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071A -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071A
KR20200087071A KR1020190168901A KR20190168901A KR20200087071A KR 20200087071 A KR20200087071 A KR 20200087071A KR 1020190168901 A KR1020190168901 A KR 1020190168901A KR 20190168901 A KR20190168901 A KR 20190168901A KR 20200087071 A KR20200087071 A KR 20200087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creen device
contaminants
unit
shre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코 하기와라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엔바이로멘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엔바이로멘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엔바이로멘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2201/063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수로 중의 협잡물 처리에 있어서, 스크린장치 상의 협잡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고, 스크린장치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로 내의 협잡물을 이송하는 스크린부와, 스크린부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스크린부에서 과부하를 검지했을 때, 1회전/(회전면에 있어서의 레이크의 매수)의 각도 이상, 역전운전을 행하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을 제공한다. 이로써, 역전운전을 소정의 각도만큼 행하고, 과부하상태를 검지한 시점에서 스크린부의 과부하의 요인이 되는 협잡물을 제거하여, 스크린장치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시킨 상태에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SCREEN DEVICE FOR CRUSHING MACHINE, CONTROLLER OF SCREEN DEVICE FOR CRUSHING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NG SCREEN DEVICE FOR CRUSHING MACHINE}
본 출원은 2019년 1월 1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9-002985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수중에 부유하는 슬러지 등의 협잡물(挾雜物)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에 대하여 협잡물을 이송하는 스크린장치,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수중에 부유하는 슬러지 등의 협잡물을 스크린부재로 포착하고, 스크린부재에 포착된 협잡물을 회전레이크부에 의하여 파쇄기로 스크레이핑하는 스크린장치,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수처리장 등의 수로에는, 수중에 부유하는 슬러지 등의 협잡물을 파쇄하기 위한 스크린장착 파쇄기가 설치되어 있다. 수로에 설치되는 스크린장착 파쇄기는, 협잡물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 외에, 협잡물을 포착하기 위한 스크린부재와, 스크린부재에 포착된 협잡물을 파쇄기로 스크레이핑하기 위한 회전레이크부로 이루어지는 스크린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로의 전체폭에 걸쳐 흐르는 협잡물을 파쇄부로 스크레이핑하여 파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스크린장치와 그 스크린장치의 일측방에 설치된 파쇄기를 수로에 횡단설치하여, 수중의 협잡물을 파쇄기에 수집하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스크린장치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원호상(圓弧狀) 스크린부재와, 그 원호상 스크린부재의 사이를 회전하는 레이크군을 고착하고 있는 수직방향의 레이크축으로 이루어지고, 그 레이크축을 스크린의 외주연(外周緣)의 중심과 편심하여 설치함으로써, 레이크의 선단부가 스크린의 외주연으로부터 출몰되어, 스크린에 포착된 협잡물이 파쇄기로 스크레이핑되는 장치이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24101호
특허문헌 1과 같은 스크린장착 파쇄기에서는,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회전하는 레이크에 의하여 협잡물을 스크레이핑하면, 협잡물의 일부가 레이크의 회전에 말려 들어가 파쇄기에 유입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레이크에 말려 들어간 협잡물은, 스크린부재의 하류 측에 퇴적한다. 또, 스크린부재의 간극에 협잡물이 물리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협잡물의 퇴적이나 물림은 레이크의 회전에 부하를 주기 때문에, 스크린장착 파쇄기의 운전을 정지하여, 원인인 협잡물을 제거하고 있었다. 그러나, 스크린장착 파쇄기의 운전을 정지하는 것은, 처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함과 함께, 피처리수 중의 협잡물의 체류에 의한 처리부하의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스크린장치에 있어서의 협잡물의 퇴적이나 물림이 발생한 경우에, 스크린장착 파쇄기의 운전을 곧바로 정지하지 않고, 스크린장치 상의 협잡물을 제거하여 스크린장치에 있어서의 부하를 저감시키고, 파쇄처리를 계속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피처리수 중의 슬러지 등의 협잡물을 파쇄하는 파쇄기에 대하여 협잡물을 이송하는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스크린장치 상의 협잡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고, 스크린장치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에 대하여 예의검토한 결과, 파쇄기로 협잡물을 이송하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스크린부를 운전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스크린부에서 과부하를 검지했을 때에, 스크린부를 특정의 범위에서 역전(逆轉)운전시킴으로써, 스크린부의 부하를 저감시키고, 파쇄처리를 계속해서 행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파쇄기용 스크린장치는, 간단히 스크린장치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는, 수로 내의 협잡물을 파쇄하는 파쇄기로 협잡물을 이송하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로서, 협잡물을 이송하는 스크린부와, 스크린부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스크린부는, 협잡물을 포착하는 스크린과, 스크린으로 포착된 협잡물을 스크레이핑하는 레이크를 마련한 회전레이크부로 이루어지며, 제어부는, 스크린부에서 과부하를 검지했을 때, 스크린부에 있어서 1회전/(회전면에 있어서의 레이크의 매수)의 각도 이상, 역전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에 의하면, 스크린과 회전레이크부를 구비하는 스크린부에 있어서의 과부하상태를 검출하고, 회전레이크부의 역전운전을 소정의 각도만큼 행함으로써, 스크린부의 과부하의 요인이 되는 협잡물을 제거하여, 스크린장치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시킨 상태에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일 실시양태로서는, 제어부는, 역전운전을 실행한 후는 정전(正轉)운전으로 되돌리고, 정전운전을 소정 시간 실행 후에 과부하를 검지한 경우는 재차 역전운전을 행하고, 과부하를 검지하지 않은 경우는 정전운전을 계속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 특징에 의하면, 스크린부의 과부하상태에 따라, 스크린부에 있어서의 정전운전과 역전운전을 전환함으로써, 메인터넌스의 횟수나 수고를 저감시키고, 스크린장치를 안정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일 실시양태로서는, 제어부는, 과부하의 검지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했을 때, 상기 스크린부의 운전을 정지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 특징에 의하면, 과부하의 