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137A - 가이드 금구 부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가이드 금구 부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137A
KR20140144137A KR20140064794A KR20140064794A KR20140144137A KR 20140144137 A KR20140144137 A KR 20140144137A KR 20140064794 A KR20140064794 A KR 20140064794A KR 20140064794 A KR20140064794 A KR 20140064794A KR 20140144137 A KR20140144137 A KR 20140144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uide
wall
attach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4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8121B1 (ko
Inventor
토루 유노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4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Abstract

(과제)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의 가이드를 행하는 가이드 금구(金具)의 내마모성 그리고 강도를 향상시킨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가이드 금구(30)는,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당해 가이드 금구(30)의 판면이 하우징(10)의 둘레벽(13)의 대응 벽면에 대면하여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 금구(30)는, 한 쌍의 측벽의 단부측에 형성된 부착부(14B)로 부착되는 피(被)부착부(31)와, 당해 피부착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갖고, 피부착부(31)는 대략 역(逆) U자 형상을 이루고 있어 측벽의 상기 부착부(14B)로 상방으로부터 걸치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상면(31C)에서 경사면을 이루는 가이드면을 갖고, 연결부(33)는 단부벽 또는 저벽의 수용부측 내벽면을 따라 위치하고 있고, 상기 피부착부의 가이드면에서 상대 커넥터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커넥터 끼워맞춤시의 가이드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가이드 금구 부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WITH GUIDE MEMBER}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당해 상대 커넥터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금구(金具)를 갖고 있는 가이드 금구 부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대 커넥터가 삽입 및 발출되는 커넥터에는,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 삽입시에 당해 상대 커넥터를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 금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한 쌍의 커넥터를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다른 한쪽의 커넥터(특허문헌 1에서는 플러그 커넥터 B라고 칭해지고 있음)는 하우징의 측벽 그리고 단부벽으로 형성된 둘레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상대 커넥터가 끼워넣음되는 수용부로서 형성하고, 상기 둘레벽의 외주면을 이루는 측벽과 단부벽의 외면에 금속판 부재로부터 만들어진 측면측 실드와 단측 실드를 각각 부착하고, 양자를 부분적으로 접촉시키도록 보유지지함으로써 틀 형상의 실드 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측면측 실드도 단측 실드도, 그들의 상연(上緣)으로부터 연장되어 역(逆) U자 형상으로 굴곡된 접촉편이고, 끼워맞춤 후의 상대 커넥터의 실드 접촉편부를 형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측면측 실드와 단측 실드가, 어떻게 하여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는지 기재가 충분히 없어 불명하지만, 측면측 실드는 띠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2개의 측벽의 각각에 대하여, 하우징의 측벽에 접면하도록 배치되고, 측벽 외면에 형성된 홈부의 양단의 홈단부 내벽이 상기 측면측 실드의 긴쪽 방향 단면을 협압하여 보유지지하고 있다고 추측되고, 또한, 단측 실드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횡(橫) U자 형상을 이루도록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대향하는 개방단 다리부가 서로 가까워지는 쪽으로 경사져 있고, 따라서, 이 2개의 개방단 다리부가 2개의 측면측 실드의 일단측을 외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협압하도록 하여 보유지지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이 단측 실드가 그 개방 다리부에서 2개의 측면측 실드를 탄성적으로 협압함으로써, 단측 실드가 보유지지된 상태에서 측면측 실드에 대하여 전기적으로도 접촉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측면측 실드와 단측 실드에 의해 틀 형상의 실드 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당해 실드 부재가 하우징을 포위하고 있고, 반복의 커넥터 삽입 및 발출에 대하여, 삽입 및 발출시의 상대 커넥터와의 접촉면에서의 하우징의 마모 그리고 손상으로부터 하우징을 보호한다는 관점에서 강도 향상을 위한 금구로서도 기능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59589호
특허문헌 1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실드 부재에 형성된 실드 접촉편은 모두, 수용부측이 되는 내방에서 하방으로 향하여 역 U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실드 접촉편의 자유단측 부분이 둘레벽의 내면보다도 수용부로 향하여 내방으로 돌출되어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드 접촉편은,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 과정에서, 당해 상대 커넥터의 실드 부재의 대응부와 접촉하여 탄성 변형하면서 안내하는 가이드 금구로서의 기능도 갖게 된다. 측면측 실드에는 실드 접촉편의 내면측에 돌기 그리고 단측 실드에는 실드 접촉편의 내측에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된 상대 커넥터의 실드 부재의 대응 부분에 형성된 구멍부 그리고 돌기와 각각 걸어맞춤 접촉시켜, 실드 접촉편끼리의 도통을 도모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상기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실드 접촉편끼리의 접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측면측 실드의 역 U자 형상의 실드 접촉편도, 단측 실드의 역 U자 형상의 실드 접촉편도 탄성을 얻을 수 있도록, 역 U자 형상을 이루는 양 다리 중 자유단측의 다리는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있지 않고, 탄성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간극을 하우징과의 사이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실드 접촉편은, 탄성적으로 상대 실드 접촉편과 접촉하고 있는 이상, 접촉 부위에는, 탄성 변위량에 따른 접압을 발생시키고 있고, 상대로부터 반력을 받은 상태에서 상기 돌기와 구멍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걸어맞춤하고 있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를 발출하는 경우, 상기 돌기와 구멍부에서의 걸어맞춤력에 알맞은 힘 외에, 상기 접압에 의한 반력하에 발생하는 마찰력 이상의 힘을 상대 커넥터에 대하여 발출력으로서 부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발출력은, 그대로 상기 실드 접촉편에 작용하게 되지만, 당해 실드 접촉편은, 탄성 변위 가능해지도록 변위 자유이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지 