 상기 벽체부(100)의 하중이 집중되는 곳으로, 상기 레일(L)과의 접촉면이 넓어질수록 하중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분배 가능하므로, 슬라이드 결합부(214)의 단부에 경사면(214-1)을 형성하여 레일(L)과의 접촉면을 확장하여 준 것이다.
아울러, 슬라이드 결합부(214)는 슬라이드 이동 과정에서 슬라이드 결합부(214)가 레일(L)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결합부(214)의 단부에 레일(L)이 끼워지는 제2 홈부(214-2)가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이동벽체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200)은 상기 벽체부(100)와 결합되는 벽체 결합부(2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벽체 결합부(220)는 상기 벽체부(10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수평 결합부(221); 상기 수평 결합부(221)와 상기 벽체부(100)를 체결하는 제1 체결부(222); 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모듈(200)은 상기 벽체 결합부(220)를 통해 상기 벽체부(100)와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직접 결합되는 방법은 벽체부(100)의 상부면과 수평지게 형성되는 수평 결합부(221)의 체결공에 상기 체1 체결부(222)가 끼워져, 수평 결합부(221)와 벽체부(100)를 밀착 결합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체결부(222)는 볼트, 앵커 등 서로 다른 두 개의 구성을 연결 가능한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4-3)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벽체 결합부(220)는 상기 벽체부(10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수평 결합부(221); 상기 수평 결합부(221)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기부(223); 를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100)는 상기 돌기부(223)가 삽입되는 끼움 홈(110); 을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4-4에 있어서, 상기 벽체 결합부(220)는 상기 결합 돌기부(223)와 상기 벽체부(100)를 체결하는 제2 체결부(224); 를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4-5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224)는 상기 결합 돌기부(223)와 상기 끼움 홈(110)을 형성하는 상기 벽체부(100)의 체결립(120)을 관통하는 관통볼트(224-1); 상기 관통볼트(224-1)를 구속하는 구속너트(224-2); 를 포함한다.
(실시예 4-7)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4-6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100)는 상기 관통볼트(224-1)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130)의 직경이 상기 관통볼트(224-1)보다 큰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4-8)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4-6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100)는 상기 관통볼트(224-1)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130)에 끼워지며 상기 관통볼트(224-1)가 관통하는 제2 관통홀(141)이 형성되는 부싱(140); 을 포함한다.
(실시예 4-9) 본 발명인 벽체 이동 결합장치는 실시예 4-8에 있어서, 상기 부싱(140)은 우레탄고무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모듈(200)과 상기 벽체부(100)를 서로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질 수 없게 밀착된 형태로 고정결합 시, 외력에 대응하여 상기 벽체부(100)가 흔들릴 경우 레일(L)과 벽체 결합부(220)의 결합부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벽체 결합부(220)가 벽체부(100)에 대한 움직임(변위)을 가질 수 있게 벽체 결하부(220)와 벽체부(100)를 결합하였다.
이때, 상기 벽체 결합부(220)는 수평 결합부(221) 하측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부(223)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부(100)에는 상기 돌기부(223)가 삽입되는 끼움 홈(110)이 형성되어, 끼움 홈(110) 상에 결합 돌기부(223)가 끼워진 상태에서 관통볼트(224-1)에 의해 결합 돌기부(223)와 끼움 홈(110)을 형성하는 체결립(120)이 체결되며, 상기 관통볼트(224-1)가 끼워지는 제1 관통홀(130)의 직경(D1)은 관통볼트(224-1)의 직경(D2)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관통홀(130)과 상기 관통볼트(224-1) 사이에 일정 이상의 틈새(클리어런스)가 형성되어, 상기 벽체부(100)가 흔들릴 시 이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볼트(224-1)의 각도가 제1 관통홀(130) 내부에서 조절 가능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관통홀(130)의 직경(D1)이 관통볼트(224-1)의 직경(D2)보다 커져 관통볼트(224-1)가 흔들릴 경우, 관통볼트(224-1)와 벽체부(100)가 부딪혀 벽체부(100)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1 관통홀(130) 상에는 외력에 대응하여 변형 가능한 부싱(140)이 구비되는 것을 권장하며, 부싱(140) 상에는 관통볼트(224-1)가 끼워지는 제2 관통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부싱(140)이 상기 벽체부(100)와 상기 관통볼트(224-1) 사이에 위치되어 관통볼트(224-1)와 벽체부(100)가 서로 직접 접하는 것을 방지하고, 벽체부(100)의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이에 대응하여 압축 변형되어, 레일(L)과 레일 결합부(210)의 결합면에 응력이 집중되며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이동벽체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200)은 상기 벽체부(100)의 너비방향 가장자리 양측 상면며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이송모듈(200A); 중앙부 상면에 높이방향으로 움직임을 가질 수 있게 결합되는 제2 이송모듈(200B); 을 포함한다.
