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470B1 -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470B1
KR102518470B1 KR1020210183305A KR20210183305A KR102518470B1 KR 102518470 B1 KR102518470 B1 KR 102518470B1 KR 1020210183305 A KR1020210183305 A KR 1020210183305A KR 20210183305 A KR20210183305 A KR 20210183305A KR 102518470 B1 KR102518470 B1 KR 102518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individual
automatic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헌식
Original Assignee
오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헌식 filed Critical 오헌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축사 내 각각의 축우 개체마다 부착된 개체식별부; 상기 축사의 사료 공급영역에 위치하는 사료섭취량 측정부; 상기 개체식별부 또는 비문으로부터 축우 개체 정보를 전달받고, 개체별 정보에 따라 사료 자동공급기가 상기 사료 공급영역에 TMR 사료 또는 보조 사료를 공급하도록 하는 사료 자동공급제어부; 및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 및 사료섭취량 측정부로부터 개체별 사료 섭취량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분석하는 정보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Livestock biometric information-based individual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축우의 생체정보 데이터의 수집과 빅데이터 구축 및 이를 활용한 축우 개체 식별과 정밀 사양관리를 할 수 있는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팜(스마트 축산)은 축사에 ICT를 접목하여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는 농장으로, PC 또는 모바일을 통해 온습도 등 축사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사료 및 물 공급시기와 공급량 등을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한 농장을 말한다. 농림축산식품부(2019년)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는 1세대 스마트팜 시기로 편이성 증진이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으며, 2030년 전후의 2세대 스마트팜 시기는 생산성 향상이 목표라 할 수 있다.
젖소 및 한우에 있어서 사육 규모는 대형화되고 있고, 경영 인력의 감소로 노동력 감소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고, 질병 예방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대안이 요구되므로, 스마트 축산의 필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해외에서 수입되어 서비스되는 스마스팜 기기들의 경우 원시데이터 및 알고리즘을 공개하지 않으며 국내 동물들의 생체정보가 온전히 해외 서버에 저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기술로 개발된 동물 개체별 생체정보수집장치와 알고리즘의 개발은 2세대 스마트팜으로 나아가는 핵심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2066654호에서는 'a) 관리서버(10)의 명령에 따라, 셀렉터(20)가 복수의 라우터(30A, 30B)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킴으로써 자체 구축된 유무선통신망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S112); b) 상기한 단계(S112)에서 선택된 라우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아니할 경우에는, 상기 셀렉터(20)는 다른 라우터(30A 또는 30B)를 선택전환시킴으로써 그 라우터로 하여금 유무선통신망이 활성화 되게 하는 단계(S115); b-2) 상기 관리서버(10)에는 상기 셀렉터(20)의 라우터간 전환횟수제한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그 전환횟수가 상기한 설정치에 도달할 경우 상기 관리서버(10)는 상기 셀렉터(20)가 외부 인터넷망용 라우터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외부인터넷망에 접속되게 하는 단계(S117); c)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물인터넷적용제품이 상기와 같이 활성화된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접속 및 기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자체 구축된 유무선 통신망의 운용방법 및 관리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축우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개체별 급이 관리와 그에 따른 성장 및 정밀 사양관리에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13106호(등록일: 2014년 06월 23일) 한국등록특허 제10-2066654호(등록일: 2020년 01월 09일) 한국등록특허 제10-1957498호(등록일: 2019년 03월 06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축우 개체별 특징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TMR사료와 보조사료를 개별 조절하여 사료를 다양하게 공급할 수 있는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축우 개체별 생체정보에 따른 사료 특성에 대한 데이터들을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축우의 생체정보 데이터의 수집과 빅데이터 구축 및 이를 활용한 정밀 사양관리를 할 수 