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594A -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594A
KR20200090594A KR1020190038201A KR20190038201A KR20200090594A KR 20200090594 A KR20200090594 A KR 20200090594A KR 1020190038201 A KR1020190038201 A KR 1020190038201A KR 20190038201 A KR20190038201 A KR 20190038201A KR 20200090594 A KR20200090594 A KR 20200090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control unit
electric vehicle
hybrid electric
tele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333B1 (ko
Inventor
부콜즈 조리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9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5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 B60W20/17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for 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8Details of control systems ensuring comfort, safety or stabilit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4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1Stepp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54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at stand still, e.g. engine in idling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20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7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05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at stand still, e.g. engine in idling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작동시키는 방법과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가 개시된다.
전기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내연 기관과 전기 엔진을 가지고, 전기 제어 유닛에 통신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기 통신 시스템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작동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전기 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전기 제어 유닛에 제공되는 전기 통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기 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전기 통신 기간이 시작되거나 진행 중인지를 평가하는 단계; 전기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공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현재 주행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전기 제어 유닛에 의하여 현재의 주행 상태를 위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지를 평가하는 단계; 그리고 전기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전기 통신 기간 동안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 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전기 주행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METHOD FOR OPERATING HYBRID ELECTRIC VEHICLE AND HYBRID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Plug-In Hybrid Vehicle; PHEV)와 같은 현재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또는 주행거리 연장 전기 자동차(Extended Range Electric Vehicle; EREV)는 안락함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승객에게 객관적 또는 주관적인 음향적 골칫거리인 소음, 진동, 그리고 불쾌감(Noise, Vibration, Harshness; NVH)을 감소시키기 위한 혁신적인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증가하고 있다. 승객에 의하여 경험되는 높은 레벨의 내부 NVH는 승객을 짜증나게 할 뿐만 아니라 전화 통화나 다른 전기 통신을 수행하기 어려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승객을 정신 산만하게 하는 것은 가능한 한 줄어들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차량 실내의 소음은 특히 전화 통화 또는 유사한 행위 동안 가능한 한 최소화되어야 한다.
미국 특허 US 6,907,325 B1에는 NVH를 제한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방법에서는 제1동력원과 제2동력원 사이에서 토크 매칭이 수행된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실내 소음을 줄이기 위한 향상된 해결책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발명은 제1항에 따른 방법과 제8항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르면, 전기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내연 기관과 전기 엔진을 가지고, 전기 제어 유닛에 통신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기 통신 시스템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작동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전기 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전기 제어 유닛에 제공되는 전기 통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기 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전기 통신 기간이 시작되거나 진행 중인지를 평가하는 단계; 전기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공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현재 주행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전기 제어 유닛에 의하여 현재의 주행 상태를 위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지를 평가하는 단계; 그리고 전기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전기 통신 기간 동안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 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전기 주행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하이브기드 전기 자동차는 내연 기관; 전기 엔진; 내연 기관과 전기 엔진을 제어하도록 된 전기 제어 유닛; 그리고 전기 제어 유닛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된 전기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다. 