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613A - 스트리핑 플라이어들 - Google Patents

스트리핑 플라이어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613A
KR20200093613A KR1020207018492A KR20207018492A KR20200093613A KR 20200093613 A KR20200093613 A KR 20200093613A KR 1020207018492 A KR1020207018492 A KR 1020207018492A KR 20207018492 A KR20207018492 A KR 20207018492A KR 20200093613 A KR20200093613 A KR 20200093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block
jaws
cutting
wire stripper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1495B1 (ko
Inventor
게오르그 홀랜드-모리츠
미하엘 브뤼크너
랄프 레글러
Original Assignee
렌슈타이크 베르크쪼이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렌슈타이크 베르크쪼이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렌슈타이크 베르크쪼이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9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36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07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09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02G1/1212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using wire or cable clamping means

Landscapes

  • Kniv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스트리퍼(1)에 관한 것이며, 이 와이어 스트리퍼는 2개의 플라이어 조들(2, 3), 2개의 외부 클램핑 조들(19, 20), 2개의 내부 절단 조들(22, 23), 및 2개의 그리핑 부품들(4, 5)을 가지며, 핸들 부품들(4, 5)을 함께 가압하면서, 절단 조들(22, 23)은 풀 로드(30)에 의해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종료 포지션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더욱이 절단 조들(22, 23)은 변위 방향(r)으로 안내되고 그리고 그의 일부가 클램핑 조-장착된 슬롯형 링크(48, 49) 상에서 지지되는 슬롯형 링크 부품(46, 47) 상에서 이들의 변위 방향(r)으로 안내되며, 슬롯형 링크 부품(46, 47)에 의해, 절단 조들(22, 23)은 클램핑 조들(19, 20)의 폐쇄 포지션과 관계없이 상이한 정도들로 서로를 향해 이동되고, 폐쇄 포지션은 슬롯형 링크 부품(46, 47)의 움직임을 결정한다. 특히 절단 조들의 절단 깊이 적응에 대해 논의 중인 유형의 스트리핑 플라이어들을 추가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슬롯형 링크 부품(46, 47)이 슬롯형 링크(48, 49)에 대한 포지션에 대해 클램핑 조들(19, 20)의 폐쇄 포지션과 관계없이 조절가능한 것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스트리핑 플라이어들
[0001] 본 발명은 와이어 스트리퍼에 관한 것이며, 이 와이어 스트리퍼는 2개의 플라이어 조들, 2개의 외부 클램핑 조들, 2개의 내부 절단 조들, 및 2개의 그리핑 부품들을 가지며, 절단 조들은 그리핑 부품들을 함께 가압하면서 풀 로드에 의해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종료 포지션으로 변위될 수 있고, 절단 조들은 변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딩 블록 부품 상에서 이들의 변위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안내되며, 이 슬라이딩 블록 부품은 그의 일부가 클램핑 조들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블록에 맞닿아 놓이고, 절단 조들은, 클램핑 조들의 폐쇄 포지션에 따라, 이러한 슬라이딩 블록 부품을 통해 다양한 정도들로 서로를 향해 이동되며, 폐쇄 포지션은 슬라이딩 블록 부품의 움직임을 결정한다.
[0002] 논의 중인 종류의 와이어 스트리퍼들은 공지되어 있다. 와이어 스트리퍼들은 전기 케이블들을 스트리핑하는 데 사용된다. 소위 자동 와이어 스트리퍼들이 이와 관련하여 공지되어 있으며, 이 자동 와이어 스트리퍼들은 단일 작동시에 절연부를 절단하고 그리고 그리핑 부품들을 함께 계속 가압하면서 절연부를 전도체 밖으로 당긴다. 절단 조들의 절단 깊이는 여기서 노출될 전도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절연 층의 두께로 조절되어야 한다.
[0003] 케이블 두께에 따라 절단 조들의 절단 깊이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와이어 스트리퍼들이 이와 관련하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EP 1 557 920 B1 (US 7,513,17 B2)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본 특허 명세서의 내용은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들에서 본 특허 명세서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목적을 위해, 이에 의해 그 전체가 본 발명의 개시에 포함된다.
[0004] 이전에 설명된 종래 기술에 관련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특히 절단 조들의 절단 깊이를 조절하는 것에 관하여, 논의 중인 종류의 와이어 스트리퍼를 추가적으로 개선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0005] 제1 발명의 개념에서, 본 목적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해결책은 와이어 스트리퍼를 수반하며, 이를 위해 목적은 슬라이딩 블록에 대한 그의 포지션에 대해 클램핑 조들의 폐쇄 포지션과 관계없이 슬라이딩 블록 부품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0006] 할당된 절단 조가 놓이는 슬라이딩 블록 부품의 상대적인 변위를 허용함으로써 절단 깊이의 자동 조절을 제외하고, 이전에 인용된 종래 기술로부터 추가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제안된 구성은 또한 특히 슬라이딩 블록 부품의 수동 조절능력을 가능하게 한다.
[0007] 경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절단되고 그리고 그 후 당겨질 절연부의 두께는, 예를 들어 심지어, 상이한 배치들 또는 상이한 제조사들로부터 나오는 동일한 전도체 단면을 갖는 케이블들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제안된 해결책은 절단 깊이의 부가의 조절을 허용한다. 할당된 슬라이딩 블록에 관한 슬라이딩 블록 부품의 변위는 여기서 클램핑 조들의 폐쇄 포지션과 관계없다.
[0008] 부가의 수동 조절과 관련된 바와 같이, 와이어 스트리퍼에는 적합한 핸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적합한 핸들로, 와이어 스트리퍼들을 사용하면서 자동으로 설정되는 절단 조들의 절단 깊이는 부가적으로 감소되거나 심지어 증가될 수 있다.
[0009] 심지어 도면들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부가의 특징들은 종종, 바람직하게는 제1 항의 청구 대상에 또는 부가의 청구항들의 특징들에 할당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이 특징들은 또한 제1 항 또는 각각의 부가의 청구항의 단지 개별적인 특징들에 할당되는 경우에,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중요할 수 있다.
[0010] 바람직한 실시예는, 하나의 플라이어 조가 고정되며, 그리고 하나의 플라이어 조가 고정된 플라이어 조에 대한 회전 움직임을 통해 이동가능한 것을 제공한다. 고정된 플라이어 조는 여기서 수반하는 그리핑 부품과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는 반면,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는, 예를 들어 레버 기구를 통한 공지된 방식으로 제2 그리핑 부품과 가능하게는 단지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이는 가동 플라이어 조가 그리핑 부품들을 함께 가압하면서 고정된 플라이어 조에 대해 선회하는 것을 유발시킨다.
[0011] 가능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블록 부품은 (기하학적) 회전 축에 대해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 상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할당된 슬라이딩 블록에 관한 슬라이딩 블록 부품의 변위능력은 바람직하게는 제한된다. 슬라이딩 블록 부품의 가능한 변위 경로는 케이블 두께에 따라 절단 깊이의 공지된 자동 설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수동 개입의 옵션은 추가적으로 제공되며, 그 경우에, 슬라이딩 블록에 대한 슬라이딩 블록 부품의 시작 포지션은 변경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에 대한 슬라이딩 블록 부품의 변위는 그리핑 부품을 함께 가압하면서 이러한 잠재적으로 변경된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발생한다.
[0012] 다른 상세에서, 슬라이딩 블록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블록 부품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커플링 로드 및/또는 슬라이딩 블록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바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스트리핑 작동 동안 실제로 발생하는 회전 각도들은 여기서, 비교적으로 약간 있으며, 예를 들어 단지 한자리수 각도의 범위 내에 있거나, 예를 들어 최대 20 각도이다. 커플링 로드 및/또는 핸들바와 슬라이딩 블록 부품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 축은 더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인 시작 포지션을 변경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축은 편심 부품으로서 설계될 수 있어서, 이에 의해 슬라이딩 블록 부품에 대한 거리는 기하학적 회전 축으로부터 진행하여 변경될 수 있다.
[0013] 이러한 회전 축의 기본적으로 주어진 이동가능한 회전 장착은 필수적인 이동성 및 동시적인 안내를 제공한다.
[0014] 그 결과, 회전 축은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에 관해 그리고/또는 고정된 플라이어 조에 관해 서로에 대한 클램핑 조들의 폐쇄 포지션과 관계없이 조절될 수 있다. 회전 축의 시작 포지션을 변경하는 것은 자동 절단 깊이 조절을 개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0015] 더 바람직한 바와 같이, 2개의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슬라이딩 블록 부품은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에 할당되는 절단 조에 작용하며, 그리고 제2 슬라이딩 블록 부품은 고정된 플라이어 조에 할당되는 절단 조에 작용한다. 제1 슬라이딩 블록 부품은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의 제1 슬라이딩 블록과 상호작용하며, 그리고 제2 슬라이딩 블록 부품은 고정된 플라이어 조의 제2 슬라이딩 블록과 상호작용한다.
