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859A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859A
KR20200050859A KR1020190122086A KR20190122086A KR20200050859A KR 20200050859 A KR20200050859 A KR 20200050859A KR 1020190122086 A KR1020190122086 A KR 1020190122086A KR 20190122086 A KR20190122086 A KR 20190122086A KR 20200050859 A KR20200050859 A KR 20200050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assembly
cap housing
positioning member
di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671,280 priority Critical patent/US11031726B2/en
Priority to CN201911060809.2A priority patent/CN111146631B/zh
Publication of KR20200050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캡 하우징, 상기 캡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제1 단부와,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캡 하우징의 제1 단부가 삽입되는 플러그측 플랜지와,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와 상기 캡 하우징의 개구부를 막도록 각각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의 제2 단부 및 상기 캡 하우징의 제2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는 위치 확인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아래 실시예들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냉장고에서와 같이, 단열 등을 목적으로 포밍 부재가 충전되는 공간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포밍 부재는 액상으로 주입된 후 경화되기 때문에, 포밍 부재가 공간에 충전될 때, 공간 내부에 설치된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로도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갈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 어셈블리에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밀봉 구조를 채택하더라도 포밍 부재의 특성 및 충전 압력으로 인해 밀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 방수 커넥터인 경우 실링 부재(예를 들어, 와이어 실, 주변 실, 오링 실, 그로밋 또는 가스켓 등) 사이로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갈 수 있다. 또는, 비방수 커넥터인 경우에 테이프, 스폰지, 접착제 등으로 커넥터를 밀봉하더라도, 커넥터 내부로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갈 수 있다.
이에, 포밍 부재가 커넥터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개발이 필요하다.
전술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인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한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캡 하우징, 상기 캡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제1 단부와,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캡 하우징의 제1 단부가 삽입되는 플러그측 플랜지와,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와 상기 캡 하우징의 개구부를 막도록 각각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의 제2 단부 및 상기 캡 하우징의 제2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는 위치 확인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측 플랜지는, 상기 캡 하우징의 제1 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플러그측 플랜지는 상기 캡 하우징과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측 플랜지는 상기 플러그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전체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캡 하우징은 제1 단부에 적어도 1개소 이상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측 플랜지는 상기 제1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부에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플러그측 플랜지 상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플러그의 외측면 중 일 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캡 하우징에서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된 외팔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 확인 부재는, 상기 결합 플랜지가 상기 위치 확인 부재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전체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확인 부재는, 상기 플러그 또는 상기 캡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단부에 훅 형상의 래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는 내측 벽면 상에 상기 위치 확인 부재의 래치가 체결되는 래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 하우징은 내측 벽면 상에 상기 위치 확인 부재의 래치가 체결되는 래치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 확인 부재는, 내부에 와이어를 끼울 수 있도록 2개의 제1 및 제2 분할 부재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는, 각각 와이어의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반원통 형상의 와이어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결합홈의 내주면 상에는 상기 와이어의 외주면을 압착하도록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는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을 따르는 환형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에는 제1 락킹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락킹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 중 어느 일측 분할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일측 분할 부재의 결합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 및 나머지 타측 분할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에는 제2 락킹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락킹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 중 어느 일측 분할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일측 분할 부재의 양 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나머지 타측 분할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돌출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 확인 부재는, 상기 플러그 또는 상기 캡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단부에 훅 형상의 래치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 중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의 테두리에는 실링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 중 어느 일측 분할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실링 단차부 및 나머지 타측 분할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제1 실링 단차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2 실링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를 연결시키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러그와 캡 하우징의 결합 부분의 형상에 의해서 포밍 부재가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와 캡 하우징 각각의 단부에 위치 확인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실링 부재 없이도 포밍 부재가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Ⅲ- 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플러그와 캡 하우징의 결합 부분의 변형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위치 확인 부재와 캡 하우징의 결합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위치 확인 부재와 플러그의 결합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위치 확인 부재와 플러그의 결합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부재에서 제1 락킹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서 Ⅲ- Ⅲ 선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캡 하우징(11)과, 플러그(13), 및 캡 하우징(11)과 플러그(13)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위치 확인 부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캡 하우징(11)과 플러그(13)은 각각 내부에 복수의 단자(T1, T2)가 설치되고, 각 단자(T1, T2)에는 와이어(W1, W2)가 연결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캡 하우징(11)에서 플러그(13)와 결합되는 부분을 제1 단부(111)라 하고, 반대쪽을 제2 단부(112)라 하고, 플러그(13)에서 캡 하우징(11)과 결합되는 부분을 제1 단부(131)라 하고, 반대쪽을 제2 단부(132)라 한다.
