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468A -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468A
KR20160081468A KR1020140195348A KR20140195348A KR20160081468A KR 20160081468 A KR20160081468 A KR 20160081468A KR 1020140195348 A KR1020140195348 A KR 1020140195348A KR 20140195348 A KR20140195348 A KR 20140195348A KR 20160081468 A KR20160081468 A KR 20160081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information
feed
supply
companion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6360B1 (ko
Inventor
홍상민
Original Assignee
홍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상민 filed Critical 홍상민
Priority to KR1020140195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36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1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rd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반려동물의 사육인이 집을 비우는 경우에도 애완동물의 먹이를 설정된 시간에 설정된 양만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반려동물의 먹이가 배출되는 개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어 먹이를 배출하는 먹이 공급부와, 상기 반려동물의 개체정보 별 먹이 공급정보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개체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개체정보에 대응하는 먹이 공급정보를 저장모듈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먹이정보로 지정하고, 상기 먹이정보에 따라 먹이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먹이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의 사육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체계적으로 먹이를 공급해 줄 수 있으며, 간단한 설정으로 반려동물에 대한 맞춤형 사료를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SMART FEEDING DEVICE FOR PET AND SMART FEED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개체정보 및 사료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먹이의 공급량을 관리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사육인이 집을 비우는 경우에도 반려동물의 먹이를 개체정보 및 사료정보에 따라 최적의 시간에 최적의 양만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을 기르는 사람들도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외부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기 때문에 집을 비우는 경우 애완동물의 관리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외출하거나 휴가 등으로 장기간 집을 비울 경우에는 먹이의 공급이 문제가 되며, 이로 인해 유료인 수탁시설 등에 애완동물을 수탁하기도 하나 각 애완동물 마다 식성이나 식사의 습성 등이 다르므로 그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환경의 변화에 민간한 동물의 특성 상 환경 변화에 대한 주의도 필요한 현실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해 집에 있는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공급해주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예로서, 원격지에서 애완동물들의 상태를 관찰하고 애완동물에게 영상과 음향 및 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1-0067494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5155호를 통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기술은 애완동물을 니즈를 전혀 고려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육인이 애완동물이 생각날 때 일방적으로 먹이 주기를 수행하는 것이므로, 사육인이 바쁘거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애완동물이 굶을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애완동물이 정해진 식사 시간이외에 간식을 추가적으로 요청하는 경우에도 애완동물의 요청에 따라 간식을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간편한 설정을 통해 애완동물의 먹이 공급 시간과 먹이 공급량을 설정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의 요청에 따라 간식을 공급할 수 있는 먹이 공급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5155호(2004.01.14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2595호(2002.07.22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83968호(2002.11.04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반려동물의 사육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숙지하지 않더라도 반려동물에 대한 간단한 정보의 확인만으로도 해당 반려동물에 필요한 먹이 공급량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먹이 공급량이 조절되는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원격으로 간단히 확인하여 해당 반려동물에 필요한 먹이의 공급량을 설정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을 사육하는 1인 가구도 원활한 외부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음식물을 정확한 시간에 공급할 수 있는 스마트 피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반려동물의 먹이가 배출되는 개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어 먹이를 배출하는 먹이 공급부와, 상기 반려동물의 개체정보 별 먹이 공급정보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개체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개체정보에 대응하는 먹이 공급정보를 저장모듈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먹이정보로 지정하고, 상기 먹이정보에 따라 먹이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먹이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반려동물의 먹이가 배출되는 개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어 먹이를 배출하는 먹이 공급부와, 상기 반려동물의 개체정보 별 먹이 공급정보가 저장된 저장부와,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원격으로 상기 