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048B1 - 유연패치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 웨어러블 장치 - Google Patents

유연패치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 웨어러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048B1
KR102158048B1 KR1020180098865A KR20180098865A KR102158048B1 KR 102158048 B1 KR102158048 B1 KR 102158048B1 KR 1020180098865 A KR1020180098865 A KR 1020180098865A KR 20180098865 A KR20180098865 A KR 20180098865A KR 102158048 B1 KR102158048 B1 KR 102158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module
coupling member
present
flexible patch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796A (ko
Inventor
김준철
박세훈
이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98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048B1/ko
Priority to PCT/KR2018/009762 priority patent/WO2020040328A1/ko
Publication of KR20200022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전극을 포함하는 전자모듈; 적어도 하나의 돌출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전극을 포함하는 유연패치; 및 유연패치의 접촉전극이 전자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전극에 밀착되도록, 유연패치의 일면과 전자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덮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연패치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 웨어러블 장치{Detachable Wearable Device Including Flexible Patch}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체정보를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들은 기판 위에 다양한 센서, 배터리 및 통신 모듈 등과 같은 유연하지 못한 부품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웨어러블 장치에는 체온, 심박수, ECG(Electrocardiography) 및 근전도 등 사용자의 신체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적용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피트니스용 제품들이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본 출원의 선행문헌으로 아래의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1) KR1020180000112 (2018.01.02.)
(특허문헌 2) KR1020160092409 (2016.08.04.)
본 발명의 목적은, 패키지와 모듈이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여 전기적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전극을 포함하는 전자모듈; 적어도 하나의 돌출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전극을 포함하는 유연패치; 및 유연패치의 접촉전극이 전자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전극에 밀착되도록, 유연패치의 일면과 전자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덮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전자모듈 및 유연패치의 일부를 수용하는 홈 또는 홀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또는 유연패치의 일면과 맞닿는 결합부재의 대향면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이 제공되어, 전자모듈 및 유연패치가 끼움홈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끼움홈이 제공된 위치에 따라 끼움홈의 일부와 나머지 일부의 깊이가 상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전자모듈 및 유연패치와 맞닿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탄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연패치 및 결합부재는 전자모듈로부터 탈착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연패치는 다수 개로 제공되며, 다수 개의 유연패치는 전자모듈의 각각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모듈은 다수개의 유연패치가 중첩되어 장착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요홈이 제공되어, 결합부재가 요홈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패키지와 모듈이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므로 전기적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모듈과 유연패치의 결합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재 및 전자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결합부재 및 전자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 개의 유연패치가 전자모듈 및 결합부재에 장착된 결합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모듈의 수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전자모듈과 유연패치의 결합단면도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웨어러블 장치는 기판 위에 다양한 센서, 배터리 및 통신 모듈 등과 같은 부품이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심장기능, 수면의 질, 운동량 및 근육의 움직임 정보 등 다양한 신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현재 시장에 출시된 대부분의 부착형 웨어러블 장치들은 유연 기판 위에 다양한 센서, 배터리 및 통신 모듈 등과 같은 유연하지 못한 부품을 동일한 패치 위에 배치한다. 이에 따라, 패치의 유연성이 제한될 뿐 아니라 신축성이 없어서 신체 부착사용에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패치의 탈부착이 불가능하므로 각각의 센서에 개별적으로 모듈이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더욱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장치는, 유연센서와 배선 등이 구성된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갖는 유연패치와 배터리 및 통신모듈 등을 소형 고집적화하여 구성된 전자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유연패치와 전자모듈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분리 구성됨에 따라, 전자모듈의 재사용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들의 크기, 두께 및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실제 웨어러블 장치에서는 이와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전자모듈의 크기는 의류와 같은 탈부착물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도면에서보다 더욱 납작한 평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전극(11)을 포함하는 전자모듈(10); 적어도 하나의 돌출전극(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전극(21)을 포함하는 유연패치(20); 및 유연패치(20)의 접촉전극(21)이 전자모듈(10)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전극(11)에 밀착되도록, 유연패치(20)의 일면과 전자모듈(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덮는 결합부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연패치(20) 및 결합부재(30)는 전자모듈(10)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전자모듈(10)은 유연패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유연패치(20)에 형성된 센서부(23)의 동작을 제어하고, 센서부(23)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변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와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전자모듈(10)은 여러 층의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 및 가요성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기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판 상에는 웨어러블 장치에 사용되는 여러 부품 및 칩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모듈(10)은 내부에 각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회로부(13)가 형성된다.
