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7521A -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7521A
KR20200097521A KR1020190015003A KR20190015003A KR20200097521A KR 20200097521 A KR20200097521 A KR 20200097521A KR 1020190015003 A KR1020190015003 A KR 1020190015003A KR 20190015003 A KR20190015003 A KR 20190015003A KR 20200097521 A KR20200097521 A KR 20200097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food
supply
companion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8290B1 (ko
Inventor
신종섭
Original Assignee
신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섭 filed Critical 신종섭
Priority to KR1020190015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2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반려 동물에게 음식료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수단을 IoT 기반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종 수단의 조합과 관리에 대한 용이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확장성을 보장하는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려 동물의 수나 음식료의 종류에 따라 공급 장치의 개수를 다양하게 조절 및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아울러 근거리 통신을 통해 메인 장치에서 지지대에 결합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공급 장치를 자동 식별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반려동물의 식사 시간에 맞추어 음료, 사료 또는 간식과 같은 다양한 음식료가 제공되도록 공급 장치별로 음식료의 공급 패턴을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공급 장치를 지지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개별 모듈로 구성하여 해당 공급 장치의 조합을 통해 반려 동물의 수나 음식료의 종류에 따라 음식료를 담는 식기 장치의 수를 용이하게 증가시키거나 해당 식기 장치마다 제공되는 음식료의 종류를 달리 구성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공급 장치마다 음식료의 공급 패턴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feeding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반려 동물에게 음식료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수단을 IoT 기반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종 수단의 조합과 관리에 대한 용이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확장성을 보장하는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나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반려 동물을 키우는 주인들의 사육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제품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 중에서도 지정된 시간에 사료나 물을 급여하는 자동 급식기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러한 자동 급식기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양만큼의 음식료가 자동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반려 동물을 사육하는데 상당한 편의를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의 자동 급식기는 단순 음식료를 사용자 설정 시간에 맞추어 공급하는 기능에 한정되어 있어 기능이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자동 급식기 자체가 일체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반려동물을 추가 입양하거나 사료 이외에 간식을 추가 급여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기기를 추가 구매해야 하므로 확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21386호
본 발명은 기존 자동 급식기를 구성하는 구성부를 분리 및 조합이 가능한 개별 모듈로 구성하여 해당 개별 모듈의 조합을 통해 반려 동물의 수나 음식료의 종류에 따라 음식료를 담는 식기를 용이하게 증가시키고 해당 식기마다 제공되는 음식료의 종류를 달리 구성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식기를 통해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 모듈이 IoT 기반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도록 하여 개별 모듈간 통신을 통해 식기의 배치 상태를 자동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식기에 공급되는 음식료의 공급 패턴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반려 동물의 급여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도록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은, 반려 동물의 음식료 급여를 위해 하나 이상의 식기 본체가 배치되는 급식대와, 상기 급식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식기 본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기 장치와, 일부가 상기 급식대와 마주보도록 구성된 지지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급식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식기 장치 중 어느 하나에 미리 저장된 음식료를 공급하며 근거리 통신을 통해 미리 설정된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공급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상기 공급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 장치 각각에 대해 음식료의 공급 패턴을 요청하기 위한 상기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수신된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패턴 정보에 대응되는 공급 장치에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메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급식대는 하나 이상의 식기 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식기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식기 본체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안착부 및 내부에 제 1 전원부가 구성되어 상기 제 1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식기 장치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송신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전력 송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무선 충전부와 상기 무선 충전부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으로 동작하며 상기 식기 본체에 담겨지는 음식료의 무게, 상기 식기 본체의 상기 급식대에 대한 이탈 여부,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 및 상기 음식료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가 상기 식기 본체 내부에 구성된 상기 식기 