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769A -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769A
KR20200088769A KR1020200001819A KR20200001819A KR20200088769A KR 20200088769 A KR20200088769 A KR 20200088769A KR 1020200001819 A KR1020200001819 A KR 1020200001819A KR 20200001819 A KR20200001819 A KR 20200001819A KR 20200088769 A KR20200088769 A KR 20200088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ssembly
block
locking portion
wir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철
조병희
정석은
천기덕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DE102020100708.6A priority Critical patent/DE102020100708A1/de
Priority to JP2020004134A priority patent/JP2020115449A/ja
Priority to CN202010044056.2A priority patent/CN111435772A/zh
Priority to US16/743,644 priority patent/US11258196B2/en
Publication of KR20200088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6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for cables passing through an aperture in a housing wall, the separate part being captured between cable and contour of apertur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 터미널이 구비되는 캡 하우징, 제2 터미널이 구비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캡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및 상기 캡 하우징에서 와이어가 결합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플러그의 제1 단부에 구비되며, 와이어의 둘레 방향에 대해서 분할된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포함하는 위치 확인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CONNECTOR ASSEMBLY AND HOME APPLIANCES HAVING THE CONNECTOR ASSEMBLY}
아래 실시예들은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와 같이, 단열 등을 목적으로 포밍 부재가 충전되는 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포밍 부재는 액상으로 주입된 후 경화되기 때문에, 포밍 부재가 충전될 때, 공간 내부에 설치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내부로도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갈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로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밀봉 구조를 채택하더라도, 포밍 부재의 특성 및 충전 압력으로 인해 커넥터 어셈블리의 밀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 방수 커넥터인 경우 실링 부재(예를 들어, 와이어 실, 주변 실, 오링 실, 그로밋 또는 가스켓 등) 사이로도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갈 수 있다. 또는, 비방수 커넥터인 경우에는, 테이프, 스폰지, 접착제 등으로 커넥터 어셈블리를 밀봉하더라도, 그 접착된 부분을 통해서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로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갈 수 있다.
이에, 포밍 부재가 커넥터 어셈블리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개발이 필요하다.
전술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인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포밍 부재가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로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한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 터미널이 구비되는 캡 하우징, 제2 터미널이 구비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캡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및 상기 캡 하우징에서 와이어가 결합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플러그의 제1 단부에 구비되며, 와이어의 둘레 방향에 대해서 분할된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포함하는 위치 확인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캡 하우징 및 상기 플러그를 결합 대상이라 하고, 상기 위치 확인 부재는,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결합 대상의 제1 단부를 막도록 결합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와이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와이어 가이드 및 상기 결합 대상에 체결되는 제1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1 단부를 막도록 결합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와이어 가이드와 대응되어 상기 와이어의 나머지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2 와이어 가이드 및 상기 결합 대상에 체결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위치 확인 부재가 상기 결합 대상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이 동일 면 상이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대상의 제1 단부에는 상기 위치 확인 부재와 접촉되는 테두리를 따라 상기 위치 확인 부재를 향해 돌출된 돌출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는 각각 상기 돌출벽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벽은 상기 결합 대상의 제1 단부에서 전체 둘레를 따라 연속되는 폐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 확인 부재가 상기 결합 대상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는, 각각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서 상기 결합 대상과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의 외주면이, 상기 결합 대상에서 상기 제1 터미널과 상기 제2 터미널이 각각 삽입되는 부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는, 상기 결합 대상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와이어에 구비되는 터미널의 단부에 가압 접촉되어서 상기 터미널을 상기 결합 대상 내부로 밀어 넣도록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가 외력에 의해 당겨졌을 때, 상기 터미널이 상기 결합 대상에서 분리되는 방향에 대해서 전방에서 상기 터미널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는 