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327B1 -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 - Google Patents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327B1
KR102392327B1 KR1020200180573A KR20200180573A KR102392327B1 KR 102392327 B1 KR102392327 B1 KR 102392327B1 KR 1020200180573 A KR1020200180573 A KR 1020200180573A KR 20200180573 A KR20200180573 A KR 20200180573A KR 102392327 B1 KR102392327 B1 KR 102392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
information
main server
nozzl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신동
최용우
문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재영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재영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재영소프트
Priority to KR1020200180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6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actuated by the anim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12Measuring electrostatic fields or voltage-potent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Zo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험 또는 반려동물의 급수상태를 측정하고, 동물의 일별, 월별 급수량을 수집하여 빅 데이터(big data)화한 자료를 토대로 현재 사육하는 동물의 급수량 등을 비교하여 건강상태를 판단하고, 실험 또는 반려동물에게 액상의 약을 적합한 양으로 투약하기 위한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은 액체가 저장되는 공급용기; 상기 공급용기 하부에 설치된 도전체의 노즐부; 상기 노즐부를 감싸면서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노즐부의 외면과 접하는 도전부가 내장된 노즐장착부; 상기 노즐장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전부와 연결되는 센서슬롯부; 상기 센서슬롯부에 삽입되는 정전기센서 및 상기 정전기센서의 정보를 수집하여 무선 송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정전기센서의 정보를 입력받아 연산처리하여 종합적으로 판단된 정보를 출력하는 메인서버; 및 상기 메인서버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휴대용단말기를 포함하고, 동물이 상기 공급용기에 포함된 상기 액체를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부에 접촉하면, 상기 정전기센서에 의하여 접촉시각 및 접촉시간이 감지되고 상기 접촉시각 및 접촉시간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메인서버는 무선으로 상기 휴대용단말기에 상기 접촉시각 및 접촉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Animal liquid intake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본 발명은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험 또는 반려동물의 급수상태를 측정하고, 동물의 일별, 월별 급수량을 수집하여 빅 데이터(Big Data)화한 자료를 토대로 현재 사육하는 동물의 급수량 등을 비교하여 건강상태를 판단하고, 실험 또는 반려동물에게 액상의 약을 적합한 양으로 투약하기 위한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려견, 햄스터 등 반려동물 또는 애완동물의 개체수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반려동물과 관련된 산업 역시 급속한 성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의 건강상태가 사람들에게 큰 관심사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 정도로는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명확히 알기 어려우며, 확인할 정도로 증상이 심각해진 경우에는 이미 치료시기가 늦어 동물병원에 가더라도 죽음에 이르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더욱이, 주위 사람을 통한 잘못된 정보에 의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많아, 보다 체계적인 반려동물의 건강관리가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근래의 반려동물 자동급식 시스템은 사용자가 일정시간 또는 양을 설정해서 장치가 자동으로 먹이를 제공하는 방식과 사용자가 원격으로 급식 장치를 제어해서 먹이를 제공하는 방식 그리고 반려동물의 요구가 있을 경우를 파악해서 자동으로 먹이를 제공하는 방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반려동물에게 먹이를 제공 줄 수 없는 환경에서 자동급식 장치가 사용자를 대신해서 반려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는 있지만 다수의 반려동물을 키우는 환경에서는 개체별 반려동물들이 먹이를 각 얼마만큼 섭취했는지 일일이 파악할 수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동물실험은 생쥐, 집쥐, 기니피그, 토끼, 햄스터 등의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의약품의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하거나 