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737A - 전동 장치 및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 장치 및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737A
KR20200089737A KR1020207018402A KR20207018402A KR20200089737A KR 20200089737 A KR20200089737 A KR 20200089737A KR 1020207018402 A KR1020207018402 A KR 1020207018402A KR 20207018402 A KR20207018402 A KR 20207018402A KR 20200089737 A KR20200089737 A KR 20200089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rotational speed
speed
determin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500B1 (ko
Inventor
유키 후지타
슌스케 바바
šœ스케 바바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9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5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6Serie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5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 B60W20/17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for 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40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prime movers, e.g. for transition between prime 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92Mitigating problems related to power-up or power-down of the driveline, e.g. start-up of a cold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stopping the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20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 B60W2030/206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related or induced by the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38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510/081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05Throttl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44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710/081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710/08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92Power-up or power-down of the driveline, e.g. start up of a cold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60Control of electric machines, e.g. problems related to electric motors or generators
    • B60Y2300/65Reduce shocks on mode change, e.g. during engine shut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1Engin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18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 F02D2250/24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by using an external load, e.g. a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1/001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8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id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연 기관 및 내연 기관을 구동하는 전동기를 구비하는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내연 기관은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한 판정 시점에서의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는 스텝(S4)과,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판정 시점에서의 회전수보다 일시적으로 높게 하는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하는 스텝(S5)을 포함하고,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판정 시점에서의 회전수보다 높게 하는 일없이 저하시켜 내연 기관을 정지시킨다.

Description

전동 장치 및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을 갖는 전동 장치 및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엔진 등의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전동기가 발생하는 토크에 의해 제어 가능한 전동 장치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채용한 자동차 등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엔진을 정지할 때, 동력 분할 기구와 엔진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에 마련된 클러치를 개방시킴과 함께 모터로의 통전을 멈춤으로써, 전력 소비량을 억제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8266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엔진의 회전수가 저하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엔진의 정지 제어를 금지하는 것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정지 동작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수가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 엔진의 회전수가 낮은 상태에서의 정지 조작에 의해, 회전수가 상승한 후에 엔진이 정지한다. 이 때문에, 진동이나 동작음의 변화 등에 의한 위화감이 운전자에게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내연 기관의 정지 동작에 기인하는 위화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전동 장치 및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은, 내연 기관은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한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판정 시점에서의 회전수보다 일시적으로 높게 하는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하고,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판정 시점에서의 회전수보다 높게 하는 일 없이 저하시키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관한 전동 장치는, 내연 기관은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한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판정 시점에서의 회전수보다 일시적으로 높게 하는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하고,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판정 시점에서의 회전수보다 높아지는 일 없이 저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관한 전동 장치는, 내연 기관이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된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상승하고,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단조롭게 감소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연 기관의 정지 동작에 기인하는 위화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전동 장치 및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회전수 상승 제어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내연 기관의 정지 동작에 기인하는 위화감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판정 시점에 있어서의 회전수와 임계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내연 기관의 회전수와 정지 조작된 시각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케이스 1).
도 6은 내연 기관의 회전수와 정지 조작된 시각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케이스 2).
도 7은 내연 기관의 회전수와 정지 조작된 시각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케이스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장치에 있어서의 내연 기관의 회전수와 정지 조작된 시각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부스트 발달 기점의 회전수를 변화시킨 조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회전수 제어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아이들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장치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연 기관(10)과, 내연 기관(10)을 구동하는 전동기(20)와, 컨트롤러(30)를 구비한다. 또한, 전동 장치는, 입력 장치(40)와 회전수 검출 장치(50)를 구비한다. 컨트롤러(30)에 의한 처리를 설정하는 처리 신호가, 입력 장치(40)를 통하여 컨트롤러(30)에 송신된다. 또한, 회전수 검출 장치(50)에 의해 검출된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컨트롤러(30)에 송신된다.