않아, 접압 방향뿐만 아니라 발출 방향으로도 변형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발출력을 반복하여 받으면, 실드 접촉편의 소성 변형 그리고 손상과 같은 사태도 발생할 수도 있고, 하우징 보호를 위한 금구로서 강도가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의 가이드를 행하면서, 하우징의 보호를 행하는 상대 커넥터의 반복의 삽입 및 발출에 의해서도 마모 그리고 손상이 최대한 낮고 충분한 강도를 갖는 가이드 금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금구 부착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의 저벽의 주위부로부터 기립하고 있음과 함께 하우징의 긴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과 당해 한 쌍의 측벽의 상기 긴쪽 방향 단부끼리를 긴쪽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짧은쪽 방향에서 연결하는 한 쌍의 단부벽으로 형성되는 둘레벽을 갖고, 당해 하우징에는 상방으로부터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측벽의 양단부의 단자 배열 영역 밖에 가이드 금구가 부착되어 있고, 각 가이드 금구는,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당해 가이드 금구의 판면이 둘레벽의 대응 벽면에 대면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금구 부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각 가이드 금구는, 한 쌍의 측벽의 단부측에 형성된 부착부로 부착되는 피(被)부착부와, 당해 피부착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피부착부는 대략 역 U자 형상을 이루고 있어 측벽의 상기 부착부로 상방으로부터 걸치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상면에서 경사면을 이루는 가이드면을 갖고, 연결부는 단부벽 또는 저벽의 수용부측 내벽면을 따라 위치하고 있고, 상기 피부착부의 가이드면에서 상대 커넥터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커넥터 끼워맞춤시의 가이드를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 금구의 피부착부(역 U자 형상)가 측벽의 부착부로 상방으로부터 걸치도록 부착되고, 당해 측벽의 내외벽면에서 보유지지되기 때문에, 탄성 변형되는 일도 없이 고정 위치에 있어 그 보유지지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2개의 피부착부가 연결부에서 연결되고, 당해 연결부가 단부벽 내면에 위치하고 있어 최단의 연결 거리로 연결부를 짧게 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 강도가 크고, 따라서, 가이드 금구 전체의 강도가 향상된다. 이 가이드 금구의 피부착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이 가이드면으로서 기능하여 상대 커넥터의 도입시의 가이드를 행한다. 가이드 금구가 금속인 것에 의한 내마모성 향상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피부착부가 고정적으로 보유지지되어 연결부에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가이드 금구 전체의 강도가 크기 때문에, 당해 가이드 금구는, 하우징으로부터 어긋남, 소성 변형 손상의 방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 금구는, 연결부로부터 기립하여 대략 역 U자 형상을 이루는 부(副)피부착부도 갖고, 당해 부피부착부가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는 단부벽의 부부착부로 상방으로부터 걸치도록 하여 부착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피부착부는 피부착부와 동일하게 대략 U자 형상이 되어 단부벽으로 상방으로부터 부착되기 때문에, 피부착부와 동일한 강도 향상이라는 특징을 가져온다. 따라서, 가이드 금구는, 피부착부가 2개 갖고 있을 뿐의 경우에 비교하여 부피부착부의 수만큼 강도가 향상되고, 예를 들면, 부피부착부가 1개 형성되어 있는 것만으로, 단순히, (2+1)/2=1.5배의 강도 향상이 얻어지게 된다.
부피부착부는, 연결부의 중간 위치로부터 기립하게 되기 때문에, 연결부 자체의 보강도 되고, 이 점에서도, 결과적으로 가이드 금구의 강도 향상에 공헌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 금구는, 측벽의 대응 부분 그리고 단부벽의 대응 부분에 가이드 금구의 판두께와 거의 동일한 치수만큼, 긴쪽 방향 그리고 짧은쪽 방향에서 수용부의 내폭이 크게 형성된 확폭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금구가 이러한 확폭부에 수용되면, 가이드 금구와 하우징의 측벽의 내면이 거의 동일 레벨면이 되어, 커넥터 끼워넣음시의 상대 커넥터의 원활한 가이드가 가능해져, 금속면에서의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시의 강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 금구는, 피부착부와 부피부착부의 중 적어도 피부착부가 둘레벽 외면을 따라 하우징 저벽의 하면의 레벨까지 수하(垂下)되어 있어, 커넥터 부착 대상 부재의 땜납 부착부로의 땜납 부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커넥터 부착 대상 부재, 예를 들면, 회로 기판의 땜납 부착부로 피부착부를 땜납 부착함으로써, 가이드 금구를 그랜드 부재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고, 또한 커넥터의 회로 기판으로의 부착 강도도 향상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의 가이드를 행하는 가이드 금구에 역 U자 형상의 피부착부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긴쪽 방향 단부 즉 단부벽에 가까운 위치에서 대향하는 2개의 측벽으로 각각 피부착부를 상방으로부터 걸치도록 부착하여 양 피부착부를 단부벽의 내면을 따라 위치하는 연결부로 연결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의 삽입 및 발출시에, 금속 대(對) 금속 접촉에 의해 내마모성이 향상될뿐만 아니라, 피부착부가 탄성 변형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측벽의 내외벽면에서 단단히 보유지지되기 때문에 부착 강도가 향상되고, 또한, 단부벽의 내면측이기 때문에 짧은 거리로서 형성되는 연결부로 부착부끼리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금구 자체의 강도도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한쪽의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로서의 다른 한쪽의 커넥터(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A)는 한쪽의 커넥터, 도 1(B)는 다른 한쪽의 커넥터이며, 모두 끼워맞춤 방향을 상측으로 한 자세로 나타나 있다.
도 2는 도 1의 양 커넥터를 끼워맞춤 직전의 위치 그리고 자세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한쪽의 커넥터를, 가이드 금구가 분리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부착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다른 한쪽의 커넥터를, 가이드 금구가 분리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양 커넥터의 끼워맞춤 직전의 위치 그리고 자세로 나타내는, 가이드 금구의 위치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양 커넥터의 끼워맞춤 완료시를 나타내는, 가이드 금구의 위치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양 커넥터의 끼워맞춤 직전의 위치 그리고 자세로 나타내는, 중앙 돌출벽(중앙 오목부) 위치에서의 긴쪽 방향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양 커넥터의 끼워맞춤 완료시를 나타내는, 중앙 돌출벽(중앙 오목부) 위치에서의 긴쪽 방향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이하, 커넥터(1)라고 함) 및 이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춤되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2)(이하, 상대 커넥터(2)라고 함)의 사시도이며, 커넥터 끼워맞춤 전의 상태에서 모두 끼워맞춤측을 상방으로 향하여 나타내고 있고, 도 1(A)는 리셉터클 커넥터, 도 1(B)는 플러그 커넥터이다.
