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706B1 - 폐수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폐수처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3706B1 KR102193706B1 KR1020190097031A KR20190097031A KR102193706B1 KR 102193706 B1 KR102193706 B1 KR 102193706B1 KR 1020190097031 A KR1020190097031 A KR 1020190097031A KR 20190097031 A KR20190097031 A KR 20190097031A KR 102193706 B1 KR102193706 B1 KR 1021937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water
- drum screen
- chain
- scum
- filte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하수, 오수, 분뇨, 쓰레기 침출수 등의 각종 폐수 내에서 협잡물, 모래, 토사, 침전물, 부유물 등의 각종 잔존물을 분리 처리하기 위한 폐수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여과 처리를 위한 폐수가 유입되는 드럼스크린; 상기 드럼스크린에서 여과된 잔존물을 탈수시켜 배출하는 스크류프레스; 상기 드럼스크린을 거친 폐수를 여과 처리하는 싸이클론; 상기 싸이클론을 거친 폐수를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기; 상기 드럼스크린, 상기 스크류프레스 및 상기 원심분리기에서 배출된 폐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의 스컴을 제거하는 스컴제거기;를 이용하는 폐수처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수, 오수, 분뇨, 쓰레기 침출수 등의 각종 폐수 내에서 협잡물, 모래, 토사, 침전물, 부유물 등의 각종 잔존물을 분리 처리하기 위한 폐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하수, 오수, 분뇨, 쓰레기 침출수 등의 각종 폐수는 협잡물, 모래, 토사, 침전물, 부유물 등 다량의 잔존물을 함유하고 있어 소정의 여과 및 정화 처리를 거쳐 배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또는 가정용 폐수는 일차적으로 협잡물 등의 잔존물을 여과 처리하고, 잔존물이 여과된 폐수를 다시 소정의 정화 시설을 통해 정화처리한 후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폐수 중의 잔존물을 일차적으로 여과 처리하는 설비를 본 명세서에서는 폐수처리장치로 지칭하기로 한다.
폐수처리장치는 폐수로부터 주로 고형의 잔존물을 여과하는데 주된 목적 및 기능을 가지고 있다. 종래 폐수처리장치는 스크린, 싸이클론, 원심분리기 등을 이용한 방식이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 2 이상의 방식이나 설비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10-0526441호(발명의 명칭: 폐수의 잔존물 분리장치), 등록특허 공보 제10-1496402호(발명의 명칭: 고농축 폐기액의 처리가 가능한 협잡물 처리기) 등은 이와 같이 2 이상의 방식을 혼용한 예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폐수처리장치는 현재까지 다양한 방식이나 구조가 제안되어 왔으나, 처리되는 폐수의 특성이나 종 류, 사용 환경조건 등에 따라 개선의 여지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치의 오작동이나 파손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으며, 여과 처리능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여과 처리를 위한 폐수가 유입되는 드럼스크린(110); 상기 드럼스크린(110)에서 여과된 잔존물을 탈수시켜 배출하는 스크류프레스(120); 상기 드럼스크린(110)을 거친 폐수를 여과 처리하는 싸이클론(130); 상기 싸이클론(130)을 거친 폐수를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기(140); 상기 드럼스크린(110), 상기 스크류프레스(120) 및 상기 원심분리기(140)에서 배출된 폐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50); 및 상기 저장탱크(150)의 스컴을 제거하는 스컴제거장치(도 6)를 포함하되, 상기 드럼스크린(110)은, 상기 드럼스크린(110)의 하측에 좌우로 이격되어 상기 드럼스크린(110)의 외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1, 2롤러(111, 112)에 의해 전후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롤러(111)는, 상기 드럼스크린(110)의 전후로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롤러(111)는 제1모터(114)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구동축(113)에 체결되어, 상기 드럼스크린(110) 외면에서 접촉 구름 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롤러(112)는, 상기 제1롤러(111)에 대응되도록 상기 드럼스크린(110)의 전후로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2롤러(112)는 제2모터(116)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구동축(115)에 체결되어, 상기 드럼스크린(110) 외면에서 접촉 구름 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드럼스크린(110)은, 전방에 배치된 상기 제1, 2롤러(111, 112)에 대응되도록, 상기 드럼스크린(110)의 전방측 외면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마찰링(117); 및 후방에 배치된 상기 제1, 2롤러(111, 112)에 대응되도록, 상기 드럼스크린(110)의 후방측 외면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마찰링(118);을 포함하고, 상기 싸이클론(130)은, 전후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내부가 분할판(131a)에 의해 전단의 제1공간(S1)과 후단의 제2공간(S2)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공간(S1)의 폐수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31b) 및, 상기 제2공간(S2)으로 폐수가 공급되기 위한 공급구(131c)를 구비하는 외통(131); 및 상기 제2공간(S2)에 배치되어 전후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이 상기 분할판(131a)에 체결되어 상기 제1, 2공간(S1, S2) 사이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되, 전단이 베어링(132a)을 통해 상기 분할판(131a)에 체결되어 전후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돌기(132b)가 형성되어, 상기 제2공간(S2) 내에서 폐수의 흐름에 따라 회전 동작되는 내통(132);을 포함하고, 상기 외통(131)은, 후단에 플랜지(133a)를 통해 결합되어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소켓부(133); 상기 스컴제거장치(도6)는, 상기 저장탱크(150)의 수면상에 부유하는 스컴을 걸러주도록 스컴보다 작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걸름판(15)이 구비되고, 제1 전동모터(M1)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및 제2 체인기어(11)(12)와 상기 제1 및 제2 체인기어(11)(12) 사이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체인(13)이 구비되며, 제2 전동모터(M2)에 의해 회전하는 제3 및 제4 체인기어(19)(20), 상기 제3 및 제4 체인기어(19)(20)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체인(18)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체인(18)의 일단에 고정된 제2 