개체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개체정보에 대응하는 먹이 공급정보를 저장모듈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먹이정보로 지정하고 상기 먹이정보에 따라 먹이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먹이 공급장치; 및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먹이 공급장치에 연결되며, 자체 설치된 원격 접속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먹이 공급장치로 개체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피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의 사육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체계적으로 먹이를 공급해 줄 수 있으며, 간단한 설정으로 반려동물에 대한 맞춤형 사료를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반려동물에게 최적의 먹이 공급을 통해 반려동물에게 필수적으로 필요한 영양소를 제공하며, 사료량의 부족한 섭취나 과도한 섭취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급여완료 여부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의 사료에 대한 섭취량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와 영양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반려동물에 공급된 주식과 간식의 칼로리, 제공횟수, 제공시간, 영양정보 등을 손쉽게 체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 중인 사료가 반려동물에게 맞는 사료인지와, 기존 사료에서 부족한 영양소를 채울만한 간식은 무엇인지와, 언제쯤 사료를 교체해야하는지와, 이 사료를 지속적으로 반려동물에 공급할 경우 반려동물은 몸무게 등이 어떻게 변화되는지에 대한 상태 변화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먹이주기에 대한 부담이 경감되므로 외부 활동에 대한 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료의 선택 시간, 부작용여부 정보, 간식의 선택 시간, 반려동물을 케어하는 시간 등의 이익을 취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육의 어려움이 감소되어 유기동물증가 및 미필적 동물학대 등의 사회적 문제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의 먹이 공급량 및 공급 횟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피딩 시스템의 먹이 공급량 및 공급 횟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이하, '먹이 공급장치'라고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100)는 전면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110)과,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먹이를 배출하는 먹이 공급부(120)와, 반려동물의 개체정보 별로 분류된 먹이 공급정보가 저장된 저장부(130)와, 상기 개체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및 입력된 개체정보에 따라 먹이 공급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먹이 공급장치(100)는 상기 제어부(150)에 연결되어 화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는 본체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하우징(110)은 먹이 공급부(120), 저장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및 제어부(150)에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하우징(110)은 먹이 공급부(120)가 간편하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음식물 저장실(11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음식물 저장실(112)은 도 1과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중공이 형성되며 하단에 사료 배출구가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음식물 저장실(112)의 상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음식물 저장실(112)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음식물 저장실(112)에 힌지를 통해 결합된 덮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100)는 먹이 공급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먹이 공급부(120)는 제어부(150)에 연결되어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음식물을 반려동물에 공급하는 것으로, 사료 공급장치(122), 급수장치(124),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먹이 공급부(120)에는 사료 공급장치(122)나, 급수장치(124), 또는 이들 모두의 잔량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50)로 전송하는 적외선 센서(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먹이 공급부(12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사료 공급장치(122)와 급수장치(124)의 개폐가 제어되며, 타이머 설정이나 반려동물의 개체정보를 통해 설정된 먹이 공급정보에 따라 정해진 시각에 음식물을 반려동물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음식물 공급의 횟수 및 시각 등은 데이터로 누적 기록되고, 제어부(150)로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이때, 먹이 공급의 횟수 및 시각 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의 설정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반려동물의 개체정보에는 반려동물의 몸무게, 연령, 성별, 종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는 저장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130)는 제어부(150)에 연결되고 반려동물의 개체정보 별 먹이 공급정보가 저장된 것으로, 상기 먹이 공급정보에는 반려동물에 대한 전문적인 사육지식이 부족한 사용자라도 반려동물에 체계적인 영양 공급을 먹이 공급장치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각 반려동물에 대한 최적의 먹이 공급 지침이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먹이 공급정보에는 개체정보 별로 1일 공급량, 1회 주식 공급량, 주식 공급횟수가 포함되며, 선택적으로 1회 간식 공급량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주식은 사료 단독 또는 사료와 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간식도 사료 또는 사료와 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30)에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사료의 세부정보가 내장된 팁/솔루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세부정보에는 사료의 종류별 성분(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 수분, 칼슘, 인 등) 함량과, 등급과, 1g 당 칼로리의 정보가 포함된다.
