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818B1 - 차량부품, 차량부품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부품, 차량부품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0818B1 KR101480818B1 KR20130029956A KR20130029956A KR101480818B1 KR 101480818 B1 KR101480818 B1 KR 101480818B1 KR 20130029956 A KR20130029956 A KR 20130029956A KR 20130029956 A KR20130029956 A KR 20130029956A KR 101480818 B1 KR101480818 B1 KR 1014808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boot
- vehicle
- vehicle component
- thrott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부품이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차량부품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단조임부와 하단조임부를 가지는 부트가 끼워져 이동하며 하단을 이탈하면서 상기 차량부품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외면과, 상기 내부를 통해 상기 부트로 에어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에어통로를 가지는 꼬깔부; 및 기 꼬깔부의 상기 에어통로로 상기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주입부;를 포함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랑부품 및 그 차량부품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트(Boot)를 포함하는 차량부품 및 그 차량부품의 조립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부품 예컨대 볼조인트는 축부, 머리부, 하우징 및 상기 축부와 하우징을 사이에 물 등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부트를 포함한다. 부트는 하우징에 밀봉되어야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밀봉을 위하여 부트가 갖는 체결홈에 클램프링을 체결한다.
종래의 부트를 볼조인트의 하우징에 안착시키기 위한 지그장치 일명 꼬깔부는 외면이 경사면을 이루는 구조이고 내부에 차량부품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가 설치 또는 형성되는 구조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지그장치는 그 구조상 유연한 재질의 부트가 차량부품의 하우징에 안착될 때 뒤집혀 안착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부트가 뒤집혀 안착된 상태에서 클램프링이 체결되게 되면 차량부품의 밀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니수의 침입을 막을 수 없게 되어 차량부품의 성능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부품에 부트 체결시 부트가 뒤집혀 안착되지 않도록 하여 부트의 기밀성이 확보되는 새로운 차량부품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부트 내부에 대기압 이상의 압력으로 에어를 충전함으로써 외부의 이상압력에 의하여 니수가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을 가지는 차량부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부품이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차량부품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단조임부와 하단조임부를 가지는 부트가 끼워져 이동하며 하단을 이탈하면서 상기 차량부품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외면과, 상기 내부를 통해 상기 부트로 에어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에어통로를 가지는 꼬깔부; 및 기 꼬깔부의 상기 에어통로로 상기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주입부;를 포함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차량부품 조립장치에 의하여 조립된 차량부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부품에 꼬깔부를 씌우고 거치시키는 거치단계; 상기 꼬깔부에 상단조임부와 하단조임부를 갖는 부트(Boot)를 끼우고 밀어서 상기 꼬깔부에서 이탈시키는 부트이동단계; 및 상기 부트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하면서 상기 차량부품에 안착시키는 부트조립단계;를 포함하는 차량부품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끼워지는 머리부;
상기 머리부에서 연장되는 축부; 및 일측이 상기 축부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과 체결되며, 내부에 에어가 주입된 부트(Boot);를 포함하는 차량부품을 제공한다.
본 차량부품 조립방법의 일 실시예는 차량부품 부트에 공기를 주입하면서 안착시킴으로써 부트가 말려서 뒤집혀 안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트의 밀봉에 불량이 생기지 않는 효과가 있다.
부트의 내부 압력이 일반 대기압보다 높은 상태에서 부트를 밀봉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이상압력이 발생하더라도 부트 내부의 압력이 반발하여 니수의 침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부트 내부에 에어를 주입하여 차량부품을 조립하는 방법은 부트가 팽창된 상태에서 에어가 새는 부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밀봉이 잘 이루어졌는지 여부 파악 등이 용이하여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은 차량부품을 나타낸다.
도 2는 차량부품에 씌워진 꼬깔부를 나타낸다.
도 3은 에어주입부, 밀대 및 하단조임부확장기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하단조임부확장기가 부트에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하단조임부확장기가 부트에 삽입되어 부트의 하단조임부를 확장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밀대와 하단조임부확장기가 부트의 하단조임부를 확장한 상태에서 밀대와 하단조임부가 하강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차량부품의 하우징에 부트의 하단조임부가 뒤집힌 위치로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에어를 주입하여 부트의 하단조임부를 올바른 위치로 안착시킨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차량부품의 축부에 부트의 상단조임부가 올바른 위치로 안착되고 상단조임부와 하단조임부에 상부 및 하부클램프링이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차량부품의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차량부품에 씌워진 꼬깔부를 나타낸다.