있는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축사 내 각각의 축우 개체마다 부착된 개체식별부; 상기 축사의 사료 공급영역에 위치하는 사료섭취량 측정부; 상기 개체식별부 또는 비문으로부터 축우 개체 정보를 전달받고, 개체별 정보에 따라 사료 자동공급기가 상기 사료 공급영역에 TMR 사료 또는 보조 사료를 공급하도록 하는 사료 자동공급제어부; 및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 및 사료섭취량 측정부로부터 개체별 사료 섭취량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분석하는 정보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는, 기설정된 경로에 따라 축사 내부를 이동하는 사료 자동 공급기에 구비되며, 상기 개체식별부로부터 축우 개체별 정보를 인식하는 개체인식모듈과, 상기 인식된 정보에 따라 사료를 계측하여 배출하는 것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모듈은, 인식된 축우 개체별로 배출할 사료의 무게를 측정하는 사료계측유닛과, 사료 자동공급기에 적재된 사료의 이송 및 배출을 위해 구동하는 모터 및 사료 자동공급기의 주행용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제어유닛과, 상기 사료계측유닛 및 모터제어유닛과 정보를 송수신하며 제어하는 메인콘트롤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모듈은, 사료 자동공급기의 배터리를 무선충전 방식으로 제어하는 충전제어유닛과, 상기 정보저장부 또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유닛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사료섭취량 측정부는, 사료의 자동공급량과 사료섭취 후 잔량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이 측정한 무게를 상기 정보저장부 또는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에 제공하는 로드셀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는, 상기 로드셀 통신모듈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메인제어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체별 사료 섭취량 데이터는, 축우 개체별로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에서 공급한 사료량과 사료섭취량 측정부에서 축우의 사료섭취 후 측정된 잔량으로부터 연산되어 수집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축사 내 각각의 축우 개체마다 부착된 개체식별부; 상기 축사의 사료 공급영역에 위치하는 사료섭취량 측정부; 상기 개체식별부 또는 비문으로부터 축우 개체 정보를 전달받고, 개체별 정보에 따라 사료 자동공급기가 상기 사료 공급영역에 TMR 사료 또는 보조 사료를 공급하도록 하는 사료 자동공급제어부; 및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 및 사료섭취량 측정부로부터 개체별 사료 섭취량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분석하는 정보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료 자동공급기는, TMR사료와 복수의 보조사료를 별도로 저장하는 사료저장부와, 각각의 사료저장부와 연결된 사료이송부와, 사료 공급영역을 인식하여 사료를 배출하는 사료배출부를 포함하되, 각각의 사료저장부는 사료계측 유닛을 구비하고, 축우 개체별로 TMR 사료와 보조 사료를 개별로 배합하여 공급하고,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300) 및 사료섭취량 측정부(200)로부터 개체별 사료 섭취량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분석하는 정보저장부(400)에 있어서, 상기 개체별 사료 섭취량 데이터는, 축우 개체별로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에서 공급한 사료량과 사료섭취량 측정부에서 축우의 사료섭취 후 측정된 잔량으로부터 연산되어 수집되며,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는, 기설정된 경로에 따라 축사 내부를 이동하는 사료 자동 공급기에 구비되며, 상기 개체식별부로부터 축우 개체별 정보를 인식하는 개체인식모듈과, 상기 인식된 정보에 따라 사료를 계측하여 배출하는 것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개체인식모듈은 축우의 머리 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카메라는 사료 배출부의 배출구측에 위치되고,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가 상기 개체식별부 또는 비문에서 전달받는 축우 개체 정보는 축우 개체별 사료량, 필요 영양소, 기호 사료 정보를 포함하고, 사료 자동 공급기는 축우 개체 정보에 맞춰 축우 각각이 필요로 하는 사료를 개별로 배합하여 공급하며, 상기 사료섭취량 측정부는, 사료의 자동공급량과 사료섭취 후 잔량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이 측정한 무게를 상기 정보저장부 또는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에 제공하는 로드셀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사료의 자동공급량을 측정하는 로드셀은 TMR 사료무게 측정용 로드셀과, 복수개의 보조사료 측정용 로드셀을 포함하고, TMR 사료무게 측정용 로드셀의 최대 측정하중이 보조사료 측정용 로드셀의 최대 측정하중보다 크고, 상기 로드셀은 개체별로 공급된 총 사료량을 자동공급제어부에 제공하여 공급된 사료량 오차를 점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은 개체식별부로 인해 인식된 축우 개체별 특징에 따라 TMR 사료와 보조사료를 개별 조절하여 사료를 다양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료섭취량 측정부와 사료 자동공급제어부 및 정보저장부의 정보들을 취합하여 수집하고, 축우 개체별 생체정보에 따른 사료에 대한 데이터들을 분석함으로써, 축우의 생체정보 데이터의 수집과 빅데이터 구축 및 이를 활용한 정밀 사양관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이 적용된 축사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의 