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907A - 지엽 집적용 드럼, 지엽의 집적 장치, 및 지엽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 집적용 드럼, 지엽의 집적 장치, 및 지엽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907A
KR20200090907A KR1020207019469A KR20207019469A KR20200090907A KR 20200090907 A KR20200090907 A KR 20200090907A KR 1020207019469 A KR1020207019469 A KR 1020207019469A KR 20207019469 A KR20207019469 A KR 20207019469A KR 20200090907 A KR20200090907 A KR 20200090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drum
accumulation
bill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9905B1 (ko
Inventor
신야 이자와
유키 이시하라
Original Assignee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0Piling apparatus of which the discharge point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to the pile
    • B65H29/51Piling apparatus of which the discharge point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to the pile piling by collecting on the periphery of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006Winding articles into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28Feeding articles stored in rolled or folded ban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1Features of transport path
    • B65H2301/311Features of transport path for transport path in plane of handled material, e.g. geometry
    • B65H2301/3113Features of transport path for transport path in plane of handled material, e.g. geometry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9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 B65H2301/4191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 B65H2301/41912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between two belt lik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9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 B65H2301/4192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in shingled formation
    • B65H2301/41924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in shingled formation between two belt lik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90Machine drive
    • B65H2403/94Other features of machine drive
    • B65H2403/942Bidirectional powered hand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40Shafts, cylinders, drums, spindles
    • B65H2404/41Details of cross section profile
    • B65H2404/411Means for varying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1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sheet(s)
    • B65H2408/13Wall or kiosk dispenser, i.e. for positively handling or holding material until withdrawal by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지엽을 불출 드럼 외주면에 순차 공급하여 적층 상태로 감아 집적하고 나서 일괄하여 반환 처리하는 드럼 방식의 지엽의 집적 장치에 있어서, 불출 드럼 외주에 집적되는 지엽 매수가 증대해도 각별한 속도 제어를 행하지 않고 불출 드럼 최외주의 지엽의 선속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지폐의 정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회전하는 과정에서 1매씩 공급되는 지엽을 외주면 상에 겹쳐 집적하는 지엽 집적용 드럼(105)으로서, 외주면의 지엽 집적 부위에 소정의 둘레 방향 배치로 마련되어 외경 방향으로 돌출된 최돌출 위치와, 해당 최돌출 위치보다도 내경 방향으로 퇴피한 퇴피 위치와의 사이를 출몰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돌출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고, 또한 외면에서 지엽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출몰 부재(280)를 구비하며, 지엽은, 출몰 부재 사이에 걸쳐 집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엽 집적용 드럼, 지엽의 집적 장치, 및 지엽 처리 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 판매기 등의 지엽 취급 장치에 장비(裝備)되는 지엽 처리 장치, 지엽 처리 장치에 장비되는 지엽의 집적 장치, 및 지엽 집적용 드럼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고객이 투입한 지폐를 받아들이는 것에 의해서 여러 가지의 물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한 자동 판매기, 유기장(遊技場)의 유기 매체 대출기, 입출금 장치, 환전기 등의 지폐 취급 장치에 장비되는 지폐 처리 장치로서는, 복수 금종(金種)의 지폐의 연속 거두어들임, 수납, 및 불출(拂出)이 가능한 환류식(還流式)의 타입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지폐 처리 장치는, 식별부에 의해서 받아들임이 거부된 리젝트 지폐나, 지폐 투입 후에 캔슬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 반환하게 된 지폐를 일단 집적하고 나서 반환구로 불출하는 불출 집적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불출 집적 장치로서는, 특허 문헌 1(일본특허공개 평06-32514호), 특허 문헌 2(일본특허 제2814249호), 특허 문헌 3(일본특허 제4563435호), 특허 문헌 4(일본특허공표 평10-508962호)에 각각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객이 투입한 지폐를 일단 드럼 외주에 감아 일시 보류해 두고, 캔슬, 취망(取忘, 가져가는 것을 잊어버림)이 있을 때에 일괄하여 반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외주 길이, 및 외경이 일정한 원통 모양의 드럼의 외주면에 복수매의 지폐를 순차 적층하고 나서 일괄하여 불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적층 매수가 1매 증가함에 따라 지폐의 두께를 포함한 드럼의 외경(원주(圓周))이 증대하여 최외주의 지폐의 주속(周速)이 증대한다. 이 때문에, 드럼에 도입되는 지폐의 반송 속도가 일정하면, 드럼 외주의 기(旣)적층 지폐와 후속 지폐의 선단을 합치(合致)시키는 타이밍이 순차 어긋남을 일으켜 버려, 적층되는 지폐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다.
이 문제점에 대해서는 적층 지폐 매수의 증대에 따라 드럼의 주속도(周速度)를 지폐의 반송 속도에 일치하도록 순차 감속시키는 속도 조정의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폐의 두께의 차이, 접힘 자국 등의 변형 정도 등등의 요인에 의해서 실제의 외경, 및 주속의 증가량은 일정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드럼의 주속의 고정밀도 제어는 실제로는 매우 어려워, 제어 프로그램이 복잡하게 된다.
또, 이러한 문제는, 지폐 처리 장치에 한정하지 않고, 지폐 이외의 지엽, 예를 들면, 티켓, 금권(金券), 유가증권 등을 취급하는 지엽 처리 장치에서도 발생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06-3251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 제2814249호 특허 문헌 3 : 일본특허 제4563435호 특허 문헌 4 : 일본특허공표 평10-508962호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투입된 후에 일시 보류되어 있던 지엽에 대해 이송(반환, 배출)하는 것이 확정된 경우에, 해당 지엽을 불출 드럼 외주면에 순차 공급하여 적층 상태로 감아 집적하고 나서 일괄하여 이송 처리하는 드럼 방식의 지엽의 집적 장치에 있어서, 불출 드럼 외주에 집적되는 지엽 매수가 증대해도 각별한 속도 제어를 행하지 않고 불출 드럼 최외주의 지엽의 선속(線速)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지폐의 정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지엽 집적용 드럼은, 회전하는 과정에서 1매씩 공급되는 지엽을 외주면 상에 겹쳐 집적하는 지엽 집적용 드럼으로서, 외주면의 지엽 집적 부위에 소정의 둘레 방향 배치로 마련되어 외경 방향으로 돌출된 최(最)돌출 위치와, 상기 최돌출 위치보다도 내경 방향으로 퇴피(退避)한 퇴피 위치와의 사이를 출몰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돌출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고, 또한 외면에서 지엽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출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지엽은, 상기 출몰 부재 사이에 걸쳐 집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엽을 불출 드럼 외주면에 순차 공급하여 적층 상태로 감아 집적하고 나서 일괄하여 배출 처리하는 드럼 방식의 지엽의 집적 장치에 있어서, 불출 드럼 외주에 집적되는 지엽 매수가 증대해도 각별한 속도 제어를 행하지 않고 불출 드럼 최외주의 지엽의 선속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지폐의 정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의 집적 장치를 구비한 지엽(지폐) 처리 장치의 정면도, 및 A-A 단면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지폐 처리 장치의 입금 동작, 및 확정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지폐 처리 장치의 출금 동작, 및 회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의 (a), (b) 및 (c)는 에스크로(escrow)·집적 유닛의 외관 사시도, B-B 단면도, 및 불출 집적부 단체(單體)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불출 집적부의 우측판을 제거한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a)의 C-C 단면 사시도, (c)는 (a)의 D-D 단면 사시도, (d)는 (a)의 D-D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불출 드럼을 중심으로 한 반송 기구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불출 집적부의 좌측판을 제거한 내부 구성(기어 기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 (b) 및 (c)는 불출 드럼에 대해서 각 벨트 기구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불출 드럼 단체의 외관 사시도, 및 출몰 부재의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불출 드럼에 대해서 각 벨트 기구, 및 각 플래퍼( flapper)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a), (b) 및 (c)는 불출 드럼의 외관 사시도, 종단면 사시도, 및 종단면 측면도이다.
도 11의 (a), (b) 및 (c)는 불출 드럼에 지폐가 감기는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의 (a) 내지 (c)는 지폐를 불출 드럼 외주에 권취하는 집적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3의 (d) 및 (e)는 집적 동작의 이어지는 설명도이다.
도 14의 (f) 내지 (h)는 집적 동작의 이어지는 설명도이다.
도 15의 (i) 및 (j)는 집적 동작의 이어지는 설명도이다.
도 16의 (a) 내지 (c)는 일괄 불출 동작의 순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7의 (a) 내지 (c)는 취망 지폐 처리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집적 동작, 일괄 불출 동작, 및 취망 지폐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폐 처리 장치의 구성]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의 집적 장치를 구비한 지엽(지폐) 처리 장치의 정면도, 및 A-A 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엽의 일 예로서의 지폐를 처리하는 장치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지엽 집적 드럼, 지엽의 집적 장치, 지엽 처리 장치는 지폐 이외에도 금권(金券), 티켓, 유가증권 등등의 지엽 일반의 처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예에서는 반환 지폐를 처리하는 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반환 지폐에 한정하지 않고, 불출(拂出) 드럼 외주에 지폐를 집적하고 나서 다른 곳으로 이송하는 장치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환류식(還流式) 지폐 처리 장치(이하, '지폐 처리 장치'라고 함)(1)은, 예를 들면 자동 판매기, 매표기, 유기장(遊技場)의 유기 매체 대출기, 입출금 장치, 환전기 등의 지폐 취급 장치에 장비, 혹은 병설되어 지폐의 받아들임, 거스름돈 등으로서의 지폐의 불출 처리를 행하는 수단이다.
지폐 처리 장치(1)는, 외장체를 구성하는 케이스(3)와, 케이스 내에 입금된 지폐를 필요한 루트로 기기 내에 반송하거나,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입출금 처리부(M)와, 지폐 입출금 처리부(M)로부터 반송되어 온 지폐를 수납하거나 지폐 입출금 처리부(M)와의 사이에서 지폐의 수수(授受)를 행하는 지폐 수납부(N)와, 여러 가지의 루트를 거쳐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각종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CPU, MPU, ROM, RAM 등)(300)(도 2, 도 3)으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입출금 처리부(M)는, 다른 금종의 지폐를 포함하여 최대 30매의 지폐 다발을 일괄하여 받아들이거나, 입금 지폐를 반환할 때의 반환구가 되는 입출금구(入出金口)(5)와, 최대 30매의 지폐의 출금 불출구, 및 입금 리젝트 반환구가 되는 반환구(7)와, 입출금구(5)에 입금, 세트된 지폐 다발을 1매씩의 지폐로 분리하여 입금 지폐 반송 경로(9a)를 따라서 장치 본체 내에 도입하는 일괄 입금부(11)와, 일괄 입금부(11)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반송되어 온 지폐의 폭방향 위치를 반송로의 중앙부에 정렬하는 센터링부(13)와, 센터링부의 하류 측에 배치되어 광학, 자기 센서의 병용에 의해서 입금 지폐의 금종, 진안(
Figure pct00001
, 진짜와 가짜) 등을 판정하는 식별부(15)와, 식별부를 통과한 입금 지폐를 최대 30매 일시 보류하고, 받아들임이 확정되었을 때에는 후술하는 각 수납부, 회수고로 조출(繰出), 환불 요구 등에 의한 취소 반환시에는 불출 집적부(불출 집적 장치)(22)로 조출하는 에스크로부(escrow部)(일시 보류부)(20)와, 에스크로부로부터 반송되어 온 반환용의 지폐나 리젝트 지폐(이하, '반환 지폐'라고 함)를 집적하고 나서 반환구(7)로 불출하는 불출 집적부(반환 지폐의 집적 장치)(22)와, 불출 집적부(22)로부터 반환구(7)로 불출된 반환 지폐가 소정 시간을 거쳐도 고객에 의해 회수되지 않는 경우에 불출 집적부에 의해 역송(逆送)되어 취망 지폐로서 수납되는 취망 지폐 수납부(지폐 보류부) (24)를 구비한다.
