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148A -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148A
KR20210061148A KR1020190148994A KR20190148994A KR20210061148A KR 20210061148 A KR20210061148 A KR 20210061148A KR 1020190148994 A KR1020190148994 A KR 1020190148994A KR 20190148994 A KR20190148994 A KR 20190148994A KR 20210061148 A KR20210061148 A KR 20210061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panion animal
feed
product
data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666B1 (ko
Inventor
서영준
최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라스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라스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라스메디
Priority to KR1020190148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6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Abstract

반려동물의 유전자 정보를 활용하여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용품을 추천해주는 쇼핑 플랫폼을 운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취약 질병 및 알레르겐(allergen)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및 나이, 신체정보, 병력, 중성화 여부, 임신 여부, 출산 여부 및 활동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및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부는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를 기초로 필요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며, 필요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HOPPING PLATFORM OPERATING}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에 대한 기술로서 특히, 반려동물의 유전자 정보를 활용하여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용품을 추천해주는 쇼핑 플랫폼을 운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반려동물 쇼핑 플랫폼은 반려동물의 용품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고객은 필요한 반려동물 용품을 직접 검색하여 구매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최근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고객의 구매 정보를 분석하여 고객 맞춤형 제품을 추천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다만, 고객의 구매 정보를 분석하여 제품을 추천하는 경우, 고객의 취향만을 방영할 뿐 실제 반려동물의 특성을 반영한 제품을 추천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의 특성을 반영하여 제품을 추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반려동물의 유전자 정보를 활용하여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용품을 추천해주는 쇼핑 플랫폼을 운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취약 질병 및 알레르겐(allergen)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및 나이, 신체정보, 병력, 중성화 여부, 임신 여부, 출산 여부 및 활동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및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부는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를 기초로 필요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며, 필요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는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필요 영양성분 종류 및 필요 영양성분 필요량을 계산하며, 반려동물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 영양성분 필요량의 가중치를 계산하며, 필요 영양성분 종류 및 필요 영양성분 필요량의 가중치가 반영된 필요 영양성분의 필요량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을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구성 성분 정보 및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에 포함된 알레르겐에 기초하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 중 알레르겐을 포함하는 제품을 제외할 수 있다.
반려동물 용품 정보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 및 사료 제품 추천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수량에 기초하여 소정 시점에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의 성장 단계, 임신 단계 및 출산 단계 중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현재 반려동물이 해당하는 단계의 잔여 기간을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수량을 계산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는 반려동물의 놀이시간 및 산책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활동량 확인 요청 정보를 소정 주기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활동량 확인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놀이시간 및 산책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활동량 정보를 수신하며, 활동량 정보를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일일 제공량을 계산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는 사료 일일 제공량 및 사료 일일 섭취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료 섭취량 확인 요청 정보를 소정 주기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료 섭취량 확인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사료 일일 제공량 및 사료 일일 섭취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료 섭취량 확인 정보를 수신하며, 사료 섭취량 확인 정보를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선호도를 계산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는 사료 섭취량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사료 섭취량이 소정 범위 이상 감소된 경우 사용자 단말에 반려동물의 건강 이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는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반려동물의 활동성 및 반려동물의 미용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제품 효능 확인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품 효능 확인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제품 효능 확인 정보를 수신하며, 제품 효능 확인 정보를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방법은 취약 질병 및 알레르겐(allergen)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및 나이, 신체정보, 병력, 중성화 여부, 임신 여부, 출산 여부 및 활동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및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를 기초로 필요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며, 필요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유전자 정보를 활용하여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용품을 추천해줌으로써 반려동물에게 발생할 수 있는 질병 및 알레르기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여 제품의 종류 및 수량을 계산하여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적합한 제품을 적절한 시기에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쇼핑 플랫폼 운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저장부(110) 및 데이터 처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저장부(110)는 취약 질병 및 알레르겐(allergen)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및 나이, 신체정보, 병력, 중성화 여부, 임신 여부, 출산 여부 및 활동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또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또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는 반려동물의 유전자를 분석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의 유전자 분석 데이터 베이스 또는 반려동물 종류별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외부의 반려동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부(120)는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및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반려동물 용품 정보는 사료 제품, 놀이 제품, 의류 제품, 배변 제품, 미용 제품 및 액세서리 제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부(120)는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를 기초로 