[0016] 슬라이딩 블록들 또는 할당된 플라이어 조에 관한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의 변위는 더 바람직하게는 커플링되어서,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의 동일한 변위 거리들이 인용된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어 스트리퍼들을 핸들링하면서 주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효과는, 심지어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되는 바와 같이 클램핑 조들의 폐쇄 포지션과 관계 없이 (수동) 조절의 능력을 고려할 때, 둘 모두의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 상에 존재한다.
[0017]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에 할당되는 슬라이딩 블록 부품은 제1 긴타원형 홀(oblong hole))에서 안내되는 제1 축을 통해 고정된 플라이어 조에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결과적으로 형성된 회전 축은 할당된 절단 조의 변위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동등한 방식에서, 고정된 플라이어 조에 할당되는 슬라이딩 블록 부품은 제2 긴타원형 홀에서 안내되는 제2 축을 통해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축의 기하학적 회전 축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블록 부품의 변위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따라서, 슬라이딩 블록 부품은 간접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단지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의 선회 경로의 부분 경로에 걸쳐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와 커플링된다.
[0018] 제2 긴타원형 홀로의 제2 축에 의한 맞물림과 함께 제1 긴타원형 홀로의 제1 축에 의한 맞물림은, 각각의 긴타원형 홀을 가지는 플라이어 조에 관해 각각의 슬라이딩 블록 부품을 변위시키는 능력뿐만 아니라 안내를 이에 대응하여 제공한다. 각각의 긴타원형 홀의 길이방향 연장으로 보는 긴타원형 홀의 경계는 축을 위한 정지를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 이에 의해 절단 조들의 절단 깊이의 최대 조절능력을 추가적으로 규정할 수 있다.
[0019]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의 시작 포지션의 (수동) 사전설정에 관련된 바와 같이, 제1 및/또는 제2 긴타원형 홀의 제1 및/또는 제2 축의 상대적인 배열은 서로에 관한 클램핑 조들의 선회 포지션과 관계 없이 조절가능할 수 있거나, 이러한 독립적인 설정은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의 시프트 기구 상의 일부 다른 위치에서의 작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시프트 기구는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언급된 핸들바들 및/또는 커플링 로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스트리핑 작동을 시작하기 전에 할당된 긴타원형 홀에 관한 축(축들)의 다양한 시작 포지션을 가지는 것은 이러한 다양한 시작 포지션을 가능하게 한다. 부가의 자동 절단 깊이 조절은, 선회 조들을 폐쇄하고 그리고 클램핑 조들 사이에서 스트리핑될 케이블을 캡처링하면서, 이러한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진행하여 발생한다.
[0020] 부가의 바람직하게는 수동의 조절능력은 제1 및/또는 제2 편심부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바와 같이, 편심부는, 편심부가 슬라이딩 블록 측 상의 이전에 설명된 회전 축들에 대해 평행하게 이어지는 기하학적 축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제한된 범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심 디스크는 수반될 수 있으며, 회전 축에 대해 편심으로 순환하는 편심 디스크의 벽은 슬라이딩 블록 부품에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0021] 2개의 편심부들의 배열을 고려할 때, 2개의 편심부들은 동일하게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형상은 또한, 편심부와 할당된 슬라이딩 블록 부품 사이에 배치되는 트랜스미션 수단을 조절하면서 더 바람직한 바와 같이, 다양할 수 있다.
[0022] 2개의 편심부들은, 이 편심부들이 각각의 회전 축 주위에서 서로 별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열되고 그리고 설계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편심부들은 공유된 회전 축을 갖는 공유된 편심 부품 상에서 형성된다. 바람직한 바와 같이, 편심 부품은, 일체일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심지어 일체로 설계된 부품일 수 있다.
[0023] 편심부들과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 사이의 간접적인 상호작용의 목적들을 위해, 제1 및/또는 제2 편심부는 또한, 제1 및 제2 핸들바 부품에 의해 제1 또는 제2 축과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편심부는 직접적으로 핸들바에 작용할 수 있다.
[0024] 예를 들어, 제안된 해결책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절단 깊이의 개량예는 편심 부품을 직접적으로 트위스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편심 부품은 작동을 위해 바깥쪽으로 확장될 수 있고, 그리고 추가적으로 핸들을 가질 수 있다.
[0025] 가능하게 되는 개량예는 자동 조절을 통한 절단 깊이의 조절을 허용하며, 여기서 수동 조절은 1/100 밀리미터 범위에서, 예컨대, 완전하게 10분의 1밀리미터까지 절단 깊이 조정을 제공한다.
[0026]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기초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지만; 첨부된 도면은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도 1은 와이어 스트리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절단 조 쌍의 개별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절단 조 쌍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절단 조 쌍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선(V-V)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활성되지 않은 기본 포지션에 관한, 와이어 스트리퍼를 통한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대응하지만, 활성 동안 중간 포지션에 관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와이어 스트리퍼의 연속된 활성 동안 도 7에 대한 후속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종료 활성 포지션에 관한, 도 8에 대한 후속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절단 조 쌍을 교체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풀 로드의 잠금해제 포지션에 관한, 도 7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와이어 스트리퍼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6의 구역(XI)의 확대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되는 구역을 부분적으로 절단된,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는 구역의 다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와이어 스트리퍼의 클램핑 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클램핑 조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6은 클램핑 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도 16의 구역(XVII)의 확대를 도시한다.
도 18은 도 14의 화살표(XVIII)에 따른 클램핑 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도 18의 선(XIX-XIX)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20은 도 18의 선(XX-XX)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21은 절단 조의 절단 에지의 개별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절단 에지를 통과하는 도 21의 선(XXII-XXII)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23은 절단 에지의 확대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4는 절단 조 쌍의 절단 에지들 모두의 배열의 확대된, 개략적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스트리핑될 케이블이 클램핑 조들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의 플라이어 마우스 구역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도 1의 구역(XXVI)의 부분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와이어 스트리퍼의 플라이어 조들뿐만 아니라, 절단 조들의 절단 깊이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의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8은 도 27에 따른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9는 절단 조들의 절단 깊이를 설정하기 위한 조절 수단 배열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0은 조절 수단 배열체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1은 제1 및 제2 편심부를 갖는 조절 수단 배열체의 편심 부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2는 도 31에 따른 배열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3은 제1 편심부의 구역을 통과하는 도 31의 선(XXXIII-XXXIII)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34는 제2 편심부의 구역을 통과하는 도 31의 선(XXXIV-XXXIV)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35는 도 7의 영역(XXXV)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6은 도 35에 대응하지만 조절 수단 배열체를 통한 수동 절단 깊이 조절 후의 도면을 도시한다.
[0027] 2개의 플라이어 조들(2, 3) 및 2개의 그리핑 부품들(4, 5)을 갖는 와이어 스트리퍼(1)는, 처음에 도 1을 참조하여, 도시되고 그리고 설명된다. 플라이어 조들(2 및 3)은 플라이어 마우스(M)의 가장자리를 이룬다(border).
[0028] 플라이어 조(2)는 아래에 고정된 것으로 지칭되고 그리고 칙 구역(6)을 통해 그리핑 부품(4)으로 직접적으로 그리고 고정되게 연결된다.
[0029] 칙 구역(6)에서, 와이어 스트리퍼(1)는 기하학적 축(x)을 회전 축(7)을 위한 베어링(bearing)에 제공하며, 이 기하학적 축 주위에, 뒤따르는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0030] 회전 축(7) 상의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베어링은, 고정된 플라이어 조(2)의 칙 구역(6)을 향해 돌출시에 축(x)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숄더 구역(8)의 구역에서 발생한다.
[0031] 예를 들어, 도 6에 묘사되는 바와 같이, 플라이어들 마우스 개방 포지션은,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 상의 돌출 구역(9)이 고정된 플라이어 조(2)의 할당된 지지 표면(10) 상에 지지되기 때문에, 지지 정지부에 의해 제한된다.
[0032] 부가의 그리핑 부품(5)은, 부가의 그리핑 부품이 회전 축(7) 또는 그의 기하학적 축(x)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는 부가의 기하학적 축(y) 주위에서 선회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관련된 물리적인 축은 마찬가지로 고정된 플라이어 조(2) 또는 고정된 그리핑 부품(4)의 칙 구역(6)에 장착된다.
[0033] 이동가능한 그리핑 부품(5)은 고정된 그리핑 부품(4)을 향하는 방향으로 축(y) 주위에 선회될 수 있으며, 여기서 고정된 그리핑 부품(4)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가능한 그리핑 부품(5)의 선회 변위는 축(x) 주위에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커플링된 회전 움직임을 유도한다.
[0034]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환형으로 이어지는 제어 레버(11)는 이동가능한 그리핑 부품(5)에 체결되며, 그리고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역에 바람직하게 배열되는 롤러(12)를 가지는 그의 자유 단부는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숄더 구역(8)의 붐(boom)(13)(예컨대, 슬롯형 게이트로서 설계됨)에 작용한다.
