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462A - 가압 조들, 및 2개의 플라이어 조들을 가지는 크림핑 플라이어들 - Google Patents

가압 조들, 및 2개의 플라이어 조들을 가지는 크림핑 플라이어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462A
KR20200088462A KR1020207018340A KR20207018340A KR20200088462A KR 20200088462 A KR20200088462 A KR 20200088462A KR 1020207018340 A KR1020207018340 A KR 1020207018340A KR 20207018340 A KR20207018340 A KR 20207018340A KR 20200088462 A KR20200088462 A KR 20200088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s
ribs
pressing
crimping pliers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벤자민 바이스하이트
게오르그 홀랜드-모리츠
게르하르트 쾨니그
마르코 엔드테르
랄프 레글러
Original Assignee
렌슈타이크 베르크쪼이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렌슈타이크 베르크쪼이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렌슈타이크 베르크쪼이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8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01R43/0424Hand tools for crimping with more than two radially actuated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146Clip clamping 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6Details, e.g. jaws, jaw attachments
    • B25B5/163Jaws or jaw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12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involving special transmission means between the handles and the jaws, e.g. toggle levers, ge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58Crimping mandr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58Crimping mandrels
    • H01R43/0585Crimping mandrels for crimping apparatus with more than two radially actuated mand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림핑 플라이어들(1)에서 대향 배열을 위한 2개의 가압 조들(6, 7)에 관한 것이며, 가압 조들(6, 7)은 리브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가압 동안 서로 이동하는 리브들(29, 31)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링에 대해 그리고 달성될 크림핑에 대해 가압 조들을 추가적으로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리브들(29, 31)의 작업 영역의 외측에서 리브 길이방향(R)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 표면(F)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달성되며, 안내 표면은 대향 가압 조(6, 7)로부터 연장하는 안내 돌출부(38)와 상호작용한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설계되는 리브들을 포함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을 위한 가압 조들에 관한 것이며, 그리고 리브들은 리브 길이방향을 가지고, 리브들은 다른 가압 조와 연관된 자유 단부 면을 각각 갖는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2개의 플라이어 조들을 포함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에 관한 것이며, 이 크림핑 플라이어들에는 대향에 배열되는 가압 조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크림핑 플라이어들에서 대향 배열을 위해 제공되는 2개의 가압 조들에 관한 것이며, 가압 조들은 리브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가압 동안 서로 이동하고 그리고 가압 조 개구의 범위를 정하는 리브들을 갖는다.

Description

가압 조들, 및 2개의 플라이어 조들을 가지는 크림핑 플라이어들
[0001] 본 발명은 우선적으로, 크림핑 플라이어들(crimping pliers)에서 대향 배열을 위해 제공되는 2개의 가압 조들(pressing jaws)에 관한 것이며, 가압 조들(pressing jaws)은, 가압 동안 서로 이동하는 리브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들(ribs)을 갖는다.
[0002]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리브들을 포함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을 위한 가압 조들에 관한 것이며, 그리고 리브들은 리브 길이방향을 가지고, 리브들은 다른 가압 조에 할당된 자유 단부 면을 각각 갖는다.
[0003]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2개의 플라이어 조들을 가지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에 관한 것이며, 이 크림핑 플라이어들에는 대향에 배열되는 가압 조들이 제공된다.
[0004] 또한, 본 발명은 크림핑 플라이어들에서 대향 배열을 위해 제공되는 2개의 가압 조들에 관한 것이며, 리브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리브들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리브들은 가압 동안 서로 이동하고, 그리고 이에 의해 가압 조 개구의 범위를 정하며, 가압 조의 리브들은 서로 인접하게 연장하는 복수의 리브들로 형성되는 2개의 리브 패밀리들(rib families)의 형태로 배열되고, 그리고 서로 이동하는 동안 합쳐지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관점에 대해 그리고 리브들의 넓은 측면에서 볼 때 이의 자유 단부들에서 하나의 리브 패밀리의 리브들은 리지선(ridge line)을 각각 갖는다.
[0005]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코어 단부 슬리브의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으로의 변형에 의해 전도체 단부들에 대한 코어 단부 슬리브의 빼냄-방지(withdrawal-proof) 연결을 위해, 코어 단부 슬리브에 수용되는 전도체 단부들을 가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코어 단부 슬리브는 벽 및 벽 외부 표면을 갖는다.
[0006]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가압 조들을 포함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뿐만 아니라 논의 중인 유형의 가압 조들은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코어 단부 슬리브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전도체 단부들을 크림핑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가압 조들은, 선택적으로 리브들을 가지는, 서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몰딩된 부품들이다. 공지된 크림핑 플라이어들은 가압 조들이 체결되는 플라이어 조들을 갖는다. 플라이어 조들은 플라이어들 또는 가위의 방식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0007] 논의 중인 유형의 크림핑 플라이어들은, 예를 들어, EP 0 732 779 B1 (US 6,176,116 B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더욱이, 특히 논의 중인 유형의 가압 조들은 또한, DE 198 18 482 C1 (US 6,151,950 A)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0008] 이전에 설명된 종래 기술에 대한 관점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핸들링 기술에 대해 그리고 달성될 크림핑에 대한 관점으로 논의 중인 유형의 가압 조들, 또한 크림핑 플라이어들로서, 및 방법을 더 개선하는 것으로 보인다.
[0009] 본 목적의 가능한 해결책은 가압 조들에서 제1의 발명 개념에 따라 주어지며, 여기서 초점은, 리브들의 작업 영역의 외측에서 리브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안내 표면이 형성되며, 이 안내 표면은 반대편 가압 조로부터 시작하는 안내 돌출부와 협동한다는 사실에 있다.
[0010]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특히 가압 프로세스 동안의 가압 조들의 안내 및 가압 조들의 서로로의 수반하는 이동이 주어진다. 가압 동안 하나의 가압 조 및/또는 다른 가압 조 상의 리브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임의의 힘들(이 힘들은 리브 길이방향으로 다른 가압 조에 대한 하나의 가압 조의 변위를 유발시킬 수 있음)은 하나의 가압 조의 안내 표면 및 다른 가압 조의 안내 돌출부의 협동의 결과로서 흡수된다. 이는 순차적으로 가압하거나 크림핑하는 것을 초래한다. 안내 표면은 각각 다른 가압 조의 안내 돌출부 상에 주어질 수 있다. 그러나, 안내 표면은 또한 다른 가압 조의 또 다른 형태로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표면은 또한, 다른 가압 조의 하나 이상의 리브들의 연관된 (단부) 영역 상에서 주어질 수 있다.
[0011] 바람직한 구성에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하나의 가압 조의 안내 돌출부는 다른 가압 조의 안내 표면에 맞닿은 바람직한 맞닿음(abutment)을 위해, 가압 조들의 합쳐지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지향되는 가압 조들의 분할 평면을 넘어 돌출한다.
[0012] 안내 표면은, 기본적으로 언급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이들의 길이방향 연장에서 (다른 가압 조의) 리브들의 범위를 정하는 리브 단부 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0013] 본 목적의 추가의 가능한 해결책은 가압 조들에서 주어지며, 여기서 초점은, 리브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의 단면에서 볼 때의 단부 면은 중심에서 가장 멀게 돌출하는 라운딩된 윤곽선을 가지는 사실에 있다.
[0014] 바람직하게는 전방-측 영역에서 각각의 리브의 제안된 단면 구성의 결과로서, 예를 들어, 코어 단부 슬리브들의 개선된 가압 또는 크림핑이 획득된다. 하나 또는 둘 모두의 가압 조들의 모든 리브들은 라운딩된 윤곽선을 가질 수 있다.
[0015] 2개의 리브들 중에 홈을 두는 2개의 리브들 사이에서 반대편 가압 조 또는 그의 홈 기초부의 방향으로 가리키는 단부 면의 가장 먼 돌출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라운딩되며, 이러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라운딩된 윤곽선의 연장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반경을 가지며, 더욱이 선택적으로, 라운딩된 윤곽선에 대해 상이한 반경들을 또한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경우에, 단부 면 윤곽부의 부분에는 반경은, 리브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리브 두께의 치수보다 더 작은, 따라서, 예를 들어 두께의 0.5배 내지 0.3배에 대응하는 각각의 경우에 제공된다.
[0016] 논의 중인 유형의 크림핑 플라이어들에서, 추가의 발명 개념에 따른 목적의 가능한 해결책은, 가압 조들이 가압 조들을 합치는 방향으로 지향되는 트위스트 축을 중심으로 결합되게 회전가능하며 그리고 가압 조들이 또한 플라이어 조에 의한 방해 없이 합쳐진 상태로 트위스트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는 사실에 의해 주어진다.
[0017] 심지어 합쳐진 상태에서, 가압 조들은 회전 동안 상부 및/또는 하부 플라이어 조와 충돌할 것인 오버행(overhang)을 가지지 않는다. 안내 돌출부들이 제공된다면, 이는 또한, 안내 돌출부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안내 업무들(guide tasks)이 각각 대향 가압 조의 연관된 안내 표면들에 걸쳐, 즉 둘 모두의 가압 조들에 걸쳐 분포된다는 사실에 의해 달성된다. 주어진 경우에서, 안내 돌출부들은 또한, 안내 돌출부들이 단지 상기 트위스트 축을 중심으로의 가압 조의 회전 동안 서로 어느 정도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플라이어 조들과의 충돌은 획득되지 않는다.
[0018]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핸들링에 대해 특히 개선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은 특정된다. 트위스트 축을 중심으로의 트위스팅의 결과로서, 가압 조 쌍은 실행될 가압 또는 크림핑을 위한 유리한 포지션으로 트위스팅될 수 있다. 가압 조들은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합쳐지는 방향으로 가능하게 되는 가압 조 쌍의 이러한 트위스팅이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합쳐지는 포지션에서, 이에 따라 또한 완전히 합쳐지는 포지션에서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0019] 심지어 합쳐지는 상태에서 가압 조 쌍의 트위스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전에 설명되는 구성은 또한, 리브들의 작업 영역 외측에서 리브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진 안내 표면을 가지는 가압 조 쌍에서 획득되며, 이는 대향 가압 조로부터 시작하는 안내 표면과 협동한다.
[0020] 더욱이, 가압 조는 또한, 이전에 설명된 가압 조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압 조를 가질 수 있으며, 리브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의 단면에서 볼 때 이의 리브-측 단부 면은 중심에서 가장 멀게 돌출하는 라운딩된 윤곽선을 갖는다.
[0021] 가압 조들의 구성에 관하여, 추가의 발명 개념에 따르면, 상기 관점에서 리브 패밀리의 각각의 경우의 리지선들이 가압 조 개구 내로 돌출하는 돌기를 가지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0022] 따라서, 예를 들어, 가압 조 개구의 방향으로의 볼록한 돌기는 바람직하게는 리지선의 엄격하게 연속적으로 직선 구성으로부터 획득된다. 이러한 돌기는, 또한 바람직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이에 따라 단지 부분적인 영역에 걸쳐 리지선의 길이방향 연장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0023]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가압 조 개구의 달리 선택적으로 엄격하게 직사각형-기하학적 단면 형상과 상이한 단면 형상이 획득될 수 있다.
[0024] 특정된 방법에 관하여, 본 목적의 가능한 해결책은, 이전에 설명된 리지선들에 대해 구성되는 돌기를 가지는 가압 조들을 사용함으로써, 리브들 상에 형성되는 돌기들을 처음에 갖는 가압 조들이 코어 단부 슬리브의 벽 외부 표면과 접촉하게 되며, 그리고 추가의 가압 동안 돌기들의 보조로, 오목하게 이어진 벽 섹션들이 변형된 코어 단부 슬리브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벽에서 형성된다는 사실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0025] 제안된 방법의 결과로서, 가공물 또는 코어 단부 슬리브의 유리한 변형이 획득된다. 특히, 전도체 단부들과의 단면의 거의 완전한 충전은, 수용된 전도체 단부들의 길이방향 연장에 대해 횡방향으로 가압된 코어 단부 슬리브를 통과하는 단면에 대해 이러한 조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안된 가압 방법의 결과로서, 바람직하게는 작은 공동들이 획득되며, 이는 심지어 가압 후에 전도체 단부들의 변위를 허용할 수 있고 그리고 따라서 선택적으로 전도체 단부들의 느슨함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선형 연장부에서 서로 넘어갈 수 있다. 변형된 코어 단부 슬리브의 자유 내부 단면은 바람직하게는 전도체 단부들로 준-균일하게 완전히 충전된다. 그 결과, 코어 단부 슬리브에서의 전도체 단부들의 균일화된 배열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0026] 가압 프로세스 동안, 우선적으로 돌기들은 코어 단부 슬리브의 벽 외부 표면에 도달하여, 이에 따라, 처음에 돌기들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코어 단부 슬리브의 벽의 오목하게 이어지는 벽 섹션들은 돌기들에 의해 이러한 작용의 영역에서 획득된다.