와이어(21)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21)의 일단에 끼워진 반원고리(22)가 구비되며, 상기 반원고리(22)의 일단에 고정된 무게추(2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체인(18)의 타단에 고정된 제1 와이어(17)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와이어(17)의 일단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6)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6)은 상기 걸름판(15)의 일 종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름판(15)의 타 종단에는 회동을 위한 회동브라켓(14)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와이어(17)가 당겨질 때 마다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회동브라켓(14)은 상기 제1 체인(13)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체인(13)이 움직일 때 마다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폐수처리방법이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상기 스컴제거장치의 상기 걸름판(15)이 세로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걸름판(15)이 고정브라켓(16)에 의해 고정된 상기 제1 체인(13)이 구동됨에 따라서 하강하여 상기 걸름판(15)이 상기 저장탱크(150)의 물속으로 들어가는 입수과정 S11; 상기 스컴제거장치의 상기 제2 체인(18)이 구동됨에 따라서 상기 제1 와이어(17)의 당김이 풀어짐에 따라서 상기 걸름판(15)이 상기 저장탱크(150)의 물속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수평상태로 되는 수평과정 S12; 상기 스컴제거장치의 상기 제1 체인(13)이 구동됨에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150)의 수면(W) 위로 상승하여 상기 걸름판(15)이 상기 스컴을 걸러주는 걸름과정 S13; 상기 스컴제거장치의 상기 제2 체인(18)이 구동됨에 따라서 상기 제1 와이어(17)가 당겨짐에 따라서 상기 걸름판(15)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걸름판(15) 위에 걸러진 스컴이 배출되는 배출과정 S14를 포함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탱크(150)의 수면상에 부유하는 스컴을 상기 새로운 스컴제거장치로 밀어주도록 스크류회전기(SC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회전기(SC1)는 적어도 4개의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4개의 날개 각각은 적어도 90도 각도 차이가 나도록 구비하며; 상기 날개는 적어도 2개의 각도로 구부러진 것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걸름판(15)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90도 이하의 각도로 중간 지점에서 상기 걸름판(15) 방향으로 접혀진 우측날개(15a)와 좌측날개(15b)가 구비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폐수처리방법은 드럼스크린, 스크류프레스, 싸이클론, 원심분리기, 스컴제거기 및 저장탱크를 구비하고, 각종 폐수로부터 함유된 잔존물을 여과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폐수처리방법은 드럼스크린의 구동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종래 대비 오작동이나 이물질 끼임 등에 의한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폐수처리방법은 원심분리기 전방에 싸이클론을 구비하여 잔존물의 여과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면서도, 싸이클론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여과 성능 및 유지 보수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폐수처리장치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럼스크린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드럼스크린의 지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싸이클론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의 걸름판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폐수처리장치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럼스크린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드럼스크린의 지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싸이클론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의 걸름판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는 스컴제거기에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로 나뉘어져 있고, 본 발명은 공지의 스컴제거기가 아닌 새로운 스컴제거기를 이용하는 경우의 폐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제 1 실시예부터 살펴보도록 한다.
1)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는 공지의 스컴제거기(160)를 이용하는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폐수처리장치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100)는 전체적으로, 폐수로부터 잔존물을 여과하는 드럼스크린(110), 드럼스크린(110)에서 여과된 잔존물을 탈수시켜 배출하는 스크류프레스(120), 드럼스크린(110)에서 여과된 폐수로부터 잔존물을 다시 여과하는 싸이클론(130), 싸이클론(130)을 거친 폐수를 원심 분리하여 여과 처리하는 원심분리기(140), 드럼스크린(110) 등으로부터 배출된 폐수가 일시적 저장되는 저장탱크(150), 저장탱크(150)의 폐수로부터 부유물 등의 잔존물을 여과하는 스컴제거기(160)로 구성될 수 있다.
전체적인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피처리수인 폐수는 드럼스크린(110)으로 유입되어 드럼스크린(110) 내에서 협잡물과 폐수(탈리액)로 일차 여과될 수 있다. 일차 여과된 폐수는 저장탱크(150)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드럼스크린(110)에서 걸러진 협잡물은 스크류프레스(120)로 이송되어 탈수 과정을 거친 후 배출될 수 있다. 저장탱크(150)로 제공된 폐수는 싸이클론(130) 및 원심분리기(140)를 거치며 다시 여과 처리될 수 있으며, 여과된 폐수는 저장탱크(150)에 저장되었다가 스컴제거기(160)를 거쳐 최종적으로 외부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폐수처리장치(100)의 각 기술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폐수처리장치(100)는 드럼스크린(110)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스크린(110)은 플랫(flat)한 형태의 와이어를 원통형으로 감아 돌려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형성하되, 와이어 간에 소정의 간격(gap)을 형성하여, 간격을 통해 잔존물이 여과 처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드럼스크린(110) 자체의 여과 구조는 종래 공지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드럼스크린(110)에서 여과 처리되는 잔존물 크기는 와이어 간격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드럼스크린(110)은 폐수 중의 협잡물 등 대체로 크기가 큰 잔존물을 일차적으로 여과 처리할 수 있도록 와이어 간격이 설정될 수 있다.
