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828A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828A
KR20200092828A KR1020190056330A KR20190056330A KR20200092828A KR 20200092828 A KR20200092828 A KR 20200092828A KR 1020190056330 A KR1020190056330 A KR 1020190056330A KR 20190056330 A KR20190056330 A KR 20190056330A KR 20200092828 A KR20200092828 A KR 20200092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ead
connector assembly
hous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용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92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캡 하우징과,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연결 파트와, 상기 연결 파트에 걸린 상태로 상기 연결 파트에 의해 지지되는 보호 파트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및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상기 보호 파트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동안, 상기 보호 파트의 적어도 일부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아래의 설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란 전기적인 접속을 연결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전기 부품의 일종이다. 커넥터는 자동차 또는 생활 가전 등 다양한 전자 기계 장치에 사용되어, 복수 개의 전자 부품 상호 간에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 연결을 위하여 사용된다.
커넥터의 접속 단자의 정렬을 보조하여 접속 단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들이 요구된다. 또한, 커넥터 내부로 유체 또는 이물질의 유입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하기 위한 기술들이 요구된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접속 단자의 정렬을 보조하여 접속 단자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방수 구조를 구현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캡 하우징과,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연결 파트와, 상기 연결 파트에 걸린 상태로 상기 연결 파트에 의해 지지되는 보호 파트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및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상기 보호 파트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동안, 상기 보호 파트의 적어도 일부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삽입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호 파트를 통과하는 구동 바디; 및 상기 구동 바디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보호 파트에 간섭하여 상기 보호 파트를 변형시키는 구동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헤드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해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보호 파트가 상기 연결 파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파트는, 상기 연결 파트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보호 바디; 및 상기 보호 바디의 테두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 헤드에 의해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보호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암은, 상기 보호 바디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암 바디; 상기 암 바디의 상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 파트에 걸림 가능한 암 헤드; 및 상기 암 바디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암 헤드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구동 헤드에 의해 가압되는 종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동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 및 구동 헤드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종동부 및 구동 헤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상기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다른 하나에 접촉하는 분리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수 커넥터 및 암 커넥터가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 암을 원래 형상으로 복원시키기 위해 상기 암 헤드를 수용하기 위한 헤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하우징 및 연결 파트는 서로 별개의 부재로 제작된 이후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접속 단자를 지지하기 위한 단자 홀을 포함하는 캡 바디; 및 상기 캡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파트를 고정시키는 고정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바디는, 상기 고정 구조물의 하방에 형성되는 코어 홀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홀은, 상기 접속 단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캡 바디의 내측을 방수 처리하기 위한 방수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캡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접속 단자를 둘러싸는 캡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어 홀은, 상기 접속 단자의 길이 방향으로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상기 캡 헤드의 테두리부에 의해 규정되는 경계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연결 파트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연결 파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바디; 및 외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더 바디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접속 단자의 정렬을 보조하여 수 커넥터 및 암 커넥터의 안정적인 체결을 구현할 수 있으며, 방수 수조를 구현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단자 홀을 메인 개구부 영역에 위치시킴으로써 방수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캡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4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캡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5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 및 연결 파트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캡 돌기가 연결 파트에 고정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각각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파트가 연결 파트로부터 분리되어 하강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보호 파트가 구동부에 의해 상승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 파트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특허출원은 2019년 1월 25일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9-0009952호와, 2019년 1월 30일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9-0012101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한 것이고, 해당 출원의 전체 내용이 본 특허출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x축, y축 및 z축은 상호 직교하는 3축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x축은 수 커넥터(1) 및 암 커넥터(2)의 체결 방향을 낸다(이하의 각 도면에서도 마찬가지임).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복수 개의 전자 부품 상호 간에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 연결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 커넥터(1)는 어느 하나의 전자 부품에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암 커넥터(2)는 다른 하나의 전자 부품에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 커넥터(1) 및 암 커넥터(2)는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전자 부품을 접속시킬 수 있다.
수 커넥터(1)는 캡 하우징(11)을 포함할 수 있다. 캡 하우징(11)은 전방(+x 방향) 및 후방(-x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수 커넥터(1)의 후방 개구부는 암 커넥터(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수 커넥터(1)의 전방 개구부는 접속 단자를 둘러싸는 메인 개구부(1a)와, 다른 전선들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보조 개구부(1b)를 포함할 수 있다. 시일(미도시)은 메인 개구부(1a) 및 보조 개구부(1b) 내측에는 삽입되어 메인 개구부(1a) 및 보조 개구부(1b)를 밀봉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수 커넥터(1)의 전방 개구부를 통해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암 커넥터(2)는 수 커넥터(1)에 장착될 수 있다. 암 커넥터(2)는 수 커넥터(1)의 외측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암 커넥터(2)는 케이스(21), 플러그 하우징(22, 도 2 참조), 구동부(23, 도 3 참조), 커넥터 레버(2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22) 및 구동부(23)에 대한 설명은 도 2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케이스(21)는 예를 들어 암 커넥터(2)의 슬라이딩 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y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케이스 돌기(21a)를 포함할 수 있다.
