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483A -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483A
KR20200087483A KR1020190003816A KR20190003816A KR20200087483A KR 20200087483 A KR20200087483 A KR 20200087483A KR 1020190003816 A KR1020190003816 A KR 1020190003816A KR 20190003816 A KR20190003816 A KR 20190003816A KR 20200087483 A KR20200087483 A KR 20200087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ubber boot
center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엠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엠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엠에이치
Priority to KR1020190003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7483A/ko
Publication of KR20200087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suspensions, brakes or whee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11Joints, e.g. ball joints, univers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용 볼스터드의 중심 외주면으로 원활한 자유회전을 위해 밀폐형 윤활유가 다량 도포된 상태에서 고무부트를 정밀하면서도 안전하게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한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형판(1a) 형태로 중심외면에 관통연결구멍(1b)을 구비한 제1지지부(1)와,그 상측 중심에는 고무부트(R)의 하면 원주테두리를 확장및 축소 시키는 동력 인가용 가압실린더(2)와 축봉(1c)과, 상기 가압실린더(2)의 중심 하측으로는 원형 원형가압판(4a)과 가이딩판(4)과, 상기 가이딩판(4)의 저면 원둘레 외면에는 링크브라켓(4b)과 확장이동브라켓(5a)사이에 가변링크바(4e)가 힌지 체결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제2지지부(6)에 설치된 이동판(5)의 아래 측에는 이동블럭(5c)과 탈착형부트유닛(7)을 구비한 것과, 상기 제2지지부(6)의 아래측에는 확장증진용 완충가압실린더(8)와, 그 아래 측으로는 중심홈을 형성한 가이드인입관체(9)와 탈착조절블럭(A)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별도의 고무확장을 위한 별도의 안내 꼬깔부등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확장이 필요한 부위만을 탈착형부트유닛과 완충가압실린더에 의해 짧은 공간에서 효율적인 확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고무부트의 제품변형을 최소화하고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확장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The Rubber Boot insert of ball-joint for tie-rod end connection equipment for automotive steering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용 타이로드의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향장치용 볼조인트에 사용되는 볼스터드의 중심 외주면으로 원활한 자유회전을 위해 밀폐형 윤활유가 다량 도포된 상태에서 도포된 윤활유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하는 고무부트를 정밀하면서도 안전하게 연속적인 확장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적용되고 있는 수만 가지의 부품 중에서 특히 현가장치에는 프런트 서스펜션의 앞에 있는 너클 암(Knuckle Arm)의 상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볼조인트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볼조인트에 의해 타이어의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하거나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볼 스터드(Ball Stud)라 불리는 합금강 종류의 구형태(球狀)의 부품을 소켓(Socket)이라는 커버로 감싼 모양으로 되어 있다.
또 볼 스터드와 소켓 사이에는 미끄러지기 쉽고, 내구성이 있는 표면 경화강과 소결합금, 나일론, 폴리우레탄 등으로 만들어진 볼 시트(Ball Seat) 혹은 부트( 이하 ‘고무부트’라 통칭함)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볼조인트에는 관의 끝에 볼부분을 만들어 케이싱으로 싸고, 그 틈새를 고무부트로 밀봉한 것으로서,
또 볼부분이 케이싱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고무부트의 이음매를 2~3개 사용하면 관절 작용에 의해 관의 신축을 흡수할 수 있고, 고온, 고압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볼조인트에 삽입되는 부트 삽입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선행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한 예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80818호(공개일자: 2014.09.30)에서는 “차량부품이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차량부품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단조임부와 하단조임부를 가지는 부트가 끼워져 이동하며 하단을 이탈하면서 상기 차량부품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외면과, 상기 내부를 통해 상기 부트로 에어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에어통로를 가지는 꼬깔부; 및 상기 꼬깔부의 상기 에어통로로 상기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주입부; 를 포함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가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53119호(공개일자: 1996.01.25)에서는 “연결부 조립체에 사용용 더스트 부트 조립체는: 축을 갖고, 그 기부에서 동축의 제1구멍을 가지고 그를 따라서 공동을 형성하는 엘라스토머성 부트와; 기부에서 부트에 고정되고, 제1구멍과 동심이며, 각각의 핑거에 핑거 구멍을 갖는 다수의 반경 내부방향 연장 핑거를 갖는 환형상의 편평한 리테이너 링을 포함하며; 상기 핑거 구멍은, 그에 대한 축력에 반응하는 핑거의 굽힘 강도를 저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부트 조립체.”가 있으며,
또,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32774호(공개일자: 1998.09.05)에서는 “외륜(100)과 축(200)에 부트시일(300)이 설치되는 한편, 부트시일(300)의 내부에 구리스(600)가 채워진 등속조인트용 부트시일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축(200)은, 외륜(100)에 끼워지는 반대쪽에 구비된 제1직경부(210)와, 이 제1직경부(210)와 외륜(100)에 끼워지는 곳의 사이에 제1직경부(21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제2직경부(220) 및, 상기 제1직경부(220)와 제2직경부(230)의 연장부에는 브로치부(2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용 부트시일의 설치구조.”가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94439호(공개일자: 2001.12.07)에서는 “원통형태를 취하며 연결단부를 구비한 생크부재와, 경사진 내벽면에 의해 형성되는 제1보어가 구비된 제1하우징을 포함하는 소켓부재와, 브래킷의 제1단부를 둘러싸는 적어도 2개의 대응하는 분기된 베어링부재가 구비된 컵 형태의 내측 베어링조립체와,
상기 생크부재의 원통형 단부와 상기 컵 형태의 내측 베어링조립체상에 축방향 예비하중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에 수용된 예비하중형 캡 베어링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된 베어링부재의 외측면은 제1하우징 보어의 경사진 내벽면과 접촉하는 경사진 외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부재의 내벽면과 상기 컵 형태의 내측 베어링조립체의 경사진 외측면은 생크부재의 회전은 허용하지만 분절에는 저항하도록 상기 캡 베어링조립체와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분절형 조인트조립체.”가 알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자동차 부품관련 부트 조립 및 클램핑장치들이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위 등록실용신안 제10-1480818호의 경우 차량부품, 차량부품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용 자기 형태로 구성된 상태에서, 고무부트를 확장시켜 볼조인트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꼬깔부를 이용하여 고무부트를 아래쪽 밀대의 끝단으로 밀어 넓은 부위에 꼴깔부에 확장된 상태의 고무부트를 하단조임부확장기를 통해 아래 측으로 이동시켜 볼조인트에 결합시키는 구조가 있으나, 별도의 꼬깔부를 구비해야되는 동시에 아래 측에 별도의 하단조임부확장기를 구비되므로 수직방향으로 작업대의 크기가 커질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고,
또, 별도의 가이딩수단으로 사용되는 꼬깔부는 가이딩될 때 밀대에 의해 밀림에 의해 고무부트의 불안전 말림이나 찢어짐이 발생 되어 제품불량을 높이는 문제점이 내재 되어 있다.