드럼스크린(110)에서 잔존물이 여과 처리된 폐수는 드럼스크린(110) 하부의 저장탱크(150)로 이동될 수 있다.
드럼스크린(110)은 전후 방향을 축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드럼스크린(110)이 소정 속도로 회전됨에 따라 유입된 폐수는 드럼스크린(110)의 전면적을 통해 여과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드럼스크린(110)는 이와 같은 회전 구동을 위한 구조에 있어서 종래와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럼스크린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드럼스크린의 지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드럼스크린(110)은 좌우로 이격된 제1, 2롤러(111, 1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2롤러(111, 112)는 드럼스크린(110) 하측에 좌우로 이격되어 드럼스크린(110) 외면을 접촉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2롤러(111, 112)는 각각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롤러(111)는 드럼스크린(110)의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제1롤러(111)가 드럼스크린(110) 전단 및 후단에 이격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복수의 제2롤러(112) 또한 드럼스크린(110)의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롤러(111)와 대응되도록 2개의 제2롤러(112)가 예시되고 있다.
제1, 2롤러(111, 112)는 각각 모터(114, 116)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후로 이격된 2개의 제1롤러(111)는 각각 제1구동축(113)에 체결되어 제1구동축(113)과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제1구동축(113)은 드럼스크린(110) 전단에 배치된 제1모터(114)에 연결되어 제1모터(114)에 의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제2롤러(112) 또한 이와 유사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2구동축(115)에 제2롤러(112)가 장착되고, 제2모터(116)에 의해 제2구동축(115)이 회전 구동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드럼스크린(110)의 외면에는 제1, 2롤러(111, 112)에 대응되는 마찰링(117, 118)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2롤러(111, 112)가 각각 전후로 2개씩 배치되고 있는바, 이에 대응되도록 마찰링(117, 118)도 전방의 제1마찰링(117)과 후방의 제2마찰링(11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마찰링(117)은 드럼스크린(110)의 외면을 원주 방향으로 감싸는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2롤러(111, 112)와 소정의 마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고무 등의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다만, 제1마찰링(117)과 제1, 2롤러(111, 112)는 드럼스크린(110)의 하중에 의해 소정의 가압력으로 마찰 접촉되면 무방하며, 기어 구조 등의 기계적 결합 구조는 요구되지 않는다. 이는 경우에 따라 제1마찰링(117)과 제1, 2롤러(111, 112) 간의 슬립을 허용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2 마찰링(118) 또한 상기의 제1마찰링(117)과 유사하게 드럼스크린(110)의 외면을 감싸는 띠 형태로 형성되어, 후
단의 제1, 2롤러(111, 112)와 마찰 접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2롤러(111, 112)는 제1, 2모터(114, 116)에 의해 제1, 2구동축(113, 115)이 회전 구동되고, 그에 따라 제1, 2롤러(111, 112)가 회전됨으로써 드럼스크린(110)을 전후 방향을 축으로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드럼스크린(110)의 회전 동작 자체는 종래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드럼스크린(110)의 외면에 마찰 접촉되는 제1, 2롤러(111, 112)에 의해 드럼스크린(110)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이물질 끼임 등에 따른 제1, 2모터(114, 116)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 일반적인 경우, 드럼스크린(110)은 회전축에 체인 등의 동력전달수단을 설치하고, 모터를 통해 직접 체인 등을 구동시킴으로써, 회전되는 구조로 이뤄져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방식은 폐수 중의 각종 잔존물 등이 체인 등에 끼어 잦은 오작동을 발생시켜 왔으며, 특히 체인 등에 잔존물이 끼이는 경우 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빈번하게 모터의 파손이 발생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러한 문제에 착안하여 드럼스크린(110) 외부에 접촉 배치되는 제1, 2롤러(111, 112)에 드럼스크린(110)을 안착 배치시키고, 제1, 2롤러(111, 112)와 드럼스크린(110) 외면 간의 마찰에 기반하여 드럼스크린(110)을 회전시키도록 개선한 것이다. 특히, 이와 같은 방식은 이물질 등의 끼임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제1, 2롤러(111, 112)와 드럼스크린(110) 외면 간에 소정 정도 슬립이 발생되면서, 제1, 2모터(114, 116)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끼임 등에 의한 제1, 2모터(114, 116)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의 폐수처리장치(100)는 드럼스크린(110)의 세척을 위한 세척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170)는 드럼스크린(110)의 외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한 쌍의 외부세척노즐(171)과, 드럼스크린(110) 내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내부세척노즐(17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외부세척노즐(171)은 드럼스크린(110)의 상부측에 좌우로 배치되어 드럼스크린(110) 외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세척노즐(172)은 드럼스크린(110) 내측 상부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외부세척노즐(171)과 내부세척노즐(172)은 소정의 배관라인(173)을 통해 드럼스크린(110)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척부(170)는 드럼스크린(110)의 내외부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와이어 등에 끼인 잔존물을 제거함으로써, 끼임 등에 의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세척부(170)는 드럼스크린(110)의 내측와 외측의 각 개소에서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잔존물의 제거 효과를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폐수처리장치(100)는 스크류프레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프 레스(120)는 드럼스크린(110)으로부터 여과된 잔존물을 압착 탈수시켜 외부 배출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드럼스크린(110)에서 여과된 잔존물은 파이프라인(L1)을 통해 스크류프레스(120) 상면의 투입구(121)로 투입될 수 있다. 투입된 잔존물은 스크류프레스(120) 내에서 압착되면서 함유된 물(폐수)이 제거되고, 탈수된 잔존물이 스크류프레스(120) 일측의 배출구(122)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압착 과정에서 발생된 폐수는 다시 스크류프레스(120) 하부의 저장탱크(150)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크류프레스(120) 자체의 내부구성은 종래 공지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폐수처리장치(100)는 저장탱크(150)의 폐수로부터 잔존물을 다시 여과 처리하는 싸이클론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싸이클론(130)은 스크류프레스(120)와 스컴제거기(160) 사이에서 저장탱크(150)에 저장된 폐수를 펌프(P1) 및 파이프라인(L2)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싸이클론(130)은 제공된 폐수 중에서 잔존물을 분리하고, 나머지 폐수를 후술할 원심분리기(140)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싸이클론(130)에서 분리 또는 여과 처리되는 잔존물은 전술한 드럼스크린(110) 대비 비교적 크기가 작은 모래, 토사, 침전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싸이클론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싸이클론(130)은 폐수가 수평 방향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수평형 싸이클론(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싸이클론(130)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는 외통(131)과, 외통(131)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통(132)을 구비할 수 있다.