이러한 팁/솔루션 프로그램은 사료명이 입력되면 상기 사료명에 해당된 사료의 세부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팁/솔루션 프로그램은 반려동물에 대한 추천사료 분석이 요청되면, 반려동물에 적합한 사료명과, 사료 공급 시간, 사료 제공 횟수 등을 추천 사료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팁/솔루션 프로그램은 반려동물의 개체정보와 사료명이 입력되면 해당 사료의 섭취 일수별 반려동물의 예상 몸무게가 포함된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팁/솔루션 프로그램은 반려동물에 대한 사료의 매칭 분석이 요청되면, 반려동물의 개체정보와 사료의 세부정보를 분석하여 알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알림정보를 매칭 분석을 요청한 디스플레이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림정보에는 반려동물과 입력된 사료의 적합유무 및 상기 사료의 교체시기가 포함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사료에 대한 추천간식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130)는 기본적으로 반려동물의 공통적인 행동패턴별 의사표현 메시지를 저장하며, 선택적으로 각 반려동물의 사육인이 입력한 개별 반려동물의 행동패턴별 의사표현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각각의 반려동물이 동일한 행동을 표출하여도 그 의미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한 행동패턴에 대해 공통적인 의사표현 메시지와 개별 의사표현 메시지가 다를 경우에는 개별 의사표현 메시지를 우선한다.
예컨대 간식을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 반려동물의 행동은 종별로 동일한 행동을 표출할 수도 있으나, 상기 동일한 행동과 다른 고유한 행동을 표출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먹이 공급장치에 대한 초기 설정이 완료되면, 사육하는 반려동물의 행동을 오인하여 불필요하게 간식이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제어부(150)에 연결된 것으로, 반려동물의 개체정보를 입력받아 제어부(150)로 개체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반려동물의 습관에 따라 주식 공급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사료명과 상기 사료명을 갖는 사료의 세부정보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반려동물의 개체정보와 반려동물에 대한 사료 추천을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반려동물의 개체정보와 급여 중인 사료명 및 급여 중인 사료와 반려동물과의 매칭 분석을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데,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음식물 공급량과 음식물 공급시간에 대한 설정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반려동물의 개체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는 먹이 수용용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먹이 수용용기(160)는 상기 본체 하우징(110)의 개구에 연결되어 음식물 배출구를 통해 먹이 공급부(122, 124)로부터 배출된 먹이를 반려동물이 섭취할 수 있도록 수용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먹이 수용용기(160)의 하부에는 무게 측정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무게 측정수단은 반려동물의 음식물 섭취량을 계산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이를 위해 먹이가 수용된 먹이 수용용기(160)의 자체 무게를 제외한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제어부(15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무게 측정수단은 미 섭취된 음식물이 먹이 수용용기(160)에 잔존하는 경우, 상기 잔존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제어부(150)에 제공함으로써 이의 무게만큼의 음식물의 배출을 차단시켜 새로 배출되어 먹이 수용용기(160)에 수용된 음식물의 무게가 설정된 음식물 공급량을 정확히 유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무게 측정수단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먹이 수용용기(160)에 미 섭취된 음식물이 잔존하는 경우에도 설정된 공급량이 정확히 배출되기 때문에 먹이 수용용기(160)에 수용된 음식물의 무게가 설정된 공급량을 초과하게 되지만, 무게 측정수단이 설치된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에 반려동물이 섭취할 수 있는 음식물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는 먹이요청 감지장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먹이요청 감지장치(170)는 본체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제어부(15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반려동물의 행동을 실시간으로 관찰하여 반려동물의 행동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먹이요청 감지장치(170)는 주식 공급 시점부터 다음 주식 공급 시점 사이에 반려동물의 접근을 감지하여 간식 공급요청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간식 공급요청 신호를 제어부(15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먹이요청 감지장치(170)는 반려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먹이요청 감지장치(170)는 반려동물의 짓기, 핥기, 비비기, 누르기, 물기, 꼬리 흔들기, 접근 등의 행동을 실시간으로 관찰하여 반려동물의 행동패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행동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간식요청을 감지하며, 간식 공급요청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간식 공급요청 신호를 제어부(15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먹이요청 감지장치(170)는 반려동물의 행동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는 짖기와 울기를 감지하는 보이스감응센서, 핥기와 물기를 감지하는 토크센서, 비비기를 감지하는 터치센서 및 자이로센서, 꼬리 흔들기를 감지하는 모션센서 및 마킹을 이용한 센서 긁기와 누르기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초음파센서, 바라보기를 감지하는 변위센서와 근접센서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반려동물의 다양한 행동을 관찰하여 각 반려동물의 독특한 행동패턴을 분석함으로써 각 반려동물의 간식 요청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함이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토크센서와 터치센서 및 압력센서는 제어부(150)에 연결된 입력패드(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입력된 개체정보에 따라 먹이 공급부(120)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및 먹이 공급부(120)에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입력된 개체정보에 대응하는 먹이 공급정보를 저장부(13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먹이정보로 지정하고, 상기 먹이정보에 따라 먹이 공급부(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사료명과 상기 사료명을 갖는 사료의 