위 등록특허공보 제10-0353119호의 경우에는 리테이너링을 구비하는 더스트부트조립체와 피벗연결부조립체를 제공하고 있으나 고무부트 상,하측에 삽입체와 리테이너링이 구비되어 있어 연결 구멍에 대한 외경 확장이 제한되기 때문에 단순히 삽입에 의한 볼조인트에 체결은 관계가 없으나, 볼스터드의 축봉 외경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거나, 볼조인트의 구조가 변형되면 이를 적용하여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 고무부트 내부에 별도의 체결링이 구비되어 외형변화가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다.
위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32774호의 경우 축의 외륜에 끼워지는 반대쪽에 구비된 제2직경부에 구비된 브로치부에 의해 고무부트가 끼워졌을 때 편 측에 별도의 체결밴드를 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축의 제1직경부에 구비된 브로치부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브로치부 형상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브로치부를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볼스터드에 적용시키기에는 호환성의 문제점이 내재 되어 있고,
또 보로치부의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제1직경부가 별도로 구성되어야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작동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위 등록특허공보 제10-0794439호의 경우 볼조인트 케이싱에 끼워지는 고무부트를 수작업에 의해 끼운 다음 제2와이어클립과 와이어클립에 의해 고정체결되도록 하고 있어 자동화 생산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이에 대한 생산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내재 되어 있고, 연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어 대량 생산이 힘들어 인건비 및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80818호(공개일자: 2014.09.30)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53119호(공개일자: 1996.01.25)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32774호(공개일자: 1998.09.05)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794439호(공개일자: 2001.12.07)
없음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자동차 조향장치에 적용되는 볼조인트의 고무부트를 신속하면서도 정밀하게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삽입장치를 구비하여 삽입작업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불안요소를 최소화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승, 하강에 의해 정밀하면서도 안정적인 가압에 의해 고무부트를 확장시키는 탈착형부트지지유닛에 의해 안정적인 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 균일한 고무부트 삽입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상온도유지유닛을 구비하여 여름철 또는 겨울철 균일한 온도환경을 제공하여 고무부트의 조직구조를 유연하게 하여 원활한 삽입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 고무부트를 삽입시 외경 확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고무부트의 상측에 완충가압실린더를 구비하여 삽입시 발생되는 충력을 흡수와 동시에 가압효과로 인해 확장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조향장치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원형판(1a) 형태로 중심이 관통되되, 그 원형판 원둘레에 하나 이상의 관통연결구멍(1b)을 균일하게 형성한 제1지지부(1)를 구비한 것과,상기 제1지지부(1)의 상측 중심에는 고무부트(R)의 하면 원주테두리를 확장및 축소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력 인가용 가압실린더(2)를 구비하되 상기 제1지지부(1)의 연결구멍(1b)에는 축봉(1c)을 각각 구비한 것과, 상기 가압실린더(2)의 중심 하측으로는 승, 하강축봉(3)을 구비하고,상기 승,하강축봉(3)의 하단에는 원형 원형가압판(4a)이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원형 원형가압판(4a)의 외면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가이드이동판(4c)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이동판(4c)의 외면 원형으로 상기 축봉(1c)에 끼워져 가이딩 되는 가이드관체(4d)를 일체로 형성된 가이딩판(4)을 구비한 것과, 상기 가이딩판(4)의 저면 원둘레 외면에는 링크브라켓(4b)을 하나 이상 구비하되, 그 링크브라켓(4b)의 편측에는 가변링크바(4e)를 체결시켜 고정핀(4f)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상기 가변링크바(4e)의 아래 측 끝단에는 확장이동브라켓(5a)의 양측 사이에 끼워져 결속핀(5b)에 고정설치되는 이동판(5)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판(5)은 상기 가압실린더(2)의 승, 하강에 따라 제2지지부(6)에 삽설되어 좌,우 슬라이딩 왕복되도록 구비하되 그 제2지지부(6)의 상면 외면은 상기 축봉(1c)에 설치되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제2지지부(6)에 설치된 이동판(5)의 아래 측에는 이동블럭(5c)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럭(5c)의 저면에는 편 측이 돌출된 지지브라켓(5e)을 구비하되, 타측이 음각된 받침브라켓(5f)에 의해 경계면을 형성한 단턱(5d)을 구비한 것과, 상기 이동블럭(5c)의 단턱(5d)에는 편측에 고무부트(R)의 하측 중심 내면을 원형 형태로 하나 이상 다수개의 당김 및 지지를 동시에 수행하는 탈착형부트유닛(7)을 구비한 것과, 상기 탈착형부트유닛(7)의 중심 제2지지부(6)의 아래측에는 확장증진용 완충가압실린더(8)를 구비하되, 그 아래 측으로는 중심홈을 형성한 가이드인입관체(9)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인입관체(9)의 아래 측에는 다양한 형태의 고무부트(R) 끼움고정용 탈착조절블럭(A)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별도의 고무확장을 위한 별도의 안내 꼬깔부등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확장이 필요한 부위만을 