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870A - 전선 스트리퍼 - Google Patents

전선 스트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870A
KR20220059870A KR1020200164561A KR20200164561A KR20220059870A KR 20220059870 A KR20220059870 A KR 20220059870A KR 1020200164561 A KR1020200164561 A KR 1020200164561A KR 20200164561 A KR20200164561 A KR 20200164561A KR 20220059870 A KR20220059870 A KR 20220059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lectric wire
cutter
press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5168B1 (ko
Inventor
김상원
Original Assignee
김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원 filed Critical 김상원
Publication of KR20220059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36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07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09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02G1/1212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using wire or cable clamping means

Landscapes

  • Knives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스트리퍼에 관한 것으로서, 힌지부를 중심으로 교차 결합한 상태로 왕복 회동하는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선을 파지하는 제1 협지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중간에 설치되어 전선을 파지하는 제2 협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전선의 탈피될 부분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2군데에서 동시에 파지하므로 전선의 탈피가 한층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선 스트리퍼{Wire Stripper}
본 발명은 전선 스트리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피 성능을 더욱 향상시킨 전선 스트리퍼에 관한 것이다.
전선 스트리퍼는 전선의 단부 일부 구간의 외피를 벗겨내서 도체를 노출시키기 위한 도구이다.
기존의 전선 스트리퍼는 일반 가위가 전선을 절단하듯이 커터가 가로방향으로 외피를 일부 절단한 후 전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잡아당겨서 탈피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이, 작업자의 감각에 의해 외피를 절단하기 때문에 전선 스트리퍼에 의해 도체의 외측면이 절단되어 손상되는 경우가 있었고, 전선 스트리퍼가 전선을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에서 탈피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전선 외피의 탈피작업을 위해 힘을 작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못했으며, 탈피되고 남은 외피의 절단 부분이 깔끔하지 못하여 도체 연결 후 후속처리가 번거롭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8548호 (2012.02.0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을 스트리퍼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끼우고 피복을 절단한 후 피복의 제거할 부분을 두 군데에서 강하게 협지한 상태에서 잡아당기므로 전선의 탈피작업이 용이하고 도체의 손상이 없으면서도 전선의 탈피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선 스트리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스트리퍼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교차 결합한 상태로 왕복 회동하는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선을 파지하는 제1 협지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중간에 설치되어 전선을 파지하는 제2 협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협지부는,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외피의 일부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고 상기 커터부보다 약간 짧은 길이를 가지며 탈피시 전선의 외피를 누르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한쌍의 제1 누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터부는 전선의 굵기와 외피의 두께에 대응하여 전선의 반경방향으로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터부는,
상기 외피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날;
상기 커터날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 중 커터부가 설치된 몸체부를 관통하며 단부에는 이송 나사가 형성되는 커터 자루; 및,
상기 커터 자루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협지부는,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중공의 가이드 통;
상기 가이드 통에 각각 수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탈피시 전선의 외피를 누르는 한쌍의 제2 누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누름부의 측면에는 스케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누름부에서 전선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전선의 곡률과 동일한 방향의 곡률을 갖는 접촉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홈의 내면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마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협지부가 설치된 전방부와 상기 힌지부 사이에 외측으로 오목한 채널 형상의 절곡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2 협지부는 상기 절곡부의 바닥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선 스트리퍼에 따르면, 힌지부를 중심으로 교차 결합한 상태로 왕복 회동하는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선을 파지하는 제1 협지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중간에 설치되어 전선을 파지하는 제2 협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전선의 탈피될 부분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2군데에서 동시에 파지한 상태에서 전선 스트리퍼의 길이방향을 따라 잡아당겨서 탈피하는 것에 의해 전선의 탈피가 확실하고도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협지부는,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외피의 일부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고 상기 커터부보다 약간 짧은 길이를 가지며 탈피시 전선의 외피를 누르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한쌍의 제1 누름부를 포함하므로,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단부에 마련된 손잡이를 서로 쥐어서 누르게 되면 상기 커터부에 의해 외피 두께의 일부가 절단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돌기에 의해 전선의 탈피될 부분이 서로 반대쪽에서 강하게 파지되어 탈피되는 것에 의해 도체가 손상되지 않으면서도 한층 정확하고 확실한 탈피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터부는 전선의 굵기와 외피의 두께에 대응하여 전선의 반경방향으로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전선에 대한 탈피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협지부는,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중공의 가이드 통, 상기 가이드 통에 