전기 통신 시스템은 전기 통신 데이터를 전기 제어 유닛에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며, 전기 통신 데이터는 전기 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전기 통신 기간이 시작되거나 진행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전기 제어 유닛은 주행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현재 주행 상태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전기 제어 유닛은 현재의 주행 상태를 위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지 여부를 더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전기 제어 유닛은 전기 통신 기간 동안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 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전기 주행 모드에서 작동시키도록 더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아이디어는 전기 통신 기간 동안 자동차의 현재의 주행 상태에 의하여 부과된 제약에 비추어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 한 자동차를 전기 주행 모드에서 작동시킴으로써, 전화 통화 또는 다른 전기 통신 동안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실내에서의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현재의 주행 상태는, 예를 들어 가속, 감속 등의 요청과 같이 운전자 및/또는 보조/자율 주행 시스템의 요청에 의하여 영향을 받거나 정의된다. 그러면, 엔진 제어 모듈과 같은 전기 제어 유닛은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러한 현재 주행 상태를 결정한다. 자동차는 운전자의 가속 요구가 전기 엔진이 낼 수 있는 것보다 높은 경우(예를 들어, 킥 다운(kick-down))와 같이 운전 상황에 상당한 변화가 시작될 때까지 가능한 한 길게 이 모드에서 머무를 수 있다. 전기 주행 모드에서 주행하는 것은 소음을 통상적인 레벨로 줄이고 통신 기간 동안 대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데, 이것은 결국 높은 편안함과 향상된 안정성을 야기한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내연 기관은 정지되고 자동차는 전기 드라이브 트레인(drive train)으로만 작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내연 기관은 완전히 정지되지 않고 소음을 덜 발생시키는 모드(및 잠재적으로 동력을 덜 요구하는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는 반면, 전기 드라이브 트레인은 추가로 켜질 수 있다(또는 예를 들어 회생이 사용될 수 있다). 소음을 덜 발생시키는 모드를 위한 하나의 예에서, 내연 기관에 대한 전기 엔진의 회생과 같은 증가된 토크 및 작동 범위의 이동과 같은 내연 기관에서의 증가된 토크가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운전자와 다른 승객은 전화 통화의 내용을 더 잘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화 통화에 의하여 주의가 덜 분산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라는 용어는 스포츠 다목적 차량(sports utility vehicle; SUV)을 포함하는 승용차, 버스, 트럭, 다양한 상업용 차량, 및 유사한 것과 같은 다양한 자동차를 포함하고, 적어도 전기 엔진과 내연 기관을 포함하는 임의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포함한다. 내연 기관은 가솔린, 디젤,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기초할 수 있지만, 수소 또는 석유 외의 자원에서 얻어진 다른 연료와 같은 대체 연료로 또한 주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이에 따라 두 개 이상의 동력원, 예를 들어 가솔린-구동 및 전기-구동 엔진을 가지는 차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과 개선된 실시예들은 종속항에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주행 모드는 내연 기관의 정지를 포함한다. 내연 기관은 현재의 주행 상태가 내연 기관의 재작동을 요구할 때까지, 특히 전기 엔진이 더 이상 요구되는 동력을 스스로 제공할 수 없을 때까지 정지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내연 기관은 이에 따라 켜질 수 있고 자동차는 통상 주행으로 돌아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통신 기간은 전기 통신 시스템에 통합되거나 결합된 전화에 의하여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전기 통신 시스템은 차량 전화 또는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동 전화 또는 다른 통신 장치가 예를 들어 핸즈프리 장치, 도킹 스테이션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통하여 전기 통신 시스템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핸즈프리 장치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예를 들어 음성 명령을 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보다 넓은 의미로 손을 제한적으로만 사용하거나 손이 운전과 같은 다른 작업에 사용될 수 있게 그 장치를 위한 제어가 위치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핸즈프리 장치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또는 유사한 무선 기술을 통하여 이동 전화와 자동차의 전기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는 블루투스 헤드셋, 핸즈프리 자동차 키트, 개인용 내비게이션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통신 시스템은 전화 통화에서 송신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스피커와, 예를 들어 스테레오 유닛 내에, 핸들에, 또는 자동차 내의 임의의 적절한 장소에 내장된 마이크로폰(예를 들어, 스마트폰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연 기관은 전기 통신 시스템을 통한 전화 통화가 행해지는 한 정지될 수 있다. 