도 2는, 하방에 위치하는 커넥터(1)로 상방으로부터 상대 커넥터(2)를 끼워맞춤시키도록 한 끼워맞춤 직전의 자세로 나타낸 양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커넥터(1)는 도 1(A)과 동일한 자세이지만, 상대 커넥터(2)는 도 1(B)의 것을 상하 반전시킨 자세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1) 및 상대 커넥터(2)는, 각각 상이한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이며, 각 회로기판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도 2에서의 상하 방향)을 삽입 및 발출 방향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1)에 대한 상대 커넥터(2)의 끼워맞춤 방향, 즉 도 2에서 상대 커넥터(2)를 하방으로 향하여 이동시키는 방향을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 즉 도 2에서의 상방으로 향하는 방향을 「커넥터 발출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와 상대 커넥터(2) 중, 우선, 커넥터(1)에 대해서 설명한다. 커넥터(1)는, 도 1(A) 그리고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박형의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과, 당해 하우징(10)의 긴쪽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고 당해 하우징(10)에 의해 2열로 배열 보유지지되는 복수의 단자(20)와, 상기 긴쪽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단부에 보유지지되어 상대 커넥터를 안내하는 가이드 금구(30)를 갖고 있다. 당해 커넥터(1)는, 도 2에서 나타나는 자세로, 회로 기판 상에 배치 실장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으며, 회로 기판의 실장면과 평행한 일방향을 긴쪽 방향(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당해 하우징(10)은, 상기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저면을 갖는 저벽(11)(도 2 및 도 3 참조)과, 도 1에서, 당해 저벽(11)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기립함과 함께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섬 형상의 중앙 돌출벽(12)과, 상기 저벽(11)의 둘레부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기립함과 함께 상기 중앙 돌출벽(12)을 둘러싸는 틀 형상의 둘레벽(13)을 갖고 있다. 당해 둘레벽(13)은, 상기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14)과, 당해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측벽(14)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부벽(15)을 갖고 있다. 상기 중앙 돌출벽(12)과 이것을 둘러싸는 둘레벽(13)과의 사이에서 상방으로 향하여 개구하는 환상(環狀) 공간은, 상대 커넥터(2)의 대응하는 섬 형상의 끼워맞춤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6)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14)은,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복수의 단자를 배열 보유지지하여 단자 배열 영역을 정하는 단자 보유지지부(14A)와, 이 단자 보유지지부(14A)에 대하여 상기 긴쪽 방향 양단측 영역, 즉 단자 배열 영역 밖에 위치하고, 가이드 금구(30)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14B)를 갖고 있다. 당해 부착부(14B)는, 상기 커넥터 폭방향에서 상기 단자 보유지지부(14A)보다도 팽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당해 단자 보유지지부(14A)에 대하여 계단 형상을 이루어 당해 커넥터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환언하면,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 부착부(14B)에 대하여 단자 보유지지부(14A)에서 잘록해진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당해 부착부(14B)의 상기 폭방향에서의 외벽면 위치는, 측벽(14)의 단자 보유지지부(14A)에서 보유지지되어 있는 단자가 회로 기판과의 땜납 접속되기 위해 단자 보유지지부(14A)의 외측 벽면의 하부로부터 폭방향 외방으로 연출되는 접속부보다도 조금 외측의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14B)의 상기 폭방향에서의 내벽면 위치도, 단자 보유지지부(14A)에 비하여, 후술의 가이드 금구(30)의 판두께분만큼 폭넓은 확폭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금구는, 상기 확폭부에 수용된다. 가이드 금구가 이러한 확폭부에 수용되면, 가이드 금구의 내측 다리부(31A) 및 로크 돌기부(31A-1)와 하우징의 측벽의 내면 및 단자에 형성된 돌기부(21A)가 거의 동일 레벨면이 되어, 커넥터 끼워넣음시의 상대 커넥터의 원활한 가이드가 가능해져, 금속면에서의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시의 강도가 향상된다. 상기 하우징(10)에 관해서는, 단자(20) 그리고 가이드 금구(30)와 관련하여, 재차 상술한다.
단자(20)는, 띠 형상 금속판을 그 두께 방향으로 굴곡 가공되어 있고, 단자 배열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역 U자 형상 부분과 U자 형상 부분을 연결하여 얻어지는 횡 S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단자(20)의 역 U자 형상 부분은 내측 다리부와 외측 다리부를 갖고 있으며 측벽(14)의 단자 보유지지부(14A)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21)를 이루고 있고, 당해 단자 보유지지부(14A)를 걸치도록 하고, 예를 들면 일체 성형으로 부착되고, 내측 다리부와 외측 다리부가 측벽(14)의 내면 그리고 외면에 각각 위치한다. U자 형상 부분은, 그 하곡 부분이 저벽(11)을 따라 오목 만곡하고 있으며 상기 측벽의 단자 보유지지부(14A)의 하부 위치로부터 중앙 돌출벽(12)의 측면의 위치에 걸쳐 있다. 이 U자 형상 부분의 자유단측을 이루는 부분이 상기 중앙 돌출벽(12)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탄성 아암(22)을 이루고 있다. 상기 피보유지지부(21)의 내측 다리부에는 상대 단자와의 접촉 그리고 로크를 행하는 돌기부(21A)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과 대향하는 위치에서는, U자 형상부의 탄성 아암(22)의 자유단측에는 상기 내측 다리부의 방향으로 향하여 횡 V자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된 접촉부(22A)가 형성되어 있고, 상대 커넥터의 상대 단자에 대하여 당해 접촉부(22A)가 접압을 갖고 접촉하고, 반대측에서 돌기부(21A)가 걸림되어 빠짐 방지를 위한 로크를 행한다. 이러한 단자(20)는, 대향하여 위치하는 2개의 측벽(14)의 양방에서 동일하게 보유지지되고, 커넥터 폭방향에서 섬 형상의 중앙 돌출벽(12)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긴쪽 방향에서 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단자를 본 취지로 하는 바가 아니기 때문에, 단자에 대한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측벽(14)의 긴쪽 방향 단부 배열 영역을 이루는 부착부(14B)에는, 후술의 가이드 금구의 판두께에 상당하는 치수의 홈 깊이에서 부착홈(14B-1)이 당해 부착부(14B)의 상면 그리고 내외면에 걸쳐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쪽 방향에서 동일한 단부측 위치에서, 커넥터 폭방향에서 대향하는 2개의 측벽(14)의 부착부(14B)끼리를 연결하는 단부벽(15)에도, 커넥터 폭방향 중앙 위치에 상기 부착홈(14B-1)과 동일한 부부착홈(1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부착홈(15A)도, 부착홈(14B-1)과 동일하게 단부벽(15)의 상면으로부터 내외면에 걸쳐 역 U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이 부부착홈(15A)은 하우징(10)의 저벽(11)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연통부(17)에 의해 상기 부착홈(14B-1)과 연통되어 있다. 부착홈(14B-1)이 형성되어 있는 대향하는 2개의 부착부(14B)와, 부부착홈(15A)이 형성되어 있는 단부벽(15)은, 상방으로부터 보면 직각인 모서리를 갖는 횡 U자 형상을 이루고, 상면이 내방을 향하며, 즉 수용부(16)를 향하여 내림 구배의 경사면을 갖고 있다.