[0035] 제어 레버(11)는 이동가능한 그리핑 부품(5) 상에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관련된 선회 축은 바람직하게는 기하학적 회전 축(x)에 대해 평행하게 이어진다.
[0036] 바람직하게는, 레그 스프링의 형태의 복귀 스프링(14)은 바람직하게는 제어 레버(11)와 이동가능한 그리핑 부품(5) 사이에서 작용한다. 이는 도 6에 도시되는 기본 포지션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그리핑 부품(5)을 로딩한다.
[0037] 이러한 기초 포지션에서, 이동가능한 그리핑 부품(5)의 기하학적 축(y)에 대해 그리핑 구역으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돌출 구역(15)은, 숄더 구역(8)이 그의 정지-제한된 기초 포지션으로 강제되고 그리고 그 곳에 유지되는 방식으로,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숄더 구역(8)에 작용한다.
[0038] 또한, 이동가능한 그리핑 부품(5)은 고정된 플라이어 조(2)의 칙 구역(6)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절단 에지(17)에 핸들바(16)를 통해 작용한다. 절단 에지(17)의 장착은 칙 구역(6)에서 발생하며, 여기서 관련된 기하학적 축(z)은 마찬가지로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기하학적 회전 축에 대해 평행하게 이어진다.
[0039] 절단 에지(17)는 칙 영역(6)의 고정된 플라이어 조(2)의 클리어링된 구역(18)에 노출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예를 들어 부가의 단계에서 스트리핑될 케이블을 잘라내는(trim) 데 사용된다.
[0040] 고정된 그리핑 부품(4)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이동가능한 그리핑 부품(5)의 선회 변위 동안 절단 에지(17)의 선회 움직임의 결과로서, 선회 절단 에지(17)는 구역(18)에서 잠재적으로 에워싸인 케이블(18)을 절단하며, 케이블은 구역(18)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칙 구역(6)의 플랭크들 상에서 지지된다.
[0041] 2개의 플라이어 조들(2 및 3) 각각은 자유 단부를 스트리핑하기 위한 플라이어 마우스(M)에 배치되는 케이블(21)의 클램핑을 위한 외부 클램핑 조(19, 20)를 갖는다(도 13 내지 도 16을 또한 참조).
[0042] 또한, 기하학적 회전 축(x)에 대한 클램핑 조들(19 및 20)의 배열에 대하여 2개의 내부 절단 조들(22, 23)이 제공되며, 각각의 절단 에지들(24, 25)은 클램핑 조들(19 및 20)을 향하는 단부 구역에 고정된다. 절단 에지들(24 및 25)은 서로를 향하여 배열된다.
[0043] 도 2 내지 도 5에 대해 또한 더 상세히 이루어지는 참조로, 절단 조들(22 및 23)은 하나의 절단 조 쌍(26)으로 조합되고, 그리고 절단 에지들(24 및 25)을 등지는 단부들의 구역에서, 선회 축(27)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여기서 선회 축(27)은 절단 조들(22 및 23)이 서로에 대해 선회하는 것을 허용한다.
[0044] 절단 조 쌍(26)이 작동을 위해 준비된다면, 선회 축(27)의 기하학적 축은 바람직하게는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회전 축(x)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어 연장한다.
[0045] 스프링(28)은, 원통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도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절단 조들(22 및 23) 사이에 배열되며, 여기서 스프링(28)은 이격된 개방 포지션에서 절단 조들(22 및 23)을 로딩한다.
[0046] 도시되는 예시적 실시예에서, 절단 조(22)의 연장 방향으로 고정되게 래치결합될 수 있는 정지 캐리지(stop carriage)(29)는 하부 절단 조(23) 상에, 즉, 고정된 플라이어 조(2)에 할당되는 절단 조(22) 상에 제공되어서, 플라이어 마우스(M)로 도입되는 케이블(21)의 자유 단부에 대한 정지를 제공하여, 이에 의해 스트리핑될 구역의 길이를 규정한다.
[0047] 절단 조들(22 및 23)은, 각각 할당된 플라이어 조(2, 3)(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을 또한 참조)에서 측방향으로 안내되어, 절단 조(22 및 23)의 적합한 슬라이딩 변위, 즉 그의 길이방향 연장의 방향으로, 즉, 클램핑 조들(19 및 20)로부터 이격되고 그리고 회전 축(x)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는 종료 포지션의 방향으로의 클램핑 조들(19 및 20)에 할당되는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그리고 이러한 종료 포지션으로부터 시작 포지션으로 진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0048] 풀 로드(30)는 전체적으로, 절단 조들(22, 23), 바람직하게는 절단 조 쌍(26)의 이러한 변위를 위해 제공된다. 절단 조들(22, 23)은, 풀 로드(30)에 작용하는 스프링(39)에 의해 적용되는 힘에 대해 그리핑 부품들(4, 5)을 함께 가압하면서,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종료 포지션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풀 로드(30)는 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긴타원형 홀(oblong hole)(34)에서 이동할 수 있는 탄성 축(33)에 의해 관통된다. 또한, 풀 로드(30)의 그립-측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풀 로드(30)에 체결되는 시프팅 부품(shifting part)을 갖는다. 시프팅 부품은 그립-측 장착부 상에서 풀 로드(30)를 해제하도록, 풀 로드(30)에 대한 스프링(39)의 힘에 대해 시프팅될 수 있다.
[0049] 시프팅 부품은 특히 슬리브(35)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0050] 풀 로드(30)가 그립-측 장착부에 대해 해제된다면, 풀 로드(30)는 인장 축(33) 주위에서 선회될 수 있다. 대응하는 선회 움직임은 풀 로드(30)로부터 절단 조들(22, 23)을 해제한다.
[0051] 풀 로드(30)는, 풀 로드 측 상에 긴타원형 홀과 유사한 오목부(31)를 관통하면서, 또한 물리적인 회전 축을 통해 안내된다.
[0052] 절단 조 쌍(26)의 선회 축(27)에 할당되는 풀 로드(30)는, 본질적으로 고정된 플라이어 조(2)를 향한 방향으로, 또한 본질적으로 절단 조들(22 및 23)의 폐쇄 또는 개방 방향으로 지향되는 삽입 개구(32)를 갖는다. 삽입 개구는 풀 로드(30)의 관련된 단부 구역의 전체적인 후크형 구성에 의해 생성된다.
[0053] 절단 조 쌍(26)의 선회 축(27)은 와이어 스트리퍼(1)의 종래의 사용 포지션에서 이러한 삽입 개구(32)에 둘러싸여서(enveloped), 긴타원형 홀과 같이 구성되는 오목부(31)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풀 로드(30)의 슬라이딩 변위는 절단 조 쌍(26)의 대응하는 슬라이딩 변위로 이어진다.
[0054] 풀 로드(30)의 이러한 슬라이딩 변위는 이동가능한 그리핑 부품(5) 상에 장착되는 제어 레버(11)와의 커플링에 의해 가능하게 되며, 여기서 이러한 제어 레버(11)는 회전 축(7)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되는 인장 축(33)을 갖는 풀 로드 측 상의 긴타원형 홀(34)로 맞물리며, 이 긴타원형 홀은 도시되는 예시적 실시예에서, 롤러(12)를 위한 축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긴타원형 홀(34)의 중심 길이방향 선은 약 60 내지 85°,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약 75°의 풀 로드(30)의 변위 방향(r)에 대해 예각(α)을 포함한다.
[0055] 특히 회전 축(7) 및 인장 축(33)의 구역에서 안내되는 구역에 대해 잘려나가는(cropped) 풀 로드(30)의 섹션은 가능하게는 와이어 스트리퍼(1)의 종래의 사용 포지션에서 고정된 그리핑 부품(4) 내에서, 하지만 이에 할당되는 임의의 상황에서 이어진다.
[0056] 그립-측 단부의 구역에서, 풀 로드(30)는 언급된 슬리브(35)에 의해 둘러싸인다. 슬리브(35)는 바람직하게는, 풀 로드(30)에 대한 슬리브(35)의 슬라이딩 변위능력을 허용하면서, 풀 로드(30) 상에 캡티브하게 장착된다. 이는 슬리브 벽(37)의 구역에서 단부 측면 상에 핀-형상 장착 부품(36)을 각각 고정시키는, 슬리브 단면을 관통하는 핀-형상 장착 부품(36)으로 인해 가능하게 된다. 핀-형상 장착 부품(36)은 여기서, 부가의 긴타원형 홀(38)의 구역에서의 단부 영역에 슬리브(35)에 수용되는 풀 로드(30)를 통과한다.
[0057] 스프링(39)은 슬리브(35) 내에 실린더 압축 스프링의 형태로 배열되며, 이 스프링은 일단부가 슬리브(35)의 플로어(40) 상에서 그리고 타단부가 플로어(40)를 향하는 풀 로드(30)의 숄더(41) 상에서 지지된다. 이에 대응하여, 슬리브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의 풀 로드(30) 및 슬리브(35)의 상대적인 변위가 스프링(39)의 힘에 대해 가능하게 된다.