검지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했을 때에는, 정전운전 및 역전운전에서는 과부하상태를 해소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스크린부를 정지함으로써, 스크린장치의 보호 및 다른 수단에 의한 과부하상태의 해소 등, 적절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는, 수로 내의 협잡물을 파쇄하는 파쇄기로 협잡물을 이송하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에 마련되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로서, 파쇄기용 스크린장치는, 협잡물을 포착하는 스크린과, 스크린으로 포착된 협잡물을 스크레이핑하는 레이크를 마련한 회전레이크부로 이루어지는 협잡물을 이송하는 스크린부를 구비하고, 제어장치는, 스크린부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제어부는, 스크린부에서 과부하를 검지했을 때, 스크린부에 있어서 1회전/(회전면에 있어서의 레이크의 매수)의 각도 이상, 역전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스크린과 회전레이크부를 구비하는 스크린부에 있어서의 과부하상태를 검출하고, 회전레이크부의 역전운전을 소정의 각도만큼 행함으로써, 스크린부의 과부하의 요인이 되는 협잡물을 제거하여, 스크린장치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시킨 상태에서 처리를 행하는 제어에 관한 기술을, 다양한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기존에 설치된 스크린장착 파쇄기의 스크린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스크린장착 파쇄기 전체를 갱신하지 않고, 간소한 장착작업에 의하여, 스크린장치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시킨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스크린장치 및 스크린장착 파쇄기로 갱신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은, 수로 내의 협잡물을 파쇄하는 파쇄기로 협잡물을 이송하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으로서, 파쇄기용 스크린장치는, 협잡물을 이송하는 스크린부와, 스크린부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스크린부는, 협잡물을 포착하는 스크린과, 스크린으로 포착된 협잡물을 스크레이핑하는 레이크를 마련한 회전레이크부로 이루어지며, 스크린부에서 과부하를 검지했을 때, 스크린부에 있어서 1회전/(회전면에 있어서의 레이크의 매수)의 각도 이상, 역전운전을 행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에 의하면, 스크린과 회전레이크부를 구비하는 스크린부에 있어서의 과부하상태를 검출하고, 회전레이크부의 역전운전을 소정의 각도만큼 행함으로써, 스크린부의 과부하의 요인이 되는 협잡물을 제거하여, 스크린장치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시킨 상태에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처리수 중의 슬러지 등의 협잡물을 파쇄하는 파쇄기에 대하여 협잡물을 이송하는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스크린장치 상의 협잡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고, 스크린장치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를 구비하는 스크린장착 파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제어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양태의 다른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제어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에 있어서의 스크린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의 실시양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의 설명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관한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제어에 관한 설명으로 대신하는 것으로 한다.
다만, 실시양태에 기재하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관한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양태에 기재하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관한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를 이용한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는, 파쇄기와 함께 수로에 설치되고, 수로를 흐르는 피처리수 중의 협잡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면, 수로로서는 하수처리장 등의 침사지(沈砂池) 등이며, 협잡물로서는 하수 등의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실시양태에 기재하는 수로의 구조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관한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를 구비하는 스크린장착 파쇄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양태〕
(스크린장착 파쇄기)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를 구비하는 스크린장착 파쇄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양태의 스크린장착 파쇄기(100)는, 수로(R)를 흐르는 피처리수에 포함되는 협잡물(G)을 파쇄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양태의 스크린장착 파쇄기(100)는, 수로(R)를 흐르는 피처리수에 포함되는 협잡물(G)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1)와, 파쇄기(1)에 협잡물(G)을 이송하는 스크린장치(2A)를 구비하고 있다. 파쇄기(1)는 스크린장치(2A)의 일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파쇄기(1) 및 스크린장치(2A)는, 수로(R)를 횡단하도록 서로 근접 설치되어 있다.
파쇄기(1)는, 수로(R) 내를 흐르는 피처리수 중의 협잡물(G)을 파쇄하기 위한 것이다. 또, 파쇄기(1)는, 스크린장치(2A)로부터 협잡물(G)이 공급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장치(2A)와 수로(R)의 측벽(R2)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양태의 파쇄기(1)로서는, 어떠한 파쇄기여도 되고, 수직형 2축파쇄기, 수평형 파쇄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양태의 파쇄기(1)로서는, 수직형 파쇄기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양태에서 예시한 수직형 파쇄기는, 스크린장치(2A)의 높이방향으로 균등하게 파쇄기(1)를 설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파쇄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前面)(도시 상측)에 피처리수를 도입하는 도입구(11)가 형성되고, 후면에 피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또, 파쇄기(1)는, 상하방향(지면(紙面) 수직방향)으로 뻗는 축둘레로, 2개의 회전파쇄날(13a, 13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날끼리가 서로 맞물리도록 수로(R) 내의 폭방향으로 병설(竝設)되어 있다. 또, 파쇄기(1)는, 그 상부에 회전파쇄날(13a, 13b)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다(도시생략). 다만, 본 실시양태의 구동부로서는, 세로형 전동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파쇄기(1)는, 구동부(세로형 전동기)가 구동됨으로써, 회전파쇄날(13a, 13b)이 협잡물(G)이 말려 들어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입구(11)로부터 피처리수를 도입하여 피처리수 중의 협잡물(G) 및 스크린장치(2A)로부터 이송되는 협잡물(G)을, 회전파쇄날(13a, 13b)의 사이에 끼워 넣어 파쇄하여, 배출구(12)로부터 하류 측으로 방출한다. 다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의 파쇄기(1)에 있어서는, 구동부가 소정의 출력으로 구동하고, 회전파쇄날(13a)이 우회전으로 회전하며, 회전파쇄날(13b)이 좌회전으로 회전함으로써, 협잡물(G)을 파쇄하는 것이다.