복수의 와이어에 대해서 서로 독립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한 복수의 와이어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사이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된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결합 대상에 결합시킨 후 상기 연결부가 절단하여 제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사이를 연결시키는 힌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연결시키는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결합 대상에는 상기 제1 걸림부가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결합 대상의 양 측면에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대상에는 상기 제2 걸림부의 단부가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결합 대상의 둘레 중 상기 제1 걸림부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결합 대상의 둘레 중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결합 대상의 둘레 중 일 면에 형성되되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의 외측면 상에는 제1 락킹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 하우징 상에는 상기 제1 락킹부가 체결되는 제2 락킹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락킹부는 상기 캡 하우징과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자체 탄성을 갖도록 외팔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락킹부는, 상기 캡 하우징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외팔보 형태의 래치 프레임, 및 상기 래치 프레임의 양측에서 상기 래치 프레임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락킹부는, 상기 캡 하우징 표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래치 프레임의 단부에 접촉되는 스톱퍼, 및 상기 가동부가 결합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스톱퍼의 외측에 형성되는 격벽의 내측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는 단부에 외측을 향해 돌출된 훅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락킹부는 상기 플러그의 외측면 중 1개소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락킹부는 상기 제1 락킹부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의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캡 하우징의 상기 제1 단부 쪽의 내측면 상에는 각각 간섭 방지 가이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간섭 방지 가이드는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이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에는 상기 간섭 방지 가이드에 대응되는 안내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러그와 캡 하우징의 결합 부분에서의 형상에 의해서 포밍 부재가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와 캡 하우징 각각의 단부에 위치 확인 부재가 구비되고, 위치 확인 부재에 의해서 실링되기 때문에, 별도의 실링 부재가 설치되지 않더라도 포밍 부재가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위치 확인 부재와 플러그가 결합된 부분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플러그에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플러그에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를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해서 반대 방향에서 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저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커넥터 어셈블리(10)에서 위치 확인 부재(15)와 플러그(11)가 결합된 부분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0)는 플러그(11)와, 캡 하우징(13) 및 플러그(11)와 캡 하우징(13)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위치 확인 부재(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TPA)(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플러그(11)에서 제1 터미널(이하, 리셉터클 단자(T1)라 함)이 끼워지는 쪽의 단부를 제1 단부(111)라 하고, 상기 제1 단부(111)와 반대쪽이며 캡 하우징(13)에 결합되는 부분을 제2 단부(112)라 한다. 마찬가지로, 캡 하우징(13)에서 제2 터미널(이하, 탭 단자(T2)라 함)이 끼워지는 쪽의 단부를 제1 단부(131)라 하고, 상기 제1 단부(131)와 반대쪽이며 플러그(11)가 결합되는 부분을 제2 단부(132)라 한다. 그리고, 플러그(11)와 캡 하우징(13)에서, 도 1에 도시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 상면(113, 133), 측면(114, 134) 및 저면(115, 135)으로 설명한다.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10)는 도 1에 도시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좌우/전후 방향을 설명한다.
플러그(11)는 제1 단부(111) 쪽에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T1)와 와이어(W1)가 설치되고, 위치 확인 부재(15)가 설치된다. 그리고 플러그(11)는 제2 단부(112)가 캡 하우징(13) 내부로 끼워져서 결합되되, 제1 단부(111) 쪽의 일부는 외부로 노출된다.
캡 하우징(13)은 제1 단부(131) 쪽에서 복수의 탭 단자(T2)와 와이어(W2)가 설치되고, 위치 확인 부재(15)가 설치된다.
플러그(11)와 캡 하우징(13)을 결합시키면, 내부에서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T1)와 복수의 탭 단자(T2)가 서로 일대일로 대응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포밍 부재는 액상으로 주입되는 특성 및 충전시의 압력에 의해서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되는데, 플러그(11)와 캡 하우징(13)가 결합되는 부분 등을 통해서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1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캡 하우징(13) 내부로 끼워지므로, 플러그(11)와 캡 하우징(13)이 결합되는 부분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가는 경로가 길어지게 되어서 포밍 부재가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러그(11)와 캡 하우징(13)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플러그(11)와 캡 하우징(13)에는 락킹부(116, 136)가 형성된다. 플러그(11)의 외측면 둘레 중 상면(113)에 제1 락킹부(116)가 형성되고, 캡 하우징(13)의 상면(133)에도 제1 락킹부(116)와 대응되는 제2 락킹부(136)가 형성된다.