하나의 상기 벽체부(100)에는 복수개의 상기 이송모듈(2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벽체부(100)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상기 이송모듈(200)이 모두 벽체부(100)에 대한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질 수 없게 벽체부(10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결합 시, 이송모듈(2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상기 롤러부(212) 높이가 수평면에 위치되지 못할경우, 어느 하나의 롤러부(212)에 하중이 집중되어 파손 또는 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상기 제1 이송모듈(200A)의 경우 벽체부(10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게 하되, 중앙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2 이송모듈(200B)의 경우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 어느 하나의 롤러부(212)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였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이동벽체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100)의 흔들림을 제한하는 가이드립(300); 을 포함한다.
상기 벽체부(10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힘에 대응하여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벽체부(100)의 흔들림은 벽체부(100)와 이송모듈(200)의 결합부 및 이송모듈(200)과 레일(L)의 결합부 파손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벽체부(100)의 하측에 가이드립(300)을 형성하고, 하측에 위치되는 슬래브(S)에 가이드립(300)과 체결되는 흔들림 방지 립(400)을 형성하여, 벽체부(1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 하였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이동벽체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레일 결합부(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몸체(211); 를 포함하고,상기 레일(L)은 상기 레일 결합부(210)가 끼워지는 레일 체결부(L-A); 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L)은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레일 체결부(L-A)를 형성하며, 상기 레일 체결부(L-A)의 중앙부에는 레일 결합부(210)가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 홈(SH)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레일 결합부(210)가 상기 슬라이딩 홈(SH)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할 시, 상기 레일 체결부(L-A)가 레일 결합부(210)의 측면을 감싸 레일 결합부(210)의 이탈을 방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레일 결합부(210)는 상기 슬라이딩 홈(SH)에 끼워지는 이탈방지 립(215)과, 상기 이탈방지 립(215)과 결합 몸체(211) 사이에 위치되는 베어링부(2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홈(SH) 또한 이에 대응되어야 하므로 상기 이탈방지 립(215)이 끼워지는 립 삽입 홈과(SH-1)과 베어링 삽입 홈(SH-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L) 상에는 앵커가 삽입되는 앵커 삽입홀(H)이 형성되어, 레일(L)은 앵커를 통해 슬래브(S)에 고정결합될 가능한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이동벽체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레일(L)은 상기 벽체부(100)의 하단이 체결되는 하단 결합부(L-B); 를 포함한다.
이송된 벽체부(100)는 상측에 위치된 레일을 타고 이송된 후, 하단이 하측에 위치되는 레일(L)의 상단에 형성된 하단 결합부(L-B)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단 결합부(L-B)와 레일(L)의 하단부 결합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보다 용이한 체결을 위하여 벽체부(100)의 하단에는 하단 결합부(L-B)상에 형성된 하단 체결공(L-B1)에 대응되는 하단 결합공(101)이 형성되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서로 체결될 수 있는 부재로 쉽게 연결 가능한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9-1) 본 발명은 이동벽체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결합 몸체(211)는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결합 몸체(211A);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결합 몸체(211B); 상기 상부 결합 몸체(211A)와 상기 하부 결합 몸체(211B)를 연결하며 상부 결합 몸체(211)와 하부 결합 몸체(211B)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211C);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보다 용이한 벽체부(100)의 결합을 위하여 벽체부(100)의 상하방향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결합 몸체(211)를 상부 결합 몸체(211A)와 하부 결합 몸체(211B)로 분리하고, 분리된 두 개의 결합 몸체를 길이가 조절되는 높이 조절부(211C)로 연결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결합 몸체(211)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높이 조절부(211C)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봉형 구조를 가지고 상측에 위치되며 하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 높이 조절부(211C-1)와, 봉형 구조를 가지고 하측에 위치되며 상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하부 높이 조절부(211C-2)와, 내주면에 상기 상부 높이 조절부(211C-1)와 하부 높이 조절부(211C-2)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봉타입 길이조절부재(211C-3)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 높이조절부(211C-1)의 하측과 상기 하부 높이 조절부(211C-2)의 상측이 상기 길이조절 부재(211C-3)에 나사 결합되어, 사용자가 높이조절이 필요할 시 길이조절부재(211C-3)를 회전시키면, 회전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부 높이조절부(211C-1)와 하부 높이 조절부(211C-2)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이다.