스크린장치(2A)는, 파쇄기(1)로 협잡물(G)을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스크린장치(2A)는, 파쇄기(1)의 상류 측에 마련되며, 피처리수 중의 협잡물(G)을 포착하여, 파쇄기(1)로 협잡물(G)을 스크레이핑한다. 이로써, 협잡물(G)을 확실하게 파쇄기(1)로 공급할 수 있어, 스크린장착 파쇄기(100)의 파쇄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 스크린장치(2A)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크린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다만, 일점쇄선의 화살표는, 제어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양태의 스크린장치(2A)는, 협잡물(G)을 이송하는 스크린부(3)와, 스크린부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4)를 구비한다. 또, 스크린부(3)는, 협잡물(G)을 포착하는 스크린(5)과, 스크린(5)에 포착된 협잡물(G)을 파쇄기(1)로 스크레이핑하기 위한 회전레이크부(6)를 구비하고 있다.
스크린(5)은, 대략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스크린부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각 스크린부재는 이간하여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5)의 상류로부터 흘러오는 피처리수는, 스크린부재의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고, 이 스크린부재의 사이의 간극보다 큰 협잡물(G)은, 스크린(5)의 상류 측에 포착된다. 다만, 스크린(5)을 구성하는 부재는 어떠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복수의 슬릿이 대략 수평으로 형성된 판부재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스크린(5)은, 타측방(파쇄기(1)와 반대측)의 단(端)이 수로(R)의 측벽(R1)에 고정되고, 일측방(파쇄기(1) 측)은, 수로(R)의 대략 중앙까지 연장설치되며, 수로(R)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만곡한 원호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스크린(5)의 일측방은, 파쇄기(1)의 수로 중앙 측의 케이싱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다만, 스크린(5)의 형상은, 협잡물(G)의 포착 및 이송 효율의 관점에서 원호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수로(R)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하류 측을 향하여 꺾은선으로 형성된 호상(弧狀)부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스크린(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방(파쇄기(1) 측)에 있어서 원호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원호부는, 상기 파쇄기(1)의 상류영역까지 연장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스크린(5)에 포착된 협잡물(G)을, 파쇄기(1)의 날이 맞물리는 위치까지 적절히 유도할 수 있다.
회전레이크부(6)는, 회전축(63)과, 회전축(63)에 고정된 복수의 레이크(61)와, 회전축(63)을 회전구동하는 구동부(64)로 구성되어 있다. 레이크(61)는, 적층된 스크린부재의 간극을 통과 가능한 두께를 갖는 평판이고, 회전레이크부(6)에는, 스크린(5)에 형성된 간극과 동일한 수의 레이크(61)가 높이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또, 구동부(64)에 의하여 파쇄기(1) 측으로 협잡물(G)을 이송하는 방향으로 레이크(61)가 회전하는 것을, 회전레이크부(6)의 정전운전이라고 부르며, 특히 레이크(61)의 회전속도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을 때를 통상운전이라고 부른다.
회전레이크부(6)의 레이크(61)는, 협잡물(G)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한 것이다. 레이크(61)의 재질로서는, 고무, 판스프링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경질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협잡물(G)로서 목재 등의 딱딱한 것이 끼인 경우에, 레이크(61)가 탄성변형하기 때문에, 레이크(61)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레이크(61)의 형상은, 협잡물(G)을 스크레이핑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레이크(61)의 선단부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전운전 시의 레이크(61)의 회전방향에 대한 표측의 단부의 반경방향의 길이가, 반대측의 이측의 단부의 반경방향보다 길게 된 경사면(62)을 갖는 것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로써, 협잡물(G)이 레이크의 선단부에서 뭉쳐지는 일이 없어,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회전레이크부(6)의 회전축(63)은, 복수의 레이크(61)가 고정되어 있고, 스크린(5)의 원호부의 중심과 편심하여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64)에 의하여 회전축(63)을 회전구동하고, 회전축(63)을 중심으로 레이크(61)가 주회(周回)하면, 스크린부재의 사이로부터 레이크(61)가 돌출한다. 그리고, 스크린(5)의 외주면으로부터 레이크(61)가 돌출하는 동안에, 스크린(5)에 포착된 협잡물(G)이 스크레이핑되어, 파쇄기(1)로 유입한다.