가이드 금구(30)는, 금속판을 그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으며,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방향에서 대향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부착부(14B)에 형성된 부착홈(14B-1)에 부착되도록 역 U자 형상을 이루는 2개의 피부착부(31)와, 하우징(10)의 단부벽(15)에 형성된 부부착홈(15A)에 부착되도록 역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는 부피부착부(32)와, 상기 단부벽(15)의 내면에 접면 또는 간극을 형성하여 위치하는 연결부(33)를 갖고 있다. 2개의 피부착부(31)는 상기 연결부(3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피부착부(31)는, 그 단면을 나타내는 도 6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역 U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측벽(14)의 부착부(14B)의 내외에 위치하는 내측 다리부(31A) 그리고 외측 다리부(31B)와, 양자를 연결하는 상판부(31C)를 갖고 있다. 이 피부착부(31)는, 상기 부착부(14B)의 부착홈(14B-1)으로 상방으로부터 압입 부착되고, 부착 후는 당해 피부착부(31)의 내면이 부착홈(14B-1)의 홈면을 따라 위치한다.
상기 피부착부(31)는, 부착홈(14B-1)으로의 눌러넣어 끼워붙일시에, 그 양단연(커넥터의 긴쪽 방향에서 양단에 위치하는 판두께면)이 상기 부착홈(14B-1)의 홈폭 방향에서의 내단연으로부터 눌러넣을시에 반력을 받고, 이것으로 부착 보유지지력을 높이고 있다. 외측 다리부(31B)의 측연에는 돌기(31B-1)가 형성되어 있어 부착홈(14B-1)으로 파고 들어, 그 보유지지력을 강고하게 하고 있다. 당해 피부착부(31)의 상판부(31C)는, 내방으로 향하며, 즉 수용부(16)로 향하여 내림 구배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고, 상대 커넥터에 대한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내측 다리부(31A)에는, 상대 커넥터의 대응부와 서로 걸리는 로크 돌기부(31A-1)가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판부(31C)의 정점은, 상기 하우징(10)의 부착부(14B)의 정점과 거의 동일한 높이이며,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는 사면보다도 내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금구(30)의 당해 로크 돌기부는 오목 형상 또는 슬릿 형상이라도 좋고, 그 경우, 상대 커넥터 대응부는 돌출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부피부착부(32)는, 상기 2개의 피부착부(31)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33)의 상연으로부터 기립하여 외방으로 향하여 굴곡되고, 단부벽(15)의 외면 위치에서 하방으로 굴곡되어 역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부피부착부(32)도, 전술의 피부착부(31)와 동일하게, 내측 다리부(32A), 외측 다리부(32B) 그리고 내방으로 경사지는 상판부(32C)를 갖고 있고, 상기 피부착부(31)와 동일한 역 U자를 이루어 동일하게 기능하고, 부부착홈(15A)으로의 눌러넣어 끼워붙임에 의한 반력을 받아 동일하게 부착 보유지지력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당해 상판부(32C)의 정점은, 상기 하우징(10)의 단부벽(15)의 정점과 거의 동일한 높이이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보다도 내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내측 다리부(32A)에도 상대 커넥터 대응부와 서로 걸리는 로크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피부착부(31)의 내측 다리부(31A)와 부피부착부(32)의 내측 다리부(32A)가 그들의 하부에서 연결부(3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당해 연결부(33)는 둘레벽(13)의 내면 하부에 접면 또는 간극을 형성하고 있고, 부착부(14B)와 단부벽(15)과의 교점이 되는 내측 모서리부에 적합하도록, 당해 연결부(33)는 중간에서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커넥터(1)는, 하우징(10)의 저벽(11)에 섬 형상으로 위치하여 기립하는 중앙 돌출벽(12)이, 상대 커넥터(2)의 대응의 중앙 오목부에 진입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당해 중앙 돌출벽(12)의 측면에는, 단자(20)의 상기 탄성 아암(22)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탄성 아암(22)에 굴곡 형성된 접촉부(22A)만이 홈 밖에 위치하고 있고, 탄성 아암(22)은 당해 접촉부(22A)의 탄성 변위에 따라서 홈에서의 위치를 가변하게 하고 있다.