캡 하우징(11)과 플러그(13)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캡 하우징(11)에는 제1 체결부(113)가 형성되고, 플러그(13)의 외측면 상에는 제2 체결부(133)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체결부(133)는 플러그(13)의 외측면 중 적어도 1개소에서 돌출되는 돌기(locking bump) 형상을 갖고, 제1 체결부(113)는 제2 체결부(133)와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걸림편(outer latch) 형상을 가지며, 캡 하우징(11)에서 플러그(13)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외팔보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제1 체결부(113)와 제2 체결부(133)는 서로 체결되며,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133)는 플러그측 플랜지(134)의 외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체결부(133)를 형성함으로써 플러그(13)가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제1 체결부(113)의 길이도 줄일 수 있으며, 제1 체결부(113)가 캡 하우징(11)에서 돌출 형성되는데, 캡 하우징(11)의 두께와 돌출되는 높이를 고려하여 제1 체결부(113)와 제2 체결부(133)의 높이를 대응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제1 체결부(113) 및 제2 체결부(133)는 1개소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면 상에서 상면 및 하면의 2개소에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복수 개소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러그(13)는 제1 단부(131)가 캡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되므로, 캡 하우징(11)은 제1 단부(111)가 플러그(13)의 외측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데, 플러그(13) 외측면 상에서 캡 하우징(11)의 제1 단부(11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캡 하우징(11)의 제1 단부(111)가 끼워지도록 플러그측 플랜지(134)가 형성된다.
플러그측 플랜지(134)는 캡 하우징(11)의 제1 단부(111)를 내부에 끼울 수 있도록 캡 하우징(11)을 향해서 대략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또한, 플러그측 플랜지(134)는 플러그(13)의 외측면 전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측 플랜지(134)를 절곡 형성하고 그 내부에 캡 하우징(11)의 제1 단부(111)를 끼움으로서, 캡 하우징(11)의 제1 단부(111)와 플러그(13) 외측면 사이의 갭을 통해서 포밍 부재가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캡 하우징(11)과 플러그(13)의 결합 구조만을 이용하여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포밍 부재는 액상으로 주입되는 특성 및 충전시의 압력에 의해서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부로도 밀려 들어가게 되는데, 캡 하우징(11)과 플러그(13)의 결합 부분을 통해서 밀려 들어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밍 부재가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캡 하우징(11)과 플러그(13)의 결합 부분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4는 캡 하우징(11)과 플러그(13)의 결합 부분의 변형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4는 플러그측 플랜지와 캡 하우징의 제1 단부만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으로, (a) 내지 (j)에서는 각 도면 번호와 대응하여 플러그측 플랜지에는 134에 a 내지 j를 부여하고, 캡 하우징의 제1 단부에는 111에 a 내지 j를 부여하였다.