지폐 수납부(N)는, 입금 지폐의 받아들임이 확정되었을 때에 에스크로부(20)로부터 1매씩 조출(繰出)되어 수납 지폐 반송 경로(9b) 상을 반송되어 온 지폐를 금종마다 출입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 및 제2 환류식 수납부(30, 32)와, 제2 환류식 수납부(32)의 하부에 마련된 수용 공간(3a) 내에 정면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종업시 등에 각 환류식 수납부로부터 모든 금종을 회수하거나, 거스름돈으로서 이용되지 않은 고액 지폐나 각 환류식 수납부에 다 수용할 수 없는 잉여 지폐를 회수하는 회수고(회수 지폐 수납부)(40)를 구비한다.
반송 기구는, 각 반송 경로(9a, 9b), 그 외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지폐를 반송하는 구동력을 생성, 전달하기 위한 모터, 솔레노이드, 및 풀리, 벨트, 게이트 등을 구비한다.
제어 수단(300)은, 입출금 처리부(M), 지폐 수납부(N), 및 반송 기구 등의 제어 대상을 제어한다.
또, 입출금구(5)나 반환구(7)에 의한 지폐의 최대 취급 매수는 일 예에 지나지 않는다.
본 예의 제1 및 제2 환류식 수납부(30, 32)는, 각각 최대 수납 매수 60매의 환류 드럼(30a, 32a)을 2개씩 구비하고 있다. 각 환류 드럼(30a, 32a)은, 환류 드럼의 외주면에 나선 모양으로 겹쳐 감겨지는 1개의 장척(長尺) 테이프 사이에 지폐를 수납하는 환류에 적절한 타입이지만, 물론 이것은 일 예에 지나지 않는다.
[지폐 처리 장치의 각종 동작]
다음으로, 본 발명의 지폐의 불출 집적부(반환 지폐의 집적 장치)(22)를 구비한 도 1에 나타낸 지폐 처리 장치(1)에서의 입금 동작, 확정 동작, 출금 동작, 및 회수 동작의 개요에 대해 도 2, 도 3에 의해 설명한다.
즉, 도 2의 (a) 및 (b)는 지폐 처리 장치의 입금 동작, 및 확정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3의 (a) 및 (b)는 지폐 처리 장치의 출금 동작, 및 회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먼저, 도 2의 (a)의 입금 동작에서는, 입출금구(5)로부터 1매, 또는 복수매의 지폐가 투입되면 지폐를 검지한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제어 수단(300)이 반송 기구를 작동시켜 일괄 입금부(11), 및 입금 지폐 반송 경로(9a)를 이용하여 지폐를 거두어들인다. 일괄 입금부(11)는 입출금구(5)에 세트된 지폐 다발 중의 최상부의 지폐로부터 1매씩 취출하여 센터링부(13)로 반송한다. 센터링부로 반송된 지폐는 센터링을 받고 나서 식별부(15)로 이동되어 식별을 받는다. 식별부(15)에 의해 받아들임 가능으로 판정된 지폐는 에스크로부(20)로 반송되어 에스크로 드럼(21) 외주에 1매씩 감겨져 일시 보류되고, 입금의 확정을 기다린다. 식별부에서 받아들임 불능으로 판정된 리젝트 지폐가 입출금구(5)로부터 1매씩 투입된 지폐인 경우에는 그대로 반환구(7)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복수매 일괄로 투입된 지폐가 리젝트된 경우에는 불출 집적부(22)에 일단 집적(1~복수매)하고 나서 반환구(7)에 의해 모아 기기 밖으로 배출, 반환된다. 또, 고객이 도시하지 않은 캔슬 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지폐의 반환을 요구한 경우에는, 에스크로부(20)에서 일시 보류되어 있던 지폐가 1매씩 불출 집적부(22)에 내보내어져 회전하는 불출 드럼(105)의 외주에 1매씩 겹쳐 감겨져 적층 상태로 집적된다. 고객이 투입한 모든 지폐가 불출 드럼 외주에 집적을 완료한 단계에서 불출 드럼(105)이 불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지폐 다발을 반환구(7)로부터 외부로 돌출시켜 반환하여, 고객에 의한 수취를 재촉한다.
반환구(7)로부터 반환을 위해서 기기 밖으로 돌출된 지폐 다발이 소정 시간 경과해도 고객에 의해서 회수되지 않는 경우에는, 불출 드럼을 되돌림 방향으로 역회전시켜 기기 내로 역송(逆送)시키는 것에 의해 취망 지폐로서 취망 지폐 수납부(24)에 수납한다.
도 2의 (b)의 확정 동작에서는 에스크로부(20)에 일시 보류되어 있던 입금 지폐의 입금이 확정된 단계에서 에스크로부로부터 1매씩 지폐를 송출하고, 거스름돈으로서 이용하는 지폐는 수납 지폐 반송 경로(9b)를 경유하여 금종별로 어느 하나의 환류식 수납부(30, 32)에 수납하고, 거스름돈으로서 이용하지 않는 지폐는 회수고(40)에 수납한다.
도 3의 (a)의 출금 동작에서는, 거스름돈으로서 지폐를 불출할 때에 환류식 수납부(30, 32)에 수납된 지폐를 취출하여 식별부(15)에서 식별을 행하고, 반환 가능한 지폐이면 불출 집적부(22)에 일단 집적(1~복수매)하고 나서 일괄하여 거스름돈으로서 반환구(7)로부터 불출한다.
한편, 식별부(15)에서의 식별에 의해 반환 불가의 지폐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에스크로부(22)에서 일시 저류한 후에 회수고(40)로 이송하여 수납한다.
도 3의 (b)의 회수 동작에서는, 종업시 등에 환류식 수납부(30, 32)에 수납되어 있던 지폐를 에스크로부(20)에서 일단 집적하고 나서 회수고(40)에 수납한다.
[불출 집적부의 구성]
이하, 불출 집적부(불출 집적 장치)(22)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의 (a), (b) 및 (c)는 에스크로·집적 유닛의 외관 사시도, B-B 단면도, 및 불출 집적부 단체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의 (a)는 불출 집적부의 우측판을 제거한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a)의 C-C 단면 사시도, (c)는 (a)의 D-D 단면 사시도, (d)는 (a)의 D-D측 단면도이며, 도 6은 불출 드럼을 중심으로 한 반송 기구의 개략 구성도이다. 또, 도 7은 불출 집적부의 좌측판을 제거한 내부 구성(기어 기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 (b)에 나타낸 에스크로·집적 유닛(50)은, 케이스(3)의 입출금 처리부(M)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에스크로부(20)와 불출 집적부(22)를 연결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에스크로부(20)의 구성의 상세는 본 발명의 요지와 관계가 없기 때문에 언급하지 않는다.
에스크로부(20)로부터 분리된 불출 집적부(22)의 외관 구성은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불출 집적부(22)는, 대략 박스형의 케이싱(100)과, 케이싱(100)의 후면 상부에 개구 형성되어 에스크로부(20) 측의 반송 벨트(20a)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서 1매씩 반송되어 온 지폐(리젝트 지폐, 반환 지폐)(B)를 1매씩 받아들이는 받아들임구(口)(받아들임부)(102)와, 케이싱(100) 내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정회전하는 과정에서 받아들임구(102)로부터 1매씩 도입된 지폐를 외주면에 순차 적층 상태로 집적하고, 집적 종료후의 반환시에는 정회전하는 것에 의해 집적한 지폐 다발을 출구(107)로부터 불출함과 아울러, 취망 지폐의 회수시에는 역회전(逆轉)하는 것에 의해 배출구(180)으로부터 취망 지폐 수납부(지폐 보류부)(24)로 배출하는 불출 드럼(지폐(지엽) 집적용 드럼)(105)과, 불출 드럼 외주면에 집적된 지폐 다발을 케이싱 밖(지폐 처리 장치의 반환구(7))으로 배출할 때의 배출구가 되는 출구(제1 출구)(107)와, 불출 드럼(105)의 상부 외주면의 소정의 둘레 방향 범위에 걸쳐 접촉하는 제1 접촉 주행 영역(T1)을 형성하고, 받아들임 방향(도 6의 시계 방향(a))으로 주행하는 것에 의해 받아들임구(102)로부터 도입된 지폐(B)의 선단을 도 6의 (a)에 나타낸 받아들임 대기 위치에 있는 불출 드럼 외면으로 안내하는 제1 벨트(반송 가이드 부재)(111)를 구비한 제1 벨트 기구(제1 반송 가이드 부재, 받아들임 및 배출 벨트 기구)(110)와, 제1 벨트 기구(110)를 구성하는 제1 벨트(111)를 엔드리스로 펼쳐 마련하는 복수의 풀리 중 하나의 풀리(112a)의 하부에 위치하여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불출 드럼 외주면으로 가압되어(제1 벨트 기구의 1개의 풀리(112a)의 회전축에 의해 축지지되어) 상하 회동 가능하고, 또한 제1 벨트(111)와의 협동에 의해 받아들임구로부터 도입된 직후의 지폐 선단을 드럼 외주면으로 안내하는 역류 방지용의 제1 플래퍼(받아들임 전환 가이드 부재)(120)와, 제1 벨트 기구(110)의 전부(前部) 하부에서 불출 드럼(105)의 외주면에 소정의 범위(드럼 외주면의 전면(前面)으로부터 하면)에 걸쳐 접촉하는 제2 접촉 주행 영역(T2)을 형성하는 제2 벨트(반송 가이드 부재)(131)를 구비한 제2 벨트 기구(제2 반송 가이드 부재) (130)와, 제2 벨트 기구(130)의 후방에서 불출 드럼의 후부 외주면에 소정의 범위에 걸쳐 접촉하는 제3 접촉 주행 영역(T3)을 형성하는 제3 벨트(반송 가이드 부재) (141)를 구비한 제3 벨트 기구(제3 반송 가이드 부재)(140)와, 제2 벨트(131)를 엔드리스로 펼쳐 마련하는 복수의 풀리 내의 최상부의 풀리(132a)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 풀리(152a, 152b)에 의해 엔드리스로 펼쳐 마련되는 것에 의해 제1 벨트 하면, 및 제2 벨트 외면과 소정의 범위에 걸쳐 접촉하는 제4, 및 제5 접촉 주행 영역(T4, T5)을 각각 형성하는 제4 벨트(151)를 가진 제4 벨트 기구(150)와, 제1 플래퍼(120)의 전방, 또한 출구(107)의 내측에서 전방 일단의 축부(16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시에는 불출 드럼(105)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 제2 플래퍼(제1 출구 전환 가이드 부재)(160)와, 제2 플래퍼를 스프링에 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2 플래퍼의 선단부(우측 단부)를 불출 드럼의 내경측으로 변위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스윙 솔레노이드, 구동원)와, 불출 드럼을 사이에 끼워 약 180도, 제2 플래퍼의 반대측 위치(전면측 하부)에 배치된 축(171)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동함과 아울러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도 6의 (a), (b)에 나타낸 불출 드럼 내경측으로 가압된 제3 플래퍼(전환 가이드 부재)(170)와, 도 17에 나타낸 취망 지폐(BB')를 취망 지폐 수납부(24)로 배출하는 배출구(제2 출구)(180)와, 각 벨트 기구, 불출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구동원)(190)를 구비한다. 또, 제어 수단(300)과는 별도로 불출 집적부(22) 전용의 제어 수단을 마련해도 괜찮다.