상기 중앙 돌출벽(12)은, 긴쪽 방향 단면(긴쪽 방향에서 양단에 위치하는 벽면)은, 저벽(11) 그리고 단부벽(15)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연속한 경사면(12A)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당해 경사면(12A)은, 중앙 돌출벽(12)의 상면(12B)과 저벽(11)에 대하여 각각 볼록 만곡면 그리고 오목 만곡면을 갖고 이행하여 경사가 연속하여 변화하고 있으며, 불연속인 경사 변화를 하지 않고, 중앙 돌출벽(12)의 높이 방향의 거의 전역에서 이러한 연속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중앙 돌출벽(12)의 긴쪽 방향 단면에서의 경사면(12A)과 이것에 대향하는 단부벽(15)에 있어서의 가이드 금구(30)의 부피부착부(32)의 내측 다리부(32A), 그리고, 나아가서는, 긴쪽 방향에서 상기 긴쪽 방향 단면과 내측 다리부(32A)의 사이에 위치하고, 커넥터 폭방향에서 대향하는 피부착부(31)의 내측 다리부(31A)로 사방에서 둘러싸는 공간을 형성하고, 여기에 상대 커넥터(2)의 대응부가 끼워넣음되어져 온다. 그때, 중앙 돌출벽(12)의 긴쪽 방향 단면에 있어서의 경사면(12A)의 상단측은 상면(12B)으로의 이행부로서 볼록 만곡면이 있고, 또한 가이드 금구(30)에는 부피부착부(32)의 상판부(32C), 2개의 피부착부(31)의 상판부(31C)는 내방으로 향하는 경사면이 되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사면보다도 내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상대 커넥터(2)의 대응부는 이것들 경사면에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상기 공간에 진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미 서술한 커넥터(1)의 단자(20)는, 회로 기판(P)에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23)가 하우징(10)의 측벽(14)의 단자 보유지지부(14A)의 외면 하부로부터 외방으로 연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부착부(14B)의 외면은, 커넥터 폭방향에서, 상기 단자(20)의 접속부(23)의 선단보다도 조금 외방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부착부의 강도를 높임과 함께, 상기 접속부(23)의 땜납 접속하는 땜납 패드(P1)가 상기 접속부(23)의 선단보다도 조금 장출되어 있어도, 당해 패드(P1)를 위해 점유하는 회로 기판의 범위는, 커넥터 폭방향에서, 부착부(14B)는 거의 동일하게 되어, 회로 기판의 면을 유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대 커넥터(2)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상대 커넥터(2)도 이미 나온 커넥터(1)와 동일하게, 대응하는 회로 기판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와 상대 커넥터가 끼워맞춤 접속되면, 2개의 회로 기판의 회로부끼리가 접속되게 된다.
상대 커넥터(2)는, 도 5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진 하우징(40)과, 당해 하우징(40)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는 당해 하우징(40)의 긴쪽 방향으로 배열된 단자(50)와, 단자 배열 범위 밖이 되는 하우징(40)의 양단부에 부착된 가이드 금구(60)를 갖고 있다.
하우징(40)은, 이미 서술된 커넥터(1)의 하우징(10)에 형성된 환상의 오목부를 이루는 수용부(16), 즉 섬 형상의 중앙 돌출벽(12)과 이것을 둘러싸는 둘레벽(13)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끼워맞춤하는 사각틀 형상의 둘레벽(41)과 저벽(42)을 갖고 있다. 둘레벽(41)은 측벽(43)과 단부벽(4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커넥터(1)의 중앙 돌출벽(12)을 수용하는 중앙 오목부(45)를 형성하고 있다.
단자(50)는 금속 띠형상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다. 당해 단자(50)는, 하우징의 측벽(43)의 상부(도 1(B)의 상태에서 상부)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역 U자 형상의 피보유지지부(51)와 하우징(40)의 저벽(42)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출되어 회로 기판에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52)를 갖고 있다. 역 U자 형상을 이루는 상기 피보유지지부(51)의 내측 다리부의 면은 상기 커넥터(1)의 단자(20)의 탄성 아암(22)에 형성된 접촉부(22A)가 탄성 접촉하는 접촉부(51A)를 형성하고, 상기 피보유지지부(51)의 외측 다리부의 면에는 상기 단자(20)의 로크를 위한 돌기부(21A)가 걸리는 로크 오목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단자를 본 취지로 하는 바가 아니기 때문에, 단자에 대한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가이드 금구(60)는, 상기 커넥터(1)로 끼워맞춤할 때에 당해 커넥터(1)의 가이드 금구(30)에 가이드되어 정규 위치로 유도되는 것으로 기능한다. 양 금구(30, 60)는, 끼워맞춤 개시 직전에서는, 상대적으로 정규의 끼워맞춤 위치로부터 많이 어긋나 있는 경우가 많고, 끼워맞춤 개시시에는, 서로 맞닿고, 특히 커넥터의 단부, 모서리부에서 맞닿음력은 비교적 크다. 따라서, 맞닿는 충격력, 그리고 끼워맞춤 과정에서의 마찰력에 충분히 대항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금구인 것의 의미가 있다.