탈착형부트유닛과 완충가압실린더에 의해 짧은 공간에서 효율적인 확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고무부트의 제품변형을 최소화하고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확장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별도의 가이딩수단으로 필요하지 않아 직접적인 고무부트와의 마찰을 최소화시켜 불안전 말림이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최소 마찰에 의한 확장작업이 가능하여 볼스터드의 축봉 외경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더라도 고무부트를 쉽게 확장하여 삽입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자동화로 연속적인 대량 삽입작업이 용이하여 생산효율성 및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어 인건비 및 생산비용이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등 그 기대된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원형가압판과 제2지지부 사이에 연결되는 가변링크바의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지지부의 분해 조립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탈착형부트유닛의 실시 상태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탈착형부트유닛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탈착형부트유닛의 분해조립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탈착형부트유닛의 또 다른 실시 상태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미세장력조절유닛의 측 단면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완충가압실린더, 가이드인입관체, 탈착조절블럭의 측단면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각도가변유닛의 작동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형상온도유지유닛의 작동실시 상태 및 측 단면 예시도
본 발명의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는 도 1 내지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조향장치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판(1a) 형태로 중심이 관통되되, 그 원형판 원둘레에 하나 이상의 관통연결구멍(1b)을 균일하게 형성한 제1지지부(1)를 구비한 것과,
상기 제1지지부(1)의 상측 중심에는 고무부트(R)의 하면 원주테두리를 확장및 축소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력 인가용 가압실린더(2)를 구비하되 상기 제1지지부(1)의 연결구멍(1b)에는 축봉(1c)을 각각 구비한 것과,
상기 가압실린더(2)의 중심 하측으로는 승, 하강축봉(3)을 구비하고,
상기 승,하강축봉(3)의 하단에는 원형 원형가압판(4a)이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원형 원형가압판(4a)의 외면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가이드이동판(4c)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이동판(4c)의 외면 원형으로 상기 축봉(1c)에 끼워져 가이딩 되는 가이드관체(4d)를 일체로 형성된 가이딩판(4)을 구비한 것과,
상기 가이딩판(4)의 저면 원둘레 외면에는 링크브라켓(4b)을 하나 이상 구비하되, 그 링크브라켓(4b)의 편측에는 가변링크바(4e)를 체결시켜 고정핀(4f)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상기 가변링크바(4e)의 아래 측 끝단에는 확장이동브라켓(5a)의 양측 사이에 끼워져 결속핀(5b)에 고정설치되는 이동판(5)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판(5)은 상기 가압실린더(2)의 승, 하강에 따라 제2지지부(6)에 삽설되어 좌,우 슬라이딩 왕복되도록 구비하되 그 제2지지부(6)의 상면 외면은 상기 축봉(1c)에 설치되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제2지지부(6)에 설치된 이동판(5)의 아래 측에는 이동블럭(5c)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럭(5c)의 저 면에는 편 측이 돌출된 지지브라켓(5e)을 구비하되, 타측이 음각된 받침브라켓(5f)에 의해 경계면을 형성한 단턱(5d)을 구비한 것과,
상기 이동블럭(5c)의 단턱(5d)에는 편측에 고무부트(R)의 하측 중심 내면을 원형 형태로 하나 이상 다수개의 당김 및 지지를 동시에 수행하는 탈착형부트유닛(7)을 구비한 것과,
상기 탈착형부트유닛(7)의 중심 제2지지부(6)의 아래측에는 확장증진용 완충가압실린더(8)를 구비하되, 그 아래 측으로는 중심홈을 형성한 가이드인입관체(9)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인입관체(9)의 아래 측에는 다양한 형태의 고무부트(R) 끼움고정용 탈착조절블럭(A)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도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형부트유닛(7)은,
상기 이동블럭(5c)의 단턱(5d)에는 편 측이 돌출된 결합턱(701)을 구비하되, 그 반대측에는 음각 지지턱(702)에 의해 경계면을 형성한 결합면(703)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면(703)의 아래 측에는 바디블럭(704)을 구비하며,
상기 바디블럭(704)의 중심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관통슬라이딩홈(711)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슬라이딩홈(711)의 외측 바디블럭(704)의 상측에는 임의각도로 꺾여진 경사브라켓(705)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브라켓(705)의 외면에는 가압실린더(706)를 고정설치하되, 상기 가압실린더(706)의 가압축봉(707)에는 상기 관통슬라이딩홈(711)이 끼워져 경사지게 슬라이딩 왕복되는 가압지지바(800)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지지바(800)의 반대 측 바디블럭(704) 외면에는 임의 각도로 꺾여 경사진 확장지지바(900)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지지바(800)는 확장지지바(900)의 중심 경사면 중심에 통공된 관통홈(901)에 의해 좌, 우로 유동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지지바(800)는,