회전축(63)에 대한 레이크(61)의 고정위치는, 스크린(5)에 형성된 간극과 동일한 수의 레이크(61)가 높이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회전축(63)에 대하여 모든 레이크(61)가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로써, 회전레이크부(6)의 설계,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 회전축(63)에 대하여 레이크(61)의 각도를 어긋나게 하여 고정하여, 방사상이나 나선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로써, 파쇄기(1)로 이송하는 협잡물(G)의 양을 분산시켜, 파쇄기(1) 상에서 대량의 협잡물(G)을 한 번에 처리하는 것을 억제하고, 파쇄기(1)에 있어서의 협잡물(G)의 물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레이크(61)를 레이크군으로 하고, 레이크군마다 각도를 어긋나게 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로써, 협잡물(G)의 스크레이핑 동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회전레이크부(6)의 구동부(64)는, 회전축(63)을 회전구동시키는 것이다. 또, 구동부(64)는, 파쇄기(1) 측으로 협잡물(G)을 이송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전운전에 더하여, 정전운전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역전운전을 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다만, 구동부(64)는, 회전축(63)을 회전구동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파쇄기(1)의 구동부와 마찬가지로, 세로형 전동기를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회전레이크부(6)의 구동부(64)는, 레이크(61)의 선단의 회전속도가, 파쇄기(1)의 회전파쇄날(13a, 13b)의 외주의 회전속도보다 느려지도록 구동시킨다. 예를 들면, 레이크(61)의 선단의 회전속도가, 파쇄기(1)의 회전파쇄날(13a, 13b)의 외주의 회전속도의 70%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레이크(61)에 의하여 스크레이핑된 협잡물(G)이, 파쇄기(1)로 인입되기 쉬워져, 보다 더 효율적이고 또한 확실하게 협잡물(G)을 파쇄기(1)로 이송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회전레이크부(6)는, 스크린(5)에 포착된 협잡물(G)을 파쇄기(1)로 스크레이핑할 수 있으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되고, 스크린(5)의 형상에 맞추어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실시양태의 회전레이크부(6)와 같이, 회전축(63)과 레이크(61)로 이루어지는 구성 외에, 후술하는 제3 실시양태의 주회레이크부(8)와 같이, 레이크를 장착한 체인과, 체인을 주회하기 위한 복수의 스프로킷을 구비한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제1 실시양태의 회전레이크부(6)와 같이, 회전축(63)과, 회전축(63)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장착한 레이크(61)에 의하여 구성한 회전레이크부(6)는, 체인과 스프로킷과 같이 맞물리는 구조가 없고, 간소한 구조물이기 때문에, 회전레이크부(6)에 협잡물이 뭉쳐지는 등의 트러블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레이크부(6)를 구동부(64)에 의하여 회전운전함으로써, 스크린(5)에 포착된 협잡물(G)이 파쇄기(1)로 스크레이핑되고, 협잡물(G)을 파쇄기(1)에 의하여 파쇄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제어부(4)는, 스크린부(3)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 제어부(4)는, 스크린장치(2A) 단체(單體)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며, 파쇄기(1)의 운전제어와는 독립적으로 행해지는 것이다.
제어부(4)는, 스크린부(3)에 대하여, 배선 등에 의하여 직접 접속되는 것이어도 되고, 무선 등의 통신기술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양태의 제어부(4)는, 스크린부(3)의 운전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41)와, 스크린부(3)의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스크린부 운전제어부(42)를 구비하고 있다.
판단부(41)는, 스크린부(3)의 운전상태를 판단하는 것이며, 이 판단 결과를 스크린부(3)의 운전을 제어하는 기준으로 한다. 스크린부(3)의 운전상태란, 스크린(5)에 있어서의 협잡물(G)의 퇴적이나 물림에 기인하여, 회전레이크부(6)가 과부하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판단부(41)는 스크린부(3)의 운전상태를 판단하는 수단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크린(5)에 협잡물(G) 등의 이물이 물린 것을 검출하는 수단, 회전레이크부(6)의 구동부(64)의 출력증가를 검출하는 수단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레이크부(6)의 구동부(64)의 전륫값을 검지하는 기구를 마련하고, 전륫값의 변화에 근거하여 스크린부(3)의 운전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전륫값은 단시간(1초 이하)에 검지되기 때문에, 회전레이크부(6)의 과부하상태를 순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판단부(41)는, 스크린장착 파쇄기(100) 또는 스크린부(3)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운전명령을 받아들이는 기능을 구비하며, 외부로부터의 운전명령의 내용에 따라 스크린부(3)의 운전상태에 관한 판단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스크린부 운전제어부(42)는, 스크린부(3)의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것이다. 다만, 스크린부(3)의 운전상태의 제어란, 회전레이크부(6)의 구동·정지, 감속·가속, 회전방향의 제어를 가리키는 것이다. 스크린부(3)의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수단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온 오프의 스위치기구, 인버터 등에 의하여, 회전레이크부(6)의 구동부(64)의 출력을 제어하는 수단을 들 수 있다.
다만, 제어부(4)에 관한 구성은, 본 발명에 관한 제어장치로서 독립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제어장치는, 기존에 설치된 스크린장착 파쇄기에 있어서의 스크린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로써, 스크린장치를 갱신하지 않고, 간소한 장착작업에 의하여, 본 발명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제어)
본 발명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은, 스크린부(3)의 운전상태에 따른 운전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양태로서, 스크린부(3)의 운전상태에 따른 적합한 운전제어에 대하여 예시하여 설명한다. 다만, 각 운전제어에 있어서의 설명 및 플로차트에 대해서는, 실시양태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스크린부(3)의 운전상태에 있어서, 과부하를 검출했을 때의 운전제어에 대하여, 도 2~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스크린장치(2A)의 역전운전 시의 작동에 대한 (A) 역전운전개시 시 및 (B) 역전운전에 의한 협잡물의 제거 시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도 2 및 도 3은, 회전레이크부(6)에 있어서의 레이크(61)의 배치가 다른 것이다.