캡 하우징(11)은 y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측 돌기(11a)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레버(24)는 케이스 돌기(21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레버(24)는 케이스 돌기(21a) 및 외측 돌기(11a)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캡 하우징(11) 및 케이스(21)의 결합을 보조할 수 있다.
커넥터 레버(24)는 외측 돌기(11a)를 수용하는 레버 개구(24a)와, 외측 돌기(11a)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레버 가이드(24b)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돌기(11a)가 레버 가이드(24b)에 삽입된 것이 확인되면, 사용자는 커넥터 레버(2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커넥터 레버(24)가 회전되는 동안, 외측 돌기(11a)는 케이스 돌기(21a)에 가까이 근접할 수 있다. 커넥터 레버(24)가 y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 한, 수 커넥터(1) 및 암 커넥터(2)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수 커넥터(1) 및 암 커넥터(2)를 결합시킬 때 방수 구조를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 커넥터(1)의 캡 하우징(11) 자체에 코어 홀(core hole)이 형성되되, 코어 홀의 위치가 메인 개구부(1a) 또는 보조 개구부(1b) 외부에 위치할 경우, 코어 홀을 막기 위한 별도의 방수 구조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코어 홀이 메인 개구부(1a)에 마련되게 함으로써 그러한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코어 홀을 막기 위한 별도의 방수 구조를 요구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캡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4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캡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암 커넥터(2)에서 케이스(21, 도 1 참조) 및 커넥터 레버(24, 도 1 참조)를 생략 도시하였음을 밝혀 둔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코어 홀(H2)이 메인 개구부(1a)에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코어 홀(H2)을 막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요구되지 않는다. 여기서, 코어 홀(H2)이란 캡 돌기(113)를 형성하는 동안 불가피하게 제작되는 홀을 의미한다. 코어 홀(H2)이 메인 개구부(1a)에 마련되기 위해서는, 캡 돌기(113)가 캡 하우징(11)의 내측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커넥터 어셈블리(100)가 컴팩트한 구조를 갖기 위해서는, 지지 로드(132)는 캡 하우징(11)의 내측벽에 최대한 근접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연결 파트(13)라는 구성을 포함한다.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보호 파트(14)는 직접적으로 캡 하우징(1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것이 아니라, 캡 하우징(11)에 고정되는 연결 파트(1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코어 홀(H2)을 메인 개구부(1a)에 마련하면서도, 지지 로드(132)를 캡 하우징(11)의 내측벽에 근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컴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수 커넥터(1) 및 암 커넥터(2)를 포함할 수 있다. 수 커넥터(1) 및 암 커넥터(2) 사이에는 이너 시일(미도시)이 마련되어, 수 커넥터(1) 및 암 커넥터(2) 사이로 유입되는 물 또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수 커넥터(1)는 캡 하우징(11), 접속 단자(미도시), 연결 파트(13), 보호 파트(14), 제 2 스토퍼(15) 및 슬라이더(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캡 하우징(11) 및 연결 파트(13)를 별개의 부재로 제작한 뒤 서로 조립하는 방식을 통해, 코어 홀(H2)을 메인 개구부(1a)에 마련하면서도, 컴팩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연결 파트(13)는 캡 하우징(11) 내측에 마련되는 캡 돌기(113)에 의해 캡 하우징(11)에 고정된다. 캡 돌기(113)는 캡 하우징(11)에 연결 파트(13)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인 "고정 구조물"의 일 예시에 해당한다. 연결 파트(13)를 캡 하우징(11)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은 캡 돌기(113)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고정 구조물은 연결 파트(13)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캡 하우징(11)에 고정되는 돌기일 수 있다. 캡 하우징(11) 및 연결 파트(13)는 서로 별개의 부재로 제작된 이후 조립되고, 보호 파트(14)가 캡 하우징(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할 때, 연결 파트(13)는 캡 하우징(11) 및 연결 파트(13)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 구조물에 의해 캡 하우징(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캡 하우징(11)은 접속 단자(미도시), 연결 파트(13), 보호 파트(14), 제 2 스토퍼(15) 및 슬라이더(16)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 하우징(11)은 접속 단자의 길이 방향이 암 커넥터(2)에 대한 수 커넥터(1)의 삽입 방향과 나란하도록, 접속 단자를 지지할 수 있다. 캡 하우징(11)의 전방은 메인 개구부(1a) 및 보조 개구부(1b)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개구부(1a) 및 보조 개구부(1b)는 각각 내측으로 삽입되는 시일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메인 개구부(1a)는 후술하는 단자 홀(H1)과 연통될 수 있고, 메인 개구부(1a)가 밀봉될 경우, 외부로부터 단자 홀(H1)을 향한 물 또는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보조 개구부(1b)는 케이블(미도시)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일 수 있다. 캡 하우징(11)은 캡 바디(111), 캡 헤드(112) 및 고정 구조물(113)을 포함할 수 있다.