외통(131)은 전단 및 후단이 폐쇄되어 있으며, 내부 일측의 분할판(131a)을 기준으로 전방측의 제1공간(S1)과 후방측의 제2공간(S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외통(131)은 제1공간(S1)에 연결되는 배출구(131b)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배출구(131b)로는 싸이클론(130) 내에서 여과 처리된 폐수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외통(131)은 제2공간(S2)에 연결되는 공급구(131c)를 구비할 수 있으며, 공급구(131c)로는 여과 처리를 위한 폐수가 싸이클론(130) 내로 유입되게 된다. 즉, 공급구(131c)를 통해 폐수가 싸이클론(130) 내부의 제2공간(S2)으로 유입되고, 싸이클론(130) 내부에서 여과 처리된 후, 제1공간(S1)의 배출구(131b)로 배출되는 것이다. 공급구(131c) 및 배출구(131b)는 외통(131)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통(132)은 외통(13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명확하게는 외통(131) 내부의 제2공간(S2)에 배치될 수 있다. 내통(132)은 전후단이 개구된 원통형 또는 파이프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2공간(S2) 내에서 전후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내통(132)의 일단(전단)은 분할판(131a)에 체결되어 외통(131) 내부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내통(132)은 길이 방향(전후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132a)을 통해 구획판(131a)에 장 착 지지될 수 있다. 즉, 내통(132)은 전후 방향을 축으로 외통(13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통(132)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으로 돌기(132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은 폐수의 흐름이 내통(132)을 회전시키도록 하여 싸이클론(130) 내에서의 선회류 조성을 보다 촉진 시킬 수 있다. 즉, 공급구(131c)를 통해 유입된 제2공간(S2)으로 유입된 폐수가 내통(132) 외면의 나선형 돌기(132b)와 간섭되며 내통(132)을 전후 방향을 축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내통(132)의 회전이 제2공간(S2) 내에서의 선회류를 보다 강화 및 촉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대비 싸이클론(130) 내에서의 여과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외통(131)은 후단 일부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외통(131)은 후단에 분리 가능한 구조의 소켓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소켓부(133)는 후단이 폐쇄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통(131)의 후단에 플랜지(133a)를 통해 볼팅 결합되어 외통(131)과 함께 제2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소켓부(133)가 체결되는 플랜지(133a)의 전후 위치는 전후로 연장된 내통(132)의 후단보다 소정 정도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소켓부(133)의 일측 측면에는 배출구(13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소켓부(133)에는 외통(131) 내부에서 선회류에 의해 분리된 잔존물이 적층되어 포집될 수 있다. 또 한, 소켓부(133)에 포집된 잔존물은 배출구(133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소켓부(133)는 외통(13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여 내부에 잔여하는 잔존물이 보다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즉, 소정 기간 사용되거나 폐수의 유통에 문제가 발생된 경우, 소켓부(133)를 외통(131)으로부터 분리하고, 그 내부에 적층 및 고착된 잔존물을 세척하는 것이다. 부연하면, 종래 일반적인 경우, 외통(131)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몸체로 구성된 바, 내부에 고착된 잔존물의 제거가 매우 어려웠으며, 고착된 잔존물로 인해 폐수의 유통에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소켓부(133)를 분리 가능한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한편, 소켓부(133) 내부에는 구획판(133c)이 배치될 수 있다. 구획판(133c)은 소켓부(133)에 포집된 잔존물이 다시 전방을 향해 유동되는 것을 소정 정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구획판(133c)은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을 가지고, 외통(131) 또는 소켓부(133)의 횡단면보다 소정 정도 작은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획판(133c)은 소켓부(133) 후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133d)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구획 판(133c)은 중심축(133d)을 따라 전후로 소정 정도 위치 조절될 수 있다. 구획판(133c)을 소정 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와셔(133e)가 사용될 수 있다.