[0058]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풀 로드(30)의 할당된 단부 영역과 함께 슬리브(35)는 그립의 내부 측 상의 공동(42)에 수용되며, 여기서 슬리브(35)는 작동을 위해 준비된 와이어 스트리퍼(1)와 함께 플로어(40) 위로 돌출하는 핀-형상 확장부를 통해 공동 플로어(43)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0059] 또한, 슬리브(35)는, 특히 공동(42)의 구역에서 그리핑 부품(4) 상에 형성되는 래칭 오목부(45)에 맞물리기 위한 래칭 돌출부(44)를 갖는다.
[0060] 쿠션형(cushioned) 슬리브(35)의 이전에 설명된 배열 및 구성은 풀 로드(30)를 그리핑 부품 측 장착으로부터 해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도 10 참조). 이미 위에서 추가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풀 로드(30)는 이후에 회전 축(7) 주위에서 선회될 수 있으며, 이는 풀 로드(30)의 긴타원형 홀(34)에서 안내되는 인장 축(33)에 의해 또한 가능하게 된다. 이동가능한 그리핑 부품(5)의 방향으로의 풀 로드(30)의 이러한 선회 변위의 결과로서, 삽입 개구(32)를 가지는 풀 로드(30)의 자유 단부는 절단 조 쌍(26)의 선회 축(27)을 해제하기 위해, 개방되게 선회하게 된다. 또한, 풀 로드(30)의 선회 개방은 가능하게는 긴타원형 홀과 같이 성형된 오목부(31)로 맞물리는 회전 축(7)을 통해 안내되는 선형 움직임에 의해 중첩될 수 있다. 인장 축(33)을 통해 포함되는 제어 레버(11)는 여기서 복귀 스프링(14)의 힘과 반대로 선회가능하게 변위된다.
[0061] 도 1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풀 로드(30)의 선회된 개방 및 가능하게는 슬라이딩가능하게 변위된 포지션에서, 바람직하게는 절단 조들(22 및 23)이 절단 조들(22 및 23)에 작용하는 스프링(28)의 반대편의 폐쇄 포지션을 향하는 방향으로 선회 움직임을 수행하면서, 절단 조 쌍(26)은 핸들링에 대해 편리하게 제거될 수 있다.
[0062] 심지어 저단 조 쌍(26)이 다시 삽입된 후에도, 와이어 스트리퍼(1)의 적합한 작동 포지션은 핸들링에 대해 그리고 공구들 없이 보다 편리하게 추정될 수 있다.
[0063] 절단 조들(22 및 23)은, 예를 들어, 그리핑 레그들(4 및 5)을 함께 운반하면서, 도 6에서 도시되는 개방 포지션에서 절단 조들(22 및 23)을 로딩하는 스프링(28)의 반대편에 폐쇄 포지션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0064] 절단 조들(22 및 23)은 대체 목적들을 위한 쌍으로 추가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상세에서, 절단 조들(22 및 23)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축 핀(axial pin)으로서 설계되는 선회 축(27)을 통해 서로 선회가능하게 연결된다.
[0065] 각각의 절단 조(22, 23)는 슬라이딩 블록 부품(46, 47)을 통해 할당된 플라이어 조(2, 3)에서 지지되며, 여기서 슬라이딩 블록 부품(46, 47)은 클램핑 조들에 고정된 슬라이딩 블록(48, 49) 상에서 결국 지지된다.
[0066] 각각의 플라이어 조(2, 3) 상의 절단 조들(22, 23)의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이러한 방식은 처음에 언급된 EP 1 557 920 B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작동 원리에 대한 이러한 특허 명세서의 내용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0067] 슬라이딩 웨지(wedge)와 유사한 슬라이딩 블록 부품(46 또는 47)은 조 측 상의 슬라이딩 웨지 표면과 같이 설계되는 슬라이딩 블록(48 또는 49)을 따른 변위에 대해 적합하다. 슬라이딩 블록 부품(46, 47) 및 슬라이딩 블록(48, 49)의 상호작용 표면들의 반경들은 서로에게 조절된다. 전체적으로, 풀 로드(30) 및 절단 조 쌍(26)의 본질적으로 변위 방향(r)으로의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46 및 47)의 슬라이딩 변위능력이 제공된다.
[0068]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에서 안내되는 슬라이딩 블록 부품(46)은 바람직하게는, 구체적으로 커플링 로드(50)의 단부 측에서 제공되고 그리고 제1 긴타원형 홀(52)의 칙 영역(6)에서 안내되는 제1 축(51)을 통해, 고정된 플라이어 조(3) 또는 고정된 그리핑 부품(4)의 칙 영역(6)과 커플링 로드(50)에 의해 연결된다.
[0069] 고정된 플라이어 조(2)에서 안내되는 슬라이딩 블록 부품(47)은 또한 커플링 로드(53)를 가질 수 있으며, 이 커플링 로드의 단부 측은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숄더 구역(8)에 제공되는 제2 긴타원형 홀(55)로의 맞물림을 위한 제2 축(54)을 지닐 수 있다.
[0070] 예를 들어,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기본 포지션을 참조하여, 긴타원형 홀들(52(도 25를 또한 참조) 및 55(도 27을 또한 참조))은, 슬라이딩 방향(r)에 대해 약 45°의 각각의 예각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회전 축에 대해 수직하게 정렬된 평면에서 기하학적 회전 축(x)의 방향으로 제2 축(54)의 돌출부에 대해 정렬되며, 여기서 둘 모두의 긴타원형 홀들(52 및 55)은 본질적으로 회전 축(x)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어진다.
[007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절단 깊이는, 조 측 상의 슬라이딩 블록들(48 및 49)과 연관되어 전술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46 및 47)을 배열함으로써, 그리고 본질적으로 대향하는 플라이어 조의 구역에 커플링 로드들(50 및 53)을 통해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46 및 47)을 결합시킴으로써 케이블의 외경에 따라 독립적으로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0072] 클램핑 조들(19 및 20) 사이에서 캡처링될 케이블(21)의 직경 또는 두께에 따라, 그리핑 부품들(4 및 5)을 이에 대응하여 함께 가압될 때, 절단 조들(22 및 23)의 절단 에지들(24 및 25)의 상이한 절단 깊이들이 발생하는데, 왜냐하면 클램핑 조들(19 및 20) 및 이에 따라 플라이어 조들(2 및 3)의 캡처링된 케이블 두께 및 동시에 발생하는 간격(concurrent spacing)에 따라, 슬라이딩 블록들(48, 49)을 따른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46 및 47)의 슬라이딩 변위가 또한 발생해서,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46 및 47) 상의 절단 조들(22 및 23)을 위한 지지점이 변하기 때문이다. 케이블 두께에 따라,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46 및 47)은 커플링 로드들(50 및 53)을 통해 변위 방향(r)으로 또는 이와 반대로 동일한 측정값으로 변위된다.
[0073] 그리핑 부품들(4 및 5) 및 이에 대응하여 플라이어 조들(2 및 3)을 함께 가압하고 그리고 회전 축(7) 주위에서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를 반복적으로 편향시키면서, 절단 깊이는, 고정된 플라이어 조(2)의 하부 슬라이딩 블록 부품(47)을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와 연결되는 커플링 로드(53)를 통해 마우스 팁으로부터 멀리 약간 당김으로써 설정된다. 슬라이딩 블록 부품(47)은 소정의 양만큼 여기서 시프팅된다. 이러한 시프팅은, 슬라이딩 블록 부품(47)의 각도 포지션을 동시에 변경시키면서, 인피드(infeed) 양만큼 할당된 절단 조(23)를 폐쇄한다.
[0074]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편향은 커플링 로드(50)에 의해 고정된 플라이어 조(2)와 연결되는 슬라이딩 블록 부품(46)을 통해 이에 대해 동기식으로 발생해서, 할당된 슬라이딩 블록(48)에 대한 슬라이딩 블록 부품(46)의 움직임은 슬라이딩 블록(47)과 동일한 방향으로 발생한다. 길이방향 시프팅에 수직한 할당된 절단 조(22)의 인피드 움직임 및 슬라이딩 블록 부품(46)의 포지션 수정(correction)은 또한 따라서 여기서 발생한다.
[0075] 그리핑 부품들(4 및 5)을 함께 가압하는 동안, 플라이어들 마우스(M)는 절단 조 쌍(26)의 폐쇄에 희해 중첩되는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대응하는 선회 변위에 의해 처음에 폐쇄된다(도 7 참조). 절단 조들(22 및 23)의 절단 에지들(17)은 케이블(21)의 절연 재킷을 잘라내며, 전술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두께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는 절단 깊이와 함께 이렇게 한다.