불출 드럼(105)은, 회전축(105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과정에서 1매씩 공급되어 오는 지폐(B)를 외주면 상에 겹쳐 집적하는 지엽 집적용 드럼으로서, 회전 구동되는 드럼 본체(250)와, 드럼 본체의 외주면의 지폐 집적 부위에 소정의 둘레 방향 배치로(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외경 방향으로 돌출된 최(最)돌출 위치와, 해당 최돌출 위치보다도 내경 방향으로 퇴피한 퇴피 위치와의 사이를 출몰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돌출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고, 또한 외면에서 지폐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출몰 부재(지폐 지지 부재)(280(280a, 280B))를 구비하며, 지폐 집적용 드럼 외주면에 감기는 지폐는 출몰 부재의 외면 사이에 걸쳐 집적된다(감긴다). 도 5의 (c), (d) 등에 나타낸 최돌출 위치에 있을 때의 각 출몰 부재의 외주면의 지름 방향 위치는 균일하고, 탄성 가압력도 균일하게 한다.
각 벨트 기구(각 반송 가이드 부재)(110, 130, 140)는, 불출 드럼의 외주면의 주회(周回)(회전) 이동 경로를 따라서 복수개 배치되어 지폐면을 불출 드럼(출몰 부재) 외주면에 접촉(밀착)시키는 수단이다. 또, 각 벨트 기구(110, 130, 140)는, 각 벨트(111, 131, 141)에 의해 드럼 외주면에 적층된 지폐를 개재시켜 각 출몰 부재를 등거리씩 내경 방향으로 밀어넣는 것에 의해, 불출 드럼의 외주면 상의 지폐 외주면의 외경(지름 방향) 위치를 지폐 다발의 매수(두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각 벨트의 장력, 경도는, 출몰 부재를 외경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탄성력에 저항하여 내경측으로 균일하게 밀어넣을 수 있을 정도의 강도로 설정한다.
제1 플래퍼(받아들임 전환 가이드 부재)(120)는, 풀리(112a)의 축부(軸部)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받아들임부로부터 도입되어 온 직후의 지폐 선단부를 드럼 외주면과 반송 가이드 부재와의 사이의 제1 접촉 주행 영역(T1)의 입구로 안내하는 개폐(회동) 가능한 수단이다. 게다가, 제1 플래퍼(120)는, 받아들여진 지폐가 받아들임구(102)로 역류(逆流)하는 것을 저지하는 수단이며, 상시(비작동시)에서는 스프링에 의해 선단부가 불출 드럼 표면과 접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또, 후술하는 불출 드럼의 역회전시에는 지폐 후단이 받아들임구로부터 에스크로부로 역송하는 것을 저지하여 취망 지폐 수납부(24)로 가이드한다.
제2 플래퍼(제1 출구 전환 가이드 부재)(160)는,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스윙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고, 반환되는 지폐가 모두 불출 드럼 외주에 집적 완료한 후에 작동하여 출구(107)로 향하는 경로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지폐 다발의 일괄 불출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제2 플래퍼(160)는, 불출 드럼 외주면과 제1 벨트(111)와의 제1 접촉 주행 영역(T1) 내에 진입하여 온 지폐의 반송 방향을 불출 드럼 외주면을 따른 방향(하부)과 제1 출구 방향 중 어느 일방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수단이다. 즉, 제2 플래퍼(160)는, 스프링 가압에 의해 도 6에 나타낸 개방 자세에 있을 때에 제1 접촉 주행 영역(T1)으로부터 불출 드럼 외주면 방향으로의 경로를 개방하여(제1 출구 측 경로를 폐지하여) 불출 드럼 외주면의 지폐(다발)를 불출 드럼 외주면을 따라서 반시계 방향으로 반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제2 플래퍼(160)가 솔레노이드에 의해서 가압되는 것에 의해 도 16의 (c)에 나타낸 폐지 자세에 있을 때에 제1 출구 측 경로를 개방하여(지폐 집적용 드럼 외주면 방향으로의 경로를 닫아), 불출 드럼 본체 외주면의 지폐(다발)를 그 선단으로부터 제1 출구로 향하여 가이드한다.
제어 수단(300)은, 받아들임구(102)로부터 도입되는 지폐를 받아들이는 기간 중에는 솔레노이드를 작동시키지 않고 제2 플래퍼(제1 출구 전환 가이드 부재)(160)를 계속 개방하면서 불출 드럼을 정회전시키고, 받아들임이 종료되어 드럼 외주의 지폐 다발을 제1 출구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할 때에는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제2 플래퍼(160)를 폐지 자세로 이행시키면서(이행시키고 나서) 불출 드럼을 정회전시킨다.
제2 출구(180)는 제1 출구(107)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취망 지폐 수납부(지폐 보류부)(24)에 연통하고 있다.
제3 플래퍼(170)는, 상시(비작동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불출 드럼 측으로 가압되어 있어 취망 지폐 수납부(24)로의 경로를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불출 드럼의 역회전에 의해 취망 지폐(BB')를 제2 출구(180)로부터 배출할 때에는 제3 벨트 기구(140)와의 협동에 의해 배출을 가이드한다. 즉, 제3 플래퍼(전환 가이드 부재)(170)는, 제2 출구(180)로 향하는 경로를 닫는 자세와, 해당 경로를 개방하여 드럼 외주면의 지폐를 제2 출구로 가이드하는 자세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3 플래퍼는 상시에는 스프링에 의해서 불출 드럼으로 향하는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지만, 불출 드럼이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통과하는 출몰 부재 상의 지폐에 의해 외경 방향으로 압압되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불출 드럼 둘레면(출몰 부재 외면)의 지폐의 통과를 허용한다.
또, 도 17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불출 드럼이 역회전하여 불출 드럼 외주면의 지폐 다발이 그 후단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3 플래퍼(170)는 스프링에 의해서 불출 드럼 내부로 향하는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출구로 향하는 경로를 개방하고 있다.
제어 수단(300)은, 불출 드럼 등의 정회전에 의해서 일단 제 1 출구로부터 불출된 지폐 다발이 소정 시간 지나도 고객에 의해서 취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불출 드럼을 역회전시켜 지폐 다발을 기기 내로 되돌려 제2 출구(180)로부터 취망 지폐 수납부(지폐 보류부)(24)로 배출한다. 이 때에, 제3 플래퍼(170)는 제2 출구 개방 위치에 있기 때문에, 불출 드럼을 소정 각도 계속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지폐 다발을 후단을 선두로 하여 제2 출구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또, 받아들임구(102), 출구(107), 및 배출구(180)에는 각각 지폐 검지 센서(102a, 107a, 180a)가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불출 드럼(105)은, 정역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을 뿐이며, 각 벨트 기구를 구성하는 벨트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 구동되지만, 불출 드럼을 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해도 괜찮다.
제1 벨트 기구(반송 가이드 부재)(110)는, 제1 벨트(111)를 풀리(112a 내지 112d)에 의해 엔드리스로 펼쳐 마련되어 정역회전하는 구성을 구비하며, 모터(190)에 의해 구동된다. 제1 벨트 기구(110)는, 정회전시에는 받아들임구(102)로부터 받아들여진 지폐(B)를 제1 접촉 주행 영역(T1)의 우측 단부로부터 도입하는 것에 의해 불출 드럼(출몰 부재) 외주면에 지폐 선단을 안내하여 감기를 개시하는 기능과, 불출 드럼 외주면에 집적(적층)된 반환 지폐를 제2 플래퍼(160)와의 협동에 의해 출구(107)로 불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 제1 벨트 기구는, 풀리(112a)의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풀리(112c, 112d)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폐를 출구(107)로부터 배출할 때에 제1 벨트(111)는 풀리(112c, 112d)를 통과하는 지폐의 두께 증가에 대응하여 전체로서 상승할 수 있다. 또, 지폐가 제2 플래퍼(160)를 통과하여 홈 포지션(HP)을 향해 정회전 이동할 때에는 제1 접촉 주행 영역(T1)을 구성하는 풀리(112a, 112c) 사이의 제1 벨트(111)는 상하 이동하지 않는다. 또, 제1 접촉 주행 영역(T1)을 구성하는 풀리(112a, 112c) 사이의 제1 벨트 부분은 소정의 장력을 가지는 것에 의해, 장력에 근거한 압압력을 지폐면에 부여하여 불출 드럼의 출몰 부재를 내경측으로 밀어넣는 역할을 가진다. 즉, 제1 접촉 주행 영역(T1)을 형성하는 제1 벨트(111) 부분에는 풀리가 존재하지 않지만, 동일 영역(T1)에 대면(對面)하는 불출 드럼 외주면 상의 지폐의 두께가 증대했다고 해도 제1 벨트(111)는 외경 측으로 크게 휘지 않고 강한 원형 유지력에 의해 지폐를 개재시켜 각 출몰 부재를 불출 드럼의 내경측으로 계속 밀어 지폐의 외주면의 지름 방향 위치(주속)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것은, 이하의 제2, 및 제3 벨트 기구(130, 140)의 각 벨트(131, 141)에 공통하고 있다.