도 3은 에어주입부, 밀대 및 하단조임부확장기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하단조임부확장기가 부트에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하단조임부확장기가 부트에 삽입되어 부트의 하단조임부를 확장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밀대와 하단조임부확장기가 부트의 하단조임부를 확장한 상태에서 밀대와 하단조임부가 하강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차량부품의 하우징에 부트의 하단조임부가 뒤집힌 위치로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에어를 주입하여 부트의 하단조임부를 올바른 위치로 안착시킨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차량부품의 축부에 부트의 상단조임부가 올바른 위치로 안착되고 상단조임부와 하단조임부에 상부 및 하부클램프링이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차량부품의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차량부품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차량부품(1)은 하우징(5), 하우징(5) 내부에 끼워지는 머리부(2), 머리부(2)에서 연장되는 축부(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부품(1)은 일측이 상기 축부(3)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5)과 체결될 수 있는 부트(Boot, 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차량부품(1)의 일 실시예는 차량 등에서 사용되는 볼 조인트(1)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차량부품(1)은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 부품을 주로 의미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부품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이라면 본 실시예의 차량부품(1)에 포함된다.
부트(6)는 하우징(5)과 축부(3)에 체결되어 물이나 이물질 등이 하우징(5)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차량부품(1)의 한 구성요소이다.
부트(6)는 상부에 상단조임부(6b)가 형성되며, 하단에 하단조임부(6a)가 형성될 수 있다. 상단조임부(6b)는 축부(3)에 체결될 수 있고, 하단조임부(6a)는 하우징(5)에 체결될 수 있다. 상단조임부(6b)에는 상부클램프링(7b)이 체결될 수 있고, 하단조임부(6a)에는 하부클램프링(7a)이 체결될 수 있다. 클램프링(7a,7b)이 체결됨으로써 하우징(5)과 축부(3) 사이의 틈이 먼지나 이물질 등으로부터 방어된다.
도 2(a)는 차량부품(1)에 씌워진 꼬깔부(10)를 나타낸다. 도 2(b)는 꼬깔부의 밑면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차량부품(1)에 상기 부트(6)를 씌워 체결하는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조립장치는 꼬깔부(10)와 에어주입부(20, 도 3을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꼬깔부(10)는 외면(12)과 지지부(13)와 에어통로(11)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꼬깔부(10)는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면(12)은 부트(6)가 끼워져 타고 이동되며, 부트(6)를 확장시켜 차량부품(1)에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외면(12)은 경사면(12a)과 직선면(12b)과 확장면(12c)을 포함할 수 있다. 외면(12)은 부트(6)가 상기 외면(12)의 하단을 이탈하여 상기 차량부품(1)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꼬깔부(10)는 차량부품(1)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꼬깔부(10)의 내부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차량부품(1)의 축부(3)와 플랜지부(4)가 갖는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꼬깔부(10)의 내부가 이러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꼬깔부(10)는 차량부품(1)에 씌워진 상태에서 약간의 유격을 가질 수는 있어도, 차량부품(1)과 따로 움직이지 않는다.
지지부(13)는 차량부품(1)에 꼬깔부(10)가 씌워질 때 상기 차량부품(1)과 접촉되고, 상기 차량부품(1)에 의하여 지지되는 꼬깔부(10) 내면의 한 부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지지부(13)는 차량부품(1)의 플랜지부(4)와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지지부(13)는 에어가 흐르기 위한 홈(13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홈(13a)은 동일한 간격으로 3개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통로(11)는 꼬깔부(10)의 내부를 통해 상기 부트(6)로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것이다. 에어통로(11)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꼬깔부(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에어통로(11)는 꼬깔부(10)의 외면(12)과 내면이 연결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에어통로(11)는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선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통로(11)의 구조 및 형상은 에어가 꼬깔부(10)의 내부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주입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꼬깔부(10)의 내면 중 에어통로(11)의 일단을 형성하는 부분(A)은 중앙부로 가면서 깊어지도록 테이퍼질 수 있다. 이러한 테이퍼 구조는 에어통로(11)를 통과한 에어가 신속하게 꼬깔부(10)의 내부로 확산되어 퍼져나가는 효과를 줄 수 있다.
