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077A -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077A
KR20200145077A KR1020190073530A KR20190073530A KR20200145077A KR 20200145077 A KR20200145077 A KR 20200145077A KR 1020190073530 A KR1020190073530 A KR 1020190073530A KR 20190073530 A KR20190073530 A KR 20190073530A KR 20200145077 A KR20200145077 A KR 20200145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feeder
amount
companion animals
automatic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8892B1 (ko
Inventor
한태희
이용재
이주현
Original Assignee
한태희
이주현
이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희, 이주현, 이용재 filed Critical 한태희
Priority to KR1020190073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89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5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쁜 식습관에 의하여 야기되는 비만 등의 질병을 예방하고자 적정량의 사료를 자동으로 지급하고, 실시간으로 반려동물의 상태를 관찰가능한 자동 사료 급식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Automatic Feeding Feeder for Companion Animals}
본 발명은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쁜 식습관에 의하여 야기되는 비만 등의 질병을 예방하고자 적정량의 사료를 자동으로 지급하고, 실시간으로 반려동물의 상태를 관찰가능한 자동 사료 급식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가정에서의 위치가 애완동물에서 가족의 개념인 반려동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은 가정과 함께 일상생활을 즐기기도 한다. 특히, 반려동물은 고령화, 핵가족화 등으로 외로움을 대체하기 위한 가족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아울러 반려동물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역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반려동물의 질병 예방차원에서 예방접종, 치석제거, 구충제 투여, 정기 검진 등 여러 가지 예방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인간과 같은 공간에서 거주하는 반려동물의 수는 점점 증가하는 상태이고, 운동량 및 식습관의 문제로 인해 비만동물도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특히, 도심에서는 시골에 비하여 반려동물의 활동영역 제한으로 인해 운동량의 부족으로 점점 비만동물이 늘어나고 있다.
비만 동물은 운동부족일 경우도 많으나, 음식물의 종류와 섭취량에 좌우되는 경우도 많다. 반려동물이 강아지일 경우, 귀여운 모습에 대부분 주인은 마음이 약해져서 이것저것 많이 챙겨주게 된다. 이는 소화불량, 영양 불균형을 유발하고, 결국 비만으로 발전하며, 식탐과 편식 등 나쁜 식습관까지 유발시킨다.
비만 반려동물들도 인간과 유사하게, 심장질환, 관절이상, 당뇨, 지방간, 호흡장애, 생식능력 저하 등 여러 가지 질병을 갖게 되며, 비만은 다양한 합병증도 유발한다. 따라서 반려 동물의 식습관 개선을 통해 비만이 되는 것을 억제하고, 합병증을 유발하는 원인도 제거하여 건강하게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의 연구가 요구된다.
반려견의 체중을 조절하기 위한 의사 결정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국내 등록특허 제10-1759203호(반려견의 체중조절을 지원하는 의사결정시스템, 2017.07.12. 등록, 이하 종래기술1)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1은 다양한 종류의 반려견의 견종별, 성별, 임신 유, 무, 나이별, 중성화여부에 따른 사료 급여량에 대한 데이터와, 다양한 종류의 반려견의 견종별, 성별, 임신 유, 무, 나이별, 중성화여부에 따른정상 체형 모델의 외곽선을 추출하여 이를 데이터화 하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와, 반려견의 체중조절을 위한 운동량과 사료 급여량을 조절하는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앱이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와, 단말기와 통신하여 앱에 저장된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통해 반려견을 운동시킴과 동시에 운동량 감지수단을 통해 운동량을 측정하고, 운동량을 충족하면 체중조절 프로그램에서 정해진 사료 급여량만큼만 사료 공급부를 통해 사료를 공급하는 스마트볼로 구성되어 있어, 정상 체형 모델에 대한 반려견의 외곽선을 추출하여 단말기의 앱을 통해 사용자가 쉽게 신체조건지수를 판단하도록 하고, 그에 따른 체중조절 프로그램 추천 및 이를 실행과 동시에 반려견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반려견의 건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반려견의 체중조절을 지원하는 의사결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1은, 반려견의 체중조절을 지원하기 위하여, 체중조절 프로그램에서 정해진 사료 급여량만큼만 사료 공급부를 통해 사료를 공급하는 스마트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반려견을 운동시키며 사료를 제공하는 스마트볼로, 신선한 물은 제공하는데에 한계가 있으며, 운동과 사료 제공을 동시에 진행하므로, 올바른 식습관을 심어주기는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사료 공급시 남아있는 사료량을 고려하여 적정량의 사료를 공급하는 반려동물 자동급식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국내등록특허 제10-1808706호(사료량 측정 기반의 반려동물 자동급식시스템, 2017.12.07 등록, 이하 종래기술2)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2는 사료량 측정 기반으로 반려동물의 급식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원격에서 급식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급식을 제어하고, 반려동물이 수행한 급식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급식 제어 정보를 스마트 급식기에 전달하고, 상기 스마트 급식기에서 전송된 급식량은 데이터 서버에 전송하는 공유기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기로부터 출력되는 급식 제어 정보에 따라 초기 배출 사료량과 급식량을 기반으로 배출 사료량을 결정하고, 결정한 배출 사료량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정량의 사료를 공급해주는 스마트 급식기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급식기에서 전송된 급식량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 시 통계 처리한 급식량 정보를 반려동물 건강관리 정보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해주는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서버는 1일, 주간, 월간, 년간을 단위로 급식량 정보를 통계처리하며, 상기 스마트 급식기는 급식 그릇의 사료량을 측정하는 사료량 측정부를 포함하고,상기 사료량 측정부는 급식 그릇의 무게를 측정하여 사료량을 측정하는 로드 셀을 포함하고, 1회 급식시마다 공급 사료량과 잔류 사료량을 측정하며, 상기 사료량 측정부의 일단은 급식 그릇 인입시 급식 그릇이 트레이로부터 이탈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2는, 초기 배출 사료량과 급식량을 기반으로 배출 사료량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배출 사료량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정량의 사료를 공급하여, 반려동물에게 항상 정량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으나, 신선한 물을 함께 제공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반려동물의 컨디션은 고려되지 않는 사료 급식이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759203호(반려견의 체중조절을 지원하는 의사결정시스템, 2017.07.12.