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069A -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069A
KR20170056069A KR1020150158917A KR20150158917A KR20170056069A KR 20170056069 A KR20170056069 A KR 20170056069A KR 1020150158917 A KR1020150158917 A KR 1020150158917A KR 20150158917 A KR20150158917 A KR 20150158917A KR 20170056069 A KR20170056069 A KR 20170056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animal
amount
information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보윤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58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6069A/ko
Publication of KR20170056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사용자가 동물의 상태를 확인하고 급식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동물의 먹이 섭취량, 잔량을 확인하고 급식 명령을 전송하여 적절한 급식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동물의 먹이 섭취량 등에 관한 정보를 급식 관리 서버에 저장하고 관리함으로써 동물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 {REMOTE ANIMAL FEEDING SYSTEM}
본 발명은 동물에게 급식, 급수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격에서 동물의 상태를 파악하고 상황에 따라 적정량의 급식, 급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사람이 살고 있는 현실에 존재하는 사물들 간의 통신을 인터넷으로 가능하게 하여 사람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물, 네트워킹,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한 주요 기술은 사물과 주위 환경에서 정보를 얻기 위한 "센싱 기술", 인간, 사물, 서비스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그리고 인간, 사물, 서비스가 서로 연결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 및 인터페이스 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센싱 기술"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대상으로부터 물리, 화학, 생물학적 요소를 측정하여 사용자나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이며, 온도, 습도, 열, 가스, 조도, 위치, 모션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가 존재한다.
최근 들어 독립적이고 개별적으로 정보를 생산해내는 센서보다는 지능적이고 차원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센서에 대한 요구가 늘면서 센서에 프로세서를 내장하여 스스로 판단하고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 센서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렇게 다양화되고 진화되는 센서들은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정보를 생성해내는 주요 주체가 되고 있다.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에는 근거리 통신, Wi-Fi, 3G/4G/LTE 등이 대표적이다. 기기 모두가 인터넷 연결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IP 방식의 프로토콜과는 달리 IP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기기 간 통신은 USB, 블루투스, ZigBee, RFID, NFC 등의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
센서들은 주로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높은 IP 기반의 네트워킹보다는 전력 소모가 낮은 ZigBee 통신 등을 이용해 센싱한 데이터를 싱크 노드에 전송하고 싱크 노드를 통해 인터넷과 연결된다.
사람, 사물, 서비스가 주요 구성 요소인 사물 인터넷에서는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사물과 서비스, 서비스와 특정 서비스 등 각 요소 간의 연동이 원활해야 최대한의 시너지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각 사물 인터넷 구성 요소 사이의 연결 방법 및 형태를 가시적으로 드러내는 것은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해 가능해진다.
즉,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은 각 요소 간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 처리, 검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서비스 목적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서, 이를 위해 개방형 웹 아키텍처인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가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REST는 웹 프로토콜인 HTTP를 활용하여 자원(Resource) 중심으로 네트워크 또는 아키텍처를 구성하려는 개념의 웹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한편, 1인 가구 및 고령 인구 증가와 함께 애완동물을 소유하고 이들에게 정서적으로 의존하는 인구들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 소유주들의 가장 큰 고민은 여행이나 부재 시 동물들을 대신 돌봐줄 방안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종래의 타이머를 이용한 자동 급식기가 있으나, 이는 정해진 양을 정해진 시간에 급식하도록 되어 있어 급식 당시 동물의 상황을 전혀 고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애완동물의 건강상태까지 관리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넷과 센싱 기술, 그리고 원격 제어 기술을 이용하여 동물의 소유주가 외출한 경우에도 동물의 상황에 맞는 식사량을 정하여 원격에서 급식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물 인터넷 기술을 통해 획득한 동물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동물에 대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동물에게 공급된 먹이의 양, 섭취량 및 잔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포함된 먹이의 양, 종류에 따라 먹이를 공급하는 급식기; 및 상기 급식기로부터 상기 동물에게 공급된 먹이의 양, 섭취량 및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동물의 건강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급식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의 사용자가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어떠한 단말에서도 홀로 있는 동물들을 케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원하는 먹이를 원하는 시간에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동물에게 투여한 먹이의 양 및 동물이 섭취한 먹이의 양을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동물의 건강관리(예컨대, 비만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은 급식기(100)와 급식 관리 서버(200)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급식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급식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급식기(100)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110), 사료, 물의 섭취량,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수신한 급식 명령에 따라 급식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센서가 장착된 사료 저장소(130), 물 저장소(140) 및 사료 트레이(150)를 포함하고, 카메라(160) 및 스피커(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급식기(100)가 무게센서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20)가 획득한 사료, 물의 섭취량,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급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고, 수신한 급식 명령을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10)는 급식 관리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며 급식 관리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나, 통신부(110)가 사용자 단말(300)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무게센서가 장착된 사료 저장소(130), 물 저장소(140), 사료 트레이(150)에 의해 감지된 사료, 물의 섭취량,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급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제어부(120)는 급식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급식 명령에 따라 사료, 물의 급식을 제어하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급식 명령을 직접 수신하여 사료, 물의 급식을 제어할 수도 있다.
사료 저장소(130)는 무게센서가 장착되어 사료 공급량, 잔여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20)로 전달하며, 사료 트레이(150)에 투여된 사료의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동물의 사료 섭취량, 잔여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사료 저장소(130)는 복수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료의 양뿐만 아니라 사료의 종류를 선택하고 급식을 제어할 수 있으며, 간식을 위한 저장소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동물의 기분을 좋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원격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간식을 투여할 수 있다.
물 저장소(140)는 장착된 무게센서를 이용하여 물의 섭취량, 잔여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급식기(100)는 사료 저장소(130), 물 저장소(140) 또는 사료 트레이(150)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급식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급식 관리 서버(200)는 급식기(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저장된 정보를 급식기(100)의 소유주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급식 관리 서버(200)에는 사용자가 명령한 명령어 정보 및 급식기(100)로부터 획득된 센서정보, 원격 사용자와 급식기(100)에 관련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원격의 사용자가 집안에 설치된 급식기(100)에 접속하고자 할 때 이를 인증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300)에는 사용자가 급식기(100)로 명령어를 전송하고 급식기(100)가 전송한 정보 등을 조회하기 위한 사용자 UI가 제공된다. 그리고 이러한 UI는 인터넷이 되는 단말에서는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 단말(300)은 특정 단말이 아닌,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모든 단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로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에 의한 원격 동물 급식 방법은 다음과 같다.
급식기(100)에 장착된 무게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현재 남아있는 사료 혹은 물의 양과 동물이 섭취한 음식 또는 물의 양 등이 급식기(100)의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0)까지 전달되면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를 참고하여 동물에게 제공할 음식 혹은 물의 양을 정한 후 급식기(100)에 송신한다.
급식기(10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사용자의 명령어를 수신하고 제어부(120)에서 이를 해석하여 사료 혹은 물 공급부에 명령된 양만큼의 먹이를 투여하도록 제어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물이 섭취한 먹이의 무게 혹은 현재 남아있는 먹이의 양은 급식기(100)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후 급식 관리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에게 피드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식 관리 서버(200)는 동물에게 제공된 먹이의 양 및 동물이 섭취한 먹이의 양을 모두 저장하기 때문에 동물의 건강관리를 위한 데이터로서 이러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문가 단말(400)로 동물이 섭취한 식사량 정보 등을 제공하여 외부전문가로부터 동물의 건강관련 소견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급식기 200: 급식 관리 서버
300: 사용자 단말 400: 전문가 단말