꼬깔부(10)의 내부를 형성하는 상기 꼬깔부(10)의 내면은 차령부품과의 사이 틈으로 에어가 흘러 부트(6)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량부품(1)에 꼬깔부(10)가 씌워진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는 축부(3)의 단부 및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측면은 꼬깔부(10)의 내면과 틈(B)을 둘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4)의 측면도 역시 꼬깔부(10)의 내면과 틈(D)을 둘 수 있다.
차량부품(1)에 꼬깔부(10)가 씌워진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부품(1)의 플랜지부(4)가 꼬깔부(10)의 내면 중 일부인 지지부(13)를 지지할 수 있다.
에어가 흐르는 경로를 설명한다.
에어는 꼬깔부(10)의 에어통로(11)를 흐른 뒤 꼬깔부(10) 내면 중 에어통로(11)의 일단을 형성하는 부분(A)을 흐른다. 그 다음, 에어는 꼬깔부(10)의 내면과 차량부품(1)의 축부(3)의 측면이 형성한 틈(B)을 흐른다. 그 다음 구간은 지지부(13)와 플랜지부(4)가 접촉해 있는 부분(C)인데 실시예에 따라서는 에어는 에어의 압력으로 꼬깔부(10)를 살짝 들어올려 지지부(13)와 플랜지부(4) 사이에 틈(C)을 만든 뒤에 그 틈(C)을 흐를 수 있다. 꼬깔부(10)가 들어 올려지는 경우 후술할 에어노즐(22, 도 3을 참조)도 꼬깔부(10) 상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꼬깔부(10)와 함께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에어가 에어노즐(22)로부터 에어통로(11)로 신속하고 연속적으로 주입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지지부(13)는 에어가 흐르기 위한 홈(1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홈(13a)으로 에어가 흐를 수 있다. 그 다음, 에어는 플랜지부(4)의 측면과 꼬깔부(10) 내면 사이의 틈(D)을 흐른 뒤에 부트(6) 내부공간으로 분출된다.
도 3은 에어주입부(20), 밀대(30) 및 하단조임부확장기(40)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에어주입부(20)는 상기 꼬깔부(10)의 상기 에어통로(11)로 상기 에어를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주입부(20)는 에어호스(21)와 상기 에어호스(21)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에어주입부(20)는 에어노즐(22)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노즐(22)의 일단은 에어호스(21)와 연결되고, 타단은 플랜지(24)가 형성되어 꼬깔부(10)의 에어통로(11)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24)의 중앙의 에어홀(25)이 형성된 부분은 꼬깔부(10)의 상단의 뾰족한 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조립장치는 꼬깔부(10)에 끼워진 부트(6)를 밀어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밀대(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대(30)는 복수의 피스로 구성되며, 상기 피스 각각의 일단(30a)은 가압플레이트(31)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연결은 힌지결합(32)일 수 있다. 피스 각각의 끝단(30b)은 꼬깔부(10)에 씌워진 부트(6)에 접촉되어, 부트(6)를 밀고 내려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밀대(30)는 피스 각각의 끝단(30b)에 인접하게 제1탄성부재(33)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가압플레이트(31)의 중앙부는 홀이 형성되며, 이 홀을 에어노즐(22)이 관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압플레이트(31)의 중앙부에 에어노즐(22)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에어노즐(22)의 둘레에는 제2탄성부재(23)가 끼워질 수 있다. 제2탄성부재(23)의 일측은 가압플레이트(31)에 접촉되고, 타단은 에어노즐(22)의 플랜지(24)에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조립장치는 부트(6)의 하단조임부(6a)를 확장시켜 상기 차량에 안착시키기 위한 하단조임부확장기(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단조임부확장기(40)는 복수의 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하단조임부확장기(40)가 부트(6)에 삽입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하단조임부확장기(40)가 부트(6)에 삽입되어 부트(6)의 하단조임부(6a)를 확장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밀대(30)와 하단조임부확장기(40)가 부트(6)의 하단조임부(6a)를 확장한 상태에서 밀대(30)와 하단조임부(6a)가 하강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에어주입부(20), 밀대(30) 및 하단조임부확장기(40)의 작용관계를 설명한다.