도 4의 (a) 내지 (j)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측 플랜지 및 캡 하우징의 제1 단부는 복수의 단차를 형성하며, 결합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플러그측 플랜지 및 캡 하우징의 제1 단부에 각각 복수의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가는 경로가 복잡하고 길어지게 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도 4의 (a) 내지 (j)에 도시한 것은 예시들에 불과한 것으로, 이로 인해 플러그측 플랜지 및 캡 하우징의 제1 단부의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으로 돌아와서 설명하면, 위치 확인 부재(15, 15a, 15b)는 플러그(13) 및 캡 하우징(11)의 제2 단부(112, 132)에 각각 구비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캡 하우징(11)에 구비되는 위치 확인 부재를 제1 위치 확인 부재(15a)라 하고, 플러그(13)에 구비되는 위치 확인 부재를 제2 위치 확인 부재(15b)로 구분한다. 다만, 제1 및 제2 위치 확인 부재(15a, 15b)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분해서 설명이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위치 확인 부재(15)"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위치 확인 부재(15)는 와이어(W1, W2)를 끼울 수 있도록 와이어 결합홀(152)이 형성되고, 플러그(13) 및 캡 하우징(11)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에는 소정 길이 돌출된 래치(153)가 형성되며, 플러그(13) 및 캡 하우징(11)의 제2 단부(112, 132)가 각각 끼워지도록 결합 플랜지(151)가 형성된다.
그리고 캡 하우징(11)과 플러그(13)는 각각 내측면에는 위치 확인 부재(15)의 래치(153)가 걸림 결합 가능하도록 래치 체결홈(114, 135)이 형성된다. 위치 확인 부재(15)가 각각 캡 하우징(11)과 플러그(13)의 제2 단부(112, 132)에 끼워지면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부에서 래치(153)가 각각 래치 체결홈(114, 135)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위치 확인 부재(15)를 결합시키고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결합 플랜지(151)는 위치 확인 부재(15)와 플러그(13) 및 캡 하우징(11)이 결합되는 부분을 통해서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결합 플랜지(151)는 위치 확인 부재(15)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전체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플랜지(151) 역시 플러그측 플랜지(134)와 유사하게 캡 하우징(11) 및 플러그(13)의 제2 단부(112, 132)를 각각 끼울 수 있도록 대략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또한, 결합 플랜지(151)는 플러그측 플랜지(134)와 유사하게 도 4의 (a) 내지 (j)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차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위치 확인 부재(15)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5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10)에서 위치 확인 부재(15)와 캡 하우징(11)의 결합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10)에서 위치 확인 부재(15)와 플러그(13)의 결합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10)에서 위치 확인 부재(15)와 플러그(13)의 결합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부재(15)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부재(15)에서 제1 락킹부(513, 523)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위치 확인 부재(15)는 2개의 제1 및 제2 분할 부재(510, 520)로 분할 형성되고, 내부에 와이어(W1, W2)가 삽입되어서 서로 맞물려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적으로 도면에서 530은 제1 및 제2 분할 부재(510, 52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이다.
제1 및 제2 분할 부재(510, 520)는 각각 와이어(W1, W2)의 외주면에 결합되도록 반원통 형상의 와이어 결합홈(511, 521)이 형성되고, 서로 결합되는 결합면 상에 제1 락킹부(513, 523)가 형성되며, 제1 및 제2 분할 부재(510, 520)의 외측에 제2 락킹부(514, 524)가 형성되고, 실링 단차부(515, 525)가 형성된다.
와이어 결합홈(511, 521)은 제1 및 제2 분할 부재(510, 520)가 결합되었을 때 와이어 결합홀(152)이 된다. 그리고 위치 확인 부재(15)는 와이어 결합홈(511, 521)의 내주면에 와이어(W1, W2)의 외주면에 압착되도록 복수의 요철부(512, 522)가 형성된다.