또, 도 4는, 본 운전제어의 플로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스크린장치(2A)의 운전을 개시하고, 통상운전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제어부(4)의 판단부(41)에 의하여, 회전레이크부(6)에 있어서의 구동부(64)의 출력이 통상운전으로서 설정한 설정값을 초과하여, 과부하상태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4)의 스크린부 운전제어부(42)에 의하여, 회전레이크부(6)의 레이크(61)의 회전방향을 역전시킨 역전운전을 행한다. 또, 이때, 파쇄기(1)의 운전은 계속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과부하상태에 있다고 판단한 시점(T1)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레이크부(6)의 역전운전을 행하고,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레이크(61)를 좌회전으로 회전시킨다. 다만,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시점(T1)에 있어서의 레이크(61)의 위치를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때, 과부하의 요인이 되는 협잡물(G)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레이크(61)가 정전운전 시와 반대방향으로부터 협잡물(G)에 접촉하도록, 회전레이크부(6)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2에는, 회전레이크부(6)에 있어서, 회전축(63)에 대하여 레이크(61a~61d)를, 스크린(5)의 간극마다 각각 90도씩 각도를 어긋나게 하여 고정한 것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잡물(G)에 의하여 레이크(61a)에 부하가 걸리고, 판단부(41)에 의하여 과부하상태가 검출되었을 때, 이 시점(T1)을 기준으로 하여 역전운전을 개시한다. 또,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크(61a)를 1회전(360도) 이상 회전시킴으로써, 협잡물(G)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3에는, 회전레이크부(6)에 있어서, 회전축(63)에 대하여 레이크(61a와 61c)가 동일 평면상에 180도 각도를 어긋나게 하여 고정되어 있고, 레이크(61b와 61d)가, 동일 평면상에 180도 각도를 어긋나게 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레이크(61a, 61c)와 레이크(61b, 61d)는 각각 90도씩 각도를 어긋나게 하여 고정한 것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잡물(G)에 의하여 레이크(61a)에 부하가 걸리고, 판단부(41)에 의하여 과부하상태가 검출되었을 때, 이 시점(T1)을 기준으로 하여 역전운전을 개시한다. 또,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크(61a)를 반회전(180도) 이상 회전시킴으로써, 동일 평면상에 있는 레이크(61c)에 의하여 협잡물(G)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레이크부(6)의 회전면(A)에 있어서의 레이크(61)의 매수, 즉 스크린(5)에 형성되어 있는 1개의 간극을 통과하는 레이크(61)의 매수가 1매인 경우, 레이크(61)를 1회전(360도) 이상 회전시킴으로써, 협잡물(G)을 제거할 수 있다. 또, 회전레이크부(6)의 회전면에 있어서의 레이크(61)의 매수, 즉 스크린(5)에 형성되어 있는 1개의 간극을 통과하는 레이크(61)의 매수가 2매인 경우, 레이크(61)를 반회전(180도) 이상 회전시킴으로써, 협잡물(G)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레이크부(6)의 역전운전은, 1회전/(회전면에 있어서의 레이크의 매수)의 각도 이상 행함으로써, 과부하의 요인인 협잡물(G)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회전레이크부(6)의 역전운전은 적어도 1회전/(회전면에 있어서의 레이크의 매수)의 각도 이상 행하는 것이면 되고,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회전레이크부(6)의 구조가, 각 회전면에 있어서 장착되어 있는 레이크(61)의 매수가 다른 것이었던 경우에 대해서는, 협잡물(G)을 확실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회전면에 있어서의 레이크(61) 매수의 최솟값을 이용하여 역전운전의 각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판단부(41)에 있어서, 스크린(5)에 퇴적한 협잡물(G)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과부하의 요인이 된 협잡물(G)의 위치의 회전면에 있어서의 레이크(61) 매수를 이용하여 역전운전의 각도를 산출해도 된다. 이로써, 필요최소한의 역전운전에 의하여, 스크린부(3)의 과부하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부(3)의 역전운전으로서, 회전레이크부(6)의 역전운전을 행하고, 소정 각도 이상의 역전운전이 완료한 후는 정전운전으로 되돌려, 정전운전을 소정 시간 실행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재차 판단부(41)에 의하여 스크린부(3)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고, 스크린부(3)의 과부하상태가 해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스크린부 운전제어부(42)에 의하여 스크린부(3)의 정전운전을 계속한다. 한편, 판단부(41)에 의하여 스크린부(3)의 과부하상태가 해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스크린부 운전제어부(42)에 의하여 재차 스크린부(3)의 역전운전을 실행한다. 이 조작을 반복한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단부(41)에 의하여 과부하상태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 판단부(41)에 마련한 카운터를 기동한다. 또, 과부하상태에 있다고 판단된 횟수가 소정 횟수(n회(n은 임의의 수)) 이상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n회 이내인 경우는, 스크린장치(2A)의 통상운전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n회 이상인 경우, 역전운전에 의한 과부하상태의 해소는 곤란하다고 판단하고, 스크린부(3)의 운전을 정지한다. 이로써, 과부하의 검지횟수가 소정 횟수 이내에 있어서는 스크린부(3)의 과부하상태의 해소와 파쇄처리의 계속을 도모하면서, 스크린장착 파쇄기(100)의 운전을 곧바로 정지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과부하의 검지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한 경우는, 스크린장치(2)의 보호의 관점에서 스크린부의 운전을 정지하는 것으로 한다. 