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221A - 차량 탑재 장치, 대기 시간 관리 방법, 및 대기 시간 관리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 장치, 대기 시간 관리 방법, 및 대기 시간 관리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221A
KR20200090221A KR1020207018014A KR20207018014A KR20200090221A KR 20200090221 A KR20200090221 A KR 20200090221A KR 1020207018014 A KR1020207018014 A KR 1020207018014A KR 20207018014 A KR20207018014 A KR 20207018014A KR 20200090221 A KR20200090221 A KR 20200090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ting time
vehicle
time
engin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1762B1 (ko
Inventor
다케시 고레나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0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06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powe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40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prime movers, e.g. for transition between prime mov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07C5/04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using counting means or digital c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Power Sour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탑재 장치가, 차량의 엔진 정지 시에, 차량 탑재 장치를 서비스 제공 기능이 정지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결정하는 대기 시간 결정부와, 상기 차량의 엔진이 정지하고 나서 상기 대기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차량 탑재 장치를 전원 ON 상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상태 천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는, 상기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으로부터 변경한다.

Description

차량 탑재 장치, 대기 시간 관리 방법, 및 대기 시간 관리 프로그램
본 발명은, 차량 탑재 장치, 대기 시간 관리 방법, 및 대기 시간 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재하는 차량 탑재 장치로서, 여러 가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탑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차량의 위치를 특정하고, 차량이 과금 에어리어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과금하는 과금 기능을 구비한 차량 탑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운전자가 거친 운전을 하고 있지 않는지, 또는 부적절한 경로를 주행하고 있지 않는지 등과 같이, 운전자가 차량을 적절히 운전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운전 평가 기능을 구비한 차량 탑재 장치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차량의 주행 정보인 위치 정보, 속도, 가속도, 각속도 등을 운행 관리 장치에 송신해서 운전자에 의한 차량의 운행을 평가하는 차량 탑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탑재 장치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 그 때문에, 배터리의 충전 잔량의 고갈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량의 엔진 정지 후, 차량 탑재 장치는 전원 ON 상태로부터 서비스 제공 기능이 정지하는 전력 절약 상태(전원 OFF 상태를 포함함)로 이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상, 이 이행은 차량의 엔진 정지 후 곧바로는 행해지지 않고, 이행을 개시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대기 시간을 설정하는 이유로서는, 예를 들면, 차량 탑재 장치가 서비스 제공 기능을 정지시키기 전에 로그를 기록하는 등의 일정한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처리 시간을 확보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차량 탑재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서는, 엔진 기동 후 곧바로 서비스 제공 기능을 유효하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엔진 정지 후에 곧바로 재기동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대기 시간 동안은 전원 ON 상태를 유지한다는 목적도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0-20475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5-49629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차량 탑재 장치에서는, 대기 시간이 일정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단시간 내에서의 엔진 정지 및 엔진 기동을 반복하는 시행 착오를 하는 것에 의해, 대기 시간의 길이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차량의 이용자가 고의로 차량의 엔진을 정지시키고,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기다린 후에 엔진을 기동시키는 것에 의해 차량 탑재 장치의 서비스 제공 기능을 기능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엔진 정지의 악용이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차량의 이용자에 의한 엔진 정지의 악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량의 엔진 정지 시에 서비스 제공 기능이 정지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정지 시에 서비스 제공 기능이 정지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변경할 수 있어, 차량의 이용자에 의한 악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탑재 장치, 대기 시간 관리 방법, 및 대기 시간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의하면, 차량 탑재 장치(10)는, 차량(1)의 엔진 정지 시에, 차량 탑재 장치를 서비스 제공 기능이 기능하는 전원 ON 상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 기능이 정지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결정하는 대기 시간 결정부(12)와, 상기 차량의 엔진이 정지하고 나서 상기 대기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차량 탑재 장치를 상기 전원 ON 상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상태 천이부(13)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는, 상기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으로부터 변경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차량 탑재 장치는,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으로부터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이용자가 대기 시간의 길이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워져, 엔진 정지의 악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기재된 차량 탑재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상기 대기 시간을 랜덤으로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대기 시간이 불규칙하게 변경되어, 차량의 이용자에 의한 대기 시간의 길이의 파악이 한층, 어려워진다. 따라서, 차량의 이용자에 의한 엔진 정지의 악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1 태양 또는 제 2 태양에 기재된 차량 탑재 장치(10)는, 엔진이 정지한 상기 차량(1)에 관한 판단 정보를 취득하는 판단 정보 취득부(15)를 더 구비하고,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상기 판단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대기 시간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엔진이 정지한 차량에 관한 판단 정보에 기초해서, 대기 시간을 결정하므로, 당해 판단 정보로부터, 차량의 이용자가, 차량의 엔진 정지를 악용하고자 하는 조작을 했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여, 차량의 이용자가 조작을 한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대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기재된 차량 탑재 장치(10)는, 상기 판단 정보는 소정의 판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차량(1)의 엔진의 재기동 횟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상기 재기동 횟수가 소정의 판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빈번하게 엔진 정지 또는 기동을 행하고, 엔진 정지의 악용을 노리는 이용자에 대해서는, 대기 시간을 길게 해서 악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기재된 차량 탑재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결정한 상기 대기 시간으로 변경하고 나서 소정의 적용 시간의 경과 후, 상기 대기 시간을 변경 전의 대기 시간으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악용의 방지 대응이 필요한 소정의 적용 시간 동안만으로 한정해서 대기 시간의 변경을 적절히 적용할 수 있어, 차량의 이용자에 의한 엔진 정지의 악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기재된 차량 탑재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결정한 상기 대기 시간으로 변경하고 나서 소정의 적용 횟수만큼, 상기 전원 ON 상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이 행해진 후, 상기 대기 시간을 변경 전의 대기 시간으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악용의 방지 대응이 필요한 소정의 적용 횟수만으로 한정해서 대기 시간의 변경을 적절히 적용할 수 있어, 차량의 이용자에 의한 엔진 정지의 악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기재된 차량 탑재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정보는 소정의 위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상기 차량(1)의 현재 위치가 상기 소정의 위치인 경우에, 상기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차량의 현재 위치가 악용의 방지 대응이 필요한 소정의 위치인 경우에 대기 시간의 변경을 적용할 수 있어, 차량의 이용자에 의한 엔진 정지의 악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기재된 차량 탑재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정보는 소정의 시간대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현재 시각이 상기 소정의 시간대에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현재 시각이 악용의 방지 대응이 필요한 소정의 시간대에 포함되는 경우에 대기 시간의 변경을 적용할 수 있어, 차량의 이용자에 의한 엔진 정지의 악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9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기재된 차량 탑재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정보는 상기 차량의 가속도 및 각속도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소정의 시간 계속해서 상기 가속도 및 상기 각속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조건을 만족시키기까지,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하지 않도록 상기 대기 시간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차량의 가속도 및 각속도가, 악용의 방지 대응이 불필요한 상황을 나타내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기까지, 대기 시간의 변경을 적용할 수 있어, 차량의 이용자에 의한 엔진 정지의 악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1 태양에 의하면, 대기 시간 관리 방법은, 차량의 엔진 정지 시에, 차량 탑재 장치를 서비스 제공 기능이 기능하는 전원 ON 상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 기능이 정지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결정하는 대기 시간 결정 스텝과, 상기 차량의 엔진이 정지하고 나서 상기 대기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차량 탑재 장치를 상기 전원 ON 상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상태 천이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대기 시간 결정 스텝은, 상기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으로부터 변경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2 태양에 의하면, 차량 탑재 장치로서의 컴퓨터를, 차량의 엔진 정지 시에, 상기 차량 탑재 장치를 서비스 제공 기능이 기능하는 전원 ON 상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 기능이 정지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결정하는 대기 시간 결정부와, 상기 차량의 엔진이 정지하고 나서 상기 대기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차량 탑재 장치를 상기 전원 ON 상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상태 천이부로서 기능하게 하는 대기 시간 관리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는, 상기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으로부터 변경한다.