필요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처리부(120)는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를 통하여 반려동물에게 발생할 위험이 있는 질병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반려견의 경우, 데이터 처리부(120)는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를 통하여 신경성 질환, 약제 민감성 질환, 신장 질환, 근골격계 질환, 안과 질환, 출혈성 질환 및 대사성 질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반려묘의 경우, 데이터 처리부(120)는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를 통하여 안과 질환, 대사성 질환, 심장 질환 및 신장 질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데이터 처리부(120)는 추출된 질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필요한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20)는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필요 영양성분 종류 및 필요 영양성분 필요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반려견이 안과 질환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120)는 비타민 A 및 루테인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는 비타민 A 및 루테인 성분이 포함된 고구마, 당근, 단호박 등에 대한 원재료 종류 및 필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반려견이 관절 질환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120)는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아연 및 오메가 3 지방산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는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아연 및 오메가 3 지방산 성분이 포함된 닭 연골, 초록입 홍합 등 어패류에 대한 원재료 종류 및 필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반려견이 아토피 질환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120)는 오메가 6 지방산, 오메가 3 지방산, 아연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는 오메가 6 지방산, 오메가 3 지방산, 아연 성분이 포함된 홍화씨유, 옥수수유, 콩기름 및 어패류 등에 대한 원재료 종류 및 필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부(120)는 반려동물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 영양성분 필요량의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반려동물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이 출산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120)는 단백질 및 칼슘이 많이 필요한 바, 단백질 및 칼슘에 대한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반려동물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종류가 시츄이며, 성장단계상 노년기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120)는 신부전을 예방하기 위하여 육류 및 오메가 6 지방산에 대한 가중치를 낮추며, 오메가 3 지방산의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부(120)는 필요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20)는 필요 영양성분 종류 및 필요 영양성분 필요량의 가중치가 반영된 필요 영양성분의 필요량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사료 제품은 일반 사료, 반려동물용 간식, 반려동물용 건강기능식품 등 반려동물이 섭취할 수 있는 모든 식료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처리부(120)는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에 등록된 사료 제품의 구성 성분 정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부(120)는 등록된 사료 제품들 중 필요 영양성분 종류 및 필요 영양성분 필요량을 만족시키는 사료 제품을 추출하여 사료 제품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120)는 하나의 사료 제품으로 필요 영양성분 종류 및 필요 영양성분 필요량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2개 이상의 사료 제품을 결합하여 사료 제품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부(120)는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구성 성분 정보 및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에 포함된 알레르겐에 기초하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 중 알레르겐을 포함하는 제품을 제외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20)는 반려동물 필요 영양성분 종류 및 필요 영양성분 필요량에 기초하여 비타민 A 및 루테인 성분이 포함된 고구마, 당근, 단호박을 포함하고 있는 사료 A 및 사료 B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사료 A는 단백질 성분으로 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료 B는 단백질 성분으로 닭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상 반려동물의 알레르겐이 콩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120)는 콩을 포함하고 있는 사료 A를 제외하고 사료 제품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용품 정보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 및 사료 제품 추천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수량에 기초하여 소정 시점에 사용자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20)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일일 사료 섭취량을 추정할 수 있으며, 사료 제품의 수량을 일일 섭취량으로 나누어 추천된 사료 제품의 소진 시기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데이터 처리부(120)는 이전 반려동물 용품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반려동물 용품 정보 전송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처리부(120)는 이번에 생성된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기초로 다음 생성되는 반려동물 용품 정보의 전송 시점을 계산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부(120)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의 성장 단계, 임신 단계 및 출산 단계 중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데이터 처리부(12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반려동물의 나이, 임산 여부, 출산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2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반려동물이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데이터 처리부(120)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기초로 각 단계의 기간을 알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려동물의 성장 단계는 유년기, 성년기 및 노년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120)는 특정 종의 반려동물의 유년기 기간, 성년기 기간 및 노년기 기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A종의 반려동물의 유년기는 생후부터 10개월까지, 성견기는 생후 10개월부터 생후 10년까지, 노년기는 생후 10년 이후일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2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반려동물의 나이를 알 수 있으며, 해당 나이를 기초로 현재 반려동물이 해당되는 성장 단계를 알 수 있다. 도 2(a)에서 화살표는 반려동물이 현재 해당하는 성장 단계상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 다른 예로, 데이터 처리부(120)는 특정 종의 반려동물의 임신 기간 및 출산후 관리 기간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A종의 반려동물의 임신 기간은 6개월, 출산 후 관리 기간은 3개월일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20)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반려동물의 임신 시점 또는 출산 시점을 알 수 있으며, 해당 시점을 기초로 현재 반려동물이 해당되는 임신/출산 단계를 알 수 있다. 