Claims (1)

  1. 동물에게 공급된 먹이의 양, 섭취량 및 잔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포함된 먹이의 양, 종류에 따라 먹이를 공급하는 급식기; 및
    상기 급식기로부터 상기 동물에게 공급된 먹이의 양, 섭취량 및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동물의 건강상태를 관리하고 상기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급식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
KR1020150158917A 2015-11-12 2015-11-12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 KR20170056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917A KR20170056069A (ko) 2015-11-12 2015-11-12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917A KR20170056069A (ko) 2015-11-12 2015-11-12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069A true KR20170056069A (ko) 2017-05-23

Family

ID=5905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917A KR20170056069A (ko) 2015-11-12 2015-11-12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60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232A (ko) * 2017-12-05 2019-06-13 (주)몬도미오 동물 급식 시스템 및 잔량 측정 방법
WO2021257014A1 (en) * 2020-06-19 2021-12-23 Zefi̇r Elektroni̇k Sanayi̇ Li̇mi̇ted Si̇rketi̇ An automatic fee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232A (ko) * 2017-12-05 2019-06-13 (주)몬도미오 동물 급식 시스템 및 잔량 측정 방법
WO2021257014A1 (en) * 2020-06-19 2021-12-23 Zefi̇r Elektroni̇k Sanayi̇ Li̇mi̇ted Si̇rketi̇ An automatic fee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4765B2 (en) Pet monitoring and recommendation system
US20230200357A1 (en) Data-acquiring and reporting animal collar
KR101756360B1 (ko)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CN111726769B (zh) 用于微型智能传感器的通信系统、方法和装置
US20140149546A1 (en) Remote commun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on with companion animal and remote communication method with companion animal using the same
KR101256054B1 (ko)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CN102403785B (zh) 电源管理装置及其电源管理方法
KR101815496B1 (ko) 동물 배변 훈련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배변 훈련 시스템
KR101694519B1 (ko) 센서 태그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02732B1 (ko)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
CN104023003A (zh) 基于Wifi网络和Zigbee网络的传感器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2011039793A5 (ko)
KR20140098975A (ko) 애완동물 관리 시스템
KR20170032728A (ko) 사물인터넷 기반 동물 관리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N208211175U (zh) 一种宠物健康分析管理系统
KR20170056069A (ko) 원격 동물 급식 시스템
KR20200097521A (ko)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AU2019228729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imals
CN110771484A (zh) 一种智能盆栽装置、用户终端及系统
US201603668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 subject in a premises
KR20150146184A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 축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95206A (ko) 반려동물 원격 사료배급 제어장치
TW201911251A (zh) 寵物犬居家照護系統
CN210610651U (zh) 无线控制宠物喂食训练机
CN108924803A (zh) 一种无线智能设备的控制方法、装置和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