일측에 돌출형 수직형상의 누름편(801)을 구비하되, 그 타측으로는 경사진 경사바디(802)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바디(802)의 후측은 관통형 연결공(803)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지지바(900)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당김편(901)을 구비하되, 그 하단에는 받침편(902)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편(902)의 후측에는 상기 가압지지바(800)가 통과될 수 있는 형태의 통공공간(903)을 구비한 지지바(905)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바(905)의 후측에는 수직고정브라켓(904)을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6)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수평 길이방향으로 장공레일(611)을 하나 이상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한 몸체판(610)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판(610)의 상측에는 중심이 좁고 외측으로 넓은 방사형 가이드블럭(621)을 균일한 간격으로 고정배치하되, 각 가이드블럭(621) 사이에는 이동판(5)이 삽설되어 각 가이드블럭(621)의 가이드면(622)에 끼워져 이동되는 가동레일판(620)을 구비하며,
상기 가동레일판(620)의 상측에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수평 길이방향으로 장공(631)을 하나 이상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한 이동안내판(630)을 구비하여 축봉(1c)의 하측에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안내판(630)의 중심 상측에는 상기 원형 원형가압판(4a)의 하강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미세조절완충유닛(650)을 구성되며,
상기 미세조절완충유닛(650)은,
상기 이동안내판(630)의 중심 상측에 외면이 나사산(652)을 구비한 나사축봉(651)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축봉(651)의 나사산(652)과 맞물려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홈(653)을 갖는 높이조절블럭(654)를 구비하며, 상기 높이조절블럭(654)의 외면에는 상기 나사산(652)을 직접 가압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조절편(656)을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블럭(704)에는,
여름 또는 겨울철 고무부트(R)의 재질변화는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형상온도유지유닛(B)을 구비하고,
상기 형상온도유지유닛(B)은,
상기 바디블럭(704)의 내측으로 지지블럭(B-2)이 돌출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지지블럭(B-2)의 타측 끝단 수직방향으로 통공(B-3)을 구비하고,
상기 통공(B-3)의 상측 중심에는 외부의 전원에 인가받아 작동되는 가열히터(B-1)를 구비하며,
상기 가열히터(B-1)의 아래 측에는 송풍펜(B-4)을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지지바(900)는,
고무부트(R)의 당김영역 확대와 안전한 당김 기능 및 당김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당김편(901-1)을 구비한 다음 그 하단에는 받침편(902-1)를 구비하고,
상기 당김편(901-1)과 받침편(902-1)은 라운드 곡면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블럭(704)과 확장지지바(900)사이에는,
고무부트(R)의 당김 공정시 고무부트(R)의 성형 후 냉각시 미세한 형상 변형에 대응하여 균일한 당김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미세장력조절유닛(950)을 구비하되,
상기 미세장력조절유닛(950)은 바디블럭(704)의 내측 중심에는 양측 상,하로 고정홈(75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750)의 동일선상으로 확장지지바(900)를 일치시킨 다음 관통구멍(913)을 구비한 조절홈(912)에 스프링(911)과 체결볼트(910)에 의해 체결고정됨이 바람직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조절블럭(A)은,
상기 가이드인입관체(9)의 하측 외면에는 나사산(9a)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9a)의 외면에 맞물려 정,역회전에 의해 상,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나사홈(A-1)을 구비한 조절몸체(A-2)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몸체(A-2)의 하단 외면에는 내부 중심이 관통된 공기배출구멍(A-3)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공기배출구멍(A-3)의 하측에는 걸림홈(A-4)을 구성되고,
상기 탈착조절블럭(A)은 생산작업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고무부트(R)를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럭(5c)에는,
고무부트(R)의 당김환경을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블럭(704)과 확장지지바(900)를 0~10°범위에서 젖힘되는 각도가변유닛(550)을 구비하고,
상기 각도가변유닛(550)은,
이동블럭(5c)의 중심 일측에는 원형 형태의 음각홈(552)을 구비하되, 그 음각홈(552)의 중심에는 힌지핀(551)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핀(551)에 축삽되어 힌지 회전되는 가변블럭(553)을 구비하며,
상기 가변블럭(553)의 타측 외면에는 장공(554)을 구비한 가이드브라켓(555)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555)의 장공(554)은 상기 이동블럭(5c)의 외면에 수직으로 승, 하강실린더(556)의 가동축봉(557)에 구비된 힌지걸림편(558)에 끼워져 젖힘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의 각 구성요소 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면에 첨부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볼조인트의 상부 볼스터드 중심에 끼워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중심이 관통된 원형의 원형판(1a)을 구성한 다음, 그 외주면에 하나 이상 균일 간격으로 축봉(1c)이 끼워져 고정설치될 수 있는 연결구멍(1b)을 구비한 제1지지부(1)를 구비하여 상기 축봉(1c)과 가압실린더(2)가 체결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제1지지부(1)의 그 아래 측 상기 각 축봉(1c)에는 가이드관체(4d)를 구비한 가이드이동판(4c)이 상기 가압실린더(2)에 구비된 승,하강축봉(3)에 