요철부(512, 522)는 와이어(W1, W2)의 외주에 대응되고 소정의 너비를 갖는 띠 형상을 가지며, 와이어(W1, W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확인 부재(15)는 제1 및 제2 분할 부재(510, 520)를 와이어(W1, W2)와 결합시키면 요철부(512, 522)가 와이어(W1, W2)의 외주면을 압착하므로, 와이어 결합홀(152)과 와이어(W1, W2)의 외주면 사이의 갭을 통해서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치 확인 부재(15)는 제1 및 제2 분할 부재(510, 520) 중 일측에 래치(153)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분할 부재(520)에 래치(153)를 형성하고 있으나, 제1 분할 부재(510)에 래치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분할 부재(510, 520) 중 일측에만 래치(153)를 형성함으로써 위치 확인 부재(15)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위치 확인 부재(15)를 캡 하우징(11) 및 플러그(13)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위치 확인 부재(15)에서 제2 분할 부재(520)는 래치(153)에 의해서 캡 하우징(11) 및 플러그(13)에 고정되고 있는데, 제1 락킹부(513, 523) 및 제2 락킹부(514, 524)가 형성됨으로써 제1 및 제2 분할 부재(510, 52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락킹부(513, 523)는 제1 분할 부재(510)에서 제2 분할 부재(520)와의 결합면 상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513)와, 제2 분할 부재(520)에서 돌기(513)가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복수의 홈(523)으로 형성된다. 다만, 제1 락킹부(513, 523)는 돌기(513)와 홈(523)의 위치 및 형상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락킹부(513, 523)는 제1 분할 부재(510)에 홈이 형성되고 제2 분할 부재(520)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위치 확인 부재(15)를 캡 하우징(11) 및 플러그(13)에 각각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돌기(513)가 홈(523)에 결합되어서 제1 및 제2 분할 부재(510, 520)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락킹부(514, 524)는 제1 분할 부재(510)의 외측 방향에 형성되는 돌출부(514)와, 제2 분할 부재(520)에서 돌출부(514)가 걸림 결합되는 돌출편(524)을 포함한다. 다만, 제2 락킹부(514, 524)는 돌출부(514)와 돌출편(524)의 위치 및 형상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락킹부(514, 524)는 제1 분할 부재(510)에 돌출편이 형성되고 제2 분할 부재(520)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락킹부(514, 524) 역시 위치 확인 부재(15)를 캡 하우징(11) 및 플러그(13)에 각각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돌출편(524)이 돌출부(514)에 걸려서 제1 및 제2 분할 부재(510, 520)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 단차부(515, 525)는 제1 및 제2 분할 부재(510, 520)의 결합 부분을 통해서 포밍 부재가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분할 부재(510)는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계단 형상을 갖는 제1 실링 단차부(515)가 형성되고, 제2 분할 부재(520)는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서 제1 실링 단차부(515)의 외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2 실링 단차부(525)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 분할 부재(510, 520)에서 실링 단차부(515), 525)의 위치 및 형상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링 단차부(515, 525)는 제1 분할 부재(510)에서 돌출되어서 실링 단차부가 형성되고 제2 분할 부재(520)는 테두리가 돌출되지 않고 소정의 형상을 갖도록 실링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분할 부재(510, 520)에 실링 단차부(515, 525)를 형성하여 제1 및 제2 분할 부재(510, 5200)의 테두리가 겹쳐지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 분할 부재(510, 520)의 결합 부분 및 테두리를 통해서도 포밍 부재가 위치 확인 부재(15) 및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캡 하우징(11)과 플러그(13)이 결합되는 부분에 플러그측 플랜지(134)를 형성하고, 위치 확인 부재(15)와 캡 하우징(11) 및 플러그(13)가 각각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 플랜지(151)를 형성함으로써,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되는 부분을 통해서 포밍 부재가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재 없이도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 구조만으로도 포밍 부재가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커넥터 어셈블리
11: 캡 하우징
111: 제1 단부
112: 제2 단부
113: 제1 체결부
114: 캡 하우징측 래치 체결홈
13: 플러그
131: 제1 단부
132: 제2 단부
133: 제2 체결부
134: 플러그측 플랜지
135: 플러그측 래치 체결홈
15, 15a, 15b: 위치 확인 부재(TP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151: 결합 플랜지
152: 와이어 결합홀
153: 래치
510: 제1 분할 부재
520: 제2 분할 부재
511, 521: 와이어 결합홈
512, 522: 요철부
513, 523: 제1 락킹부
514, 524: 제2 락킹부
515, 525: 실링 단차부
530: 연결부
T1, T2: 단자
W1, W2: 와이어

Claims (18)

  1.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캡 하우징;
    상기 캡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제1 단부와,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캡 하우징의 제1 단부가 삽입되는 플러그측 플랜지와, 상기 제1 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와 상기 캡 하우징의 개구부를 막도록 각각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의 제2 단부 및 상기 캡 하우징의 제2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는 위치 확인 부재;