회로부(13)는, 센서부(23)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센서부(23)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와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센서부(23)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부(23)의 작동을 시작하거나 중지하는 등 센서부(2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제어부는 측정 환경을 감지하여 어느 조건 이상일 경우에만 센서부(23)가 작동하도록 자동적으로 센서부(23)를 제어할 수도 있고, 컨트롤 부재가 작동됨에 따라, 제어부의 작동이 수동 제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뇌파 감지를 통해 렘수면(REM) 및 비렘수면(-)과 같은 수면단계가 측정되거나, 혹은 수면 시의 호흡량이 측정되는 경우, 신체가 수면단계로 진입될 때 제어부가 자동적으로 센서부(23)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운동 시의 심박수가 측정되는 경우, 특정한 시점에 전자모듈(10)의 외부에 구비된 버튼 혹은 스위치와 같은 컨트롤 부재가 작동됨에 따라, 제어부에 전기적 신호가 전달됨으로써, 제어부가 센서부(23)를 제어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센서부(23)로부터의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센서부(23)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렇게 변환된 전기 신호를 저장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는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수동 제어가 없거나, 신체에 착용 감지가 되지 않는 경우와 같이, 특정 조건이 갖추어지는 경우에 웨어러블 장치(100)가 포함하는 불필요한 부품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는 제어부에서 전달받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장 메모리는 별도의 배선 및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저장부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ing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flash memory, Hard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웨어러블 장치(100)가 실행되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종류의 프로그램 데이터나 알고리즘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무선으로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됨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 단말기, 서버 등과 통신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 및 특정상황의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전송하기 위한 알람장치와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으며, 스마트 기기, 생체 측정 장치, 비상 알람 장치, 환경 측정장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등 다양한 기기와 접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모듈(10)은 적어도 하나의 돌출전극(11)을 포함하며, 돌출전극(11)은 유연패치(20)의 접촉전극(21)에 밀착되도록 제공된다.
전자모듈(10)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형상의 평면형 형태 또는 원통형, 삼각기둥, 사각기둥 형상 등을 비롯한 다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사용 목적 및 적용 분야에 알맞게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전자모듈(10)의 형상은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연패치(20)의 접촉전극(21)과 접할 수 있도록 돌출전극(11)이 형성될 수 있는 일면을 갖는 형상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연패치(20)는 신체의 상부에 부착되어 전자모듈(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배선이 형성된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연패치(20)는 자유롭게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게 되므로, 굴곡을 갖는 신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유연패치(20)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구비된 센서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3)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한 가지 종류 이상의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생체 정보(체온, 체중, BMI(체질량지수)), 심장 기능(심박수, 심전도(ECG:Electrocardiogram)) 및 운동 정보(이동거리, 예상 칼로리 소모량, 속도, 가속도, 호흡량)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이외에도 수면의 질(뇌파에 따른 수면단계) 및 근육의 움직임 정보 등 다양한 신체 정보를 감지 또는 측정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면, 센서부(23)에 심박 센서가 장착되어, 감지된 사용자의 심박 정보를 차량 또는 스마트폰과 송수신하여 실시간 디스플레이 정보에 적용할 수 있으며,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있어서, 센서부(23)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전극(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전극(21)을 포함하며, 전자모듈(10)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모듈과 유연패치의 결합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연패치(20)의 일단부가 접혀진 형태로 제공되어, 전자모듈(10)과 맞닿을 수 있도록 제공되며, 접혀진 일측면 상에 배치된 접촉전극(21)은 돌출전극(11)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돌출전극(11)을 돌기의 형상으로, 접촉전극(21)을 홈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두 전극이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자모듈(10)의 돌출전극(11) 및 유연패치(20)의 접촉전극(21)은 모두 돌출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서로 접촉될 수 있으며, 홈 또는 돌기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암수의 형태로 맞물리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연패치(20)의 신체와 맞닿는 하부면 및 상술한 전자모듈(10)의 하부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어, 신체와 용이하게 접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접착층의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실리콘을 함유하는 접착제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체와의 접촉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지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재(30)는 유연패치(20)의 접촉전극(21)이 전자모듈(10)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전극(11)에 밀착되도록, 유연패치(20)의 일면과 전자모듈(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덮도록 제공된다.