의해 승,하강 되도록 원형가압판(4a)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원형가압판(4a)은 가이드이동판(4c)에 고정설치된 가이딩판(4)이 가압실린더(2)에 의해 승하강 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가이딩판(4)의 중심에는 원형으로 하나 이상의 링크브라켓(4b)을 구비하여 그 링크브라켓(4b)에 체결시켜 고정핀(4f)에 고정설치되어 힌지 회전되는 가변링크바(4e)를 구비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가변링크바(4e)의 아래 측에는 제2지지부(6)에 설치되어 수평으로 좌,우 왕복되는 이동판(5)을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확장이동브라켓(5a)이 고정설치되어 가압실린더(2)의 승,하강축봉(3)에 의해 승,하강 작동에 따라 상기 이동판(5)이 좌, 우 이동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이동판(5)을 좌,우로 왕복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2지지부(6)를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제2지지부(6)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판(5)의 좌,우를 잡아주면서 가이드면(622)에 의해 상기 이동판(5)이 이동될 때 뒤틀림 없이 슬라이딩 왕복될 수 있도록 중심이 좁고 외측으로 넓은 방사형 가이드블럭(621)에 의해 정밀하면서도 안정적인 좌, 우 왕복이 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가이드블럭(621)의 하측에는 좌,우측으로 장공레일(611)을 구비한 몸체판(610)이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블럭(621)의 상측에는 좌,우 장공(631)을 구비한 이동안내판(630)을 구비하여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상호 유기적인 결합에 의한 상기 이동판(5)의 원활한 슬라이딩 왕복 운동이 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제2지지부(6)의 아래 측 원형으로 하나 이상의 이동블럭(5c)을 구비하되,
도 8 내지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럭(5c)의 하측에는 편측이 돌출된 지지브라켓(5e)과 타측이 음각된 받침브라켓(5f)의 경계면을 형성한 단턱(5d)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단턱(5d)에 맞물려 체결고정되는 탈착형 부트유닛(7)을 구비하여 상기 고무부트(R)의 하부 테두리 내면을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잡아당겨서 구멍이 확장되도록 작동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형 부트유닛(7)의 중심 상기 제2지지부(6)의 중심에는 수직으로 확장증진용 완충가압실린더(8)를 구비하여 상기 고무부트(R)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탈착형부트유닛(7)의 확장지지바(900)에 의해 고무부트(R)의 내측 테두리면(R-1)이 확장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내측 테두리면(R-1) 확장과 동시에 테두리외면(R-2)은 수직형상의 누름편(801)을 구비하되 그 타측에 경사바디(802)를 구비하고, 그 경사바디(802)의 후측은 관통형 연결공(803)을 구비한 가압지지바(800)에 의해 가압되어 작동 공정중에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지지바(800)와 확장지지바(900)의 작동에 따라 볼조인트의 볼스터드 중심에 끼워질 때 볼조인트의 테두리면이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확장증진용 완충가압실린더(8)의 아래 측으로 볼스터드 인입용 가이드인입관체(9)에 끼워지면서 하강하여 고무부트(R)의 내측 테두리면(R-1)과 테두리외면(R-2)이 볼조인트의 상면 외곽에 효율적으로 눌림에 의해 외부로 구멍이 확장되도록 유도하여 쉽게 볼조인트에 삽입될 수 있도록 작동되며,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형부트유닛(7)은 탈착형으로 설치 고정되도록 일측에 돌출된 결합턱(701)과 타측이 음각된 지지턱(702)을 갖는 결합면(703)이 이동블럭(5c)에 고정설치되도록 한 바디블럭(704)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바디블럭(704)의 아래 측으로는,
경사지게 형성된 관통슬라이딩홈(711)을 구비하여 그 관통슬라이딩홈(711)에 가압지지바(800)가 끼워져 외측에 구비된 가압실린더(706)의 가압축봉(707)에 의해 왕복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바디블럭(704)의 내측으로는,
당김편(901)을 구비하여 그 당김편(901)의 하단에는 받침편(902)의 후 측에 통공공간(903)을 구비한 지지바(905)를 형성하되, 그 지지바(905)의 후측에는 수직고정브라켓(904)을 구비한 확장지지바(900)에 의해 작동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부(6)의 몸체판(610) 중심 하측으로는 상기 원형 원형가압판(4a)의 하강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미세조절완충유닛(650)을 구비하되,
상기 미세조절완충유닛(650)은 상기 제2지지부(6)의 몸체판(610)의 중심 상측에 나사산(652)을 구비한 나사축봉(651)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나사축봉(651)이 나사결합되는 암나사홈(653)을 갖는 높이조절블럭(654)을 구비하여 승,하강 높이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암나사홈(653)의 외면은 높이조절블럭(651)을 구비하되, 그 외면 편측으로는 높이 조절에 따른 작동중 승,하강 높이가 변하지 않도록 나사산(652)을 직접 가압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조절편(656)에 의해 고정되도록 작동하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블럭(704)의 내측에는 외부환경에 민감한 수지재 형태의 고무부트(R) 소재의 원활한 확장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디블럭(704)의 내측으로 지지블럭(B-2)이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블럭(B-2)의 타측 끝에 통공(B-3)에 가열히터(B-1)와 송풍펜(B-4)을 구비한 형상온도유지유닛(B)을 구비하여 상기 확장지지바(900)의 경사면을 따라 냉온 열기가 고무부트(R)에 전달되어 재질의 특성을 연질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확장작업이 용이하도록 작동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지지바(900)는 고무부트(R)의 당김면을 증대시켜 당김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해 당김편(901-1)과 받침편(902-1)을 라운드 곡면으로 구비하여 당김 시 찍어짐과 당김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작동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블럭(704)과 확장지지바(900)사이에는,