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808706호(사료량 측정 기반의 반려동물 자동급식시스템, 2017.12.07 등록)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게 발생하는, 나쁜 식습관에 의하여 야기되는 비만 등의 질병을 예방하고자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반려동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찰함으로써, 예상치 못한 상황을 해결하거나 또는 상태를 체크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반려동물을 위해 자동으로 사료를 지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하부기판(200), 상기 하부기판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판(300), 상기 회전판(300)에 의해 회전하며, 사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사료보관통(400)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된 물통(510)의 물을 펌프로 끌어올려 급수하는 급수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 사료 급식기는 중량 측정 센서와 레이저센서를 통해, 섭취 시간 및 섭취량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사료 제공 시간 및 사료 제공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 사료 급식기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이미지 센싱을 통해 반려동물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반려동물의 외형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 사료 급식기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의사 또는 동물병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료보관통(400)은 구획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반려동물에게 바른 식습관을 갖도록 해줌으로써, 비만 등과 같은 질병을 미리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반려동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찰함으로써, 반려동물을 키우는 주인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고, 수의사는 반려동물의 상태를 보고 질병 감염 여부 또는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사료 급식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사료 급식기를 분해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사료 급식기를 분해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사료 급식기의 상단부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에 관한 것으로, 나쁜 식습관에 의하여 야기되는 비만 등의 질병을 예방하고자 적정량의 사료를 자동으로 지급하고, 실시간으로 반려동물의 상태를 관찰가능한 자동 사료 급식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사료 급식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사료 급식기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사료 급식기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사료 급식기는, 본체(100), 하부기판(200), 회전판(300), 사료보관통(400) 및 급수대(5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는 원통 형상으로, 상부에 반려동물이 직접 사료를 취할 수 있는 공간과 물을 섭취 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는,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하부기판(2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기판(200)은 상기 본체(100)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역시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기판(200)은 일정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데, 이는, 사료, 물 등을 포함할 급식기가 무게가 많이 나가더라도 바닥면에 잘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정 두께를 가지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기판(200)은 하단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마찰패드 등과 같은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기판(200)의 상부에는 회전판(3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300)은 후술하는 사료보관통(400)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재로, 상기 회전판(300)에 의하여 사료보관통(40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300)과 사료보관통(400)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판(300)의 중앙에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사료보관통(400)의 중앙에 상기 돌출부와 끼움결합 가능하도록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회전판(300)과 사료보관통(400)은 서로 끼움결합을 하게 되고, 별도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회전판(300)이 회전하는 만큼 사료보관통(400) 또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사료보관통(400)은 구획되어, 다수개의 사료보관공간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사료보관공간에는 사료 1회 섭취량이 구비되게 되고, 상기 사료보관공간의 사료를 섭취한 뒤, 또 사료를 섭취할 시간이 될 경우,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사료 섭취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문(미도시)이 닫혀 사료보관공간이 폐쇄되므로, 반려동물이 사료를 먹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획된 공간에는 1회 섭취량이 구비되게 되는데, 반려동물의 사료 섭취가 끝날 시, 무게 측정 등을 통해 남아 있는 잔류 사료량을 측정하고, 이를 저장하였다가 다음 사료량 공급시 이를 고려하여 정량 대비 부족한 사료량만 잔류 사료량에 추가하여 사료를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반려동물은 1회에 섭취하는 사료량이 항상 정량이 되므로, 규칙적인 식습관을 유도할 수 있고, 갑자기 많은 양의 사료 섭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건강 문제나 비만 문제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사료보관통(400)의 상단에는 급수대(5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급수대(500)는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물통(510)의 물을 펌프로 끌어올려 급수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물통(5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최하단에 배치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고,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설치 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별도의 물통(510)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00)와 연결하여 구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급수대(500)는 일부분이 개방되어 구비되어 있다. 이는 상기 급수대(500)의 하단에 배치된 사료보관통(400)의 사료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개방되어 구비되게 된다.