캡 바디(111)는 캡 하우징(1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캡 바디(111)의 내측 형상은 연결 파트(13)의 외측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캡 바디(111)는 연결 파트(13)의 1자유도 슬라이딩을 보조할 수 있다. 캡 바디(111)는 접속 단자를 지지하기 위한 단자 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캡 바디(111)는 고정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 바디(111)는 캡 돌기(113)의 돌기 헤드(1132)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 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 홀(H1) 및 코어 홀(H2)은 캡 바디(11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단자 홀(H1)에는 접속 단자가 삽입될 수 있고, 단자 홀(H1)에 삽입된 접속 단자는 캡 바디(1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단자 홀(H1)의 개수는 접속 단자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코어 홀(H2)은 사출 금형 제작 과정에서, 언더컷(undercut) 형상을 갖는 캡 돌기(113)를 형성하기 위해, 코어가 삽입됨에 따라 생기는 구멍에 해당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캡 돌기(113)는 캡 바디(11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 바디(1131)와, 돌기 바디(1131)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 헤드(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 헤드(113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캡 바디(111)에 관통 형성되는 코어 홀이 필연적으로 형성된다. 코어 홀(H2)도 마찬가지로 캡 돌기(113)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코어 홀(H2)은 접속 단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캡 바디(111)의 내측을 방수 처리하기 위한 방수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방수 영역이란, 외부로부터 캡 바디(111)의 내측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일 등이 장착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일(미도시)은 메인 개구부(1a) 및/또는 보조 개구부(1b)에 장착되어, 유체가 메인 개구부(1a) 또는 보조 개구부(1b)를 통해 캡 바디(11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일(미도시)은 단자 홀(H1)과 코어 홀(H2)이 방수 영역인 메인 개구부(1a)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도 7 참조). 예를 들어, 캡 하우징(11)이 후술하는 캡 헤드(112)를 포함할 경우, 메인 개구부(1a)는 캡 헤드(112)의 테두리에 의해 정의되고, 코어 홀(H2)은 캡 헤드(11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접속 단자(미도시)의 전체 크기가 클 경우, 캡 하우징(11)이 후술하는 캡 헤드(112)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방수 영역은 접속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홀(H1)이며, 이 홀을 따라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일이 장착되는 영역일 수 있다. 단자 홀(H1)의 테두리 부분 중 일부는 코어 홀(H2)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 홀(H2)은, 접속 단자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접속 단자와 단자 홀(H1)의 내측 사이의 이격 거리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코어 홀(H2)을 방수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요구되지 않는다.