개체식별부와 사료 자동공급제어부의 통신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의 사료 자동공급제어부의 메인제어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이 적용된 축사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의 개체식별부와 사료 자동공급제어부의 통신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의 사료 자동공급제어부의 메인제어유닛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10)은 축사(A) 내 각각의 축우 개체마다 부착된 개체식별부(100); 상기 축사의 사료 공급영역에 위치하는 사료섭취량 측정부(200); 상기 개체식별부(100) 또는 비문으로부터 축우 개체 정보를 전달받고, 개체별 정보에 따라 사료자동공급기가 상기 사료 공급영역에 TMR 사료 또는 보조 사료를 공급하도록 하는 사료 자동공급제어부(300); 및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300) 및 사료섭취량 측정부(200)로부터 개체별 사료 섭취량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분석하는 정보저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10)은 상기 개체식별부(100)로 인해 인식된 축우 개체별 특징에 따라 TMR 사료와 보조사료를 개별 조절하여 사료를 다양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사료섭취량 측정부(200)와 사료 자동공급제어부(300) 및 정보저장부(400)의 정보들을 취합하여 축우 개체별 생체정보에 따른 사료에 대한 데이터들을 분석함으로써, 축우의 생체정보 데이터의 수집과 빅데이터 구축은 물론, 이를 활용한 개체별 정밀 사양관리를 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축사(A) 내 각각의 축우 개체마다 부착된 개체식별부(100)는 RFID를 구비하는 택(Tag)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로써, 택(Tag)은 축우 개체마다 귀에 부착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축사 내부를 이동하며 자동으로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자동공급기는 개체식별부(100)의 RFID를 읽을 수 있는 리더(Reader)를 사료 배출구 주변에 마련하고, 사료 자동공급제어부(300)는 상기 리더와 연결되어 인식된 축우 개체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RFID 리더기는 UHF 대역의 리더기일 수 있으며, 최대 5m 이내의 축우의 개별 개체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사료자동공급기는 축우의 머리의 위치에 따라 이동가능 하며 축우의 비문을 인식하는 카메라를 사료 배출구 주변에 마련하고, 사료 자동공급제어부(300)는 인식된 비문에 따른 측우 개체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료 자동공급제어부(300)는 상기 개체식별부(100) 또는 비문으로부터 축우 개체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개체별 정보에 따라 사료자동공급기가 사료 공급영역에 TMR 사료 또는 보조 사료를 공급할 수 있다. 개별 축사공간(1)에 여러 마리가 위치하는 축우는 축우 개체별로 섭취할 사료량, 필요 영양소, 기호 사료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개체식별부(100)로부터 인식된 축우 각각이 필요로 하는 사료를 사료자동공급기가 TMR 사료와 보조 사료를 개별로 배합하여 공급함으로써, 축우별 정보에 따라 최적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으며, 축우의 영양 및 생장 관리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300)는, 기설정된 경로에 따라 축사(A) 내부를 이동하는 사료자동공급기에 구비되며, 상기 개체식별부(100)로부터 축우 개체별 정보를 인식하는 개체인식모듈(310)과, 상기 인식된 정보에 따라 사료를 계측하여 배출하는 것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자동공급기는 TMR사료와 복수의 보조사료를 별도로 저장하는 사료저장부와 각각의 사료저장부와 연결된 사료이송부와 사료공급영역을 인식하여 사료를 배출하는 사료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개체인식모듈(31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우 개체별로 부착된 개체식별부(100)의 RFID를 인식하는 RFID 리더유닛 또는 측우 개체별 비문을 인식하는 비문인식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식이 가능한 소정의 거리(d)에 위치한 측우의 개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메인제어모듈(320)은, 인식된 축우 개체별로 배출할 사료의 무게를 측정하는 사료계측유닛(321)과, 사료자동공급기에 적재된 사료의 이송 및 배출을 위해 구동하는 모터 및 사료자동공급기의 주행용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제어유닛(323)과, 상기 사료계측유닛(321) 및 모터제어유닛(323)과 정보를 송수신하며 제어하는 메인콘트롤유닛(32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료계측 유닛(321)은 사료자동공급기에 구비되되, TMR사료와 복수의 보조사료를 별도로 저장하는 각각의 사료저장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TMR 사료무게 측정용 로드셀(3211), 제1 보조사료 측정용 로드셀(3213), 제2 보조사료 측정용 로드셀(3215), 제3 보조사료 측정용 로드셀(3217) 등으로 각각의 사료 종류마다 측정되어 정량 배출될 수 있도록 사료계측유닛(321)에는 사료의 저장공간에 따라 로드셀들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로드셀을 이용하여 각각의 사료들의 중량 측정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로드셀은 TMR사료의 경우 최대 2000kg, 보조사료의 경우 최대 300kg을 측정할 수 있고, 약 1kg의 측정 정밀도를 가질 수 있다.