장치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메인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메인 장치는 상기 센싱 정보에 포함된 음식료의 무게 및 반려동물의 체온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 관련 건강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 확인을 위해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와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건강에 이상 발생시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메인 장치는 상기 센싱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식기 본체의 상기 급식대에 대한 이탈 여부를 기초로 상기 식기 본체가 상기 급식대로부터 이탈시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지지대에 결합 구성되는 발광부 및 음성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장치는 상기 센싱 정보에 포함된 무게 센서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음식료의 공급이 확인된 경우 상기 발광부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가 발광되도록 하거나 미리 설정된 음향 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부에 전송하여 음향 출력부를 통해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여 반려동물을 상기 식기 장치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메인 장치가 결합된 수직 지지부와 상기 공급 장치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급식대와 마주보도록 구성되는 수평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메인 장치는 제 2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를 통해 상기 공급 장치와 유선 연결되어 상기 제 2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공급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공급 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요청 정보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특정 공급 장치에 대해 상기 패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패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메인 장치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패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설정 시간이나 상기 설정 시간별 공급량에 대한 패턴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려 동물의 수나 음식료의 종류에 따라 공급 장치의 개수를 다양하게 조절 및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아울러 근거리 통신을 통해 메인 장치에서 지지대에 결합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공급 장치를 자동 식별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반려동물의 식사 시간에 맞추어 음료, 사료 또는 간식과 같은 다양한 음식료가 제공되도록 공급 장치별로 음식료의 공급 패턴을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공급 장치를 지지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개별 모듈로 구성하여 해당 공급 장치의 조합을 통해 반려 동물의 수나 음식료의 종류에 따라 음식료를 담는 식기 장치의 수를 용이하게 증가시키거나 해당 식기 장치마다 제공되는 음식료의 종류를 달리 구성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공급 장치마다 음식료의 공급 패턴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기 장치에 구성된 센서부로부터 메인 장치에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기초로 메인 장치에서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여 건강 상태에 이상 발생시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건강 이상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반려 동물의 밥그릇인 식기 장치가 급식대에서 이탈시에도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사용자가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반려 동물의 건강 관리와 식사 관리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의 공급 패턴 설정 관련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의 센싱 정보를 이용한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 및 식기 장치의 이탈 알림 관련 동작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 동물의 음식료 급여를 위해 하나 이상의 식기 본체(25)가 배치되는 급식대(10)와, 상기 급식대(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식기 본체(25)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기 장치(20)와, 상기 식기 장치(20)의 식기 본체(25)에 음식료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30) 및 IoT(Internet of Things) 기반 장치로 구성되는 상기 식기 장치(20) 및 공급 장치(30)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호 통신하는 메인 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LoRa(Long Rang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식대(1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식기 장치(20)별 식기 본체(25)가 배치되며 상기 식기 장치(20)에 포함된 식기 본체(25) 또는 상기 식기 장치(2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안착부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급식대(10)의 상부에는 안착부가 구성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식기 장치(20)가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식기 장치(20) 각각은 식기 본체(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식대(10)는 내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제 1 전원부(12)가 구성되고, 상기 제 1 전원부(12)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식기 장치(20)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송신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 송신부(11)는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제 1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식대(10)는 하나 이상의 안착부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안착부와 각각 대응되어 하나 이상의 전력 송신부(11)가 상기 급식대(10) 또는 상기 급식대(10)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 장치(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부(24), 센서부(22), 제 1 근거리 통신부(21) 및 제 1 제어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충전부(24)는 상기 전력 송신부(11)와의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제 2 코일 및 상기 제 2 코일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식기 