    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플랜지는, 상기 캡 하우징의 제1 단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플러그측 플랜지는 상기 캡 하우징과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플랜지는 상기 플러그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전체 둘레에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은 제1 단부에 적어도 1개소 이상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측 플랜지는 상기 제1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부에 단차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플러그측 플랜지 상에서 돌출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플러그의 외측면 중 일 면 상에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캡 하우징에서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된 외팔보 형태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부재는, 상기 결합 플랜지가 상기 위치 확인 부재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전체 둘레에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부재는, 상기 플러그 또는 상기 캡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단부에 훅 형상의 래치가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내측 벽면 상에 상기 위치 확인 부재의 래치가 체결되는 래치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 하우징은 내측 벽면 상에 상기 위치 확인 부재의 래치가 체결되는 래치 체결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부재는, 내부에 와이어를 끼울 수 있도록 2개의 제1 및 제2 분할 부재로 분할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는, 각각 와이어의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반원통 형상의 와이어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결합홈의 내주면 상에는 상기 와이어의 외주면을 압착하도록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을 따르는 환형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에는 제1 락킹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락킹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 중 어느 일측 분할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일측 분할 부재의 결합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 및
    나머지 타측 분할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홈;
    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에는 제2 락킹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락킹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 중 어느 일측 분할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일측 분할 부재의 양 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나머지 타측 분할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돌출편;
    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 부재는, 상기 플러그 또는 상기 캡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단부에 훅 형상의 래치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 중 한쪽에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의 테두리에는 실링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 중 어느 일측 분할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1 실링 단차부; 및
    나머지 타측 분할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제1 실링 단차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2 실링 단차부;
    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할 부재를 연결시키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90122086A 2018-11-02 2019-10-02 커넥터 어셈블리 KR20200050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71,280 US11031726B2 (en) 2018-11-02 2019-11-01 Connector assembly having inflow resistant interface
CN201911060809.2A CN111146631B (zh) 2018-11-02 2019-11-01 连接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33454 2018-11-02
KR1020180133454 2018-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859A true KR20200050859A (ko) 2020-05-12

Family

ID=7067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086A KR20200050859A (ko) 2018-11-02 2019-10-02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08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1726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inflow resistant interface
US9425549B2 (en) Connector
JP5532309B2 (ja) コネクタ
JP5955968B2 (ja) ケーブルフィードスルー及びケーブルフィードスルーを組み立てるための方法
US9774127B2 (en) Connector including electric wire cover with catching portion
TWI382614B (zh) Connector
JP2015077060A (ja) 電気接続箱
US20130277920A1 (en) Waterproof plug
US8609990B2 (en) Gasket for electric cables
US20180151978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ront and rear sealing members
JP2011249050A (ja) コネクタ
KR20160125293A (ko) 커넥터
JP6829317B2 (ja) コンタクトデバイスおよびコンタクトシステム
KR20200088769A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EP3579351B1 (en) Waterproof blade type connector
KR20200050859A (ko) 커넥터 어셈블리
CN111435772A (zh) 连接器组件和包括连接器组件的家用电器
WO2016000519A1 (zh) 射频模块防水结构及具有该射频模块防水结构的射频模块
JP2015023615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2013038080A (ja) シール可能な電気コネクタ
JP2014123446A (ja) コネクタ
EP3993175A1 (en) Sealed connector housing for an angled electrical connector
JP2015125973A (ja) コネクタ
KR101384681B1 (ko) 캐리어를 가진 조립성이 향상된 커버 가스켓
JP2004072877A (ja) 電気接続箱用グロメットの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