바디블럭(704)의 내측 중심에는 양측 상, 하로 고정홈(750)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홈(750)의 동일선상으로 확장지지바(900)를 일치시킨 다음 관통구멍(913)을 구비한 조절홈(912)에 스프링(911)과 체결볼트(910)를 구비한 미세장력조절유닛(950)에 의해 고무부트(R)의 당김 공정시 고무부트(R)의 성형 후 냉각시 미세한 형상 변형에 대응하여 균일한 당김을 미세하게 대응 조절할 수 있도록 작동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조절블럭(A)은, 다양한 형태의 고무부트(R)를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인입관체(9)의 하측에 탈부착 형태로 나사결합 되도록 구비하여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나사결합 조절에 의한 탈부착 구성을 이루기 위해서는 가이드인입관체(9)의 하측 외면에는 나사산(9a)에 나사 결합되어 정,역회전에 의해 상,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나사홈(A-1)을 구비한 조절몸체(A-2)를 구비하여 조절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볼스터드가 삽입시 인입공기를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멍(A-3)을 통해 삽입에 따른 공기저항을 감소 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공기배출구멍(A-3)의 하측에는 걸림홈(A-4)을 구비하여 다양한 형태의 고무부트(R)를 탈부착 형태로 구비할 수 있도록 작동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럭(5c)의 하측에는 고무부트(R)의 다양한 작업환경에 의해 임의적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정밀한 확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바디블럭(704)와 확장지지바(900)를 0~10°범위에서 젖힘되는 각도가변유닛(550)을 구비하여 상기 탈착형부트유닛(7) 전체가 젖힘 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이동블럭(5c)의 일측에는 원형 형태의 음각홈(552)을 구비하되, 그 음각홈(552)의 중심에는 힌지핀(551)이 상기 가변블럭(553)과 체결되어 젖힘 회전되도록 작동되며,
상기 가변블럭(553)의 외면에는 장공(554)을 구비한 가이드브라켓(555)에 끼워져 힌지회전되는 힌지걸림편(558)을 구비하되, 그 힌지걸림편(558)에 구비되는 가동축봉(557)을 갖는 승, 하강실린더(556)를 구비하여 젖힘회전되도록 작동된다.
A: 탈착조절블럭 R: 고무부트
1: 제1지지부 1a: 원형판
1b: 연결구멍 1c: 축봉
2: 가압실린더 3: 승, 하강축봉
4: 가이딩판 4a: 원형 가압판
4b: 링크브라켓 4c: 가이드이동판
4d: 가이드관체 4e: 가변링크바
4f: 고정핀 5: 이동판
5a: 확장이동브라켓 5b: 결속핀
5c: 이동블럭 5d: 단턱
5e: 지지브라켓 5f: 받침브라켓
7: 탈착형부트유닛 8: 완충가압실린더
9: 가이드인입관체

Claims (10)

  1. 자동차 조향장치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에 있어서,

    원형판(1a) 형태로 중심이 관통되되, 그 원형판 원둘레에 하나 이상의 관통연결구멍(1b)을 균일하게 형성한 제1지지부(1)를 구비한 것과,

    상기 제1지지부(1)의 상측 중심에는 고무부트(R)의 하면 원주테두리를 확장및 축소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력 인가용 가압실린더(2)를 구비하되 상기 제1지지부(1)의 연결구멍(1b)에는 축봉(1c)을 각각 구비한 것과,

    상기 가압실린더(2)의 중심 하측으로는 승, 하강축봉(3)을 구비하고,
    상기 승,하강축봉(3)의 하단에는 원형 원형가압판(4a)이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원형 원형가압판(4a)의 외면에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가이드이동판(4c)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이동판(4c)의 외면 원형으로 상기 축봉(1c)에 끼워져 가이딩 되는 가이드관체(4d)를 일체로 형성된 가이딩판(4)을 구비한 것과,

    상기 가이딩판(4)의 저면 원둘레 외면에는 링크브라켓(4b)을 하나 이상 구비하되, 그 링크브라켓(4b)의 편측에는 가변링크바(4e)를 체결시켜 고정핀(4f)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상기 가변링크바(4e)의 아래 측 끝단에는 확장이동브라켓(5a)의 양측 사이에 끼워져 결속핀(5b)에 고정설치되는 이동판(5)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판(5)은 상기 가압실린더(2)의 승, 하강에 따라 제2지지부(6)에 삽설되어 좌,우 슬라이딩 왕복 되도록 구비하되, 그 제2지지부(6)의 상면 외면은 상기 축봉(1c)에 설치되도록 구비한 것과,

    상기 제2지지부(6)에 설치된 이동판(5)의 아래 측에는 이동블럭(5c)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럭(5c)의 저 면에는 편 측이 돌출된 지지브라켓(5e)을 구비하되, 타측이 음각된 받침브라켓(5f)에 의해 경계면을 형성한 단턱(5d)을 구비한 것과,

    상기 이동블럭(5c)의 단턱(5d)에는 편측에 고무부트(R)의 하측 중심 내면을 원형 형태로 하나 이상 다수개의 당김 및 지지를 동시에 수행하는 탈착형부트유닛(7)을 구비한 것과,

    상기 탈착형부트유닛(7)의 중심 제2지지부(6)의 아래측에는 확장증진용 완충가압실린더(8)를 구비하되, 그 아래 측으로는 중심홈을 형성한 가이드인입관체(9)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인입관체(9)의 아래 측에는 다양한 형태의 고무부트(R) 끼움고정용 탈착조절블럭(A)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형부트유닛(7)은,
    상기 이동블럭(5c)의 단턱(5d)에는 편측이 돌출된 결합턱(701)을 구비하되, 그 반대측에는 음각 지지턱(702)에 의해 경계면을 형성한 결합면(703)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면(703)의 아래 측에는 바디블럭(704)을 구비하며,