그러나, 내연 기관은, 예를 들어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는 경우와 같이 어느 때든 재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주행 모드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단계는 현재 주행 상태에서 요구되는 동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엔진의 이용 가능한 전기 동력이 각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만큼 충분히 높은 경우, 내연 기관은 정지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자동차는 양 엔진으로부터 토크가 전달되는 세미-전기 모드 또는 전기 엔진이 꺼지는 순수 연소 모드에 머무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주행 모드는 결정된 요구 동력에 따라서 음향적 소음 및/또는 음향적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특정 요구 또는 주행 상태에 따라서, 각 경우에 대한 최적의 음향 저감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음향적 소음원들이 조합으로 또는 홀로 제거되거나 낮춰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전기 주행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단계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창문을 자동으로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전기 주행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단계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배기 밸브를 자동으로 닫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전기 주행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단계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소리 발생기를 자동으로 사용 불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전기 주행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단계는 자동으로 더 높은 기어비로 변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높은 기어 비로 변속하는 것은 내연 기관의 더 낮은 회전 속도(즉, rpm)를 의미하고, 이에 따라 더 조용하게 주행할 수 있다. 소리 발생기는 자동차의 존재를 보행자, 특히 시각적 또는 청각적 장애를 가진 보행자에게 신호를 보낼 것을 요구하는 차량 경고 시스템(vehicle alerting system) 또는 유사한 것과 같은 인공 소리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시적으로 소리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정된 요구 동력에 따라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전기 주행 모드에서 작동시킴으로써 음향적 소음 및/또는 음향적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락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더 낮은 실내 소음은 통신을 용이하게 하고, 운전자 및/또는 승객은 전화 통화의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화 통화에 의하여 주의가 덜 분산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포함되며, 이 명세서에 병합되고 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며,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과 본 발명의 의도된 장점들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하여 잘 이해될 수 있으므로, 그것들은 손쉽게 인식될 것이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으로 서로 치수에 맞게 그려진 것은 아니다. 도면들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는,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유사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방법의 다른 흐름도를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대체물 및/또는 균등물들이 도시되고 기재된 특정 실시예들을 대체할 수 있음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명세서는 여기에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의 변형물 또는 수정물을 포함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는 내연 기관(1)과 전기 엔진(2)을 포함한다. 양 엔진은 전기 제어 유닛(3)에 의하여 제어되는데, 전기 제어 유닛(3)은 이 실시예에서 양 엔진(1, 2) 사이에 결합된 하나의 장치이다. 그러나, 이 배열과 형상은 순전히 예시적인 것임이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기 제어 유닛(3)은, 예를 들어 내연 기관(1)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와 전기 엔진(2)을 제어하기 위한 다른 하나와 같이, 서로 결합된 몇 개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10)는 두 개 이상의 엔진(1, 2)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자동차(10)는 전기 통신 시스템(4)을 더 포함하며, 전기 통신 시스템(4)은 전기 제어 유닛(3)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전기 통신 시스템(4)은, 예를 들어 통합된 카 폰(integrated car phone)과 같이 전기 통신 시스템(4)에 통합되거나, 핸즈프리(hands-free) 장치, 도킹 스테이션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통하여 전기 통신 시스템(4)에 결합될 수 있는 전화(5)를 포함한다. 자동차(10)의 운전자 및/또는 승객은 이에 따라 전화(5) 상으로 및/또는 예를 들어, 헤드셋 또는 유사한 것과 같이 전기 통신 시스템(4)의 핸즈프리 장치를 통하여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운전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것은 어떤 것이든 피해야 한다. 따라서, 자동차(10) 내에서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어떠한 음향적 소음도 가능한 한 감소되어야 한다. 소음원(sources of noise)은, 예를 들어, 바람, 도로 소음, 내연 기관(1), 배기 밸브, 소리 발생기 등으로부터의 소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자동차(1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동차(10) 내에서 전기 통신 기간 동안 소음, 진동, 그리고 불쾌감(Noise, Vibration, Harshness; NVH) 레벨을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다.
전기 통신 시스템(4)은 또한 전기 제어 유닛(3)에 통신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통신 데이터는 저기 통신 시스템(4)에 의하여 전기 통신 기간이 시작되었는지 및/또는 계속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전기 통신 시스템(4)뿐만 아니라 전기 제어 유닛(3)은 또한 자동차(10)의 보조 주행 및/또는 자율 주행 유닛(도시하지 않음)에 결합될 수 있다.