상기 가이드 금구(60)는, 커넥터(1)의 가이드 금구(30)와 동일하게, 금속판을 그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고, 긴쪽 방향 단부에서의 하우징(40)의 상면측으로부터 당해 하우징(40)에 부착되고, 당해 상면측에 위치하는 상면부(61A), 하우징(40)의 측벽(43)의 외면에 위치하는 측면부(61B), 하우징(40)의 단부벽(44)의 외면에 위치하는 단면부(61C)를 일체로 갖고 있다.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부벽(44)을 따라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부(61C)로부터, 대향하는 2개의 측벽(43)의 각각으로 향하여 사연(斜緣)을 갖고 연장되어 V자 테두리를 형성하는 2개의 상면부(61A)가 측벽(43)의 외면을 따라 하방으로 굴곡되어 각각 측면부(61B)를 형성하고 있다. 측면부(61B)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용의 슬릿(62)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슬릿에는, 커넥터(1)의 가이드 금구(30)의 피부착부(31)에 형성된 로크 돌기부(31A-1)가 걸림한다. 커넥터(1)의 가이드 금구(30)는 하우징(10)의 둘레벽(13)의 내면측으로부터 피부착부(31)와 부피부착부(32)가 외면측으로 연출되어 있는 형태였지만, 커넥터(2)의 가이드 금구(60)는 하우징(40)의 단부에서, 둘레벽(41)의 단부를 외면측으로부터 덮는 바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금구(60)의 측면부(61B)의 하단은, 하우징(40)으로부터의 어긋남의 방지의 목적으로,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40)의 저벽(42)의 하면을 따라 굴곡을 수용하여 당해 하면과 걸림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금구(60)는, 상기 상면부(61A)와 측면부(61B)와의 경계가 되는 둥그스름함을 가진 어깨부에서 당해 측면부(61B)까지의 범위가 커넥터(1)의 가이드 금구(30)의 피부착부(31)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면부(61A)와 단면부(61C)와의 경계가 되는 둥그스름함을 가진 어깨부에서 단면부(61C)까지의 범위가 가이드 금구(30)의 부피부착부(32)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기 하우징(40)의 단부벽(44)의 내면, 즉, 커넥터(1)의 중앙 돌출벽(12)을 수용하는 중앙 오목부(45)의 긴쪽 방향 단부의 내단면은, 당해 중앙 오목부(45)의 저부를 향함에 따라 긴쪽 방향 중앙부에 가까워지는 바와 같은 경사면(45A)을 형성하고 있다(도 8 참조). 이 경사면(45A)은, 상기 커넥터(1)의 중앙 돌출벽(12)의 긴쪽 방향 단면에 형성된 경사면(12A)의 경사각과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가이드 금구(60)의 2개의 상면부(61A)의 사이에서 노정(露呈)하는 하우징(40)의 부분(단부벽(44)의 상면에서 대략 V자 형상을 이루어 나타나 있는 부분)이 상기 경사면(45A)으로 되어 있고, 동일한 커넥터(1)의 하우징 부분인 중앙 돌출벽(12)으로 가이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커넥터(1) 및 상대 커넥터(2)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서 사용된다.
사용시에 있어서, 커넥터(1) 및 상대 커넥터(2)는, 각각의 회로 기판에 부착되며, 도 2와 같은 끼워맞춤 직전 위치에 오게 된다. 도 2에서는, 회로 기판 자체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도 2에 있어서는, 커넥터(1)에는 그 저벽의 하면에 회로 기판이 위치하고, 상대 커넥터(2)에는, 상방을 향하고 있는 저벽의 상면에 회로 기판이 각각 위치하고 있으며, 커넥터(1)와 상대 커넥터(2)는, 회로 기판끼리가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서로 끼워맞춤하는 방향으로 대면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도면에 있어서, 도 4를 제외하고, 회로 기판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2의 끼워맞춤 직전의 자세에서 상대 커넥터(2)는, 그대로 커넥터(1)로 향하여 강하된다. 서로, 정규 위치에서 끼워맞춤이 개시된 경우에는, 커넥터(1)의 환상의 수용부(16)로 상대 커넥터(2)의 둘레벽(41)이 끼워넣어지게되고, 이와 함께 상대 커넥터(2)의 중앙 오목부(45)로 커넥터(1)의 중앙 돌출벽(12)이 진입하여, 양 커넥터(1, 2)는, 서로 맞물리도록 끼워맞춤된다(도 7, 도 9 참조). 끼워맞춤 개시 그리고 끼워맞춤 과정에서는, 가이드 금구(30, 60)끼리가 슬라이딩 접촉하여 가이드를 행한다. 즉, 커넥터(1)에 설치된 가이드 금구(30)의 2개의 피부착부(31)와 부피부착부(32)의 각각의 내측 다리부(31A, 32A)가 커넥터(2)에 설치된 가이드 금구(60)의 2개의 측면부(61B)와 단면부(61C)에 대응하여 동일한 금속 접촉하에서 슬라이딩 접촉하여 서로 정규 위치까지 끼워맞춤 안내한다.
끼워맞춤 완료시에는, 커넥터(1)의 단자(20)는 그 접촉부(22A)가 상대 커넥터(2)의 단자(50)의 접촉부(51A)에 접촉하고, 상기 단자의 로크용 돌기부(21A)가 상대 단자(50)의 로크 오목부(51B)에 걸려서, 커넥터의 빠짐의 방지가 도모되어, 단자끼리의 정규의 접촉 위치가 유지된다. 한편, 커넥터(1)의 가이드 금구(30)에서는 그 로크 돌기부(31A-1)가 상대 커넥터(2)의 가이드 금구(60)의 슬릿(62)에 걸어맞춤하여, 여기에서도 강력하게 커넥터의 빠짐의 방지가 도모된다.
상대 커넥터(2)는, 커넥터(1)에 대하여, 끼워맞춤 직전에 정규의 위치 그리고 자세를 갖고 있어, 그대로 끼워맞춤된다고는 할 수 없다. 오히려, 어느 방향으로 위치가 약간 어긋나, 기울어져 끼워맞춤되는 경우의 쪽이 많다는 것이 실정이다. 상대 커넥터(2)의 저벽이 도 2의 자세로 당해 저벽의 상면에 회로 기판이 커넥터의 주위에서 장출되어 있기 때문에, 끼워맞춤 상태를 육안에 의해 정규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은 곤란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 커넥터 끼워맞춤을 행하는 작업자는, 통상, 상대 커넥터(2)의 회로 기판을 당해 상대 커넥터(2)의 긴쪽 방향 일단측만을 커넥터(1)에 가깝게 하여 긴쪽 방향 타단을 들어올린 경사 상태로 하여, 일단측에서 확실하게 끼워맞춤을 개시하고, 그 후 타단측도 강하시켜 끼워맞춤시켜, 전체의 끼워맞춤이 완료된다.