전술의 차량 탑재 장치, 대기 시간 관리 방법, 및 대기 시간 관리 프로그램에 의하면, 차량의 엔진 정지 시에 서비스 제공 기능이 정지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변경할 수 있어, 차량의 이용자 U가 대기 시간의 길이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워져, 차량의 이용자에 의한 악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의 대기 시간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의 대기 시간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판단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제 1 설명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판단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제 2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12는 적어도 1개의 실시형태에 따른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공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전체 구성)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를 구비하는 차량(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이용해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를 구비하는 차량(1)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1)을 이용하는 이용자 U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탑재 장치(10) 및 배터리(2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차량(1)이 4륜차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차량(1)은, 예를 들면, 바이크 등의 이륜차, 삼륜차, 및 5개 이상의 차륜을 갖는 다륜차여도 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이용자 U가 차량(1)의 운전자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용자 U는, 예를 들면, 차량(1)을 운전하지 않는 탑승자 등, 운전자 이외의 이용자여도 된다.
차량 탑재 장치(10)는, 차량(1)에 탑재되어 있고, 차량(1)의 이용자 U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탑재 장치(10)가 소정의 과금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차량(1)에 대해서 유료 도로의 통행 요금 등의 과금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과금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차량 탑재 기기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차량 탑재 장치(10)는, 예를 들면, 차량(1)의 운전자가 결정된 경로를 주행하고 있는지, 규정의 속도로 주행하고 있는지, 및 규정의 시각에 주행하고 있는지 등의 각 항목에 대해서, 차량(1)을 적절히 운전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운전 평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운전 평가 장치여도 되고, 그 밖의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그 밖의 장치여도 된다.
배터리(20)는, 차량(1)에 탑재되어 있고, 차량(1)의 엔진 주변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 및 차량 탑재 장치(10)에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20)는, 차량(1)의 엔진 주변 장치 등에 전원을 공급함과 더불어, 차량 탑재 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의 기능 구성)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이용해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 장치(10)는, 서비스 제공부(11), 대기 시간 결정부(12), 상태 천이부(13), 및 설정 정보 기억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서비스 제공부(11)는,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이용자 U에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탑재 장치(10)의 서비스 제공부(11)는, 소정의 서비스로서 과금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소정의 과금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차량(1)에 대해서 과금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과금 기능을 서비스 제공 기능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부(11)는,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해서 차량(1)의 현재 위치를 특정하고, 현재 위치가 소정의 과금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과금 정보를 산출해서 과금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차량(1)의 엔진 정지 시에, 차량 탑재 장치(10)를 서비스 제공 기능으로서의 과금 기능이 기능하는 전원 ON 상태로부터 과금 기능이 정지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차량 탑재 장치(10)의 「전원 ON 상태」는, 「배터리(20)로부터 차량 탑재 장치(10)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고, 차량 탑재 장치(10)가 구비하는 서비스 제공 기능이 기능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차량 탑재 장치(10)의 「전력 절약 상태」는, 「배터리(20)의 충전 잔량의 소모의 방지를 목적으로 해서 차량 탑재 장치(10)의 소비하는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차량 탑재 장치(10)가 구비하는 서비스 제공 기능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력 절약 상태」는, 「배터리(20)로부터 차량 탑재 장치(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있는 전원 OFF 상태」와, 「차량 탑재 장치(10)가 구비하는 기능 중에서 일부의 기능(예를 들면, 통신 기능 등)에 대해서는 배터리(20)로부터 차량 탑재 장치(10)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지만, 그 이외의 기능에 대해서는 배터리(20)로부터 차량 탑재 장치(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의 양쪽의 의미를 포함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대기 시간을 랜덤으로 결정한다. 「대기 시간」은, 「차량(1)의 엔진 정지 시에, 차량 탑재 장치(10)가 전원 ON 상태로부터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의미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태 천이부(13)는, 차량(1)의 엔진이 정지하고 나서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차량 탑재 장치(10)를 전원 ON 상태로부터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대기 시간의 범위를, 예를 들면, 「5분부터 20분간(초 단위)」와 같이 소정의 범위에서 미리 규정해 두고, 대기 시간 결정부(12)가, 난수(亂數)를 발생시키는 함수를 이용해서 이 소정의 범위로부터 대기 시간을 랜덤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그 밖의 방식으로 대기 시간이 랜덤으로 결정되어도 된다. 대기 시간의 소정의 범위를, 예를 들면, 후술하는 설정 정보 기억부(14)에 기억해 두고, 대기 시간 결정부(12)가, 대기 시간 후보를 결정할 때에 설정 정보 기억부(14)로부터 소정의 범위를 취득해서 결정해도 된다.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후술하는 설정 정보 기억부(14)에 기억되어 있는 대기 시간을 결정한 대기 시간으로 덮어쓰기하는 것에 의해,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으로부터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태 천이부(13)는, 차량(1)의 엔진이 정지하고 나서 대기 시간의 경과 후, 차량 탑재 장치(10)를 전원 ON 상태로부터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태 천이부(13)는, 이그니션 회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엔진이 기동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이그니션 신호의 입력이 없어진 타이밍에 차량(1)의 엔진이 정지했다고 판단해서 경과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대기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에 이용하는 대기 시간은, 상태 천이부(13)가 후술하는 설정 정보 기억부(14)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상태 천이부(13)는, 대기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하면, 배터리(20)로부터 차량 탑재 장치(10)의 각 기능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차량 탑재 장치(10)를 전원 ON 상태로부터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한다.