다만, 스크린부(3)의 운전 정지 후, 다른 수단에 의하여 스크린부(3)의 과부하상태의 해소를 시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판단부(41)에 의하여 과부하상태에 있다고 판단된 횟수가 1회째인 경우에, 타이머를 기동하는 것으로 하고, 리셋 시간이 경과하지 않는 동안에, 재차 과부하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있어서도 스크린부(3)의 운전을 정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로써, 스크린장치(2)의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적절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다만, 리셋 시간이 경과한 경우는, 카운터 및 타이머를 리셋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스크린부(3)의 운전상태가 과부하상태가 된 경우에, 스크린부(3)의 회전레이크부(6)의 역전운전을, 1회전/(회전면에 있어서의 레이크의 매수)의 각도 이상 행함으로써, 과부하의 요인인 협잡물(G)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일정시간 경과 후, 스크린부(3)의 운전상태를 판단하고, 스크린부(3)의 과부하상태가 해소된 경우에는, 스크린부(3)의 운전을 통상운전으로 되돌려 파쇄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한편, 스크린부(3)의 과부하상태가 해소되지 않는 경우에는, 재차 역전운전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소정 횟수 이상의 과부하상태를 검지했을 때에는, 스크린부(3)의 운전을 정지함으로써 적절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스크린장치(2A)를 독립적으로 운전제어함으로써, 파쇄기(1)의 운전은 계속된 상태로 할 수 있어, 스크린장착 파쇄기(100)로서의 처리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협잡물(G)의 파쇄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운전제어는, 제어프로그램으로서 제어부(4)에 의하여 모두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이어도 되고, 작업원의 수동조작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다만, 작업원의 노력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제어프로그램에 의한 자동제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로써, 메인터넌스에 소요되는 횟수 및 시간을 큰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양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제2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2B)는, 제1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2A)의 레이크(61)를, 제1 경사면(66a) 및 제2 경사면(66b)을 구비하는 레이크(65)로 변경하는 것이다. 다만,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2B)의 구성 중, 제1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2A)의 구성과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회전레이크부(6)를 역전운전할 때, 레이크(65)가 스크린(5)의 내부에 수용될 때에, 레이크(65)에 걸려, 협잡물(G)이 스크린부(3)의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크(65)의 형상은, 역전운전 시의 전면(前面)부(정전운전 시의 배면(背面))에, 스크린(5)의 외주면과 예각으로 교차하는 제1 경사면(66a) 및 제2 경사면(66b)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역전운전하는 레이크(65)가 스크린(5)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할 때에는, 경사면(66a, 66b)은 진행방향 후방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가 된다.
레이크(65)가 스크린부(3)의 내부에 수용될 때에, 선단에 있어서 협잡물(G)이 걸리기 쉬워, 스크린부(3)의 내부로 인입하는 작용이 강하다. 따라서, 경사면(66a, 66b)의 경사각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편으로 협잡물(G)을 뭉쳐치게 하는 작용도 작아진다. 그래서, 레이크(65)의 선단에 형성된 제1 경사면(66a)의 경사각은 작게 하고, 제1 경사면(66a)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2 경사면(66b)의 경사각은 제1 경사면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 경사면(66a)에서는, 협잡물(G)의 걸림을 억제하고, 제2 경사면(66b)에서는, 협잡물(G)을 뭉쳐치게 하는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2B)의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경사면(66a, 66b)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크(65)는, 스크린부(3)의 외주면에 대한 경사각이 다른 제1 경사면(66a)과 제2 경사면(66b)을 갖고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스크린부(3)의 외주면이 만곡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크린부(3)의 외주면과 경사면이 이루는 각(경사각)은, 스크린부(3)의 접선(T)과 경사면이 이루는 각을 말한다.
제1 경사면(66a)의 경사각(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60°가 바람직하고, 3~50°가 특히 바람직하다. 1° 미만인 경우에는, 제1 경사면(66a)과 제2 경사면(66b)이 이루는 각(γ)이 작아지기 때문에, 제1 경사면(66a)과 제2 경사면(66b)과의 각에 있어서 협잡물(G)이 걸리기 쉬워지고,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사각이 커지기 때문에, 레이크(65)의 선단에 있어서 협잡물(G)이 걸리기 쉽다.
제2 경사면(66b)의 경사각(β)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89°가 바람직하고, 30~70°가 특히 바람직하다. 20° 미만인 경우에는, 협잡물(G)을 뭉쳐치게 하는 작용이 작아, 협잡물(G)을 제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89°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협잡물(G)을 스크린부(2)의 내부로 인입하는 작용이 높아져, 협잡물(G)이 스크린부(3)의 내부에 유입될 우려가 있다.
또, 제1 경사면(66a)과 제2 경사면(66b)이 이루는 각(γ)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95~175°가 바람직하고, 110~165°가 특히 바람직하다. 95° 미만인 경우에는, 제1 경사면(66a)과 제2 경사면(66b)이 이루는 각에 협잡물(G)이 걸리기 쉬워지고, 17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1 경사면(66a)과 제2 경사면(66b)의 각 경사면이 거의 동등한 경사각이 되기 때문에, 제1 경사면(66a)과 제2 경사면(66b)을 마련한 효과가 작아진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회전레이크부(6)의 레이크(65)에는, 3개 이상의 경사면을 마련해도 된다. 협잡물(G)을 뭉쳐치게 하고, 스크린(5)의 상류측으로 이송하는 작용, 스크린부(3)의 내부로의 협잡물(G)의 인입방지작용 등을 감안하면, 다른 경사각을 갖는 2 이상의 경사면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이크(65)의 경사면(66a, 66b)은, 역전운전 시의 레이크(65)의 전면부에 있어서, 스크린부(3)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영역 모두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스크린부(3) 내부로의 협잡물(G)의 인입이 보다 방지된다.