컨트롤러(30)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 S에 의해, 내연 기관(10)을 구동하기 위해 전동기(20)가 내연 기관(10)에 출력하는 토크 T가 제어된다. 이에 의해, 내연 기관(10)의 회전수가 설정된다. 도 1에 도시한 전동 장치는, 예를 들어 내연 기관(10)인 엔진과 전동기(20)인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 발생 시스템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컨트롤러(30)는, 내연 기관(10)은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한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을 판정 시점에서의 회전수보다 일시적으로 높게 하는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한다. 한편,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컨트롤러(30)는 회전수 상승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즉, 회전수 R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은 판정 시점에서의 회전수보다 높아지는 일 없이 저하되어, 내연 기관(10)은 정지한다.
도 2에, 컨트롤러(30)가 실행하는 회전수 상승 제어의 예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회전수 상승 제어에서는,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회전수 R1에서부터 회전수 R2까지 상승한다. 그 후, 회전수 R은 점차 저하되어, 내연 기관(10)은 회전 정지 상태가 된다. 회전수 상승 제어에 있어서, 내연 기관(10)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컨트롤러(30)가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연 기관(10)에 대한 회전수 상승 제어는, 전동 장치의 진동의 저감 등에 유효하다. 이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즉, 내연 기관(10)의 실린더 내의 공기량이 증가하면, 전동기(20)에 의해 회전시키려고 하는 외력에 대해, 내연 기관(10)의 출력에 관하여, 압축 행정에서는 반발력이 커지고, 반대로 팽창 행정에서는 원상태로 돌리려고 하는 반발력이 커진다. 이 반발력의 크기가 내연 기관(10)의 고정 부재에 전해져, 진동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실린더 내의 압력을 해방하기 위해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을 일시적으로 높게 하는(이하에 있어서 「부스트 발달」이라고 함.) 것에 의해, 부압을 발생시켜, 전동 장치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전동기(20)를 제어하고, 예를 들어 내연 기관(10)의 회전수를 목표 회전수와 일치시키는 회전수 일치 제어에 의해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회전수 일치 제어에 의해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을 완만하게 상승시킴으로써, 내연 기관(10)의 동작음에 대한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다. 스로틀을 폐쇄한 채 회전수 R을 상승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실린더 내의 압력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정지 상태가 될 때까지 컨트롤러(30)에 의해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을 제어함으로써, 상승된 회전수 R을 완만하게 저하시켜, 내연 기관(10)의 동작음에 대한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내연 기관(10)을 정지시키는 정지 명령을 수신한 경우 등에, 내연 기관(10)은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예를 들어, 전동 장치의 조작자에 의한 정지 요구 조작에 기초하여, 내연 기관(10)은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즉, 도 1에 도시한 전동 장치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 발생 시스템의 일부로서 사용되는 경우, 운전자가 내연 기관(10)의 정지 요구 조작을 함으로써, 입력 장치(40)를 통하여 내연 기관(10)의 정지 명령 D를 컨트롤러(30)는 수신한다. 이에 따라 정지 요구 조작을 검지한 컨트롤러(30)가,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과 임계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할지 여부를 선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낮은 회전수로부터의 부스트 발달에 의해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위화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예를 들어,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의 의도하지 않은 저하가 생기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회전수 상승 제어가 행해진 경우 등에, 위화감이 생긴다. 특히, 조작자에 의한 정지 요구 조작 후에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낮은 회전수로부터 상승한 경우는, 정지 요구 조작을 수반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강한 위화감이 생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회전수 특성 C11과 같이 회전수 R11로부터 회전수 R을 상승시켜도 위화감은 생기지 않지만, 회전수 특성 C12와 같이 회전수 R11보다 낮은 회전수 R12로부터 회전수 R을 상승시키면 위화감이 생긴다.
이에 반하여, 도 1에 도시한 전동 장치에서는, 컨트롤러(30)가 내연 기관(10)은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한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만,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한다. 회전수 R의 임계값은, 그 임계값보다 높은 회전수로부터 회전수 R을 상승시킨 경우에는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 회전수로 설정된다.