캡 헤드(112)는 캡 바디(11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메인 개구부(1a)를 형성할 수 있다. 캡 헤드(112)는 접속 단자(12)를 둘러쌀 수 있다. 캡 헤드(112)는, 암 커넥터(2)에 대한 수 커넥터(1)의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캡 헤드(112)는 전자 부품이 커넥터 어셈블리(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고정 구조물(113)은 캡 바디(111) 내측에 수용되는 연결 파트(1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캡 돌기(113)는 캡 바디(111) 내측에 수용되는 연결 파트(1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캡 돌기(113)는 후술하는 지지 로드(132) 보다 캡 하우징(11)의 내벽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코어 홀(H2)은 상대적으로 중앙부에 가까이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캡 돌기(113)는 연결 파트(13)를 고정시키는 구성일 뿐, 보호 파트(14)를 지지하는 구성(지지로드, 132)은 연결 파트(13)의 테두리부에 별도로 구비되므로,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캡 돌기(113)는 슬라이더(16)를 관통하여 연결 파트(1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캡 돌기(113)는 연결 파트(13)가 커넥터 어셈블리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반면, 캡 돌기(113)는 슬라이더(16)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다. 캡 돌기(113)는, 캡 바디(111)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캡 바디(11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 바디(1131)와, 돌기 바디(1131)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연결 파트(13)를 고정시키는 돌기 헤드(1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 바디(1131)는, 암 커넥터(2)에 대한 수 커넥터(1)의 결합 방향(-x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 헤드(1132)는 돌기 바디(1131)의 돌출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기 바디(1131)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파트(13)는, 연결 파트(13)가 캡 바디(111)에 완전히 안착될 경우 돌기 헤드(1132)를 수용하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캡 돌기(113)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캡 돌기(113)의 일부는 단자 홀(H1)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형성되고, 연결 파트(13)의 다른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캡 돌기(113)는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 바디(1131)는 연결 파트(13)와 간섭되어 변형될 수 있다. 돌기 헤드(1132)는 상부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면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돌기 헤드(1132)가 돌기 바디(1131)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돌기 바디(1131)의 상단으로부터 아래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연결 파트(13)가 캡 바디(111)를 따라 하강하는 동안, 캡 돌기(113)는 연결 파트(13)에 의해 간섭되어 외측으로 변형될 수 있고, 연결 파트(13)가 캡 바디(111)에 완전히 안착될 경우 원래 상태로 복원되어 연결 파트(1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캡 돌기(113)는 돌기 바디(1131) 부분 보다 캡 바디(111)로부터 멀리 이격된 부분, 즉 돌기 헤드(1132) 부분이 두껍기 때문에, 캡 바디(111)에는 코어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코어 홀(H2)은 돌기 헤드(1132)의 아래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코어 홀(H2)은 단자 홀(H1)과 나란한 방향으로 캡 바디(111)를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도 3 참조), 캡 헤드(112)에 의해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코어 홀(H2)은 캡 헤드(11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코어 홀(H2)이 캡 헤드(112)의 내측에 형성될 경우, 캡 헤드(112)가 시일에 의해 밀봉되면 단자 홀(H1) 뿐만 아니라 코어 홀(H2)도 함께 밀봉될 수 있다. 캡 돌기(113)는 보호 파트(14)와 직접 상호 작용하는 구성이 아니고, 연결 파트(13)를 고정시키는 구성이므로 캡 바디(11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호 파트(14)와 직접 상호 작용하는 구성인 연결 파트(13)의 지지 로드(132)는 연결 파트(13)의 가장 바깥쪽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어, 보호 파트(14)의 내측에 충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접속 단자(미도시)는 수 커넥터(1)에 장착되는 전자 부품과, 암 커넥터(2)에 장착되는 전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접속 단자는 캡 하우징(11)의 단자 홀(H1)에 장착될 수 있다. 접속 단자(1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접속 단자(12)의 하단부는 캡 헤드(112)의 돌출 방향으로 노출되고, 접속 단자(12)의 상단부는 캡 돌기(113)의 돌출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접속 단자(12)의 상단부는 보호 파트(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연결 파트(13)는 캡 하우징(11) 내에 장착되고, 보호 파트(14)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 파트(13)는 보호 파트(14)가 상하로 이동할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연결 파트(13)에 의해, 코어 홀(H2)은 단자 홀(H1)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캡 헤드(11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으며, 보호 파트(14)는 연결 파트(13)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지지 로드(132)에 의해 지지되어 내측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연결 파트(13)는 연결 바디(131), 지지 로드(132) 및 제 1 스토퍼(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파트(13)는 지지 로드(132)를 캡 돌기(113)와 다른 위치에 마련할 수 있다. 코어 홀(H2)의 위치 설정을 위해, 다시 말하면, 코어 홀(H2)은 메인 개구부(1a) 내측으로 마련하기 위해, 캡 돌기(113)가 상대적으로 중앙부에 형성되더라도, 연결 파트(13)는 지지 로드(132)를 테두리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바디(131)는 캡 하우징(11)에 장착될 수 있다. 연결 바디(131)는 캡 돌기(113)의 돌기 헤드(1132)를 수용하기 위한 연결 바디 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 바디(131)가 캡 하우징(11)에 완전히 삽입되면 캡 돌기(113)의 돌기 헤드(1132)는 연결 바디(13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전용 지그를 통해 캡 돌기(113) 및 연결 바디(131)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연결 바디(131)는 접속 단자를 통과시키는 홀을 구비하는 연결 베이스(131a)와, 연결 베이스(131a)의 테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 측벽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로드(132)는 보호 파트(14)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로드(132)는 연결 베이스(131a)로부터 연결 측벽부(131b)와 나란하게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로드(132)는, 헤드 수용부(132a)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수용부(132a)는 수 커넥터(1) 및 암 커넥터(2)가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도 1 참조), 암 헤드(1422)를 수용할 수 있다. 