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692B1 -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692B1
KR101628692B1 KR1020140180408A KR20140180408A KR101628692B1 KR 101628692 B1 KR101628692 B1 KR 101628692B1 KR 1020140180408 A KR1020140180408 A KR 1020140180408A KR 20140180408 A KR20140180408 A KR 20140180408A KR 101628692 B1 KR101628692 B1 KR 101628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rpm
sound sources
virtual engin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석
강선두
조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0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2Synthesis of acoustic wav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터의 RPM을 입력받는 RPM입력부, 가속페달의 변위에 따른 스로틀(throttle)을 입력받는 스로틀입력부, 차량의 속도를 입력받는 차속입력부, 복수개의 RPM범위 각각에 대응되는 음원들을 포함하는 트랙을 복수개 저장하고 있는 음원저장부 및 상기 RPM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RPM에 근거하여 상기 음원저장부에 저장된 음원들 중 엔진음으로 믹스될 음원들을 선택하고, 상기 RPM, 상기 스로틀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로틀 및 상기 차속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차속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음원들을 믹스하여 가상 엔진음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VIRTUAL ENGINE SOUN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모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차량에 가상 엔진음을 제공하는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즘은 전자장치의 발달로 차량의 성능이 눈이 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일례로 엔진의 성능향상을 위해 여러 가지의 센서가 사용되어 최적의 엔진 효율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차량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다.
더불어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키려는 노력과 환경을 보호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 등 전기 모터를 동력으로 주행하는 자동차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배터리 엔진을 장착하여 자동차의 동력을 화석 연료의 연소를 통해서 얻는 기존의 자동차와 달리 전기 자동차는 전기 에너지로부터 동력을 얻는 자동차이고,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기존의 내연기관 엔진에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엔진을 동시에 장착하여 감속시에 배터리를 충전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고, 가속시에 내연기관 엔진과 베터리 엔진을 개별적 또는 동시에 사용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이다.
이와 같이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가 전기 모터로 주행할 때는 내연기관 엔진으로 주행할 때와는 달리 엔진의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시동이 온(On) 되어도 운전자는 차량이 주행 가능한 상태가 되었는지 알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차량의 주행 중에도 차량 주변의 보행자들이 차량의 접근을 미처 인지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에는 가상의 소음을 스피커를 통해 차량의 외부로 재생하여 출력함으로써, 보행자들이 차량 접근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VESS: Virtual Engine Sound System)을 의무적으로 장착하도록 법제화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은 엔진음과 유사한 가상음 또는 엔진음을 녹음한 음원을 차량의 속도에 따라 볼륨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등, 단순히 차량을 인지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수준에 그쳐 실제 엔진음과의 이질감이 느껴진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14717호 (2014.02.06)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실제 엔진음에 근접한 가상 엔진음을 제공하는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는 모터의 RPM을 입력받는 RPM입력부; 가속페달의 변위에 따른 스로틀(throttle)을 입력받는 스로틀입력부; 차량의 속도를 입력받는 차속입력부; 복수개의 RPM범위 각각에 대응되는 음원들을 포함하는 트랙을 복수개 저장하고 있는 음원저장부; 및 상기 RPM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RPM에 근거하여 상기 음원저장부에 저장된 음원들 중 엔진음으로 믹스될 음원들을 선택하고, 상기 RPM, 상기 스로틀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로틀 및 상기 차속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차속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음원들을 믹스하여 가상 엔진음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상 엔진음 생성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PM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음원들의 피치를 조절하고, 상기 스로틀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음원들의 볼륨 레벨을 각 트랙별로 조절하며, 상기 차속에 근거하여 결정된 최종 볼륨에 따라 피치 및 볼륨 레벨이 조절된 음원들을 믹스하여 상기 가상 엔진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믹스될 음원들의 선택 시 같은 트랙에 속하는 음원이 2개 이상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음원들을 믹스할 때 같은 트랙에 속하는 음원들의 볼륨 레벨을 상기 RPM에 따른 크로스 페이드(cross fade) 방식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는 가상 엔진음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가상 