    상기 바디블럭(704)의 중심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관통슬라이딩홈(711)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슬라이딩홈(711)의 외측 바디블럭(704)의 상측에는 임의각도록 꺾여진 경사브라켓(705)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브라켓(705)의 외면에는 가압실린더(706)를 고정설치하되, 상기 가압실린더(706)의 가압축봉(707)에는 상기 관통슬라이딩홈(711)이 끼워져 경사지게 슬라이딩 왕복되는 가압지지바(800)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지지바(800)의 반대 측 바디블럭(704) 외면에는 임의 각도로 꺾여 경사진 확장지지바(900)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지지바(800)는 확장지지바(900)의 중심 경사면 중심에 통공된 관통홈(901)에 의해 좌, 우로 유동되도록 구비하여 구성한 것과,

    상기 가압지지바(800)는,
    일측에 돌출형 수직형상의 누름편(801)을 구비하되, 그 타측으로는 경사진 경사바디(802)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바디(802)의 후측은 관통형 연결공(803)이 구비한 것과,

    상기 확장지지바(900)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당김편(901)을 구비하되, 그 하단에는 받침편(902)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편(902)의 후측에는 상기 가압지지바(800)가 통과될 수 있는 형태의 통공공간(903)을 구비한 지지바(905)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바(905)의 후측에는 수직고정브라켓(90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6)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수평 길이방향으로 장공레일(611)을 하나 이상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한 몸체판(610)을 구비하고,
    상기 몸체판(610)의 상측에는 중심이 좁고 외측으로 넓은 방사형 가이드블럭(621)을 균일한 간격으로 고정배치하되, 각 가이드블럭(621) 사이에는 이동판(5)이 삽설되어 각 가이드블럭(621)의 가이드면(622)에 끼워져 이동되는 가동레일판(620)을 구비하며,
    상기 가동레일판(620)의 상측에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수평 길이방향으로 장공(631)을 하나 이상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한 이동안내판(630)을 구비하여 축봉(1c)의 하측에 고정설치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이동안내판(630)의 중심 상측에는 상기 원형 원형가압판(4a)의 하강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미세조절완충유닛(65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절완충유닛(650)은,
    상기 이동안내판(630)의 중심 상측에 외면이 나사산(652)을 구비한 나사축봉(651)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축봉(651)의 나사산(652)과 맞물려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홈(653)을 갖는 높이조절블럭(654)를 구비하며, 상기 높이조절블럭(654)의 외면에는 상기 나사산(652)을 직접 가압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조절편(65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블럭(704)에는,
    여름 또는 겨울철 고무부트(R)의 재질변화는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형상온도유지유닛(B)을 구비하고,
    상기 형상온도유지유닛(B)은,
    상기 바디블럭(704)의 내측으로 지지블럭(B-2)이 돌출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지지블럭(B-2)의 타측 끝단 수직방향으로 통공(B-3)을 구비하고,
    상기 통공(B-3)의 상측 중심에는 외부의 전원에 인가받아 작동되는 가열히터(B-1)를 구비하며,
    상기 가열히터(B-1)의 아래 측에는 송풍펜(B-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지지바(900)는,
    고무부트(R)의 당김영역 확대와 안전한 당김 기능 및 당김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당김편(901-1)을 구비한 다음 그 하단에는 받침편(902-1)를 구비하고,
    상기 당김편(901-1)과 받침편(902-1)은 라운드 곡면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블럭(704)과 확장지지바(900)사이에는,
    고무부트(R)의 당김 공정시 고무부트(R)의 성형 후 냉각시 미세한 형상 변형에 대응하여 균일한 당김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미세장력조절유닛(950)을 구비하되,
    상기 미세장력조절유닛(950)은 바디블럭(704)의 내측 중심에는 양측 상,하로 고정홈(75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750)의 동일선상으로 확장지지바(900)를 일치시킨 다음 관통구멍(913)을 구비한 조절홈(912)에 스프링(911)과 체결볼트(910)에 의해 체결고정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조절블럭(A)은,
    상기 가이드인입관체(9)의 하측 외면에는 나사산(9a)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산(9a)의 외면에 맞물려 정,역회전에 의해 상,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나사홈(A-1)을 구비한 조절몸체(A-2)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몸체(A-2)의 하단 외면에는 내부 중심이 관통된 공기배출구멍(A-3)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공기배출구멍(A-3)의 하측에는 걸림홈(A-4)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조절블럭(A)은,
    생산작업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고무부트(R)를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럭(5c)에는,
    고무부트(R)의 당김환경을 확장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블럭(704)과 확장지지바(900)를 0~10°범위에서 젖힘되는 각도가변유닛(550)을 구비하고,
    상기 각도가변유닛(550)은,
    이동블럭(5c)의 중심 일측에는 원형 형태의 음각홈(552)을 구비하되, 그 음각홈(552)의 중심에는 힌지핀(551)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핀(551)에 축삽되어 힌지 회전되는 가변블럭(553)을 구비하며,