헤드 수용부(132a)는 보호 암(142)이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접속 단자(1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캡 돌기(113)는 플러그 하우징(22)의 내측에 마련되고, 지지 로드(132)는 플러그 하우징(22)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스토퍼(133)는 보호 파트(14)가 연결 파트(13)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스토퍼(133)는 연결 파트(13)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각각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스토퍼(133)는 예를 들어 연결 바디(13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으로 형성된 돌기를 가질 수 있다. 작업자는 보호 파트(14)를 처음 연결 파트(13)에 결합시킬 때, 보호 파트(14)를 강하게 누름으로써, 보호 파트(14)를 연결 파트(13)에 결합시킬 수 있다. 연결 파트(13)에 결합된 보호 파트(14)는 제 1 스토퍼(133)에 의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보호 파트(14)는 접속 단자의 상단 끝 부분을 지지하여, 접속 단자가 암 커넥터(2)와 올바르게 정렬되도록 보조하고, 접속 단자(12)가 파손되지 않도록 접속 단자(12)를 보호할 수 있다. 보호 파트(14)는 연결 파트(13)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보호 파트(14)가 연결 파트(13)의 지지 로드(132)에 의해 지지되는 동안, 보호 파트(14)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22)의 외측에 형성되는 구동부(23)는 보호 파트(14)를 플러그 하우징(22) 쪽으로 가압하여 탄성 변형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보호 파트(14)는 더 이상 지지 로드(132)에 의해 지지될 수 없고 하강하게 된다. 보호 파트(14)는 암 커넥터(2)가 수 커넥터(1)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암 커넥터(2)와 간섭되어, 보호 파트(14)에 대해 상승할 수 있다. 보호 파트(14)는 보호 바디(141) 및 보호 암(142)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바디(141)는 접속 단자를 지지하기 위한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보호 바디(141)는 접속 단자(12)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 바디(13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보호 바디(141)는 접속 단자를 통과시키는 홀을 구비하는 보호 베이스(141a)와, 보호 베이스(141a)의 테두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호 측벽부(141b)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베이스(141a)는 연결 베이스(131a)와 접속 단자(1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보호 암(142)은 보호 바디(141)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호 암(142)은 암 커넥터(2)와 간섭할 수 있다. 보호 암(142)은 암 커넥터(2)가 수 커넥터(1)로 장착되는 동안 구동부(23)에 의해 내측으로 변형되고, 암 커넥터(2)가 수 커넥터(1)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구동부(23)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보호 암(142) 및 암 커넥터(2)의 간섭에 대해서는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 2 스토퍼(15)는, 보호 파트(14)가 연결 파트(13)에 장착되는 동안 일시적으로 변형되고, 보호 파트(14)가 연결 파트(13)에 장착된 상태에서 형상이 복원되어 연결 파트(13) 및 보호 파트(14)를 결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스토퍼(15)는 연결 파트(13)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보호 파트(14)가 연결 파트(1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스토퍼(15)는 보호 파트(14)를 관통할 수 있다. 제 2 스토퍼(15)는 연결 바디(13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결속 바디(151)와, 결속 바디(151)의 돌출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속 돌기(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토퍼(133) 및 제 2 스토퍼(15)는 모두 보호 파트(14)가 연결 파트(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면에는 제 2 스토퍼(15) 및 제 1 스토퍼(133)가 모두 도시되어 있으나,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제 2 스토퍼(15) 및 제 1 스토퍼(13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슬라이더(16)는 연결 파트(13)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속 단자가 연결 파트(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16)는 연결 바디(131)에 대해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접속 단자(12)에 삽입되고, 연결 바디(131)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여, 접속 단자(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접속 단자(12)는 슬라이더(16)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16)는 슬라이더 바디(161) 및 슬라이더 레버(16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 바디(161)는 연결 파트(13)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슬라이더 바디(161)는 연결 파트(13)를 중심으로 보호 파트(14)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파트(13)는 고정된 상태로 보호 파트(14)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연결 파트(13)의 하측에 구비된 슬라이더 바디(161)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접속 단자(12)의 홈에 삽입되거나 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슬라이더 레버(162)는 슬라이더 바디(161)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을 슬라이더 바디(161)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슬라이더 레버(162)에 힘을 가하여 슬라이더 바디(161)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 레버(162)는 슬라이더 바디(161)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단부가 보호 파트(14)를 통과할 수 있다. 슬라이더 레버(162)는 캡 하우징(11)의 내부에 연결 파트(13) 및 보호 파트(14)가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슬라이더 바디(161)가 연결 파트(13) 및 보호 파트(14)의 하측에 위치하더라도, 슬라이더 레버(162)의 상단부는 보호 파트(14)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슬라이더 바디(161)가 연결 파트(13)의 하측에 위치하더라도, 사용자는 용이하게 슬라이더 바디(161)를 조작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22)은 보호 파트(14)를 연결 파트(13)의 바닥면을 향하여 밀어낼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파트(13)의 바닥면이란, 보호 파트(14)가 지지 로드(13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보호 파트(14)로부터 이격되고 보호 파트(14)를 마주하는 표면을 말한다. 플러그 하우징(22)은 케이스(21)의 중앙부의 전방에 연결되고, 캡 하우징(1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보호 파트(14)에 장착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22)은 하우징 돌기(221)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돌기(221)는 보호 파트(14)에 맞물려, 플러그 하우징(22)과 보호 파트(14) 사이의 정렬을 보조할 수 있다.