전기 제어 유닛(3)은 주행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의 현재 주행 상태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주행 데이터는, 예를 들어 자동차(10)가 수동 또는 보조/자율 주행 모드에서 주행하고 있는지 여부, 또는 자동차(10)가 전기 및/또는 내연기관 모드에서 주행하고 있는지 여부와 같은 현재 주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데이터는, 예를 들어 현재의 가속도, 속도, 내연 기관의 회전속도, 기어비, 연료 레벨 등과 같은 자동차(10)의 현재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제어 유닛(3)은 이러한 종류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자동차의 현재 주행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10)는 오버런(overrun)에서 작동, 즉 자동차(10)가 스로틀(throttle) 없이 주행하여 내연 기관(1)이 적어도 일시적으로 필요하지 않고, 이에 따라 꺼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현재 주행 상태가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는 것에 의하여 최대 가속도를 요구하는 킥다운 페이스(kick-down phase)를 특정 지을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얼마 간의 기간이라도 내연 기관(1)을 멈추는 것은 적절하지 않거나 가능하지 않다.
전기 제어 유닛(3)은 또한 현재의 주행 상태를 위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의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지를 평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앞의 오버런 페이스의 실시예에서, 전기 주행 모드는 내연 기관(1)의 정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킥다운 페이스의 실시예에서, 순수 전기 주행 모드는 적어도 얼마 간의 기간 동안이라도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제어 유닛(3)은 현재 주행 상태에서 요구되는 동력을 결정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지를 평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요구되는 동력은, 예를 들어 운전자 및/또는 보조/자율 주행 유닛에 의하여 제기되었을 수 있다. 전기 주행 모드는 음향적 소음, 음향적 진동, 이에 따라 NVH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전기 제어 유닛(3)은 입력으로 자동차(10)의 다양한 제어 파라미터들 및/또는 프로세스 변수들을 취하는 최적화 알고리즘을 가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소음원을 위하여, NVH에 대한 각 소음원의 영향을 특징 짓는 하나 또는 수 개의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밸브 설정, 기어비, 엔진 제어 파라미터 등)이 정의될 수 있다. 전기 제어 유닛(3)은 이후 자동차(10) 내의 NVH를 최소화하는 파라미터 값들의 조합을 특정 짓는 전기 주행 모드를 만들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를 전기 주행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것은 자동으로 내연 기관(1)을 정지시키는 것, 자동으로 자동차(10)의 하나 또는 수 개의 창문(6)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닫는 것, 자동으로 자동차(10)의 하나 또는 수 개의 배기 밸브(7)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닫는 것, 자동으로 자동차(10)의 소리 발생기(8)의 음량을 줄이거나 작동을 멈추는 것, 자동으로 더 큰 기어비로 변속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제어 유닛(3)은 또한,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 한, 전기 통신 기간 동안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를 전기 주행 모드에서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오버런 페이스의 실시예에서, 내연 기관(1)은 이에 따라 전기 통신 시스템(4)을 통한 전화 통화가 수행되는 한 정지될 수 있다. 킥다운 페이스의 실시예에서, 자동차(10)는 내연 기관(1)이 켜진 현재의 모드에 머무를 수 있다. 그러나, 전기 제어 유닛(3)은, 예를 들어 밀리세컨드(millisecond) 이하 차수의 짧은 시간 간격으로 내연 기관(1)이 꺼지고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지 여부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통신 기간이 시작되었을 때 내연 기관(1)은 이미 꺼졌을 수 있다. 이 경우, 전기 제어 유닛(3)은 가능한 한 이 상태를 유지하도록 시도할 수 있다. 내연 기관(1)을 정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자동차(10) 내의 NVH는 상당히 줄어들고 이에 따라 안락성 및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낮은 실내 소음은 통신을 용이하게 하고, 운전자 및/또는 승객은 전화 통화의 내용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화 통화에 의하여 주의가 덜 분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대응하는 방법(M)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상기 방법(M)은 M1 단계 하에서 전기 통신 시스템(4)에 의하여 전기 제어 유닛(3)에 제공된 전기 통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기 통신 시스템(4)에 의한 전기 통신 기간이 시작되었는지 및/또는 진행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M2 단계 하에서 전기 제어 유닛(3)에 의하여 제공되는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의 현재 주행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M3 단계 하에서 전기 제어 유닛(3)에 의하여 현재 주행 상태를 위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의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지를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M)은 M4 단계 하에서 전기 제어 유닛(3)에 의하여 전기 통신 기간 동안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 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전기 주행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차내 소음을 줄이는 것에 의하여 자동차(10) 내의 안정성과 안락함을 증가시키도록 전화 통화 이벤트에서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이 제어되는 이러한 방법(M)을 예시한다. M1 단계 하에서, 전기 통신 유닛(3)은 전화 통화 이벤트의 입력을 받는다. 