그리고,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회전수 상승 제어는 실행되지 않는다. 즉, 판정 시점으로부터 회전수 R은 상승하지 않고 단조롭게 저하된다. 따라서, 내연 기관(10)의 정지 동작에 기인하여 위화감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작자에 의한 정지 요구 조작 후에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낮은 회전수로부터 상승하는 것에 따른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전동 장치는, 도 4에 도시하는 회전수 특성 Cj1과 같이 판정 시점 tj에 있어서의 회전수 R이 임계값 Rj보다 높은 경우에,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한다. 한편, 회전수 특성 Cj2와 같이 판정 시점 tj에 있어서의 회전수 R이 임계값 Rj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회전수 상승 제어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컨트롤러(30)에 의한 회전수 R의 제어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타성으로 회전수 R을 저하시킴으로써, 내연 기관(10)을 빠르게 정지시킬 수 있다.
단,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컨트롤러(30)에 의한 회전수 제어에 의해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을 저하시켜, 내연 기관(10)을 정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도, 회전수 R에 대해 회전수 일치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회전수 특성 Cj3과 같이 타성에 의한 경우에는 회전수 R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경우에, 회전수 R을 완만하게 저하시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 연료 고갈 등에 의해 내연 기관(10)에 연료가 공급되지 않아,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의도하지 않게 낮아지는 경우에 대해, 도 1에 도시한 전동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에 대해 소정의 최저 회전수 조건이 성립하는 경우에, 전동기(20)를 동작시키는 전력의 공급을 강제적으로 차단하는 제어(이하에서 「전력 차단 제어」라고 함)를 행하는 전동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전력 차단 제어에 의해, 전동기(20)에 의한 내연 기관(10)의 구동이 정지한다. 여기서, 최저 회전수 조건은, 소정의 최저 회전수 R0(예를 들어 50rpm정도) 이하의 회전수가 일정 판정 시간 Ts(예를 들어 3초 정도)에 걸쳐 연속된 경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에, 연료 고갈에 의해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의도하지 않게 낮아진 케이스에 대해,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과, 내연 기관(10)에 대한 정지 조작(이하에서 간단히 「정지 조작」이라고 함)이 된 시각 tf의 관계를 나타낸다. 또한, 최저 회전수 조건은, 최저 회전수 R0으로 저하된 시각 t2로부터 판정 시간 Ts를 경과한 시각 t3까지에 걸쳐,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최저 회전수 R0 이하인 경우에 성립한다. 또한, 연료 고갈 판정 회전수 Rs보다 저하된 시각 t1 내지 소정의 연료 고갈 판정 시간 Tstp을 경과한 시각 t4까지, 회전수 R이 연료 고갈 판정 회전수 Rs보다 낮은 경우에, 컨트롤러(30)가 내연 기관(10)은 연료 고갈이라고 판정한다. 예를 들어, 회전수 R이 1000rpm 이하인 상태가 10초간 계속된 경우에, 내연 기관(10)은 연료 고갈이라고 판정된다.
도 5에 도시한 케이스 1에서는, 회전수 R이 최저 회전수 R0으로 저하된 시각 t2 후, 판정 시간 Ts가 경과하기 전에, 정지 조작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을 상승시키는 제어 신호 S가 컨트롤러(30)로부터 전동기(20)에 송신된다. 이에 의해, 회전수 상승 제어에 의해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상승한다. 그 결과, 낮은 회전수로부터의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상승에 의해, 위화감이 발생한다.