다만, 본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2B)에 있어서는, 제1 실시양태와 동일한 운전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스크린부의 구조나, 스크린장착 파쇄기에 적용했을 때의 설치에 대해서는, 수로 중의 협잡물을 포착 및 이송할 수 있는 구조, 및 배치로 되어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7 및 도 8에, 본 발명에 관한 스크린장착 파쇄기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다.
〔제3 실시양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제3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2C)는, 스크린부(30)로서, 하류 방향으로 경사져 설치된 긴 직선부와 만곡한 원호부를 갖는 스크린(7) 및 레이크(83)가 장착된 체인(82)과, 체인(82)을 구동하기 위한 2개의 스프로킷(81a, 81b) 및 구동부(84)를 갖는 주회레이크부(8)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다만,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2C)의 구성 중, 제1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2A)의 구성과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양태와 같이, 스크린부(30)로서 체인과 복수의 스프로킷을 사용한 주회레이크부(8)를 구비한 스크린장치(2C)를 구비하는 스크린장착 파쇄기(100)는, 수로(R)의 폭의 크기에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폭이 큰 수로(R)에 설치하는 경우에 적합한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이다.
제3 실시양태의 스크린장치(2C)에 관한 운전제어에 대해서는, 제1 실시양태와 동일한 운전제어를 행할 수 있다.
〔제4 실시양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제4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2D)는, 파쇄기(1)와 함께 하나의 케이스(9)의 내부에 설치한 구성이다. 또, 이 케이스(9)에는, 수로(R)에 간이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끼워맞춤기구(91)로서, 오목형상 끼워맞춤편을 구비하고 있다. 다만, 도 8에 있어서는, 제4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스크린부(3)에 관한 구조로서, 제1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스크린장치(2A)와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스크린부(3)에 관한 구조와 동일한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도 8에 나타낸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2D)의 구성 중, 제1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2A)의 구성과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양태와 같이, 끼워맞춤기구(91)를 마련한 케이스(9)에 배치된 스크린장치(2D)는, 오목형상 끼워맞춤편과, 수로(R)의 측벽에 마련된 볼록형상 끼워맞춤편을 끼워맞춤으로써, 간이적으로 스크린장착 파쇄기(100)로서 수로(R)에 설치할 수 있다.
제4 실시양태의 스크린장치(2D)에 관한 운전제어에 대해서는, 제1 실시양태와 동일한 운전제어를 행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실시양태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은, 상술한 실시양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기재한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실시양태에 관한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을 변형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스크린부에 있어서의 피처리수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를 마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수로의 측벽에 경사면을 마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로써, 스크린부에 대하여 피처리수의 흐름을 형성함과 함께, 수로의 측벽측의 바닥에 협잡물이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레이크에 수류안내판을 마련하여,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로써, 회전레이크부로부터 스크린 측을 향하여 수류를 형성할 수 있어, 스크린에 포착된 협잡물이 스크린의 외주연으로부터 박리하기 쉬워진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스크린장치로 포착한 협잡물을 효율적으로 파쇄기로 이송하여, 협잡물의 파쇄처리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본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스크린부를 복수 마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스크린부를 복수 마련하는 경우, 각각의 스크린부는 독립적으로 운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스크린부끼리를 시간차로 운전할 수 있어, 협잡물을 분산시켜 파쇄기로 이송하여, 파쇄기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본 실시양태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제어는, 파쇄기의 운전제어와는 독립적으로 행해지지만, 파쇄기의 운전상태를 기준으로 한 스크린장치의 운전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로써, 파쇄기의 운전상태에 이상이 있었을 때에, 스크린장치의 운전제어를 행하는 것에 의한 대응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은, 수로를 흐르는 피처리수 중의 협잡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수처리장의 침사지에 있어서, 슬러지 등의 협잡물을 포착, 파쇄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는, 기존에 설치된 스크린장착 파쇄기의 스크린장치에 마련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갱신하지 않고, 간소한 장착작업에 의하여 본 발명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00 스크린장착 파쇄기
1 파쇄기
11 도입구
12 배출구
13a, 13b 회전파쇄날
2A, 2B, 2C, 2D 스크린장치
3, 30 스크린부
4 제어부
41 판단부
42 스크린부 운전제어부
5 스크린
6 회전레이크부
61, 61a, 61b, 61c, 61d 레이크
62 경사면
63 회전축
64 구동부
65 레이크
66a 제1 경사면
66b 제2 경사면
7 스크린
8 주회레이크부
81a, 81b 스프로킷
82 체인
83 레이크
84 구동부
9 케이스
91 끼워맞춤기구
G 협잡물
R 수로
R1, R2 측벽

Claims (5)

  1. 수로 내의 협잡물을 파쇄하는 파쇄기로 협잡물을 이송하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로서,
    상기 협잡물을 이송하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협잡물을 포착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으로 포착된 상기 협잡물을 스크레이핑하는 레이크를 마련한 회전레이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부에서 과부하를 검지했을 때, 상기 스크린부에 있어서 1회전/(회전면에 있어서의 레이크의 매수)의 각도 이상, 역전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전운전을 실행한 후는 정전(正轉)운전으로 되돌리고, 정전운전을 사전에 정해진 시간 실행 후에 과부하를 검지한 경우는 재차 역전운전을 행하고, 과부하를 검지하지 않은 경우는 정전운전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과부하의 검지횟수가 사전에 정해진 횟수를 초과했을 때, 상기 스크린부의 운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4. 수로 내의 협잡물을 파쇄하는 파쇄기로 협잡물을 이송하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에 마련되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로서,