상기 급수대(500)는 무게 측정을 위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려동물이 물을 섭취함으로써 줄어드는 양을 무게 측정 부재를 이용하여 확인 한 뒤, 펌프로 물을 끌어올려 물을 보충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급수대(500)로부터 물통(510)으로 물을 흐르도록 구성하여, 펌프로 물을 끌어올리고 급수대(500)의 물은 다시 물통(510)으로 가는 순환을 통해 물을 항상 흐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물통(510)은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자동사료 급식기 전체의 물의 양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판(300)의 회전과 상기 펌프의 작동을 위하여,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사료 급식기를 분해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통(510)의 하단에 추가 밑판(515)을 더 구비하여, 하드웨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추가 밑판(515)에는 상기 급식기 내부에 필요한 기판, 센서 또는 핸드폰에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 등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하드웨어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추가 밑판(515)은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물통(510)의 상단에 구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사료 급식기의 상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는, 사료개방부(410)가 형성된 급수대(500) 및 사료보관통(400)에 의하여, 반려동물이 물을 마시거나 또는 사료를 섭취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자동 사료 급식기는 중량 측정 센서와 레이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 측정 센서 및 레이저 센서를 통해, 섭취 시간 및 섭취량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사료 제공 시간 및 사료 제공량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 중량 측정 센서 및 레이저 센서는 상기 사료보관통(40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사료보관통(400) 내의 사료의 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일 예로, 반려동물이 사료를 섭취하기 전 무게를 측정하고, 반려동물이 사료를 섭취하고 난 뒤의 무게를 섭취하여 그 차이를 계산하여 섭취량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확인된 섭취량을 실시간 그래프를 통해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이렇게 건강에 대한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이에 대한 이상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사료 급식기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이미지 센싱을 통해 반려동물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반려동물의 외형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를 통해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센싱하게 되고, 상기 움직임의 패턴을 확인하게 된다. 상기 반려동물의 움직임 패턴은 해당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추적한 정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반려동물의 움직임 패턴은 해당 반려동물의 활동 정보가 된다.
상기 활동 정보를 통해, 평소 활동 정보와 비교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평소에는 약 3시간 정도 잠을 잤으나, 최근 잠자는 시간이 3시간보다 급격하게 많아졌다면, 몸에 이상이 생긴 것이 아닌지 의심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는 평소의 활동 정보와 비교하여, 반려동물의 활동 정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있다. 이때, 촬영된 영상 및 반려동물의 활동 정보는 수의사 또는 동물병원에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 센싱이 이루어져, 상기 반려동물이 근처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는 적외선 카메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가 적외선 카메라로 구비될 시,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의 체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반려동물의 이상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려동물의 움직임 패턴을 파악할 시, 인공지능을 이용한 움직임 패턴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SVM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SVM알고리즘이란, 머신러닝 알고리즘으로, 수집된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여 알고리즘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정보(반려동물의 외형, 체온 등)를 이용하여 알고리즘을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반려동물의 움직임은 해당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추적한 정보가 될 수 있고, 이러한 반려동물의 움직임 패턴은 해당 반려동물의 활동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는,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사료의 양을 더 효율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무게측정센서 등을 통해 측정된 섭취한 사료의 양 및 섭취 시간을 통해 반려동물의 평균 사료 섭취 양 및 평균 섭취 시간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등에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전송되 정보는 통계 처리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등의 요청이 있을 시, 통계 처리한 급식량 정보를 반려동물 건강관리 정보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통계 처리 방식은 1일, 주간, 월간, 년간 등과 같은 기준으로 통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등과 같은 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라 함은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가 결합된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등과 같은 기기와 연결 되어, 어플리케이션(앱)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앱)에는, 반려동물의 스트레스 정도 정보,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안내메시지 및 음악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체중/체온 정보, 체중 또는 체온에 따른 건강 관리용 안내 메시지, 일일 사료 섭취량, 일일 음수 섭취량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본체
200 : 하부기판
300 : 회전판
400 : 사료보관통
410 : 사료개방부
500 : 급수대
510 : 물통

Claims (5)