구획판(133c)은 소정 반경을 가지고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나사홀(133h)을 통해 중심축(133d)에 체결되는 지지부(133f)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133f)는 구획판(133c)에 작용되는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133f)는 스틸, 경질의 플라스틱 등을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구획판(133c)은 지지부(133f)의 외주에 장착되는 탄성부(133g)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133g)는 중앙의 지지부(133f)에 소정의 결합 구조를 가지고 장착되어 지지부(133f)에 의해 장착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133g)는 폐수의 유동 흐름에 따라 소정 정도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이는 구획판(133c) 후방으로 잔존물 등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잔존물 또는 폐수의 유량이나 압력에 따라 탄성부(133g)가 적절히 휨 변형됨으로써, 처리량이나 작동 상태에 따른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탄성부(133g)에는 복수의 절개홈(133i)이 형성될 수 있다. 절개홈(133i)은 탄성부(133g)의 외주측단부에서 중심측을 향해 대략 'V'자 형태로 절개된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개홈(133i)은 복수개가 탄성부(133g)의 외주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절개홈(133i)은 탄성부(133g)의 휨 변경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소켓부(133)로 잔존물이 보다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싸이클론(130)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하면, 처리대상인 폐수가 공급구(131c)를 통해 외통(131) 내부의 제2공간(S2)으로 유입되며, 제2공간(S2) 내에서 외통(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단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폐수의 흐름은 내통(132) 외주면의 돌기(132b)와 간섭되어 내통(132)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폐수는 보다 강한 선회류를 조성하며 외통(131) 후단으로 유동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폐수가 선회류를 조성하며 유동되는 과정에서 폐수 중에 함유된 잔존물이 폐수(액성분)과 분리된다.
외통(131) 후단으로 유동된 폐수는 구획판(133c)에 부딪혀 내통(132) 후단으로 유입되며, 내통(132)을 따라 제1 공간(S1)으로 유동되어 배출구(131b)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배출되는 폐수는 외통(131) 내에서 선회류에 의해 잔존물이 상당수 제거된 것이다.
한편, 선회류에 의해 분리된 잔존물은 외통(131) 내주면을 따라 후단으로 유동되고, 구획판(133c)과 외통(131) 내주면 사이를 통해 구획판(133c) 후방으로 유동된다. 즉, 잔존물은 구획판(133c)을 지나 소켓부(133)로 유동되어 포집된다. 포집된 잔존물은 배출구(131f)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소켓부(133) 내부에 적층된 잔존물은 소켓부(133)를 분리하여 제거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폐수처리장치(100)는 원심분리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원심분리기(140)는 싸이클론(130)을 거친 폐수 중에서 잔존물을 원심 분리하여 제거(여과)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부 구성은 종래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원심분리기(140)를 거쳐 잔존물이 제거된 폐수는 원심분리기(140) 하부의 저장탱크(150)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폐수처리장치(100)는 저장탱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탱크(150)는 드럼스크린(110), 스크류프레스(120) 및 원심분리기(140)에서 여과 처리되어 배출되는 폐수를 일시적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저장탱크(150)는 제1 내지 3저장탱크(151, 152, 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3저장탱크(151, 152, 153)는 각각 완전하게 구획된 공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저장 공간을 형성하되, 그 위치에 따라 구분한 것임을 알려둔다. 제1저장탱크(151)는 드럼스크린(110)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드럼스크린(110)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수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2저장탱크(152)는 스크류프레스(120)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스크류프레스(120)로부터 배출되는 폐수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3저장탱크(153)는 원심분리기(140)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원심분리기(140)로부터 배출되는 폐수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3저장탱크(151, 153)의 높이(H1)는 제2저장탱크(152)의 높이(H2)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3저장탱크(151, 153) 사이에 배치된 제2저장탱크(152)의 높이(H2)가 제1, 3저장탱크(151, 153)의 높이(H1)보다 소정 정도 작게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각 저장탱크(150) 간이 연결되어 처리 상태에 따른 유동성이 확보되면서도, 제2저장탱크(152)가 제1, 3저장탱크(151, 153)를 소정 정도 구획하여, 저장탱크(150) 내에서 폐수가 각 처리 단계별로 구분 저장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폐수처리장치(100)는 스컴제거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컴제거기(160)는 저장탱크(150) 내에서 여과 처리된 폐수가 배출되는 유출관(154)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스컴제거기(160)는 복수의 슬랫이 체인을 통해 연결 설치되고, 상하단의 구동수단을 통해 슬랫이 소정의 루프를 그리며 구동되어, 폐수 중에 남은 잔존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컴제거기(160)에 의해 제거되는 잔존물은 주로 폐수 중에 부유되는 부유물일 수 있다. 스컴제거기(160)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은 스컴제거기(160) 상단을 통해 배출되어 이송컨베이어(161)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컴제거기(160)는 종래 공지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100)는 드럼스크린(110), 스크류프레스(120), 싸이클론(130), 원심분리기(140), 스컴제거기(160) 및 저장탱크(150)를 구비하고, 각종 폐수로부터 함유된 잔존물을 여과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100)는 드럼스크린(110)의 구동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종래 대비 오작동이나 이물질 끼임 등에 의한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100)는 원심분리기(140) 전방에 싸이클론(130)을 구비하여 잔존물의 여과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면서도, 싸이클론(130)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여과 성능 및 유지 보수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는 새로운 스컴제거기를 이용하는 경우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컴제거장치(160)를 제거하고, 새로운 스컴제거장치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러한 새로운 스컴제거장치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탱크(150)의 수면상에 부유하는 스컴을 걸러주도록 스컴보다 작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걸름판(1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름판(15)의 복수개의 구멍은 사각형상 또는 원형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스컴에 의해서 복수개의 구멍이 막히는 경우가 있으므로 복수개의 구멍 부분만을 복수개의 홀(hole)이 형성된 일회용 비닐로 구성하고, 이 일회용비닐을 걸름판(15)에 볼트와 너트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도록 일회용 비닐과 걸름판(15)에 볼트홀을 형성할 수 있다.(하기 도면 참조)
이때, 걸름판(15)은 중앙에 사각형상의 통공을 구비하고, 이 통공은 일회용비닐보다 작도록 하고, 각 모서리의 볼트홀은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한다.