도 6에 도시한 케이스 2에서는, 회전수 R이 최저 회전수 R0으로 저하된 시각 t2로부터 판정 시간 Ts가 경과한 시각 t3보다 후에, 정지 조작되어 있다. 즉, 최저 회전수 조건이 성립된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30)가 회전수 R을 상승시키는 제어 신호 S를 전동기(20)에 송신해도, 전동기(20)에 대한 제어가 무효로 된다. 따라서, 전동기(20)는 내연 기관(10)에 토크 T를 출력하지 않아,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은 제어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한 케이스 3에서는, 회전수 R이 최저 회전수 R0으로 저하된 시각 t2로부터 판정 시간 Ts가 경과하고, 또한 연료 고갈 판정되는 시각 t4를 지난 후에, 정지 조작되어 있다. 연료 고갈 판정 후에서의 정지 조작이기 때문에, 컨트롤러(30)로부터는 회전수 R을 상승시키는 제어 신호 S가 전동기(20)에 송신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도 5에 도시한 케이스 1의 경우에, 회전수 R의 상승에 기인하는 위화감이 생긴다. 그러나, 연료 고갈 등에 의해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최저 회전수 R0보다 낮은 경우에는, 더 이상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을 상승시킬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회전수 R을 상승시키지 않고, 그대로 회전수를 저하 혹은 회전을 정지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상기한 요구에 대해, 도 1에 도시한 전동 장치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임계값 Rj를 최저 회전수 R0보다 높게 설정한다. 이에 의해, 회전수 R이 최저 회전수 R0으로 저하된 시각 t2 후에, 또한 판정 시간 Ts가 경과하기 전에 정지 조작되어도, 시각 tf에서의 회전수 R이 임계값 Rj보다 낮다. 이 때문에, 회전수 R은 상승하지 않아, 위화감의 발생이 억제된다. 여기서, 정지 조작되는 시각 tf는 판정 시점 tj에 대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전동 장치에 따르면, 회전수 R이 최저 회전수 R0으로 저하된 후에는 가령 최저 회전수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회전수 상승 제어가 행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연료 고갈 등에 의한 의도하지 않은 회전수 R의 저하의 경우에, 정지 동작에 기인하는 위화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9에, 부스트 발달에 의해 회전수 R을 상승시키는 기점의 회전수에 대해, 위화감이 생기는 범위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에는, 시각 tb1에 있어서 회전수 Rb1로부터 부스트 발달시킨 회전수 특성 Cb1, 시각 tb2에 있어서 회전수 Rb2로부터 부스트 발달시킨 회전수 특성 Cb2, 시각 tb3에 있어서 회전수 Rb3으로부터 부스트 발달시킨 회전수 특성 Cb3을 나타낸다. 여기서, 회전수 Rb1>회전수 Rb2>회전수 Rb3이다. 본 발명자들의 조사에 따르면, 회전수 특성 Cb1 및 회전수 특성 Cb2의 경우에는 위화감은 생기지 않고, 회전수 특성 Cb3의 경우에 위화감이 생겼다. 따라서, 회전수 R의 임계값을 회전수 Rb3보다 크고, 예를 들어 회전수 Rb2로 설정함으로써,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상승에 기인하는 위화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스트 발달 기점의 회전수와 위화감의 발생 유무의 관계를 조사함으로써, 적절한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값의 설정에는, 부스트 발달에 의한 회전수 R의 상승의 크기나 상승하는 시간에 대한 회전수의 상승률 등의 회전수 상승 제어의 내용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장치에서는,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낮은 경우에 컨트롤러(30)에 의한 회전수 상승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동안에서의 낮은 회전수로부터의 회전수의 상승이 없어, 위화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연 기관(10)이 불필요한 회전수의 상승을 위해 전력을 전동기(20)에 공급할 필요가 없어, 전력 소비량을 억제할 수 있다.
단, 판정 시점에 내연 기관(10)에 대해 어떤 회전수 제어를 이미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에 상관없이, 실행하고 있는 회전수 제어를 속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실행하고 있는 회전수 제어를 중단하는 것에 기인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판정 시점에 회전수 제어를 실행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컨트롤러(30)가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과 임계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할지 여부를 선택한다.
이하에,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도 10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1에서, 컨트롤러(30)가 입력 장치(40)를 통하여 내연 기관(10)의 정지 명령 D를 수신하거나 하여, 내연 기관(10)은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이어서, 스텝 S2에서, 판정 시점에 내연 기관(10)에 대한 회전수 제어를 실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회전수 제어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3으로 진행하여,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에 상관없이 회전수 제어를 속행한다. 한편, 판정 시점에 회전수 제어를 실행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4로 진행하여,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과 임계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컨트롤러(30)가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할지 여부를 선택한다.