모터제어유닛(323)은 좌우측 주행용 바퀴에 연결된 모터를 제어하는 주행 모터제어(3231a, 3231b)유닛과, TMR 사료를 이송하는 이송 모터제어(3233)유닛과, 보조사료 배출유닛(3237) 및 사료급이를 위한 사료배출부를 구동하는 사료급이유닛(3235)을 포함하여, 각각의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메인제어모듈(320)은, 사료 자동공급기의 배터리를 무선충전 방식으로 제어하는 충전제어유닛(327)과, 상기 정보저장부(400) 또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유닛(329)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충전제어유닛(327)은 축사 외부영역(B)에 마련된 무선충전장치(500)에 사료자동공급기가 위치하면, 사료자동공급기에 장착된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무선충전제어기(Wireless Charger) 및 상기 무선충전제어기와 무선충전장치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충전 트랜스시버(Transceiver)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체인식모듈(310)과 메인제어모듈(320)의 외부기기와의 연동을 위하여, 사료 자동공급제어부(300)는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모듈은 유선통신 시스템과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유선통신 시스템의 경우, 외부 노이즈에 강하고, 수십 m까지 연결이 가능하며, 최대 30여개의 기기를 하나의 버스를 통해 연결이 가능하고, 최대 500kbps의 통신속도를 지원하는 차동신호 기반의 RS-485(2선식) 통신을 이용한 유선통신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 시스템의 경우, 충전제어유닛(327)과 무선충전장치와의 무선충전시스템 연동을 위한 CAN통신을 구성할 수 있으며, 기타 외부기기 연동 또는 사료자동급이기의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RS-232통신을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서, 스마트팜 토탈 관리 연계를 위해 외부 서버 접속을 위한 WiFi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거나, Bluetooth, Zigbee 통신 모듈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축사의 사료 공급영역에 위치하는 사료섭취량 측정부(200)는, 사료의 자동공급량과 사료섭취 후 잔량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이 측정한 무게를 상기 정보저장부(400) 또는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300)에 제공하는 로드셀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셀은 각 개별 축사공간(1)마다 마련된 사료 공급영역에 복수 개가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로드셀은 개체별로 공급된 총 사료량을 측정하여 로드셀 통신모듈을 통하여정보저장부(400) 또는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300)에 제공함으로써, 공급된 사료량의 오차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사료섭취 후 잔량을 측정하고 정보저장부(400)에 제공함으로써, 개별 축우의 사료섭취량을 점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300)는, 상기 로드셀 통신모듈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메인제어모듈(32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제어모듈(320)은 사료섭취량 측정부(200)의 로드셀 통신모듈로부터 로드셀의 위치를 수신하고 사료섭취량 측정부(200)의 상부로 사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사료자동공급기의 사료배출부가 위치하여 사료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사료공급영역의 사료섭취량 측정부(200) 상에 정확히 사료를 공급함으로써 사료급이량을 더욱 정밀하게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300) 및 사료섭취량 측정부(200)로부터 개체별 사료 섭취량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분석하는 정보저장부(400)에 있어서, 상기 개체별 사료 섭취량 데이터는 축우 개체별로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300)에서 공급한 사료량과 사료섭취량 측정부(200)에서 축우의 사료섭취 후 측정된 잔량으로부터 연산되어 수집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축우 개체별로 수집된 데이터들은 축우 개체별 생체정보에 따라 분석되고 축적되어 축우의 정밀사양 관리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10)은 개체식별부(100)로 인해 인식된 축우 개체별 특징에 따라 TMR 사료와 보조사료를 개별 조절하여 사료를 다양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료섭취량 측정부(200)와 사료 자동공급제어부(300) 및 정보저장부(400)의 정보들을 취합하여 축우 개체별 생체정보에 따른 사료에 대한 데이터들을 분석함으로써, 축우의 생체정보 데이터의 수집과 빅데이터 구축 및 이를 활용한 정밀 사양관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 축사
B; 축사외부 영역
1; 개별 축사공간
100; 개체식별부
200; 사료섭취량 측정부