장치(20)에 구성된 상기 무선 충전부(24)의 제 2 코일은 상기 급식대(10)에 구성된 상기 전력 송신부(11)의 제 1 코일과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력을 상기 제 1 코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을 상기 무선 충전부(24)의 충전 배터리에 제공하여 상기 충전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 충전부(24)는 상기 급식대(10)에 구성된 전력 송신부(11)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을 충전 배터리에 충전하고,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된 충전 전력을 상기 식기 장치(20)를 구성하는 센서부(22), 제 1 근거리 통신부(21) 및 제 1 제어부(23)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22)는 상기 식기 장치(20)를 구성하는 식기 본체(25)에 담겨지는 음식료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센서, 상기 안착부(또는 급식대(10))에 대한 상기 식기 장치(20)(또는 식기 본체(25))의 이탈여부의 감지를 위한 이탈 감지 센서, 반려동물의 체온 및 식기 본체(25)에 담겨지는 음식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게 센서, 이탈 감지 센서 및 온도 센서를 통해 생성된 센싱 신호를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제어부(23)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탈 감지 센서는 상기 안착부에 상기 식기 본체(25)가 부착시 상기 안착부에 구성되는 단자나 구조물과 같은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식기 장치(20)가 상기 급식대(10)의 안착부에 안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식기 본체(25)가 상기 급식대(10)의 안착부로부터 이탈하여 분리된 경우 상기 연결부와의 연결이 단절되어 상기 식기 장치(20)가 상기 급식대(10)의 안착부로부터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탈 감지 센서는 상기 연결부와의 연결 여부를 통해 상기 식기 장치(20)의 급식대(10)에 대한 안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안착 여부에 대한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제어부(23)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탈 감지 센서는 스위칭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칭 모듈은 상기 연결부와 접촉시 스위칭되어 상기 식기 장치(20)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연결 상태 관련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연결부와 분리시 다시 스위칭되어 상기 안착부로부터 분리된 분리 상태 관련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23)는 상기 센서부(22)로부터 수신된 센싱 정보를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21)를 통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메인 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21)는 상기 메인 장치(40)와 근거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23)는 상기 식기 장치(20)에 미리 설정된 고유의 장치 식별정보를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21)를 통해 상기 메인 장치(40)에 전송하여 상기 메인 장치(40)에서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장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식기 장치(20)가 식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부(23)는 상기 센싱 정보에 상기 장치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 장치(20)에 구성되는 무선 충전부(24), 센서부(22), 제 1 근거리 통신부(21) 및 제 1 제어부(23)는 상기 식기 본체(25) 내부에 밀폐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식기 본체(25)를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상기 공급 장치(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장치(40)와 근거리 통신하는 제 2 근거리 통신부(31)와, 미리 저장된 음식료를 상기 급식대(10)에 배치된 식기 장치(20)의 식기 본체(25)에 선택적으로 공급(토출)하는 공급부(33)와, 상기 공급부(33)의 음식료 공급(토출)을 제어하며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31)를 통해 상기 메인 장치(40)와 통신하는 구동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32)는 상기 구동부(3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급부(33)의 동작을 물리적으로 제어하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모듈은 MCU(microcontrolle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2)는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31)를 통해 상기 메인 장치(4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장치(40)와 근거리 통신 연결시 상기 메인 장치(40)로 자신에 미리 설정된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공급 장치(30)의 구동부(32)는 상기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메인 장치(40)로 전송하여, 상기 메인 장치(40)에서 상기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공급 장치(30)가 식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32)는 상기 메인 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급부(33)의 음식료 토출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식기 장치(20) 및 공급 장치(30)와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 3 근거리 통신부(41)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장치(4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제어부(42)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부(23, 42)와 구동부(32) 각각은 MCU(microcontroll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기 메인 장치(40)의 동작 예시는 상기 제 2 제어부(42)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기 메인 장치(40)의 상기 식기 장치(20) 및 공급 장치(30)와의 근거리 통신은 상기 제 3 근거리 통신부(41)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기 공급 장치(30)의 동작 예시는 상기 구동부(32)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식기 장치(20)의 동작 예시는 상기 제 1 제어부(2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장치(30)의 상기 메인 장치(40)와의 근거리 통신은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31)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식기 장치(20)의 상기 메인 장치(40)와의 근거리 통신은 상기 제 1 근거리 통신부(21)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은 상기 메인 장치(40)와 공급 장치(30)가 결합되는 지지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50)는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 