제1 락킹부(116)는 캡 하우징(13)과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대략 외팔보 형상을 갖고 자체 탄성을 갖는 걸림편(outer latch)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락킹부(116)는 래치 프레임(611)과, 가동부(61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래치 프레임(611)은 일 단이 플러그(11)의 상면(113)에 고정되고, 타단이 캡 하우징(13)을 향해 연장되며 소정 너비를 갖는 외팔보 형태를 갖는다.
가동부(612)는 래치 프레임(611)으로부터 분리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며, 그 단부에 훅(613)이 형성된다. 또한, 가동부(612)는 래치 프레임(611)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도중에 래치 프레임(611)과 소정 간격 이격된다. 이와 같이 가동부(612)를 형성함으로써, 제1 락킹부(116)를 제2 락킹부(136)에 밀어 넣으면, 가동부(612)가 탄성 변형되면서 제1 락킹부(116)가 제2 락킹부(136)에 체결된다.
여기서, 가동부(612)가 평행하게 형성된다 함은, 가동부(612)와 래치 프레임(611)이 캡 하우징(13)을 향해 대략 동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완전히 평행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2 락킹부(136)는 캡 하우징(13) 상면(133)에 돌출 형성되며, 제1 락킹부(116)가 걸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2 락킹부(136)는 스톱퍼(631)와 가동부(612)가 체결되는 걸림턱(633)이 형성되는 격벽(63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스톱퍼(631)는 제1 락킹부(116)와 제2 락킹부(136)가 결합되었을 때, 래치 프레임(611)의 단부(611a)가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 락킹부(116)가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더 삽입되는 것을 제한한다.
격벽(632)은 캡 하우징(13)의 상면(133)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세워지는 플랜지로서, 가동부(612)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한 쌍의 격벽(632)으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 제1 락킹부(116)가 끼워져서 체결된다.
격벽(632)의 내측면 상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 걸림턱(633)이 형성되어서 가동부(612)의 훅(613)이 걸림 결합된다. 가동부(612)는 훅(613)이 걸림턱(633)에 걸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외측 방향을 향해 형성된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제1 락킹부(116)와 제2 락킹부(136)는 플러그(11)와 캡 하우징(13)이 결합되었을 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되는 형태라면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락킹부(116)와 제2 락킹부(136)는 1개소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면 상에서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상면(113, 133)뿐만 아니라 하면(115, 135), 또는 측면(114, 134)에 형성될 수 있으며, 2개소 이상의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 확인 부재(15)는 플러그(11)의 제1 단부(111) 및 캡 하우징(13)의 제1 단부(131)에 각각 구비된다. 위치 확인 부재(15)는 플러그(11)의 제1 단부(111) 쪽에서 와이어(W1)를 따라 플러그(11)에 끼워짐에 따라, 제1 단부(111)를 막음과 동시에 와이어(W1)를 플러그(11)에 고정시킨다. 마찬가지로, 위치 확인 부재(15)는 캡 하우징(13)의 제1 단부(131) 쪽에서 와이어(W2)를 따라 캡 하우징(13)에 끼워짐에 따라, 캡 하우징(13)의 제1 단부(131)를 막음과 동시에 와이어(W2)를 캡 하우징(13)에 고정시킨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플러그(11)에 구비되는 위치 확인 부재(15)와 캡 하우징(13)에 구비되는 위치 확인 부재(15)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분하여 설명하지 않고, "위치 확인 부재(15)"라 통칭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위치 확인 부재(15)가 결합되는 결합 대상을 플러그(11)로서만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캡 하우징(13)과 위치 확인 부재(15)의 결합 관계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위치 확인 부재(15)는 2개의 제1 및 제2 블록(510, 520)으로 분할 형성되고, 와이어(W1)의 둘레 방향에 대해서 제1 블록(510)과 대칭되게 형성되며, 와이어(W1)를 사이에 두고 플러그(11) 내부에서 서로 맞물려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블록(510)은 제1 프레임(511)과, 와이어(W1)에 결합되는 대략 반원통 형상의 와이어 결합홈(512a)이 형성되는 제1 와이어 가이드(512)와, 플러그(11)에 결합되는 제1 걸림부(5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프레임(511)은 대략 플레이트 형태를 갖고, 플러그(11)의 제1 단부(111)를 막도록 결합된다.