[0027]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은 이후에, 또한 도면들의 설명에서, 제1 항 및/또는 추가의 독립항들 중 하나 이상의 청구 대상 또는 추가의 청구항들의 특징들에 대한 이들의 바람직한 할당에서 빈번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 특징들은 또한 제1 항 및/또는 추가의 독립항들 또는 추가의 청구항들 중 하나 이상의 단지 개별적인 특징들에 대한 할당에서 또는 각각의 경우에 독립적으로 중요할 수 있다.
[0028] 따라서, 이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대향 안내 돌출부들은 리브 길이방향에 대해 각각의 가압 조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 돌출부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 길이방향에 대해 마찬가지로 반대편 가압 조의 이에 대응하여 반대편 안내 표면들과 협동한다. 그 결과, 특히 합쳐지는 동안의 가압 조들의 안내는 추가적으로 개선된다. 합쳐지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에 대한 가압 조들의 변위는 또한 주어진 지지의 결과로서 방해된다.
[0029] 안내 돌출부들은, 이의 길이방향 연장에 대해 횡방향으로, 더욱이 합쳐지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들의 단면에 관하여, 그리고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의 길이방향 연장에 관하여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한 것이 안내 표면들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용된다.
[0030]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대향 안내 돌출부들이 리브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유지되는 삽입 개구(insertion opening)를 갖는 가압 조의 제1 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 개구의 영역에서, 반대편 가압 조의 안내 돌출부를 위한 안내 표면이 획득된다. 더욱이, 한편으로 삽입 개구의 영역에서 안내 표면에 맞닿은 맞닿음에 의해 다른 가압 조의 2개의 안내 돌출부들 사이의 하나의 가압 조의 안내 돌출부의 삽입에 의해, 따라서, 리브 길이방향으로의 안내부가 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합쳐지는 방향으로의 인접한 안내 돌출부들에 맞닿는 맞닿음에 의해, 리브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의 안내가 달성될 수 있다.
[0031] 중심에서 가장 멀게 돌출하는 리브 단부 면의 라운딩된 윤곽선은, 선택적으로 가장 멀리 돌출하는 영역을 함께 형성하는 평탄화된 부분을 제외하고, 연속적으로 커브형 방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평탄화된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윤곽선에 대해 직선으로서 도시되며, 이 윤곽선은 연속적으로 커브형 방식으로 이어진 윤곽선으로 넘어간다. 바람직하게는, 직선은 양측면들 상에 연속적으로 커브형 프로파일로 넘어간다.
[0032] 만곡부는 또한, 합쳐지는 방향으로 직선으로 연장하는 리브들의 플랭크 윤곽부로 유입구까지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가능한, 더욱이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는 단지 2개의 선택적으로 평행한 윤곽선들 및 이전에 설명된 단면을 참조하여 이전에 설명된 단부-면-측 만곡부를 가질 수 있으며, 더욱이 선택적으로 평탄화된 부분은 가장 멀게 돌출하는 영역을 함께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커브형 (부분) 윤곽선은 표면 윤곽부로 접선방향으로 건너간다.
[0033] 여기서 설명된 가압 조들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료, 예를 들어 강 재료로 구성된다. 가압 조들은 다수부품(multipart) 또는 또한 일부품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압 조들은, 특히 인베스트먼트 주조(investment casting) 방법에서, 예를 들어 주조와 같은, 성형(forming)에 의해, 예를 들어, 열간 성형(hot forming)뿐만 아니라 기본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소결 방법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0034] 플라이어 조는 또한, 연관된 가압 조를 향하는 상부 측면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가압 조들의 합쳐지는 상태에서, 합쳐지는 방향으로 주어지는 그의 단부를 갖는 안내 돌출부는 플라이어 조의 면하는 표면으로부터 거리를 남기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가압 조들의 완전히 합쳐진 상태에 있다. 트위스트 축을 중심으로의 가압 조 쌍의 트위스트 포지션과 관계없이, 플라이어 조의 대향 상부 측면의 방향으로의 안내 돌출부의 충돌 없는 변위가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심지어 완전히 합쳐진 상태에서, 안내 돌출부는 반대편 가압 조를 넘어 가지 않는다.
[0035] 추가적으로 제안된 실시예에서, 가압 조는 플라이어 조들 중 하나에서 선회를 위해 장착되는 선회 핀을 가질 수 있으며, 선회 핀은 가압 조에서 장착해제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가압 조는 선회 핀을 통과하는 기하학적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회 핀은 기하학적 트위스트 축을 제공할 수 있다.
[0036]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선회 핀을 중심으로의 가압 조의 트위스팅은 가압 조들의 장착된 포지션에서 발생할 수 있다.
[0037] 회전 축을 중심으로의 제안된 트위스트능력이 연속적으로, 더욱이 대안적으로 그러나 또한 단차(stepwise) 방식으로, 예를 들어, 원주방향에서 볼 때 15°, 30° 또는 45° 단차들에서 달성될 수 있다.
[0038] 예를 들어, 가압 조는, 더욱이 예를 들어 가압 조의 마모 후에, 가압 조의 변경을 위해 또는 블랭크에 적응되는 상이하게 설계된 가압 조의 배열을 위해 선회 핀으로부터 장착해제될 수 있다. 이는, 더욱이 가능하게는 하지만 또한, 예를 들어 플라이어들 또는 스크류드라이버(screwdriver)와 같은 종래의 공구를 사용하여 도구들 없이 달성될 수 있다.
[0039] 선회 핀의 홀더는 선회 핀 및 가압 조 둘 모두 상에서 포지티브하게(positively) 수용되는 플러그-인 부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선회 핀으로부터 가압 조를 장착해제하기 위해, 플러그-인 부품은 이에 따라 제거되어야 하며, 이에 의해 형상 끼워맞춤이 취소된다.
[0040] 플러그-인 부품은 전반적으로, 대략적으로 U 형상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U-웹을 통해 연결되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2개의 U 레그들을 갖는다. 형상 끼워맞춤은 U 레그들 및/또는 U 웨브의 영역에서 달성될 수 있다.
[0041] 플러그-인 부품은 또한, 와이어 형상 스프링, 특히 U 형상 와이어 형상 스프링과 같은 플러그-인 부품의 형태의 결과로서, 탄성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42] 그 자체에 대해 홀로 고려될 때 또한 본질적일 수 있는 추가의 실시예에서, 선회 핀은 트위스트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선회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조인트에서 연관된 플라이어 조에 수용될 수 있으며, 가압 조가 대향 플라이어 조로부터 해제될 때, 가압 조들은 플라이어들 마우스로부터 트위스트 축의 방향으로 밖으로 당기기 위해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트위스팅될 수 있다. 연관된 플라이어 조들로부터 또는 연관된 선회 핀으로부터의 하나의 가압 조의 해제의 경우, 가압 조로부터 가압 조를 향하는 플라이어 조의 상부 측면의 이격은 다른 가압 조의 방향으로 관련된 가압 조의 변위에 의해 성취되어 달성될 수 있다. 이는 해제된 가압 조와 플라이어 조의 면하는 표면 사이의 자유 공간을 초래하며, 이는, 더욱이 특히 가압 조 쌍이 플라이어들 마우스의 영역으로부터 밖으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선회 축을 중심으로의 가압 조 쌍의 선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련된 선회 핀으로부터의 추가의 가압 조의 해제 후에, 가압 조 쌍은 실질적으로 선회 축을 따른 방향으로 밖으로 당겨질 수 있다. 핸들링 기술에 대해 유리한 방식으로 가압 조를 변경하는 것이 따라서 가능하다.
[0043] 더욱이, 이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선회 축 및/또는 트위스트 축의 구성은 또한, 안내 요소들을 가지지 않거나 상이하게 성형된 안내 요소들을 가지는 가압 조들에서 실행가능하다.
[0044] 가능한 가압 조들에서, 가압 조들의 리브들은 가압 조 개구의 방향으로 리지선을 넘어 돌출하는 돌기들을 가지며, 이러한 돌기들은 리브 패밀리에 대해 리브들의 넓은 측면 상에서 볼 때 서로 중첩할 수 있다.
[0045]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단지 개별적인 리브 패밀리들은 이러한 돌기들, 따라서 예를 들어 가압 조의 둘 모두의 리브 패밀리들을 가질 수 있는 반면, 다른 가압 조의 리브 패밀리들은 이러한 돌기들을 가지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가압 조의 각각의 리브 패밀리에는 이러한 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모든 리브 패밀리들, 이에 따라 둘 모두의 가압 조들의 모든 리브들에는 이러한 돌기들이 제공된다.
[0046] 가능한 일 실시예에 따라, 리지선들은 연속적으로, 즉 연장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으로 신장되는 리지선의 일단부로부터 리지선의 타단부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리지선은, 예를 들어, 돌기에 의해 추가적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으로 이어진 영역을 가질 수 있다.
[0047] 더욱이, 상이한 또는 또한 동일한 길이들을 가지는 리지선의 직선으로 이어진 영역들이 또한, 리지선의 연장의 길이방향에 대해 돌기의 양측면들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0048] 돌기의 양측면들 상에서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이러한 직선으로 이어진 영역들은, 가능한, 심지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직선으로 이어진 영역들이 리지선의 2개의 종료점들 사이에서 걸쳐지는 기하학적 기초선을 따라 이어질 수 있다.
[0049] 가압 조 개구의 방향으로의 이러한 가상 기초선에 걸친 돌기의 가장 큰 연장부는, 가압 조 개구가 처음에 폐쇄될 때 구축되는 기초선의 가장 큰 연장부의 1/50 내지 1/10에 대응할 수 있다.
[0050] 처음에 폐쇄된 가압 조 개구는, 이들의 리지선들과의 서로를 향해 이동되는 가압 조들의 서로 맞물리는 리브들이 이들의 가장 큰 단면 형상에서 가압 조들을 완전히 원주방향으로 에워싸는 가압 조 변위 포지션에서 달성된다.
[0051] 바람직한 실시예의 리브들의 돌기들은 각각의 가압 조 개방 포지션에서 작용하고,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가장 다양한 코어 단부 슬리브 단면들의 가압에서 작용한다.
[0052] 기초선의 연장의 방향으로 측정된 돌기의 길이는, 가압 조 개구가 처음에 폐쇄될 때 구축되는 기초선의 가장 큰 연장의 1/3 내지 1/10에 대응한다.
[0053] 리지선은 연속적으로 동일한 반경을 가지는 돌기의 영역에서 원-단면-형상이도록, 선택적으로 연장의 방향으로 가변 반경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0054]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돌기의 최고점이 또한 존재하며, 가압 조 개구가 처음에 폐쇄될 때 구축되는 가상 기초선의 가장 큰 연장에 대해 돌기의 최고점이 리브의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다. 이러한 오프셋은, 따라서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큰, 예를 들어, 16mm2의 단면을 가지는 코어 단부 슬리브들의 가압 동안 전체 돌기의 완전한 편심 배열까지 달성될 수 있다. 보다 작은, 예를 들어, 6mm2 또는 2.5mm2의 단면을 가지는 코어 단부 슬리브들의 가압 동안, 길이방향 중심에 의해 횡단되는 돌기의 배열은 그 후의 유효한 리지선에 대해 가압의 순간에 획득될 수 있다.