지지부(51)와 상기 급식대(10)와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상기 수직 지지부(51)에 연장 구성되는 수평 지지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지지부(52)는 상기 공급 장치(3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공급 장치(30)가 상기 수평 지지부(52)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수평 지지부(52)는 상기 공급 장치(3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레일부가 구성되며, 상기 레일부에 상기 공급 장치(30)의 일부가 결합되어 상기 공급 장치(30)가 상기 수평 지지부(52)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공급 장치(30)는 상기 수평 지지부(52)와의 분리 또는 결합을 위한 탈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장치(30)는 상기 수평 지지부(52)에 결합시(부착시) 상기 공급부(33)의 토출구가 상기 식기 장치(20)의 식기 본체(25)와 마주보도록 상기 수평 지지부(52)에 결합(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장치(40)는 제 2 전원부(4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50)에 상기 공급 장치(30)가 결합시 상기 지지대(50)를 통해 상기 공급 장치(30)와 유선 연결되어 상기 제 2 전원부(43)의 전원을 상기 공급 장치(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급 장치(30)의 구동부(32)는 상기 제 2 전원부(43)의 전원을 상기 공급 장치(30)에 구성된 각 구성부(제 2 근거리 통신부(31), 공급부(33))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도 1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의 상세 동작 예시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식대(10)에는 하나 이상의 안착부가 구성되어 하나 이상의 식기 장치(20)가 상기 급식대(1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식기 장치(20)와 각각 대응되어 상기 지지대(50)에 하나 이상의 공급 장치(30)가 결합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 장치(30)는 상기 메인 장치(40)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메인 장치(40)와 근거리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 장치(30) 각각은 상기 메인 장치(40)와의 근거리 통신 연결시 자신에 미리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메인 장치(40)에 자동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기 장치(20)가 상기 급식대(10)에 복수로 배치된 경우 급식대(10)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식기 장치(20) 상호간 서로 상이한 장치 식별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장치(30)가 상기 지지대(50)에 복수로 연결 배치(결합)된 경우 상기 지지대(50)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공급 장치(30a, 30b) 상호간 서로 상이한 고유 식별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공급 장치(30)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정보 수신시 상기 고유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고유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공급 장치(30)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공급 장치(30) 식별시마다 특정 공급 장치(30)와 대응되는 고유 식별정보가 포함된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상기 특정 공급 장치(30)에 대한 음식료의 공급 패턴에 대한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장치(40)는 고유 식별정보가 최초 수신된 공급 장치(30)에 대해 상기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장치(40)는 음식료의 공급 패턴 관련 패턴 정보가 설정되지 않은 공급 장치(30)에 대해 상기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는 상기 메인 장치(40)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호 통신하는 어플리케이션부(11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련 데이터를 실행한 상태의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구성되어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메인 장치(40)와 근거리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메인 장치(40)로부터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공급 장치(30)의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요청 정보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특정 공급 장치(30)에 대해 상기 패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구성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에 표시된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음식료 관련 공급 패턴에 대한 패턴 정보를 상기 특정 공급 장치(30)에 대응되어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 정보는 상기 요청 정보에 포함된 특정 공급 장치(30)의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설정 시간이나 상기 설정 시간별 공급량에 대한 패턴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패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메인 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상기 패턴 정보 수신시 상기 패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패턴 정보에 따라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패턴 정보에 대응되는 공급 장치(30)에 상기 제어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장치(40)는 복수의 공급 장치(30a, 30b)를 함께 식별하고 복수의 공급 장치(30a, 30b)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서로 다른 고유 식별정보가 포함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 장치(4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복수의 공급 장치(30a, 30b)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패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 장치(4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복수의 패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패턴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공급 장치(30a, 30b)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장치(3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메인 장치(40)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급 장치(30)의 구동부(32)는 상기 제 2 근거리 통신부(31)를 통해 상기 메인 장치(40)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공급 장치(30)의 공급부(33)를 제어하여 상기 