제1 와이어 가이드(512)는 제1 프레임(511)으로부터 플러그(11)를 향해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제1 와이어 가이드(512) 표면에는 와이어(W1)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와이어 결합홈(512a)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와이어 가이드(512) 및 와이어 결합홈(512a)은 2개가 형성되며, 와이어(W1)를 서로 독립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W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1 걸림부(513)는 제1 프레임(511)의 양단부에서 플러그(11)를 향해 연장되며, 플러그(11)의 양 측면(114)에 걸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서로 평행한 한 쌍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플러그(11)(및 캡 하우징(13))의 측면(114)에는 소정 높이 돌출된 돌출부(114a, 134a)가 형성되고, 제1 걸림부(513)는 돌출부(114a, 134a)가 걸려서 체결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걸림부(513)를 형성함으로써 제1 블록(510)을 플러그(11)에 끼워 넣으면, 제1 와이어 가이드(512)는 플러그(11) 내부로 삽입되어서 와이어(W1)의 외주면 상부 둘레를 고정시키고, 제1 걸림부(513)가 플러그(11)의 양 측면(114)에 체결되어서 제1 블록(510)과 플러그(11)의 결합 상태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블록(520)은 제2 프레임(521)과, 제1 와이어 가이드(512)와 대응되어 와이어(W1)의 나머지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2 와이어 가이드(522) 및 플러그(11)와 결합되는 제2 걸림부(5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프레임(521)은, 대략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제2 블록(520)이 플러그(11)에 결합되었을 때 제1 단부(111)를 막도록 결합되며, 제1 프레임(511)과 제2 프레임(521)이 동일 면 상이 되도록 결합된다.
제2 와이어 가이드(522)는, 제2 프레임(521)으로부터 플러그(11)를 향해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제1 와이어 가이드(512)에 대해서 와이어(W1)를 사이에 끼우도록 제2 와이어 결합홈(522a)이 형성된다.