[0055] 오프셋은 바람직하게는, 기초선에 대한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기초선에 접하는 인접한 배열에서 동일한 가압 조의 다음에 뒤따르는 리브의 기초선에 대해 주어진다. 길이방향 중심은 여기서, 가압 조 개구가 처음에 단부에서 리지선의 범위를 정하는 지점들 사이에서, 이에 따라 가상 기초선으로 폐쇄될 때의 중심에 관한 것이다.
[0056] 제안된 방법에 관하여, 이는 달리 선형으로 이어지는 리지 기초선에 대해 수직하게 정렬되는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으로 구성되는 함몰부(concavity)를 초래한다. 가압된 코어 단부 슬리브의 오목하게 이어지는 벽 섹션들은 이에 따라, 특히, 반대편 코너 영역에 할당되면서, 코너 영역에 접선방향으로 할당되는 달리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 벽의 단면으로 보이는 벽 레그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16mm2 또는 8mm2과 같은 보다 큰-직경 단면들의 경우에 획득되며, 연관된 벽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직선으로 이어진다. 보다 작은 단면들의 경우에, 벽 레그는 심지어, 대략 동일한 길이의 직선 벽 섹션에 의해 둘 모두의 측면들 상에서 옆에 배치되는(flanked) 오목한 벽 섹션으로 구축될 수 있다. 가장 작은, 예를 들어, 2.5mm2의 단면들의 경우에, 효과는 심지어 구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실질적으로 단지 하나의 오목한 벽 섹션들은 달리 실질적으로 직각의 벽의 코너 영역들을 연결시킨다. 이러한 작은 단면들의 경우에, 이는, 가압 동안, 돌기들의 양측면들 상의 가압 윤곽부의 완전한 충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직선으로 이어지는 벽 섹션들이 구축되지 않는다.
[0057] 이전에 그리고 또한 이후에 특정되는 범위들 또는 값 범위들은 개시에 관하여, 각각의 치수의 1/10 단계들에서 모든 중간 값들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따라서 또한 치수가 없다. 예를 들어, 1/15 내지 1/20의 정보는 또한, 10/500 내지 9/200, 11/500 내지 11/200, 11/500 내지 9/200 등의 개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개시는, 하지만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각각 특정된 범위로부터 하나 이상의 단일 값들의 개시를 위해, 한편으로는, 하나의 상기 범위 제한의 하한 및/또는 상한을 부과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0058] 본 발명은, 그러나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하나를 참조하여 단지 설명되고 그리고 추가의 실시예에서 그곳에서 구축된 특정한 특징의 결과로서 다른 부품에 의해 교체되지 않은 부품은 따라서 또한, 이러한 추가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위한 임의의 경우에서 제공되는 가능한 부품으로서 설명된다.
도 1은 가압 마우스 개방 포지션의 크림핑 플라이어들을 상세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에 대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크림핑 플라이어들을 평면도로 도시한다.
도 4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을 향한 확대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영역(V)의 확대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교차 평면(VI)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영역(VII)를 확대를 도시한다.
도 8은 가압 조 개방 포지션에 관련된 가압 조 배열을 상세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화살표(IX)의 방향으로 보이는 가압 조 배열체의 추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 대응하지만, 가압 조들을 크림핑 플라이어들 상에 고정하는 플러그-인 부품들을 제거한 후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1은 연관된 선회 핀 및 플러그-인 부품들을 갖는 가압 조들을 사시 분해도로 도시한다.
도 12는 가압 조 배열체를 통과하는 도 4의 선(XII-XII)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에 대응하지만 가압 조 쌍의 결합 트위스팅 동안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4는 가압 조를 유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선회 핀을 상세도로 도시한다.
도 15는 선회 핀의 추가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6은 선회 핀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17은 도 9에 실질적으로 대응하지만, 부속 선회 핀 상에서의 가압 조의 유지를 취소하고 그리고 가압 조 쌍을 제거 포지션으로 멀리 선회시킨 후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8은 도 3의 선(XVIII-XVIII)을 따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19는, 가공물이 가압 조 개방 포지션과 관한 가압 마우스에 삽입되는 경우의 도 8의 교차 평면(XIX)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도 19의 화살표(XX)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21은 가압 프로세스 동안 중간 포지션에 관한 도 18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22는 도 21에 따른 가압 중간 포지션에 관한 도 19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23은 도 22의 화살표(XXIII)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24는 추가적인 가압 조 변위 동안 도 22에 대한 팔로우-업 도면(follow-up diagram)을 도시한다.
도 25는 돋보기 모양 확대도로 도 24의 화살표(XXV)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26은 가압 조에 작용하는 리테이너 부품의 제1의 굽힘 편향 중에 중간 포지션에 관한 도 21에 대한 팔로우-업 도면을 도시한다.
도 27은 리테이너 부품을 개별적인 도면으로 도시한다.
도 28은 리테이너 부품의 추가적인 탄성 굽힘 동안, 추가적인 가압 프로세스 동안의 도 26에 대한 팔로우-업 도면을 도시한다.
도 29는 가압 조들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도 4에 따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0은 도 29에 따른 실시예의 가압 조 쌍을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31은 제2 실시예의 가압 조들의 리브들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 가압 조 개구를 개략적이고 확대된 도면으로 도시한다.
도 31a는 도 31의 영역(XXXIa)의 확대를 도시한다.
도 32는 가압을 위한 가압 조 개구에 삽입되는 가공물을 갖는 도 29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33은 가압 프로세스 동안 도 32에 대한 팔로우-업 포지션을 도시한다.
도 34는 가압 종료 포지션에 관한 도 33에 대한 팔로우-업 도면을 도시한다.
도 35는 전도체 단부들을 수용하는 코어 단부 슬리브의 형태의 도 29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가압 조 쌍을 사용하여 가압되는 가공물을 상세도로 도시한다.
[0059] 이 크림핑 플라이어들은 2개의 플라이어 조들(2, 3), 2개의 핸들 부품들(4, 5) 및 가압 조 쌍으로서 서로 대향에 배열되는 제1 가압 조(6), 및 제2 가압 조(7)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1)이 도 1을 참조하여 초기에 도시되고 그리고 설명된다.
[0060] 도 1 내지 도 28은 제1 실시예에서 가압 조들(6 및 7)을 갖는 크림핑 플라이어들(1)을 도시한다. 가압 조들(6 및 7)의 제2 실시예는 도 29 내지 도 35에서 도시된다.
[0061] 플라이어 조(2) 및 연관된 핸들 부품(4)은 이후에 각각의 경우에 고정식으로 추가적으로 지정되는 반면, 플라이어 조(3) 및 플라이어들 조와 연관된 핸들 부품(5)은 이동가능한 것으로 추가적으로 지정된다.
[0062] 제1 가압 조(6)는 고정식 플라이어 조(2)와 연관되는 반면, 가동식 플라이어 조(3)는 제2 가압 조(7)를 지닌다.
[0063] 고정식 플라이어 조(2)는, 플라이어 조(2)의 길이방향 연장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는 2개의 조 부품들(8)로 실질적으로 구성되며, 이 조 부품들은 단부들에서 가압 조들(6 및 7)을 등지는 영역 내로 그리고 이에 따라 구성되는 플라이어 조(2)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핸들 부품(4) 내로 건너간다. 핸들 부품은, 이동 핸들 부품(5)을 갖는 또한 경우와 같이, 핸들 슬리브(9 또는 10)에 의해 둘러싸인다.
[0064] 가동식 플라이어 조(3)는 고정식 플라이어 조(2) 상에 기하학적 회전 축(x)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며, 여기서 회전 개방 포지션은 고정식 플라이어 조(2)의 섹션 상에서, 예를 들어,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회전 축(x)의 연장 방향으로 고정식 플라이어 조(2)의 조 부품들(8) 사이에서 연장하는 핀(12) 상에서 가동식 플라이어 조(3)의 정지 섹션(11)의 지지의 결과로서 정지-제한된다(stop-limited).
[0065] 회전 축(x)은, 특히 고정식 플라이어 조(2) 및 인접한 핸들 부품(4)의 연장의 길이 방향에 대해 관하여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이어진다.
[0066] 게다가 가동식 플라이어 조(3)는 그의 정지-제한된 회전 개방 포지션의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작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장력 스프링의 형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관된 제2 가압 조(7)를 등지는 가동식 플라이어 조(3)의 레버 단부에 작용하는 스프링(13)이 제공된다. 플라이어 조(3)를 등지는 스프링(13)의 단부는 고정식 플라이어 조(2)의 추가의 핀(14)에 연결된다.
[0067] 서로를 등지는 레버 섹션들[따라서 실질적으로 핸들 부품(5)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레버 섹션(이 레버 섹션의 단부에서, 스프링(13)이 작용함) 및 크림핑 플라이어들(2)의 전방 측의 방향으로 지향되어 핸들 부품(5)을 등지는 레버 섹션(이 레버 섹션의 단부 구역 상에 연관된 제2 가압 조(7)가 유지됨)]은 실질적으로 기하학적 회전 축(x)으로부터 시작하여 연장한다.
[0068] 전반적으로, 묘사된 예시적 실시예의 가동식 플라이어 조(3)는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재료-균일한(material-uniform) 판형 레버 부품(15)에 의해 형성된다.
[0069] 더욱이, 가동식 핸들 부품(5)은 스프링(13)이 작용하는 레버 섹션(17)의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관절결합된다. 관련된 기하학적 회전 축(y)은 가동식 플라이어 조(3)의 기하학적 회전 축(x)에 대해 평행한 정렬로 연장한다. 래칫 아암(ratchet arm)(18)과 조합하여, 이는 핸들 부품(5)의 관절결합 및 플라이어 조(3)의 핸들 부품(5)을 통한 작용과 관련된 니 조인트 배열체(knee joint arrangement)(K)를 초래한다.
[0070] 이러한 목적을 위해, 래칫 아암(18)은 일 단부에서 고정식 플라이어 조(2)에 그리고 다른 단부에서 가동식 핸들 부품(5)에 관절결합된다. 관련된 기하학적 회전 축들은 기하학적 회전 축(x) 및 또한 기하학적 회전 축(y)에 대해 평행하게 각각 이어진다.
[0071] 치형식 래칫 섹션(toothed ratchet section)(19)은 크림핑 플라이어들(1)의 가동 시에 가동식 핸들 부품(5) 상의 선회가능하게 관절결합된 폴(pivotably articulated pawl)(20)과의 조합을 위한 래칫 아암(18) 상에 형성된다. 상기 폴은 가동식 핸들 부품(5)에서의 장력 스프링(21)의 배열의 결과로서 기초 포지션으로 스프링-프리-텐셔닝된다(spring-pre-tensioned).
[0072] 공지된 방식으로, 니 조인트 배열체(K)의 조절이 액추에이터(22)에 의해 가능하게 되며, 이 액추에이터는 고정식 플라이어 조(2) 상에서 외측으로부터 접근가능하고 그리고 기하학적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이 기하학적 회전 축을 중심으로 래칫 아암(18)은 또한 고정식 플라이어 조(2)의 영역에서 이동가능하며, 이 액추에이터는 수개의 회전 포지션들에서 래치결합된(latched)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22)는 도시되지 않은 편심부를 통해 래칫 아암(18)의 회전 축의 고정된-조-측에 작용해서, 이러한 조치에 의해, 관련된 기하학적 회전 축의 대응하는 선형 변위가 달성될 수 있다.
[0073] 제1 가압 조(6)는 탄성적인 리테이너 부품(23)의 단부에서 고정된다. 고정식 플라이어 조(2)의 길이방향 연장 및 고정된 핸들 부품(4) 내로의 그의 연장부에서 실질적으로 이어지는 리테이너 부품(23)의 중심선에 관하여, 가동식 플라이어 조(3) 또는 가동식 핸들 부품(5)으로부터 볼 때, 실질적으로 오목한 프로파일은 특히, 제1 가압 조(6)를 유지하는 자유 단부와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정지 연결부(25) 사이의 리테이너 부품 섹션(24)의 영역에서 획득된다.