제2 벨트 기구(130)는, 제2 벨트(131)를 풀리(132a 내지 132c)에 의해 엔드리스로 펼쳐 마련되어 정역회전하는 구성을 가지고, 정회전시에는 제1 접촉 주행 영역(T1)의 출구로부터 이동하여 온 지폐의 선단을 제2 플래퍼(160)와의 협동에 의해 제2 접촉 주행 영역(T2)으로 안내한다. 제2 접촉 주행 영역(T2)을 형성하는 제2 벨트(131) 부분에는 풀리가 존재하지 않고, 제2 접촉 주행 영역(T2)을 통과하는 지폐의 두께가 증대해도 지폐를 개재시켜 출몰 부재를 내경측으로 밀어넣어 지폐 외주면의 지름 방향 위치(주속)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제3 벨트 기구(140)는, 제3 벨트(141)를 풀리(142a 내지 142c)에 의해 펼쳐 마련한 구성을 가지고, 정회전시에는 불출 드럼 외주면으로의 지폐의 축적과 반송에 기여하고, 역회전시에는 제3 플래퍼(170)와의 협동에 의해 취망 지폐(BB')를 취망 지폐 수납부(24)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4 벨트 기구(150)는, 제4 벨트(151)를 풀리(152a, 152b)에 의해 펼쳐 마련한 구성을 가지고, 정회전시에는 제2 플래퍼(160)와의 협동에 의해 제4 접촉 주행 영역(T4)을 거친 출구(107)로의 지폐 배출 작업을 보조한다. 역회전시에는 출구(107)에 남아 있던 취망 지폐(다발)를 제1 접촉 주행 영역(T1) 내로 되돌려 배출구(180)로 안내한다.
다음으로, 도 7에 근거하여 불출 집적부의 구동 전달 기구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모터(190)의 출력 기어(190a)는 2개의 종동 기어(201, 202)를 통해서 불출 드럼(105)의 회전축(105a)에 의해 축심을 상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대경(大徑) 기어(205)와 치합되어 있다. 대경 기어(205)는 회전축(105a)에 대해서 프리하게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불출 드럼과 상대 회전 가능하고, 대경 기어에 의해 불출 드럼은 구동되지 않는다. 대경 기어는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을 각 벨트 기구(110, 130, 140, 150)의 각 구동 기어(207, 209, 211, 213)로 중계 전달하는 종동 수단이다. 즉, 각 벨트 기구(110, 130, 140, 150)의 각 구동 풀리(112a, 132a, 142a, 152a)는, 각각 각 구동 기어(207, 211, 209, 213)와 동일 축심 모양으로 일체화되어 있고, 각 구동 기어가 대경 기어(205)와 치합하는 것에 의해 모터로부터의 구동력이 동시에 각 구동 풀리(112a, 132a, 142a, 152b)로 전달되어, 각 벨트(111, 131, 141, 151)를 구동한다.
불출 드럼(105)은 그 외주면과 접하는 각 벨트(111, 131, 141, 151)와의 마찰에 의해 구동되고, 각 벨트에 따라 회전하는 것에 의해, 불출 드럼과 각 벨트는 동일 속도로 회전, 주행할 수 있다. 불출 드럼이 각 벨트의 마찰력에 의해 동일 속도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또한 지폐를 그 외주면에 권취하므로, 벨트의 주행 속도와 불출 드럼과의 속도차가 없게 되고, 불출 드럼 측의 권취 개시부(지폐 선단 위치 결정부)와, 급지(給紙)되어 오는 각 지폐 선단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지 않게 집적이 가능해진다.
만일, 불출 드럼과 각 벨트를 접촉시키면서, 불출 드럼과 벨트군(群)을 개별로 구동하게 되면, 불출 드럼의 회전 속도를 벨트군의 전송 속도를 동기시킬 필요가 생겨 버려, 속도 제어나 기어의 조정 등이 어려워진다.
본 구성에 의하면, 이러한 불리 불편이 없다.
또, 받아들임구(102) 측의 최하부에 있는 중경(中徑)의 기어(215)는 취망 지폐 수납부(24) 측의 반송 기구를 구동하는 기어이며, 이 기어(215)는 대경 기어(205)를 통해서 모터(190)에 의해 구동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에 근거하여 불출 드럼, 및 주변 부품의 구성,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의 (a), (b) 및 (c)는 불출 드럼에 대해서 각 벨트 기구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불출 드럼 단체의 외관 사시도, 및 출몰 부재의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종단면 사시도이며, 도 9의 (a) 및 (b)는 불출 드럼에 대해서 각 벨트 기구, 및 각 플래퍼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의 (a), (b) 및 (c)는 불출 드럼의 외관 사시도, 종단면 사시도, 및 종단면 측면도이며, 도 11의 (a), (b) 및 (c)는 불출 드럼에 지폐가 감기는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불출 드럼(지폐 집적용 드럼)(105)은, 회전축(105a)을 중심으로 하여 정회전하는 과정에서 받아들임구(102)로부터 외주면으로 1매씩 공급되는 지폐(B)를 그 선단 가장자리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겹쳐 집적하는 수단으로서(도 11), 회전 구동되는 드럼 본체(250)와, 드럼 본체의 외주면의 지폐 적층 부위에 소정의 둘레 방향 배치로(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드럼 본체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돌출된 최돌출 위치와, 해당 최돌출 위치보다도 내경 방향으로 퇴피한 퇴피 위치와의 사이를 출몰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돌출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고, 외면에서 지폐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출몰 부재(지폐 지지 부재)(280)를 구비하며, 불출 드럼 외주면에 집적되는 지폐는, 각 출몰 부재(280)의 외면 사이에 걸쳐 감기는 것이다.
드럼 본체(250)는, 드럼의 회전축(105a)에 일체화된 베이스 부재(252)와, 베이스 부재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둘레 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된 출몰 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255)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는 가이드 부재(255)는 중공의 사각 기둥 모양을 이루고 있고, 그 내벽에 의해 출몰 부재(280)를 내외경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고, 또한 탈락 불가능하게 지지하고, 각 출몰 부재(280)는 각 탄성 부재(257)에 의해서 균일한 힘으로 외경 방향(돌출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각 출몰 부재의 중량, 및 각 탄성 부재의 스프링력을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각 출몰 부재는 벨트에 의한 가압에 의해서 등거리씩 내경측으로 변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베이스 부재(252)는, 회전축(105a)의 축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7매의 원반(圓盤) 모양의 칸막이 부재(258)와, 각 칸막이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각 플래퍼(120, 160, 170)를 각각 구성하는 4매의 클로편(claw片)(120A, 160A, 170A)(도 9 참조)을 각각 받아들이는 4개의 고리 모양 홈부(258a)를 구비한다. 또, 축방향 양 외측으로부터 2번째와 3번째의 칸막이 부재(258)는 가이드 부재(255)를 겸하고 있고, 가이드 부재(255) 사이에 출몰 부재(280), 및 탄성 부재(257)가 축방향으로 진퇴, 변위 가능, 또한 탈락 불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 도 10의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가이드 부재(255)의 대향면에 형성된 훅부(255a)는 출몰 부재에 마련된 훅부(282a)를 걸어 외경 방향으로 탈락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
각 플래퍼의 클로편(120A, 160A, 170A)은, 베이스 부재(252)의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서 배치된 각 고리 모양 홈부(258a)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서 각 출몰 부재의 최외주면을 넘어 내경측으로 그 선단부(지폐와의 접촉부)를 들어가게 할 수 있다. 한편, 지폐면이 각 출몰 부재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을 때에는 지폐가 각 고리 모양 홈부(258a)를 막고 있기 때문에, 각 클로편의 선단부는 지폐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지폐를 넘어 내경측으로 들어갈 수 없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출몰 부재(280)는, 가이드 부재(255)의 내벽을 따라서 내외경 방향으로 진퇴함과 아울러 탄성 부재(257)에 의해 가압되는 피(被)가이드 부재(슬라이드 부재)(282)와, 피가이드 부재에 탑재되어 지폐와 접촉하여 이것을 외면에서 지지하는 접촉 부재(285)를 가진다. 각 피가이드 부재(282)는 둘레 방향 중앙에 오목부(282b)를 가짐과 아울러, 오목부의 둘레 방향 양측으로부터는 지폐 가이드편(282c)이 좌우 대칭으로 장출(張出)되어 있다.
또, 오목부(282b)는 필수는 아니다.
4쌍의 출몰 부재(280) 중 한 쌍의 출몰 부재(280A)의 피가이드 부재(282)에는 다른 3쌍의 출몰 부재(280B)와는 달리, 접촉 부재(285)로서 마찰 패드로 이루어지는 권취 개시부(지폐 선단 위치 결정부)(286)가 회동(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권취 개시부(286)는 출몰 부재에 의해 지지된 축부(286a)에 의해 소정의 작은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축부(286a)는, 피가이드 부재(282)의 선단부에 의해 이탈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면 되며, 그 지지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권취 개시부(286)는 축부(286a)와 함께 회동해도 괜찮고, 고정된 축부(286a)에 대해서 권취 개시부만이 회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른 3쌍의 출몰 부재(280B)의 피가이드 부재의 오목부(282b) 내에는 마찰 저감용의 롤러(회전체)(290)가 축부(290a)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이 축부(290a)의 지지 구조도 축부(286a)와 마찬가지로 어떠한 지지 구조라도 괜찮다.
권취 개시부(286)는 지폐 선단을 벨트면과의 사이에서 협압(挾壓)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지폐와 접촉하는 외면의 마찰 계수가 크게 설정된 미끄럼 방지부(고무 등)로 되어 있다. 권취 개시부(286)를 피가이드 부재(282)에 의해 시소식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에 의해, 지폐를 개재시킨 벨트로부터의 가압력을 받아 유연하게 지폐 선단부의 지지 자세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지폐에 대한 과대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지폐 선단부를 안정되게 권취 방향으로 리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다른 3쌍의 출몰 부재(280B)는, 지폐의 두께의 증가에 따라 내경 방향으로 내려 앉을 때에 지폐와의 마찰을 피할 필요로부터 회전 가능한 롤러(290)에 의해 지폐와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회전하는 롤러를 대신하여 마찰 저항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재를 권취 개시부(286)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좁은 각도 범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해도 괜찮다.
또, 만일 3쌍의 출몰 부재(280B)의 외면에 마찰 저항이 큰 미끄럼 방지부를 배치하는 것으로 하면, 불출 드럼 외주면의 지폐의 두께 증대에 따라 벨트로부터의 압력에 의해서 각 출몰 부재(280B)가 내경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미끄럼 방지부와 벨트와의 사이에서 지폐의 국부(局部)가 강하게 협압되어 슬립할 수 없기 때문에, 출몰 부재(280B)는 스무스하게 내경 측으로 변위할 수 없게 된다. 그것에 대해서 본 예와 같이 3개의 출몰 부재(280B)와 지폐와의 접촉부에 롤러(290)를 마련하여 지폐를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면, 벨트에 의한 협압력에 기인하여 지폐의 장력이 출몰 부재의 내경 측으로의 변위를 방해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출몰 부재의 내경으로의 퇴피에 의한 지폐 외주면의 축경(縮徑) 동작을 스무스화할 수 있다.