설정 정보 기억부(14)는, 대기 시간 결정부(12)가 결정한 대기 시간을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설정 정보 기억부(14)는,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부(11)가 이용자 U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등, 그 밖의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의 동작의 처리 플로)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3을 이용해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용자 U가 차량(1)의 엔진을 기동하면(스텝 S101), 대기 시간 결정부(12)가 대기 시간을 랜덤으로 결정한다(스텝 S102).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예를 들면, 이그니션 회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엔진이 기동한 것을 나타내는 이그니션 신호가 입력된 타이밍에 차량(1)의 엔진이 기동했다고 판단하고, 대기 시간을 랜덤으로 결정해도 된다. 한편, 대기 시간 결정부(12)가 대기 시간을 랜덤으로 결정하는 타이밍은, 차량(1)의 엔진이 정지하기 전이면 그 밖의 타이밍에 행해져도 된다.
예를 들면,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소정의 대기 시간의 범위를 「5분부터 20분간(초 단위)」 등으로 규정해 두고, 난수를 발생시키는 함수를 이용해서 이 소정의 대기 시간의 범위 중에서 대기 시간을 랜덤으로 결정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대기 시간이 14분 43초로 결정된다.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결정한 대기 시간인 14분 43초로 설정 정보 기억부(14)에 기억되어 있는 대기 시간을 덮어쓰기하고,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으로부터 변경한다(스텝 S103).
이용자 U가 차량(1)을 운전하고, 예를 들면, 과금 에어리어의 근처에서 차량(1)의 엔진을 정지하면(스텝 S104), 상태 천이부(13)는, 차량(1)의 엔진이 정지하고 나서 대기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5). 상태 천이부(13)는, 예를 들면, 이그니션 회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엔진이 정지한 것을 나타내는 이그니션 신호의 입력이 없어진 타이밍에 차량(1)의 엔진이 정지했다고 판단해도 된다.
상태 천이부(13)는, 차량(1)의 엔진이 정지했다고 판단하면 경과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설정 정보 기억부(14)를 참조해서 설정 정보 기억부(14)에 기억되어 있는 대기 시간을 취득한다. 상태 천이부(13)는, 계측하고 있는 경과 시간이 취득한 대기 시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05의 NO)에는, 스텝 S105로 되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차량(1)의 엔진이 정지하고 나서 대기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105의 YES)에는, 배터리(20)로부터 차량 탑재 장치(10)의 각 기능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차량 탑재 장치(10)를 전원 ON 상태로부터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한다(스텝 S106). 이에 의해, 도 3에 나타내는 플로가 종료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의 대기 시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의 대기 시간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를 이용해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 탑재 장치(10)의 대기 시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차량(1)의 엔진의 상태와 차량 탑재 장치(10)의 상태의 관계가 시계열로 나타나 있다.
도 4에서는, 도면을 향해서 왼쪽에서 오른쪽을 향하면 시간이 경과하도록 기재되어 있다. 도 4의 상단은, 차량(1)의 엔진의 상태를 2단계(위의 위치 및 아래의 위치)로 나타낸 것이고, 위의 위치는 엔진이 기동된 상태인 ON를 나타내고, 아래의 위치는 엔진이 정지된 상태인 OFF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하단은, 차량(1)에 탑재된 차량 탑재 장치(10)의 상태를 2단계(위의 위치 및 아래의 위치)로 나타낸 것이고, 위의 위치는 차량 탑재 장치(10)의 전원 ON 상태를 나타내고, 아래의 위치는 차량 탑재 장치(10)의 전력 절약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경우, 차량(1)의 엔진이 4회 정지되어 있고, T0∼T3은, 4회의 엔진 정지 시에 있어서, 차량 탑재 장치(10)가 전원 ON 상태로부터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플로를 이용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의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이용자 U가 엔진을 기동할 때마다 랜덤으로 대기 시간을 결정하고,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으로부터 변경하고 있으므로, 도 4에 나타내는 경우에는,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 T0∼T3이 서로 상이한 시간으로 되어 있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가 구비하는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으로부터 변경한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는,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으로부터 변경할 수 있으므로, 차량(1)의 이용자 U가, 예를 들면, 단시간 내에서의 엔진 정지 및 엔진 기동을 반복하는 시행 착오를 하는 것에 의해, 대기 시간의 길이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차량(1)의 이용자 U가 고의로 차량(1)의 엔진을 정지시키고,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기다린 후에 엔진을 기동시키는 것에 의해 차량 탑재 장치(10)의 서비스 제공 기능을 기능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엔진 정지의 악용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엔진 정지의 악용」이란, 「엔진 정지에 의한 차량 탑재 장치(10)의 슬리프(sleep) 기능의 악용」을 의미한다. 「슬리프 기능」이란, 「차량(1)의 배터리의 충전 잔량의 고갈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량(1)의 엔진 정지 후, 차량 탑재 장치(10)를 전원 ON 상태로부터 서비스 제공 기능이 정지하는 전력 절약 상태(전원 OFF 상태를 포함함)로 이행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또,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대기 시간을 랜덤으로 결정한다.
이에 의해, 대기 시간이 불규칙하게 변경되어, 차량(1)의 이용자 U에 의한 대기 시간의 길이의 파악이 한층, 어려워진다. 따라서, 차량(1)의 이용자 U에 의한 엔진 정지의 악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5 및 도 6을 이용해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가 구비하는 각 구성 요소는,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가 구비하는 각 구성 요소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마찬가지로 기능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의 기능 구성)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단 정보 취득부(15) 및 판단 정보 기억부(16)를 더 구비하고 있다.