농약이나 화장품이나 식품 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동물실험은 실험동물이 케이지의 사육공간 내에서 사육되면서 액체를 얼마만큼 섭취했는지를 측정하여 액체의 섭취량에 따라 실험동물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면서 액체에 대한 효능과 안전성 등을 확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를 위해 실험동물이 사육되는 케이지(cage)의 내부에는 액체가 담기는 액체 공급용기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시스템은 실험동물에 대한 액체의 섭취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고 이러한 실험동물의 액체 섭취량에 따른 실험결과 또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8819호, 발명의 명칭 "동물실험용 액체 섭취량 측정장치" (등록일자 2017.02.1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실험 또는 반려동물의 급수상태를 측정하고, 동물의 일별, 월별 급수량을 수집하여 빅 데이터(Big Data)화한 자료를 토대로 현재 사육하는 동물의 급수량 등을 비교하여 건강상태를 판단하고, 실험 또는 반려동물에게 액상의 약을 적합한 양으로 투약할 수 있는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은 액체가 저장되는 공급용기; 상기 공급용기 하부에 설치된 도전체의 노즐부; 상기 노즐부를 감싸면서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노즐부의 외면과 접하는 도전부가 내장된 노즐장착부; 상기 노즐장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전부와 연결되는 센서슬롯부; 상기 센서슬롯부에 삽입되는 정전기센서 및 상기 정전기센서의 정보를 수집하여 무선 송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정전기센서의 정보를 입력받아 연산처리하여 종합적으로 판단된 정보를 출력하는 메인서버; 및 상기 메인서버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휴대용단말기를 포함하고, 동물이 상기 공급용기에 포함된 상기 액체를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부에 접촉하면, 상기 정전기센서에 의하여 접촉시각 및 접촉시간이 감지되고 상기 접촉시각 및 접촉시간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메인서버는 무선으로 상기 휴대용단말기에 상기 접촉시각 및 접촉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특성 및 물과 먹이의 섭취 패턴을 감지하여 반려동물의 현재 건강 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의 건강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빅 데이터를 토대로 반려동물에 최적의 정량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의 양호한 건강관리가 가능하다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 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 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 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실험 또는 반려동물의 급수상태를 측정하고, 동물의 일별, 월별 급수량을 수집하여 빅 데이터(Big Data)화한 자료를 토대로 현재 사육하는 동물의 급수량 등을 비교하여 건강상태를 판단하고, 실험 또는 반려동물에게 액상의 약을 적합한 양으로 투약하기 위한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 개체별 반려동물들이 먹이를 각 얼마만큼 섭취했는지 일일이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 및 실험동물에 대한 액체의 섭취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데 한계로 인한 실험동물의 액체 섭취량에 따른 실험결과 또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 등을 해소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100)은 액체가 저장되는 공급용기(110); 상기 공급용기(110) 하부에 설치된 도전체의 노즐부(120); 상기 노즐부(120)를 감싸면서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노즐부(120)의 외면과 접하는 도전부(131)가 내장된 노즐장착부(130); 상기 노즐장착부(1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전부(131)와 연결되는 센서슬롯부(140); 상기 센서슬롯부(140)에 삽입되는 정전기센서(150) 및 상기 정전기센서(150)의 정보를 수집하여 무선 송신하는 통신모듈(160); 상기 통신모듈(160)을 통하여 상기 정전기센서(150)의 정보를 입력받아 연산처리하여 종합적으로 판단된 정보를 출력하는 메인서버(170); 및 상기 메인서버(170)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휴대용단말기(180)를 포함한다.
또한, 동물이 상기 공급용기(110)에 포함된 상기 액체를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부(120)에 접촉하면, 상기 정전기센서(150)에 의하여 접촉시각 및 접촉시간이 감지되고 상기 접촉시각 및 접촉시간은 상기 통신모듈(160)을 통하여 상기 메인서버(170)로 전송되며, 상기 메인서버(170)는 무선으로 상기 휴대용단말기(180)에 상기 접촉시각 및 접촉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동물이 수용되는 케이지(cage)(19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케이지(190) 일측에 상기 공급용기(110)가 설치되되 상기 노즐부(120)가 상기 케이지(190) 내로 소정 길이 삽입된다.