엔진음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출력부는, 보행자에게 가상 엔진음을 출력하기 위한 외부 스피커; 및 운전자에게 가상 엔진음을 출력하기 위한 내부 스피커를 포함하되, 상기 차속이 기준속도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내부 스피커에서만 가상 엔진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엔진음 발생 방법은 제어부가 모터의 RPM, 가속페달의 변위에 따른 스로틀(throttle) 및 차량의 차속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RPM에 근거하여 음원저장부에 저장된 음원들 중 엔진음으로 믹스될 음원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RPM, 스로틀 및 차속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음원들을 믹스하여 가상 엔진음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생성된 가상 엔진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원저장부에는 복수개의 RPM범위 각각에 대응되는 음원들을 포함하는 트랙이 복수개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가상 엔진음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RPM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음원들의 피치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로틀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음원들의 볼륨 레벨을 각 트랙별로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속에 근거하여 결정된 최종 볼륨에 따라 피치 및 볼륨 레벨이 조절된 음원들을 믹스하여 가상 엔진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상 엔진음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믹스될 음원들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같은 트랙에 속하는 음원이 2개 이상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같은 트랙에 속하는 음원들의 볼륨 레벨을 상기 RPM에 따른 크로스 페이드(cross fade) 방식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은 복수개의 RPM범위 각각에 대응되는 음원들을 포함하는 트랙으로 구분되는 음원들 중에서 엔진음으로 믹스될 음원들을 모터 RPM에 근거하여 선택하고, 모터 RPM, 스로틀 및 차속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음원들을 믹스함으로써 실제 엔진음에 근접한 가상 엔진음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은 실제 엔진음에 근접한 가상 엔진음을 제공함으로써, 보행자들이 차량 인지율을 높여 사고를 방지하고 운전자의 운전 만족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에서 음원저장부에 저장된 트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에서 같은 트랙에 속하는 음원들의 볼륨 레벨을 크로스 페이드(cross fade) 방식으로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에서 음원들의 볼륨 레벨을 각 트랙별로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에서 음원저장부에 저장된 트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에서 같은 트랙에 속하는 음원들의 볼륨 레벨을 크로스 페이드(cross fade) 방식으로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에서 음원들의 볼륨 레벨을 각 트랙별로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는 제어부(100), RPM입력부(110), 차속입력부(120), 스로틀입력부(130), 음원저장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RPM입력부(110)는 모터의 RPM을 입력받아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RPM입력부(110)는 엔진제어유닛(Engine Control Unit)으로부터 모터의 RPM을 입력받을 수 있다.
차속입력부(120)는 차량의 속도를 입력받아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차속입력부(120)는 차속센서나 스마트 컨트롤 시스템(SCC : Smart Cruise Control) 등으로부터 차량의 속도를 입력받을 수 있다.
스로틀입력부(130)는 가속페달의 변위에 따른 스로틀(throttle)을 입력받아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스로틀입력부(130)는 차량의 가속페달(accelerator pedal)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부터 스로틀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음원저장부(140)는 복수개의 RPM범위 각각에 대응되는 음원들을 포함하는 트랙을 복수개 저장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음원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들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음원저장부(140)에 저장된 하나의 트랙에는 복수개의 RPM범위 각각에 대응되는 음원들이 포함되어 있다. 즉 트랙1에는 1000 ~ 1600 RPM의 범위에 대응되는 음원(S1), 1400 ~ 2350 RPM의 범위에 대응되는 음원(S2), 2150 ~ 3250 RPM의 범위에 대응되는 음원(S3), 3050 ~ 5070 RPM의 범위에 대응되는 음원(S4) 및 4870 ~ max RPM의 범위에 대응되는 음원(S5)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음원저장부(140)에는 이러한 트랙이 복수개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각 트랙별로 음원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저장부(140)에는 3개의 트랙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트랙1에는 기본적인 엔진 구동 소음(저음 특성이 강하며 전체 가상사운드의 베이스 역할)에, 트랙2에는 가속페달 조작 시 추가되는 Load 사운드(저,중,고음이 고루 분포된 박력 있는 사운드)에, 트랙3에는 가속시 박력감을 더 해주는 배기음(중음 특성이 강하며 음량은 크지 않으나 힘을 더해주는 사운드)에 해당하는 음원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른 모든 엔진음을 미리 저장해둘 수 없으므로, 각기 다른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음원들을 저장하고, 이를 조합하여 실제 엔진음에 가까운 가상 엔진음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가상 엔진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50)는 보행자에게 가상 엔진음을 출력하기 위한 외부 스피커와 운전자에게 가상 엔진음을 출력하기 위한 