제1 전동모터(M1)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및 제2 체인기어(11)(12)와 상기 제1 및 제2 체인기어(11)(12) 사이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체인(13)이 구비된다.
제2 전동모터(M2)에 의해 회전하는 제3 및 제4 체인기어(19)(20), 상기 제3 및 제4 체인기어(19)(20)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체인(18)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체인(18)의 일단에 고정된 제2 와이어(21)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21)의 일단에 끼워진 반원고리(22)가 된다.
상기 반원고리(22)의 일단에 고정된 무게추(2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체인(18)의 타단에 고정된 제1 와이어(17)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와이어(17)의 일단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6)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6)은 상기 걸름판(15)의 일 종단에 구비된다.
상기 걸름판(15)의 타 종단에는 회동을 위한 회동브라켓(14)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와이어(17)가 당겨질 때 마다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회동브라켓(14)은 상기 제1 체인(13)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체인(13)이 움직일 때 마다 상하로 이동한다.
그런데, 걸름판(15)이 수면상의 모든 스컴을 걸러주기가 어렵지만, 걸름판(15)이 너무 커지면 수면의 표면장력으로 모터에 무리한 부하가 가해질 수 있어서, 고장의 원인이 되거나 수명이 짧아질 수 있으므로, 걸름판(15)는 너무 크게 설계하지 않고, 수면의 스컴이 이동하도록 밀어주는 스크류회전기(SC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저장탱크(150)의 수면상에 부유하는 스컴을 상기 새로운 스컴제거장치로 밀어주도록 스크류회전기(SC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스크류회전기(SC1)는 전동모터(참조부호 없음)의 회전력으로 구동되는 것이고, 적어도 4개의 날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 더 많은 날개를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4개의 날개 각각은 적어도 90도 각도 차이가 나도록 배열하고, 각 날개는 적어도 2개의 각도로 구부러지고, 상기 새로운 스컴제거장치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한다.
한편, 도 6에는 제1 및 제2 체인기어(11), 체인(13)이 저장탱크(15) 외부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상 도시된 것이고, 실제로는 케이스(참조부호 없음) 내부에 이들 구성이 설치되고, 저장탱크(150) 일측엔 상기 걸름판(15)이 상승 및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세로로 일부가 개방되도록 설계된다(하기 평면도 참조).
여기서, 체인(13)이 저장탱크(15) 외부에 설치할 필요도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저장탱크(150)가 이미 설치되어서 이를 개조하기가 설치공간상 곤란한 경우도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걸름판(15)의 구조를 변형시켜서 적용할 수 있다.
위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름판(15)을 수평으로 제작하지 않고, 두군데에서 구부러지도록 설계하면 수면보다 높은 회동지점에서도 더 아래에 위치한 수면상의 스컴을 바가지로 퍼올리듯이 걸러줄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새로운 스컴제거장치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제1 체인(13)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회동브라켓(14)이 상기 제1 체인(13)의 최상단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제2 체인(18)이 무게추(23)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제2 체인(18)에 고정된 제1 와이어(17)가 당겨진다.
제1 와이어(17)가 당겨짐에 따라서 고정브라켓(16) 및 걸름판(15)이 회동브라켓(14)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하게 된다.
걸름판(15)은 수면(W)상에 부유하는 스컴을 걸르면서 아래로 비스듬한 상태==>> 수평인 상태 ==>> 수직인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수직인 상태 보다 더 회동하면, 저장탱크(150)에 인접한 스컴통(참조부호 없음)으로 스컴들을 쏟아붓게 된다. 이때, 상기 스컴통은 상기 제1 체인(13) 우측에 구비하는 것이 좋다.(하기 도면 참조)
이후에는, 걸름판(15)을 수직인 상태로 전환한 다음, 제1 체인(13)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걸름판(15)을 하강시킨다.
다음으로, 걸름판(15)을 수평인 상태==>>아래로 비스듬한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체인(13)(18)의 연동운동에 의해서 걸름판(15)이 수면상에서 부유하는 스컴을 효율적으로 걸러서 제거해줄 수 있고, 이를 위해서 스컴을 걸름판(15)으로 밀어주는 스크류회전기(SC1)에 의해서 더욱더 빠른 시간내에 스컴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과 같이, 상기 걸름판(15)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90도 이하의 각도로 중간 지점에서 상기 걸름판(15) 방향으로 접혀진 우측날개(15a)와 좌측날개(15b)가 구비되면, 스컴이 좌측면과 우측면으로 새어 나가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구조가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폐수처리방법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컴제거장치의 상기 걸름판(15)이 세로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걸름판(15)이 고정브라켓(16)에 의해 고정된 상기 제1 체인(13)이 구동됨에 따라서 하강하여 상기 걸름판(15)이 상기 저장탱크(150)의 물속으로 들어가는 입수과정 S11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컴제거장치의 상기 제2 체인(18)이 구동됨에 따라서 상기 제1 와이어(17)의 당김이 풀어짐에 따라서 상기 걸름판(15)이 상기 저장탱크(150)의 물속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수평상태로 되는 수평과정 S12가 수행된다.