그럼,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100)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100)은 공급용기(110), 노즐부(120), 노즐장착부(130), 센서슬롯부(140), 정전기센서(150), 통신모듈(160), 메인서버(170) 및 휴대용단말기(180) 등을 포함한다.
공급용기(11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실험동물이나 반려동물이 흡수하는 물(water) 또는, 액상의 약 등이 담겨 지는 용기이다.
하지만, 공급용기(110)는 동물에게 공급하는 음료 등을 원활하게 제공하는 용기로, 그 형상 등을 제한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노즐부(120)는 공급용기(11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급용기(110) 내에 있는 액상의 물질이 자중에 의해서 하방으로 흘러나올 수 있는 노즐형 구성으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진다.
즉, 노즐부(120)는 공급용기(110) 하부에 설치된 도전체의 금속재로, 동물이 물 등을 습취하기 위하여 접촉하는 부재이다.
노즐장착부(130)는 탈부착 가능한 장치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120)를 내부에 감싸는 부재이다.
특히, 노즐장착부(130)는 노즐부(120)의 외면과 접하는 도전부(131)가 형성되어 동물이 노즐부(120)를 통하여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정전기센서(150)에 용이하게 전달하게 한다.
센서슬롯부(140)는 노즐장착부(130)의 일측에 형성되되 도전부(131)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센서슬롯부(140)는 USB 포트와 같이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로 정전기센서(150) 삽입이 용이하게 한다.
즉, 센서슬롯부(140)는 도전부(131)와 연결되어 삽입된 정전기센서(150)에 전기신호를 전달한다.
정전기센서(150)는 인체와 금속의 터치 및 낮은 전압을 인식하는 터치센서로, 센서슬롯부(140)에 삽입되거나 탈거될 수 있다.
즉, 정전기센서(150)는 정전식 터치 센서로, 동물이 공급용기(110)에 포함된 액체를 흡입하기 위하여 노즐부(120)에 접촉하면, 도전부(131)를 거쳐 센서슬롯부(140)를 통하여 접촉시각 및 접촉시간이 감지된다.
또한, 정전기센서(150)는 센서슬롯부(140)에 탈부착이 용이하므로, 고장시 쉽게 교체할 수 있고 관리유지가 용이하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하나의 제품(SKU : DFR0030)일 수 있다.
통신모듈(160)는 정전기센서(150)의 정보를 수집하여 무선 송신하는 모듈로, 정전기센서(150)와 일체로 부착되어 센서슬롯부(140)에 삽입되거나 탈거될 수 있다.
참고로, 통신모듈(160)는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모듈 등 다양한 통신모듈로 형성될 수 있고, 경제성 및 가정환경의 특성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현재 널리 보급되고 있는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는 근거리, 일대다, 음성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에 대한 표준이며, 금속이 아닌 고체를 통과해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는 약 10cm에서 10m에 이르는 거리 내의 단말 간 통신이 가능하고, 전파를 높이면 100m까지도 확장할 수 있다. 블루투스는 2.4GHz 대역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 (2.402GHz ~ 2.480GHz)을 이용하며, 1Mbps의 전송 속도와, 간섭방지를 위한 주파수 호핑 방식(79/23 hop, 1600 hop/sec)을 이용하며, 저소비 전력(대기상태 0.3mA, 송수신시 최대 30mA)이 가능하고, 전송거리 10m 및 Option으로 100m까지 가능하다. 블루투스는 신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대역에 있어서 2.4GHz~2.402GHz 사이의 로우 가드 밴드와, 2.48GHz ~ 2.4835GHz 사이의 업 가드 밴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블루투스는 송신 파워에 따라 클래스로 구분되며, 클래스 1,2,3의 송신 파워는 각 100mW, 25mW, 1mW로 정의된다.
또한, 블루투스는 GFSK (Guassian Frequency Shift Keying) 변조방식을 이용하며 A-Law, u-Law PCM, CVSDs(Continuous Variable Slope Delta Modulation) 3채널의 Voice 지원이 가능하다.