판단 정보 취득부(15)는, 엔진이 정지한 차량(1)에 관한 판단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판단 정보」는, 대기 시간 결정부(12)가 대기 시간을 결정할 때에 판단에 이용하는 차량(1)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판단 정보가, 소정의 판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차량(1)의 엔진의 재기동 횟수의 정보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판단 정보는 그 밖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판단 정보 취득부(15)는, 판단 정보 기억부(16)로부터 재기동 횟수의 정보를 판단 정보로서 취득하고, 대기 시간 결정부(12)에 입력한다.
판단 정보 기억부(16)는, 판단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판단 정보 기억부(16)는, 판단 정보로서 재기동 횟수의 정보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판단 정보 기억부(16)에는, 엔진의 기동된 시각(엔진 기동의 시각) 및 엔진의 정지된 시각(엔진 정지의 시각)이 재기동 횟수의 정보로서 기억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이그니션 회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이그니션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그 시각이 엔진의 기동된 시각으로서 판단 정보 기억부(16)에 기억되어도 된다. 또한, 이그니션 회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이그니션 신호의 입력이 없어진 경우에는, 그 시각이 엔진의 정지된 시각으로서 판단 정보 기억부(16)에 기억되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의 동작의 처리 플로)
도 6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는, 도 3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와는, 스텝 S102 대신에 스텝 S201∼S203의 처리가 행해지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용자 U가 차량(1)의 엔진을 기동하면(스텝 S101), 판단 정보 취득부(15)가 판단 정보로서 재기동 횟수를 취득한다(스텝 S201). 예를 들면, 판단 정보 취득부(15)는, 판단 정보 기억부(16)를 참조해서, 현재 시각까지의 소정의 판정 시간 동안에 연속하는 엔진 기동의 시각 및 엔진 정지의 시각의 쌍을 카운트해서 재기동 횟수로서 취득한다. 한편, 판단 정보 취득부(15)는, 현재 시각까지의 소정의 판정 시간 동안에 있어서의 엔진 기동의 시각 또는 엔진 정지의 시각의 한쪽만을 카운트해서 재기동 횟수로서 취득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판정 시간이 1시간인 경우에는, 판단 정보 취득부(15)는, 판단 정보 기억부(16)에 기억되어 있는 엔진 기동의 시각 및 엔진 정지의 시각 중부터, 현재 시각까지의 1시간 동안에 연속하는 엔진 기동의 시각 및 엔진 정지의 시각의 쌍을 카운트한다. 그리고, 엔진 기동의 시각 및 엔진 정지의 시각의 쌍이 3쌍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판단 정보 취득부(15)는 재기동 횟수를 3회로 취득한다. 한편, 소정의 판정 시간은, 임의의 시간이 미리 규정되어도 된다. 판단 정보 취득부(15)는, 취득한 재기동 횟수를 대기 시간 결정부(12)에 입력한다.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입력된 재기동 횟수가 소정의 판정 횟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2). 소정의 판정 횟수는, 미리 규정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소정의 판정 횟수가 3회이고, 소정의 판정 시간이 1시간인 경우에 대해서, 도 7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의 대기 시간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4와 마찬가지로, 차량(1)의 엔진의 상태와 차량 탑재 장치(10)의 상태의 관계가 시계열로 나타나 있다.
도 7에 있어서, tc가 현재 시각을 나타내고, 현재 시각 tc로부터 소정의 판정 시간 Td 전, 즉, 1시간 전의 시각이 tp로 나타나 있다. 또한, 도 4와 마찬가지로, T0∼T3은, 4회의 엔진 정지 시에 있어서, 차량 탑재 장치(10)가 전원 ON 상태로부터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경우에는, 시각 tp부터 현재 시각 tc까지의 1시간(소정의 판정 시간 Td) 동안에, 연속하는 엔진 기동의 시각 및 엔진 정지가 3회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대기 시간 결정부(12)에 입력되는 재기동 횟수는 3회가 된다. 이 경우에는,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입력된 재기동 횟수(이 예에서는 3회)가 소정의 판정 횟수(이 예에서는 3회) 이상이라고 판정하고(스텝 S202의 YES), 대기 시간 T3이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 T2보다 길어지도록 결정한다(스텝 S203). 예를 들면, 대기 시간이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보다, 미리 규정한 소정의 연장 시간(예를 들면, 5분)만큼 길어지도록 결정해도 되고, 그 이외의 방식으로 대기 시간을 길게 해도 된다.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결정한 대기 시간으로 설정 정보 기억부(14)에 기억되어 있는 대기 시간을 덮어쓰기하고,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으로부터 변경한다(스텝 S103). 이후, 도 3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의 플로 차트와 마찬가지로 해서 처리가 진행된다.
한편,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입력된 재기동 횟수가 소정의 판정 횟수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202의 NO), 스텝 S203 및 S103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고 스텝 S104의 처리로 진행된다. 즉,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입력된 재기동 횟수가 소정의 판정 횟수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대기 시간을 변경하지 않는다.
한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길게 하도록 결정한 대기 시간으로 변경하고 나서 소정의 적용 시간의 경과 후, 대기 시간을 변경 전의 대기 시간으로 되돌려도 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대기 시간 결정부(12)가, 설정 정보 기억부(14)에 기억되어 있는 대기 시간을 결정한 대기 시간으로 덮어쓰기할 때에, 덮어쓰기 전의 대기 시간을 변경 전의 대기 시간으로 해서 설정 정보 기억부(14)에 별도로 기억해 두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적용 시간은, 미리 규정되어 있어도 된다.
소정의 적용 시간이, 예를 들면, 1주간인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한다.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스텝 S202의 처리를 행하기 전에 설정 정보 기억부(14)를 참조해서, 마지막으로 설정 정보 기억부(14)에 기억된 대기 시간의 시각을 확인하고, 현재 시각과의 차가 1주간 이상인 경우에는, 별도로 기억해 둔 변경 전의 대기 시간으로 설정 정보 기억부(14)에 기억되어 있는 대기 시간을 덮어쓰기한다. 이에 의해, 대기 시간이 변경 전의 대기 시간으로 되돌려진다.