상기 상대 커넥터(2)를 상기 긴쪽 방향 일단측으로부터 커넥터(1)에 대하여 끼워맞춤을 개시하는 경우, 상대 커넥터(2)의 일단측의 위치는, 당해 상대 커넥터(2)의 가이드 금구(60)의 단면부(61C)가 커넥터(1)의 가이드 금구(30)의 부피부착부(32)에 경사면으로서 형성된 상판부(32C)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긴쪽 방향에서 수용부(16) 내방으로 인도되고, 소정 위치에서 부피부착부(32)의 내측 다리부(32A)에서 가이드되어 수용부(16) 저부로 향하여 진입한다. 끼워맞춤 개시 당초에 커넥터 폭방향에 위치 어긋남이 있을 때에는, 상대 커넥터(2)의 가이드 금구(60)의 2개의 측면부(61B) 중 한쪽이 커넥터(1)의 가이드 금구(30)의 2개의 피부착부(31) 중 대응하는 한쪽에 맞닿고, 그 상판부(31C)의 경사면에서 슬라이딩하여 커넥터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정규 위치에 이르러, 상기 일단측에서의 끼워맞춤 위치에 오게 한다.
이러한, 긴쪽 방향 일단측으로부터의 끼워맞춤 개시는, 통상, 자주 행해지고, 상기 일단측에 집중하여 큰 맞닿음력이 작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큰 맞닿음력이 작용하는 부위에 가이드 금구(30)가 위치하고 있고, 게다가 이 가이드 금구(30)는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의 가이드 금구와의 금속 접촉에 의해, 내마모성의 향상, 가이드 금구 자체의 강도의 향상 그리고 가이드 금구의 부착 강도의 확보가 도모된다.
상대 커넥터(2)의 상기 긴쪽 방향 일단측에서의 끼워맞춤이 어느 정도 진행되고 나서, 타단측이 강하되기 시작하면, 상기 일단측에서, 커넥터(1)의 중앙 돌출벽(12)의 긴쪽 방향 단면(12A)은 경사면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2)의 중앙 오목부(45)에서 동일하게 형성된 경사면(45A)으로 향하여 쉽게 상기 중앙 오목부(45) 내로 진입하고, 상대 커넥터(2)는, 상기 일단측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타단측이 강하될 때, 상기 중앙 돌출벽(12)의 긴쪽 방향 단면(12A)과 상기 중앙 오목부(45)의 경사면(45A)은 원활하게 끼워맞춤도가 깊어진다.
커넥터의 끼워맞춤 후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가 의도하지 않게 낙하하거나 커넥터 발출시에 무리하여 비틀림을 받았을 때,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10)에 형성된 중앙 돌출벽(12)은 비교적 육박(肉薄)하게 만들어져 보강 금속판 등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그 긴쪽 방향에서의 외력을 작은 단면적에서 받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넥터(1)의 중앙 돌출벽(12)의 긴쪽 방향 단면(12A)이 긴쪽 방향으로 두껍게 되어 있음과 함께 이것에 대응하는 상대 커넥터의 중앙 오목부(45)의 경사면(45A)이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에서 맞닿아 있기 때문에, 경사져 있음으로써 경사면, 즉, 맞닿음면이 그만큼 커져 맞닿음 응력이 작아지는 것, 외력은 횡방향, 즉 긴쪽 방향에 가해지기 때문에, 그 외력이 맞닿음면에 직각인 방향의 분력으로서 작용할 때, 그만큼 힘 자체가, 상기 경사에 의해 저감되어 있는 것에 기인하여 상기 긴쪽 방향 단면(12A)은, 가이드뿐만 아니라 강도상에 있어서도 크게 공헌한다. 또한, 발출시에 무리하여 폭방향의 비틀림을 받았을 때, 상기 커넥터(1)의 중앙 돌출벽(12)의 긴쪽 방향 단면(12A)이 긴쪽 방향으로 두껍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2)의 하우징(40)의 긴쪽 방향 단부에 의해, 상기 커넥터(1) 중앙 돌출벽(12)의 긴쪽 방향 가장자리의 폭방향으로 힘이 작용해도 강도상에 있어서 크게 공헌한다.
1 : 커넥터
2 : 상대 커넥터
10 : 하우징
11 : 저벽
13 : 둘레벽
14 : 측벽
14B : 부착부
15 : 단부벽
17 : 오목부(연통부)
30 : 가이드 금구
31 : 피부착부
31C : 상면(상판부)
33 : 연결부

Claims (5)

  1. 하우징의 저벽의 주위부로부터 기립하고 있음과 함께 하우징의 긴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과 당해 한 쌍의 측벽의 상기 긴쪽 방향 단부끼리를 긴쪽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짧은쪽 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단부벽으로 형성되는 둘레벽을 갖고, 당해 하우징에는 상방으로부터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긴쪽 방향에 있어서의 측벽의 양단부의 단자 배열 영역 밖에 가이드 금구(金具)가 부착되어 있고, 각 가이드 금구는,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당해 가이드 금구의 판면이 둘레벽의 대응 벽면에 대면하여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 금구 부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 금구는, 상기 한 쌍의 측벽의 단부측에 형성된 부착부로 부착되는 피(被)부착부와, 당해 피부착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피부착부는 대략 역(逆) U자 형상을 이루고 있어 상기 측벽의 상기 부착부로 상방으로부터 걸치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상면에서 경사면을 이루는 가이드면을 갖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부벽 또는 상기 저벽의 수용부측 내벽면을 따라 위치하고 있고, 상기 피부착부의 가이드면에서 상기 상대 커넥터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상기 커넥터 끼워맞춤시의 가이드를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금구 부착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금구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기립하여 대략 역 U자 형상을 이루는 부(副)피부착부도 갖고, 당해 부피부착부가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는 상기 단부벽의 부부착부로 상방으로부터 걸치도록 하여 부착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가이드 금구 부착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금구는, 상기 측벽의 대응 부분 그리고 상기 단부벽의 대응 부분에 가이드 금구의 판두께와 거의 동일한 치수만큼 긴쪽 방향 그리고 짧은쪽 방향에서 수용부의 내폭이 크게 형성된 확폭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가이드 금구 부착 전기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금구는, 상기 피부착부와 상기 부피부착부 중 적어도 상기 피부착부가 상기 둘레벽 외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 저벽의 하면의 레벨까지 수하(垂下)되어 있어, 상기 커넥터 부착 대상 부재의 땜납 부착부로의 땜납 부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가이드 금구 부착 전기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금구는, 상기 피부착부와 상기 부피부착부 중 적어도 상기 피부착부가 상기 둘레벽 외면을 따라 하우징 상기 저벽의 하면의 레벨까지 수하되어 있어, 상기 커넥터 부착 대상 부재의 땜납 부착부로의 땜납 부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가이드 금구 부착 전기 커넥터.