음식료를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토출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패턴 정보인 패턴 정보 1에 설정된 특정 시간 도래시 상기 패턴 정보 1에 대응되는 특정 공급 장치(30a)에서 상기 패턴 정보 1에 따른 음식료의 공급량만큼 상기 특정 공급 장치(30a)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식기 장치(20)의 식기 본체(25)에 음식료가 공급되도록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특정 공급 장치(30a)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특정 공급 장치(30a)는 상기 제어 정보 수신시 상기 제어 정보에 따른 공급량에 따라 상기 공급부(33)의 토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공급부(33)에 저장된 음식료를 상기 특정 공급 장치(30a)와 마주보는 식기 장치(20)의 식기 본체(25)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려동물이 특정 시간에 음식료를 식사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본 발명은 사료, 음료, 간식 등과 같은 음식료의 종류에 따른 음식료 종류의 개수 또는 반려동물의 수에 맞추어 공급 장치(30)를 복수로 다양하게 상기 지지대(50)에 결합할 수 있으며, 공급 장치(30)별로 패턴 정보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반려 동물의 수가 증가하거나 동시에 공급되는 음식료의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별도의 기기를 추가 구매할 필요 없이 공급 장치(30)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만으로 반려 동물의 수 및 음식료의 개수에 맞출 수 있어 반려 동물의 자동 급식에 필요한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반려 동물의 수나 음식료의 종류에 따라 공급 장치(30)의 개수를 다양하게 조절 및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함과 아울러 근거리 통신을 통해 메인 장치(40)에서 상기 지지대(50)에 결합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공급 장치(30)를 자동 식별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반려동물의 식사 시간에 맞추어 음료, 사료 또는 간식과 같은 다양한 음식료가 제공되도록 공급 장치(30)별로 음식료의 공급 패턴을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공급 장치(30)를 지지대(50)에 탈부착이 가능한 개별 모듈로 구성하여 해당 공급 장치(30)의 조합을 통해 반려 동물의 수나 음식료의 종류에 따라 음식료를 담는 식기 장치(20)의 수를 용이하게 증가시키거나 해당 식기 장치(20)마다 제공되는 음식료의 종류를 달리 구성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공급 장치(30)마다 음식료의 공급 패턴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의 비용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식기 장치(20)에 구성된 센서부(22)에 의해 생성되는 센싱 정보를 기초로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나 식기의 이탈 여부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반려 동물 사육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데, 이를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식기 장치(20)는 센서부(22)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식기 장치(20)는 센서부(22)에서 생성되는 센싱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메인 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싱 정보는 상기 식기 장치(20)의 제 1 제어부(23)가 상기 센서부(22)로부터 수신한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식기 장치(20)의 제 1 제어부(23)는 상기 센싱 정보에 자신에 미리 설정된 장치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제 1 근거리 통신부(21)를 통해 상기 메인 장치(4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센싱 정보에 포함된 장치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센싱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식기 장치(20)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센싱 정보에 포함된 무게 센서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식기 장치(20)의 식기 본체(25)에 음식료가 공급된(담겨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식기 본체(25)에 담겨진 음식료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50)에는 발광부(60) 및 음향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60) 및 음향 출력부(70)는 상기 메인 장치(40)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부(60)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향 출력부(70)는 스피커(speaker)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센싱 정보에 포함된 무게 센서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음식료의 공급이 확인된 경우 상기 발광부(6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60)가 발광되도록 하거나 미리 설정된 음향 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부(70)에 전송하여 음향 출력부(70)를 통해 주인의 목소리와 같은 음향 신호를 출력하여 반려동물을 식기 장치(20)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센서부(22)의 센싱 정보에 포함된 무게 센서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센서부(22)가 포함된 특정 식기 장치(20a)의 식기 본체(25)에 담겨진 음식료의 량을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식기 장치(20a)는 반려 동물이 음식료를 섭취하는 동안에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센싱 정보를 상기 메인 장치(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특정 식기 장치(20a)로부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의 음식 섭취량 또는 음식 섭취 패턴을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싱 정보에 따른 음식 섭취량 또는 음식 섭취 패턴을 건강 상태 확인을 위한 미리 설정된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음식 섭취량 또는 음식 섭취 패턴을 상기 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건강 상태 관련 건강 상태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특정 식기 장치(20a)로부터 수신된 센서부(22)의 센싱 정보에 포함된 온도 센서의 센싱 신호에 따른 온도 정보를 기초로 그릇을 핥는 동물의 체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온도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건강 상태 관련 건강 상태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상기 설정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반려 동물의 건강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반려 동물의 건강에 이상 발생시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메인 장치(40)로부터 수신한 건강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여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장치(40)로부터 