도 2(b)에서 화살표는 반려동물이 현재 해당하는 임신/출산 단계상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부(120)는 현재 해당 단계가 종료되는 시점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A종의 반려동물의 유년기는 생후부터 10개월까지이며, 현재 반려동물의 나이가 생후 6개월인 경우, 데이터 처리부(120)는 유년기 단계가 종료되는 시점이 약 4개월 남았음을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A종의 반려동물의 임신 기간은 6개월이며, 현재 반려동물이 임신한지 4개월이 된 경우, 데이터 처리부(120)는 임신 단계가 종료되는 시점이 약 2개월 남았음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부(120)는 반려동물이 해당하는 현재 단계의 잔여 기간을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수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20)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 동물의 일일 섭취량을 알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20)는 반려동물이 해당하는 현재 단계의 잔여 기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부(120)는 반려동물의 일일 섭취량 및 잔여 기간을 곱하여 현재 단계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필요한 사료 제품의 수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일일 섭취량이 100g이며, 잔여 기간이 2개월인 경우, 현재 단계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필요한 사료 제품의 수량은 약 6kg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부(120)는 사료 제품 각각의 판매 단위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료 A의 경우, 판매단위가 3kg, 5kg, 10kg일 수 있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단계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필요한 사료 제품의 수량은 약 6kg인 경우, 데이터 처리부(120)는 사료 A의 필요 수량을 3kg 단위 제품 2개로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현재 단계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필요한 사료 제품의 수량이 판매 단위로 표현할 수 없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120)는 필요한 사료 제품의 수량에 가장 근접한 판매 단위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단계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필요한 사료 제품의 수량은 약 4kg인 경우, 데이터 처리부(120)는 사료 A의 필요 수량을 3kg 단위 제품 1개 또는 5kg 단위 제품 1개로 계산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반려동물의 놀이시간 및 산책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활동량 확인 요청 정보를 소정 주기로 사용자 단말(3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310)은 도 3(a)와 같이 놀이시간 및 산책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10)은 사용자로부터 놀이시간 및 산책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입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입력된 정보를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활동량 확인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놀이시간 및 산책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활동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놀이시간은 30분이며, 산책시간은 1시간 10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활동량 정보를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일일 제공량을 계산하여 사용자 단말(3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사료 제품의 일일 제공량은 반려동물의 기초 대사량 및 하루 활동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반려동물의 종류, 나이, 임신 여부, 중성화 여부 등의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기초로 기초 대사량 및 활동량에 따른 필요 열량을 추정할 수 있다. 이후,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활동량에 따른 필요 열량에 활동량 정보를 곱하여 활동량에 따른 열량 소모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열량 소모량과 기초 대사량을 더하여 일일 필요 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반려동물이 섭취하고 있는 사료 제품의 단위 열량을 기초로 사료 제품의 일일 제공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기초 대사량이 1000kcal, 일일 소모 열량 500kcal인 경우, 반려동물의 일일 필요 열량은 1500kcal가 될 수 있다. 이때, 반려동물이 섭취하고 있는 사료 A의 단위 열량이 1500kcal/100g인 경우,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사료 제품의 일일 제공량을 100g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사료 일일 제공량 및 사료 일일 섭취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료 섭취량 확인 요청 정보를 소정 주기로 사용자 단말(3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320)은 도 3(b)와 같이 사료 제공량 및 사료 섭취량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20)은 사용자로부터 사료 제공량 및 사료 섭취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입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입력된 정보를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20)로부터 사료 섭취량 확인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사료 일일 제공량 및 사료 일일 섭취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료 섭취량 확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사료 제공량은 130g이며, 사료 섭취량은 10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사료 섭취량 확인 정보를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선호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사료 A에 대하여 일일 사료 제공량의 80%를 섭취하고, 사료 B에 대하여 일일 사료 제공량의 100%를 섭취하는 경우,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반려동물이 사료 B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사료 섭취량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사료 섭취량이 소정 범위 이상 감소된 경우 사용자 단말(320)에 반려동물의 건강 이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사료 제공량의 30% 이상의 사료를 남기는 경우,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반려동물의 건강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평균 사료 섭취량의 20% 이상의 사료를 남기는 경우,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반려동물의 건강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반려동물의 건강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320)에 반려동물의 건강 이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사료 섭취량과 관련이 있는 질병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32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질문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문 정보는 반려동물의 체중, 체온, 걸음걸이, 소변 및 대변 상태 등에 대한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질문 정보에 대한 응답을 사용자 단말(32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초로 반려동물이 해당할 수 있는 질병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2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반려동물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초로 반려동물이 해당할 수 있는 질병을 개선시킬 수 있는 사료 제품, 의료 제품 및 치료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2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반려동물의 활동성 및 반려동물의 미용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제품 효능 확인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3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330)은 도 3(c)와 같이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반려동물의 활동성 및 반려동물의 미용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30)은 사용자로부터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반려동물의 활동성 및 반려동물의 미용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입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입력된 정보를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30)로부터 제품 효능 확인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건강 호전도, 활동 증가도, 및 모질 향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품 효능 확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제품 효능 확인 정보를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료 A에 대한 제품 효능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결과, 도 3(c)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건강 호전도는 호전되었으나, 활동량과 모질이 악화된 경우,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는 활동량 및 모질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사료 A를 사료 B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100)의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도 4는 쇼핑 플랫폼 운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취약 질병 및 알레르겐(allergen)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및 나이, 신체정보, 병력, 중성화 여부, 임신 여부, 출산 여부 및 활동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410).