제2 걸림부(523)는 제2 프레임(521)에서 플러그(11)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플러그(11)의 외측 중 저면(115)(및 저면(135))에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플러그(11)의 저면(115)에는 소정 높이 돌출되는 돌기(115a)(135a)가 형성되고, 제2 걸림부(523)는 돌기(115a, 135a)에 걸려서 체결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 걸림부(523)는 플러그(11)의 저면(115)에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걸림부(523)가 2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3개 이상의 복수개가 형성되거나, 1개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걸림부(523)의 위치는 플러그(11)의 저면(115)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걸림부(513)와 간섭되지 않다면 플러그(11)의 측면(114)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 걸림부(523)를 형성함으로써 제2 블록(520)을 플러그(11)에 끼워 넣으면, 제2 와이어 가이드(522)가 플러그(11) 내부로 삽입되어서 와이어(W1)의 외주면 하부 둘레를 고정시키고, 제2 걸림부(523)는 플러그(11)의 저면(115)에 체결되어서 제2 블록(520)과 플러그(11)의 결합 상태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위치 확인 부재(15)는 플러그(11)에 결합시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512, 522)의 단부가 각각 리셉터클 단자(T1)(또는 탭 단자(T2))를 가압 접촉함에 따라 리셉터클 단자(T1)(또는 탭 단자(T2))를 플러그(11) 내부로 밀어 넣게 된다. 이로 인해, 위치 확인 부재(15)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리셉터클 단자(T1)(및 탭 단자(T2))를 정위치로 밀어 넣는 작업과 더불어 리셉터클 단자(T1)(및 탭 단자(T2))의 정위치 결합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512, 522)는 플러그(11)와 캡 하우징(13)에서 각각 리셉터클 단자(T1)와 탭 단자(T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플러그(11)와 탭 하우징(13)에 결합된 리셉터클 단자(T1)와 탭 단자(T2)가 분리되는 방향에 대해서 전방에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512, 522)가 위치하므로, 와이어(W1, W2)가 외력에 의해서 당겨졌을 때, 각각 리셉터클 단자(T1)와 탭 단자(T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단자들(T1, T2)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위치 확인 부재(1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512, 522)가 각각 리셉터클 단자(T1)와 탭 단자(T2)가 끼워지는 부분을 채우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512, 522)가 플러그(11)와 탭 하우징(13)을 밀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 결합홈(512a, 522a)의 반지름은 와이어(W1, W2)의 반지름보다 대략 작게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 블록(510, 520)이 맞물렸을 때, 와이어 결합홈(512a, 522a)이 형성하는 홀의 내경이 와이어(W1, W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블록(510, 520)을 플러그(11)(또는 캡 하우징(13))에 결합시키면 와이어 결합홈(512a, 522a) 내부에서 와이어(W1, W2)가 압착되므로 와이어(W1, W2)를 통해서 포밍 부재가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위치 확인 부재(15)와 플러그(11)(및 캡 하우징(13))가 결합되는 부분에도 포밍 부재가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플러그(11)(및 캡 하우징(13))의 제1 단부(111)(131)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벽(111a)(및 캡 하우징(13)의 돌출벽(131a))이 형성되고, 위치 확인 부재(15)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511, 521)의 내측면 상에는 돌출벽(111a)이 삽입되는 홈(511a, 521a)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돌출벽(111a)은 플러그(11)(및 캡 하우징(13))의 제1 단부(111)(및 캡 하우징(13)의 제1 단부(131)) 둘레를 따라 위치 확인 부재(15)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제1 단부(111)(131)의 전체 둘레를 따라 연속된 폐곡선 형태로 형성된다.
위치 확인 부재(15)를 플러그(11)에 결합시키면 돌출벽(111a)이 홈(511a)에 끼워지면서 위치 확인 부재(15)와 플러그(11) 사이의 기밀성을 높이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11)와 캡 하우징(13)의 돌출벽(111a, 131a)이 위치 확인 부재(15)에 형성된 홈(511a, 521a)에 끼워짐에 따라 플러그(11)(및 캡 하우징(13))와 위치 확인 부재(15)가 결합되는 구조만으로도 포밍 부재가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효과를 갖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및 도 7을 참조하여 위치 확인 부재(15)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위치 확인 부재(15)는 제조가 용이하고 플러그(11)(및 캡 하우징(13))에 조립이 용이하도록 제1 블록(510)과 제2 블록(520)이 연결되어 일체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블록(510)과 제2 블록(520) 사이가 힌지 형태의 연결부(530)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블록(510)과 제2 블록(520)이 고리 형태의 연결부(530)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확인 부재(15)는 제1 블록(510) 또는 제2 블록(520) 중 어느 하나가 먼저 플러그(11)에 삽입된 후 나머지 하나가 플러그(11)에 삽입되며, 제1 블록(510)과 제2 블록(520)의 결합 순서는 상관없다.