100 : 벽체부 110 : 끼움 홈
120 : 체결립 130 : 제1 관통홀
140 : 부싱 141 : 제2 관통홀
200 : 이송모듈 210 : 레일 결합부
211 : 결합 몸체 212 : 롤러부
212A : 상부 롤러부 212B : 하부 롤러부
212-1 : 제1 홈부 212-2 : 베어링
212-3 : 테프론 부시 213 : 회전결합부
214 : 슬라이드 결합부 214-1 : 경사면
214-2 : 제2 홈부 220 : 벽체 결합부
220 B : 제2 벽체 결합부 221 : 수평 결합부
222 : 제1 체결부 223 : 결합 돌기부
224 : 제2 체결부 224-1 : 관통볼트
224-2 : 구속너트
120 : 체결립 130 : 제1 관통홀
140 : 부싱 141 : 제2 관통홀
200 : 이송모듈 210 : 레일 결합부
211 : 결합 몸체 212 : 롤러부
212A : 상부 롤러부 212B : 하부 롤러부
212-1 : 제1 홈부 212-2 : 베어링
212-3 : 테프론 부시 213 : 회전결합부
214 : 슬라이드 결합부 214-1 : 경사면
214-2 : 제2 홈부 220 : 벽체 결합부
220 B : 제2 벽체 결합부 221 : 수평 결합부
222 : 제1 체결부 223 : 결합 돌기부
224 : 제2 체결부 224-1 : 관통볼트
224-2 : 구속너트
Claims (11)
- 슬래브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벽체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벽체부(100);
상기 벽체부(100)에 결합되며, 상기 벽체부(100)를 레일이 형성하는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이송모듈(200);
상기 이송모듈(200)은 상기 벽체부(100)와 결합되는 벽체 결합부(220);
상기 벽체 결합부(220)는 상기 벽체부(10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수평 결합부(221); 상기 수평 결합부(221)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며 두께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결합 돌기부(223);
상기 벽체부(100)는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부(223)가 삽입되는 끼움 홈(110), 두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끼움 홈(110)과 연통되는 제1 관통홀(130), 상기 제1 관통홀(130) 및 상기 결합 돌기부(223)의 관통홀에 끼워지며 중앙부에 관통볼트(224-1)가 체결되는 제2 관통홀(141)이 형성되는 부싱(140);
상기 부싱(140)은 우레탄고무로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하는 이동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200)은 레일에 결합되어 레일을 따라 상기 벽체부(100)를 이송하는 레일 결합부(210); 를 포함하는 이동벽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일 결합부(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몸체(211); 상기 결합 몸체(211)에 결합되는 롤러부(212); 일단이 상기 결합 몸체(211)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2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결합부(213); 를 포함하는 이동벽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212)는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롤러부(212A); 하측에 상기 상부 롤러부(212A)와 마주보며 이격 배치되는 하부 롤러부(212B); 를 포함하는 이동벽체.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일 결합부(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몸체(211); 상기 결합 몸체(211)에 결합되며 단부가 레일과 접하게 배치되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결합부(214); 를 포함하는 이동벽체.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200)은 상기 벽체부(100)의 너비방향 가장자리 양측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이송모듈(200A); 중앙부 상면에 높이방향으로 움직임을 가질 수 있게 결합되는 제2 이송모듈(200B); 을 포함하는 이동벽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100)의 흔들림을 제한하는 가이드립(300); 을 포함하는 이동벽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일 결합부(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몸체(211); 를 포함하고,상기 레일(L)은 상기 레일 결합부(210)가 끼워지는 레일 체결부(L-A); 를 포함하는 이동벽체.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레일(L)은 상기 벽체부(100)의 하단이 체결되는 하단 결합부(L-B); 를 포함하는 이동벽체.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합 몸체(211)는 상측에 위치되는 상부 결합 몸체(211A);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결합 몸체(211B); 상기 상부 결합 몸체(211A)와 상기 하부 결합 몸체(211B)를 연결하며 상부 결합 몸체(211)와 하부 결합 몸체(211B)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211C); 를 포함하는 이동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5983A KR102286765B1 (ko) | 2020-11-04 | 2020-11-04 | 이동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5983A KR102286765B1 (ko) | 2020-11-04 | 2020-11-04 | 이동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6765B1 true KR102286765B1 (ko) | 2021-08-06 |
Family