세부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팁/솔루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사료명에 해당된 사료의 세부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료의 세부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급여 중인 사료명이 수신되면, 팁/솔루션 프로그램을 통해 예상 몸무게가 포함된 반려동물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날짜별로 상기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반려동물의 개체정보와 반려동물에 대한 사료 추천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팁/솔루션 프로그램을 통해 개체정보에 적합한 사료를 추출하고, 상기 사료의 명칭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사료의 명칭과 함께 상기 사료의 세부정보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반려동물의 개체정보와 급여 중인 사료명 및 급여 중인 사료와 반려동물과의 매칭 분석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팁/솔루션 프로그램을 통해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먹이요청 감지장치(170)로부터 간식 공급요청 신호가 전달되면 먹이 공급부(120)를 통해 1회 간식 공급량을 공급하고, 1일 공급량이 유지되도록 1회 간식 공급량을 나머지 주식 공급량에서 차감하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어 15시에 간식 30kcal가 공급되면, 제어부(150)는 미리 지정된 16시 주식 공급량에서 -30kcal를 제외한 사료만 공급하도록 먹이 공급부(12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이정보로 1일 공급량(120g), 1회 주식 공급횟수(3회), 1회 주식 공급량(40g), 주식 공급 시간(8시와 16시 및 24시)이 지정된 이후, 8시와 16시 사이에 간식 공급요청 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150)는 1회 간식 공급량인 10g의 사료가 배출되도록 먹이 공급부(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1일 공급량이 유지되도록 16시에 30g과 24시에 40g의 사료를 공급하거나, 16시와 24시에 총 70g의 사료를 나누어 공급한다.
마찬가지로, 16시와 24시의 사이에 간식 공급요청 신호가 제어부(150)로 전달되면, 제어부(150)는 1회 간식 공급량인 10g의 사료가 배출되도록 먹이 공급부(120)를 제어하며, 120g의 1일 공급량이 유지되도록 24시의 사료 공급량을 조절한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무게 측정수단으로부터 제공된 먹이 수용용기(160)의 무게를 통해 반려동물의 먹이 섭취량을 계산하고, 일일별 먹이 섭취량을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상태와 몸무게를 예측한다. 필요에 따라 반려동물의 먹이 섭취량이 1일 공급량에 미달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남은 섭취량과 부족한 섭취량의 해결방안을 저장부(130)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피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피딩 시스템은 전술한 먹이 공급장치(100)와, 상기 먹이 공급장치(100)에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먹이 공급장치(100)에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연결된 놀이겸용 급여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먹이 공급장치(1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자체 설치된 원격 접속 프로그램을 통해 먹이 공급장치(100)로 개체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이동 통신 교환기 및 왑(WAP)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며 모바일, 태블릿 PC, PDA, 노트북, 데스크탑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0)는 먹이 공급장치(100)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자체 수집된 메시지를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상기 먹이 공급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300)는 터치패드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원격 접속 프로그램을 통해 반려동물의 습관에 따라 주식 공급시간을 원격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0)는 원격 접속 프로그램을 통해 사료명과 상기 사료명을 갖는 사료의 세부정보 요청 신호를 입력받아 먹이 공급장치(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원격 접속 프로그램을 통해 반려동물의 개체정보와 반려동물에 대한 사료 추천을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먹이 공급장치(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300)는 원격 접속 프로그램을 통해 반려동물의 개체정보와 급여 중인 사료명 및 급여 중인 사료와 반려동물과의 매칭 분석을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먹이 공급장치(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300)는 자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로 놀이겸용 급여기(400)를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로는 놀이겸용 급여기(400)에 배치된 간식을 발사하도록 요청하는 간식발사 요청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놀이겸용 급여기(400)는 반려동물과의 놀이와 간식 제공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원격으로 먹이를 발사할 수 있다면 어떠한 먹이 발사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놀이겸용 급여기(400)로는 본체 하우징(110)과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일체형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먹이 공급장치(100)에 유무선 네트워크(200)로 연결된 분리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놀이겸용 급여기(400)는 사용자가 직접 컨트롤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한 원격 컨트롤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놀이겸용 급여기(400)는 반려동물의 먹이가 발사되는 개구가 형성된 악세사리 하우징과, 상기 악세사리 하우징에 설치되어 개구를 통해 먹이를 발사하되 먹이의 발사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먹이 발사부와, 상기 먹이 공급장치(100)에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연결되어 먹이 발사신호를 수신받는 통신부, 및 상기 먹이 발사신호에 따라 먹이 발사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놀이겸용 급여기(400)는 발사된 먹이의 공급량이 포함된 놀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놀이 정보를 먹이 공급장치(1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한다. 이때, 놀이 정보에는 먹이 발사부에 보관된 먹이의 잔량과, 먹이의 발사 거리, 반려동물의 소모 칼로리, 발사된 먹이의 칼로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놀이 정보를 제공받은 먹이 공급장치(100)의 제어부(150)는 놀이겸용 급여기(400)로부터 제공된 놀이정보를 저장부(130)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한다.