[0074] 리테이너 부품(23)은 바람직하게는, 고정식 플라이어 조(2)의 조 부품들(8)에 의해 양측면들 상에서 플랭킹되며(flanked), 여기서 제1 가압 조(6)를 지니는 단부를 등지는(facing away from) 리테이너 부품 섹션(26)은 단부에서 고정식 플라이어 조(2)에, 이에 따라 조 부품들(8) 및/또는 고정된 핸들 부품(4)에 연결된다. 묘사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된 연결부(27)는 중심선(a)의 연장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2개의 핀 연결부들에 의해 이러한 점에서 주어진다.
[0075] 가압 조들(6, 7)은 크림핑 플라이어들(1)에서 반대편의 배열을 위해 구성된다. 1개 또는 2개의 가압 조들(6, 7)은 리브들(ribs)(29, 31)을 갖는다. 기초 표면 상으로 돌출되는 이들의 자유 단부들의 프로파일에 따라, 리브들(29, 31)은 리브 길이 방향(R)을 갖는다(예를 들어, 도 11 참고). 가압 동안, 리브들(29, 31)은 서로에게로, 보통 이들의 높이(H)의 일부에 걸쳐 이동할 수 있다(또한 도 11 참고). 이러한 문제에 있어서, 도 6 및 도 7에 대한 참조가 또한 이루어진다. 가압 동안 보통 블랭크(blank)와 맞물리게 되는 리브들(29, 31)의 영역은 작동 영역으로서 지정된다. 리브들(29, 31)의 작동 영역 외측에서, 리브들(29, 31)은 대향 가압 조(6, 7)로부터 시작하는 안내 돌출부(38)와 협동하는 안내 표면(F)을 갖는다. 따라서, 리브 길이 방향으로 협동 및 이에 따라 또한 변위 방해 또는 변위 제한이 존재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안내 표면은 또한 횡방향으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주어질 수 있다. 묘사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는, 안내 돌출부(38)의 이러한 방향으로, 가능하게는 양측면들 상에서 반대로 향하는 대응하는 전방 면(S)에 의해 달성된다(이러한 문제에 있어서 또한 도 5 참고). 횡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주어지는 안내 표면은 변위 제한으로서 보다 덜 역할을 하고 그리고 가능하게는 서로에 대해 가압 조들의 선형 안내부라는 점에서 부가의 안내부로서 보다 많은 역할을 한다. 관련된 변위 제한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맞물리는 리브들(intermeshing ribs)에 의해 이미 달성된다.
[0076] 가압 조들(6 및 7)은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처음에 가압 조(6)에 관하여, 리브들(29)이 배열되는 기초 본체(28)를 우선적으로 포함하는 이러한 경우에 동일한 설계이다. 리브들(29) 및 기초 본체(28)는 바람직한 바와 같이, 동일한 재료의 일체로 형성된다.
[0077] 가압 조(6)의 리브들(29)은 리브 길이 방향(R)을 갖는다. 이러한 리브 길이 방향(R)에 대해 수직으로 주어지는 관찰 방향에 관하여, 기초 본체(28)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또는 리브 길이 방향(R)에 대해 수직하게 이어지는 외부 리브 전방 면(30)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리브들(29)은 윤곽에서 획득된다. 이러한 리브 전방 면(30)으로부터 시작하여, 리브 길이 방향(R)으로 연장하는, 반대편 가압 조를 향하는 전방 면은 기초 본체(28)의 방향으로 감소한다.
[0078] 가압 조(6 또는 7)의 정렬된 리브들은 리브 길이 방향(R)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특히 이격 방향으로 보이는 리브 두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간격으로 배열된다.
[0079] 부분적으로, 가압 조(6 또는 7)의 추가의 리브들은 동일한 가압 조(6 또는 7)의 이러한 간격 영역들로 들어간다(dip). 가압 조(6)의 정면도(이 정면도에서, 리브(29)의 삼각형 윤곽 형태가 도시됨)에 관하여, 이전에 설명된 리브들(29)의 중간 공간들에서 맞물리는 추가의 리브들(29)은 실질적으로 거울-이미지이지만 바람직하게는 리브 폭만큼 오프셋되어(offset) 배열되고, 또한 이에 따라 기초 본체(28)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이어지는 외부 리브 전방 면(30)을 가지며, 이 외부 리브 전방 면은 이전에 설명된 리브들(29)의 리브 전방 면들(30)에 대해 대향에 놓인다. 이러한 추가의 리브들(29)은 또한, 기초 본체(28)의 방향의 리브 길이 방향으로 감소한다. 가압 조(6)의 정렬된 리브들(29)은 리브 패밀리(54 또는 55)를 형성한다(도 8 참조).
[0080] 반대편 가압 조(7)는 리브들의 구성 및 배열에 관하여 동일한 설계를 가지며, 이에 따라 전방 측으로부터 관찰되는 윤곽에 관하여 볼 때 외부 리브 전방 면들(32)을 갖는 삼각형 리브들(31)을 포함한다.
[0081] 가압 조들(6 및 7)의 리브들(29 및 31)은 콤형(comb-like)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며, 여기서 리브들(29 및 31)의 이전에 설명된 삼각형 윤곽 형상 및 가압 조(6 및 7 내측의 거울-이미지 배열의 결과로서, 서로에 대해 가압 조들(6 및 7)의 간격과 관계없이,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사각형, 더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 윤곽을 가지는 가압 조 개구(33)가 구축된다. 가압 조 개구(33)의 에지 길이는 서로에 대해 가압 조들(6 및 7)의 다양한 선형 간격(varying linear spacing) 동안 균일하게 가변한다.
[0082] 다른 가압 조를 향하는 각각의 리브(29, 31)는 도 7의 도면에 따른 단면에서 라운딩된 윤곽선(rounded contour line)(35)을 가지는 자유 전방 면(free front face)(34)를 가지며, 자유 전방 면은 리브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획득되고 그리고 중심에서 가장 멀리 돌출한다. 이러한 라운딩된 또는 커브형 윤곽선(35)은, 합쳐지는(bringing-together) 방향(r)에 관하여 선형으로 바람직하게는 연장하는, 가압 조들(6 및 7)의 리브(29, 31)의 플랭크 윤곽부(flank contour)(36) 사이에서 연장하며, 여기서 더욱이, 평행으로 이어지는 플랭크 윤곽부(36)는 바람직하게는 리브(29, 31)에 대해 양측면들 상에서 제공된다. 반대편 가압 조의 방향에서 볼 때, 바람직하게는, 전반적으로 오목 커브형 윤곽선(35)이 획득된다.
[0083] 커브형 윤곽선(35)은, 예를 들어, 리브 두께 수치의 절반에 대응할 수 있는 (균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이러한 경우에, 리브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관찰되는 전체적인 리브 두께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0084] 추가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윤곽선(35)의 연속적인 만곡부는 선택적으로, 단면에 대해 대략 중심에 있고 그리고 리브(29, 31)의 가장 멀리 돌출하는 영역을 함께 형성하는 평탄화된 부분(37)에 의해 중단될 수 있다. 이는 단면에 대해 정렬될 수 있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플랭크 윤곽부(36)에 대해 선형으로 이어진다.
[0085] 가압 조들(6 및 7)의 합쳐지는 방향(r)에 대해 수직한 관점을 참조하여, 전방 면(34)을 따른 리지선(56)은 각각의 경우에 리브 전방 면(30 또는 32) 상에 보일 때 획득된다. 도 1 내지 도 28에서 도시되는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 이러한 리지선(56)은 바람직하게는 연속 직선으로 신장된다(도 4 참고).
[0086] 리브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크림핑 플라이어들(1)의 가동시에, 특히 실행될 가압 동안, 리브들(29 및 31)의 지지 및 이에 따라 그러므로 가압 조들(6 및 7)의 안내가 획득될 수 있다.
[0087] 추가적으로, 안내부(guide)는 특히 리브 길이 방향으로 제공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가압 조(6, 7)는, 합쳐지는 방향(r)으로 관찰되는 길이를 가지는, 각각의 기초 본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돌출부(38)를 가지며 이 길이는, 동일한 기초 본체(28) 상에 배열되는 리브들(29 또는 31)의 동일한 방향으로 관찰되는 길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안내 돌출부(38)는, 묘사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2개 또는 3개의 리브들(29, 31)의 배열을 커버하는 치수에 걸쳐 리브 길이 방향으로 횡방향으로 지향되어 연장한다.
[0088] 안내 돌출부(38)는 연관된 리브 전방 면(30 또는 32)을 따라 추가적으로 연장한다.
[0089] 리브들(29 및 31)이 서로 맞물리는 가압 조들(6, 7)의 사용 포지션에서, 안내 돌출부(38)는 안내 표면을 형성하는 리브 전방 면들(30 또는 32)과 협동한다.
[0090] 안내 돌출부(38)를 통한 이러한 지지가, 리브 길이 방향에서 볼 때 대향에 제공되며, 여기서 반대편의 안내 돌출부들(38)은 그 사이에 남아 있는 중심 삽입 개구(39)를 떠나는 일 측면 상에서 두 번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다른 가압 조(6, 7)의 중심 삽입 개구 내로의 삽입을 위한 반대편 측면 상에서 단지 한번 제공된다.
[0091] 또한 그 결과, 안내부는, 2개의 가압 조들의 콤형 협동 안내 돌출부들(38)의 길이 방향 에지 표면들의 맞닿음(abutment)의 결과로서 또한 제공된다.
[0092] 특히 핸들링 기술에 대해 크림핑 플라이어들(1)을 추가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가압 조들(6 및 7)은 고정식 플라이어 조(2)와 가동식 플라이어 조(3) 사이에서 파지되어 사용 포지션에서 트위스트 축()을 중심으로 결합되게 회전가능하며, 이 트위스트 축은 합쳐지는 방향(r)으로 그리고 가동식 플라이어 조(3) 또는 가동식 핸들 부품(5)의 기하학적 회전 축들(x 및 y)에 대해 횡방향으로 지향된다.
[0093] 이러한 가능한 트위스팅은 가압 조들(6 및 7)의 합쳐지는 포지션과는 독립적이며, 즉, 예를 들어 도 2의 도면에 따른 가압 조 기초 포지션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또한, 예를 들어 도 28의 도면에 따른 크림핑 플라이어들 종료 포지션 둘 모두에, 그리고 더욱이 또한, 기초 포지션과 종료 포지션 사이의 각각의 중간 포지션에 있다.
[0094] 또한, 가압 조들(6 및 7)이 서로 완전히 이동되는 합쳐지는 포지션에서의 트위스트 축(x)을 중심으로 하는 이러한 트위스트능력(twistability)(이는 가압될 가공물이 가압 조 개구(33)에 놓이지 않을 때에만 단지 가능함)이 실질적으로 달성되며, 이에 의해, 대향 플라이어 조 상에 배열되는 가압 조의 안내 돌출부(3)의 대향 플라이어 조를 향하는 표면(40)은 이러한 합쳐지는 포지션에서 반대편 가압 조의 기초 본체(28)의 하부 표면(41)을 넘어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안내 돌출부(38)의 표면(40)과 안내 돌출부(38)가 접근하는, 플라이어 조의 면하는 표면(42) 사이의 거리가 항상 존재한다.
[0095] 트위스트능력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가압 조(6 또는 7)에 할당되는 선회 핀(43)이 처음에 제공된다. 선회 핀은 하부 표면(41)을 통과하여 가압 조(6, 7)의 기초 본체(28)의 형상 적응된 오목부(shape-adapted recess)(44)에 놓인다. 가압 조(6, 7)는 선회 핀(43)에 대해 트위스트 축(z)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반면, 선회 핀(43)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이어 조(2, 3) 또는 레버 부품(15) 또는 리테이너 부품(23)의 각각 정렬된 단부에서 트위스트 축(z)에 대해 변위불가능하게 수용된다.
[0096] 가압 조(6 또는 7)는 각각의 선회 핀(43) 상에서 장착되지 않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묘사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U 형상 플러그-인 부품(45)이 제공되며, 이 U 형상 플러그-인 부품은 선택적으로 트위스트 축(z)에 대해 횡방향으로 가압 조 개구(33)를 형성하는 전방 측면에 플러그결합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트위스트 축(z)에 평행하게 그리고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2개의 채널들(46)은 가압 조(6, 7)의 기초 본체(28)에서 제공되며, 이 채널들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언로딩된 상태에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지는 플러그-인 부품(45)의 U-레그들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채널들(46)은, 선회 핀(43)을 실질적으로 수용하는 오목부(44)를 횡단한다(도 11 참고).