  1. 반려동물을 위해 자동으로 사료를 지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원통 형상의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하부기판(200);
    상기 하부기판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판(300);
    상기 회전판(300)에 의해 회전하며, 사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사료보관통(400);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된 물통(510)의 물을 펌프로 끌어올려 급수하는 급수대(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사료 급식기는
    중량 측정 센서 와 레이저센서를 통해, 섭취 시간 및 섭취량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사료 제공 시간 및 사료 제공량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사료 급식기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이미지 센싱을 통해 반려동물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반려동물의 외형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사료 급식기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의사 또는 동물병원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
  5. 제 1항에 있어서, 사료보관통(400)은
    구획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

KR1020190073530A 2019-06-20 2019-06-20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 KR102238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530A KR102238892B1 (ko) 2019-06-20 2019-06-20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530A KR102238892B1 (ko) 2019-06-20 2019-06-20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077A true KR20200145077A (ko) 2020-12-30
KR102238892B1 KR102238892B1 (ko) 2021-04-09

Family

ID=7408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530A KR102238892B1 (ko) 2019-06-20 2019-06-20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8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76970A1 (en) * 2019-12-12 2021-06-17 ChompAI Inc. Smart Pet Feeding System
WO2023103393A1 (zh) * 2021-12-10 2023-06-15 深圳海翼智新科技有限公司 喂液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468A (ko) * 2014-12-31 2016-07-08 홍상민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KR101759203B1 (ko) 2016-10-27 2017-07-18 장승운 반려견의 체중조절을 지원하는 의사결정시스템
JP3213877U (ja) * 2017-01-06 2017-12-07 宗信 陳 ペット用給餌装置
KR101808706B1 (ko) 2016-11-15 2017-12-14 (주)아이오텍 사료량 측정 기반의 반려동물 자동급식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3877B2 (ja) * 1995-12-08 2001-10-02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窓用サッシの下枠の排水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468A (ko) * 2014-12-31 2016-07-08 홍상민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KR101759203B1 (ko) 2016-10-27 2017-07-18 장승운 반려견의 체중조절을 지원하는 의사결정시스템
KR101808706B1 (ko) 2016-11-15 2017-12-14 (주)아이오텍 사료량 측정 기반의 반려동물 자동급식시스템
JP3213877U (ja) * 2017-01-06 2017-12-07 宗信 陳 ペット用給餌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76970A1 (en) * 2019-12-12 2021-06-17 ChompAI Inc. Smart Pet Feeding System
WO2023103393A1 (zh) * 2021-12-10 2023-06-15 深圳海翼智新科技有限公司 喂液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892B1 (ko)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706B1 (ko) 사료량 측정 기반의 반려동물 자동급식시스템
US10091972B1 (en) Smart bowl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6895893B2 (en) Breeding control system for free-range animals
KR101756360B1 (ko)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EP1143790B1 (en) Arrangement for individual feeding of free-range animals
KR101815496B1 (ko) 동물 배변 훈련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배변 훈련 시스템
KR102238892B1 (ko) 반려동물을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
US20030084853A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feed to an animal in a peri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O2010091686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urveillance of individual animals' liquid intake behaviour
CN111587069A (zh) 用于监控家畜动物的食物摄取的方法及设备
KR20190025335A (ko) 애완동물 먹이 자동 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공급방법
KR102261887B1 (ko) 반려동물 건강을 위한 사료 공급기 및 사료 공급 시스템
KR102164602B1 (ko) 스마트 급식기
KR20210114750A (ko) Iot 기반의 반려동물 스마트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160069124A (ko) 돈용 사료급여방법
KR20230016752A (ko) 체중관리 인공 지능형 반려동물 사료 급여기 및 사료 급여 시스템
EP1541017B1 (en) An assembly for and a method of managing a herd of animals moving about freely
James et al. Group housing and feeding systems for calves—Opportunities and challenges
US20230309509A1 (en) Smart integrated system for monitoring and feeding pets
KR20200076976A (ko) 무게측정장치를 구비한 반려동물 자동급식장치 및 인터넷상에서의 자동급식시스템
KR100807799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원거리 가축 사육 시스템 처리 방법
KR102597873B1 (ko) 반려동물용 스마트 돌봄장치
KR20220001831A (ko) 인터넷 기반의 반려동물 원격건강관리 및 자동급식 시스템
KR20170065033A (ko) 가축의 물 섭취량 조사장치
KR20210058246A (ko)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원거리 가축을 위한 사육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