필요에 따라, 먹이 공급부(120)와 사용자 단말기(300) 및 놀이겸용 급여기(400)는 무선, 예를 들면 블루투스나 지그비(ZGbee) 방식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먹이 공급장치(100)를 구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유무선 네트워크(200)에 사용자 단말기(300)에 연결되어 원격으로 개체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300)에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연결되어 알림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되거나, 터치스크린 및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먹이 공급장치(100)의 팁/솔루션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반려동물에 대한 사료의 매칭 분석이 요청되면, 반려동물의 개체정보와 사료의 세부정보를 분석하여 알림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알림정보를 매칭 분석을 요청한 원격 접속 프로그램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먹이 공급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된 개체정보에 따라 먹이 공급부(120)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된 개체정보에 대응하는 먹이 공급정보를 저장부(13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먹이정보로 지정하고, 상기 먹이정보에 따라 먹이 공급부(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사료명과 상기 사료명을 갖는 사료의 세부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팁/솔루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사료명에 해당된 사료의 세부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료의 세부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급여 중인 사료명이 수신되면, 팁/솔루션 프로그램을 통해 예상 몸무게가 포함된 반려동물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날짜별로 상기 상태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반려동물의 개체정보와 반려동물에 대한 사료 추천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팁/솔루션 프로그램을 통해 개체정보에 적합한 사료를 추출하고, 상기 사료의 명칭을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사료의 명칭과 함께 상기 사료의 세부정보도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반려동물의 개체정보와 급여 중인 사료명 및 급여 중인 사료와 반려동물과의 매칭 분석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팁/솔루션 프로그램을 통해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놀이겸용 급여기(400)로부터 발사된 먹이 공급량이 포함된 놀이 정보가 전달되면, 1일 공급량이 유지되도록 발사된 먹이 공급량을 주식 공급횟수로 나누어 1회 주식 공급량에서 차감하도록 동작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이정보로 1일 공급량(120g), 1회 주식 공급횟수(3회), 1회 주식 공급량(40g), 주식 공급 시간(8시와 16시 및 24시)이 지정된 이후, 8시와 16시 사이에 먹이 공급부(120)를 통해 10g의 간식이 배출되고, 놀이겸용 급여기(400)를 통해 5g의 간식이 공급되면, 제어부(150)는 초과 지급된 사료량이 나머지 주식 공급량에서 차감되도록 동작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50)는 먹이 공급부(120)와 놀이겸용 급여기(400)을 통해 공급된 먹이의 양이 1일 공급량으로 유지하도록 조절한다.
한편, 먹이 공급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유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데, 사육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놀이겸용 급여기(400)의 구동을 명령하면, 제어부(150)는 놀이겸용 급여기(4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에게 발생되는 비만의 원인은 식사량 과다, 운동 및 활동 부족, 잘못된 영양 공급으로 발생되며, 잘못된 방식으로 사료를 과도하게 제공시 반려동물은 위가 늘어나 더욱 많은 식사를 요구하고, 조금만 움직여도 힘들어하는 상황을 유발하게 되므로, 한 번 과체중이 시작되면 비만의 속도는 빨라진다. 특히, 비만인 반려동물은 노화 촉진, 심장 기능 이상, 고혈압, 관절염, 디스크에 쉽게 걸리고, 간의 지방 축적에 의해 간 기능이 저하되어 수명이 단축된다.