[0097] 선회 핀(43)에는, 적어도 플러그-인 부품(45)과 협동하는 섹션에서 다각형 단면이 묘사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팔각형의 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플러그-인 부품(45)의 U-레그들은, 트위스트 축(z)에 대해 여기서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선회 핀(43)의 2개의 반대편 평탄 측면들에 맞닿아 접한다. 가압 조(6, 7)에서뿐만 아니라 또한 선회 핀(43) 상에서의 플러그-인 부품(45)의 양각 수용(positive receipt)이 주어지는데, 왜냐하면 이전에 설명된 다각형 구성이 특히 선회 핀(43)의 제한된-직경 영역에서 형성되며, 이에 따라 U-레그들은 이에 의해 형성되는 원주 방향 환형 홈들에 놓이기 때문이다(또한 도 6을 참고). 이에 따라, 수개의 회전 포지션들에서의 로터리 래치결합 고정(rotary latching fixing)이 따라서 달성될 수 있다.
[0098] 추가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이도록 구성되는 플러그-인 부품(45)을 밖으로 당김으로써, 가압 조(6, 7)는 가압 조(6, 7)를 제거하기 위해 선회 핀(43)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0099] 각각의 선회 핀(43)은 더욱이, 선회 조인트(47)를 통해 연관된 플라이어 조(2, 3)에 또는 연관된 레버 부품(15) 또는 리테이너 부품(23)에 체결될 수 있다. 기하학적 선회 축(u)은 트위스트 축(z)에 대해 횡방향으로 지향되고, 선택적으로 또한 바람직한 바와 같이, 가동식 플라이어 조(3) 및/또는 가동식 핸들 부품(5)의 기하학적 회전 축들(x 및 y)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00100]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선회 핀(48)은 가압 조(6, 7)의 기초 본체(28)에 수용되는 섹션들의 연장부에서 선회 핀(43) 상에서 몰딩되며, 이 선회 핀은 핀 직경과 비교하여 확대된 안내 조들(49)에 의해 단부에서 양측면들 상에서 커버될 수 있다.
[00101] 각각의 선회 핀(48)은 연관된 플라이어 조(2, 3)의 형상-일치된 공동(50) 또는 연관된 레버 부품(15) 또는 리테이너 부품(23)에서 수용되며, 이 공동(50)은 바람직하게는, 선회 핀(48)의 원주 방향 연장부의 절반에 걸쳐 도 15의 도면에 따른 단면에서 연장하여, 따라서 선회 핀(43)의 캡티브 유지(captive holding)를 제공한다.
[00102] 여기서 주어진 선회 축(u)을 중심으로하는 이전에 설명된 선회능력(pivotability) 및 각각의 선회 핀(43)으로부터의 가압 조들(6, 7)의 장착해제능력(dismountability)과 관련되어, 핸들링에 대해 유리한 방식으로 가압 조들(6, 7)을 제거하는 것 그리고 이 가압 조들로 설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거를 위해, 우선적으로 고정식 플라이어 조(2)과 연관된 제1 가압 조(6)의 플러그-인 부품(45)이 제거될 수 있으며, 이후에 제1 가압 조(6)는 리브들(29 및 31)의 코밍(combing) 상호작용으로 반대편의 제2 가압 조(7) 상에서 합쳐지는 방향(r)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회 핀(43)은 오목부(44)를 떠나며, 이후에 가압 조 쌍은 전반적으로, 예를 들어, 약 15° 내지 30°의 선회 각도만큼, 가동식 플라이어 조(3)와 연관된 제2 가압 조(7)의 선회 축(u)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이러한 포지션에서, 하지만 또한 이전에 이미 가능한 바와 같이, 제2 가압 조(7)의 추가의 플러그-인 부품(45)이 제거될 수 있으며, 이후에, 가압 조 쌍이 전반적으로 제2 가압 조(7)의 선회 핀(43)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가압 조 쌍의 장착은 역 순서로 성취된다.
[00103] 또한, 제2 가압 조(7)는 부속 선회 핀(43)으로부터 처음에 해제될 수 있고 그리고 그 후, 제1 가압 조(6)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이후에, 가압 조 쌍은 제1 가압 조(6)의 선회 축(u)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밖으로 선회되며, 제2 가압 조(7)는 선회 핀(43)으로부터 해제되고, 그리고 그 후, 따라서 해제된 가압 조는 제거된다.
[00104] 플라이어 조들 중 하나(고정식 플라이어 조(2))의 경우에서, 연관된 가압 조(6)는 이미 논의된 리테이너 부품(23)에 의해 고정식 플라이어 조(2)에 연결된다. 리테이너 부품(23)은, 홀더 부품이 탄성 방식으로 가압 방향에 반대로 유도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탄성적이다. 크림핑 플라이어들로의 가압 동안 고정된 연결부의 연결 영역에서, 리테이너 부품(23)과 고정식 플라이어 조(2)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없거나 거의 없다.
[00105] 리테이너 부품(23)은 또한, 가압 동안 고정식 플라이어 조(2)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움직임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가압 동안 가압 조(6)에 작용하는 힘들을 고려하여 탄성 변형으로 인해 달성되며, 이는 리테이너 부품(23)에 의해 수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능력(movability)은, 리테이너 부품(23) 및/또는 고정식 플라이어 조(2) 상에서 형성되고 그리고 리테이너 부품(23)의 힘 또는 변형의 대응하는 도입과 함께, 리테이너 부품(23)과 고정식 플라이어 조(2) 사이의 정지 연결을 초래하는 정지의 결과로서 제한된다. 이러한 정지 연결이 달성될 때, 리테이너 부품(23)의 탄성 영역의 단축은 예전과 같이 획득된다. 힘의 추가의 작용 동안, 리테이너 부품(23)은 더 이상 대응하는 양만큼 탄성적으로 벗어나지 않으며, 이에 의해, 홀더 부품은 대응하는 힘의 양으로 이전에 벗어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추가의 탄성은 여전히 달성된다.
[00106] 고정식 플라이어 조(2)와 연관된 리테이너 부품(23)의 영역에 제공되는 정지 연결부(25)는 정지부에 의해 주어지며 이 정지부는 정지 섹션(51)에 의해 구체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정지부는 리테이너 부품(23)의 여유 에지에 맞닿아 접하게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예시적 실시예에서, 리테이너 부품(23)이 슬롯(53)을 가지는 것이 도시되며,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핀(52)의 형태의 정지부가 수용된다. 주어진 경우에서, 이것이 이러한 점에서 제공될 때, 슬롯(53)은 리테이너 부품(23)의 이전에 설명된 중심선(a)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략 수직한 길이 방향으로 지향되는 그의 중심 축으로 연장한다.
[00107] 슬롯(53)은 핀(52)의 직경에 일치되는 폭을 가지는 반면, 이에 수직하게 관찰되는 길이는 핀 직경의 1.5배 내지 대략 2배에 대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00108] 리테이너 부품(23)은 가압력의 적용 동안의 굽힘 변형(bending deformation), 특히 합쳐지는 방향(r)에 실질적으로 반대이고 그리고 중심선(a)에 대해 횡방향 굽힘 변형에 적합하다. 플라이어 조(2)에 대한 고정된 연결부(27)의 영역에서 클램핑의 결과로서 처음에 그리고 실질적으로 획득된 이러한 굽힘 변형 동안, 리테이너 부품(23)의 슬롯(53)은 정지 섹션(51) 또는 핀(52)에 맞닿아 접하게 될 수 있다. 리테이너 부품(23)은 단지, 정지 연결부(25)의 영역에서 이러한 맞닿음 포지션에서 지지를 경험하며, 이 지지는, 가압력의 추가의 도입 동안, 예를 들어, 보다 큰 직경 가공물들(W)의 가압 동안, 리테이너 부품 섹션(24)에서 단지 가능하게는 리테이너 부품(23)의 우세한 굽힘 응력을 유발시킨다.
[00109] 가압될 가공물(W)은, 바람직하고 그리고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블의 전도체 단부들(58)을 둘러싸는 코어 단부 슬리브(57)를 포함한다. 가압으로 인해, 코어 단부 슬리브(57) 및 전도체 단부들(58)의 빼냄-방지(withdrawal-proof) 연결은 코어 단부 슬리브(57)의 벽(59)의 변형의 결과로서 달성된다.
[00110] 리테이너 부품(23)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길이(I)와 비교하여 보다 작은 두께(d)를 가지는 평탄 부품으로서 구성된다. 묘사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길이(I)는, 두께(d)의 대략 15배 내지 30배, 추가적으로 대략 20배에 대응한다. 리테이너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고정식 플라이어 조(2)의 대응하는 평탄 측면에 맞닿아 거의 직접적으로 접한다.
[00111] 더욱이, 리테이너 부품 섹션(24) 및 리테이너 부품 섹션(26)의, 특히 각각의 중심 영역에서, 임의의 경우에, 각각의 중심 길이의 1/3에서, 중심선(a)에 대해 횡방향으로 관찰되는 가장 작은 단면(b, b’)이 획득된다. 고정된 연결부(27)와 정지 연결부(25) 사이의 가장 작은 단면(치수(b’))은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정지 연결부(25)와 제1 가압 조(6)를 위한 리테이너 영역 사이의 가장 작은 단면(치수(b))보다 더 크다. 정지 연결부(25)와 가압 조 리테이너 사이의 가장 작은 단면(b)의 치수는 정지 연결부(25)와 고정된 연결부(27) 사이에서 가장 작은 단면(b’)의 치수의 0.3배 내지 0.8배에 대응할 수 있다.
[00112] 묘사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리테이너 부품 섹션(24)의 관련된 길이의 절반 내지 2/3에 걸쳐 통과하는 정지 연결부(25)의 방향으로의 제1 가압 조(6)를 위한 리테이너 영역으로부터 시작하는 중심선(a)의 연장 방향에서 볼 때, 보다 작은 단면 치수(b)는 정지 연결부(25)와 고정된 연결부(27) 사이에서 연장하는 리테이너 부품 섹션(26)의 전체적인 연장 길이에 걸쳐 단면 치수(b’)와 비교하여 주어진다. 이에 따라, 가장 큰 변형의 영역은 정지 연결부(25)와 제1 가압 조(6)를 위한 리테이너 영역 사이에 리테이너 부품 섹션(24)에서 획득될 수 있다.
[00113] 그 결과, 유리한 힘-거리 보상은 가압 조들(6 및 7)을 변경하지 않고 상이한 직경들을 가지는 가공물들(W)을 가압할 수 있기 위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핸들 부품(5)의 각각의 레버 이동은, 폴(20)이 래칫 섹션(19)을 떠나는 바로 그 포지션에서의 가공물 직경과 관계없다. 그 결과로서 해제되는 가동식 핸들 부품(5)은, 가압 조들(6 및 7)을 개방하거나 서로 거리를 두면서, 뒤로 선회될 수 있다.
[00114] 더욱이, 힘-거리 보상은, 가동식 플라이어들 조(3)에 할당되거나 이러한 플라이어 조(3)를 직접적으로 형성하는 레버 부품(15)의 영역에서, 따라서, 특히 회전 축(x)과 연관된 가압 조(7)의 선회 조인트(47) 사이에서 획득되는 레버 섹션(16)에서 가능한 굽힘 변형의 결과로서 지지되며, 이 레버 섹션(16)은, 이의 본질적인 길이방향 연장에 대해 횡방향에서 볼 때, 회전 축(x)과 가동식 핸들 부품(5)의 선회 연결부 사이의 레버 섹션(17)보다 더 작은 최소 단면 치수를 갖는다.
[00115] 도 29 내지 도 34는 제2 실시예에서 가압 조들(6 및 7)을 갖는 크림핑 플라이어들 쌍을 도시한다. 2개의 가압 조들(6 및 7)의 리브들(29 또는 31)에는 각각의 리지선(56)에 대한 돌기(60)가 제공된다.