꼬깔부(10)에 부트(6)가 끼워진 상태에서 밀대(30)의 끝단(30b)이 부트(6)를 밀고 하방향(Y1)으로 이동한다. 꼬깔부(10) 외면(12) 중 직선면(12b)이 형성된 구간의 직경(d1)은 부트(6)의 하단조임부(6a)의 직경(d2)보다 작다. 따라서 직선면(12b)과 하단조임부(6a) 사이에 틈이 형성되며 이 틈에 하단조임부확장기(40)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밀대(30)의 끝단(30b)에 밀려서 하단조임부(6a)가 꼬깔부(10)의 직선면(12b)이 형성된 구간을 내려올 때 하단조임부확장기(40)가 하단조임부(6a)와 꼬깔부(10)의 상기 직선면(12b) 사이의 틈에 삽입될 수 있다.
밀대(30)와 밀대(30)가 연결된 가압플레이트(31)가 하방향(Y1)으로 부트(6)를 밀면서 하강할 때 밀대(30)의 끝단(30b)은 꼬깔부(10)의 외면(12)에 접촉되어 외면(12)을 타고 내려온다. 밀대(30)의 끝단(30b)에 인접하게 설치된 제1탄성부재(33)는 중심부 방향으로 밀대(30)의 끝단(30b)을 가압하여 밀대(30)의 복수의 피스들을 꼬깔부(10)의 외면(12)에 밀착시킨다. 밀대(30)의 끝단(30b)은 부트(6)를 밀고 하방향(Y1)으로 내려오면서 꼬깔부(10) 외경이 확장됨에 따라 함께 좌우방향(X1,X2)으로 확장된다.
밀대(30)와 하단조임부확장기(40)는 함께 하단조임부확장기(40)의 끝단이 부트(6)의 하단조임부(6a)를 X3 과 X4 방향으로 확장한 상태에서 하방향(Y1)으로 하강한다. 이때 부트(6)는 밀대(30)에 밀려서 함께 하방향(Y1)으로 하강한다. 확장된 하단조임부(6a)는 차량부품(1)의 하우징(5)의 하단조임부안착홈에 체결된다.
한편, 에어주입부(20)는 가압플레이트(31)가 하강하면서 에어주입부(20)의 에어노즐(22)의 플랜지(24)가 꼬깔부(10)의 에어통로(11)가 형성된 상단에 접촉되어 밀착된다. 가압플레이트(31)가 하강하면서 꼬깔부(10)의 상단에 접촉된 에어노즐(22)은 꼬깔부(10)의 상단에 밀려서 상대적으로 상방향(Y2)으로 상승한다. 상승하면서 제2탄성부재(23)가 압축되므로 상기 플랜지(24)의 밀착은 제2탄성부재(23)의 탄성적 반발력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플랜지(24)와 꼬깔부(10) 상단의 밀착을 촉진시켜 에어가 에어노즐(22)에서 에어통로(11)로 흘러들어 갈 때 외부로 새지 않고 공기압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차량부품(1)의 하우징(5)에 부트(6)의 하단조임부(6a)가 뒤집힌 위치로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에어를 주입하여 부트(6)의 하단조임부(6a)를 올바른 위치로 안착시킨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차량부품(1)의 축부(3)에 부트(6)의 상단조임부(6b)가 올바른 위치로 안착되고 상단조임부(6b)와 하단조임부(6a)에 상부 및 하부클램프링(7a)이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단조임부(6a)가 하단조임부확장기(40)에 의하여 확장되어 꼬깔부(10)로부터 이탈되어 차량부품(1)의 하우징(5)에 안착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하단조임부(6a)가 말려서 뒤집힌 위치로 안착되는 경우가 많다(도 7을 참조). 이 경우 바로 하부클램프링(7a)을 체결하게 되면 하우징(5)과 부트(6) 사이에 밀봉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부트(6)의 외부에서 차량 하부의 고압 세차나 겨울철 염화칼슘 등의 외압이 가해질 때 니수의 침입을 발생시켜 차량부품(1)의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기능을 상실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조립장치는 에어를 부트(6) 내부공간(S)으로 분사하여 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하 에어를 주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전술한 에어주입부(20)는 상기 부트(6)의 상기 하단조임부(6a)가 상기 차량부품(1)에 안착된 뒤에 상기 부트(6)의 내부공간(S)으로 상기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뒤집힌 위치로 안착된 하단조임부(6a)를 올바른 위치로 재안착시킨다(도 8을 참조). 