즉, 스텝 S4에서, 컨트롤러(30)의 판정 장치(31)가 회전수 검출 장치(50)에 의해 검출된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을,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한다. 그리고, 판정 시점에서의 회전수 R이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스텝 S5로 진행된다. 한편,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5에서는, 컨트롤러(30)의 제어 장치(32)로부터 제어 신호 S가 전동기(20)에 송신되어, 회전수 상승 제어가 실행된다.
스텝 S6에서는,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 내연 기관(10)은, 타성으로 정지하거나, 혹은 회전수 일치 제어 등의 회전수 제어에 의해 정지한다. 여기서, 타성으로 정지하는 경우에도, 회전수 R이 낮기 때문에 위화감의 발생은 억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내연 기관의 정지 동작에 기인하는 위화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동기(20)에서의 전력 소비량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전동 장치는, 회전수 상승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내연 기관(10)이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된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내연 기관(10)의 회전수가 상승한다. 한편, 판정 시점에서의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연 기관(10)의 회전수가 단조롭게 저하된다.
상기에서는, 컨트롤러(30)가 회전수 R을 일시적으로 상승시키는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회전수 R을 상승시키지 않는 회전수 제어의 경우에도, 회전수 R과 임계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회전수 제어를 실행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것은 유효하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회전수 특성 Cd1과 같이,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을 단조롭게 저하시키는 회전수 제어에 있어서도,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수 R을 단조롭게 저하시킴으로써, 위화감의 발생이 억제된다. 즉, 도 11에 파선으로 나타낸 것 같이 높은 회전수로부터 타성으로 회전수가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에 의한 위화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1에 실선으로 나타낸 회전수 특성 Cd1의 회전수 제어는, 회전수 일치 제어 등에 의해 실행 가능하다.
또한, 낮은 회전수에서라면, 회전수 R이 타성으로 저하되어도 위화감은 생기지 않는다. 이를 위해, 도 11에 도시하는 회전수 특성 Cd2와 같이 판정 시점 tj에서의 회전수 R이 임계값 Rj보다 낮은 경우에, 회전수 R을 제어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임계값 Rj는, 타성으로 회전수 R이 저하되어도 위화감이 발생되지 않는 회전수로 설정된다.
그런데, 내연 기관(10)이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 전에 소정의 아이들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아이들 회전에 의해, 예를 들어 전동기(20)에 의한 발전 또는 엔진 수온 및 배기 촉매를 승온할 수 있다. 이 아이들 회전수는 이들 목적에 따라 그 회전수가 결정된다.
아이들 회전하도록 설정된 내연 기관(10)에 대해서도, 회전수 상승 제어에 의해 위화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수 R의 임계값 Rj를 아이들 회전수 Ra보다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들 회전하는 내연 기관(10)에서는, 아이들 회전수 Ra가 임계값 Rj보다 높은 경우에, 회전수 상승 제어에 의해 회전수 R이 아이들 회전수 Ra보다 일시적으로 높아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이들 회전수는 목적에 따라 다른 값이 된다. 이 때문에, 회전수 R의 임계값 Rj를 아이들 회전수의 최저 회전수보다 낮게 설정한다. 또한, 아이들 회전수에는 변동이 발생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 때문에, 회전수 R의 임계값 Rj를 아이들 회전수의 최저 회전수보다 낮게 설정하는 경우에는, 아이들 회전수의 변동을 고려하여 임계값 Rj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아이들 회전수의 최저 회전수에 변동이 발생하였을 때 상정되는 회전수보다, 임계값 Rj를 낮게 설정한다.