결합부재(30)가 유연패치(20)의 일면과 전자모듈(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덮음과 동시에, 전자모듈(10) 및 유연패치(20)의 일면을 모두 수용하는 형태가 되므로, 유연패치(20)가 전자모듈(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재(30)는 전자모듈(10) 및 유연패치(20)의 일부를 수용하는 홈 또는 홀을 갖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30)는 하부가 개구되어 홈을 형성하는 캡의 형태, 또는 도 1에 도시된 형상과 같이 홀을 갖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형태를 도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재 및 전자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재(30)는 전자모듈(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결합부재(30)의 형상은 전자모듈(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다면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을 도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결합부재 및 전자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재(30)는 탄성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모듈(10) 및 유연패치가 수용되는 결합부재(30)의 홈 또는 홀의 형상이 전자모듈(10)의 형상에 대응될 필요가 없게 된다. 즉, 전술한 전자모듈(10)의 다양한 형상과 무관하게 결합부재(30)의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게 된다. 결합부재(30)의 내부에 형성되는 홈 또는 홀의 형상도 변형가능하며, 그 크기 또한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탄성을 갖는 결합부재(30)를 사용함에 따라, 전자모듈(10)의 내측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유연패치가 전자모듈(10)에 밀착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에서는 결합부재(30)를 원형 링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을 도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결합부재(30)에 상하방향으로 홀이 형성되어, 전자모듈(10)이 상기 홀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하측에 형성된 홈을 갖도록 제공되어 전자모듈을 감싸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결합부재(3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ㄷ”자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전자모듈(10)이 결합부재(30)의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측방향으로 결합부재(3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30)의 형상은 이외에도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유연패치(20)의 접촉전극(21)이 전자모듈(10)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전극(11)에 밀착되도록, 결합부재(30)가 유연패치(20)의 일면과 전자모듈(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덮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전자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또는 유연패치의 일면과 맞닿는 결합부재의 대향면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이 제공되어, 전자모듈 및 유연패치가 끼움홈에 결합되도록 제공된다.
도 6a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전자모듈(10)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끼움홈(31)에 결합된다.
결합부재(30)의 일측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개구된 일측면을 통해 유연패치(20)가 장착된 전자모듈(10)이 밀려 들어가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30)가 탄성을 갖는 경우라면 전자모듈(10)의 형상에 관계없이 전자모듈(10)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재(30)는 끼움홈(31)이 제공된 위치에 따라 끼움홈(31)의 일부와 나머지 일부의 깊이가 상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전자모듈(10)을 결합부재(30)로부터 탈부착하는 경우, 끼움홈(31)이 형성되지 않은 결합부재(30)의 측면 혹은 결합부재(30)의 끼움홈(31) 중 깊이가 상대적으로 얕은 끼움홈(31)이 형성된 측면을 통해 전자모듈(10)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유연패치(20)의 경우에는, 결합부재(30)의 끼움홈(31) 중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은 끼움홈(31)에 삽입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연패치(20)가 전자모듈(10) 및 결합부재(30)의 외부로 이탈할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재(30)는 전자모듈(10) 및 유연패치(20)와 맞닿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3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33)는 끼움홈(31)이 형성된 면들 중 상하부면에 형성되어, 전자모듈(10)이 결합부재(30)로부터 빠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고정돌기(33)는 끼움홈(31)이 형성된 면들 중 측면에 형성되어, 전자모듈(10) 및 유연패치(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고정돌기(33)는 필요에 따라 끼움홈(31)이 형성된 결합부재(30)의 모든 면에 배치되거나 혹은 일부 면에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유연패치(20)가 삽입되어 결합부재(30)와 맞닿는 부분에만 고정돌기(33)가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돌기(33)의 형상 및 배치 방법은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하나의 전자모듈에 하나의 유연패치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전자모듈에 복수 개의 유연패치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 개의 유연패치가 전자모듈 및 결합부재에 장착된 결합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연패치(20)는 다수 개로 제공되며, 다수 개의 유연패치(20)가 전자모듈(10)의 각각의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각 다른 종류의 센서부를 갖는 다수 개의 유연패치들(20)을 하나의 전자모듈(10)에 모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센서의 교체 없이도 하나의 장치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의 신체 정보를 한번에 측정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유연패치(20)가 6개 제공되어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육각형의 형상을 갖는 전자모듈(10)의 각각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구조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연패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어 전자모듈의 외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유연패치가 전자모듈의 외측면에 각각 하나씩만 결합되는 구조만을 도면에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수개의 중첩된 유연패치가 전자모듈의 일측면에 모두 장착되는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모듈의 수용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모듈(10)은 다수개의 유연패치(20)가 중첩되어 장착되는 수용부(15)를 더 포함한다. 