한편, 상기에서는, 소정의 적용 시간의 경과 후에 대기 시간을 변경 전의 대기 시간으로 되돌리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길게 하도록 결정한 대기 시간으로 변경하고 나서 소정의 적용 횟수만큼, 상기 전원 ON 상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이 행해진 후, 대기 시간을 변경 전의 대기 시간으로 되돌려도 된다. 소정의 적용 횟수는, 미리 규정되어 있어도 된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는, 엔진이 정지한 차량(1)에 관한 판단 정보를 취득하는 판단 정보 취득부(15)를 더 구비하고,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판단 정보에 기초해서 대기 시간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는, 엔진이 정지한 차량(1)에 관한 판단 정보에 기초해서, 대기 시간을 결정하므로, 당해 판단 정보로부터, 차량(1)의 이용자 U가, 차량(1)의 엔진 정지를 악용하고자 하는 조작을 했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고, 차량(1)의 이용자 U가 조작을 한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대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또, 판단 정보는 소정의 판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차량(1)의 엔진의 재기동 횟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재기동 횟수가 소정의 판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결정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단기간에 차량(1)의 엔진 정지 및 엔진 기동을 반복해서 빈번하게 엔진 정지 또는 기동을 행하고, 엔진 정지의 악용을 노리는 이용자 U에 대해서는, 대기 시간을 길게 해서 악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우연히 차량(1)의 엔진 정지 및 엔진 기동을 반복한 이용자 U에 대해서는, 대기 시간을 길게 변경하지 않고 배터리(20)의 충전 잔량의 소모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결정한 대기 시간으로 변경하고 나서 소정의 적용 시간의 경과 후, 대기 시간을 변경 전의 대기 시간으로 되돌린다.
이에 의해, 악용의 방지 대응이 필요한 소정의 적용 시간 동안만으로 한정해서 대기 시간을 변경하는 대응을 적절히 적용할 수 있어, 차량(1)의 이용자 U에 의한 엔진 정지의 악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초에는 고의로 엔진 정지의 악용을 노리고 있던 이용자 U이더라도, 그 후에 악용을 노리지 않게 된 경우에는, 대기 시간을 길게 하는 대응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우연히 차량(1)의 엔진 정지 및 엔진 기동을 반복한 이용자 U에 대해서 잘못하여 대기 시간을 길게 하는 대응이 행해진 경우에, 소정의 적용 시간의 경과 후에, 잘못한 대응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대기 시간 결정부는, 결정한 대기 시간으로 변경하고 나서 소정의 적용 횟수만큼, 전원 ON 상태로부터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이 행해진 후, 대기 시간을 변경 전의 대기 시간으로 되돌린다.
이에 의해, 악용의 방지 대응이 필요한 소정의 적용 횟수만큼으로 한정해서 대기 시간을 변경하는 대응을 적절히 적용할 수 있어, 차량(1)의 이용자 U에 의한 엔진 정지의 악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초에는 고의로 엔진 정지의 악용을 노리고 있던 이용자 U이더라도, 그 후에 악용을 노리지 않게 된 경우에는, 대기 시간을 길게 하는 대응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우연히 차량(1)의 엔진 정지 및 엔진 기동을 반복한 이용자 U에 대해서 잘못하여 대기 시간을 길게 하는 대응이 행해진 경우에, 소정의 적용 시간의 경과 후에, 잘못한 대응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횟수에 기초해서 대응의 해제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에 기초해서 대응의 해제를 행하는 경우보다도 짧은 시간에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
도 8은,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판단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제 1 설명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판단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제 2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8∼도 10을 이용해서,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가 구비하는 각 구성 요소는,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가 구비하는 각 구성 요소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마찬가지로 기능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판단 정보)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의 판단 정보 기억부(16)는, 판단 정보로서 도 8에 나타내는 과금 맵 정보 및 도 9에 나타내는 과금 시간대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과금 맵 정보는 소정의 위치의 정보이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1)이 주행하는 지도의 정보인 지도 정보 M과, 지도 정보 M 내에 설정된 각 과금 에어리어(예를 들면, A1, A2,…)의 위치의 정보를 포함한다.
과금 시간대 정보는 소정의 시간대의 정보이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도 정보 M 상에 설정된 각 과금 에어리어와 과금 개시 시각 및 과금 종료 시각을 관련지은 정보이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판단 정보의 1행째는, 과금 에어리어 A1을 통행하는 차량(1)에 대해서, 과금 개시 시각 「07:00:00」부터 과금 종료 시각 「18:00:00」까지 사이의 시간대 「07:00:00∼18:00:00」는 통행 요금이 과금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과금 시간대 정보에는, 예를 들면, 각 과금 에어리어에 대해서, 과금되는 요일, 및 과금되는 주기(매일, 또는 1일 간격 등), 그 밖의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제 1 변형예에서는, 판단 정보 취득부(15)는, 판단 정보 기억부(16)로부터 소정의 위치의 정보(과금 맵 정보) 및 소정의 시간대의 정보(과금 시간대 정보)를 판단 정보로서 취득하고, 대기 시간 결정부(12)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의 동작의 처리 플로)
도 10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는, 도 6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와는, 스텝 S201 및 202 대신에 스텝 S301∼S303의 처리가 행해지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용자 U가 차량(1)의 엔진을 기동하면(스텝 S101), 판단 정보 취득부(15)가 판단 정보로서 소정의 위치의 정보(과금 맵 정보) 및 소정의 시간대의 정보(과금 시간대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301). 판단 정보 취득부(15)는, 판단 정보 기억부(16)를 참조해서, 판단 정보 기억부(16)에 기억되어 있는 과금 맵 정보 및 과금 시간대 정보를 취득한다. 판단 정보 취득부(15)는, 취득한 과금 맵 정보 및 과금 시간대 정보를 대기 시간 결정부(12)에 입력한다.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차량(1)의 현재 위치가 입력된 과금 맵 정보에 포함되는 소정의 위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2). 차량(1)의 현재 위치는, 예를 들면,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해서 차량(1)의 현재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부(11)로부터 대기 시간 결정부(12)에 입력되어도 된다. 또한, 별도로, 차량(1)의 현재 위치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위치 취득부를 마련하고, 위치 취득부로부터 대기 시간 결정부(12)에 입력해도 된다.