[00116] 리지선(56)의 길이방향 연장 방향에서, 각각, 하나의 직선으로 이어지는 영역(61)은 돌기(60)의 양측면들 상에서 획득된다. 이러한 직선으로 이어진 영역들(61)은, 리지선(56)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기초선(62)을 따라 배열되며, 기초선(62)을 넘어, 돌기(60)는 가압 조 개구(33)의 방향으로 지향된다.
[00117] 묘사된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돌기(60)는 도 31의 도면에 따른 윤곽에 대해 원형-라인-섹션 성형된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00118] 리브 패밀리(54 또는 55)의 돌기(60)는 가압 조(6 또는 7)을 향한 관점을 참조하여 서로 중첩하는 리브 전방 면(30, 32) 상에 놓인다.
[00119] 가상 기초선(62)을 넘는, 특히 기초선(62)에 대해 수직한 가장 큰 거리에서 위치되는 최고점(63)의 영역에서의 돌기(60)의 연장 치수(e)는 묘사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기초선(62)의 가장 큰 자유 연장 길이(f)의 1/40 내지 1/30에 대해 대략적으로 대응하며, 이는, 가압 조 개구(33)가 처음에 폐쇄될 때 구축된다(도 31 및 연관된 확대를 참조).
[00120] 기초선(62)의 연장 방향으로 관찰되는 돌기(60)의 길이(g)는, 묘사된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기초선(62)의 이전에 설명된 연장 길이(f)의 대략 1/7 내지 1/4, 추가적으로 대략 1/5에 대응할 수 있다.
[00121] 특히 도 31의 도면으로부터 추가적으로 식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돌기(60)는, 적어도 가압 조 개구(33)가 기초선(62)에 대해 수직으로 이어지는 중심선(M)에 대해 중심이 이탈한 방식으로 처음에 폐쇄될 때 리지선(56)의 연관된 기초선(62)을 참조하여 배열된다. 따라서, 돌기(60)는 그의 전체 길이(g)에 걸쳐 이에 따라 완전히 중심이 이탈되게 추가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00122] 더욱이, 돌기(60)의 중심 이탈 오프셋은 동일한 가압 조(6 또는 7)의 바로 인접한 리브(29 또는 31)의 돌기(60)를 가지는 기초선(62)에 대해 직각으로 이어지는 횡단하는 기초선(62)의 방향으로 중심 축(M)을 참조하여 주어질 수 있다. 리브 전방 면(30 또는 32)에 대한 관점으로서, 돌기(60)는 동일한 가압 조의 리브들에 의해 형성되는 거싯(gusset)의 방향으로 중심 축(M)에 대해 중심 이탈 방식으로 오프셋되도록 구성된다.
[00123] 돌기(60)의 길이(g)의 0.3배 내지 0.8배, 바람직하게는 대략 0.5배에 대응할 수 있는 길이(k)를 가지는, 리지선(56)의 제1 직선으로 이어진 영역(61)은 이러한 거싯으로부터 연장한다.
[00124] 돌기(60)에 접하는 리지선(56)의 가변 추가의 직선 영역(61)은 이전에 설명된 직선 영역보다 그의 길이(h)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더 크도록 선택되며, 따라서 돌기(60)의 길이의 1.5배 내지 2.5배, 추가적으로 대략 2배에 대응할 수 있는 길이(h)를 갖는다.
[00125] 도 32 내지 도 34는 제2 실시예의 가압 조들을 사용하여 가압 프로세스 동안 연속적 중간 포지션들을 도시한다.
[00126] 그 내부에 조합되는 전도체 단부들(58)을 갖는 코어 단부 슬리브(57)의 형태의 가공물(W)은 가압 조 개구(33)에 수용된다. 코어 단부 슬리브(57)의 벽(59)은 처음에 가압 영역에서, 즉,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32의 도면에 따른 원 단면을 갖는다. 전도체 단부들(58)은 코어 단부 슬리브(57)에서 이러한 포지션으로, 느슨하게 즉, 빼냄-방지 방식이 아니게 수용된다.
[00127] 가압 조들(6 및 7)의 리브들(29 및 31)을 이동하는 동안, 리브-측 리지선들(56)의 영역의 돌기들(60)은 처음에 코어 단부 슬리브(57)의 벽 외부 표면에 맞닿게 올라온다.
[00128] 서로로의 가압 조들(6 및 7)의 추가의 이동 동안 돌기들(60)의 보조로, 오목하게 이어진 벽 섹션들(64)은 코어 단부 슬리브(57)의 벽(59)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서로를 향해 가리키는 가압 조들(6 및 7)의 리브들(29 및 31) 사이에 합쳐지는 방향(r)에 대해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거싯으로의 벽 재료의 편향은 변형의 결과로서 달성되며, 그리고 그렇게 할 때, 단면에서 대응하는 직선으로 이어진 벽 섹션들은 이러한 가압 조 포지션에서 리지선들(56)의 가능하게 보다 긴 직선 영역들(61)을 따라 형성된다. 코어 단부 슬리브(57)의 2개의 직접적으로 뒤따르는 이러한 직선으로 이어진 벽 섹션들은 이러한 경우에 서로에 대해 90도의 각도로 둘러싼다.
[00129] 이러한 직선으로 이어진 벽 섹션들은 돌기들(60)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하게 이어진 벽 섹션들(64)에서 종료된다(도 33 참고).
[00130] 도 34에 따른 가압 단부 포지션이 도달될 때까지 가압 조들(6 및 7)의 서로로의 이동 동안, 코어 단부 슬리브(57)의 벽(59)은 바람직하게는 또한, 가압 조(6 및 7)의 리브들 사이에서 합쳐지는 방향(r)으로 가리키는 거싯으로 압박되고, 이에 따라 돌기(60)에 접하는 리지선(56)의 보다 짧은 직선으로 이어지는 영역들(61)에 적응된다.
[00131] 보다 작은 가공물 섹션들을 가압하기 위해, 가압 조들(6 및 7)은 추가적으로 함께 이동한다. 가압은 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는 가압 조 개구(33)와 함께 이루어진다. 서로 맞물림의 결과로서, 이는 가압을 위해 사용되는 보다 긴 직선으로 이어진 영역(61)의 섹션들의 길이의 단축을 초래한다. 따라서, 대략 동일한 길이의 직선으로 이어진 벽 섹션들은 오목한 벽 섹션(64)의 양측면들 상의 단면에 대해, 가압된 가공물(W), 예를 들어, 코어 단부 슬리브(57)에 접할 수 있다. 특히, 가장 작은 단면들을 갖는 전체 벽 레그는 실질적으로 오목한 만곡부를 가질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코너 영역들로 직접적으로 건너간다.
[00132] 코어 단부 슬리브(57)의 변형된 단부 포지션에서, 따라서, 이는, 도 35의 도면에 따라 코어 단부 슬리브(57)의 벽 측면 상에 리브들(29 및 31)의 재료 두께에 따라 교번(alternate) 측면들 상에 구축되는 오목하게 이어진 벽 섹션들(64)을 갖는 전반적으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추가적으로 특히 정사각형 단면을 초래한다. 이러한 도면에서 도시되는 오목하게 이어지는 상부 벽 섹션들(64)은 가압 조(6)에서의 리브 쌍들(54 또는 55) 중 하나의 리브들(29)의 돌기들(60)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 도면에서 도시되는 오목하게 이어지는 하부 벽 섹션들(64)은 가압 조(7)의 하나의 리브 패밀리(54 또는 55)의 리브들(31)의 돌기들(60)에 의해 형성된다.
[00133] 가공물 길이방향(WL)으로 관찰되는 오목하게 이어지는 벽 섹션(64)의 폭(m)은 전방 면(34)의 리브 두께 또는 두께에 의존하는 이러한 경우에 리브 길이방향(R)에 대해 수직으로 관찰되며, 이 폭은 동시에 또한 바람직하게는 돌기(60)의 관련된 두께를 미리 규정한다.
[00134] 오목하게 이어지는 하부 벽 섹션들(64)에 대한 오목하게 이어지는 상부 벽 섹션들(64)의 오프셋은 가압 조(6 또는 7)의 서로 맞물리는 리브들의 오프셋에 대응하며, 여기서 가압 조(6 또는 7)의 서로 맞물리는 리브들의 오프셋에 대략 대응하는 거리(n)가 구축되며, 여기서 폭 치수(m)에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거리(n)는 구축된다. 이는, 가공물 길이방향(WL)으로 서로 옆에 배열되는 2개의 오목하게 이어지는 벽 섹션들(64) 사이에 거리 치수(p)를 추가적으로 초래하며, 거리 치수(p)는 서로에 대해 가압 조(6 또는 7)의 리브 패밀리(54 또는 55)의 2개의 정렬된 리브들의 거리 치수에 의존한다. 따라서, 또한 바람직한 바와 같이, 거리 치수(p)는 벽 섹션(64)의 폭(m)의 2배에 대략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00135] 도 3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기들(60)을 갖는 가압 조들을 사용하는 제안된 방법의 결과로서, 전도체 단부들(58)로 “균일하게” 완전히 채워진 코어 단부 슬리브(57)가 획득될 수 있으며, 이는 파지된 전도체 단부들(58)의 느슨함을 초래할 수 있는 단면에서 임의의 빈 영역들을 남기지 않는다.