    상기 가변블럭(553)의 타측 외면에는 장공(554)을 구비한 가이드브라켓(555)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555)의 장공(554)은 상기 이동블럭(5c)의 외면에 수직으로 승, 하강실린더(556)의 가동축봉(557)에 구비된 힌지걸림편(558)에 끼워져 젖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KR1020190003816A 2019-01-11 2019-01-11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KR20200087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816A KR20200087483A (ko) 2019-01-11 2019-01-11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816A KR20200087483A (ko) 2019-01-11 2019-01-11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483A true KR20200087483A (ko) 2020-07-21

Family

ID=7183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816A KR20200087483A (ko) 2019-01-11 2019-01-11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748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9595A (zh) * 2020-09-21 2020-12-11 绍兴泰禾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化内拉杆装配机
CN114406714A (zh) * 2022-03-03 2022-04-29 范梦晨 一种汽车减震器连杆端部自动化成型生产线
CN114932395A (zh) * 2022-05-25 2022-08-23 合肥科贝尔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显示屏组装压合设备及加工方法
CN114952101A (zh) * 2022-06-09 2022-08-30 宜兴华威封头有限公司 一种球形封头的分段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116576338A (zh) * 2023-02-28 2023-08-11 天台星元橡塑有限公司 一种汽车橡胶制动软管的橡胶保护套及其装配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774U (ko) 1996-12-05 1998-09-05 박병재 등속조인트용 부트시일의 설치구조
KR100353119B1 (ko) 1994-06-16 2002-12-16 데이나코포레이션 리테이너링을구비하는더스트부트조립체와,피벗연결부조립체
KR100794439B1 (ko) 2000-05-26 2008-01-17 아피니아 케이맨 코포레이션 앵커포스트 비분절형 아이들러 소켓 조인트
KR101480818B1 (ko) 2013-03-20 2015-01-16 주식회사 센트랄 차량부품, 차량부품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119B1 (ko) 1994-06-16 2002-12-16 데이나코포레이션 리테이너링을구비하는더스트부트조립체와,피벗연결부조립체
KR19980032774U (ko) 1996-12-05 1998-09-05 박병재 등속조인트용 부트시일의 설치구조
KR100794439B1 (ko) 2000-05-26 2008-01-17 아피니아 케이맨 코포레이션 앵커포스트 비분절형 아이들러 소켓 조인트
KR101480818B1 (ko) 2013-03-20 2015-01-16 주식회사 센트랄 차량부품, 차량부품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9595A (zh) * 2020-09-21 2020-12-11 绍兴泰禾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化内拉杆装配机
CN114406714A (zh) * 2022-03-03 2022-04-29 范梦晨 一种汽车减震器连杆端部自动化成型生产线
CN114406714B (zh) * 2022-03-03 2023-12-26 浙江奔利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减震器连杆端部自动化成型生产线
CN114932395A (zh) * 2022-05-25 2022-08-23 合肥科贝尔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显示屏组装压合设备及加工方法
CN114932395B (zh) * 2022-05-25 2023-08-22 合肥科贝尔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显示屏组装压合设备及加工方法
CN114952101A (zh) * 2022-06-09 2022-08-30 宜兴华威封头有限公司 一种球形封头的分段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114952101B (zh) * 2022-06-09 2024-02-20 宜兴华威封头有限公司 一种球形封头的分段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116576338A (zh) * 2023-02-28 2023-08-11 天台星元橡塑有限公司 一种汽车橡胶制动软管的橡胶保护套及其装配设备
CN116576338B (zh) * 2023-02-28 2023-10-24 天台星元橡塑有限公司 一种汽车橡胶制动软管装配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7483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DE19712838C2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Kugelgelenkverbindung
EP2631499A1 (de) Kugelgelenk
US2550564A (en) Apparatus for assembling rubber bearings
US6532665B2 (en) Method for expanding a cover plate
CN102152095A (zh) 一种轴连轴承、水封一次压装成型装置
CN108246906B (zh) 一种形状记忆合金管接头扩径装置及方法
CN107962118A (zh) 一种航空发动机环形火焰筒阵列斜孔翻边模具及其使用方法
CA2284434C (en) Cover-plate expansion assembly method and device therefore
CN103084493B (zh) 一种铆接零部件制造装置
DE102007051369A1 (de) Hydrostatisches Schrägachsentriebwerk mit einem Synchronisierungsgelenk zur winkel-verstellbaren Triebverbindung eines Zylinderblocks mit einer Triebwelle
CN105964816A (zh) 一种胀管器
CN205043712U (zh) 自锁螺套的扩口锁紧工装及该工装使用的扩口接头
CN212287325U (zh) 一种汽车零部件用夹具
JP4011898B2 (ja) サークリップ拡径装置
CN109175203B (zh) 一种液压铆接机
CN206382492U (zh) 气动铆接工装
CN206296832U (zh) 电机定位工装
CN218746000U (zh) 钢丝挡圈压装装置
CN109175972A (zh) 一种油缸总装装置
JP4102095B2 (ja) 内視鏡用湾曲管のカンセツ部品の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CN117884558B (zh) 一种具有错位纠偏功能的卸扣生产用锻造成型设备
CN109175204B (zh) 一种液压铆接机的铆接装置
CN210413426U (zh) 装配角度可调的车辆前灯壳体装配装置
CN218378932U (zh) 一种用于弹性自润滑轴套的压装涂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