지그비는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 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로서, IEEE802154에서 표준화가 진행되며, 듀얼 PHY 형태로 주파수 대역은 2.4GHz, 868/915MHz를 사용하고, 모뎀 방식은 직접 확산 스펙트럼(DS-SS)이며, 데이터 전송속도는 20 ~ 250kbps이다.
메인서버(170)는 통신모듈(160)을 통하여 정전기센서(150)의 정보를 입력받아 연산처리하여 종합적으로 판단된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또한, 메인서버(170)는 다른 전자장치와 유무선 연결되어 데이터로 송수신되고 송수신 데이터를 연산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장치이다.
즉, 메인서버(170)는 동물이 노즐부(120)에 접촉하여 시간당 제공되는 액체양 정보를 저장하고, 동물이 액체를 섭취하면 통신모듈(160)를 통하여 정전기센서(150)의 접촉시각 및 접촉시간 정보를 입력받아 동물의 개체정보에 기록하며, 휴대용단말기(180)에 동물 케이지(190)별 액체 섭취량을 산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휴대용단말기(180)는 일반인들이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메인서버(170)와 무선으로 송수신한다.
참고로, 휴대용단말기(180)는 단말기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단말기의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및 메인서버(170)와 정보교환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등이 포함되어 있다.
케이지(cage)(190)는 동물을 가두어 둘 수 있는 우리 또는 구조물로, 통풍이 잘되는 박스형상 등으로 동물을 수용된다.
또한, 케이지(cage)(190)는 일측에 공급용기(110)가 설치되되 노즐부(120)가 내부로 소정 길이 삽입되게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측정시스템(100)은 실험동물 또는 반려동물의 급수상태를 측정하거나, 동물의 일별, 월별 급수량을 수집하여 빅데이터(Big Data)화한 자료와 현재 사육하는 동물의 급수량을 비교하여 건강상태를 측정하거나, 실험동물 또는 반려동물에게 액체상태의 약의 투약량 측정을 하기 위하여 발명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측정시스템(100)은 정전기센서(150)를 이용하여 동물의 액체 섭취량 측정하는데, 사용한 노즐부(120)의 1회 접촉시간당 평균 액체 제공량을 미리 측정하여 메인서버(170)에 정보를 저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노즐장착부(130) 일측에 센서슬롯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전기센서(150)는 센서슬롯부(140)에 삽입하여 동물이 액체를 섭취하면서 노즐부(120)을 접촉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접촉이 행해지는 시간, 접촉한 시각 등이 메인서버(170)에 전달되어 기록된다.
또한, 메인서버(170)는 전달받은 정보를 토대로 동물의 개체정보별 액체 섭취량을 연산처리하여 산출하며, 휴대용단말기(180)에 동물 케이지(190) 별(단일 또는 여러 개의 케이지) 액체 섭취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동물이 공급용기(110)에 포함된 액체를 흡입하기 위하여 노즐부(120)에 접촉하면, 정전기센서(150)에 의하여 접촉시각 및 접촉시간이 감지되고 상기 접촉시각 및 접촉시간은 통신모듈(160)을 통하여 메인서버(170)로 전송되며, 상기 메인서버(170)는 무선으로 휴대용단말기(180)에 상기 접촉시각 및 접촉시간 정보를 토대로 산출된 종합적으로 판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반려동물의 특성 및 물과 먹이의 섭취 패턴을 감지하여 반려동물의 현재 건강 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의 건강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메인서버(170)에 저장된 빅 데이터(Big Data)를 토대로 반려동물에 최적의 정량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의 양호한 건강관리가 가능하다는 이점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이 제안하는 측정시스템
110 : 공급용기
120 : 노즐부
130 : 노즐장착부
140 : 센서슬롯부
150 : 정전기센서
160 : 통신모듈
170 : 메인서버
180 : 휴대용단말기

Claims (1)

  1. 액체가 저장되는 공급용기;
    상기 공급용기 하부에 설치된 도전체의 노즐부;
    상기 노즐부를 감싸면서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노즐부의 외면과 접하는 도전부가 내장된 노즐장착부;
    상기 노즐장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전부와 연결되는 센서슬롯부;
    상기 센서슬롯부에 삽입되는 정전기센서 및 상기 정전기센서의 정보를 수집하여 무선 송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정전기센서의 정보를 입력받아 연산처리하여 종합적으로 판단된 정보를 출력하는 메인서버;
    상기 메인서버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휴대용단말기; 및