ID=77315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5983A KR102286765B1 (ko) | 2020-11-04 | 2020-11-04 | 이동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6765B1 (ko)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4376A (ko) * | 1994-10-14 | 1996-05-22 | 정형화 | 동합금 소재의 제조방법 |
KR0127668Y1 (ko) | 1994-08-26 | 1998-11-02 | 성재갑 | 조립식 욕실의 벽체 설치구조 |
KR100422868B1 (ko) * | 2001-04-27 | 2004-03-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버스용 슬라이딩 도어의 에어호스 고정구조 |
KR20100129877A (ko) | 2009-06-02 | 2010-12-10 | 대림산업 주식회사 |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 이를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 |
KR101214980B1 (ko) | 2011-08-16 | 2013-01-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조립 설치된 단열재와 합성연결재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
KR20150120648A (ko) * | 2014-04-18 | 2015-10-28 | 어경원 |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의 주행장치 |
KR101804356B1 (ko) * | 2017-08-25 | 2017-12-04 |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 건축용 슬라이딩 행거도어의 완충장치 |
JP2018071277A (ja) * | 2016-11-02 | 2018-05-10 | 株式会社岡村製作所 | 間仕切パネル装置 |
KR20190111651A (ko) * | 2018-03-23 | 2019-10-02 | 주식회사 케이탑스 | 건축물 실내공간의 가변 벽체 |
KR20200042621A (ko) | 2018-10-16 | 2020-04-24 | 민병옥 | 벽체 배수판 설치용 조립식 프레임 시스템 |
-
2020
- 2020-11-04 KR KR1020200145983A patent/KR1022867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7668Y1 (ko) | 1994-08-26 | 1998-11-02 | 성재갑 | 조립식 욕실의 벽체 설치구조 |
KR960014376A (ko) * | 1994-10-14 | 1996-05-22 | 정형화 | 동합금 소재의 제조방법 |
KR100422868B1 (ko) * | 2001-04-27 | 2004-03-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버스용 슬라이딩 도어의 에어호스 고정구조 |
KR20100129877A (ko) | 2009-06-02 | 2010-12-10 | 대림산업 주식회사 | 배선 설비가 매립된 경량 콘크리트 패널, 이를 설치하기 위한 런너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벽체설치구조 |
KR101214980B1 (ko) | 2011-08-16 | 2013-01-09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조립 설치된 단열재와 합성연결재를 이용한 현장타설형 중단열벽체 시공방법 |
KR20150120648A (ko) * | 2014-04-18 | 2015-10-28 | 어경원 | 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의 주행장치 |
JP2018071277A (ja) * | 2016-11-02 | 2018-05-10 | 株式会社岡村製作所 | 間仕切パネル装置 |
KR101804356B1 (ko) * | 2017-08-25 | 2017-12-04 |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 건축용 슬라이딩 행거도어의 완충장치 |
KR20190111651A (ko) * | 2018-03-23 | 2019-10-02 | 주식회사 케이탑스 | 건축물 실내공간의 가변 벽체 |
KR20200042621A (ko) | 2018-10-16 | 2020-04-24 | 민병옥 | 벽체 배수판 설치용 조립식 프레임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531480C (en) | Track jack system | |
JP6651501B2 (ja) | 地震事象におけるエスカレータおよび動く歩道のための横方向の減衰および中間支持 | |
US20150167299A1 (en) | Beam assembly and construction erected therewith | |
US4073092A (en) | Lost motion suspension system for operable partitions | |
JPH06255940A (ja) | エレベータ用のガイド装置 | |
KR102286765B1 (ko) | 이동벽체 | |
WO2017146318A1 (ko) | 횡하중 흡수형 건축용 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판의 시공방법 | |
JP2010133239A (ja) | 手摺のための保持装置 | |
CN104791420B (zh) | 一种拖链浮动支撑装置 | |
JP6776012B2 (ja) | トンネル内吊架線支持装置 | |
KR101479062B1 (ko) | 철골조 구조물용 커튼월 설치 구조물 | |
JP4648543B2 (ja) | エレベータ階扉構体 | |
JP6887580B1 (ja) | 滑り免震装置の取り付け方法 | |
JP3968339B2 (ja) | 開放防止柵 | |
JP4077468B2 (ja) |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 |
JP2023057686A (ja) | 防振構造 | |
KR20060055268A (ko) | 고층 건물용 콘크리트 분배기 | |
KR101341864B1 (ko) | 슬래브 거푸집 거더 빔 체결장치 | |
JP4097810B2 (ja) | 可動通路構造 | |
JP3837686B2 (ja) | 水平二次元免震床への渡り床構造 | |
JP2996950B1 (ja) | 伸縮渡り通路 | |
JP4002461B2 (ja) | 免震建築物のはね出し構造 | |
JP2746767B2 (ja) | ガラスカーテンウォールの調整装置 | |
NL2027300B1 (en) | Attachment floor profile member, attachment system for construction of a prefab wall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a prefab wall | |
JP5685282B2 (ja) | 免震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床部材の滑動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