그리고 비만인 반려동물이라고 해서 굶기거나 사료를 적게 주기 시작하면 건강에 더욱 무리가 올 수 있어서 꾸준한 운동과 적은 양의 사료를 자주 주고 고칼로리 간식은 주지 않도록 해야 하므로, 본 발명은 비만인 반려동물을 치료하려는 반려동물 사육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
또한, 본 발명은 1인가구가 원활한 외부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반려동물의 상태에 맞춘 최적의 사료를 찾아주고,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횟수, 정해진 양을 급여하여 양육의 부담을 해소하고, 반려동물의 상태를 알려주는 팁/솔루션 프로그램을 통해 반려동물에 대한 최적화된 먹이 공급방법을 제공하므로, 반려동물에 대한 전문지식의 습득이 어려운 실버가구나 반려동물을 처음 키우는 가구에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먹이 공급장치 110 : 본체 하우징
120 : 먹이 공급부 122 : 사료 공급장치
124 : 급수장치 130 : 저장부
14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50 : 제어부
160 : 먹이 수용용기 170 : 먹이요청 감지장치
200 : 유무선 네트워크 300 : 사용자 단말기
400 : 놀이겸용 급여기

Claims (14)

  1. 반려동물의 먹이가 배출되는 개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어 먹이를 배출하는 먹이 공급부;
    상기 반려동물의 개체정보 별 먹이 공급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개체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개체정보에 대응하는 먹이 공급정보를 저장모듈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먹이정보로 지정하고, 상기 먹이정보에 따라 먹이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먹이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공급정보에는
    개체정보 별로 1일 공급량, 1회 주식 공급량, 주식 공급횟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며, 반려동물의 간식요청을 감지하여 간식 공급요청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간식 공급요청 신호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먹이요청 감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 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공급정보는 1회 간식 공급량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간식 공급요청 신호가 전달되면 먹이 공급부를 통해 1회 간식 공급량을 공급하고, 1일 공급량이 유지되도록 1회 간식 공급량을 주식 공급횟수로 나누어 1회 주식 공급량에서 차감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 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 정보는
    반려동물의 종류, 연령, 몸무게, 및 성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 공급장치.
  6. 반려동물의 먹이가 배출되는 개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어 먹이를 배출하는 먹이 공급부와, 상기 반려동물의 개체정보 별 먹이 공급정보가 저장된 저장부와,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원격으로 상기 개체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개체정보에 대응하는 먹이 공급정보를 저장모듈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먹이정보로 지정하고 상기 먹이정보에 따라 먹이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먹이 공급장치; 및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먹이 공급장치에 연결되며, 자체 설치된 원격 접속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먹이 공급장치로 개체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피딩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사료의 세부정보가 내장된 팁/솔루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딩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접속 프로그램을 통해 사료명이 수신되면, 상기 팁/솔루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사료명에 해당된 사료의 세부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원격 접속 프로그램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딩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접속 프로그램을 통해 사료명이 수신되면, 상기 팁/솔루션 프로그램을 통해 예상 몸무게가 포함된 반려동물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날짜별로 상기 원격 접속 프로그램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딩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팁/솔루션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료의 매칭 분석이 요청되면, 반려동물의 개체정보와 사료의 세부정보를 분석하여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정보를 원격 접속 프로그램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딩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정보는
    반려동물과 사료의 적합유무, 및 상기 사료의 교체시기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딩 시스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 공급장치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원격으로 먹이 발사가 제어되며, 발사된 먹이의 공급량을 먹이 공급장치로 송신하는 놀이겸용 급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딩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겸용 급여기는
    반려동물의 먹이가 발사되는 개구가 형성된 악세사리 하우징과,
    상기 악세사리 하우징에 설치되어 개구를 통해 먹이를 발사하되 먹이의 발사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먹이 발사부와,
    상기 먹이 공급장치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먹이 발사신호를 수신받는 통신부, 및
    상기 먹이 발사신호에 따라 먹이 발사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딩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먹이 발사부를 통해 발사된 먹이의 공급량, 먹이 발사부에 보관된 먹이의 잔량과, 발사된 먹이의 공급량, 먹이의 발사 거리, 반려동물의 소모 칼로리, 발사된 먹이의 칼로리가 포함된 놀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놀이 정보를 먹이 공급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피딩 시스템.