일 예를 들어,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또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또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는 반려동물의 유전자를 분석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의 유전자 분석 데이터 베이스 또는 반려동물 종류별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외부의 반려동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및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420).
일 예를 들어, 반려동물 용품 정보는 사료 제품, 놀이 제품, 의류 제품, 배변 제품, 미용 제품 및 액세서리 제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를 기초로 필요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를 통하여 반려동물에게 발생할 위험이 있는 질병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추출된 질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필요한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필요 영양성분 종류 및 필요 영양성분 필요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반려동물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 영양성분 필요량의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예로, 반려동물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이 출산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단백질 및 칼슘이 많이 필요한 바, 단백질 및 칼슘에 대한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반려동물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종류가 시츄이며, 성장단계상 노년기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신부전을 예방하기 위하여 육류 및 오메가 6 지방산에 대한 가중치를 낮추며, 오메가 3 지방산의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필요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필요 영양성분 종류 및 필요 영양성분 필요량의 가중치가 반영된 필요 영양성분의 필요량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사료 제품은 일반 사료, 반려동물용 간식, 반려동물용 건강기능식품 등 반려동물이 섭취할 수 있는 모든 식료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구성 성분 정보 및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에 포함된 알레르겐에 기초하여 결정된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 중 알레르겐을 포함하는 제품을 제외할 수 있다.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430). 일 예에 따르면, 반려동물 용품 정보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 및 사료 제품 추천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수량에 기초하여 소정 시점에 사용자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일일 사료 섭취량을 추정할 수 있으며, 사료 제품의 수량을 일일 섭취량으로 나누어 추천된 사료 제품의 소진 시기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이전 반려동물 용품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반려동물 용품 정보 전송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는 이번에 생성된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기초로 다음 생성되는 반려동물 용품 정보의 전송 시점을 계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영역, 개념 등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영역, 개념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소정 영역 또는 개념을 다른 영역 또는 개념과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예에서 제1 부분으로 언급된 부분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부분으로 언급될 수도 있다.
100: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110: 저장부
120: 데이터 처리부
310, 320, 330: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취약 질병 및 알레르겐(allergen)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및 나이, 신체정보, 병력, 중성화 여부, 임신 여부, 출산 여부 및 활동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및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를 기초로 필요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필요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생성하는,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필요 영양성분 종류 및 필요 영양성분 필요량을 계산하며,
    상기 반려동물 정보에 기초하여 필요 영양성분 필요량의 가중치를 계산하며,
    상기 필요 영양성분 종류 및 필요 영양성분 필요량의 가중치가 반영된 필요 영양성분의 필요량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을 결정하는,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구성 성분 정보 및 상기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에 포함된 알레르겐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 중 상기 알레르겐을 포함하는 제품을 제외하는,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용품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 특성 정보 및 상기 사료 제품 추천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수량에 기초하여 소정 시점에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의 성장 단계, 임신 단계 및 출산 단계 중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현재 반려동물이 해당하는 단계의 잔여 기간을 기초로 상기 사료 제품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수량을 계산하는,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반려동물의 놀이시간 및 산책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활동량 확인 요청 정보를 소정 주기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활동량 확인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놀이시간 및 산책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활동량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활동량 정보를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일일 제공량을 계산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사료 일일 제공량 및 사료 일일 섭취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사료 섭취량 확인 요청 정보를 소정 주기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료 섭취량 확인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사료 일일 제공량 및 사료 일일 섭취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료 섭취량 확인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사료 섭취량 확인 정보를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선호도를 계산하는,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사료 섭취량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사료 섭취량이 소정 범위 이상 감소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반려동물의 건강 이상 정보를 전송하는,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반려동물의 활동성 및 반려동물의 미용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제품 효능 확인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품 효능 확인 요청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제품 효능 확인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품 효능 확인 정보를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사료 제품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10. 쇼핑 플랫폼 운영 방법에 있어서,
    취약 질병 및 알레르겐(allergen)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및 나이, 신체정보, 병력, 중성화 여부, 임신 여부, 출산 여부 및 활동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 및 반려동물 특성 정보를 기초로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려동물 유전자 분석 정보를 기초로 필요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필요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료 제품 추천 정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용품 정보를 생성하는, 쇼핑 플랫폼 운영 방법.