내부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RPM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RPM에 근거하여 음원저장부(140)에 저장된 음원들 중 엔진음으로 믹스될 음원들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입력된 RPM이 속하는 범위에 해당하는 음원을 각 트랙마다 추출하여 믹스될 음원들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RPM이 1700인 경우 제어부(100)는 트랙1에서 S2음원을 믹스될 음원들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각 트랙마다 동일한 RPM 범위를 가지는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믹스될 음원으로 트랙1, 트랙2, 트랙3에서 각각 S2음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RPM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RPM, 스로틀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스로틀 및 차속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차속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음원들을 믹스하여 가상 엔진음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입력된 RPM에 근거하여 선택된 음원들의 피치를 조절하고, 입력된 스로틀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음원들의 볼륨 레벨을 각 트랙별로 조절하며, 입력된 차속에 근거하여 결정된 최종 볼륨에 따라 피치 및 볼륨 레벨이 조절된 음원들을 믹스하여 가상 엔진음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하나의 트랙에 포함된 음원들은 일정범위에 대응되므로, 연속적인 실제 RPM값에 따른 엔진 소리와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선택된 음원의 피치를 조절하여 믹스되는 소리를 실제 RPM값에 매칭시켜 준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입력된 RPM값을 각 범위에 대응되는 Reference값으로 나눈 뒤 1을 뺀 값의 비율만큼 피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입력된 RPM이 1500인 경우에, 이에 해당하는 RPM범위는 2개가 된다. 이렇게 RPM범위를 겹치게 구성한 것은, RPM의 범위가 변경되는 구간에서도 출력되는 가상 엔진음이 부드럽게 변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어부(100)는 트랙1에서 S1음원과 S2음원 둘 모두를 믹스될 음원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같은 트랙에 속하는 음원이 2개 이상 선택된 경우, 제어부(100)는 같은 트랙에 속하는 음원들의 볼륨 레벨을 입력된 RPM에 따른 크로스 페이드(cross fade)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한 개의 트랙에서 2개의 음원이 선택되어 동시에 믹스된다면, 가상 엔진음에서 해당 트랙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0)는 입력된 RPM에 따라 2개의 음원의 볼륨 레벨을 크로스 페이드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입력된 스로틀에 근거하여 선택된 음원들의 볼륨 레벨을 각 트랙별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절에 따라 각 트랙별 볼륨 레벨을 다르게 조절하여 가상 엔진음이 실제 엔진음에 근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이를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스로틀을 20단계로 구분하고 각 트랙별 볼륨 레벨을 다르게 조절하여 가상 엔진음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트랙별 볼륨 레벨의 설정은 각기 다른 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sports 모드인 경우 normal 모드인 경우에 비해 트랙3의 볼륨 레벨(배기음)을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calm 모드인 경우에는 normal 모드인 경우에 비해 트랙1(기본 엔진 구동 소음)을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제어부(100)는 이렇게 피치 및 볼륨 레벨이 조절된 음원들을 입력된 차속에 근거하여 결정된 최종 볼륨에 따라 믹스하여 가상 엔진음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속도에 따라 가상 엔진음의 최종 볼륨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속도가 느린 경우에 비해 차량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 최종 볼륨은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입력된 차속이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출력부(150)를 제어하여 내부 스피커에서만 가상 엔진음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보행자를 위해 출력되는 가상 엔진음은 차량이 저속 주행인 경우에만 필요하므로, 차량의 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외부 스피커에서 가상 엔진음이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준속도(예 : 30km/h)는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 법규 등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100)는 서로 다른 2개의 가상 엔진음을 생성하여 내부 스피커로 출력되는 가상 엔진음과 외부 스피커로 출력되는 가상 엔진음이 서로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외부 스피커로 출력되는 가상 엔진음은 보행자의 차량 인지율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생성되고, 내부 스피커로 출력되는 가상 엔진음은 운전자의 운전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먼저 모터의 RPM, 가속페달의 변위에 따른 스로틀(throttle) 및 차량의 차속을 입력받는다(S20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차량 내 설치된 각종 ECU(Electronic Control Unit)들로부터 모터의 RPM, 스로틀 및 차속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00)에서 입력된 RPM에 근거하여 음원저장부(140)에 저장된 음원들 중 엔진음으로 믹스될 음원들을 선택한다(S210). 즉 제어부(100)는 입력된 RPM이 속하는 범위에 해당하는 음원을 각 트랙마다 추출하여 믹스될 음원들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RPM이 1700인 경우 제어부(100)는 트랙1에서 S2음원을 믹스될 음원들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10) 이후,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10)에서 선택된 음원들의 피치를 상기 단계(S200)에서 입력된 RPM에 근거하여 조절한다(S220). 