KR1020140195348A 2014-12-31 2014-12-31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KR101756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348A KR101756360B1 (ko) 2014-12-31 2014-12-31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348A KR101756360B1 (ko) 2014-12-31 2014-12-31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468A true KR20160081468A (ko) 2016-07-08
KR101756360B1 KR101756360B1 (ko) 2017-07-11

Family

ID=5650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348A KR101756360B1 (ko) 2014-12-31 2014-12-31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360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5041A (zh) * 2016-08-22 2016-11-23 无锡东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定时功能的宠物喂食装置
KR101708839B1 (ko) * 2016-09-21 2017-02-21 장현덕 애완동물의 케어가 가능한 사료공급장치 및 상기 사료공급장치를 이용한 사료공급시스템
WO2018221758A1 (ko) * 2017-05-30 2018-12-06 홍영준 먹이 투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WO2018221757A1 (ko) * 2017-05-30 2018-12-06 홍영준 낱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WO2019098583A1 (ko) * 2017-11-14 2019-05-23 주식회사 스윗솔루션 반려견 행동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14605A (ko) * 2018-08-01 2020-02-11 주식회사 써랜라잇 주식 또는 간식의 선택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급식기
WO2020045789A1 (ko) * 2018-08-30 2020-03-05 (주) 너울정보 반려동물의 감정 상태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137227B1 (ko) * 2020-03-30 2020-07-23 주식회사 아이비알 반려동물 맞춤형 식수 및 음식 공급 조절 시스템
KR20200097521A (ko) * 2019-02-08 2020-08-19 신종섭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KR20200107467A (ko) * 2019-03-08 2020-09-16 최재영 반려동물용 급수기
KR20200145077A (ko) * 2019-06-20 2020-12-30 한태희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
KR20210061148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그라스메디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및 방법
CN115039708A (zh) * 2022-06-21 2022-09-13 深圳市小萌宠物科技有限公司 宠物用智能喂食器、用于宠物喂食器的工作方法、存储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715B1 (ko) * 2018-07-24 2020-12-16 조범석 반려동물 자동 급여기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자동 급여 시스템
KR102114780B1 (ko) * 2018-11-13 2020-05-25 조범석 Ict를 적용한 반려동물용 하이브리드 자동 급여기
KR102147584B1 (ko) * 2018-11-29 2020-08-24 고은주 반려동물용 식수 공급 장치
KR102466496B1 (ko) 2019-12-03 2022-11-11 주식회사 리틀캣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KR20210156967A (ko) 2020-06-19 2021-12-28 주식회사 리틀캣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595Y1 (ko) 2002-04-30 2002-07-22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애완동물 먹이공급제어장치
KR20020083968A (ko) 2002-09-11 2002-11-04 주식회사 중앙Cmi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공급장치
KR100415155B1 (ko) 2002-08-08 2004-01-14 주식회사 쓰리비 시스템 가정용 일체형 애완동물 인터넷 푸드피딩장치를 이용한 인터넷상에서의 애완동물 푸드피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5226679A1 (en) 2004-03-22 2005-10-06 Olcott, Mark D. Animal feeding device and method
BRPI0919340B1 (pt) * 2008-09-22 2020-05-05 Nestec Sa sistema distribuidor para fornecer produtos nutricionais a animais
KR101288012B1 (ko) * 2011-06-23 2013-07-24 장성 애완동물의 자동 급식장치
KR101397572B1 (ko) 2012-11-27 2014-05-30 홍상민 반려동물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원거리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과의 원거리 커뮤니케이션 방법
KR101402732B1 (ko) * 2013-01-11 2014-06-0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
KR101404524B1 (ko) * 2013-11-08 2014-06-18 주식회사 볼레디 반려동물의 행동에 기초하여 먹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펫 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595Y1 (ko) 2002-04-30 2002-07-22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애완동물 먹이공급제어장치