KR1020190148994A 2019-11-19 2019-11-19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및 방법 KR102321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994A KR102321666B1 (ko) 2019-11-19 2019-11-19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994A KR102321666B1 (ko) 2019-11-19 2019-11-19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148A true KR20210061148A (ko) 2021-05-27
KR102321666B1 KR102321666B1 (ko) 2021-11-04

Family

ID=76135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994A KR102321666B1 (ko) 2019-11-19 2019-11-19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6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264B1 (ko) * 2022-08-11 2023-01-13 주식회사 코키 반려동물의 상태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급여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72933B1 (ko) * 2022-11-14 2023-08-31 주식회사 반려생활 머신러닝 기반 반려동물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513A (ko) * 2014-04-30 2015-11-09 최사례아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6518818A (ja) * 2013-03-15 2016-06-30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カスタムペットフードを発注及び製造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60081468A (ko) * 2014-12-31 2016-07-08 홍상민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KR20180078458A (ko) * 2016-12-30 2018-07-10 이경문 동물 개체별 맞춤형 식료품 제공 방법
KR20180107630A (ko) * 2017-03-22 2018-10-02 장재원 반려동물 용품 선택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8818A (ja) * 2013-03-15 2016-06-30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カスタムペットフードを発注及び製造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125513A (ko) * 2014-04-30 2015-11-09 최사례아 반려동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1468A (ko) * 2014-12-31 2016-07-08 홍상민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KR20180078458A (ko) * 2016-12-30 2018-07-10 이경문 동물 개체별 맞춤형 식료품 제공 방법
KR20180107630A (ko) * 2017-03-22 2018-10-02 장재원 반려동물 용품 선택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264B1 (ko) * 2022-08-11 2023-01-13 주식회사 코키 반려동물의 상태정보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급여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72933B1 (ko) * 2022-11-14 2023-08-31 주식회사 반려생활 머신러닝 기반 반려동물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666B1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llick et al. Broiler poultry feed cost optimization using linear programming technique
US9959561B2 (en) Simplenutrition nutritional management system
US201401411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customized blend of pet food
US202300421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optimal growth in animals
US11538087B2 (en) Pet food recommendation devices and methods
Dodd et al. A cross-sectional study of owner-reported health in Canadian and American cats fed meat-and plant-based diets
Graça Towards an integrated approach to food behaviour: Meat consumption and substitution, from context to consumers
CA26165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animal production using genotype information
KR102188099B1 (ko) 반려동물의 성장 관리 시스템
KR102321666B1 (ko) 쇼핑 플랫폼 운영 장치 및 방법
KR20210050361A (ko) 반려동물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6893A (ko) 제품성분 분석 기반 반려동물 맞춤형 펫푸드 추천 시스템
Mehar et al. Fish trait preferences: a review of existing knowledge and implications for breeding programmes
Serisier et al. Seasonal variation in the voluntary food intake of domesticated cats (Felis catus)
Vondran A two pan feeding trial with companion dogs: considerations for future testing
Nielson et al. Dog caregivers’ perceptions, motivations, and behaviours for feeding treats: A cross sectional study
US11675846B2 (en) Nutritional balance providing system based on pet health information
Vercoe Inter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in Asia: an assessment of priorities for Asian livestock research and development
KR102574972B1 (ko) 맞춤형 반려견 사료 추천 방법 및 그 서버
RU2800013C2 (ru)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представления рекомендации по кормам дл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KR102439475B1 (ko) 데이터 기반 수산물사료 위치 추적 및 잉여 농수산물 추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94193B1 (ko) 반려동물 최적 건강관리 시스템
US20210176970A1 (en) Smart Pet Feeding System
Ruggeri et al. Consumers' awareness of animal welfare issues and livestock innovations: a PLS–SEM approach
Van Groningen et al. Economic evaluations of beef bulls in an integrated supply 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