[0076]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선회 변위는, 절연부 스트리퍼(1)의 기본 포지션에서 대략적으로 변위 방향(r)으로 정렬되는 붐(13)의 직면하는 제어 표면 상의 제어 레버(11) 상에 배열되는 롤러(12)를 이에 대응하여 악영향을 줌으로써 달성된다.
[0077] 이동가능한 그리핑 부품(5)이 도 8의 도면에 따른 고정된 핸들 부품(4)을 향하는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계속 변위됨에 따라, 붐(13)의 롤러(12)는 붐(13)의 직면하고 그리고 이전에 설명된 전방 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슬리브(35)에서 풀 로드(30)에 작용하는 스프링(39)의 복원력을 극복한다. 풀 로드(30)는, 절단 조 쌍(26)을 동반하면서 슬라이딩 방향(r)으로 선형으로 당겨진다. 그 결과, 절단 에지들(17)의 절단에 의해 분리되는 절연 섹션(56)은 전도체로부터 스트리핑된다.
[0078] 도 9의 도면에 따라, 그리핑 부품들(4 및 5)은 계속 함께 가압되는 동안, 붐-측 롤러(boom-side roller)(12)는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의 붐(13)에 대해 지지 포지션을 떠나며, 이 붐-측 롤러(12)는 플라이어들 마우스(M), 및 또한 절단 조 쌍(26)의 개방에 의해 동시에 수반되는, 그의 개방 기본 포지션의 방향으로 다시 선회한다. 특히, 이는 절단 조들(22 및 23) 사이에 제공되는 스프링(28)의 복원력에 의해 유발된다.
[0079] 그의 단부에서 스트리핑되는 케이블(31)은 와이어 스트리퍼(1)로부터의 제거를 위해 노출된다. 분리되고 그리고 제거된 절연 섹션(56)은 제거를 위해 노출되거나, 플라이어들 마우스(M)로부터 자동으로 빠져나온다.
[0080] 중심 조절 수단은 절단 조들(22 및 23)의 절단 에지들(24 및 25)의 자동 절단 깊이 조절의 보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26에서 예시적으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중심 조절 수단은 편심 부품(57)의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2개의 편심부들(58 및 59)을 갖는 일체로 설계된 편심 부품(57)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도 31 내지 도 34에 대한 추가의 참조가 이루어진다.
[0081] 또한 묘사되는 바와 같이, 편심 부품(57)은 회전 축(7)을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편심부(58 및 590 사이에 형성되는 원형 및 동심 단면을 갖는 부분 편심 구역의 형태를 취한다.
[0082] 편심 부품(57)(또한 도 28 참조)은 중심의 거대한 샤프트를 통과하기 위한 중공형-샤프트(hollow-shaft)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편심 부품(57)은 추가적으로 스레드형 볼트(6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스레드형 볼트는 편심 부품(57)을 고정된 플라이어 조(2)의 칙 구역(6)에 회전식으로 장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스레드형 볼트(60)의 단부 측은 여기서 칙 측 상의 칼라로 지지된다. 축 방향으로 이러한 칼라의 반대편에서, 볼트결합(boting)은, 묘사된 정사각형 연장부와 함께 편심 부품(57)의 대응하여 설계되는 동축 오목부(62)로 회전불가능하게 맞물리는 바깥쪽에서 접근가능한 플레이트 형상 핸들(61)과 함께 발생한다. 기하학적 회전 축(x)을 주위에서의 핸들(61)의 회전 변위는 전체적으로 이에 대응하여 편심 부품(57)의 회전 변위로 이어진다. 래칭 회전 변위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0083] 회전 축을 형성하는 편심 부품(57)의 중심 구역에 대한 핸들(61)을 향하는 제2 편심부(59)는, 회전 축(7)을 형성하는 섹션의 직경보다, 즉, 심지어 캠 형상 확장부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큰 직경으로 설계될 수 있는 반면, 핸들(61)에 멀리 있게 형성되는 부가의 제1 편심부(58)는 회전 축(7)을 포함하는 중심 구역에 비해 더 작은 직경으로 설계될 수 있다.
[0084] 편심부들(58 및 59)은 제1 및 제2 핸들바들(63, 64)를 통해 커플링 로드들(50, 53)의 제1 또는 제2 축(51, 54)에 작용한다(도 30, 도 35 및 도 36 참조).
[0085] 이러한 실시예에서 또한 주어지는 자동 절단 깊이 조절은 핸들(61)을 트위스팅함으로써 교정되며, 이는 이에 대응하여, 포지티브 연결을 통해 편심부들(58 및 59)의 회전 변위로, 추가적으로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각도 양만큼 기하학적 회전 축(x)에 대해 편심 방식으로 단면적으로 미리 구부러진 제어 구역들(65, 66)의 변위로 이어진다.
[0086] 도 33 및 도 34의 단면도들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편심부들(58 및 59)의 제어 구역들(65 및 66)은 묘사된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약 90°의 각도(β)만큼 기하학적 회전 축(x)에 대해 서로 오프셋되어 배열될 수 있다.
[0087] 기하학적 회전 축(x)을 중심으로 하는 핸들(61) 및 동시에 편심부들(58 및 59)을 트위스팅하는 것은 할당된 제1 및 제2 긴타원형 홀들(52, 55)에서의 둘 모두의 커플링 로드들(50 및 53)의 제1 및 제2 축들(51, 54)의 균일한 그리고 양방향 변위를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화살표들(e)을 참조). 도 36은 180°만큼 도 35의 포지션에 대해 트위스팅된 핸들 포지션을 도시한다. 이에 따라, 편심부들(58 및 59)의 제어 구역들(65 및 66)은 기하학적 회전 축(x)에 관하여 반대편 포지션으로 트위스팅되면서, 할당된 핸들 바들(63 및 64)를 이에 대응하여 끌고간다(entraining). 하나의 가능한 구성에서, 이 연관된 안내부들은 각각의 편심부의 원주 방향 전방 표면을 포함한다.
[0088] 예에 따라, 축들(51 및 54)은, 각각 할당된 긴타원형 홀(52, 55)의 연장의 측정값s의 약 절반만큼 긴타원형 홀(52, 55)에 배치되면서, 이에 대응하여 후속하여 제공되는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46 및 47)뿐만 아니라 축들(51 및 54)에 체결되는 커플링 로드들(50 및 53)을 동반한다.
[0089]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되는 조절 수단 구성의 배열을 고려할 때, 핸들(61) 및 이에 대응하여 편심부들(58 및 59)는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46 및 47)의 각도 포지션 및 플라이어 마우스 개방 포지션에서 기본 정렬에 대해 각각의 슬라이딩 블록(48, 49)에 관한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46 및 47)의 포지션을 설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케이블 두께에 대한 부가의 자동 조절은 와이어 스트리퍼(1)의 일반적인 사용 동안 이러한 기본 포지션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0090] 도 35 및 도 36의 도면들에 따라, 자동 절단 깊이 설정을 교정하기 위한 180°만큼의 편심부들(58 및 59)의 예시적인 조절은, 각도 치수의 1/4 내지 1/8,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1/6만큼 개방각에 대해 이러한 도면들에서 도시되는 절단 조들(22 및 23)의 개구를 확대시킬 수 있다.
[0091] 할당된 긴타원형 홀들(52, 55)에서의 제1 및 제2 축들(51, 54)의 상대적인 배열은 여기서 클램핑 조들(19, 20) 또는 플라이어 조들(2 및 3)의 선회 포지션과는 독립적이다.
[0092] 와이어 스트리퍼(1)에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클램핑 조들(19 및 20) 및/또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절단 에지들(17)이 제공될 수 있다.
[0093] 절단 조들(22, 23)의 절단 에지들(24, 25)은 전방 단부에서 작동될 나사들(67)에 의해 각각의 절단 조(22 또는 23)에 고정될 수 있다.
[0094]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어도 본질적으로 플레이트 절단 에지(24, 25) 각각은 각각의 나사(67)에 의해 통과될 보어홀(68)을 가질 수 있다.
[0095] 도 21 및 도 22의 도면들에 따른 단면에서 예각으로 런 아웃(run out)하고 그리고 도 23에 따른 측면도에서 윤곽선(70)을 형성하는 단면을 갖는 절단 에지(24, 25)는 사용 상태에서 플라이어 마우스(M)를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절단 팁(69)을 갖는다. 도 23에 따른 측면도에서, 윤곽선(70)은 동시에 절단 에지(17)의 종단선을 형성한다.
[0096] 윤곽선(70)은 오목 부분(71)을 가질 수 있다. 윤곽선(70)의 길이방향 연장에서 보이는 중심 영역에서, 윤곽선은, 바람직하게는 만곡부가 적은 선 또는 섹션(73)에 의해 양측면들 상에서 접하는 반경을 갖는, 연속적으로 곡선(커브형 구역(72)), 바람직하게는 원형 선과 유사하며, 안에 놓인 케이블(inlaid cable)(21)의 에워쌈을 계속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중심 곡선부에 접하는 이러한 선은 만곡부의 양측면들 상에 직선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윤곽선(70)의 본질적으로 V 형상 오목 부분(71)을 초래하여, V-팁은 반경(a)으로 이에 대응하여 라운딩된다.