아이들 회전수의 변동에 대해서는, 내연 기관(10)이 자력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의 아이들 회전수의 변동과, 내연 기관(10)이 전동기(20)에 구동되어 회전하는 상태에서의 아이들 회전수의 편차, 양쪽 편차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밖의 실시 형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기재하였지만, 본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본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해질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컨트롤러(30)가 내연 기관(10)의 정지 명령 D를 수신한 경우에 내연 기관(10)은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방법에 의해 내연 기관(10)이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내연 기관(10)의 상태를 컨트롤러(30)에 의해 감시하고, 내연 기관(10)의 회전수 R이 저하된 경우 등에, 컨트롤러(30)가 내연 기관(10)은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운전자에 의한 정지 요구 조작에 구애되지 않고, 다른 정지 요구 조작에 의해 내연 기관(10)이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동 장치는, 내연 기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용도에 이용 가능하다.
10: 내연 기관
20: 전동기
30: 컨트롤러
31: 판정 장치
32: 제어 장치
40: 입력 장치
50: 회전수 검출 장치

Claims (23)

  1. 내연 기관 및 상기 내연 기관을 구동하는 전동기를 구비하는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내연 기관은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한 판정 시점에서의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는 스텝과,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상기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회전수보다 일시적으로 높게 하는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회전수보다 높게 하는 일 없이 저하시켜 상기 내연 기관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에 출력되는 상기 전동기의 토크를 제어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를 제어하고,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목표 회전수와 일치시키는 회전수 일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회전수 일치 제어를 실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회전수 일치 제어에 의해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회전수로부터 저하시키고, 상기 내연 기관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 상승 제어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상기 회전수 일치 제어에 의해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동 장치의 조작자에 의한 정지 요구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내연 기관은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이,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전에 소정의 아이들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수 상승 제어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상기 아이들 회전수보다 일시적으로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이 상기 아이들 회전수의 최저 회전수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시점에 상기 내연 기관에 대한 회전수 제어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에 상관없이 상기 회전수 제어를 속행하고,
    상기 판정 시점에 상기 회전수 제어를 실행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와 상기 임계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
  11. 내연 기관과,
    상기 내연 기관을 구동하는 전동기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내연 기관은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한 판정 시점에서의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회전수보다 일시적으로 높게 하는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회전수보다 높아지는 일 없이 저하되어 상기 내연 기관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전동기가 상기 내연 기관에 출력하는 토크를 제어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전동기를 제어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목표 회전수와 일치시키는 회전수 일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회전수 일치 제어를 실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회전수 일치 제어에 의해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회전수로부터 저하시켜, 상기 내연 기관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회전수 상승 제어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이 정지할 때까지 상기 회전수 일치 제어에 의해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동 장치의 조작자에 의한 정지 요구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내연 기관은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이,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 전에 소정의 아이들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회전수 상승 제어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를 상기 아이들 회전수보다 일시적으로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이 상기 아이들 회전수의 최저 회전수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
  20. 제1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시점에 상기 내연 기관에 대한 회전수 제어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에 상관없이 상기 회전수 제어를 속행하고,
    상기 판정 시점에 상기 회전수 제어를 실행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와 상기 임계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회전수 상승 제어를 실행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
  21. 내연 기관과,
    상기 내연 기관을 구동하는 전동기
    를 구비하고,
    상기 내연 기관이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하는 것으로 판정된 판정 시점에서의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상승하고,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단조롭게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 기관이, 회전 정지 상태로 이행 전에 소정의 아이들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판정 시점에서의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상기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수가 상기 아이들 회전수보다 일시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이 상기 아이들 회전수의 최저 회전수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장치.