꼬깔부(10)의 확장면(12c)은 부트(6)의 상단조임부(6b)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상단조임부(6b)가 꼬깔부(10)의 확장면(12c)을 타고 내려올 때 상단조임부(6b)가 확장면(12c)에 밀착될 수 있다. 에어의 주입은 상단조임부(6b)가 확장면(12c)에 밀착되어 내려오는 도중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시점이 상단조임부(6b)도 밀착된 상태이고, 하단조임부(6a)가 차량부품(1)의 하우징(5)에 안착되어 임시적으로 밀착된 상태이므로, 에어를 불어넣어 부트(6)를 순간적으로 팽창시켜 하단조임부(6a)가 올바른 위치로 안착되도록 만들 수 있다(도 8을 참조).
하단조임부(6a)가 올바른 위치로 하우징(5)에 안착된 뒤에는 하단조임부(6a)에 하부클램프링(7a)을 체결하여 하단조임부(6a)를 밀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하단조임부(6a)를 하부클램프링(7a)으로 체결한 뒤에 상단조임부(6b)를 축부(3)에 안착시킬 수 있다. 하단조임부(6a)가 하우징(5)에 체결된 뒤에 밀대(30)를 하방향으로 계속 밀어내려 상단조임부(6b)를 축부(3)에 형성된 상단조임부안착홈에 안착시킬 수 있다.
에어주입부(20)는 상단조임부(6b)가 차량부품(1)에 안착되기 전에 부트(6)의 내부공간(S)으로 상기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에어가 주입된 상태에서 상단조임부(6b)가 꼬깔부(10)로부터 이탈되여 축부(3)에 안착되면 뒤집힌 위치로 안착됨 없이 바로 올바른 위치로 안착되는 효과가 있다. 이미 부트(6)의 내부공간(S)에 압력이 생겨 부트(6)가 팽창된 상태에서 상단조임부(6b)가 안착되기 때문에 상단조임부(6b)가 원형을 유지하면서 축부(3)에 안착될 수 있다.
상단조임부(6b)가 안착된 뒤에 상부클램프링(7b)을 체결할 수 있다(도 9를 참조).
상단조임부(6b)가 안착되기 전에 에어를 주입하는 또 다른 효과는 완성된 차량부품(1)의 부트(6)에 에어를 충진하기 위한 것이다. 에어가 충진된 부트(6)의 효과는 후술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에어의 주입은 상기 하단조임부(6a)에 클램프링(7a)이 체결된 뒤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조립부가 밀봉된 상태에서 에어를 주입해야 부트(6) 팽창의 효과가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부품(1)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 조립장치에 의하여 조립된 차량부품(1)이다.
도 10은 차량부품(1)의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1)의 조립방법은 차량부품(1)에 꼬깔부(10)를 씌우고 거치시키는 거치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꼬깔부(10)에 상단조임부(6b)와 하단조임부(6a)를 갖는 부트(Boot, 6)를 끼우고 밀어서 꼬깔부(10)에서 이탈시키는 부트이동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트(6)의 내부공간(S)로 에어를 주입하면서 차량부품(1)에 안착시키는 부트조립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트조립단계(S120)는 하단조임부(6a)를 차량부품(1)에 안착시키는 하단부조립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조임부(6a)가 안착된 뒤에 부트(6) 내부공간(S)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부트(6) 내부공간(S)에 에어가 주입된 이후에 하단조임부(6a)에 하부클램프링(7a)을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부조립단계 이후에 차량부품(1)에 상단조임부(6b)를 안착시키는 상단부조립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단부조립단계에서는 상단조임부(6b)가 안착되기 전에 상기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상단부조립단계 이후에 상단조임부(6b)에 상부클램프링(7b)을 체결할 수 있다.