또, 출몰 부재는 본 예에서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4개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은 일 예에 지나지 않는다. 또, 각 출몰 부재(280)를 구성하는 각 피가이드 부재(282)에 양단부가 내경측을 향해서 경사진 지폐 가이드편(282c)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지폐와의 접촉 면적을 넓게 확보하여 권취시의 지지 안정성, 밀착성을 높이고 있다.
도 11의 (a), (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불출 드럼 외주면으로 도입되어 온 지폐(B1)가 순차 권취 개시부(286)로부터 다른 롤러(290)에 감겨 가는 과정에서, 도시하지 않은 벨트 기구를 구성하는 벨트가 지폐(B1)를 개재시켜 각 출몰 부재(280A, 280B)를 지폐의 두께분만큼 균일하게 내경 방향으로 압압한다. 이 때에, 각 피가이드 부재(282)가 탄성 부재(257)에 저항하면서 내경 방향으로 퇴피할 수 있기 때문에, 출몰 부재 사이에 롤 모양으로 감긴 지폐의 최외주면의 지름 방향 위치는 항상 일정하게 되어, 주속도 일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인코더 기구(2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도 8 내지 도 1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코더 기구(210)는, 외주에 복수의 슬릿(213)을 소정의 피치로 구비하여 불출 드럼(105)(드럼 본체)과 동축 모양으로 구성되어 일체 회전하는 코드 휠(212)과, 코드 휠의 단부 가장자리에 소정 피치로 다수 형성된 슬릿(213)의 이동 경로를 사이에 두고 발광부와 수광부를 대향 배치시킨 포토 인터럽터로 이루어지는 불출 드럼의 HP검지용의 제1 검출기(220), 및 불출 드럼의 회전 위치 검지용(회전각 검출기)의 제2 검출기(222)와, 드럼 본체의 베이스 부재(252) 상에 인쇄 형성된 홈 위치 마크(225)를 개략 구비하고 있다.
각 검출기(220, 222)는, 각 발광부와 각 수광부를 코드 휠의 슬릿(213)의 이동 경로를 사이에 둔 상태에서 장치 본체의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다. 발광부로부터의 검출 광이 슬릿(213)을 투과하여 수광부에 의해 수광된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 수단은 각 검출기의 단위시간당 출력을 계수하여 코드 휠(212)의 회전수, 및 회전 속도를 검출한다.
슬릿(213)의 대부분은 동축 방향 길이를 가지지만, 불출 드럼의 권취 개시부(286)가 홈 포지션(HP)에 이르렀을 때에 그것을 검지할 수 있도록 특정의 슬릿은 다른 슬릿보다도 장척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각 검출용의 단척(短尺)의 슬릿은 제2 검출기(222)에 의한 검지 범위에 배치되어 있고, 제2 검출기에 의해 검지가 가능하다. 단척 슬릿으로부터 얻어지는 펄스수(數)에 의해서 불출 드럼의 이동량(회전량, 회전 각도 위치)을 검출한다.
HP검지용의 장척의 슬릿의 장척 부분(단척 슬릿보다도 긴 부분)은 제1 검출기(220)만에 의해 검출이 가능한 축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검출기(220)가 장척의 슬릿을 검출하고 나서 소정 각도 회동했을 때에 권취 개시부(286)의 둘레 방향 중앙부가 홈 포지션에 이르게 된다. 홈 포지션까지의 장척 슬릿의 이동량은 제2 검출기(222)에 의해 단척 슬릿을 검출한 펄스수에 근거하여 산출하게 된다.
홈 위치 마크(225)는, 코드 휠(212)에서의 장척 슬릿의 위치를 조립시 등에 육안에 의해 확인(육안)할 수 있도록 해당 장척 슬릿에 대응하는 드럼 본체의 베이스 부재(252)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홈 위치 마크(225)와, 장척 슬릿과, 권취 개시부(286)는, 동일 둘레 방향 위치에 형성, 배치되어 있고, 조립시에 장척 슬릿과 권취 개시부를 일치시키기 위해서 홈 위치 마크(225)가 형성되어 있다.
[지폐 권취 집적 동작]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5, 및 도 18의 플로우차트에 근거하여 지폐를 불출 드럼 외주에 권취하는 집적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2의 (a) 내지 (c), 도 13의 (d), (e), 도 14의 (f) 내지 (h), 및 도 15의 (i), (j)는, 지폐를 불출 드럼 외주에 권취하는 집적 동작의 설명도이며, 도 18은 집적 동작, 일괄 불출 동작, 및 취망 지폐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지폐 권취 동작에 앞서, 스텝 S1에서 에스크로부(20)에 일시 보류되어 있는 지폐(거래 불성립에 의한 반환 지폐, 및 리젝트 지폐)를 반환해야 할 취지의 지령이 제어 수단으로부터 발(發)하게 되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해당 지령이 출력된 경우에는 에스크로 드럼(21), 반송 벨트(20a) 등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에스크로부로부터 불출 집적부(22)로의 지폐 1매씩의 이송이 개시된다(스텝 S2).
다음으로 스텝 S3에서 에스크로부로부터의 1매씩의 지폐(B1)가 받아들임구(102)에 도달했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도 12의 (a)는 지폐 선단부가 지폐 검지 센서(102a)에 검지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에스크로부(20)에서 에스크로 드럼(21) 외주에 수용되어 있던 복수매의 지폐 중 1매째의 반환용 지폐(B1)가 반송 벨트(20a)에 의해 반송되어 오고 그 선단부가 받아들임구(102)의 바로 앞에 있는 지폐 검지 센서(102a)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스텝 S3, YES). 지폐 선단이 지폐 검지 센서(102a)에 의해 검지되기 전의 대기 수용 상태에서는, 불출 드럼의 외주에 배치되는 지폐 선단을 정렬시키기 위한 권취 개시부(지폐 선단 위치 결정부)(286)(출몰 부재(280A))가 도 12의 (a) 중에 나타낸 홈 위치(HP)(받아들임구(102)의 대향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반송 벨트(20a)에 의해 반송되어 온 지폐(B1)가 지폐 검지 센서(102a)에 의해 선단이 검지된 단계에서, 각 벨트 기구(110, 130, 140, 150)를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 개시시키는 것에 의해 불출 드럼을 정회전 개시시키면(스텝 S4), 그 후, 지폐(B1)의 선단이 취입 위치(받아들임구(102))에 이르는 타이밍과, 불출 드럼(105)의 권취 개시부(286)가 홈 위치(HP)로부터 취입 위치에 이르는 타이밍이 동일하게 된다.
기어 전달 기구의 구성에 의해 반송 벨트(20a)에 의한 지폐의 반송 속도와 불출 드럼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함과 아울러, 불출 드럼의 홈 위치(HP)를 미리 적절히 설정해 두는 것에 의해, 취입 위치에서 지폐(B1)의 선단과 불출 드럼의 취입 개시부(286)가 일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제어가 용이해진다.
권취 개시부(286)는, 4개의 출몰 부재 중 1개의 출몰 부재(280A)에 마련되어 있고, 이 권취 개시부로서의 출몰 부재의 외면만은 지폐면과의 마찰 저항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권취 개시부는 도입된 직후의 지폐 선단을 위치 어긋나게 하지 않고 제1 벨트(111)와의 협동에 의해 유지하는 수단이다.
도 12의 (a)의 지폐 검지 상태에서 모터(190)를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하면, 각 벨트 기구(110, 130, 140, 150)가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을 개시하기 때문에, 각 벨트(111, 131, 141, 151)가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받아들임 방향으로 주행 이동을 개시한다. 불출 드럼(105)은 각 벨트와의 접촉 저항에 의해 동반 회전하기 때문에, 각 벨트의 주행 개시와 함께 정회전 방향(권취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불출 드럼(105)이 권취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권취 개시부의 외면 적소, 본 예에서는 둘레 방향 중앙부가 도 12의 (b)에 나타낸 취입 위치(받아들임구(102))에 이르는 타이밍에 맞추어 지폐(B1)의 선단이 취입 위치에 이르도록, 제어 수단(300)은 에스크로부의 모터를 구동하여 반송 벨트(20a)를 주행시킨다(스텝 S4). 이것에 의해 대기 위치에 있던 지폐(B1)의 선단부는 권취 개시부의 외면과 제1 벨트(111)에 의해 사이에 끼이는 것에 의해 제1 접촉 주행 영역(T1) 내에 말려 들어간다.
권취 개시부의 외면, 및 제1 벨트면은, 마찰 저항이 크기 때문에 지폐 선단의 양면과의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생기지 않는다.
본 예에서는 홈 포지션(HP)은 취입 위치로부터 180도, 둘레 방향 위치가 어긋난 개소에 설정되어 있지만, 이것은 일 예에 지나지 않는다.
또, 도 12의 (a)에 나타낸 위치에 있던 지폐(B1)가 (b)에 나타낸 취입 위치에 이를 때까지의 이동 속도는, 홈 포지션(HP)에 있던 권취 개시부가 취입 위치로 이동할 때의 이동 속도(주속)와 동일하며, 예를 들면 800mmsec이다. 본 발명에서는, 불출 드럼의 특징적인 구성과, 벨트에 의한 압압력과의 협동에 의해, 출몰 부재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지폐의 매수가 증대해도, 지폐를 개재시켜 각 출몰 부재가 지폐의 두께분만큼 내경측으로 균등하게 내려 앉을 수 있기 때문에, 집적된 지폐 외주면의 선속(외경 측 위치)은 항상 일정하게 된다.
도 12의 (a)의 상태에서는, 제1 플래퍼(120)는 스프링에 의해서 그 선단부가 불출 드럼(105)의 외면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지만, (b)의 지폐 도입 개시시에는 권취 개시부(286)가 취입 위치에 주회(周回) 이동해 오고 있고, 지폐 선단은 제1 플래퍼에 의해서 권취 개시부 외면으로 밀어 붙여진다. 이 때, 제1 플래퍼(120)는 지폐에 압압되어 지폐의 두께분만큼 밀어 올려진다. 받아들임구(102)로부터 진입하여 온 지폐(B1)는 제1 플래퍼(120) 선단과 접촉하면서 통과하는 것에 의해, 제1 접촉 영역(T1) 내로 안정되게 가이드된다. 도 12의 (b)에서 제1 접촉 주행 영역(T1)으로의 지폐 말려듦이 개시되면, 그 이후는, 지폐 선단부는 권취 개시부(286)와 제1 벨트(111)에 의해 필요 충분한 압접력에 의해 협지되어 탈락이나 위치 어긋남 없이 제1 접촉 주행 영역(T1) 내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해 가고, 선단부보다 후방의 지폐 부분도 마찬가지로 제1 접촉 주행 영역(T1) 내를 이동해 간다. 지폐는 불출 드럼 외주면에 감는 과정에서, 각 출몰 부재의 외면 사이에 밀착하면서 각 출몰 부재 사이에 걸쳐 감겨 간다.