자동차(10)의 현재 주행 상태가 M2 단계 하에서 결정된다. 다음으로, 전화 통화가 수행되는 경우, 전기 제어 유닛(3)은 M3 단계 하에서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지를 검사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전기 제어 유닛(3)은 M4 단계 하에서 단지 전기 드라이브트레인(drivetrain)만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현재의 운전자 및/또는 보조/자율 주행 유닛의 요청(예를 들어, 가속, 감속, 속도 등)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검토한다. 만약 그 답이 근정적이라면, 전기 제어 유닛(3)은 그 후 D1 단계 하에서 전기 주행 모드에서 주행하기 위하여 내연 기관(1)을 정지시킨다. 또한, 자동으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의 창문(6)을 닫는 것, 자동으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의 배기 밸브(7)를 닫는 것, 자동으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의 소리 발생기(8)를 사용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 자동으로 더 큰 기어비로 변속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다른 작동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전기 주행 모드가 통상적으로 가능하지 않거나 운전자의 요구가 이행될 수 없는 등의 이유로 내연 기관(1)의 정지가 가능하지 않으면, 전기 제어 유닛(3)은 D2 단계 하에서 내연 기관(1)이 켜진 현재 모드에 머무를 수 있다. 그러나, 전기 제어 유닛(3)은 내연 기관(1)이 정지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반복된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내연 기관(1)이 이미 꺼졌다면, 전기 제어 유닛(3)은 가능한 한 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노력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들이 본 개시를 간소화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예 또는 예들로 그룹화되었다. 상기 설명은 예시적일 뿐 제한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모든 대안, 수정 및 등가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많은 다른 예들은 상기 명세서를 검토할 때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제 응용들을 설명하고, 그것에 의하여 당업자가 본 발명 및 의도된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변형 예들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를 활용할 수 있도록 선택되고 기재되었다. 많은 다른 예들은 상기 명세서를 검토할 때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1: 내연 기관 2: 전기 엔진
3: 엔진 제어 유닛 4: 전기 통신 시스템
5: 전화 6: 창문
7: 배기 밸브 8: 소리 발생기
10: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M: 방법
M1-M4: 방법 단계들 D1-D2: 방법 단계들/결정들

Claims (8)

  1. 전기 제어 유닛(3)에 의하여 제어되는 내연 기관(1)과 전기 엔진(2)을 가지고, 전기 제어 유닛(3)에 통신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기 통신 시스템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를 작동시키는 방법(M)에 있어서,
    전기 통신 시스템(4)에 의하여 전기 제어 유닛(3)에 제공되는 전기 통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기 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전기 통신 기간이 시작되거나 진행 중인지를 평가하는 단계(M1);
    전기 제어 유닛(3)에 의하여 제공된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의 현재 주행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M2);
    전기 제어 유닛(3)에 의하여 현재의 주행 상태를 위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의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지를 평가하는 단계(M3); 그리고
    전기 제어 유닛(3)에 의하여, 전기 통신 기간 동안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 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를 전기 주행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단계(M4);
    를 포함하는 방법(M).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주행 모드는 내연 기관(1)의 정지(D1)를 포함하는 방법(M).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 통신 기간은 전기 통신 시스템(4)에 통합되거나 결합된 전화(5)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M).
  4. 제3항에 있어서,
    내연 기관(1)은 전기 통신 시스템(4)을 통한 전화 통화가 수행되는 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M).