먼저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연결부(530)는 제1 및 제2 블록(510, 520) 사이를 연결시키는 힌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블록(510, 520)은 각 와이어 결합홈(512a, 522a)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뒤집혀서 상하로 배치되고, 그 사이에 힌지 형태의 연결부(530)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530)는 제1 블록(510)과 제2 블록(520)을 연결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블록(510, 520)의 제조 시, 제1 및 제2 블록(510, 520)을 동시에 제조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결합 대상인 플러그(11) 또는 캡 하우징(13)에 조립하는 공정에서도 블록(510, 520)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530)는 절단이 용이하며 제1 및 제2 블록(510, 520) 사이가 소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부재(15)를 조립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블록(510)과 제2 블록(520)이 연결부(530)에 연결된 상태로, 제1 블록(510) 및 제2 블록(520)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플러그(11)(또는 캡 하우징(13))에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530)를 절단하여 제1 블록(510)과 제2 블록(520)을 분리시킨 후, 분리된 나머지 블록을 플러그(11)(또는 캡 하우징(13))에 결합시키게 된다.
여기서, 플러그(11)의 제1 단부(111) 쪽의 내측면 상에는 간섭 방지 가이드(111b)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간섭 방지 가이드(111b)는 제1 블록(510)과 제2 블록(520)이 서로 마주보는 경계 부분에 대응되도록 위치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블록(510, 520)의 와이어 가이드(512, 522)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블록(510)과 제2 블록(520)에도 간섭 방지 가이드(111b)와 맞물려서 안내되도록 돌출부 또는 단턱 형태를 갖는 안내부(514, 52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11)와 캡 하우지(13)에 간섭 방지 가이드(111b)를 형성함으로써, 제1 블록(510)과 제2 블록(520)을 플러그(11)(또는 캡 하우징(13))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먼저 결합된 블록의 위치를 유지하고, 다음으로 결합되는 블록이 먼저 결합된 블록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플러그(11)의 제1 단부(111) 쪽에만 간섭 방지 가이드(111b)를 도시하였으나, 캡 하우징(13)의 제1 단부(113) 쪽에도 동일하게 간섭 방지 가이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연결부(540)는 제1 및 제2 블록(510, 520) 사이를 연결시키되 탄성 변형이 가능한 대략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블록(510, 520)은 각 와이어 결합홈(512a, 522a)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블록(510, 520)의 외측에 고리 또는 끈 형태의 연결부(540)가 형성되어서 연결된다.
도 7에 도시한 연결부(540) 역시 제1 블록(510)과 제2 블록(520)을 연결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블록(510, 520)의 제조 시 동시에 제조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결합 대상인 플러그(11) 또는 캡 하우징(13)에 조립하는 공정에서 제1 및 제2 블록(510, 520)을 동시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540)는 절단이 용이하며 제1 및 제2 블록(510, 520) 사이에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부재(15)는 연결부(540)에 의해서 연결된 상태의 제1 블록(510)과 제2 블록(520)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을 먼저 플러그(11)(또는 캡 하우징(13))에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나머지 하나의 블록을 플러그(11)(또는 캡 하우징(13))에 결합시킨 후, 플러그(11) 외측에서 연결부(540)를 절단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러그(11)와 캡 하우징(13)에 각각 위치 확인 부재(15)를 결합시킴으로써 플러그(11)와 캡 하우징(13)의 제1 단부(111, 131)를 통해서 포밍 부재가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실링 부재 없이도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 구조만으로도 포밍 부재가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커넥터 어셈블리
11: 플러그(plug)
111: 제1 단부
111a: 돌출벽(protruded wall)
111b: 간섭 방지 가이드
112: 제2 단부
113: 상면
114: 측면
114a: 돌출부
115: 저면
115a: 돌기
116: 제1 락킹부
611: 래치 프레임
611a: 래치 프레임의 단부
612: 가동부
613: 훅
13: 캡 하우징(cap)
131: 제1 단부
131a: 돌출벽
132: 제2 단부
133: 상면
134: 측면
134a: 돌출부
135: 저면
135a: 돌기
136: 제2 락킹부
631: 스톱퍼
632: 격벽
633: 걸림턱
15: 위치 확인 부재(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TPA)
510: 제1 블록
520: 제2 블록
511, 521: 프레임
511a, 521a: 홈(groove)
512, 522: 와이어 가이드
512a, 522a: 와이어 결합홈
513, 523: 걸림부
514, 524: 안내부
530, 540: 연결부
T1: 리셉터클 단자(receptacle contact)
T2: 탭 단자(tab contact)
W1, W2: 와이어

Claims (26)

  1. 제1 터미널이 구비되는 캡 하우징;
    제2 터미널이 구비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캡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및
    상기 캡 하우징에서 와이어가 결합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플러그의 제1 단부에 구비되며, 와이어의 둘레 방향에 대해서 분할된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포함하는 위치 확인 부재;
    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 및 상기 플러그를 결합 대상이라 하고,