KR1020140064794A 2013-06-10 2014-05-29 금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KR101658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21740A JP5809198B2 (ja) 2013-06-10 2013-06-10 ガイド金具付電気コネクタ
JPJP-P-2013-121740 2013-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137A true KR20140144137A (ko) 2014-12-18
KR101658121B1 KR101658121B1 (ko) 2016-09-20

Family

ID=5200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794A KR101658121B1 (ko) 2013-06-10 2014-05-29 금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50097B2 (ko)
JP (1) JP5809198B2 (ko)
KR (1) KR101658121B1 (ko)
CN (2) CN107069265B (ko)
TW (1) TWI56953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175A (ko) * 2015-01-19 2016-07-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홀드다운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KR20220056114A (ko) * 2020-10-27 2022-05-04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중앙 볼록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및, 보호 부재를 배치한 커넥터
US11876317B2 (en) 2018-10-29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27360A (zh) * 2013-02-27 2015-11-0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连接器、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和插口件
JP6199666B2 (ja) * 2013-09-04 2017-09-2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85875B2 (ja) * 2015-04-01 2018-09-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1705076B1 (ko) * 2015-06-03 2017-02-09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CN106356656A (zh) * 2015-07-17 2017-01-25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组件及其插座连接器与插头连接器
US20170271813A1 (en) * 2016-03-17 2017-09-2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nsert molded holding members
JP6655797B2 (ja) * 2016-04-28 2020-02-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ヘッダおよびソケット
JP6709990B2 (ja) * 2016-04-28 2020-06-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US10998655B2 (en) 2016-04-28 2021-05-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and connection system
JP6885730B2 (ja) * 2017-01-06 2021-06-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遮蔽シールド板付きコネクタ
CN108429055B (zh) * 2017-02-14 2021-09-1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连接器以及连接系统
JP7012245B2 (ja) * 2017-03-10 2022-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ソケット、ヘッダ、及び接続装置
JP6842359B2 (ja) 2017-05-10 2021-03-1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08933365B (zh) * 2017-05-26 2021-06-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6950740B2 (ja) * 2017-07-24 2021-10-1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
KR102041368B1 (ko)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TWI674712B (zh) * 2018-07-06 2019-10-1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插座連接器及電連接器總成
CN109103697B (zh) * 2018-08-06 2020-03-17 唐虞企业股份有限公司 插座连接器及电连接器总成
JP6660432B2 (ja) * 2018-08-21 2020-03-1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937400B2 (ja) * 2018-08-21 2021-09-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13169483B (zh) * 2018-12-27 2023-07-07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多极连接器组
CN209329318U (zh) * 2018-12-28 2019-08-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对接连接器
JP7206169B2 (ja) * 2019-08-27 2023-01-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視認部材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CN110994258B (zh) * 2019-12-16 2021-05-14 昆山雷匠通信科技有限公司 射频插头
CN111355060B (zh) * 2020-03-13 2021-08-17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JP7033737B2 (ja) * 2020-05-08 2022-03-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CN214505933U (zh) * 2020-08-03 2021-10-26 广濑电机株式会社 连接器
JP6968965B1 (ja) * 2020-10-26 2021-11-2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9589A (ja) 2004-08-18 2006-03-02 Hirose Electric Co Ltd シールド付き電気コネクタ
KR20110024491A (ko) * 2009-09-02 2011-03-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체결 가이드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
KR20110074824A (ko) * 2011-05-18 2011-07-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체결 가이드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
JP2013065541A (ja) * 2011-08-31 2013-04-11 Panasonic Corp ソケットならびに当該ソケットを用いたコネクタ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2959B2 (ja) * 2006-09-29 2011-10-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333884B2 (ja) * 2007-03-01 2009-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266731Y (zh) * 2008-06-11 2009-07-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JP5530278B2 (ja) * 2010-03-30 2014-06-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WO2012033913A2 (en) * 2010-09-08 2012-03-15 Molex Incorporated Circuit board-circuit board connector
CN103050805B (zh) * 2011-10-14 2014-12-10 莫列斯公司 连接器
CN202888488U (zh) * 2012-11-04 2013-04-17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9589A (ja) 2004-08-18 2006-03-02 Hirose Electric Co Ltd シールド付き電気コネクタ
KR20110024491A (ko) * 2009-09-02 2011-03-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체결 가이드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
KR20110074824A (ko) * 2011-05-18 2011-07-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체결 가이드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
JP2013065541A (ja) * 2011-08-31 2013-04-11 Panasonic Corp ソケットならびに当該ソケットを用いたコネクタ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175A (ko) * 2015-01-19 2016-07-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홀드다운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US11876317B2 (en) 2018-10-29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220056114A (ko) * 2020-10-27 2022-05-04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중앙 볼록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및, 보호 부재를 배치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41951A (zh) 2014-12-24
KR101658121B1 (ko) 2016-09-20
US20140364003A1 (en) 2014-12-11
CN107069265B (zh) 2020-06-12
JP2014239001A (ja) 2014-12-18
US9350097B2 (en) 2016-05-24
TWI569533B (zh) 2017-02-01
CN107069265A (zh) 2017-08-18
JP5809198B2 (ja) 2015-11-10
TW201515339A (zh) 2015-04-16
CN104241951B (zh)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121B1 (ko) 금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KR102178226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936263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lock fitting with a bottom portion connecting a lock plate portion and an reinforcing plate portion
JP5685216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896121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component,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US20110306229A1 (en) Connector assembly
JP2014239002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TW201401661A (zh) 電連接器組裝體及插頭連接器
JP6041949B2 (ja) 金具付電気コネクタ
JP6117905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595970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633536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178395B2 (ja) プラグコネクタ
JP6167205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5805288B2 (ja) プラグコネクタ
JP6002297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6474857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