수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탈피시 전선의 외피를 누르는 한쌍의 제2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손잡이를 쥐어서 누르게 되면 상기 제2 누름부가 서로 접근하여 전선을 누르게 되는데, 상기 제2 누름부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다양한 직경의 전선을 수시로 탈피하는 경우에도 도체가 손상되는 경우 없이 전선을 확실히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누름부의 측면에는 스케일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탈피될 전선 외피의 길이방향을 따라 탈피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협지부가 설치된 전방부와 상기 힌지부 사이에 외측으로 오목한 채널 형상의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협지부는 상기 절곡부의 바닥에 각각 설치되어 제2 협지부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누름부에서 전선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전선의 곡률과 동일한 방향의 곡률을 갖는 접촉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홈의 내면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마찰부가 형성되어 전선의 외면을 미끄러짐 없이 확실히 파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스트리퍼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제1 누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커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A-A 단면에서 바라본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스트리퍼(1000)는,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교차 결합한 상태로 왕복 회동하는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선(900)을 파지하는 제1 협지부(200) 및,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의 중간에 설치되어 전선(900)을 파지하는 제2 협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전선(900)을 전선 스트리퍼(1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제1 협지부(200)와 제2 협지부(300)에 의해 전선(900)을 파지하여 잡아당겨서 전선(900)의 외피를 탈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선(900)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2군데에서 동시에 파지한 상태에서 전선 스트리퍼(1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잡아당겨서 탈피하게 되므로 전선의 탈피가 확실하고도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협지부(200)는,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설치되어 외피의 일부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부(210),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고 상기 커터부(210)보다 약간 짧은 길이를 가지며 탈피시 전선(900)의 외피를 눌러서 파지하는 복수의 돌기(221)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제1 누름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누름부(220)는 베이스(222) 상에 복수의 돌기(221)가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외의 적절한 형태의 배열로 구성하더라도 무방하다.
즉,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의 단부에 마련된 손잡이(140)를 서로 쥐어서 누르게 되면 상기 커터부(210)에 의해 전선(900) 외피 두께의 일부가 절개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돌기(221)에 의해 전선(900)의 탈피될 부분이 서로 반대쪽에서 강하게 파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터부(210)에 의해 전선(900)의 외피 두께의 일부가 절개된 후 탈피되므로 도체(910)가 손상되지 않으면서도 한층 정확하고 확실한 탈피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커터부(210)는 전선의 굵기와 외피의 두께에 대응하여 전선(900)의 반경방향으로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커터부(210)가 임의의 직경을 가지는 전선(900)의 외피를 지나 도체(910)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커터부(210)가 도체(910)에 약간 접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겠으나 탈피시 커터부(210)와의 마찰에 의해 도체(9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터부(210)는, 상기 전선(900)의 외피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날(211), 상기 커터날(21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 중 커터부(210)가 설치된 몸체부를 관통하며 단부에는 이송 나사(212a)가 형성되는 커터 자루(212), 및 상기 커터 자루(212)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협지부(300)는,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의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중공의 가이드 통(310), 상기 가이드 통(310)에 수용되는 스프링(320) 및, 상기 스프링(32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탈피시 전선(900)의 외피를 누르는 한쌍의 제2 누름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손잡이(140)를 쥐어서 누르게 되면 상기 제2 누름부(330)가 서로 접근하여 전선(900)을 누르게 되는데, 상기 제2 누름부(330)가 스프링(32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다양한 직경의 전선(900)을 수시로 탈피하는 경우에도 상기 전선(900)의 도체(910)가 손상되는 경우 없이 전선(900)을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누름부(330)에서 전선(900)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전선(900)의 곡률과 동일한 방향의 곡률을 갖는 접촉홈(3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접촉홈(331)의 내면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마찰부(332)가 형성되어 전선(900)의 외면을 확실히 파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누름부(330)의 측면에는 스케일(40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탈피될 전선(900)의 외피의 길이방향을 따라 탈피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기준으로 설명할 때, 전선(900) 외피의 단부를 스케일(400)의 상단부에 일치시킨 후 천천히 외피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외피의 단부가 가리키는 스케일(400)의 눈금을 읽으면 된다. 이때, 상기 스케일(400) 상단부에는, 스케일(400)의 상단부로부터 커터날(211) 위치까지의 거리가 표시된다.
상기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는, 상기 제1 협지부(200)가 설치된 전방부와 상기 힌지부(130) 사이에 외측으로 오목한 채널 형상의 절곡부(115)(125)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2 협지부(300)는 상기 절곡부(115)(125)의 바닥에 각각 설치되어 제2 협지부(300)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10... 제1 몸체부
115... 절곡부
120... 제2 몸체부
125... 절곡부
130... 힌지부
140... 손잡이
200... 제1 협지부
210... 커터부
211... 커터날
212... 커터 자루
212a... 이송 나사
213... 너트
220... 제1 누름부
221... 돌기
222... 베이스
300... 제2 협지부
310... 가이드 통
320... 스프링
330... 제2 누름부
331... 접촉홈
332... 마찰부
400... 스케일
900... 전선
910... 도체
1000... 전선 스트리퍼