즉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하나의 트랙에 포함된 음원들은 일정범위에 대응되므로, 연속적인 실제 RPM값에 따른 엔진 소리와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선택된 음원의 피치를 조절하여 믹스되는 소리를 실제 RPM값에 매칭시켜 준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입력된 RPM값을 각 범위에 대응되는 Reference값으로 나눈 뒤 1을 뺀 값의 비율만큼 피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20)에서 피치가 조절된 음원들의 볼륨 레벨을 상기 단계(S200)에서 입력된 스로틀에 근거하여 각 트랙별로 조절한다(S23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스로틀을 20단계로 구분하고 각 트랙별 볼륨 레벨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트랙별 볼륨 레벨의 설정은 각기 다른 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단계(S230) 이후,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30)에서 피치가 조절된 음원들을 상기 단계(S200)에서 입력된 차속에 근거하여 결정된 최종 볼륨에 따라 믹스하여 가상 엔진음을 생성한다(S240). 즉 차량의 속도에 따라 가상 엔진음의 최종 볼륨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속도가 느린 경우에 비해 차량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 최종 볼륨은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40)에서 생성된 가상 엔진음을 출력한다(S25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보행자에게 가상 엔진음을 출력하기 위한 외부 스피커와 운전자에게 가상 엔진음을 출력하기 위한 내부 스피커를 통해 가상 엔진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은 실제 엔진음에 근접한 가상 엔진음을 제공함으로써, 보행자들이 차량 인지율을 높여 사고를 방지하고 운전자의 운전 만족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제어부
110: RPM입력부
120: 차속입력부
130: 스로틀입력부
140: 음원저장부
150: 출력부

Claims (9)

  1. 모터의 RPM을 입력받는 RPM입력부;
    가속페달의 변위에 따른 스로틀(throttle)을 입력받는 스로틀입력부;
    차량의 속도를 입력받는 차속입력부;
    복수개의 RPM범위 각각에 대응되는 음원들을 포함하는 트랙을 복수개 저장하고 있는 음원저장부; 및
    상기 RPM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RPM에 근거하여 상기 음원저장부에 저장된 음원들 중 엔진음으로 믹스될 음원들을 선택하고, 상기 RPM, 상기 스로틀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스로틀 및 상기 차속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차속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음원들을 믹스하여 가상 엔진음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RPM이 속하는 범위에 해당하는 음원을 각 트랙마다 추출하여 상기 믹스될 음원들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엔진음 생성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PM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음원들의 피치를 조절하고, 상기 스로틀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음원들의 볼륨 레벨을 각 트랙별로 조절하며, 상기 차속에 근거하여 결정된 최종 볼륨에 따라 피치 및 볼륨 레벨이 조절된 음원들을 믹스하여 상기 가상 엔진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믹스될 음원들의 선택 시 같은 트랙에 속하는 음원이 2개 이상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음원들을 믹스할 때 같은 트랙에 속하는 음원들의 볼륨 레벨을 상기 RPM에 따른 크로스 페이드(cross fade) 방식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가상 엔진음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가상 엔진음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보행자에게 가상 엔진음을 출력하기 위한 외부 스피커; 및
    운전자에게 가상 엔진음을 출력하기 위한 내부 스피커를 포함하되,
    상기 차속이 기준속도를 초과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내부 스피커에서만 가상 엔진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6. 제어부가 모터의 RPM, 가속페달의 변위에 따른 스로틀(throttle) 및 차량의 차속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RPM에 근거하여 음원저장부에 저장된 음원들 중 엔진음으로 믹스될 음원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된 RPM, 스로틀 및 차속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음원들을 믹스하여 가상 엔진음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생성된 가상 엔진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음원저장부에는 복수개의 RPM범위 각각에 대응되는 음원들을 포함하는 트랙이 복수개 저장되어 있고, 상기 믹스될 음원들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RPM이 속하는 범위에 해당하는 음원을 각 트랙마다 추출하여 상기 믹스될 음원들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방법.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엔진음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RPM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음원들의 피치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로틀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음원들의 볼륨 레벨을 각 트랙별로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속에 근거하여 결정된 최종 볼륨에 따라 피치 및 볼륨 레벨이 조절된 음원들을 믹스하여 가상 엔진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엔진음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믹스될 음원들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같은 트랙에 속하는 음원이 2개 이상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같은 트랙에 속하는 음원들의 볼륨 레벨을 상기 RPM에 따른 크로스 페이드(cross fade) 방식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방법.