예를 들면, 차량(1)의 현재 위치가, 도 8에 나타내는 소정의 위치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과금 에어리어 A1)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차량(1)의 현재 위치가 소정의 위치라고 판정하고(스텝 S302의 YES), 처리는, 다음의 스텝 S303으로 진행된다. 한편, 차량(1)의 현재 위치가, 도 8에 나타내는 소정의 위치 중 어느 하나와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차량(1)의 현재 위치가 소정의 위치가 아니라고 판정하고(스텝 S302의 NO), 스텝 S303, S203, 및 S103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고 스텝 S104의 처리로 진행된다. 즉,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차량(1)의 현재 위치가 소정의 위치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대기 시간을 변경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현재 시각이 입력된 과금 시간대 정보가 나타내는 과금 시간대(소정의 시간대)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3). 예를 들면, 현재 시각이 「10:00:00」이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과금 에어리어 A1에 대한 과금 시간대(소정의 시간대)인 「07:00:00∼18:00:00」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현재 시각이 소정의 시간대에 포함된다고 판정하고(스텝 S303의 YES), 처리는, 다음의 스텝 S203으로 진행된다. 즉, 제 2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대기 시간이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결정하고(스텝 S203),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으로부터 변경한다(스텝 S103). 이후, 도 6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의 경우의 플로 차트와 마찬가지로 해서 처리가 진행된다.
한편, 예를 들면, 현재 시각이 「19:00:00」이고, 과금 에어리어 A1에 대한 과금 시간대(소정의 시간대)인 「07:00:00∼18:00:00」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현재 시각이 소정의 시간대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정하고(스텝 S303의 NO), 스텝 S203 및 S103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고 스텝 S104의 처리로 진행된다. 즉,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현재 시각이 소정의 시간대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대기 시간을 변경하지 않는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에 있어서는, 판단 정보는 소정의 위치의 정보를 포함하고,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차량(1)의 현재 위치가 소정의 위치인 경우에,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는, 차량(1)의 현재 위치가 소정의 위치인 경우에, 대기 시간을 길게 하도록 결정해서 변경하므로, 차량(1)의 현재 위치가 악용의 방지 대응이 필요한 소정의 위치인 경우에 대기 시간의 변경을 적용할 수 있어, 차량(1)의 이용자 U에 의한 엔진 정지의 악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차량(1)이, 예를 들면, 과금 에어리어 등, 차량(1)의 엔진 정지의 악용을 방지할 필요성이 높은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대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이, 예를 들면, 과금 에어리어 외 등, 차량(1)의 엔진 정지의 악용을 방지할 필요성이 낮은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대기 시간을 길게 변경하지 않고 배터리(20)의 충전 잔량의 소모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에 있어서는, 판단 정보는 소정의 시간대의 정보를 포함하고,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현재 시각이 소정의 시간대에 포함되는 경우에,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는, 현재 시각이 소정의 시간대에 포함되는 경우에, 대기 시간을 길게 하도록 결정해서 변경하므로, 현재 시각이 악용의 방지 대응이 필요한 소정의 시간대에 포함되는 경우에 대기 시간의 변경을 적용할 수 있어, 차량(1)의 이용자 U에 의한 엔진 정지의 악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과금 시간대 등, 차량(1)의 엔진 정지의 악용을 방지할 필요성이 높은 시간대에만, 대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과금 시간대 외 등, 차량(1)의 엔진 정지의 악용을 방지할 필요성이 낮은 시간대에는, 대기 시간을 길게 변경하지 않고 배터리(20)의 충전 잔량의 소모를 회피할 수 있다.
전술한 제 2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의하면, 판단 정보가, 재기동 횟수의 정보, 소정의 위치의 정보(과금 맵 정보), 및 소정의 시간대의 정보(과금 시간대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해 왔지만, 판단 정보는 이들의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대기 시간 결정부(12)가 대기 시간을 결정할 때에 판단에 이용하는 차량(1)에 관한 정보이면 어떠한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면, 판단 정보는, 차량(1)의 가속도 및 각속도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차량(1)의 가속도 및 각속도의 정보는, 차량(1)이 바이크인 경우에 매우 유효하고, 바이크가 정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탑재 장치(10)에 차량(1)의 가속도 및 각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마련하고, 판단 정보 취득부(15)가 측정부로부터 가속도 및 각속도의 정보를 취득하고, 대기 시간 결정부(12)에 입력하도록 구성하고,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가속도 및 각속도에 기초해서, 대기 시간을 결정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미리 정한 소정의 시간 계속해서 차량(1)의 가속도 및 각속도가 미리 정한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조건을 만족시키기까지, 대기 시간이 경과하지 않도록 대기 시간을 결정해도 된다. 이것은, 바이크 등의 차량(1)이, 엔진이 정지한 상태에서 이동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차체가 정지하고 있으므로, 가속도 및 각속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하로 되는 것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편, 바이크 등의 차량(1)이, 엔진이 정지한 상태에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차체가 움직여서 가속도 및 각속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하로 되지 않는 것이 상정된다. 예를 들면, 대기 시간 결정부(12)가, 대기 시간을 최초로 매우 큰 대기 시간으로 결정해서 변경해 두고, 다음으로, 소정의 시간 계속해서 차량(1)의 가속도 및 각속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상태 천이부(13)에 대하여, 이행이 지시를 내리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차량(1)의 가속도 및 각속도가, 악용의 방지 대응이 불필요한 상황을 나타내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기까지, 대기 시간의 변경을 적용할 수 있어, 차량(1)의 이용자 U에 의한 엔진 정지의 악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바이크 등의 차량(1)에 대해서도 적절히 엔진 정지의 악용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11을 이용해서,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가 구비하는 각 구성 요소는, 특별히 언급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가 구비하는 각 구성 요소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마찬가지로 기능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의 기능 구성)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리 서버(2)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17)를 더 구비하고 있다.
관리 서버(2)는, 소정의 위치의 정보(과금 맵 정보) 및 소정의 시간대의 정보(과금 시간대 정보) 등의 판단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또, 관리 서버(2)는,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고 있어도 된다.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각 과금 에어리어에 대해서 규정된, 대기 시간을 길게 하는 경우의 소정의 연장 기간 등이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판단 정보 취득부(15)는, 도 10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플로 차트의 스텝 S301의 처리에 있어서, 판단 정보 취득부(15)는, 판단 정보 기억부(16)를 참조하는 대신에, 통신부(17)를 통해서 관리 서버(2)와 통신하고, 관리 서버(2)로부터 소정의 위치의 정보(과금 맵 정보) 및 소정의 시간대의 정보(과금 시간대 정보) 등의 판단 정보를 취득해서 대기 시간 결정부(12)에 입력한다.