부트(6)가 팽창된 상태에서 에어가 새는 부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밀봉이 잘 이루어졌는지 여부 파악 등이 용이하여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부품(1)은 하우징(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5) 내부에 끼워지는 머리부(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부(2)에서 연장되는 축부(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일측이 상기 축부(3)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5)과 체결되며, 내부에 에어가 주입된 부트(Boot, 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는 대기압 이상으로 주입될 수 있다. 부트(6)의 내부 압력이 일반 대기압보다 높은 상태에서 부트(6)를 밀봉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이상압력이 발생하더라도 부트(6) 내부의 압력이 반발하여 니수의 침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차량부품
10 : 꼬깔부
20 : 에어주입부
30 : 밀대
40 : 하단조임부확장기
10 : 꼬깔부
20 : 에어주입부
30 : 밀대
40 : 하단조임부확장기
Claims (28)
- 차량부품이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차량부품에 지지되는 지지부와, 상단조임부와 하단조임부를 가지는 부트가 끼워져 이동하며 하단을 이탈하면서 상기 차량부품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외면과, 상기 내부를 통해 상기 부트로 에어를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에어통로를 가지는 꼬깔부; 및
상기 꼬깔부의 상기 에어통로로 상기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주입부;
를 포함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깔부는 원뿔 형상이며, 경사면과 직선면과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통로는 상기 꼬깔부의 상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꼬깔부의 내면 중 상기 에어통로의 일단을 형성하는 부분은 중앙부로 가면서 깊어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통로는 수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에어가 흐르기 위한 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부품은, 머리부,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된 축부, 상기 축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꼬깔부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차량부품의 플랜지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주입부는 상기 꼬깔부의 에어통로와 연결되는 에어호스와 상기 에어호스와 연결된 에어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주입부는, 일단이 상기 에어호스와 연결되며, 타단은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꼬깔부의 에어통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에어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깔부에 끼워진 상기 부트를 밀어 이동시키기 위한 밀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복수의 피스로 구성되되, 상기 피스 각각의 일단은 가압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중앙부는 상기 에어주입부의 에어노즐이 상하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가 상기 부트를 밀어 내릴 때 상기 피스 각각의 끝단은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꼬깔부의 외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가 상기 부트를 밀어 내릴 때 상기 에어주입부의 에어노즐은 상기 꼬깔부의 상단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은 상기 에어노즐의 둘레에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가압플레이트에 접촉하고, 타단은 상기 에어노즐에 형성된 플랜지에 접촉하는 제2탄성부재의 탄성적 반발력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가 상기 부트를 밀 때 상기 에어주입부의 에어노즐은 상기 꼬깔부의 상단에 접촉되어 밀려 올라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의 상기 하단조임부를 확장시켜 상기 차량부품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꼬깔부의 상기 외면과 상기 하단조임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삽입되는 끝단을 가지는 하단조임부확장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꼬깔부는 직선면을 포함하되, 상기 꼬깔부의 상기 직선면이 형성된 구간의 직경은 상기 하단조임부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조임부가 상기 꼬깔부의 상기 직선면이 형성된 구간을 내려올 때 상기 하단조임부확장기가 상기 하단조임부와 상기 꼬깔부의 상기 직선면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와 상기 차량부품의 상기 결합은 상기 부트가 뒤집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에어를 주입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주입부는, 상기 부트의 상기 상단조임부가 상기 차량부품에 안착되기 전에 상기 부트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에어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장치. -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차량부품 조립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차량부품.