    상기 파쇄기용 스크린장치는, 상기 협잡물을 포착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으로 포착된 상기 협잡물을 스크레이핑하는 레이크를 마련한 회전레이크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협잡물을 이송하는 스크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스크린부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부에서 과부하를 검지했을 때, 상기 스크린부에 있어서 1회전/(회전면에 있어서의 레이크의 매수)의 각도 이상, 역전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5. 수로 내의 협잡물을 파쇄하는 파쇄기로 협잡물을 이송하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으로서,
    상기 파쇄기용 스크린장치는, 상기 협잡물을 이송하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협잡물을 포착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으로 포착된 상기 협잡물을 스크레이핑하는 레이크를 마련한 회전레이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린부에서 과부하를 검지했을 때, 상기 스크린부에 있어서 1회전/(회전면에 있어서의 레이크의 매수)의 각도 이상, 역전운전을 행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
KR1020190168901A 2019-01-10 2019-12-17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 KR202000870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02985A JP7433763B2 (ja) 2019-01-10 2019-01-10 破砕機用スクリーン装置、破砕機用スクリーン装置の制御装置及び破砕機用スクリーン装置の運転方法
JPJP-P-2019-002985 2019-0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071A true KR20200087071A (ko) 2020-07-20

Family

ID=7154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901A KR20200087071A (ko) 2019-01-10 2019-12-17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433763B2 (ko)
KR (1) KR20200087071A (ko)
CN (1) CN111420763B (ko)
TW (1) TWI7651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09626B1 (ja) 2023-06-12 2024-01-09 江蘇建築職業技術学院 水資源生態管理グリル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4101A (ja) 1998-05-11 1999-11-26 Sumiju Kankyo Engineering Kk 水中の夾雑物収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43812A (ja) * 1989-03-16 1990-09-27 Komai Tekko Inc 除塵機の運転制御方法
JP2003181317A (ja) * 2001-12-19 2003-07-02 Sumiju Kankyo Engineering Kk 夾雑物処理システム、及び、夾雑物処理装置
JP3911481B2 (ja) * 2003-01-23 2007-05-09 住重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夾雑物処理装置
JP4041026B2 (ja) * 2003-07-16 2008-01-30 新明和工業株式会社 横型バースクリーン装置
JP2007002509A (ja) * 2005-06-23 2007-01-11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除塵機の運転制御装置
JP4850464B2 (ja) * 2005-09-27 2012-01-11 住重環境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夾雑物処理装置
CN202052398U (zh) * 2011-02-25 2011-11-30 浙江渠成环保工程有限公司 转碟式格栅机
CN103541333B (zh) * 2013-11-12 2015-10-28 蒋平锁 矩形断面流道固定平板拦污栅移动清污装置
CN204456002U (zh) * 2014-12-31 2015-07-08 哈尔滨理工大学 回转式自动化格栅清污装置
JP6462516B2 (ja) * 2015-07-22 2019-01-30 住友重機械エンバイロメント株式会社 破砕装置
JP6545070B2 (ja) * 2015-10-13 2019-07-17 住友重機械エンバイロメント株式会社 スクリーン付破砕機
JP6274193B2 (ja) * 2015-12-07 2018-02-07 アクアインテック株式会社 夾雑物除去スクリーン装置の運転方法、およびスクリーンシステム
CN105696536B (zh) * 2016-04-11 2017-07-07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转矩传动保护装置
CN105728137B (zh) * 2016-04-21 2017-12-22 黄河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适于水利水电工程的水下污物切割粉碎机
CN106592741B (zh) * 2016-11-08 2018-09-25 浙江富胜达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旋转过滤网的清除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4101A (ja) 1998-05-11 1999-11-26 Sumiju Kankyo Engineering Kk 水中の夾雑物収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33763B2 (ja) 2024-02-20
JP2020111945A (ja) 2020-07-27
CN111420763B (zh) 2022-02-25
TWI765196B (zh) 2022-05-21
CN111420763A (zh) 2020-07-17
TW202026495A (zh)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240B1 (ko)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
KR101717860B1 (ko) 스크린 부착 파쇄기
KR101925858B1 (ko) 폐수처리장치
KR20200087071A (ko)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제어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
KR20200087072A (ko) 스크린장착 파쇄기, 스크린장착 파쇄기의 제어장치 및 스크린장착 파쇄기의 운전방법
KR20200087073A (ko) 파쇄기용 스크린장치 및 파쇄기용 스크린장치의 운전방법
KR102193706B1 (ko) 폐수처리방법
JP4574604B2 (ja) 剪断式破砕装置
EP3727698B1 (en) Screen diverter and dual comminutor with continual operation
JP2019173556A (ja) スクリーン付破砕機
KR102172445B1 (ko) 폐수처리장치
CN201099626Y (zh) 一种新型除物器的污水处理回转耙齿式格栅机
CN110485522A (zh) 杂物撕碎机
KR100982009B1 (ko) 하수 처리장의 이물질 분쇄장치
JP5543898B2 (ja) 粉砕分別機
KR101011147B1 (ko) 웨지형 농축기
JPH11276125A (ja) 生海苔の異物分離除去装置
KR100667902B1 (ko) 하수 처리용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JP2005238018A (ja) し渣分離装置
JP2006246818A (ja) 海苔混合液の異物分離機における小異物の発生回避装置
KR20110112924A (ko) 간헐작동식 음식물처리용 분쇄장치
JP2004009020A (ja) 固形異物分別装置
KR20060018088A (ko) 음식물쓰레기 파봉장치
JP2000350966A (ja) 混合廃棄物分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