도 12의 (c)는 1매째의 지폐(B1)가 불출 드럼 외주에 감김을 완료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지폐 후단이 지폐 검지 센서(102a)를 통과한 후에 불출 드럼 외주(출몰 부재 사이)로의 감김을 완료할 때까지 각 벨트 기구의 정회전 구동을 계속하여 불출 드럼을 계속 회전한다.
게다가 도 13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후단이 제1 접촉 주행 영역(T1)을 빠져 나간 후에도 불출 드럼은 권취 개시부(지폐 선단부)가 홈 포지션(HP)에 이를 때까지 회전을 계속하고, 도 13의 (e)과 같이 권취 개시부가 홈 포지션에 이른 시점에서 일단 회전을 정지하여 2매째의 지폐(B2)가 지폐 검지 센서(102a)에 이르는 것을 대기한다.
도 13의 (d)에서는 지폐(B1)가 제3 플래퍼(170)를 통과하기 때문에, 제3 플래퍼는 그 내면을 따라서 통과하는 지폐에 압압되어 축(171)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회동하여 지폐의 통과를 허용하고, 도 13의 (e)와 같이 지폐 후단이 통과하면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1매째의 지폐(B1)가 제1 내지 제3 접촉 주행 영역(T1~T3) 내를 권취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지폐를 개재시킨 각 벨트(111, 131, 141)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권취 개시부를 가진 출몰 부재(280A), 및 다른 출몰 부재(280B)는, 지폐 1매의 두께분만큼 불출 드럼의 내경측으로 균등하게 내려 앉기 때문에, 지폐(B1)의 외주면의 선속에 변동은 없고, 취입 위치로 이송될 때의 지폐의 반송 속도와 일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모든 지폐를 불출 드럼 외면에 감는 과정에서 불출 드럼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필요가 없어, 복잡한 회전 속도의 제어가 불필요해진다.
도 14의 (f) 내지 (h), 도 15의 (i), (j)는 도 12, 도 13에 이어지는 것이며, 불출 드럼이 정회전을 계속하는 것에 의해 2매째의 지폐(B2)를 불출 드럼 외주에 감는 순서를 나타내고 있지만, 1매째와 동일한 순서가 반복된다(스텝 S5).
도 14의 (f)는, 2매째의 지폐(B2)의 선단이 지폐 검지 센서(102a)에 이르러 대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g)에서는 벨트 기구, 및 불출 드럼의 회전에 의해서 취입 개시부 상에 있는 1매째 지폐(B1)의 선단부가 취입 위치에 이르는 타이밍에 맞추어 2매째의 지폐(B2)를 급지하는 것에 의해, 양 지폐(B1, B2)의 선단 가장자리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양 지폐를 제1 접촉 주행 영역(T1)에 말려들게 할 수 있다. 도 14의 (h), 도 15의 (i), (j)는 도 12의 (c), 도 13의 (d), (e)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2매째의 지폐가 1매째의 지폐의 외면에 적층되었을 때에도, 2매 지폐를 개입시킨 각 벨트(111, 131, 141)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권취 개시부를 가진 출몰 부재(280A), 및 다른 출몰 부재(280B)는, 지폐 2매의 두께분만큼 불출 드럼의 내경측으로 균등하게 내려 앉기 때문에, 최외주의 지폐(B2)의 외주면의 선속에 변동은 없고, 취입 위치로 이송될 때의 지폐의 반송 속도와 일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모든 지폐를 불출 드럼 외면에 감는 과정에서 불출 드럼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필요가 없어, 복잡한 회전 속도의 제어가 불필요해진다. 이것은 3매째 이후의 지폐가 불출 드럼 외주면에 감기는 동작에서도 마찬가지이다.
3매째 이후의 지폐에 대해서도 2매째와 동일한 말려듦 동작이 반복된다.
스텝 S6에서는 불출 드럼에 의해 권취를 완료한 지폐의 매수가 N매에 이르렀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N매에 이르렀을 때에는 스텝 S7에 나타낸 일괄 불출 동작으로 이행하고, 지폐 다발을 일괄하여 출구(107)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한다.
[일괄 불출 동작]
이상의 순서에 의해 불출 드럼 외주에 정렬 상태로 감겨 있던 모든 지폐가 불출 드럼 외주로 이행하면 도 16의 (a)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즉, 도 16의 (a) 내지 (c)는 일괄 불출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의 (a)의 집적 완료 상태가 되면, 다음으로 반환용의 지폐 다발(BB)을 출구(107)로부터 일괄하여 반환하는 동작(일괄 불출 동작)이 행해진다(스텝 S7).
도 16의 (a)의 상태에서는 지폐 다발(BB)의 선단 가장자리는 홈 포지션(HP)에 있기 때문에, 지폐 다발(BB)을 출구(107)로부터 불출하기 위해서는 불출 드럼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제2 플래퍼(160)의 작용에 의해 출구(107)로 안내되게 된다.
도 16의 (a)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제2 플래퍼(160)는 외경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축(161)보다도 우측에 있는 제2 플래퍼 선단 부위가 출구(107)로의 경로를 막고 있지만, 제어 수단(300)은 지폐 다발(BB)의 후단부가 제2 플래퍼 선단부 하면으로부터 이탈한 타이밍으로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제2 플래퍼 선단부를 내경 방향(시계 방향, 출구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개방 동작에 의해 제2 플래퍼의 상측에 출구(107)로의 개방 경로가 형성된다(도 16의 (b)). 또, 지폐 다발(BB)의 후단부가 제2 플래퍼 선단부로부터 이탈하는 타이밍은 지폐 길이에 따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제2 플래퍼(160)는 도 16의 (b)의 단계에서는 출구(107)로의 경로를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지폐 다발 선단이 제1 접촉 주행 영역(T1)에 진입하고 나서 출구(107)에 이르는 과정에서는, 제1 벨트(111), 및 불출 드럼의 불출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지폐 다발 선단부는 스무스하게 출구(107)로부터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도 16의 (c)). 또, 제1 벨트 기구(110)는, 풀리(112a)의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출구측의 풀리(112c, 112)가 상하 이동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지폐 다발(BB)이 통과할 때에는 제1 벨트의 출구측이 상승하는 것에 의해 지폐 다발(BB)의 통과를 더 스무스화한다.
출구(107)로부터 배출된 지폐 다발이 고객에 의해 제거되는 것에 의해 지폐 다발 후단이 출구(107)를 통과했던 것이 지폐 검지 센서(107a)에 의해 검지된 시기 이후에 솔레노이드를 OFF하는 것에 의해 제2 플래퍼는 도 16의 (a)에 나타낸 원위치로 복귀한다(스텝 S8, S9).
또, 지폐 다발(BB)의 기기 밖으로의 최종적인 배출은 제1 벨트 기구(110)와 제4 벨트 기구(150)와의 협동에 의해 행해진다.
[취망 지폐 처리 동작]
다음으로, 취망 지폐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도 17, 및 도 18의 플로우차트(스텝 S10, S11)에 근거하여 취망 지폐를 취망 지폐 수납부(24)로 배출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의 (c)의 반환 상태에서는, 반환용의 지폐 다발(BB)이 출구(107)(반환구(7))로부터 선단 측의 부위만을 외부로 돌출시키고 있고, 지폐 다발의 후부(後部)는 제1 벨트(111)와 제4 벨트(151)로 이루어지는 제4 접촉 주행 영역(T4)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객이 지폐 다발 선단을 파지하여 빼내지 않는 한 지폐 다발을 취출할 수 없다. 지폐 다발이 취출된 것, 혹은 취출되어 있지 않은 것은, 지폐 검지 센서(107a)에 의한 검지 정보에 근거하여 판정할 수 있다. 배출된 지폐가 고객에 의해 제거된 경우에는 제2 플래퍼(160)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다음의 지폐 권취를 대기한다(스텝 S8, YES, 스텝 S9).
제어 수단(300)은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객에 의해서 지폐 다발이 회수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일정 기간 계속된 경우(스텝 S10, YES)에는,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190)에 의해 모든 벨트 기구를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취망 지폐 다발(BB')을 기기 내로 향하여 후퇴 개시시킨다(스텝 S11).불출 드럼은 각 벨트 기구의 역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역회전한다. 또, 벨트 기구를 역회전 개시하는 전제로 하여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플래퍼(170)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내경 측으로 퇴피하고 있는 것에 의해, 취망 지폐 수납부(24)로의 배출구(180)를 개방한다.
게다가, 도 17의 (b)의 지폐 다발 인입(
Figure pct00002
) 도중의 단계 이후에도 각 벨트 기구, 및 불출 드럼을 계속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도 1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망 지폐 다발(BB')은 그 후단부 측으로부터 제1 접촉 주행 영역(T1), 제3 접촉 주행 영역(T3), 배출구(180)를 거쳐 취망 지폐 수납부(24)로 배출되어 수납된다(스텝 S11). 취망 지폐 다발(BB')이 배출구(180)를 통과한 것은 지폐 검지 센서(180a)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구(107)에 불출된 취망 지폐가 일정 시간 경과해도 취출되지 않은 경우에 기기 내로 회수하는 것에 의해, 지체없이 다음의 고객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여 가동률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취망 지폐 수납부(24) 내에 수납된 지폐는, 담당자가 불출 집적부(불출 집적 장치)(22)를 인출하여 내부를 개방하여 취출하지 않는 한, 취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취망 지폐 수납부(24)로의 배출이 완료되면, 불출 드럼을 도 12의 (a)에 나타낸 홈 포지션에 복귀시킴과 아울러, 제2 플래퍼(160)에 의해 출구(107)를 닫는 것에 의해 다음의 지폐의 투입을 대기한다.
[본 발명의 구성, 작용, 효과의 정리]
제1의 본 발명에 관한 지엽 집적용 드럼은, 회전하는 과정에서 1매씩 공급되는 지엽을 외주면 상에 겹쳐 집적하는 지엽 집적용 드럼(105)으로서, 외주면의 지엽 집적 부위에 소정의 둘레 방향 배치로(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내경 방향으로 퇴피한 퇴피 위치와의 사이를 출몰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돌출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고, 또한 외면에서 지엽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출몰 부재(지엽 지지 부재)(280)를 구비하며, 지엽은, 출몰 부재 사이에 걸쳐 집적되는(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투입된 후에 일시 보류되어 있던 지엽에 대해 반환하는 것이 확정된 경우 등에, 해당 반환 지엽을 불출 드럼 외주면에 순차 공급하여 적층 상태에서 감아 집적하고 나서 일괄하여 반환 처리하는 드럼 방식의 반환 지엽의 집적 장치에 있어서, 불출 드럼 외주에 집적되는 지엽 매수가 증대해도 각별한 속도 제어를 행하지 않고 불출 드럼 최외주의 지엽의 선속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지폐의 정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환 지엽에 한정하지 않고, 드럼 둘레면에 지엽을 정렬성 좋게 겹쳐 집적하는 장치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각 출몰 부재의 외주면 사이를 잇는 원주면이 지엽 집적용 드럼의 외주면을 형성한다.