  5.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지를 평가하는 단계는 현재 주행 상태에서 요구되는 동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M).
  6. 제5항에 있어서,
    전기 주행 모드는 결정된 요구되는 동력에 따라서 음성 소음 및 음성 진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M).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를 전기 주행 모드에서 작동시키는 단계는
    자동으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의 창문(6)을 닫는 단계,
    자동으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의 배기 밸브(7)를 닫는 단계,
    자동으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의 소리 발생기(8)를 사용 불가능하게 하는 단계, 그리고
    자동으로 높은 기어비로 변속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방법(M).
  8. 내연 기관(1);
    전기 엔진(2);
    내연 기관(1)과 전기 엔진(2)을 제어하도록 된 전기 제어 유닛(3); 그리고
    전기 제어 유닛(3)에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전기 통신 시스템(4),
    을 포함하며,
    전기 통신 시스템(4)은 전기 제어 유닛(3)에 전기 통신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되, 전기 통신 데이터는 전기 통신 시스템(4)에 의하여 전기 통신 기간이 시작되거나 진행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전기 제어 유닛(3)은 주행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주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의 현재 주행 상태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전기 제어 유닛(3)은 현재의 주행 상태를 위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의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지 여부를 더 평가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전기 제어 유닛은 전기 통신 기간 동안 전기 주행 모드가 가능한 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를 전기 주행 모드에서 작동시키도록 더 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10).
KR1020190038201A 2019-01-18 2019-04-02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KR102586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200653.1A DE102019200653A1 (de) 2019-01-18 2019-01-18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ybridelektrofahrzeugs und Hybridelektrofahrzeug
DE102019200653.1 2019-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594A true KR20200090594A (ko) 2020-07-29
KR102586333B1 KR102586333B1 (ko) 2023-10-06

Family

ID=71402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201A KR102586333B1 (ko) 2019-01-18 2019-04-02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36374B2 (ko)
KR (1) KR102586333B1 (ko)
CN (1) CN111452779A (ko)
DE (1) DE102019200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4401B1 (en) * 2019-03-21 2023-08-22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Environment based authentication
KR20230103641A (ko) * 2021-12-31 2023-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 및 그를 위한 음향 입출력 지원 방법
KR20230103643A (ko) * 2021-12-31 2023-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음향 입출력 지원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7985A (ja) * 1983-04-11 1984-10-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話連動窓閉装置
KR20000004079U (ko) * 1998-07-31 2000-02-25 홍종만 자동차의 휴대전화 착신시 오디오 음향 뮤트장치
JP2004232558A (ja) * 2003-01-30 2004-08-19 Mazda Motor Corp 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KR20070034792A (ko) * 2005-09-26 2007-03-2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공조장치의 풍량조절장치 및 방법
JP2008022061A (ja) * 2006-07-10 2008-01-31 Toyota Motor Corp ハンズフリー無線通話装置および音声出力制御方法
US20110231049A1 (en) * 2008-12-08 2011-09-22 Renault Trucks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hybrid automotive and vehicle adapted to such a method
KR101526736B1 (ko) * 2013-12-13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0995A (ja) * 1993-03-03 1994-09-16 Clarion Co Ltd 車載オーディオ装置の制御方法
US6421600B1 (en) * 1994-05-05 2002-07-16 H. R. Ross Industries, Inc. Roadway-powered electric vehicle system having automatic guidance and demand-based dispatch features
JPH08248963A (ja) * 1995-03-08 1996-09-27 Mazda Motor Corp 車両の騒音低減装置
US6111524A (en) * 1995-11-09 2000-08-29 Vehicle Enhancemen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tractor/trailers and components thereof
JPH10226282A (ja) * 1997-02-17 1998-08-25 Calsonic Corp 自動車電話システム
US7705602B2 (en) * 1997-11-03 2010-04-27 Midtronics, Inc. Automotive vehicle electrical system diagnostic device