- 차량부품에 꼬깔부를 씌우고 거치시키는 거치단계;
상기 꼬깔부에 상단조임부와 하단조임부를 갖는 부트(Boot)를 끼우고 밀어서 상기 꼬깔부에서 이탈시키는 부트이동단계; 및
에어가 상기 꼬깔부 내부와 상기 상단조임부를 순차로 통과하여 상기 부트의 내부로 주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부트를 상기 차량부품에 안착시키는 부트조립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부품 조립방법.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조립단계는 상기 하단조임부를 상기 차량부품에 안착시키는 하단부조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조립단계에서 상기 에어가 주입된 이후에 상기 하단조임부에 하부클램프링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조립단계 이후에 상기 차량부품에 상기 상단조임부를 안착시키는 상단부조립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조임부가 안착되기 전에 상기 에어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조립단계 이후에 상기 상단조임부에 상부클램프링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부품 조립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29956A KR101480818B1 (ko) | 2013-03-20 | 2013-03-20 | 차량부품, 차량부품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29956A KR101480818B1 (ko) | 2013-03-20 | 2013-03-20 | 차량부품, 차량부품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5184A KR20140115184A (ko) | 2014-09-30 |
KR101480818B1 true KR101480818B1 (ko) | 2015-01-16 |
Family
ID=5175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29956A KR101480818B1 (ko) | 2013-03-20 | 2013-03-20 | 차량부품, 차량부품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081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7483A (ko) | 2019-01-11 | 2020-07-21 | 주식회사 티엠에이치 |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9750U (ko) * | 1997-12-29 | 1999-07-26 | 정몽규 |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볼조인트의 구조 |
KR200429353Y1 (ko) * | 2006-06-14 | 2006-10-20 | 주식회사 솔로몬메카닉스 | 공압을 이용한 볼조인트 더스트커버 조립장치 |
KR20110062691A (ko) * | 2009-12-04 | 2011-06-10 | 주식회사 솔로몬메카닉스 | 모터를 이용한 볼조인트 더스트커버 조립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2013
- 2013-03-20 KR KR20130029956A patent/KR1014808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9750U (ko) * | 1997-12-29 | 1999-07-26 | 정몽규 |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볼조인트의 구조 |
KR200429353Y1 (ko) * | 2006-06-14 | 2006-10-20 | 주식회사 솔로몬메카닉스 | 공압을 이용한 볼조인트 더스트커버 조립장치 |
KR20110062691A (ko) * | 2009-12-04 | 2011-06-10 | 주식회사 솔로몬메카닉스 | 모터를 이용한 볼조인트 더스트커버 조립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7483A (ko) | 2019-01-11 | 2020-07-21 | 주식회사 티엠에이치 | 자동차 조향장치의 타이로드 단부 연결용 볼조인트 고무부트 삽입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5184A (ko) | 2014-09-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72806B2 (en) | Grommet | |
JP2006112628A (ja) | クイックカップリング用オス部分、クイックカップリング及びこのような2つのカップリングのセット | |
JP2003287150A (ja) | 通気栓、及び通気栓組立体 | |
US20190031007A1 (en) | Weather strip | |
JP2015131683A (ja) | エアゾール容器用の弁組立体 | |
KR101480818B1 (ko) | 차량부품, 차량부품의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 |
US11547176B2 (en) | Direct bottomed article of footwear with an insert | |
KR101937861B1 (ko) | 볼조인트 사출 금형장치 | |
JP2009522174A (ja) | 流体ディスペンサノズル、および該ノズルを含んだディスペンサ装置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 |
KR102053810B1 (ko) | 슬라이딩 이너코어를 구비한 볼조인트 사출 금형장치 | |
JP2014020617A (ja) | 点火器用のカバー部材 | |
JP2015529592A (ja) | バルブ用の多重リップシール | |
KR200382009Y1 (ko) | 냉장고용 냉기조절 댐퍼의 구동부 방수장치 | |
WO2015149667A1 (en) | Washer for a snap fastener | |
JP6785096B2 (ja) | 吐出器用容器体 | |
KR101679394B1 (ko) | 돌기형 정착유닛이 구비된 확장형 팩 앵커 | |
CN101673898B (zh) | 电暖袋电插座 | |
JPH11216748A (ja) | シール金型 | |
CN108630470B (zh) | 一种开关的透气孔结构及其开关 | |
JP2019052677A (ja) | 過圧縮防止構造を有するガスケットとその製造方法 | |
CN208900914U (zh) | 快插接头 | |
JP2012059803A (ja) | 圧力開放弁 | |
KR102701760B1 (ko) | 시일 캡 | |
KR101242615B1 (ko) | 락볼트 및 이를 이용한 지보공법 | |
KR101219447B1 (ko) | 락볼트 및 이를 이용한 지보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