종래의 지엽 집적용 드럼은, 집적하는 지엽의 매수의 증대에 따라 드럼의 외경이 증대해 가므로 최외주에 있는 지엽의 주속이 증대했다. 균일 속도로 드럼 외주면으로 공급되어 오는 지엽의 속도와 드럼의 주속을 정합(整合)시키기 위해서는 드럼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엽이 1매 증가할 때마다 최외주면의 지름 방향 위치가 변하여 주속이 변하므로, 고정밀한 감속 제어가 필요하고, 그 결과, 후속 지엽의 선단을 선행하여 감고 있는 지엽의 선단에 정합시키는 것이 매우 곤란했다.
본 발명의 지엽 집적 드럼에서는, 공급되는 지엽을 출몰 부재에 의해 받아 들여 출몰 부재 사이에 롤 모양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벨트 등으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서 지엽의 두께가 증가한 분(分)만큼 출몰 부재를 내경 측으로 퇴피시키도록 했다. 이 때문에, 드럼 외주면의 지엽 매수가 증대해도 최외주의 지엽의 외주면의 위치(외경)를 일정하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주속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 지엽 집적용 드럼은, 반환 지엽의 집적 장치 뿐만 아니라, 드럼 외주면에 1매씩 정렬 상태로 지엽을 집적하는 기구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제2의 본 발명에 관한 지엽의 집적 장치는, 반송되어 온 지엽을 받아들이는 받아들임부(102)와, 정회전하는 과정에서 해당 받아들임부로부터 받아들여진 지엽을 외주면 상에 1매씩 순차로 겹쳐 집적하여 지엽 다발을 형성하는 정역회전 가능한 상기 지엽 집적용 드럼(105)과, 해당 지엽 집적용 드럼의 외주면(출몰 부재(280))의 주회(회전) 이동 경로를 따라서 복수개 배치되어 지엽면을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면(각 출몰 부재 외면)에 접촉(밀착)시키는 반송 가이드 부재(110, 130, 140)와,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면(각 출몰 부재 외면)에 집적된 지엽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출구(107)와,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면(각 출몰 부재 외면)과 1개의 반송 가이드 부재와의 접촉 주행 영역(T1) 내에 진입한 지엽의 반송 방향을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면 방향과 제1 출구 방향 중 어느 일방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제1 출구 전환 가이드 부재(제2 플래퍼)(160)와, 지엽 집적용 드럼의 구동원(190)과, 제1 출구 전환 가이드 부재(160)의 구동원(솔레노이드)과, 각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300)을 구비하며, 제1 출구 전환 가이드 부재(160)는, 개방 자세에 있을 때에 접촉 주행 영역(T1)으로부터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면으로 향하는 경로를 개방하고, 폐지 자세에 있을 때에 제1 출구를 향하는 경로를 개방하고, 각 반송 가이드 부재는,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면(각 출몰 부재 외면)에 집적된 지엽을 개재시켜 각 출몰 부재를 내경 방향으로 밀어넣는 것에 의해, 지엽 집적용 드럼의 외주면(각 출몰 부재 외면) 상의 지엽 외주면의 외경(지름 방향) 위치를 지엽의 매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제어 수단은, 받아들임부로부터 도입되는 지엽을 받아들이는 기간 중에는 제1 출구 전환 가이드 부재를 계속 개방하면서 지엽 집적용 드럼을 정회전시키고, 받아들임이 종료되어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각 출몰 부재 외면)의 지엽(다발)을 제1 출구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할 때에는 제1 출구 전환 가이드 부재를 폐지 자세로 이행시키고, 또한 지엽 집적용 드럼을 정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주면(출몰 부재의 외면)의 위치가 권취되는 지엽의 두께에 따라 내경 측으로 변위 가능한 지엽 집적용 드럼(105)과, 출몰 부재를 압압하는 반송 가이드 부재(110, 130, 140)와의 협동에 의해, 집적용 드럼 외주면의 지엽의 매수의 증대에 관계없이 주속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지엽 집적용 드럼을 항상 일정 속도로 회전하면 선행 지엽과 후속 지엽의 선단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정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의 본 발명에 관한 지엽의 집적 장치에서는, 제1 출구(107)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지엽 보류부(24)에 연통한 제2 출구(180)와,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면의 지엽을 제2 출구로 안내하는 회동 가능한 전환 가이드 부재(제3 플래퍼))170)를 구비하며, 전환 가이드 부재는 상시에는 제2 출구로의 경로를 개방하는 자세에 있고, 출몰 부재 외주면의 지엽이 정회전 방향으로 통과할 때에는 제2 출구로의 경로를 폐지하는 자세가 되고, 제어 수단(300)은,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면(출몰 부재 외주면)의 지엽을 제2 출구로부터 지엽 보류부로 배출할 때에는, 지엽 집적용 드럼을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지엽을 후단으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단, 제1 출구로 배출된 지엽(다발)이 고객에 의해서 취출되지 않은 것이 분명하게 된 경우에는, 취망 지엽이라고 간주하여 집적용 드럼을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 지엽을 기기 내에 회수한다. 회수한 지엽은 지엽 보류부(24)에 후단부로부터 역송(逆送)된다. 집적용 드럼을 역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취망 지엽을 지엽 보류부에 회수할 수 있다.
이 역회전 이동 중에도 지엽(다발)은 각 출몰 부재와 각 반송 가이드 부재와의 협동에 의해 내외 양면이 협압되면서 반송되므로, 지엽 다발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제4의 본 발명에 관한 지엽의 집적 장치에서는, 각 출몰 부재(280) 중 1개의 출몰 부재(280A)의 외면(접촉 부재(285))은, 지엽과의 접촉면의 마찰 저항이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나머지의 출몰 부재(280B)의 외면(접촉 부재(285))은 지엽과의 마찰 저항(반송 저항)이 작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집적용 드럼 외주면에 최초로 공급되어 오는 지엽의 선단부가 드럼 외주면, 즉 출몰 부재의 외주면과 미끄러짐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접촉 부재(285)의 마찰 저항을 크게 한 특정의 출몰 부재(280A)만을 권취 개시부(286)로서 사용한다. 이 출몰 부재(280A) 이외의 나머지의 각 출몰 부재(280B)의 접촉 부재(285)로서는 마찰 저항이 낮은 구성(회전체), 혹은 마찰 저항이 낮은 재질을 이용한다.
지엽 선단을 권취 개시부(286)에 의해 위치 어긋나지 않도록 유지하는 한편으로, 나머지의 출몰 부재(280B)에 의해 지엽의 다른 면을 둘레 방향으로 미끄러지기 쉽게 지지하도록 했으므로, 스무스하게 각 출몰 부재 사이에 감아 전개(展開)할 수 있다. 또, 반송 가이드 부재로부터의 압력에 의해서 각 출몰 부재(280B)가 내경측으로 내려 앉을 때에도 지엽이 접촉 부재(285)에 흡착하지 않으므로 스무스하게 내려 앉을 수 있다.
제5의 본 발명에 관한 지엽의 집적 장치에서는, 반송 가이드 부재(110, 130, 140)는, 엔드리스 벨트를 풀리에 의해 펼쳐 마련한 벨트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송 가이드 부재로서는, 각 출몰 부재를 균등하게 가압하여 균등한 거리만큼 내경 측으로 변위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괜찮지만, 벨트 기구가 가장 편리하다.
제6의 본 발명에 관한 지엽의 집적 장치에서는, 지엽 집적용 드럼은, 반송 가이드 부재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1개의 구동원을 이용하면서 집적용 드럼의 주속과 반송 가이드 부재의 속도를 완전하게 동기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제7의 본 발명에 관한 지엽 처리 장치는, 상기 어느 하나의 지엽의 집적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지엽 처리 장치는, 상기 각 형태예에 관한 지엽의 집적 장치를 장비하는 것에 의해, 각 형태예에 관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지엽 처리 장치는, 매표기 등의 자동 판매기, 환전기, 입출금, ATM 등등의 모든 지엽 취급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 - 지폐(지엽) 처리 장치 3 - 케이스
3a - 수용 공간 5 - 입출금구
7 - 반환구 9a - 입금 지폐(지엽) 반송 경로
9b - 수납 지폐(지엽) 반송 경로 11 - 일괄 입금부
13 - 센터링부 15 - 식별부
20 - 에스크로부 20a - 반송 벨트
21 - 에스크로 드럼 22 - 불출 집적부(불출 집적 장치)
24 - 취망 지폐(지엽) 수납부
30 - 환류식 수납부 30a - 환류 드럼
40 - 회수고 50 - 에스크로·집적 유닛
T1~T5 - 접촉 주행 영역 B - 지폐
BB - 반환용 지폐 100 - 케이싱
102 - 받아들임구(받아들임부) 102A - 지폐 검지 센서
105 - 지엽(지엽) 집적용 드럼(불출 드럼)
105a - 회전축 107 - 출구(제1 출구)
107a - 지폐 검지 센서
110, 130, 140, 150 - 벨트 기구(반송 가이드 부재)
111, 131, 141, 151 - 벨트
112a~112c, 132a~132c, 142a~142c, 152a, 152b - 풀리
120 - 제1 플래퍼 120A - 클로편
160 - 제1 출구 전환 가이드 부재(제2 플래퍼)
161 - 회동축 170 - 제3 플래퍼
171 - 축 180 - 배출구
180a - 지폐 검지 센서 190 - 모터(구동원)
190a - 출력 기어 201, 202 - 종동 기어
205 - 대경 기어
207, 209, 211, 213 - 구동 기어
210 - 인코더 기구 212 - 코드 휠
213 - 슬릿 215 - 기어
220, 222 - 검출기 225 - 홈 위치 마크
250 - 드럼 본체 252 - 베이스 부재
255 - 가이드 부재 255a - 훅부
257 - 탄성 부재 258 - 칸막이 부재
258a - 고리 모양 홈부 280(280A, 280B) - 출몰 부재
282 - 피가이드 부재 282a - 훅부
282b - 오목부 282c - 지폐 가이드편
285 - 접촉 부재
286 - 권취 개시부(지폐 선단 위치 결정부)
286a - 축부 290 - 롤러
290a - 축부 300 - 제어 수단

Claims (7)

  1. 회전하는 과정에서 1매씩 공급되는 지엽(紙葉)을 외주면 상에 겹쳐 집적(集積)하는 지엽 집적용 드럼으로서, 외주면의 지엽 집적 부위에 소정의 둘레 방향 배치로 마련되어 외경(外徑) 방향으로 돌출된 최(最)돌출 위치와, 상기 최돌출 위치보다도 내경(內徑) 방향으로 퇴피(退避)한 퇴피 위치와의 사이를 출몰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돌출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고, 또한 외면에서 지엽면과 접촉하는 복수의 출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지엽은, 상기 출몰 부재 사이에 걸쳐 집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집적용 드럼.