더 상세하게는, 전자모듈(10)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 수용부(15)가 형성되어 미사용 패치 혹은 교체용 패치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유연패치(20)는 소형으로 제공되며 얇고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휴대하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전자모듈(10)에 상술한 수용부(15)가 제공됨에 따라, 유연패치들(20)을 간편하게 보관하여 휴대성이 향상된다. 또한, 필요 시에 수용부(15)로부터 즉각 탈착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면에서는 3개의 유연패치들(20)이 중첩 장착된 구조가 도시되었으나, 이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개수의 유연패치들이 전자모듈의 일측면에 중첩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을 도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다면체로 형성된 전자모듈의 형상이 도면에 도시되었으나, 전자모듈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원통형의 전자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전자모듈과 유연패치의 결합단면도의 확대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원통형의 전자모듈(10)의 외주면 상에서 원심방향으로 요홈(17)이 형성되고, 결합부재(30)가 요홈(17)에 결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결합부재에 형성된 끼움홈에 전자모듈이 끼움삽입되는 형태와는 다르게, 전자모듈(10)의 외주면에 요홈(17)이 제공되어, 결합부재(30)가 요홈(17)에 삽입결합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요홈(17)을 형성하는 전자모듈(10)의 외주면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전극(11)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연패치(20)의 접촉전극(21)은 정해진 결합위치 없이, 전자모듈(10)의 돌출전극(11)과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유연패치(20)는 요홈(17)이 형성된 전자모듈(10)의 모든 외주면에서 자유롭게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유연패치(20)의 접촉전극(21)이 전자모듈(10)의 돌출전극(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돌출전극(11) 및 접촉전극(21)이 더욱 용이하게 결합되어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전극(11)은 전자모듈(10)의 외주면뿐만 아니라 요홈(17)을 형성하며 유연패치(20)와 접촉되는 모든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유연패치(20)의 접촉전극(21) 또한 유연패치(20)의 접혀진 일단부의 일측면 및 전자모듈(10)과 맞닿는 하부면 상에 홈 또는 돌기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돌출전극(11) 및 접촉전극(21)의 형상은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 형상은 전자모듈(10) 및 유연패치(20)의 삽입관계에 상관없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구조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자모듈이 상술한 원통형의 형상이 아닌 다면체 혹은 평판형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요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요홈을 형성하는 전자모듈의 외측면 상에 돌출전극이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요홈을 가지는 전자모듈의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전자모듈의 외측면에 요홈을 배치하는 것 이외에도, 평판형 전자모듈의 상부면에 T자형 부재를 결합하여 이와 같은 형상을 만들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모듈의 형상은 결합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요홈이 형성된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그 의미가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연신축성 패치와 배터리 및 통신모듈 등이 고집적화 되어 있는 소형 모듈을 사용함에 있어서 패키지와 모듈이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므로 전기적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를 신체에 부착하여 사용함에 있어서 반복적인 신장 및 수축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센서의 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배선의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화학적 반응을 기반으로 하는 센서의 경우, 재사용 직전 반응물에 의한 감도 오차가 발생하거나 센싱 켈리브레션(영점 조정)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웨어러블 장치는 일회용 사용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신체 부착형 웨어러블 기기들의 경우 전원, 신호처리, 통신기능 및 센서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언급된 센서나 배선 등의 문제로 전체 기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웨어러블 장치는 소형 전자모듈은 계속적인 재사용이 가능하고 유연패치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 과정에서의 생산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웨어러블 장치
10 : 전자모듈
11 : 돌출전극
13 : 회로부
15 : 수용부
17 : 요홈
20 : 유연패치
21 : 접촉전극
23 : 센서부
30 : 결합부재
31 : 끼움홈
33 : 고정돌기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돌출전극을 포함하는 전자모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전극을 포함하는 유연패치; 및
    상기 유연패치의 상기 접촉전극이 상기 전자모듈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전극에 밀착되도록, 상기 유연패치의 일면과 상기 전자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덮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또는 상기 유연패치의 일면과 맞닿는 상기 결합부재의 대향면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이 제공되어,
    상기 전자모듈 및 상기 유연패치가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며,
    상기 끼움홈이 제공된 위치에 따라 상기 끼움홈의 일부와 나머지 일부의 깊이가 상이한 웨어러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전자모듈 및 상기 유연패치의 일부를 수용하는 홈 또는 홀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전자모듈 및 상기 유연패치와 맞닿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탄성을 갖는 웨어러블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패치 및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전자모듈로부터 탈착가능한 웨어러블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패치는 다수 개로 제공되며, 상기 다수 개의 유연패치는 상기 전자모듈의 각각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웨어러블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모듈은 다수개의 상기 유연패치가 중첩되어 장착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에 요홈이 제공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요홈에 결합되는 웨어러블 장치.