알람 정보 수신시 상기 알람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여 반려 동물의 건강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사용자에 의해 반려 동물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센싱 정보에 포함된 상기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식기 장치(20a)의 식기 본체(25)에 담긴 음식료의 온도에 대한 음식료 온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음식료 온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음식료의 온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 장치(20)는 상기 센서부(22)에 포함되며 상기 급식대(10)에 구성된 상기 안착부에 대한 상기 식기 장치(20)의 이탈 감지를 위한 이탈 감지 센서의 센싱 신호를 포함하는 센싱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인 장치(4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센싱 정보에 포함된 이탈 감지 센서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급식대(10)로부터 식기 장치(20)의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이탈 감지 센서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특정 식기 장치(20b)의 이탈 확인시 이탈 알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부(110)는 상기 이탈 알림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특정 식기 장치(20b)의 이탈 여부를 알려 상기 특정 식기 장치(20b)를 급식대(10)에 다시 부착하도록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50)에는 음성 인식부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메인 장치(40)와 유선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성 인식부는 마이크(mic)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음성 인식부로부터 반려 동물의 식사 음향 관련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음성 인식부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를 상기 설정정보에 미리 설정된 음향 패턴과 비교하여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에 대해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정상 여부 판단 결과 이상 발생시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식기 장치(20)에 구성된 센서부(22)로부터 메인 장치(40)에 수신되는 센싱 정보를 기초로 메인 장치(40)에서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여 건강 상태에 이상 발생시 사용자 단말(100)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건강 이상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거나 반려 동물의 밥그릇인 식기 장치(20)가 급식대(10)에서 이탈시에도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사용자가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반려 동물의 건강 관리와 식사 관리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무선 AP(Access Point)(200)와의 통신을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넷망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100)과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장치(40)는 상기 무선 AP(200)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장치(40)와 원거리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100)에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부(110)와 메인 장치(40) 상호 간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의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이동통신 서비스,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급식대 11: 전력 송신부
12: 제 1 전원부 20: 식기 장치
21: 제 1 근거리 통신부 22: 센서부
23: 제 1 제어부 24: 무선 충전부
25: 식기 본체 30: 공급 장치
31: 제 2 근거리 통신부 32: 구동부
33: 공급부 40: 메인 장치
41: 제 3 근거리 통신부 42: 제 2 제어부
43: 제 2 전원부 50: 지지대
51: 수직 지지부 52: 수평 지지부
60: 발광부 70: 음향 출력부
100: 사용자 단말 110: 어플리케이션부

Claims (10)

  1. 반려 동물의 음식료 급여를 위해 하나 이상의 식기 본체가 배치되는 급식대;
    상기 급식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기 하나 이상의 식기 본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식기 장치;
    일부가 상기 급식대와 마주보도록 구성된 지지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된 제어 정보에 따라 상기 급식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식기 장치 중 어느 하나에 미리 저장된 음식료를 공급하며 근거리 통신을 통해 미리 설정된 고유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공급 장치; 및
    하나 이상의 상기 공급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 장치 각각에 대해 음식료의 공급 패턴을 요청하기 위한 상기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수신된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패턴 정보에 대응되는 공급 장치에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메인 장치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식대는
    하나 이상의 식기 장치가 배치되며 상기 식기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식기 본체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안착부; 및
    내부에 제 1 전원부가 구성되어 상기 제 1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식기 장치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송신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무선 충전부와 상기 무선 충전부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으로 동작하며 상기 식기 본체에 담겨지는 음식료의 무게, 상기 식기 본체의 상기 급식대에 대한 이탈 여부,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 및 상기 음식료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가 상기 식기 본체 내부에 구성된 상기 식기 장치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메인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장치는 상기 센싱 정보에 포함된 음식료의 무게 및 반려동물의 체온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 관련 건강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반려 동물의 건강 상태 확인을 위해 미리 설정된 설정정보와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건강에 이상 발생시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장치는 상기 센싱 정보에 포함된 상기 