    상기 위치 확인 부재는,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결합 대상의 제1 단부를 막도록 결합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와이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 와이어 가이드 및 상기 결합 대상에 체결되는 제1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1 단부를 막도록 결합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와이어 가이드와 대응되어 상기 와이어의 나머지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2 와이어 가이드 및 상기 결합 대상에 체결되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상기 위치 확인 부재가 상기 결합 대상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이 동일 면 상이 되도록 결합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대상의 제1 단부에는 상기 위치 확인 부재와 접촉되는 테두리를 따라 상기 위치 확인 부재를 향해 돌출된 돌출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는 각각 상기 돌출벽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벽은 상기 결합 대상의 제1 단부에서 전체 둘레를 따라 연속되는 폐곡선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는,
    각각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에서 상기 결합 대상과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의 외주면이, 상기 결합 대상에서 상기 제1 터미널과 상기 제2 터미널이 각각 삽입되는 부분을 밀폐시키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는,
    상기 결합 대상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와이어에 구비되는 터미널의 단부에 가압 접촉되어서 상기 터미널을 상기 결합 대상 내부로 밀어 넣도록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가 외력에 의해 당겨졌을 때, 상기 터미널이 상기 결합 대상에서 분리되는 방향에 대해서 전방에서 상기 터미널의 분리를 방지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는 복수의 와이어에 대해서 서로 독립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한 복수의 와이어 결합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사이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된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결합 대상에 결합시킨 후 상기 연결부가 절단하여 제거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사이를 연결시키는 힌지 형태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 가이드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연결시키는 고리 형태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대상에는 상기 제1 걸림부가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결합 대상의 양 측면에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대상에는 상기 제2 걸림부의 단부가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돌기가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결합 대상의 둘레 중 상기 제1 걸림부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결합 대상의 둘레 중 저면에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결합 대상의 둘레 중 일 면에 형성되되 복수개가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외측면 상에는 제1 락킹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 하우징 상에는 상기 제1 락킹부가 체결되는 제2 락킹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부는 상기 캡 하우징과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고 자체 탄성을 갖도록 외팔보 형태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부는,
    상기 캡 하우징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외팔보 형태의 래치 프레임; 및
    상기 래치 프레임의 양측에서 상기 래치 프레임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동부;
    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락킹부는,
    상기 캡 하우징 표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래치 프레임의 단부에 접촉되는 스톱퍼; 및
    상기 가동부가 결합되는 걸림턱;
    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스톱퍼의 외측에 형성되는 격벽의 내측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는 단부에 외측을 향해 돌출된 훅이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부는 상기 플러그의 외측면 중 1개소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락킹부는 상기 제1 락킹부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캡 하우징의 상기 제1 단부 쪽의 내측면 상에는 각각 간섭 방지 가이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간섭 방지 가이드는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이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에는 상기 간섭 방지 가이드에 대응되는 안내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26. 제1항 기재의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20200001819A 2019-01-15 2020-01-07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200088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00708.6A DE102020100708A1 (de) 2019-01-15 2020-01-14 Verbinderanordnung und haushaltsgerät mit der verbinderanordnung