KR1020180098865A 2018-08-23 2018-08-23 유연패치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 웨어러블 장치 KR102158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865A KR102158048B1 (ko) 2018-08-23 2018-08-23 유연패치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 웨어러블 장치
PCT/KR2018/009762 WO2020040328A1 (ko) 2018-08-23 2018-08-24 유연패치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 웨어러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865A KR102158048B1 (ko) 2018-08-23 2018-08-23 유연패치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 웨어러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796A KR20200022796A (ko) 2020-03-04
KR102158048B1 true KR102158048B1 (ko) 2020-09-22

Family

ID=6959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865A KR102158048B1 (ko) 2018-08-23 2018-08-23 유연패치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 웨어러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8048B1 (ko)
WO (1) WO20200403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3551A3 (en) 2016-03-25 2024-01-17 F. Hoffmann-La Roche AG Multiplexed total antibody and antibody-conjugated drug quantification assay
KR102624534B1 (ko) * 2021-06-23 2024-01-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전도의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456B1 (ko) * 2007-12-26 2010-04-28 아이볼타(주) 전기 접속 시스템
KR20150136442A (ko) * 2014-05-27 2015-12-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와 웨어러블 기기 간의 인터페이스
KR102350063B1 (ko) * 2014-07-01 2022-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체 착용형 전자 장치
KR102348406B1 (ko) * 2015-01-27 2022-01-1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전자기기
KR101797461B1 (ko) * 2016-09-29 2017-11-15 전자부품연구원 바이오 메디컬 광화학 센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0328A1 (ko) 2020-02-27
KR20200022796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0053B2 (ja) 体温ロギングパッチ
US20220101992A1 (en) Sensor patch and related smart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20180192874A1 (en) Body parameter monitoring device
KR101855573B1 (ko) 스마트 체온 패치
KR102064361B1 (ko) 멀티 센싱이 가능한 패치형 센서모듈
US11395608B2 (en) Medical sensor system, in particula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US20150083796A1 (en) Nfc or rfid based sensor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158048B1 (ko) 유연패치를 포함하는 탈부착 가능 웨어러블 장치
US20070063858A1 (en) Multi-function wireless detecting device
Nappi et al. Flexible pH sensor for wireless monitoring of the human skin from the medimun distances
KR20190008968A (ko) 웨어러블형 스마트키
US10849556B2 (en) Solution for form-fitting strap
US10452966B2 (en) Sensor device for wearable device generating power-on trigger signal
KR102064362B1 (ko) 패치형 센서모듈
CN212994931U (zh) 一种具有检测体温的智能手环
KR102171938B1 (ko) 자성체를 이용한 탈부착 가능 웨어러블 장치
JP2019141622A (ja) 体温ロギングパッチ
CN211609744U (zh) 传感器组件和可穿戴设备
WO2016121592A1 (ja) 生体信号送信装置
US11547362B2 (en)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skin condition-measuring function
US20230210392A1 (en) Physiological Sensing Patch for Coupling a Device to a Body of a User
KR101934364B1 (ko) 분리형 생체 신호 측정 장치
KR20210155148A (ko) 생체신호 센싱태그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관리 시스템
CN205197969U (zh) 体温检测装置
CN204500657U (zh) 一种智能血压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