구동부(23)는 플러그 하우징(2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23)는 수 커넥터(1) 및 암 커넥터(2)가 서로 결합하는 동안, 서로 고정되어 있는 연결 파트(13) 및 고정 파트(14)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구동부(23)는 플러그 하우징(22)이 보호 파트(14)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동안, 보호 파트(14)의 적어도 일부를 탄성 변형 시킬 수 있다. 암 커넥터(2)는 구동부(23)를 통해 연결 파트(13) 및 보호 파트(14)의 상호 지지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으며, 구동부(23)를 통해 보호 파트(14)를 다시 들어올릴 수도 있다.
도 5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더 및 연결 파트의 저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캡 돌기가 연결 파트에 고정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더 바디(161)는 캡 돌기(113)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슬라이더 홀(161a)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 홀(161a)은 슬라이더 바디(161)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캡 돌기(113)는 연결 파트가 캡 하우징에 장착되는 동안 슬라이더 바디(161)를 관통하고, 연결 바디(131)에 의해 간섭되어 변형된다. 캡 돌기(113)는 연결 파트가 캡 하우징에 완전히 장착될 경우 원래 상태로 복원되어, 연결 파트가 캡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함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각각 일 실시 예에 따른 보호 파트가 연결 파트로부터 분리되어 하강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보호 파트(14)는 보호 바디(141) 및 보호 암(142)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바디(141)는 연결 파트(1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보호 암(142)은 연결 파트(13)에 의해 지지되며, 보호 바디(141)는 연결 파트(13)에 대해 하강하지 않지만, 구동부(23)에 의해 외력이 인가될 경우 보호 암(142)은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게 되고, 보호 바디(141)는 연결 파트(13)에 대해 하강할 수 있다.
보호 암(142)은 보호 바디(141)의 테두리부에 형성되고, 구동부(23)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2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보호 암(142)은 보호 바디(141)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보호 암(142)은 암 바디(1421), 암 헤드(1422) 및 종동부(1423)를 포함할 수 있다.
암 바디(1421)는 보호 바디(14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암 바디(1421)는 상측에서 2개로 분지될 수 있다. 2개로 분지된 암 바디(1421) 사이의 공간으로 구동 바디(231)가 통과할 수 있다. 구동부(23)는 보호 암(142)과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암 헤드(1422)는 암 바디(1421)의 상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연결 파트(13)에 걸림 가능하다. 암 헤드(1422)는 2개로 분지된 각각의 암 바디(1421)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암 헤드(1422)도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암 바디(1421)도 분지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암 헤드(1422)도 1개로 구비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암 헤드(1422)는 암 바디(1421)와 마찬가지로 구동부(23)와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구동부(23)는 암 헤드(142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종동부(1423)는 암 바디(1421)의 상단부로부터 암 헤드(1422)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종동부(1423)는 암 바디(1421) 및 암 헤드(1422)와 달리 구동부(23)와 간섭할 수 있다. 구동부(23)는 종동부(1423)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종동부(1423)는 구동 헤드(232)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보호 암(142)은 종동부(1423)를 통해 구동부(23)로부터 외력은 인가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동부(1423)는 개로 분지된 각각의 암 바디(1421)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종동부(1423)도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종동부(1423)는 암 바디(1421)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과, 제 1 부분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3)는 종동부(1423)의 제 2 부분과 간섭하게 된다. 종동부(1423)는 플러그 하우징(22) 및 구동 헤드(23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종동부(1423)가 플러그 하우징(22) 및 구동 헤드(232)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종동부(1423)는 플러그 하우징(2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구동부(23)는 보호 암(142)과 상호 간섭할 수 있다. 구동부(23)는 구동 바디(231) 및 구동 헤드(23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바디(231)는 플러그 하우징(22)의 삽입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보호 파트(14)의 보호 암(142)을 통과할 수 있다.