식기 본체의 상기 급식대에 대한 이탈 여부를 기초로 상기 식기 본체가 상기 급식대로부터 이탈시 이상 발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결합 구성되는 발광부 및 음성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장치는 상기 센싱 정보에 포함된 무게 센서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음식료의 공급이 확인된 경우 상기 발광부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가 발광되도록 하거나 미리 설정된 음향 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부에 전송하여 음향 출력부를 통해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여 반려동물을 상기 식기 장치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장치가 결합된 수직 지지부와 상기 공급 장치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급식대와 마주보도록 구성되는 수평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장치는 제 2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를 통해 상기 공급 장치와 유선 연결되어 상기 제 2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공급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 정보 수신시 상기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공급 장치의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요청 정보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특정 공급 장치에 대해 상기 패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패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메인 장치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설정 시간이나 상기 설정 시간별 공급량에 대한 패턴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KR1020190015003A 2019-02-08 2019-02-08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KR102278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003A KR102278290B1 (ko) 2019-02-08 2019-02-08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003A KR102278290B1 (ko) 2019-02-08 2019-02-08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521A true KR20200097521A (ko) 2020-08-19
KR102278290B1 KR102278290B1 (ko) 2021-07-16

Family

ID=7229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003A KR102278290B1 (ko) 2019-02-08 2019-02-08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2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489B1 (ko) * 2020-09-21 2021-02-08 박상일 축사정보에 따른 먹이공급 자동화시스템
KR102236702B1 (ko) 2020-10-07 2021-04-06 주식회사 정글몬스터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
KR20220035759A (ko) * 2020-09-14 2022-03-22 노권래 반려동물 힐링 훈련 자동급식기
KR102392327B1 (ko) * 2020-12-22 2022-04-29 주식회사 재영소프트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
KR102518470B1 (ko) * 2021-12-01 2023-04-05 오헌식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8581A (ko) * 2014-11-17 2016-05-25 (주)신성테크 애완동물 급식 시스템
KR20160081468A (ko) * 2014-12-31 2016-07-08 홍상민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KR20160099296A (ko) * 2015-02-12 2016-08-22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센서 패드를 이용한 스마트 자동 급식시스템
KR101721386B1 (ko) 2016-12-07 2017-03-30 송수한 이동형 자동급식 장치, 반려동물 케어 로봇,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8581A (ko) * 2014-11-17 2016-05-25 (주)신성테크 애완동물 급식 시스템
KR20160081468A (ko) * 2014-12-31 2016-07-08 홍상민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KR20160099296A (ko) * 2015-02-12 2016-08-22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센서 패드를 이용한 스마트 자동 급식시스템
KR101721386B1 (ko) 2016-12-07 2017-03-30 송수한 이동형 자동급식 장치, 반려동물 케어 로봇, 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케어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5759A (ko) * 2020-09-14 2022-03-22 노권래 반려동물 힐링 훈련 자동급식기
KR102214489B1 (ko) * 2020-09-21 2021-02-08 박상일 축사정보에 따른 먹이공급 자동화시스템
KR102236702B1 (ko) 2020-10-07 2021-04-06 주식회사 정글몬스터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
KR102392327B1 (ko) * 2020-12-22 2022-04-29 주식회사 재영소프트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
KR102518470B1 (ko) * 2021-12-01 2023-04-05 오헌식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290B1 (ko)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290B1 (ko)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CA2926255C (en) Wearable mobile broadcasting recovery system and device
US20070295277A1 (en) Remote interactive feeder
CN103181335A (zh) 一种产床母猪精确饲喂控制系统
CN104304061A (zh) 一种多宠物自动喂食器
KR101402732B1 (ko)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
CN105516920A (zh) 一种餐厅智能无线定位送餐系统
CN204907486U (zh) 一种宠物智能自主喂食器
CN104952220A (zh) 婴幼儿踢被子检测系统及方法
CN111528121A (zh) 一种智能喂食宠物的终端系统
CN106472337A (zh) 一种宠物智能自主喂食器
US201603668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 subject in a premises
KR101708839B1 (ko) 애완동물의 케어가 가능한 사료공급장치 및 상기 사료공급장치를 이용한 사료공급시스템
US20220351608A1 (en) System with wireless integrated spa topside control panel
CN205946860U (zh) 一种动物喂料系统及养殖场
CN204244322U (zh) 宠物喂食器智能遥控装置
KR102373592B1 (ko) 반려동물 급식 장치
CN213095590U (zh) 鱼塘增氧机
CN211832366U (zh) 宠物监测装置以及宠物监测系统
CN106305465A (zh) 喂食器
KR20170056069A (ko)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
KR20140108835A (ko) 반려 동물 관리 로봇을 이용한 반려 동물 관리 시스템
CN205018045U (zh) 喂食器
CN105334787B (zh) 一种实现嵌入式远程监控及云控制的宠物喂食器
US9818278B2 (en) Intelligent household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