[0097] 절단 평면(E)의 절단 방향(b)에 대해, 구역(72)에서 라운딩된 윤곽부에 접하는 섹션(73)에서의 윤곽선은 절단 방향(b)의 방향으로 계속될 수 있다(도 24 참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29를 참조하여, 윤곽선은 절단 방향(b)으로 오목 부분으로부터 진행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0098] 오목 부분(71)의 가장자리를 정하는 경우, 윤곽선(70)은 바람직하게는, 오목 부분(71)의 양측면들 상에서 절단 방향(b)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공유된 직선에 따라 이어질 수 있는 직선으로 이어지는 섹션들(73, 74)로 계속된다.
[0099] 윤곽선(70)은 여기서 또한, 엄격하게 구부러지게 이어지는 절단 평면(E)의 평면 연장(도 3 및 도 11 참조)에서 계속된다(도 23 참조). 따라서, 윤곽선(70)은 또한, 폭 및 높이에 대해, 즉, 바람직하게는 라운딩된 윤곽부의 영역에서보다 높이에 대해 상대적으로 덜 강하게 그리고 라운딩된 외형의 영역에서보다 실질적으로 폭이 상대적으로 보다 더 강하게 연장한다.
[00100] 예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클램핑 조(19 또는 20)는 2개의 대향하는 넓은 측 표면들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 베이스 본체(75)를 처음에 가질 수 있다. 대략적으로 중심 배열을 고려할 때, 체결 연장부(76)는 넓은 측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한다. 체결 연장부는 클램핑 조들(19 및 20) 사이에서 캡처링될 케이블(21)의 정렬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 평면을 갖는 설치된 상태에서, 플레이트 형상 설계를 가질 수 있다.
[00101] 체결 연장부(76)는 플라이어 조(2, 3)의 이에 대응하게 설계되는 수용 포켓(receiving pocket)(77) 내로 체결 연장부(76)을 삽입함으로써, 할당된 플라이어 조(2 또는 3)에 클램핑 조(19 또는 20)를 체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00102] 플라이어 조(2, 3)에 대한 고정은 나사 연결을 통해 발생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관련된 체결 나사(78)는 플라이어 조(2, 3)의 대응하는 보어홀 뿐만 아니라 체결 연장부(76)의 긴타원형 홀(79)을 통과하며, 여기서 클램핑 조(19, 20)는 각각의 플라이어 조(2, 3)의 전방 표면(80)으로부터 진행하는 나사들에 의해 체결된다.
[00103] 설치 상황에서 서로를 향하는 기초 본체(75)의 넓은 측들에 대해, 클램핑 조들(19 및 20) 둘 모두에는 클램핑 조들(19 및 20) 사이에서 클램핑될 케이블(21)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리브들(81)이 제공된다. 오목 플로어(83)를 가지는 홈형 오목부(grooved recesses)(82)은 이러한 리브들(81) 사이에서 이어진다.
[00104] 묘사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클램핑 조(19, 20)에는, 예를 들어, 이러한 6개의 리브들(81)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 6개의 리브들은 리브들(81)의 길이방향 연장에 대해 횡방향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서로 균일하게 이격된다(또한 도 18 참조). 리브들(81)은, 클램핑될 케이블(21)의 두께에 따를 뿐만 아니라, 케이블(21)에서 포설하지 않고, 대향 클램핑 조의 오목부들(82)에서 콤(comb)과 같이 리브들이 서로 맞물릴 수 있는 방식으로 추가적으로 배열된다.
[00105] 예시되는 바와 같이, 둘 모두의 클램핑 조들(19 및 20)의 모든 리브들(81)은 이들의 길이방향 연장의 일부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길이방향 연장의 중간에 오목한 벌지(concave protuberance)(84)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에 놓인 케이블의 길이방향 연장에서 보고 그리고 모든 리브들(81)에 걸쳐 보는 바와 같은 오목부들(84)의 동일 평면(flush) 배열을 고려할 때, 이는 ─ 언급된 길이방향 연장의 벌지들의 윤곽선들에 걸쳐 둘러싸는 표면의 의미에서 ─ 플라이어들 마우스(M)를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리브 표면(85)에 대해 본질적으로 중앙의 트로프 형상(trough-shaped) 함몰부를 야기한다. 이러한 점에서, 도 19 및 도 20에 대한 참조가 또한 이루어진다.
[00106] 리브 표면(85)은 벌지들(84)의 어느 하나의 측면 상에 전반적으로 평탄한 클램핑 표면(F)에 걸쳐진다.
[00107] 리브(81)의 연장의 방향에서 보는 벌지(84)의 폭(d)은 리브 길이방향 연장 측정값의 대략적으로 절반에 대응할 수 있다. 폭(d) 측정값에 대해 수직으로 관찰되는 벌지(84)의 깊이(e)는, 동일한 방향에서 볼, 오목부(82)의 가장 큰 최대 깊이(f)의 대략 절반에 대응할 수 있다.
[00108] 묘사되는 예시적 실시예에서, 오목부(82)의 가장 큰 깊이(f)는 또한, 이들의 리브 표면(85)의 구역의 2개의 인접한 리브들(81) 사이의 리브 길이방향 연장에 대해 횡방향에서 보는 자유 거리(g)의 약 1.5배에 대응할 수 있다(도 17 참조).
[00109] 리브(81)의 길이방향 연장에 대해 횡방향의 단면에 대하여, 각각의 리브(81)는 오목 플로어(83)로부터 진행하는 리브 표면(85)를 향하는 방향으로 또한 원뿔형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따라서, 오목부(82)의 가장자리를 정하는 외부 리브 표면들은 약 15°의 서로에 대한 원뿔각(δ)을 포함할 수 있다.
[00110] 리브(81)의 길이방향 연장을 참조하여, 각각의 리브(81)의 리브 표면(85)은 클램핑 표면(F)를 규정하는 평면에서 부분 구역에 걸쳐, 예를 들어, 도 17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클램핑 표면(F)으로 돌출되는 전체 길이(k)의 약 1/3에 대응할 수 있는 길이(h)에 걸쳐 횡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17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길이(h)를 넘어 연장하는 리브 표면(85)의 섹션은 약 5°의 각도(ε)로 하강될 수 있다.
[00111] 오목 플로어(83)는 오목부(82)의 길이에 걸쳐 깊이가 다양할 수 있고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다양한 치수들(f)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오목부(82) 또는 리브(81)의 전체 길이의 약 1/3에 대응할 수 있는 오목부(82)의 길이방향 연장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폭(m) 및 상승부(86)에 접하는 오목 플로어(83)의 구역의 레벨 위의 높이(n)를 갖는 돔-형상 상승부(dome-shaped elevation)(86)가 오목 플로어 측 상의 벌지(84)의 구역에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높이(n)는 오목부(82)의 가장 큰 깊이(f)의 약 1/3 내지 1/5에 대응할 수 있다.