[00136] 이전의 설명들은, 또한 각각의 경우에, 독립적으로, 적어도 다음의 특징 조합들(여기서, 다시 말해, 이러한 특징 조합들 중 2개, 수개 또는 모든 것이 또한 조합될 수 있음)에 의해 종래 기술을 추가적으로 개선하는 본 출원에 의해 전반적으로 포함되는 본 발명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00137] 크림핑 플라이어들(1)에서의 대향 배열을 위해 제공되는 2개의 가압 조들(6, 7)로서, 리브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안내 표면이 리브들(29, 31)의 작업 영역 외측에 형성되며, 이는 반대편 가압 조(6, 7)로부터 시작하는 안내 돌출부(38)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38] 크림핑 플라이어들로서, 안내 돌출부들(38)이 리브 길이방향에 대해 각각의 가압 조(6, 7) 상에 서로 대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39] 크림핑 플라이어들로서, 다수의 대향 안내 돌출부들(38)이 리브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유지되는 삽입 개구(39)를 갖는 가압 조(6, 7)의 제1 측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40] 크림핑 플라이어들(1)을 위한 가압 조들(6, 7)로서, 리브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의 단면에서 보이는 전방 면(34)이 중심에서 추가적으로 돌출하는 라운딩된 윤곽선(3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41] 가압 조들로서, 윤곽선(35)이, 선택적으로 가장 먼 돌출 영역에서 함께 형성되는 평탄화된 부분(37)의 예외의 경우에, 연속적으로 커브형 방식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42] 가압 조들로서, 만곡부가 합쳐지는 방향(r)으로 직선으로 연장하는 리브들(29, 31)의 플랭크 윤곽부(36)로 유입구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43] 크림핑 플라이어들로서, 가압 조들(6, 7)이 가압 조들(6, 7)을 합치는 방향으로 지향되는 트위스트 축(z)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는 것 그리고 가압 조들(6, 7)이 또한 플라이어 조(2, 3)에 의한 방해 없이 합치는 상태로 트위스트 축(z)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44] 크림핑 플라이어들로서, 플라이어 조(2, 3)가 연관된 가압 조(6, 7)을 향하는 표면(42)을 가지는 것 그리고 가압 조들(6, 7)의 합치는 상태의 안내 돌출부(38)가 합치는 방향(r)으로 제공하는 그의 표면(40)을 갖는 플라이어 조(2, 3)의 면하는 표면(42)으로부터 거리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45] 크림핑 플라이어들로서, 가압 조(6, 7)가 플라이어 조들(2, 3) 중 하나에서 선회를 위해 장착되는 선회 핀(43)을 가지며, 선회 핀(43)이 가압 조(6, 7)에서 장착해제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46] 크림핑 플라이어들로서, 선회 핀(43)의 홀더가 선회 핀(43) 및 또한 가압 조(6, 7) 둘 모두에서 포지티브하게(positively) 수용되는 플러그-인 부품(4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47] 크림핑 플라이어들로서, 플러그-인 부품(45)은 U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48] 크림핑 플라이어들로서, 플러그-인 부품(45)은 탄성적인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49] 크림핑 플라이어들로서, 선회 핀(43)이 트위스트 축(z)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선회 축(u)을 중심으로 선회하기 위한 선회 조인트(47)에서 연관된 플라이어 조(2, 3)에 수용되며, 가압 조(6, 7)가 대향 플라이어 조(2, 3)로부터 해제될 때, 가압 조들(6, 7)이 플라이어 마우스로부터 트위스트 축(z)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트위스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50] 가압 조들로서, 상기 관점에서 각각의 경우의 리브 패밀리(54, 55)의 리지선들(56)이 가압 조 개구(33)로 돌출하는 돌기(6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51] 가압 조들로서, 리지선들이 직선으로 이어지는 영역(61)을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52] 가압 조들로서, 가압 조 개구(33)의 방향으로의 가상 기초선(62)으로서 리지선(56)의 선형으로 연장된 직선 영역에 걸친 돌기(60)의 가장 큰 연장부가 가압 조 개구(33)가 처음에 폐쇄될 때 구축되는 기초선(62)의 가장 큰 연장부의 1/50 내지 1/10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53] 가압 조들로서, 기초선(62)의 연장 방향으로 측정되는 돌기(60)의 측정된 길이(g)가, 가압 조 개구가 처음에 폐쇄될 때 구축되는 가상 기초선(62)으로서 직선 영역에 걸쳐 선형으로 연장되는 리지선(56)의 가장 큰 연장부의 1/10 내지 1/3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54] 가압 조들로서, 가압 조 개구가 처음에 폐쇄될 때 구축되는 가상 기초선(62)으로서 직선 영역(61)에 걸쳐 선형으로 연장되는 리지선(56)의 가장 큰 연장부에 대한 돌기(60)의 최고점(63)이 동일한 가압 조(6, 7)의 인접한 배열에서 다음에 뒤따르는 리브(29, 31)의 기초선(62)에 대해 리브(29, 31)의 길이 방향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되며, 기초선이 기초 선(62)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기초선(62)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55] 본 방법은, 제14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압 조들(6, 7)을 사용함으로써, 처음에 리브들(29, 31) 상에 형성되는 돌기들(60)을 갖는 가압 조들(6, 7)이 코어 단부 슬리브(57)의 벽 외부 표면과 그리고 돌기들(60)의 보조로 접하게 되며, 추가의 가압 동안, 오목하게 이어지는 벽 섹션들(64)이 변형된 코어 단부 슬리브(57)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벽(59)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56] 본 방법은, 오목부가 달리 선형으로 이어지는 리지 기초선에 대해 수직하게 정렬되는 중심선(M)에 대해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57] 개시된 특징들 모두는 또한, (이들 자체로 그리고 또한 서로 조합으로) 본 발명에게 중요하다. 이와 함께 적용의 개시는 관련된/첨부된 우선권 문헌들(이전 출원의 사본)의 개시 내용을 그의 전체 내용에서, 또한 본 출원의 청구항들에 이들 문헌들의 특징들을 포함시키는 목적을 위해 포함한다. 종속항들은, 심지어 참조가 이루어지는 청구항의 특징들 없이, 특히 이들의 청구항들을 기초하여 분할 출원들을 만들기 위해, 종래 기술에 대한 발명의 추가의 개량예들에 독립적인 이들의 특징들로 특징화된다. 각각의 청구항에서 특정된 본 발명은 또한, 특히 도면 부호들로 제공되고 그리고/또는 부호의 설명에 의해 특정되는, 이전 설명에서 특정된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이들이 각각의 사용 목적을 위해 명백하게 제거가능하거나 기술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다른 수단에 의해 교체될 수 있는 한, 이전의 설명에 언급된 특징들 중 개별적인 것들이 구현되지 않는 설계 형태들에 관한 것이다.
1 크림핑 플라이어들
2 플라이어 조
3 플라이어 조
4 핸들 부품
5 핸들 부품
6 가압 조
7 가압 조
8 조 부품
9 핸들 슬리브
10 핸들 슬리브
11 정지 섹션
12 핀
13 스프링
14 핀
15 레버 부품
16 레버 섹션
17 레버 섹션
18 래칫 아암
19 래칫 섹션
20 폴
21 장력 스프링
22 액추에이터
23 리테이너 부품
24 리테이너 부품 섹션
25 정지 연결부
26 리테이너 부품 섹션
27 고정된 연결부
28 기초 본체
29 리브
30 리브 전방 면
31 리브
32 리브 전방 면
33 가압 조 개구
34 전방 면
35 윤곽선
36 플랭크 윤곽부
37 평탄화된 부분
38 안내 돌출부
39 삽입 개구
40 표면
41 하부 표면
42 표면
43 선회 핀
44 오목부
45 플러그-인 부품
46 채널
47 선회점
48 선회 핀
49 안내 조
50 공동
51 정지 섹션
52 핀
53 슬롯
54 리브 패밀리
55 리브 패밀리
56 리지선
57 코어 단부 슬리브
58 전도체 단부들
59 벽
60 돌기
61 영역
62 기초선
63 최고점
64 벽 섹션
a 중심선
b 단면
b’ 단면
c 거리
d 두께
e 연장 치수
f 연장 길이
g 길이
h 길이
k 길이
I 길이
m 폭
n 거리
p 거리
r 합쳐지는 방향
u 선회 축
x 회전 축
y 회전 축
z 트위스트 축
F 안내 표면
H 높이
K 니 조인트 배열체
M 중심선
R 리브 길이 방향
S 전방 면
W 가공물
WL 가공물 길이 방향

Claims (20)

  1. 크림핑 플라이어들(crimping pliers)(1)에서 대향 배열(opposite arrangement)을 위해 제공되는 2개의 가압 조들(pressing jaws)(6, 7)로서,
    상기 가압 조들(6, 7)은 리브(rib)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리브들(ribs)(29, 31)을 가지며, 상기 리브들은 가압 동안 서로 이동하고(move into),
    상기 리브들(29, 31)의 작업 영역의 외측으로 상기 리브 길이방향(R)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안내 표면(F)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 표면은 상기 대향 가압 조(6, 7)로부터 시작하는 안내 돌출부(guide protrusion)(38)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에서 대향 배열을 위해 제공되는 2개의 가압 조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안내 돌출부들(38)은 상기 리브 길이방향(R)에 대해 각각의 가압 조(6, 7)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에서 대향 배열을 위해 제공되는 2개의 가압 조들.
  3. 제2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대향 안내 돌출부들(38)은 상기 리브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유지되는 삽입 개구(insertion opening)(39)를 갖는 가압 조(6, 7)의 제1 측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에서 대향 배열을 위해 제공되는 2개의 가압 조들.
  4.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리브들(29, 31)을 포함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1)을 위한 가압 조들(6, 7)로서,
    상기 리브들은 리브 길이방향(R)을 가지며, 상기 리브들(29, 31)은 다른 가압 조(6, 7)에 할당되는 자유 단부 면(34)을 각각 가지고,
    상기 리브 길이방향(R)에 대해 횡방향인 단면에서 볼 때의 단부 면(34)은 중심에서 가장 멀리 돌출하는 라운딩된 윤곽선(rounded contour line)(3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에서 대향 배열을 위해 제공되는 2개의 가압 조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선(35)은, 선택적으로 가장 멀리 돌출하는 영역을 함께 형성하는 평탄화된 부분(37)을 제외하고, 연속적으로 커브형 방식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에서 대향 배열을 위해 제공되는 2개의 가압 조들.
  6. 제5 항에 있어서,
    만곡부(curvature)는, 함께 이어지는 방향(r)으로 직선으로 연장하는 상기 리브들(29, 31)의 플랭크 윤곽부(flank contour)(36)로 유입구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에서 대향 배열을 위해 제공되는 2개의 가압 조들.
  7. 2개의 플라이어 조들(2, 3)을 가지는 크림핑 플라이어들(1)로서,
    상기 2개의 플라이어 조들에는 바람직하게는, 제1 항 또는 제4 항의 전제부의 특징들에 따른 또는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향에 배열되는 가압 조들(6, 7)이 제공되며,
    상기 가압 조들(6, 7)은 상기 가압 조들(6, 7)을 합치는 방향으로 지향되는 트위스트 축(twist axis)(z)을 중심으로 결합되게 회전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가압 조들(6, 7)은 또한 플라이어 조(2, 3)에 의한 방해 없이 합쳐지는 상태에서 상기 트위스트 축(z)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플라이어 조들을 가지는 크림핑 플라이어들.
  8. 제7 항에 있어서,
    플라이어 조(2, 3)는 상기 연관된 가압 조(6, 7)를 향하는 표면(42)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가압 조들(6, 7)의 합쳐지는 상태에서, 상기 합쳐지는 방향(r)으로 주어지는 그의 표면(40)을 갖는 상기 안내 돌출부(38)는 상기 플라이어 조(2, 3)의 면하는 표면(facing surface)(42)으로부터 거리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플라이어 조들을 가지는 크림핑 플라이어들.
  9.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가압 조(6, 7)는 상기 플라이어 조들(2, 3) 중 하나에서 선회를 위해 장착되는 선회 핀(pivot pin)(43)을 가지며, 상기 선회 핀(43)은 상기 가압 조(6, 7)에서 장착해제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플라이어 조들을 가지는 크림핑 플라이어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핀(43)의 홀더는 상기 선회 핀(43) 상의 그리고 또한 상기 가압 조(6, 7) 상의 둘 모두에서 포지티브하게(positively) 수용되는 플러그-인 부품(plug-in part)(45)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플라이어 조들을 가지는 크림핑 플라이어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부품(45)은 U 형상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플라이어 조들을 가지는 크림핑 플라이어들.
  12. 제10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부품(45)은 탄성적인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플라이어 조들을 가지는 크림핑 플라이어들.
  13. 제9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핀(43)은 상기 트위스트 축(z)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선회 축(u)을 중심으로 선회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조인트(rotatable joint)(47)에서 상기 연관된 플라이어 조(2, 3)에 수용되며,
    상기 가압 조(6, 7)가 상기 대향 플라이어 조(2, 3)로부터 해제될 때, 상기 가압 조들(6, 7)이 상기 플라이어들 마우스(pliers mouth)로부터 상기 트위스트 축(z)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트위스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플라이어 조들을 가지는 크림핑 플라이어들.
  14. 크림핑 플라이어들(1)에서 대향 배열을 위해 제공되는 2개의 가압 조들(6, 7)로서,
    상기 가압 조들(6, 7)은 리브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리브들(29, 31)을 가지고, 상기 리브들은 가압 동안 서로 이동하고, 그리고 이에 의해 가압 조 개구(33)의 범위를 정하며, 상기 가압 조(6, 7)의 리브들(29, 31)은 서로 인접하게 연장하는 복수의 리브들(29, 31)로 형성되는 2개의 리브 패밀리들(54, 55)의 형태로 배열되고, 그리고 서로 이동하는 동안 합쳐지는 방향(r)에 대해 수직한 관점에 대해 그리고 상기 리브들(29, 31)의 넓은 측면에서 볼 때 이의 자유 단부들에서 하나의 리브 패밀리(54, 55)의 리브들(29, 31)은 리지선(ridge line)(56)을 각각 가지며,
    상기 관점에서 각각의 경우에 상기 하나의 리브 패밀리(54, 55)의 상기 리지선들(56)은 상기 가압 조 개구(33)로 돌출하는 돌기(protuberance)(6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에서 대향 배열을 위해 제공되는 2개의 가압 조들.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선들(56)은 직선으로 이어지는 영역(61)을 각각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에서 대향 배열을 위해 제공되는 2개의 가압 조들.
  16. 제14 항 또는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조 개구(33)의 방향으로의 가상 기초선(62)으로서 선형으로 연장되는 상기 리지선(56)의 직선 영역에 걸친 상기 돌기(60)의 가장 큰 연장부는, 상기 가압 조 개구(33)가 처음에 폐쇄될 때 구축되는 상기 기초선(62)의 가장 큰 연장부의 1/50 내지 1/10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에서 대향 배열을 위해 제공되는 2개의 가압 조들.