Claims (8)

  1. 힌지부를 중심으로 교차 결합한 상태로 왕복 회동하는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선을 파지하는 제1 협지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중간에 설치되어 전선을 파지하는 제2 협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트리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협지부는,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외피의 일부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고 상기 커터부보다 약간 짧은 길이를 가지며 탈피시 전선의 외피를 누르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한쌍의 제1 누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트리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는 전선의 굵기와 외피의 두께에 대응하여 전선의 반경방향으로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트리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는,
    상기 외피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날;
    상기 커터날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 중 커터부가 설치된 몸체부를 관통하며 단부에는 이송 나사가 형성되는 커터 자루; 및,
    상기 커터 자루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트리퍼.
  5. 제1항에 있어서,
    제2 협지부는,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의 대향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는 중공의 가이드 통;
    상기 가이드 통에 각각 수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탈피시 전선의 외피를 누르는 한쌍의 제2 누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트리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누름부의 측면에는 스케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트리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누름부에서 전선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전선의 곡률과 동일한 방향의 곡률을 갖는 접촉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홈의 내면에는 마찰계수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마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트리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는, 상기 제1 협지부가 설치된 전방부와 상기 힌지부 사이에 외측으로 오목한 채널 형상의 절곡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2 협지부는 상기 절곡부의 바닥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스트리퍼.
KR1020200164561A 2020-11-03 2020-11-30 전선 스트리퍼 KR102465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5425 2020-11-03
KR1020200145425 2020-1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870A true KR20220059870A (ko) 2022-05-10
KR102465168B1 KR102465168B1 (ko) 2022-11-09

Family

ID=8159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561A KR102465168B1 (ko) 2020-11-03 2020-11-30 전선 스트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1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5635A (ja) * 1998-01-26 1999-08-06 Sekisui Chem Co Ltd 電線被覆層除去工具及び電線被覆層除去方法
JP2002199535A (ja) * 2000-12-27 2002-07-12 Tatsu Kioka 電線の被覆を除去するワイヤーストリッパ
JP2002200374A (ja) * 2000-12-27 2002-07-16 Hanazono Kogu Kk 被覆電線のストリッパ
KR200458548Y1 (ko) 2010-11-30 2012-04-12 주식회사 승호전기 활선용 전선 피박기
KR20200093613A (ko) * 2017-11-29 2020-08-05 렌슈타이크 베르크쪼이게 게엠베하 스트리핑 플라이어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5635A (ja) * 1998-01-26 1999-08-06 Sekisui Chem Co Ltd 電線被覆層除去工具及び電線被覆層除去方法
JP2002199535A (ja) * 2000-12-27 2002-07-12 Tatsu Kioka 電線の被覆を除去するワイヤーストリッパ
JP2002200374A (ja) * 2000-12-27 2002-07-16 Hanazono Kogu Kk 被覆電線のストリッパ
KR200458548Y1 (ko) 2010-11-30 2012-04-12 주식회사 승호전기 활선용 전선 피박기
KR20200093613A (ko) * 2017-11-29 2020-08-05 렌슈타이크 베르크쪼이게 게엠베하 스트리핑 플라이어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168B1 (ko) 202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5037A (en) Tool for stripping the sheathing from sheathed cables and the like
US9225152B2 (en) Multi-function wire stripping hand tool and kit and method for using same
US6128976A (en) Single drop trimmer
MXPA04010933A (es) Pinzas multifuncionales.
US5732471A (en) Wire stripper with integral cable sheath cutter
US5205006A (en) Electrician tool
US4057863A (en) Plier assembly
US6253641B1 (en) Single drop trimmer with limited cartridge release
US2932224A (en) Wire stripper and cutter
US450925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baring the end of sheathed multicore cable
US2300087A (en) Electric marine cable stripper
US5377564A (en) Tool for stripping sheath from fiber optic conductor
US20030188432A1 (en) Cable and wire stripper
US20020100552A1 (en) Apparatus for stripping a coating from an optical fibre
KR102465168B1 (ko) 전선 스트리퍼
US20170125985A1 (en) Cutting structures of wire stripper
US20040118251A1 (en) Wire stripper
US20170110860A1 (en) Cable stripping device and method for stripping insulation from cables
US3543616A (en) Slitter and insulation for tape-type wire
US5572914A (en) Tweezer-pliers having multiple gripping means
US20180345471A1 (en) Multi-purpose electrical tool
EP0146397A2 (en) Wire stripper
CN210007264U (zh) 一种剥线钳
US4006502A (en) Packaging and applicator tool for electrical terminals
US3109332A (en) Wire jacket skin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