[00112] 벌지(84) 및 상승부(86)의 배열 및 치수들은, 심지어 상승부(86)의 구역에서도, 벌지(84)가 벌지 플로어(83)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추가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00113] 위의 언급들은 전체적으로 출원에 의해 포함되는 본 발명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각각 독립적으로 또한 적어도 이하의 특징 조합들에 의해 종래 기술을 추가적으로 개량하며, 여기서 이러한 특징 조합들의 2개, 수개 또는 모두는 또한 조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0114] 와이어 스트리퍼로서, 슬라이딩 블록 부품(46, 47)은 슬라이딩 블록(48, 49)에 대한 설정에 대하여 클램핑 조들(19, 20)의 폐쇄 포지션과 관계없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15] 와이어 스트리퍼로서, 하나의 플라이어 조(2)는 고정되며, 그리고 하나의 플라이어 조(3)는 고정된 플라이어 조(2)에 대한 회전 움직임을 통해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16] 와이어 스트리퍼로서, 슬라이딩 블록 부품(46)은 회전 축에 대해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 상에 이동가능하게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17] 와이어 스트리퍼로서, 회전 축은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에 대해 서로에 대한 클램핑 조들(19, 20)의 폐쇄 포지션과 관계없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18] 와이어 스트리퍼로서, 2개의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46, 47)이 제공되며, 제1 슬라이딩 블록 부품(46)은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에 할당되는 절단 조(22)에 작용하며, 그리고 제2 슬라이딩 블록 부품(47)은 고정된 플라이어 조(2)에 할당되는 절단 조(23)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19] 와이어 스트리퍼로서,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에 할당되는 슬라이딩 블록 부품(46)은 제1 긴타원형 홀(52)에서 안내되는 제1 축(51)을 통해 고정된 플라이어 조(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20] 와이어 스트리퍼로서, 고정된 플라이어 조(2)에 할당되는 슬라이딩 블록 부품(47)은 제2 긴타원형 홀(55)에서 안내되는 제2 축(54)을 통해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21] 와이어 스트리퍼로서, 제1 및/또는 제2 긴타원형 홀(52, 55)에서의 제1 및/또는 제2 축(51, 54)의 상대적인 배열은 서로에 대한 클램핑 조들(19, 20)의 선회 포지션과 관계없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22] 와이어 스트리퍼로서, 조절능력은 제1 및/또는 제2 편심부(58, 59)를 통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23] 와이어 스트리퍼로서, 제1 및 제2 편심부들(58, 59)은 공유된 회전 축(x)을 갖는 공유된 편심 부품(57) 상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24] 와이어 스트리퍼로서, 제1 및/또는 제2 편심부들(58, 59)은 제1 또는 제2 축(51, 54)을 갖는 제1 및 제2 핸들바 부품(63, 64)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25] 모든 개시된 특징들(별도로 뿐만 아니라 조합으로) 본 발명에게 중요하다. 수반하는/첨부된 우선권 문헌들(예비 출원의 사본)의 개시 내용은, 또한 본 출원의 청구항들에 이러한 문헌들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목적을 위해, 이에 의해 그 전체가 출원 개시에 포함된다. 심지어 참조된 청구항의 특징들 없이, 종속항들의 특징들은, 특히 이러한 청구항들을 기초하여 부분 출원들을 생성하기 위해 종래 기술의 독립적인 발명의 추가의 개량예들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청구항에서 나타나는 본 발명은 또한, 특히 도면 부호들 및/또는 부호의 설명이 제공되는, 위의 명세서에서 나타나는 특징들 중 하나 또는 수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실시예들이 각각의 의도된 사용을 위해 명백하게 요구되지 않거나, 다른 기술적으로 동등한 수단들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면, 위의 명세서에서 언급된 개별적인 특징들이 실현되지 않는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다.
1 와이어 스트리퍼
2 고정된 플라이어 조
3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
4 고정된 그리핑 부품
5 이동가능한 그리핑 부품
6 칙 구역
7 회전 축
8 숄더 구역
9 돌출 구역
10 지지 표면
11 제어 레버
12 롤러
13 붐
14 복귀 스프링
15 돌출 구역
16 핸들바
17 절단 에지
18 클리어링된 구역
19 클램핑 조
20 클램핑 조
21 케이블
22 절단 조
23 절단 조
24 절단 에지
25 절단 에지
26 절단 조 쌍
27 선회 축
28 스프링
29 정지 캐리지
30 풀 로드
31 오목부
32 삽입 개구
33 인장 축
34 긴타원형 홀
35 슬리브
36 장착 부품
37 슬리브 벽
38 긴타원형 홀
39 스프링
40 플로어
41 숄더
42 공동
43 공동 플로어
44 래칭 돌출부
45 래칭 오목부
46 슬라이딩 블록 부품
47 슬라이딩 블록 부품
48 슬라이딩 블록
49 슬라이딩 블록
50 커플링 로드
51 제1 축
52 제1 긴타원형 홀
53 커플링 로드
54 제2 축
55 제2 긴타원형 홀
56 절연 섹션
57 편심 부품
58 제1 편심부
59 제2 편심부
60 스레드형 볼트
61 핸들
62 오목부
63 제1 핸들바
64 제2 핸들바
65 제어 구역
66 제어 구역
67 나사
68 보어홀
69 절단 팁
70 윤곽선
71 오목 부분
72 커브형 구역
73 섹션
74 섹션
75 베이스 본체
76 체결 연장부
77 수용 포켓
78 체결 나사
79 긴타원형 홀
80 전방 표면
81 리브
82 오목부
83 오목 플로어
84 벌지
85 리브 표면
86 상승부
a 반경
b 절단 방향
c 화살표
d 폭
e 깊이
f 깊이
g 거리
h 길이
k 전체 길이
m 폭
n 높이
r 변위 방향
x 기하학적 회전 축
y 기하학적 축
z 기하학적 축
E 절단 평면
F 클램핑 표면
M 플라이어 마우스
α 각도
β 각도
γ 개방각
δ 원뿔각
ε 각도

Claims (12)

  1. 와이어 스트리퍼(wire stripper)(1)로서,
    상기 와이어 스트리퍼는 2개의 플라이어 조들(plier jaws)(2, 3), 2개의 외부 클램핑 조들(outer clamping jaws)(19, 20), 2개의 내부 절단 조들(inner cutting jaws)(22, 23), 및 2개의 그리핑 부품들(gripping parts)(4, 5)을 가지며,
    상기 절단 조들(22, 23)은 상기 그리핑 부품들(4, 5)을 함께 가압하면서 풀 로드(pull rod)(30)에 의해 시작 포지션으로부터 종료 포지션으로 변위될 수 있고,
    상기 절단 조들(22, 23)은 변위 방향(r)으로 이동될 수 있는 슬라이딩 블록 부품(sliding block part)(46, 47) 상에서 이들의 변위 방향(r)으로 추가적으로 안내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 부품은 그의 일부가 상기 클램핑 조들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블록(48, 49)에 맞닿아 놓이고,
    상기 절단 조들(22, 23)은, 상기 클램핑 조들(19, 20)의 폐쇄 포지션에 따라, 이러한 슬라이딩 블록 부품(46, 47)을 통해, 다양한 정도들로 서로를 향해 이동되며, 상기 폐쇄 포지션은 슬라이딩 블록 부품(46, 47)의 움직임을 결정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 부품(46, 47)은 상기 슬라이딩 블록(48, 49)에 대한 그의 포지션에 관하여 클램핑 조들(19, 20)의 폐쇄 포지션과 관계없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트리퍼(1).
  2. 제1 항에 있어서,
    하나의 플라이어 조(2)는 고정되며, 그리고 하나의 플라이어 조(3)는 고정된 플라이어 조(2)에 대해 회전 움직임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트리퍼(1).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 부품(46)은 상기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 상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그리고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트리퍼(1).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장착은 회전 축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트리퍼(1).
  5. 제2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회전 축은 상기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에 대해 서로에 대한 상기 클램핑 조들(19, 20)의 폐쇄 포지션과 관계없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트리퍼(1).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슬라이딩 블록 부품들(46, 47)이 제공되며,
    제1 슬라이딩 블록 부품(46)은 상기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에 할당되는 상기 절단 조(22)에 작용하며, 그리고 제2 슬라이딩 블록 부품(47)은 상기 고정된 플라이어 조(2)에 할당되는 상기 절단 조(23)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트리퍼(1).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에 할당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 부품(46)은, 제1 긴타원형 홀(oblong hole)(52)에서 안내되는 제1 축(51)을 통해 상기 고정된 플라이어 조(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트리퍼(1).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플라이어 조(2)에 할당되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 부품(47)은, 제2 긴타원형 홀(55)에서 안내되는 제2 축(54)을 통해 상기 이동가능한 플라이어 조(3)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트리퍼(1).
  9.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긴타원형 홀(52, 55)에서의 상기 제1 및/또는 제2 축(51, 54)의 상대적인 배열은, 서로에 대한 상기 클램핑 조들(19, 20)의 선회 포지션과 관계없이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트리퍼(1).
  10. 제9 항에 있어서,
    조절능력(adjustability)은 제1 및/또는 제2 편심부(eccentric)(58, 59)를 통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트리퍼(1).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편심부(58, 59)는 공유된 회전 축(x)을 갖는 공유된 편심 부품(57) 상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트리퍼(1).
  12. 제10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편심부들(58, 59)은 상기 제1 또는 제2 축(51, 54)을 갖는 제1 및 제2 핸들바(handlebar) 부품(63, 64)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스트리퍼(1).