KR1020140180408A 2014-12-15 2014-12-15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628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408A KR101628692B1 (ko) 2014-12-15 2014-12-15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408A KR101628692B1 (ko) 2014-12-15 2014-12-15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692B1 true KR101628692B1 (ko) 2016-06-10

Family

ID=5619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408A KR101628692B1 (ko) 2014-12-15 2014-12-15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6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779B1 (ko) * 2017-01-19 2018-04-16 (주) 대환스틸 전기자동차 운행사운드 컨트롤 장치
CN112652315A (zh) * 2020-08-03 2021-04-13 李�昊 基于深度学习的汽车引擎声实时合成系统及方法
CN114526931A (zh) * 2022-03-11 2022-05-24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主动声浪声音增益与驾驶工况匹配标定方法和系统
KR102458706B1 (ko) * 2022-05-10 2022-10-25 (주)에어패스 인공지능 기반의 전기 자동차 운전 출력음 제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5436A (ja) * 2010-03-31 2011-10-27 Namco Bandai Games Inc 音制御装置、車両、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2014051149A (ja) * 2012-09-05 2014-03-20 Yamaha Corp エンジン音加工装置
JP2014202856A (ja) * 2013-04-03 2014-10-2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エンジン音出力装置及びエンジン音出力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5436A (ja) * 2010-03-31 2011-10-27 Namco Bandai Games Inc 音制御装置、車両、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2014051149A (ja) * 2012-09-05 2014-03-20 Yamaha Corp エンジン音加工装置
JP2014202856A (ja) * 2013-04-03 2014-10-2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エンジン音出力装置及びエンジン音出力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779B1 (ko) * 2017-01-19 2018-04-16 (주) 대환스틸 전기자동차 운행사운드 컨트롤 장치
CN112652315A (zh) * 2020-08-03 2021-04-13 李�昊 基于深度学习的汽车引擎声实时合成系统及方法
CN114526931A (zh) * 2022-03-11 2022-05-24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主动声浪声音增益与驾驶工况匹配标定方法和系统
KR102458706B1 (ko) * 2022-05-10 2022-10-25 (주)에어패스 인공지능 기반의 전기 자동차 운전 출력음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63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운전 모드 전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031502B (zh) 车辆声音发生器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628692B1 (ko) 차량의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방법
US9434306B2 (en) Notification sound control unit of approaching vehicle audible system
JP2008296798A (ja) 車両の制御装置
JP3956929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定速走行制御装置
US10060310B2 (en) Use of active noise system
US10266112B1 (en) Sound control method for hybrid vehicle
US9073540B2 (en) Deceleration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CN102083508A (zh) 汽车动力装置模拟的运行噪声的发生装置
KR20110060504A (ko) 가상엔진 사운드 시스템
US11772554B2 (en) Method of providing virtual sound in electric vehicle
KR102518600B1 (ko) 친환경 차량의 감속 제어 방법
US11565591B2 (en) Method of generating virtual vibration effec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electric vehicle
CN103863117A (zh) 一种对车辆限速的方法及装置
JP2015166220A (ja)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KR102373413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CN213472944U (zh) 一种电动汽车的低速行人提示系统
KR20180124197A (ko) 회생제동 토크 가변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20220039182A (ko) 전기자동차의 가상 후연소 효과 연출 장치 및 방법
US10821962B2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MacDonald et al. Comprehensive Automotive Active Sound Design
JP2021066316A (ja) パワートレーンシステム
US8112205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rque applied to wheels of a vehicle
KR101742774B1 (ko) 가상 배기음 출력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용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