  17. 제14 항 또는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선(62)의 연장 방향으로 측정되는 상기 돌기(60)의 측정된 길이(g)는, 상기 가압 조 개구가 처음에 폐쇄될 때 구축되는 가상 기초선(62)으로서 직선 영역에 걸쳐 선형으로 연장되는 상기 리지선(56)의 가장 큰 연장부의 1/10 내지 1/3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에서 대향 배열을 위해 제공되는 2개의 가압 조들.
  18. 제14 항 또는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조 개구가 처음에 폐쇄될 때 구축되는 가상 기초선(62)으로서 상기 직선 영역(61)에 걸쳐 선형으로 연장되는 상기 리지선(56)의 가장 큰 연장부에 대한 상기 돌기(60)의 최고점(63)은, 인접한 배열에서 상기 동일한 가압 조(6, 7)의 다음에 뒤따르는 리브(29, 31)의 기초선(62)에 대해 상기 리브(29, 31)의 길이 방향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되며, 상기 기초선은 기초 선(62)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상기 기초선(62)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핑 플라이어들에서 대향 배열을 위해 제공되는 2개의 가압 조들.
  19. 코어 단부 슬리브(57)의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으로의 변형에 의해 전도체 단부들(58)에 대한 상기 코어 단부 슬리브(57)의 빼냄-방지(withdrawal-proof) 연결을 위해, 상기 코어 단부 슬리브(57)에 수용되는 전도체 단부들(58)을 가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코어 단부 슬리브(57)는 벽(59) 및 벽 외부 표면을 가지고,
    제14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압 조들(6, 7)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리브들(29, 31) 상에 형성되는 상기 돌기들(60)을 처음에 갖는 상기 가압 조들(6, 7)은 상기 코어 단부 슬리브(57)의 벽 외부 표면과 접촉하게 되며, 그리고 추가의 가압 동안 상기 돌기들(60)의 보조로, 오목하게 이어지는 벽 섹션들(64)이 변형된 코어 단부 슬리브(57)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벽(59)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단부 슬리브에 수용되는 전도체 단부들을 가압하기 위한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함몰부(concavity)가 달리 선형으로 이어지는 리지 기초선에 대해 수직하게 정렬되는 중심선(M)에 대해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단부 슬리브에 수용되는 전도체 단부들을 가압하기 위한 방법.
KR1020207018340A 2017-12-01 2018-11-07 가압 조들, 및 2개의 플라이어 조들을 가지는 크림핑 플라이어들 KR202000884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8579.2 2017-12-01
DE102017128579 2017-12-01
DE102018101159.8A DE102018101159A1 (de) 2017-12-01 2018-01-19 Pressbacken, sowie Presszange mit zwei Zangenbacken
DE102018101159.8 2018-01-19
PCT/EP2018/080469 WO2019105703A1 (de) 2017-12-01 2018-11-07 Pressbacken, sowie presszange mit zwei zangenback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462A true KR20200088462A (ko) 2020-07-22

Family

ID=66548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340A KR20200088462A (ko) 2017-12-01 2018-11-07 가압 조들, 및 2개의 플라이어 조들을 가지는 크림핑 플라이어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682875B2 (ko)
EP (2) EP4311627A2 (ko)
JP (1) JP7344205B2 (ko)
KR (1) KR20200088462A (ko)
CN (1) CN111279561B (ko)
AU (1) AU2018374403B2 (ko)
CA (1) CA3081655A1 (ko)
DE (2) DE102018101159A1 (ko)
MX (1) MX2020005624A (ko)
TW (1) TWI791682B (ko)
WO (1) WO20191057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04006B1 (de) 2020-04-28 2023-06-07 WEZAG GmbH & Co. KG Crimpzangen-gesenk und crimpzange
JP2021171916A (ja) * 2020-04-28 2021-11-01 ウェザッグ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コー.ケージー 圧着プライヤダイおよび圧着プライヤ
DE102020121823A1 (de) 2020-08-20 2022-02-24 Rennsteig Werkzeuge Gmbh Zur Durchführung einer Vercrimpung ausgebildete Handzange sowie Handzange mit einem Zangenkopf
EP3984702B1 (de) 2020-10-19 2023-02-01 WEZAG GmbH & Co. KG Crimpzange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gesenkhälfteneinheit
USD1000237S1 (en) * 2020-12-17 2023-10-03 Weidmueller Interface Gmbh & Co. Kg Pliers
TWD214844S (zh) * 2020-12-21 2021-10-21 加捷實業有限公司 壓接手工具
TWD215831S (zh) * 2021-04-26 2021-12-01 加捷實業有限公司 壓接手工具
USD1018231S1 (en) * 2021-06-16 2024-03-19 Apex Brands, Inc. Locking pliers
DE102022107168A1 (de) 2021-12-17 2023-06-22 Rennsteig Werkzeuge Gmbh Presszange mit zwei Zangenbacken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9837A (en) * 1936-01-02 1938-03-01 Grace P Davis Method of joining power transmitting cables
US2411838A (en) * 1944-02-05 1946-11-26 Aircraft Marine Prod Inc Tool
US2744428A (en) * 1952-09-04 1956-05-08 Aircraft Marine Prod Inc Crimping tool with a plurality of movable dies operable singly or together
US2853908A (en) * 1956-06-27 1958-09-30 Thomas & Betts Corp Crimping tool
BE563464A (ko) * 1956-12-28
US3314135A (en) * 1964-07-30 1967-04-18 Vaco Products Co Crimping tools and dies
US3557429A (en) * 1967-10-09 1971-01-26 Amp Inc Apparatus for crimping electrical connecting devices
US3771343A (en) * 1972-03-24 1973-11-13 Mc Donnell Douglas Corp Swaging tool
DE2548901A1 (de) * 1975-04-11 1976-10-21 Pressmaster Ag Geraet zur handhabung von im wesentlichen zylindrischen gegenstaenden
US4199972A (en) * 1976-01-08 1980-04-29 Pressmaster A.B. Gripping or pressing appliance
GB1581725A (en) * 1976-12-15 1980-12-17 Pressmaster Ab Appliances having cooperating working jaws
US4283933A (en) * 1977-11-18 1981-08-18 Pressmaster A.B. Gripping or pressing tool
US4337635A (en) * 1980-07-03 1982-07-06 Teledyne Penn-Union Compression tool
US4604890A (en) * 1982-02-08 1986-08-12 Teledyne Penn-Union Compression tool
DE4026332A1 (de) 1990-08-21 1992-02-27 Wezag Gmbh Crimpzange zum verpressen von aderendhuelsen
US5117671A (en) 1991-04-25 1992-06-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pparatus for forming features on an elongated metal wire
DE4117305C2 (de) * 1991-05-27 1994-07-21 Weidmueller Interface Zange zum Ergreifen und/oder Verpressen von Bearbeitungsgegenständen
DE19507347C1 (de) 1995-03-02 1996-09-12 Rennsteig Werkzeuge Gmbh Preßzange für Aderendhülsen
DE19509442C2 (de) * 1995-03-16 1997-02-20 Cartool Tech Entwicklungen Gmb Crimpzange
DE19728685A1 (de) 1997-07-04 1999-01-07 Weidmueller Interface Zange
DE19818482C1 (de) 1998-04-24 1999-11-11 Rennsteig Werkzeuge Gmbh Handpreßzange zum Verpressen von Aderendhülsen
US6629443B2 (en) * 2002-01-16 2003-10-07 Yen Chao Chin Ergonomic crimping apparatus
DE10242345B3 (de) 2002-09-12 2004-02-26 Wezag Gmbh Werkzeugfabrik Zangenkopf zum Verpressen eines Werkstücks
US20040159194A1 (en) * 2003-02-19 2004-08-19 Cheng-Cheng Ting Joint of channel-lock pliers
FR2886874B1 (fr) 2005-06-10 2008-09-12 Dubuis Et Cie Sa M Jeu de deux matrices destinees a equiper une presse a reteindre et/ou a sertir
DE102007040895A1 (de) * 2007-08-24 2009-02-26 REMS-WERK Christian Föll und Söhne GmbH & Co KG Presszange zum radialen Verpressen von Rohren, Rohrstücken und dergleichen
US20110030447A1 (en) * 2009-08-06 2011-02-10 Thomas Emery Backenstoes Crimping tool with pivotable workpiece holder
US9142931B2 (en) * 2010-02-18 2015-09-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rimp tool with cam actuated crimp jaw
DE102011052967B4 (de) * 2011-08-24 2013-12-19 Wezag Gmbh Werkzeugfabrik Presszange, Wechselkassette für eine Presszange und Presszangenset
DE102013100801A1 (de) * 2013-01-28 2014-07-31 Rennsteig Werkzeuge Gmbh Crimpzange
US9543725B2 (en) * 2014-06-18 2017-01-10 Yu-Hsin Li Pliers for crimping electrical terminals
EP3179580A1 (en) * 2015-12-11 2017-06-14 Hanlong Industrial Co., Ltd. Crimping clamp
TWM521832U (zh) * 2015-12-11 2016-05-11 Hanlong Ind Co Ltd 壓接鉗
US10615558B2 (en) * 2016-01-13 2020-04-07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Range taking die set
CN105479357A (zh) * 2016-01-29 2016-04-13 济南无线电十厂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压接工具及使用方法
CN105563416A (zh) * 2016-02-22 2016-05-11 青岛森林金属制品有限公司 杠杆式压力钳
TWM529974U (zh) * 2016-06-24 2016-10-01 Hanlong Ind Co Ltd 壓接鉗
SE541047C2 (en) 2017-07-11 2019-03-19 Pressmaster Ab Hand tool with self-resilient handle
JP2021171916A (ja) * 2020-04-28 2021-11-01 ウェザッグ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コー.ケージー 圧着プライヤダイおよび圧着プライヤ
DE102020120825A1 (de) * 2020-08-06 2022-02-10 Gustav Klauke Gmbh Pressback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esslings und Verfahren zum Verpressen mit Pressback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5703A1 (de) 2019-06-06
MX2020005624A (es) 2020-08-20
US20210194198A1 (en) 2021-06-24
TW201924868A (zh) 2019-07-01
DE102018101159A1 (de) 2019-06-06
AU2018374403B2 (en) 2022-10-27
JP7344205B2 (ja) 2023-09-13
TWI791682B (zh) 2023-02-11
EP4311627A2 (de) 2024-01-31
CN111279561B (zh) 2022-10-14
RU2020121396A3 (ko) 2022-02-11
CN111279561A (zh) 2020-06-12
US11682875B2 (en) 2023-06-20
EP3718180A1 (de) 2020-10-07
RU2020121396A (ru) 2022-01-04
JP2021504902A (ja) 2021-02-15
DE202018006658U1 (de) 2021-11-11
AU2018374403A1 (en) 2020-05-07
CA3081655A1 (en)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8462A (ko) 가압 조들, 및 2개의 플라이어 조들을 가지는 크림핑 플라이어들
KR20200089730A (ko) 크림핑 플라이어들
US4353240A (en) Crimping tool
KR102438953B1 (ko) 스프링 부하형 클램핑 연결부
US5153984A (en) Tool for crimping a double connection of a connector to a conductor and to insulation
US1858418A (en) Tool
US7997116B2 (en) Link for crimping tool
US6308597B1 (en) Locking device for a hand tool
US4637084A (en) Crimping and cutting tool
US6151950A (en) Hand pressing tool for crimping lead end sleeves
US20150128368A1 (en) Industrial brush,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aid industrial brush
US5335531A (en) Compression tool head assembly
CA2042746C (en) Crimping tool having improved crimping dies
US2738693A (en) Hand tool for crimping electrical connectors
JP2007223028A (ja) 圧着ダイおよび圧着ツール
JPH0828264B2 (ja) 電気コネクターの圧着接続に使用するツールヘッド
JPWO2019105703A5 (ko)
RU2778558C2 (ru) Пресс-губки, а также пресс-клещи, имеющие две пресс-губки
CN112164954B (zh) 一种压接线鼻子的工具
AU2021327144A1 (en) Hand pliers designed to carry out crimping, and hand pliers comprising a plier head
EP1320911B1 (en) Mechanical manual tooling for dismounting free air railway contact wire clamp conn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