한편, 판단 정보 취득부(15)는, 판단 정보의 일부를 관리 서버(2)로부터 취득하고, 다른 판단 정보를 판단 정보 기억부(16)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스텝 S203의 처리를 행할 때에, 대기 시간 결정부(12)는, 예를 들면, 결정하는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를 관리 서버(2)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대기 시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해서 대기 시간을 결정해도 된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에 있어서는, 판단 정보 취득부(15)는, 관리 서버(2)로부터 판단 정보를 취득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차량 탑재 장치(10)는, 판단 정보 취득부(15)가 차량 탑재 장치(10)의 외부에 있는 관리 서버(2)로부터 판단 정보를 취득하므로, 관리 서버(2)에서 갱신된 최신의 판단 정보에 기초해서 대기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1)의 엔진 정지의 악용을 방지할 필요성이 높은 장소 및 시간 등의 조건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대기 시간을 변경하는 대응을 행할 수 있다. 또, 관리 서버(2)로부터 판단 정보를 취득하므로, 차량 탑재 장치(10)의 판단 정보 기억부(16)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양을 저감해서 차량 탑재 장치(10)의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적어도 1개의 실시형태에 따른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럭도이다.
컴퓨터(9)는, CPU(91), 주기억 장치(92), 보조 기억 장치(93), 인터페이스(94)를 구비한다.
전술의 차량 탑재 장치(10)는, 컴퓨터(9)를 구비한다. 그리고, 전술한 각 처리부의 동작은,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보조 기억 장치(93)에 기억되어 있다. CPU(91)는, 프로그램을 보조 기억 장치(93)로부터 판독해서 주기억 장치(92)에 전개하고, 당해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기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서비스 제공부(11), 대기 시간 결정부(12), 상태 천이부(13), 판단 정보 취득부(15) 및 통신부(17)는, CPU(91)여도 된다.
또한, CPU(91)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전술한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을 주기억 장치(92) 또는 보조 기억 장치(93)에 확보한다. 예를 들면, 전술의 차량 탑재 장치(10)의 설정 정보 기억부(14) 및 판단 정보 기억부(16)가 보조 기억 장치(93)에 확보되어도 된다.
보조 기억 장치(93)의 예로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ROM(Digital Versatile Disc Read Only Memory), 반도체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보조 기억 장치(93)는, 컴퓨터(9)의 버스에 직접 접속된 내부 미디어여도 되고, 인터페이스(94) 또는 통신 회선을 통해서 컴퓨터(9)에 접속되는 외부 미디어여도 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이 통신 회선에 의해서 컴퓨터(9)에 전달되는 경우, 전달을 받은 컴퓨터(9)가 당해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92)에 전개하고, 상기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적어도 1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조 기억 장치(93)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의 기억 매체이다.
또한, 당해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된다. 또, 당해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을 보조 기억 장치(93)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다른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되는 것, 이른바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의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실시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전술의 차량 탑재 장치, 대기 시간 관리 방법, 및 대기 시간 관리 프로그램에 의하면, 차량의 엔진 정지 시에 서비스 제공 기능이 정지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변경할 수 있어, 차량의 이용자에 의한 악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차량
2: 관리 서버
9: 컴퓨터
10: 차량 탑재 장치
11: 서비스 제공부
12: 대기 시간 결정부
13: 상태 천이부
14: 설정 정보 기억부
15: 판단 정보 취득부
16: 판단 정보 기억부
17: 통신부
20: 배터리
91: CPU
92: 주기억 장치
93: 보조 기억 장치
94: 인터페이스
M: 지도 정보
A1, A2: 과금 에어리어
T0∼T3: 대기 시간
Td: 소정의 판정 시간
tc, tp: 시각
U: 이용자

Claims (11)

  1. 차량의 엔진 정지 시에, 차량 탑재 장치를 서비스 제공 기능이 기능하는 전원 ON 상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 기능이 정지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결정하는 대기 시간 결정부와,
    상기 차량의 엔진이 정지하고 나서 상기 대기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차량 탑재 장치를 상기 전원 ON 상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상태 천이부
    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는, 상기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으로부터 변경하는
    차량 탑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는, 상기 대기 시간을 랜덤으로 결정하는
    차량 탑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엔진이 정지한 상기 차량에 관한 판단 정보를 취득하는 판단 정보 취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는, 상기 판단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대기 시간을 결정하는
    차량 탑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정보는 소정의 판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차량의 엔진의 재기동 횟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는, 상기 재기동 횟수가 소정의 판정 횟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결정하는
    차량 탑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는, 결정한 상기 대기 시간으로 변경하고 나서 소정의 적용 시간의 경과 후, 상기 대기 시간을 변경 전의 대기 시간으로 되돌리는 차량 탑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는, 결정한 상기 대기 시간으로 변경하고 나서 소정의 적용 횟수만큼, 상기 전원 ON 상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이 행해진 후, 상기 대기 시간을 변경 전의 대기 시간으로 되돌리는 차량 탑재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정보는 소정의 위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가 상기 소정의 위치인 경우에, 상기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결정하는
    차량 탑재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정보는 소정의 시간대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는, 현재 시각이 상기 소정의 시간대에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보다 길어지도록 결정하는
    차량 탑재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정보는 상기 차량의 가속도 및 각속도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는, 소정의 시간 계속해서 상기 가속도 및 상기 각속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조건을 만족시키기까지, 상기 대기 시간이 경과하지 않도록 상기 대기 시간을 결정하는
    차량 탑재 장치.
  10. 차량의 엔진 정지 시에, 차량 탑재 장치를 서비스 제공 기능이 기능하는 전원 ON 상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 기능이 정지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결정하는 대기 시간 결정 스텝과,
    상기 차량의 엔진이 정지하고 나서 상기 대기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차량 탑재 장치를 상기 전원 ON 상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상태 천이 스텝
    을 구비하고,
    상기 대기 시간 결정 스텝은, 상기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으로부터 변경하는 대기 시간 관리 방법.