KR100415155B1 (ko) 2002-08-08 2004-01-14 주식회사 쓰리비 시스템 가정용 일체형 애완동물 인터넷 푸드피딩장치를 이용한 인터넷상에서의 애완동물 푸드피딩방법
KR20020083968A (ko) 2002-09-11 2002-11-04 주식회사 중앙Cmi 애완동물용 먹이 자동공급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5041A (zh) * 2016-08-22 2016-11-23 无锡东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定时功能的宠物喂食装置
KR101708839B1 (ko) * 2016-09-21 2017-02-21 장현덕 애완동물의 케어가 가능한 사료공급장치 및 상기 사료공급장치를 이용한 사료공급시스템
WO2018221758A1 (ko) * 2017-05-30 2018-12-06 홍영준 먹이 투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WO2018221757A1 (ko) * 2017-05-30 2018-12-06 홍영준 낱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JP2018201491A (ja) * 2017-05-30 2018-12-27 ヨン ジュン ホン 投餌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給餌装置
WO2019098583A1 (ko) * 2017-11-14 2019-05-23 주식회사 스윗솔루션 반려견 행동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14605A (ko) * 2018-08-01 2020-02-11 주식회사 써랜라잇 주식 또는 간식의 선택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급식기
WO2020045789A1 (ko) * 2018-08-30 2020-03-05 (주) 너울정보 반려동물의 감정 상태 감지 시스템 및 방법
US11406301B2 (en) 2018-08-30 2022-08-09 Petpuls Lab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motional state of pet
KR20200097521A (ko) * 2019-02-08 2020-08-19 신종섭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KR20200107467A (ko) * 2019-03-08 2020-09-16 최재영 반려동물용 급수기
KR20200145077A (ko) * 2019-06-20 2020-12-30 한태희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
KR20210061148A (ko) *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그라스메디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및 방법
KR102137227B1 (ko) * 2020-03-30 2020-07-23 주식회사 아이비알 반려동물 맞춤형 식수 및 음식 공급 조절 시스템
CN115039708A (zh) * 2022-06-21 2022-09-13 深圳市小萌宠物科技有限公司 宠物用智能喂食器、用于宠物喂食器的工作方法、存储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360B1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360B1 (ko)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US10264765B2 (en) Pet monitoring and recommendation system
US89785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gnitive enrichment of an animal
JP6475642B2 (ja) 動物インタラクション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US9807982B2 (en) Pet health monitoring and analysis
KR101815496B1 (ko) 동물 배변 훈련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배변 훈련 시스템
JP6438476B2 (ja) 遠隔ペット監視及び給餌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給餌装置
KR101758886B1 (ko) 센서 패드를 이용한 스마트 자동 급식시스템
US2016004203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animals
WO2009063415A2 (en) Smart automatic animals feeder (saaf)
US20100263596A1 (en) Weight Controlled Pet Feeding System
CN103960155B (zh) 一种动物自动化饲喂装置
KR101402732B1 (ko)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
KR20190025335A (ko) 애완동물 먹이 자동 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공급방법
KR20160005456A (ko) 동물의 활동량에 따른 자동 사료조절 방법 및 시스템
KR102213520B1 (ko) 반려견 원격 케어 시스템
KR102261887B1 (ko) 반려동물 건강을 위한 사료 공급기 및 사료 공급 시스템
KR101553885B1 (ko) 반려동물의 자동먹이 공급장치
US20200146259A1 (en) Swine activated feeder with actuation sensor
KR101708839B1 (ko) 애완동물의 케어가 가능한 사료공급장치 및 상기 사료공급장치를 이용한 사료공급시스템
US20230309509A1 (en) Smart integrated system for monitoring and feeding pets
KR20230016752A (ko) 체중관리 인공 지능형 반려동물 사료 급여기 및 사료 급여 시스템
DK201500014U3 (da) Fodersystem til fodring af husdyr
KR20220071820A (ko) 반려동물용 스마트 케어 장치
KR20200086990A (ko) 가축의 모이 섭취량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