JP2020004134A JP2020115449A (ja) 2019-01-15 2020-01-15 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を含む家庭用電気機器
CN202010044056.2A CN111435772A (zh) 2019-01-15 2020-01-15 连接器组件和包括连接器组件的家用电器
US16/743,644 US11258196B2 (en) 2019-01-15 2020-01-15 Connector assembly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46 2019-01-15
KR20190005146 2019-0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769A true KR20200088769A (ko) 2020-07-23

Family

ID=7189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819A KR20200088769A (ko) 2019-01-15 2020-01-07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58196B2 (ko)
KR (1) KR20200088769A (ko)
DE (1) DE102020100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743556U (zh) * 2020-03-06 2020-10-23 东莞富强电子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1021A (en) * 1986-06-12 1990-01-02 Amp Incorporated High density socket contact receptacle
US4758182A (en) * 1986-10-16 1988-07-19 Shinagawa Jidosha Densen Co. Ltd. Electric connector
JPH0770334B2 (ja) * 1989-12-27 1995-07-3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US5017162A (en) * 1990-04-09 1991-05-21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alignment and position assurance component
JPH0495369A (ja) * 1990-08-01 1992-03-27 Yazaki Corp 端子係止具付電気コネクタ
US5322456A (en) * 1991-08-14 1994-06-21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with terminal retainer
JP2578282B2 (ja) * 1992-02-04 1997-02-0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係止具付コネクタ
US5520553A (en) * 1994-12-08 1996-05-28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a front end mounte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system
US5575692A (en) * 1994-12-08 1996-11-19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rear end mounte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JP3168396B2 (ja) * 1995-11-29 2001-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リヤホルダ付コネクタ
US6045404A (en) * 1997-06-30 2000-04-04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US6059602A (en) * 1999-03-17 2000-05-09 The Whitaker Corporation Shroud for electrical connector
US6755688B2 (en) * 2002-03-18 2004-06-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erminal position device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securing sealed male connectors
US7044806B2 (en) * 2004-04-09 2006-05-16 Fci America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position assurance polarization
EP2218149B1 (en) * 2007-10-12 2017-11-15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7850476B2 (en) * 2008-10-29 2010-12-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ow profile solar laminate connector assembly
JP6670672B2 (ja) 2016-05-10 2020-03-25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エッチング方法
US10355393B2 (en) * 2017-11-06 2019-07-16 Te Connectivity Corporation Sealed rear-loaded electrical connector housings, assemblies, and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58196B2 (en) 2022-02-22
US20200227857A1 (en) 2020-07-16
DE102020100708A1 (de)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1913B2 (en) Wire harness fixing device
JP6860823B2 (ja) 防水コネクタ
US8348689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20180119097A (ko) 전선연결용 커넥터
US20110286787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2018010789A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13098072A (ja) 防水コネクタ
KR20200088769A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2007165191A (ja) コネクタ
CN111146631A (zh) 连接器组件
JP2013239368A (ja) 防水コネクタ
CN111435772A (zh) 连接器组件和包括连接器组件的家用电器
JP2010519678A (ja) シール可能な電気コネクタ
JP2014123446A (ja) コネクタ
JP2010519678A5 (ko)
JPH1167330A (ja) 防水型コネクタ
EP3993175A1 (en) Sealed connector housing for an angled electrical connector
JP2017033702A (ja) コネクタ
JP6004279B2 (ja) コネクタ
JP2004072877A (ja) 電気接続箱用グロメットのシール構造
KR20200091341A (ko) 클러스터 블록 및 이를 구비하는 밀폐형 압축기
KR20200050859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6598810B2 (ja) コネクタ
KR20200092828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1915350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