  11. 차량 탑재 장치로서의 컴퓨터를,
    차량의 엔진 정지 시에, 상기 차량 탑재 장치를 서비스 제공 기능이 기능하는 전원 ON 상태로부터 상기 서비스 제공 기능이 정지하는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결정하는 대기 시간 결정부와,
    상기 차량의 엔진이 정지하고 나서 상기 대기 시간의 경과 후, 상기 차량 탑재 장치를 상기 전원 ON 상태로부터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는 상태 천이부
    로서 기능하게 하는 대기 시간 관리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대기 시간 결정부는, 상기 대기 시간을 전회의 엔진 정지 시의 대기 시간으로부터 변경하는 대기 시간 관리 프로그램.
KR1020207018014A 2017-12-27 2017-12-27 차량 탑재 장치, 대기 시간 관리 방법, 및 대기 시간 관리 프로그램 KR102411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46941 WO2019130478A1 (ja) 2017-12-27 2017-12-27 車載装置、待ち時間管理方法、及び待ち時間管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221A true KR20200090221A (ko) 2020-07-28
KR102411762B1 KR102411762B1 (ko) 2022-06-22

Family

ID=6706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014A KR102411762B1 (ko) 2017-12-27 2017-12-27 차량 탑재 장치, 대기 시간 관리 방법, 및 대기 시간 관리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10469B2 (ko)
JP (1) JP6997804B2 (ko)
KR (1) KR102411762B1 (ko)
GB (1) GB2583607B (ko)
SG (1) SG11202006043XA (ko)
WO (1) WO20191304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1869B1 (en) * 2023-03-14 2024-04-09 Rivian Ip Holdings, Llc Preserving battery energy during a prolonged period of vehicle inactivit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2405A (ja) * 2005-10-17 2007-05-10 Manabu Suzuki 車両盗難防止装置
JP2010204756A (ja) 2009-02-27 2010-09-16 Mitsubishi Heavy Ind Ltd 課金システム、課金方法、外部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5049629A (ja) 2013-08-30 2015-03-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運行管理システム、運行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222105A (ja) * 2015-05-29 2016-12-2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載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0099C2 (de) * 1993-03-23 1997-09-04 Mannesmann Ag Einrichtung zur Identifizierung von Wegstrecken
US5694322A (en) * 1995-05-09 1997-12-02 Highwaymaster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ax of a vehicle
JP3345576B2 (ja) * 1998-01-08 2002-11-18 モトール自動車株式会社 原動機の変速制御装置
KR20010034333A (ko) * 1998-01-23 2001-04-25 와다 아끼히로 과금처리장치, 과금처리시스템, 및 과금처리용 카드
EP1120749B1 (en) * 1998-10-09 2012-11-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harging device
JP3478193B2 (ja) * 1999-05-24 2003-1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監視装置
JP3791314B2 (ja) * 2000-09-14 2006-06-2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装置、及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5032180B2 (ja) * 2007-03-31 2012-09-26 渉 堀川 エコドライブ支援装置、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エコドライブ支援プログラム
JP2009043160A (ja) * 2007-08-10 2009-02-26 Denso Corp 車載器
US9208626B2 (en) * 2011-03-31 2015-12-08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gmenting operational data
JP2017102918A (ja) * 2015-11-20 2017-06-08 アサヒリサーチ株式会社 ドライブレコーダ
JPWO2017111127A1 (ja) * 2015-12-23 2018-11-08 京セラ株式会社 サーバ装置、車両制御装置、および通信装置
US10328944B2 (en) * 2017-04-04 2019-06-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ctive engine mount diagnostics
US11037383B2 (en) * 2017-10-31 2021-06-15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achinery Systems, Ltd. Vehicle mounted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2405A (ja) * 2005-10-17 2007-05-10 Manabu Suzuki 車両盗難防止装置
JP2010204756A (ja) 2009-02-27 2010-09-16 Mitsubishi Heavy Ind Ltd 課金システム、課金方法、外部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5049629A (ja) 2013-08-30 2015-03-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運行管理システム、運行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222105A (ja) * 2015-05-29 2016-12-2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載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762B1 (ko) 2022-06-22
US11410469B2 (en) 2022-08-09
GB2583607B (en) 2022-04-13
GB2583607A (en) 2020-11-04
GB202009941D0 (en) 2020-08-12
WO2019130478A1 (ja) 2019-07-04
US20210074086A1 (en) 2021-03-11
SG11202006043XA (en) 2020-07-29
JPWO2019130478A1 (ja) 2020-12-10
JP6997804B2 (ja)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4524B2 (ja) 地点登録装置
US875107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battery pulse heating mode of a traction battery of a hybrid vehicle
RU2706632C2 (ru) Способ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работ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4611121B2 (ja) 車載バッテリ監視装置とその電流センサのオフセット値補正方法
JP5719033B2 (ja) 自動車のための情報を取り出す方法
EP3530538B1 (en)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method
KR102368602B1 (ko) 차량 및 그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US20130332054A1 (en) Stop/start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of same
KR20150026914A (ko) 에너지 저장 장치의 전기 재생 방법
JP201603728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777648B2 (en) Electronic controller
CN106499528A (zh) 怠速停止控制装置及其方法
KR20200090221A (ko) 차량 탑재 장치, 대기 시간 관리 방법, 및 대기 시간 관리 프로그램
FR3045545A1 (fr) Dispositif d’aide a la conduite
CN108952979A (zh) 一种发动机控制方法及装置
KR101062720B1 (ko) 자동차 순간 연비 표시 방법
JP5232629B2 (ja) 車両運転ログ処理システムと車両運転ログ処理プログラム
US2023018669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N113525294B (zh) 搭载于车辆的控制装置、车辆、车辆的控制方法和车辆管理系统
JP7042848B2 (ja) 車載装置、車両、衛星軌道情報のダウンロード方法、及び衛星軌道情報のダウンロードプログラム
JP7013518B2 (ja) 通信装置、車両および車両管理システム
JP7167178B2 (ja) 車載装置、車両、切断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289593A (ja) 電子ナンバープレート通信システムと電子ナンバープレート通信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電子ナンバープレート
EP2876013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engine control unit of a vehicle and corresponding apparatus
CN116176551A (zh) 控制车辆的发动机启停功能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