    동물이 수용되는 케이지(cage);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 일측에 상기 공급용기가 설치되되 상기 노즐부가 상기 케이지 내로 소정 길이 삽입되며,
    상기 동물이 상기 공급용기에 포함된 상기 액체를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부에 접촉하면, 상기 정전기센서에 의하여 접촉시각 및 접촉시간이 감지되고 상기 접촉시각 및 접촉시간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메인서버는 무선으로 상기 휴대용단말기에 상기 접촉시각 및 접촉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
KR1020200180573A 2020-12-22 2020-12-22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 KR102392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73A KR102392327B1 (ko) 2020-12-22 2020-12-22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573A KR102392327B1 (ko) 2020-12-22 2020-12-22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327B1 true KR102392327B1 (ko) 2022-04-29

Family

ID=8142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573A KR102392327B1 (ko) 2020-12-22 2020-12-22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3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296A (ko) * 2015-02-12 2016-08-22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센서 패드를 이용한 스마트 자동 급식시스템
KR101708819B1 (ko) 2015-02-02 2017-02-21 김지수 동물실험용 액체 섭취량 측정장치
KR20200097521A (ko) * 2019-02-08 2020-08-19 신종섭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819B1 (ko) 2015-02-02 2017-02-21 김지수 동물실험용 액체 섭취량 측정장치
KR20160099296A (ko) * 2015-02-12 2016-08-22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센서 패드를 이용한 스마트 자동 급식시스템
KR20200097521A (ko) * 2019-02-08 2020-08-19 신종섭 반려동물 급식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5204B2 (en) Wireless vaginal sensor probe
US8077039B2 (en) Physiological sensor system with automatic authentication and validation by means of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protocol with an integrated RFID interrogator system
CA2911882C (en) Animal health monitoring system
BR112017009451B1 (pt) Sistema de monitoramento de saúde de animal
US20130201033A1 (en) Sensor systems wirelessly utilizing power infrastructur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4685322A (zh) 无线可穿戴设备、系统和方法
KR100926577B1 (ko) 온도센서가 탑재된 가축용 이표를 이용한 가축 관리장치
CN102740767A (zh) 能够进行无线通信的便携式eeg监控系统
KR101402732B1 (ko)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
CN101652094B (zh) 带有安全电连接器的电子器械组件
KR102219300B1 (ko) 온도 및 활동량 센서를 탑재한 가축의 생체내 삽입모듈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의 분만 이상징후 관찰 시스템
KR20140067195A (ko) 가축의 경구투여용 생체정보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CN108335743A (zh) 一种基于云平台的健康监护系统
KR102392327B1 (ko) 동물용 액체 섭취정보 측정시스템
RU2579331C2 (ru) Упаковка на основе пластика или волокна,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этой упаковкой
KR100941498B1 (ko) 맥박 측정용 압력센서를 이용한 가축 질병관리장치
KR102236702B1 (ko) Iot 반려동물용 스마트 식기
CN207532380U (zh) 一种便携式健康一体机
CN211723140U (zh) 一种动物体征监测装置及系统
CN213696915U (zh) 一种注入式测温计步系统
CN205621212U (zh) 一种火灾预警系统
CN206248674U (zh) 一种用于血糖测试的健康监测系统
JPWO2020106890A5 (ko)
CN213076088U (zh) 一种家畜用耳钉式无线体温计
CN213482665U (zh) 一种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