300; 사료 자동공급제어부
310; 개체인식모듈
320; 메인제어모듈
400; 정보저장부

Claims (7)

  1. 축사 내 각각의 축우 개체마다 부착된 개체식별부;
    상기 축사의 사료 공급영역에 위치하는 사료섭취량 측정부(200);
    상기 개체식별부 또는 비문으로부터 축우 개체 정보를 전달받고, 개체별 정보에 따라 사료 자동공급기가 상기 사료 공급영역에 TMR 사료 또는 보조 사료를 공급하도록 하는 사료 자동공급제어부(300); 및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 및 사료섭취량 측정부로부터 개체별 사료 섭취량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분석하는 정보저장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사료 자동공급기는, TMR사료와 복수의 보조사료를 별도로 저장하는 사료저장부와, 각각의 사료저장부와 연결된 사료이송부와, 사료 공급영역을 인식하여 사료를 배출하는 사료배출부를 포함하되, 각각의 사료저장부는 사료계측 유닛을 구비하고, 축우 개체별로 TMR 사료와 보조 사료를 개별로 배합하여 공급하고,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300) 및 사료섭취량 측정부(200)로부터 개체별 사료 섭취량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분석하는 정보저장부(400)에 있어서,
    상기 개체별 사료 섭취량 데이터는, 축우 개체별로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에서 공급한 사료량과 사료섭취량 측정부에서 축우의 사료섭취 후 측정된 잔량으로부터 연산되어 수집되며,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는, 기설정된 경로에 따라 축사 내부를 이동하는 사료 자동 공급기에 구비되며, 상기 개체식별부로부터 축우 개체별 정보를 인식하는 개체인식모듈과, 상기 인식된 정보에 따라 사료를 계측하여 배출하는 것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개체인식모듈은 축우의 머리 위치에 따라 이동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카메라는 사료 배출부의 배출구측에 위치되고,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가 상기 개체식별부 또는 비문에서 전달받는 축우 개체 정보는 축우 개체별 사료량, 필요 영양소, 기호 사료 정보를 포함하고, 사료 자동 공급기는 축우 개체 정보에 맞춰 축우 각각이 필요로 하는 사료를 개별로 배합하여 공급하며,
    상기 사료섭취량 측정부는, 사료의 자동공급량과 사료섭취 후 잔량을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로드셀이 측정한 무게를 상기 정보저장부 또는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에 제공하는 로드셀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사료의 자동공급량을 측정하는 로드셀은 TMR 사료무게 측정용 로드셀과, 복수개의 보조사료 측정용 로드셀을 포함하고, TMR 사료무게 측정용 로드셀의 최대 측정하중이 보조사료 측정용 로드셀의 최대 측정하중보다 크고,
    상기 로드셀은 개체별로 공급된 총 사료량을 자동공급제어부에 제공하여 공급된 사료량 오차를 점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모듈은, 인식된 축우 개체별로 배출할 사료의 무게를 측정하는 사료계측유닛과, 사료 자동공급기에 적재된 사료의 이송 및 배출을 위해 구동하는 모터 및 사료 자동공급기의 주행용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제어유닛과, 상기 사료계측유닛 및 모터제어유닛과 정보를 송수신하며 제어하는 메인콘트롤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모듈은, 사료 자동공급기의 배터리를 무선충전 방식으로 제어하는 충전제어유닛과, 상기 정보저장부 또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자동공급제어부는, 상기 로드셀 통신모듈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메인제어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7. 삭제
KR1020210183305A 2021-12-01 2021-12-21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KR102518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69751 2021-12-01
KR1020210169751 2021-1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470B1 true KR102518470B1 (ko) 2023-04-05

Family

ID=85884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305A KR102518470B1 (ko) 2021-12-01 2021-12-21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47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106B1 (ko) 2012-11-08 2014-07-03 대한민국 축우용 통합 정밀 영양 상태 관리 시스템
KR20160053222A (ko) * 2014-10-31 2016-05-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포유모돈 자동 급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46093A (ko) * 2017-10-25 2019-05-07 주식회사 다운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957498B1 (ko) 2017-02-02 2019-06-19 주식회사 링크노아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축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66654B1 (ko) 2017-09-27 2020-02-11 주식회사비케이아이티 자체 구축된 유무선 통신망의 운용방법 및 관리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축우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00078123A (ko) * 2018-12-21 2020-07-01 서정일 주행식 사료정렬장치