KR1020207018402A 2017-12-15 2017-12-15 전동 장치 및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80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45182 WO2019116562A1 (ja) 2017-12-15 2017-12-15 電動装置及び電動装置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737A true KR20200089737A (ko) 2020-07-27
KR102280500B1 KR102280500B1 (ko) 2021-07-26

Family

ID=6682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402A KR102280500B1 (ko) 2017-12-15 2017-12-15 전동 장치 및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338791B2 (ko)
EP (1) EP3725612B1 (ko)
JP (1) JP6954372B2 (ko)
KR (1) KR102280500B1 (ko)
CN (1) CN111448116B (ko)
MX (1) MX2020006162A (ko)
RU (1) RU2749441C1 (ko)
WO (1) WO201911656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483A (ja) * 1999-02-22 2000-09-05 Mitsubishi Motors Corp 内燃機関の停止制御装置
EP1826376A1 (en) * 2006-02-28 2007-08-2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utomatic internal combustion engine stop device, internal combustion engine provided with the same and automatic internal combustion engine stop method
JP2009074390A (ja) * 2007-09-19 2009-04-09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5182662A (ja) 2014-03-25 2015-10-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停止制御装置
WO2017195629A1 (ja) * 2016-05-10 2017-11-16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停止始動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7979B2 (ja) * 1999-03-04 2004-10-2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停止制御装置
JP4012893B2 (ja) * 2004-06-11 2007-11-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WO2012131970A1 (ja) * 2011-03-31 2012-10-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する車両
US9604628B2 (en) * 2014-01-17 2017-03-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wertrain control of a hybrid vehicle in park or neutral
JP6245448B2 (ja) * 2014-09-29 2017-12-13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制御装置
US10836372B2 (en) * 2016-08-24 2020-1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ybrid vehicle in park or neutr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483A (ja) * 1999-02-22 2000-09-05 Mitsubishi Motors Corp 内燃機関の停止制御装置
EP1826376A1 (en) * 2006-02-28 2007-08-2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utomatic internal combustion engine stop device, internal combustion engine provided with the same and automatic internal combustion engine stop method
JP2009074390A (ja) * 2007-09-19 2009-04-09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5182662A (ja) 2014-03-25 2015-10-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停止制御装置
WO2017195629A1 (ja) * 2016-05-10 2017-11-16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停止始動制御装置
US20190153991A1 (en) * 2016-05-10 2019-05-23 Denso Corporation Engine stop/start contro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6562A1 (ja) 2019-06-20
MX2020006162A (es) 2020-08-13
US11338791B2 (en) 2022-05-24
JP6954372B2 (ja) 2021-10-27
US20210162982A1 (en) 2021-06-03
EP3725612A1 (en) 2020-10-21
EP3725612A4 (en) 2020-12-16
JPWO2019116562A1 (ja) 2021-01-14
CN111448116A (zh) 2020-07-24
CN111448116B (zh) 2023-03-28
EP3725612B1 (en) 2024-05-22
RU2749441C1 (ru) 2021-06-10
KR102280500B1 (ko) 2021-07-26
BR112020011693A2 (pt)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299594A (ja) エンジンのバルブ特性制御装置
US20140332333A1 (en) Device for controlling automatic transmission
JPWO2012011167A1 (ja) エンジンの始動装置およびエンジンの始動方法
JP2013096518A (ja) 車両制御装置
JP5638120B2 (ja)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制御装置
JP2011075011A (ja) エンジン停止始動制御装置
KR20200089737A (ko) 전동 장치 및 전동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428251B1 (ko) Dct 차량의 제어방법
JP5692046B2 (ja) 車両制御装置
JP2007153288A (ja) ダンパークラッチ作動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999259B1 (ko) Isg를 구비한 엔진의 시동 제어방법
JP5994550B2 (ja) 車両の発進クラッチ制御装置
JP5074455B2 (ja)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制御装置
JP2009243448A (ja) エンジンにおける燃料カット開始前の点火時期制御方法
KR101575536B1 (ko)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에어 컨트롤 밸브 제어 방법
JP5446177B2 (ja) 冷却ファン制御装置
JP2006112278A (ja) 内燃機関の吸気量制御装置
US20130019711A1 (en) Engin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engine starting device, and vehicle
JP2016079961A (ja) 内燃機関システムの制御装置
KR100980965B1 (ko) 하이브리드 차량 무단변속기 소음저감 방법
KR102389421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토크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1144815A (ja)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JP2016200025A (ja) 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6511767A (ja) 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2018062927A (ja) 車両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