KR1020207018492A 2017-11-29 2018-11-08 스트리핑 플라이어들 KR102651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8226.2 2017-11-29
DE102017128226.2A DE102017128226A1 (de) 2017-11-29 2017-11-29 Abisolierzange
PCT/EP2018/080587 WO2019105707A1 (de) 2017-11-29 2018-11-08 Abisolierzan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613A true KR20200093613A (ko) 2020-08-05
KR102651495B1 KR102651495B1 (ko) 2024-03-25

Family

ID=6426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492A KR102651495B1 (ko) 2017-11-29 2018-11-08 스트리핑 플라이어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811201B2 (ko)
EP (1) EP3718185A1 (ko)
JP (1) JP7206275B2 (ko)
KR (1) KR102651495B1 (ko)
CN (1) CN111418124B (ko)
AU (1) AU2018374405B2 (ko)
CA (1) CA3084574A1 (ko)
DE (1) DE102017128226A1 (ko)
MX (1) MX2020005588A (ko)
RU (1) RU2763783C2 (ko)
TW (1) TWI810225B (ko)
WO (1) WO20191057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870A (ko) * 2020-11-03 2022-05-10 김상원 전선 스트리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8909B (zh) * 2019-06-18 2020-07-17 六安维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检修接线用线头表皮剥离装置
USD1000237S1 (en) * 2020-12-17 2023-10-03 Weidmueller Interface Gmbh & Co. Kg Pliers
TWD215831S (zh) * 2021-04-26 2021-12-01 加捷實業有限公司 壓接手工具
DE202021106335U1 (de) * 2021-11-19 2021-12-16 Krampe Immobilien Gmbh & Co. Kg Abisolierzan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322A (ja) * 1993-09-24 1995-08-18 Zb New Prod Ltd 改良されたワイヤーの被覆除去工具
DE4420006A1 (de) * 1994-06-08 1995-12-14 Rennsteig Werkzeuge Gmbh Zange zum Abisolieren von Leiterenden
JP2007532147A (ja) * 2004-01-22 2007-11-15 ホフマン、ホルスト 様々な導線断面積に合わせて自動的に適応調節されるケーブルストリッパー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1087A (en) 1962-07-10 1964-12-15 Bartley Mfg Company Inc Wire stripping tool
FR96295E (fr) 1967-11-04 1972-06-16 Bieganski Zdzislaw Outil pour enlever la gaine d'un fil métallique gainé.
US3707099A (en) 1970-10-15 1972-12-26 Edmund Petz Head-on wire stripping tool
US3879981A (en) 1973-05-23 1975-04-29 Joseph E Richards Fishline connector device
IT1005266B (it) 1974-01-15 1976-08-20 Elettrocontrolli Di Casadio R Pinza per spellare cavetti com posti da uno o pil fili elettrici rivestiti da una guaina isolante
DE2402187C3 (de) * 1974-01-17 1980-02-07 C. A. Weidmueller Kg, 4930 Detmold Handzange zum Abisolieren von Leiterenden
EP0007771B1 (en) 1978-07-27 1982-09-22 Zdzislaw Bieganski Wire stripping tool
US4485696A (en) 1980-03-17 1984-12-04 Zdzislaw Bieganski Apparatus for wire stripping
DE8015246U1 (de) * 1980-06-07 1980-09-04 C. A. Weidmueller Kg, 4930 Detmold Handzange zum Abisolieren der Enden elektrischer Leiter
SE455452B (sv) * 1980-08-29 1988-07-11 Weidmueller C A Gmbh Co Handverktyg for avisolering av endar hos elektriska ledare
DE3308053A1 (de) 1983-03-08 1984-09-13 Werner Möller GmbH & Co KG, 5630 Remscheid Abisolierzange
SE8306163D0 (sv) * 1983-11-09 1983-11-09 Weidmueller C A Gmbh Co Avisoleringsanordning, i synnerhet for ledare med segt isoleringsskikt
US4577405A (en) * 1984-09-17 1986-03-25 Mechtrix Corporation Compound-angle blade for stripping insulated electrical conductors
SU1345279A1 (ru) * 1986-04-07 1987-10-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В-8231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н ти изол ции с концов ленточного кабел
GB8617249D0 (en) 1986-07-15 1986-08-20 Abeco Ltd Cable stripping tool
JPH08507434A (ja) * 1993-03-06 1996-08-06 リバーシッジ,バリー,ピーター ワイヤストリッパ
DE4420050C1 (de) * 1994-06-08 1995-08-24 Weidmueller Interface Abisoliervorrichtung
GB9420577D0 (en) * 1994-10-12 1994-11-30 Abeco Ltd Stripping tools
DE19512132C1 (de) 1995-03-31 1996-05-15 Weidmueller Interface Abisolierzange
CN2271760Y (zh) * 1996-07-23 1997-12-31 吴志浩 剥线机
DE19707739C1 (de) * 1997-02-27 1998-04-23 Josef Krampe Abisolierzange für ummantelte elektrische Kabel
US6094821A (en) 1998-07-01 2000-08-01 The Whitaker Corporation Optimized stripping blades
US6243947B1 (en) 1998-09-22 2001-06-1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Method for processing an end of a shielded cable
GB9926244D0 (en) * 1999-11-06 2000-01-12 Liversidge Barry P Wire stripper
FR2812133B1 (fr) * 2000-07-19 2002-09-27 Tech Modernes Alsaciennes Pince a denuder
CN100472904C (zh) * 2004-01-22 2009-03-25 威斯汀工具有限公司 自动配合不同导线横截面的剥线钳
EP1560310B1 (de) * 2004-02-02 2015-03-04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bisolierzange
WO2008062375A2 (en) 2006-11-22 2008-05-29 Schleuniger Holding Ag Device and method for folding back the braided shielding braiding of a cable
JP2008167813A (ja) * 2007-01-09 2008-07-2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刃物
DE102007014903B3 (de) 2007-03-26 2008-07-17 Rennsteig Werkzeuge Gmbh Auswechselbares Gesenk für Zangen, Zange mit einem solchen Gesenk und Aufbewahrungsvorrichtung
DE102007056262A1 (de) * 2007-04-24 2008-11-06 Rennsteig Werkzeuge Gmbh Hand-Zangenwerkzeug
EP2166630B1 (de) * 2007-11-02 2016-08-17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bisolierzange
HUE024289T2 (en) 2007-11-02 2016-01-28 Weidmueller Interface Gmbh & Co Kg Stripping pliers
TWM372028U (en) * 2009-07-10 2010-01-01 Kauw Yehi Ind Co Ltd Structure of wire-peeling pliers
CN202360529U (zh) * 2011-12-07 2012-08-01 伍志勇 抽屉面板连接装置
CN103474863B (zh) * 2013-10-10 2015-08-26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同轴线剥离装置
EP3054541B1 (de) * 2015-02-03 2018-02-21 Wezag GmbH Werkzeugfabrik Abisolierwerkzeug
CN204614664U (zh) * 2015-04-24 2015-09-02 诸暨斯通机电设备制造有限公司 用于小型多段绕线磁环剥线机的剪剥装置
EP3096423B1 (de) * 2015-05-22 2019-11-13 Wezag GmbH Werkzeugfabrik Abisolierzange
CN106695594A (zh) * 2016-11-23 2017-05-24 南京众士德机器人科技有限公司 可调节卡钳
DE102017128228A1 (de) * 2017-11-29 2019-05-29 Rennsteig Werkzeuge Gmbh Abisolierzange
DE102017128227A1 (de) * 2017-11-29 2019-05-29 Rennsteig Werkzeuge Gmbh Klemmbacken und Schneiden für eine Abisolierzange, sowie Abisolierzan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322A (ja) * 1993-09-24 1995-08-18 Zb New Prod Ltd 改良されたワイヤーの被覆除去工具
DE4420006A1 (de) * 1994-06-08 1995-12-14 Rennsteig Werkzeuge Gmbh Zange zum Abisolieren von Leiterenden
JP2007532147A (ja) * 2004-01-22 2007-11-15 ホフマン、ホルスト 様々な導線断面積に合わせて自動的に適応調節されるケーブルストリッパ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870A (ko) * 2020-11-03 2022-05-10 김상원 전선 스트리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374405B2 (en) 2022-08-25
CN111418124B (zh) 2022-08-09
DE102017128226A1 (de) 2019-05-29
CA3084574A1 (en) 2019-06-06
JP7206275B2 (ja) 2023-01-17
KR102651495B1 (ko) 2024-03-25
RU2020117524A (ru) 2021-12-29
TW201926829A (zh) 2019-07-01
EP3718185A1 (de) 2020-10-07
RU2020117524A3 (ko) 2021-12-29
CN111418124A (zh) 2020-07-14
US11811201B2 (en) 2023-11-07
TWI810225B (zh) 2023-08-01
RU2763783C2 (ru) 2022-01-11
AU2018374405A1 (en) 2020-06-04
MX2020005588A (es) 2020-09-22
JP2021505112A (ja) 2021-02-15
WO2019105707A1 (de) 2019-06-06
US20210006049A1 (en)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3613A (ko) 스트리핑 플라이어들
KR102640909B1 (ko) 스트리핑 플라이어들
US10686266B2 (en) Cam driven, spring loaded grounding clamp
US6671944B2 (en) Multipurpose coaxial cable tool
CN111264008B (zh) 用于剥线钳的夹紧钳口和切刃以及剥线钳
KR20140005841U (ko) 헬스기기용 스탠드 파이프와 조정 파이프 사이의 잠금기구의 개량구조
US20200248842A1 (en) Gripper unit for gripping and handling cable ends of two cables, loading station with the gripper unit and method for the provisioning of plug housings
JP5797696B2 (ja) 間接活線工具用アダプタ
TW202212064A (zh) 用於實施壓接的手鉗以及具有鉗頭的手鉗
TW202414938A (zh) 緊線器
DE2206838C3 (de) Kontakteinrichtung zur Zuleitung elektrischen Stroms zu einer Elektrode . eines elektrischen Ofens
JP3193693U (ja) 手動圧着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