KR20200097521A (ko) * 2019-02-08 2020-08-19 신종섭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KR102325259B1 (ko) * 2021-05-11 2021-11-11 (주) 아지랑랑이랑 반려동물 생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106B1 (ko) 2012-11-08 2014-07-03 대한민국 축우용 통합 정밀 영양 상태 관리 시스템
KR20160053222A (ko) * 2014-10-31 2016-05-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포유모돈 자동 급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57498B1 (ko) 2017-02-02 2019-06-19 주식회사 링크노아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축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66654B1 (ko) 2017-09-27 2020-02-11 주식회사비케이아이티 자체 구축된 유무선 통신망의 운용방법 및 관리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축우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90046093A (ko) * 2017-10-25 2019-05-07 주식회사 다운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8123A (ko) * 2018-12-21 2020-07-01 서정일 주행식 사료정렬장치
KR20200097521A (ko) * 2019-02-08 2020-08-19 신종섭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KR102325259B1 (ko) * 2021-05-11 2021-11-11 (주) 아지랑랑이랑 반려동물 생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5633B2 (en) Livestock and feedlot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using UHF-band interrogation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for feedlot arrival and risk assessment
US10463024B2 (en) Highly automated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measure, monitor, manage and control grazing environment and animals
US8930148B2 (en) Animal identification, measurement,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US4532892A (en) Animal feeding and monitoring system
US654338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imal feeding when milking dairy animals
CN107182909A (zh) 一种猪只饲喂方法、服务器、饲喂器及系统
US8397669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nimal management
CN206776432U (zh) 一种猪只饲喂系统
KR101696686B1 (ko) 포유모돈 자동 급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6571730B1 (en) Arrangement for managing a herd of freely walking animals
US5241924A (en) Method and system for feeding cows
KR20170118294A (ko) 곤충 대량 생산 자동화 시스템
CN202043541U (zh) 一种基于rfid的畜用选种选料系统
US10739183B2 (en) Device for the individualized monitoring of the feed conversion ratio of poultry and installation comprising said device
KR102518470B1 (ko) 축우 생체정보 기반 개체별 모니터링 관리시스템
KR20150079124A (ko) 가축 사료 급이 장치 및 급이 방법
KR20150080314A (ko) 가축의 도체 등급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241838B (zh) 一种规模化肉牛养殖场的设计系统及方法
EP1213676A1 (en) Animal management system
KR100861683B1 (ko) 비육우의 측정체중별 사료급여량 자동 공급방법
CN113331083B (zh) 一种家禽个体定量喂料系统
US202200678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ing a plurality of agricultural farms
KR102403814B1 (ko) 개체별 착유정보 기록 시스템
CN114926048B (zh) 一种第三方饲料运输企业的智能监管方法及系统
US20240095670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ventory management of livestock based on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