US6907325B1 (en) 2003-09-24 2005-06-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of operating a hybrid electric vehicle to limit noise, vibration, and harshness
US7956570B2 (en) * 2008-01-07 2011-06-07 Coulomb Technologies, Inc. Network-controlled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US8798832B2 (en) * 2009-03-27 2014-08-05 Hitachi, Ltd. Electric storage device
US8430192B2 (en) * 2010-01-04 2013-04-30 Carla R. Gillett Robotic omniwheel vehicle
JP5170272B2 (ja) * 2010-04-27 2013-03-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力制御装置
DE102012223320A1 (de) * 2012-12-17 2014-06-18 Robert Bosch Gmbh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automatischen Anpassung der Lautstärke von Geräuschen in einem Fahrzeuginnenraum
FR3012098B1 (fr) * 2013-10-17 2017-01-13 Renault Sa Systeme et procede de controle de vehicule avec gestion de defauts
KR101637627B1 (ko) * 2013-11-01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의 실내 음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878631B2 (en) * 2014-02-25 2018-01-30 Elwha Llc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ve control of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US20150274156A1 (en) * 2014-03-31 2015-10-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driver identification of preferred electric drive zones using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US9751521B2 (en) * 2014-04-17 2017-09-05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Control system for hybrid vehicles with high degree of hybridization
CN105649464A (zh) * 2014-12-03 2016-06-08 昆山研达电脑科技有限公司 车内根据手机工作状态调节车窗的方法及其系统
JP6874540B2 (ja) * 2017-06-02 2021-05-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7985A (ja) * 1983-04-11 1984-10-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話連動窓閉装置
KR20000004079U (ko) * 1998-07-31 2000-02-25 홍종만 자동차의 휴대전화 착신시 오디오 음향 뮤트장치
JP2004232558A (ja) * 2003-01-30 2004-08-19 Mazda Motor Corp 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KR20070034792A (ko) * 2005-09-26 2007-03-2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공조장치의 풍량조절장치 및 방법
JP2008022061A (ja) * 2006-07-10 2008-01-31 Toyota Motor Corp ハンズフリー無線通話装置および音声出力制御方法
US20110231049A1 (en) * 2008-12-08 2011-09-22 Renault Trucks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hybrid automotive and vehicle adapted to such a method
KR101526736B1 (ko) * 2013-12-13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200653A1 (de) 2020-07-23
KR102586333B1 (ko) 2023-10-06
CN111452779A (zh) 2020-07-28
US20200231138A1 (en) 2020-07-23
US10836374B2 (en)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6333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CN106671912B (zh) 车辆燃烧噪声掩蔽控制装置以及使用其的方法
US9168896B2 (en) Vehicle driv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3946603B (zh) 用于控制机动车传动系的装置
US10534602B2 (en) Preference learning for adaptive OTA notifications
KR102398881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소리 제어방법
CN104554094B (zh) 对应于自动巡航速度设置的虚拟发动机音控制装置及方法
CN109070871B (zh) 用于运行具有电蓄能器的混合动力车辆的方法和装置
KR20200064189A (ko) 차량의 크루즈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9070764B (zh) 用于运行包括电机和内燃机的具有电蓄能器的混合动力车辆的方法和装置
CN103959373B (zh) 用于阻尼或加强导入机动车乘客舱中的噪声的方法和装置
KR101180805B1 (ko) 차량용 가상사운드 발생 시스템
CN106740269B (zh) 一种电动汽车的控制方法及电动汽车
JP6805120B2 (ja) サウンドコントローラを備えた車両
JP2008055997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101628692B1 (ko)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
US20180374472A1 (en) Audio Control Systems And Methods Based On Road Characteristics And Vehicle Operation
CN105799511A (zh) 一种适用于汽车的限速报警装置和方法
CN104796513A (zh) 一种车内通话降噪方法
CN113147636A (zh) 一种发动机降噪方法、汽车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4422499B2 (ja) 電動ポンプの制御装置
CN213472944U (zh) 一种电动汽车的低速行人提示系统
JP2008081087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CN114727374A (zh) 电动汽车的控制方法、装置、车载音频系统
Bodden et al. Consistent Active Sound Generation Concept for Hybrid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