  2. 반송되어 온 지엽을 받아들이는 받아들임부와, 정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받아들임부로부터 받아들여진 지엽을 외주면 상에 1매씩 순차로 겹쳐 집적하여 지엽 다발을 형성하는 정역(正逆)회전 가능한 청구항 1에 기재된 지엽 집적용 드럼과, 상기 지엽 집적용 드럼의 외주면의 주회(周回) 이동 경로를 따라서 복수개 배치되어 지엽면을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면에 접촉시키는 반송 가이드 부재와,
    상기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면에 집적된 지엽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 출구와, 상기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면과 1개의 상기 반송 가이드 부재와의 접촉 주행 영역 내에 진입한 지엽의 반송 방향을 상기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면 방향과 상기 제1 출구 방향 중 어느 일방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제1 출구 전환 가이드 부재와, 상기 지엽 집적용 드럼의 구동원과, 상기 제1 출구 전환 가이드 부재의 구동원과, 상기 각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출구 전환 가이드 부재는, 개방 자세에 있을 때에 상기 접촉 주행 영역으로부터 상기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면으로 향하는 경로를 개방하고, 폐지(閉止) 자세에 있을 때에 상기 제1 출구를 향하는 경로를 개방하고,
    상기 각 반송 가이드 부재는, 상기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면에 집적된 지엽을 개재시켜 상기 각 출몰 부재를 내경 방향으로 밀어넣는 것에 의해, 상기 지엽 집적용 드럼의 외주면 상의 지폐 외주면의 외경 위치를 지엽의 매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받아들임부로부터 도입되는 지엽을 받아들이는 기간 중에는 상기 제1 출구 전환 가이드 부재를 계속 개방하면서 상기 지엽 집적용 드럼을 정회전시키고, 받아들임이 종료되어 상기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의 지엽을 상기 제1 출구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할 때에는 상기 제1 출구 전환 가이드 부재를 폐지(閉止) 자세로 이행시키고, 또한 상기 지엽 집적용 드럼을 정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의 집적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출구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지엽 보류부에 연통한 제2 출구와, 상기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면의 지엽을 상기 제2 출구로 안내하는 회동 가능한 전환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전환 가이드 부재는 상시에는 상기 제2 출구로의 경로를 개방하는 자세에 있고, 상기 출몰 부재 외주면의 지엽이 정회전 방향으로 통과할 때에는 상기 제2 출구로의 경로를 폐지하는 자세가 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지엽 집적용 드럼 외주면의 지엽을 상기 제2 출구로부터 상기 지엽 보류부로 배출할 때에는, 상기 지엽 집적용 드럼을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지엽을 후단으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의 집적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 출몰 부재 중 하나는, 지엽과의 접촉면의 마찰 저항이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나머지의 상기 출몰 부재는 지엽과의 마찰 저항이 작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의 집적 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가이드 부재는, 엔드리스(endless) 벨트를 풀리에 의해 펼쳐 마련한 벨트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의 집적 장치.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 집적용 드럼은, 상기 반송 가이드 부재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의 집적 장치.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엽의 집적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처리 장치.
KR1020207019469A 2018-01-16 2018-10-09 지엽 집적용 드럼, 지엽의 집적 장치, 및 지엽 처리 장치 KR102359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04871A JP6389969B1 (ja) 2018-01-16 2018-01-16 紙葉集積用ドラム、紙葉の集積装置、及び紙葉処理装置
JPJP-P-2018-004871 2018-01-16
PCT/JP2018/037512 WO2019142411A1 (ja) 2018-01-16 2018-10-09 紙葉集積用ドラム、紙葉の集積装置、及び紙葉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907A true KR20200090907A (ko) 2020-07-29
KR102359905B1 KR102359905B1 (ko) 2022-02-09

Family

ID=63518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469A KR102359905B1 (ko) 2018-01-16 2018-10-09 지엽 집적용 드럼, 지엽의 집적 장치, 및 지엽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472657B2 (ko)
EP (1) EP3741719B1 (ko)
JP (1) JP6389969B1 (ko)
KR (1) KR102359905B1 (ko)
CN (1) CN111566033B (ko)
AU (1) AU2018402553B2 (ko)
BR (1) BR112020010669A2 (ko)
CA (1) CA3081999C (ko)
MX (1) MX2020006379A (ko)
PH (2) PH12020050210A1 (ko)
SG (1) SG11202004277QA (ko)
TW (1) TWI677854B (ko)
WO (1) WO20191424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7481B2 (en) * 2020-08-27 2023-11-07 Ncr Corporation Single tape escrow module
CN113888795B (zh) * 2021-12-08 2022-04-01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可调整式摆动挡钞机构及自动取款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93517B (de) * 1961-08-12 1965-05-26 Albert Schnellpressen Sammelzylinder fuer eine mit Punkturnadeln arbeitende Falzeinrichtung einer Rotations-druckmaschine
JPH0632514A (ja) 1992-05-27 1994-02-08 Landis & Gyr Business Support Ag 紙幣の一時貯蔵装置
JPH10508962A (ja) * 1994-11-09 1998-09-02 マー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紙幣等の取り扱い装置
JP2814249B2 (ja) 1987-09-10 1998-10-22 エヌシーアー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ート処理装置
KR100508962B1 (ko) 2003-10-14 2005-08-18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DE102005036304A1 (de) * 2005-08-02 2007-02-08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arbeitung von Blattgut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5026A (en) * 1957-08-09 1960-12-20 Robert L Woodward Skeleton wheels
CH558575A (de) * 1973-05-24 1975-01-31 Sodeco Compteurs De Geneve Speichereinrichtung fuer kurzzeitiges speichern von papierblaettern, insbesondere von banknoten.
JPS50131598A (ko) * 1974-04-04 1975-10-17
DE2518334C2 (de) * 1975-04-25 1976-11-11 Heidelberger Druckmasch Ag Bogentragscheibe fuer bogenueberfuehrungstrommeln
EP0054735B1 (de) * 1980-12-23 1985-01-16 Windmöller & Hölscher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Schuppenbandrollen aus geschuppt Übereinander abgelegten flachen flexiblen Gegenständen
CH656861A5 (de) * 1982-06-14 1986-07-31 Grapha Holding Ag Vorrichtung zum lagern von papierbogen.
JPS61130547U (ko) * 1985-02-04 1986-08-15
EP0243837B1 (de) * 1986-04-30 1989-07-26 Ferag AG Vorrichtung zum Verarbeiten von Druckereierzeugnissen wie Zeitungen, Zeitschriften und dergleichen
CH675873A5 (ko) * 1987-07-02 1990-11-15 Ferag Ag
JPH08268617A (ja) * 1995-03-30 1996-10-15 Glory Ltd 紙葉類繰込み繰出し装置
US6843764B2 (en) 2002-03-05 2005-01-1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Non-trapped stripper belt
JP2004030348A (ja) * 2002-06-27 2004-01-29 Hitachi Ltd 紙幣収納放出装置及び紙幣自動入出金機
US7789211B2 (en) * 2005-01-12 2010-09-07 Japan Cash Machines Co., Ltd. Device for validating valuable papers
ATE522461T1 (de) * 2007-03-20 2011-09-15 Mueller Martini Holding Ag Einrichtung zum sammeln von druckprodukten auf einem sammelzylinder
WO2011036805A1 (ja) * 2009-09-28 2011-03-3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EP2918532B1 (en) * 2011-06-27 2020-09-02 Glory Ltd. Banknote storing/feeding unit
EP2776352B1 (en) * 2011-11-09 2015-08-26 OCE-Technologies B.V. Sheet stacking device
CN103426236B (zh) * 2012-05-22 2016-02-24 冲电气工业株式会社 纸片类收纳输出装置及纸片类处置装置
CN102930638B (zh) 2012-11-15 2014-12-31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暂存模块及其卷筒转速控制方法
CN203786812U (zh) * 2014-02-10 2014-08-20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滚筒式暂时存储的防纸币松散机构
CN205942876U (zh) * 2016-08-05 2017-02-08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纸币暂存装置和纸币自动交易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93517B (de) * 1961-08-12 1965-05-26 Albert Schnellpressen Sammelzylinder fuer eine mit Punkturnadeln arbeitende Falzeinrichtung einer Rotations-druckmaschine
JP2814249B2 (ja) 1987-09-10 1998-10-22 エヌシーアー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ート処理装置
JPH0632514A (ja) 1992-05-27 1994-02-08 Landis & Gyr Business Support Ag 紙幣の一時貯蔵装置
JPH10508962A (ja) * 1994-11-09 1998-09-02 マー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紙幣等の取り扱い装置
JP4563435B2 (ja) 1994-11-09 2010-10-13 エムイーアイ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紙幣等の取り扱い装置
KR100508962B1 (ko) 2003-10-14 2005-08-18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베이트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DE102005036304A1 (de) * 2005-08-02 2007-02-08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arbeitung von Blattg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2411A1 (ja) 2019-07-25
CA3081999C (en) 2023-01-24
TWI677854B (zh) 2019-11-21
EP3741719B1 (en) 2023-12-06
KR102359905B1 (ko) 2022-02-09
AU2018402553A1 (en) 2020-07-23
EP3741719A4 (en) 2021-10-20
AU2018402553B2 (en) 2021-10-07
CN111566033A (zh) 2020-08-21
MX2020006379A (es) 2020-09-03
BR112020010669A2 (pt) 2020-11-10
PH12020050210A1 (en) 2021-03-22
JP2019123586A (ja) 2019-07-25
TW201933290A (zh) 2019-08-16
CN111566033B (zh) 2022-05-27
CA3081999A1 (en) 2019-07-25
JP6389969B1 (ja) 2018-09-12
SG11202004277QA (en) 2020-06-29
US20200339372A1 (en) 2020-10-29
EP3741719A1 (en) 2020-11-25
US11472657B2 (en) 2022-10-18
PH12020552302A1 (en)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4163B2 (ja) 紙葉類収納繰出装置
EP0791211B2 (en) Apparatus for handling sheets
EP2306411B1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US8100395B2 (en) Energy-efficient compact device for dispensing and accumulating banknotes
EP2259233B1 (en) Paper note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paper notes
JP3284040B2 (ja) 紙幣処理機
KR20200090907A (ko) 지엽 집적용 드럼, 지엽의 집적 장치, 및 지엽 처리 장치
US8181952B2 (en) Paper sheet handling mechanism and method for handling paper sheets
JP5176041B2 (ja) 紙葉類給送機構、還流式紙幣収納装置、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JP2771093B2 (ja) 紙幣出金装置
KR101865141B1 (ko) 지폐 처리 장치
JP5015565B2 (ja) 紙葉束搬送機構、及び還流式紙幣処理装置
JPH08268617A (ja) 紙葉類繰込み繰出し装置
JPH04125237A (ja) 紙葉類自動取扱い装置
JP2016143265A (ja) 紙幣還流装置、還流式紙幣処理装置、及び入出金処理方法
JP2002163706A (ja) 紙幣処理装置
JP5077530B2 (ja) 還流式紙幣処理装置
JPS61127549A (ja) 紙葉類自動取扱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