구동 헤드(232)는 구동 바디(231)의 단부에 형성되고, 보호 파트(14)에 간섭하여 보호 파트(14)를 변형시킬 수 있다. 구동 헤드(232)는 플러그 하우징(22)의 삽입 방향을 따라 플러그 하우징(22)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해제 경사면(23a)을 포함할 수 있다. 해제 경사면(23a)은 구동 헤드(232)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해제 경사면(23a)은 구동 헤드(232)의 하면과, 플러그 하우징(22)을 마주하는 측면(23b) 사이에 마련된 경사면일 수 있다.
구동 헤드(232)는 해제 경사면(23a)을 통해 보호 암(142)에 접촉할 수 있다. 해제 경사면(23a)은 경사진 형상을 가지므로, 구동 헤드(232)는 연직 하방이 아니라, 하방 및 내측 방향으로 보호 암(142)에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호 암(142)은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해제 경사면(23a)은 종동부(1423)의 상면(1423a) 및 측면(1423b) 사이 영역에 접촉할 수 있다. 종동부(1423)의 상면(1423a) 및 측면(1423b)은 라운딩 처리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각진 연결부를 가질 수도 있다.
종동부(1423) 및 구동 헤드(232) 중 어느 하나는, 플러그 하우징(22)이 캡 하우징(11, 도 2 참조)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다른 하나에 접촉하는 분리 경사면(23c, 1423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동부(1423)의 하측 일면(1423c) 및 구동 헤드(232)의 상측 일면(23c) 중 어느 하나는 분리 경사면으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구동 헤드(232)의 상층 일면(23c) 및 종동부(1423)의 하측 일면(1423c) 각각이 모두 경사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나, 구동 헤드(232)의 상측 일면(23c) 및 종동부(1423)의 하측 일면(1423c) 중 어느 하나의 면만이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구동 헤드(232)의 상측 일면(23c) 및 종동부(1423)의 하측 일면(1423c) 각각은 모두 분리 경사면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헤드(232)의 상측 일면(23c)은 플러그 하우징(22)의 삽입 방향을 따라 플러그 하우징(22)에 점차 가까워지는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동 헤드(232)는 분리 경사면(23c)을 통해 보호 암(142)에 접촉할 수 있다. 분리 경사면(23c)은 경사진 형상을 가지므로, 구동 헤드(232)는 연직 상방이 아니라, 상방 및 내측 방향으로 보호 암(142)에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호 파트(14)가 제 1 스토퍼(133, 도 2 참조)에 의해 걸린 상태에서 더 이상 들어올려질 수 없을 때, 보호 암(142)은 분리 경사면(23c)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앞서 구동 헤드(232)의 상면(23c)이 분리 경사면으로 기능하는 것을 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종동부(1423)의 하면(1423c)이 경사진 형상을 갖고 분리 경사면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보호 파트가 구동부에 의해 상승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구동 바디(231)가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암 헤드(1422)는 헤드 수용부(132a)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고, 암 바디(1421)는 변형되지 않은 상태, 즉 복원 상태일 수 있다. 이하, 플러그 하우징이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구동부(23) 및 보호 파트(14)의 상호 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플러그 하우징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구동부(23) 및 종동부(1423)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3)의 분리 경사면인 상측 일면(23c)은 종동부(1423)의 분리 경사면인 하측 일면(1423c)에 접촉할 수 있다. 구동부(23)는 종동부(1423)를 상측 및 내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방향이란, 종동부(1423)가 구동 바디(231)에 근접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구동부(23)가 종동부(1423)를 가압함에 따라, 암 바디(1421)는 내측 방향으로 굽어질 수 있고, 암 헤드(1422)는 헤드 수용부(132a)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동안, 구동부(23)는 종동부(1423)를 지지한 상태로 보호 파트(14)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암 헤드(1422)가 지지 로드(132)의 상단부 근방에 도달할 경우(도 13의 왼쪽 그림 참조), 암 바디(1421)는 다시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고, 암 헤드(1422)는 지지 로드(132)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 파트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플러그 하우징이 보호 파트(14)로부터 분리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암 헤드(1422)가 지지 로드(132)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이 외력에 의해 다시 상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경우, 구동부(23)는 다시 종동부(1423)를 상측 및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 때, 보호 파트(14)는 제 1 스토퍼(133) 및/또는 제 2 스토퍼(15)에 의해 지지되므로, 연결 파트(13)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암 바디(1421)는 내측 방향으로 굽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플러그 하우징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힘에 따라 굽어진 정도는 점차 커질 수 있다. 암 바디(1421)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내측 방향으로 굽어질 경우, 구동부(23)는 종동부(1423) 및 지지 로드(132) 사이를 완전히 통과할 수 있고, 구동 바디(231)는 보호 파트(1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5)

  1. 캡 하우징과,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접속 단자와,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연결 파트와, 상기 연결 파트에 걸린 상태로 상기 연결 파트에 의해 지지되는 보호 파트를 포함하는 수 커넥터; 및
    상기 캡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상기 보호 파트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동안, 상기 보호 파트의 적어도 일부를 탄성 변형시키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삽입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호 파트를 통과하는 구동 바디; 및