이어서, 상기 스컴제거장치의 상기 제1 체인(13)이 구동됨에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150)의 수면(W) 위로 상승하여 상기 걸름판(15)이 상기 스컴을 걸러주는 걸름과정 S13이 수행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스컴제거장치의 상기 제2 체인(18)이 구동됨에 따라서 상기 제1 와이어(17)가 당겨짐에 따라서 상기 걸름판(15)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걸름판(15) 위에 걸러진 스컴이 배출되는 배출과정 S14가 수행된다.
여기서, 걸러진 스컴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별도의 스컴통에 담겨서 주기적으로 폐기처리하게 된다.
11; 제1 체인기어 12; 제2 체인기어
13; 제1 체인 14; 회동브라켓
15; 걸름판 16; 고정브라켓
17; 제1 와이어 18; 제2 체인
19; 제3 체인기어 20; 제4 체인기어
21; 제2 와이어 22; 반원고리
23; 무게추 SC1; 스크류회전기
13; 제1 체인 14; 회동브라켓
15; 걸름판 16; 고정브라켓
17; 제1 와이어 18; 제2 체인
19; 제3 체인기어 20; 제4 체인기어
21; 제2 와이어 22; 반원고리
23; 무게추 SC1; 스크류회전기
Claims (3)
- 여과 처리를 위한 폐수가 유입되는 드럼스크린(110); 상기 드럼스크린(110)에서 여과된 잔존물을 탈수시켜 배출하는 스크류프레스(120); 상기 드럼스크린(110)을 거친 폐수를 여과 처리하는 싸이클론(130); 상기 싸이클론(130)을 거친 폐수를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기(140); 상기 드럼스크린(110), 상기 스크류프레스(120) 및 상기 원심분리기(140)에서 배출된 폐수가 저장되는 저장탱크(150); 및 상기 저장탱크(150)의 스컴을 제거하는 스컴제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드럼스크린(110)은, 상기 드럼스크린(110)의 하측에 좌우로 이격되어 상기 드럼스크린(110)의 외면을 접촉 지지하는 제1, 2롤러(111, 112)에 의해 전후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롤러(111)는, 상기 드럼스크린(110)의 전후로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롤러(111)는 제1모터(114)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구동축(113)에 체결되어, 상기 드럼스크린(110) 외면에서 접촉 구름 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롤러(112)는, 상기 제1롤러(111)에 대응되도록 상기 드럼스크린(110)의 전후로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2롤러(112)는 제2모터(116)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구동축(115)에 체결되어, 상기 드럼스크린(110) 외면에서 접촉 구름 운동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드럼스크린(110)은, 전방에 배치된 상기 제1, 2롤러(111, 112)에 대응되도록, 상기 드럼스크린(110)의 전방측 외면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마찰링(117); 및 후방에 배치된 상기 제1, 2롤러(111, 112)에 대응되도록, 상기 드럼스크린(110)의 후방측 외면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마찰링(118);을 포함하고, 상기 싸이클론(130)은, 전후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내부가 분할판(131a)에 의해 전단의 제1공간(S1)과 후단의 제2공간(S2)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1공간(S1)의 폐수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31b) 및, 상기 제2공간(S2)으로 폐수가 공급되기 위한 공급구(131c)를 구비하는 외통(131); 및 상기 제2공간(S2)에 배치되어 전후로 연장 형성되고, 전단이 상기 분할판(131a)에 체결되어 상기 제1, 2공간(S1, S2) 사이의 유동 경로를 제공하되, 전단이 베어링(132a)을 통해 상기 분할판(131a)에 체결되어 전후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돌기(132b)가 형성되어, 상기 제2공간(S2) 내에서 폐수의 흐름에 따라 회전 동작되는 내통(132);을 포함하고, 상기 외통(131)은, 후단에 플랜지(133a)를 통해 결합되어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소켓부(133)를 포함하고; 상기 스컴제거장치는, 상기 저장탱크(150)의 수면상에 부유하는 스컴을 걸러주도록 스컴보다 작은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걸름판(15)이 구비되고, 제1 전동모터(M1)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및 제2 체인기어(11)(12)와 상기 제1 및 제2 체인기어(11)(12) 사이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체인(13)이 구비되며, 제2 전동모터(M2)에 의해 회전하는 제3 및 제4 체인기어(19)(20), 상기 제3 및 제4 체인기어(19)(20)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체인(18)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체인(18)의 일단에 고정된 제2 와이어(21)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21)의 일단에 끼워진 반원고리(22)가 구비되며, 상기 반원고리(22)의 일단에 고정된 무게추(2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체인(18)의 타단에 고정된 제1 와이어(17)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와이어(17)의 일단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6)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6)은 상기 걸름판(15)의 일 종단에 구비되며, 상기 걸름판(15)의 타 종단에는 회동을 위한 회동브라켓(14)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와이어(17)가 당겨질 때 마다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회동브라켓(14)은 상기 제1 체인(13)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체인(13)이 움직일 때 마다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폐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컴제거장치의 상기 걸름판(15)이 세로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걸름판(15)이 고정브라켓(16)에 의해 고정된 상기 제1 체인(13)이 구동됨에 따라서 하강하여 상기 걸름판(15)이 상기 저장탱크(150)의 물속으로 들어가는 입수과정 S11;
상기 스컴제거장치의 상기 제2 체인(18)이 구동됨에 따라서 상기 제1 와이어(17)의 당김이 풀어짐에 따라서 상기 걸름판(15)이 상기 저장탱크(150)의 물속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수평상태로 되는 수평과정 S12;
상기 스컴제거장치의 상기 제1 체인(13)이 구동됨에 따라서 상기 저장탱크(150)의 수면(W) 위로 상승하여 상기 걸름판(15)이 상기 스컴을 걸러주는 걸름과정 S13;
상기 스컴제거장치의 상기 제2 체인(18)이 구동됨에 따라서 상기 제1 와이어(17)가 당겨짐에 따라서 상기 걸름판(15)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걸름판(15) 위에 걸러진 스컴이 배출되는 배출과정 S14를 포함하는 폐수처리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150)의 수면상에 부유하는 스컴을 상기 스컴제거장치로 밀어주도록 스크류회전기(SC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회전기(SC1)는 적어도 4개의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4개의 날개 각각은 적어도 90도 각도 차이가 나도록 구비하며;
상기 날개는 적어도 2개의 각도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방법.
- 청구항 1과 청구항 2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름판(15)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90도 이하의 각도로 중간 지점에서 상기 걸름판(15) 방향으로 접혀진 우측날개(15a)와 좌측날개(15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7031A KR102193706B1 (ko) | 2019-08-08 | 2019-08-08 | 폐수처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7031A KR102193706B1 (ko) | 2019-08-08 | 2019-08-08 | 폐수처리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3706B1 true KR102193706B1 (ko) | 2020-12-22 |
Family
ID=7408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7031A KR102193706B1 (ko) | 2019-08-08 | 2019-08-08 | 폐수처리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370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531237A (zh) * | 2023-12-28 | 2024-02-09 | 吉林农业大学 | 花青素提取装置 |
CN117735726A (zh) * | 2023-12-30 | 2024-03-22 | 无锡生量环境工程有限公司 | 一种旋转曝气净化立体生态浮床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57329A (ja) * | 1991-09-05 | 1993-03-09 | Nkk Corp | 浮上スカム回収装置 |
KR100526441B1 (ko) | 2005-04-08 | 2005-11-08 | 주식회사 대흥기계 | 폐수의 잔존물 분리장치 |
KR101016488B1 (ko) * | 2008-05-08 | 2011-02-24 | 이상환 |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
KR101496402B1 (ko) | 2014-11-03 | 2015-02-27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고농축 폐기액의 처리가 가능한 협잡물 처리기 |
KR101925858B1 (ko) * | 2018-08-27 | 2018-12-06 | 박인호 | 폐수처리장치 |
-
2019
- 2019-08-08 KR KR1020190097031A patent/KR1021937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57329A (ja) * | 1991-09-05 | 1993-03-09 | Nkk Corp | 浮上スカム回収装置 |
KR100526441B1 (ko) | 2005-04-08 | 2005-11-08 | 주식회사 대흥기계 | 폐수의 잔존물 분리장치 |
KR101016488B1 (ko) * | 2008-05-08 | 2011-02-24 | 이상환 | 슬러지/스컴 제거장치 |
KR101496402B1 (ko) | 2014-11-03 | 2015-02-27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고농축 폐기액의 처리가 가능한 협잡물 처리기 |
KR101925858B1 (ko) * | 2018-08-27 | 2018-12-06 | 박인호 | 폐수처리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531237A (zh) * | 2023-12-28 | 2024-02-09 | 吉林农业大学 | 花青素提取装置 |
CN117735726A (zh) * | 2023-12-30 | 2024-03-22 | 无锡生量环境工程有限公司 | 一种旋转曝气净化立体生态浮床 |
CN117735726B (zh) * | 2023-12-30 | 2024-06-07 | 无锡生量环境工程有限公司 | 一种旋转曝气净化立体生态浮床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5858B1 (ko) | 폐수처리장치 | |
KR200417966Y1 (ko) | 롤링 회전구조를 갖는 협잡물 제거용 드럼스크린 | |
KR102193706B1 (ko) | 폐수처리방법 | |
KR102172445B1 (ko) | 폐수처리장치 | |
KR101545681B1 (ko) |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 |
KR101565240B1 (ko) | 협잡물 처리용 스크류 프레스 | |
CN106687187B (zh) | 用于处理泥浆的竖直分离器 | |
KR101183555B1 (ko) | 드럼형 슬러지 농축기 | |
KR101820094B1 (ko) | 협잡물 절단 및 분쇄장치가 내장된 협잡물 종합처리기 | |
KR102431533B1 (ko) | 이단식 무동력 드럼형 양식장 여과장치 | |
KR20160088642A (ko) | 고액 분리장치 | |
KR20180137926A (ko) | 슬러지 여과용 드럼 스크린 | |
KR101025020B1 (ko) | 협잡물 처리장치 | |
KR20110004535A (ko) | 물김 미세 이물질 추출장치 및 물김 연속 절단 장치 | |
KR101080939B1 (ko) |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 |
KR101581704B1 (ko) | 여과포를 이용한 소규모 하수처리용 여과장치 | |
KR100866039B1 (ko) | 하폐수 여과 장치 | |
KR100625289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고형물회수기 | |
KR101437908B1 (ko) | 물과 응집 슬러지의 비중 차이를 이용한 수직형 스크류 탈수기 | |
KR101907117B1 (ko) | 농축액 이송장치를 구비한 드럼식 원심 농축기 | |
KR100781315B1 (ko) |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 |
EP1019172B1 (en) | Apparatus for cleaning liquids | |
CN115999236A (zh) | 一种化工污水处理设备 | |
KR20230079590A (ko) |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 |
JP7433763B2 (ja) | 破砕機用スクリーン装置、破砕機用スクリーン装置の制御装置及び破砕機用スクリーン装置の運転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