    상기 구동 바디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보호 파트에 간섭하여 상기 보호 파트를 변형시키는 구동 헤드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헤드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삽입 방향을 따라 상기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해제 경사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보호 파트가 상기 연결 파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파트는,
    상기 연결 파트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보호 바디; 및
    상기 보호 바디의 테두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 헤드에 의해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보호 암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암은,
    상기 보호 바디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암 바디;
    상기 암 바디의 상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 파트에 걸림 가능한 암 헤드; 및
    상기 암 바디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암 헤드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구동 헤드에 의해 가압되는 종동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 및 구동 헤드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 및 구동 헤드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상기 캡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다른 하나에 접촉하는 분리 경사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수 커넥터 및 암 커넥터가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보호 암을 원래 형상으로 복원시키기 위해 상기 암 헤드를 수용하기 위한 헤드 수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 및 연결 파트는 서로 별개의 부재로 제작된 이후 조립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접속 단자를 지지하기 위한 단자 홀을 포함하는 캡 바디; 및
    상기 캡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파트를 고정시키는 고정 구조물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바디는, 상기 고정 구조물의 하방에 형성되는 코어 홀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홀은, 상기 접속 단자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캡 바디의 내측을 방수 처리하기 위한 방수 영역 내에 위치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캡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접속 단자를 둘러싸는 캡 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어 홀은, 상기 접속 단자의 길이 방향으로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상기 캡 헤드의 테두리부에 의해 규정되는 경계의 내부에 마련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연결 파트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접속 단자가 상기 연결 파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바디; 및
    외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더 바디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 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더 레버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90056330A 2019-01-25 2019-05-14 커넥터 어셈블리 KR202000928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952 2019-01-25
KR20190009952 2019-01-25
KR1020190012101 2019-01-30
KR20190012101 2019-0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828A true KR20200092828A (ko) 2020-08-04

Family

ID=7204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330A KR20200092828A (ko) 2019-01-25 2019-05-14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28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83515A (zh) * 2020-11-30 2022-06-03 住友电装株式会社 第1连接器、第2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83515A (zh) * 2020-11-30 2022-06-03 住友电装株式会社 第1连接器、第2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8477B1 (ko) 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JP6819903B2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EP2156519B1 (en) Plug connector housing with a fixing for an electric contact element and a cable
JP5876510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CN104466533B (zh) 基板连接用电连接器装置
CN100578866C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KR20140144137A (ko) 가이드 금구 부착 전기 커넥터
CN110289517B (zh) 公连接器和包括该公连接器的连接器组件
US20120033922A1 (en) Optical connector, removal tool, and optical connector-removing structure
CN109428203B (zh) 连接器装置以及阳型连接器
CN112470348B (zh) 连接器及连接器装置
CN110098527B (zh) 电线盖及连接器
JP6824703B2 (ja) コンタクトデバイス止めばね、電気コンタクトデバイスアセンブリおよび電気コネクタ
KR20200077919A (ko) 방수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방수커넥터조립체
CN107706582B (zh) 摄像装置
KR100990021B1 (ko) 커넥터 구조
KR20200092828A (ko) 커넥터 어셈블리
JP6850356B2 (ja) コネクタ
JP2010040199A (ja) コネクタ
US11296470B2 (en) Battery pack with electrical connector mechanism that maintains waterproof integrity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276966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lignment plate and seal
US9903538B2 (en) Connector for LED module substrate
KR102629846B1 (ko) 복수의 공간적 방향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 부품
US7458841B2 (en) Wire cover and a locking construction therefor
US10205278B2 (en) Connector conne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