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309A -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 Google Patents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4309A KR20200084309A KR1020200064056A KR20200064056A KR20200084309A KR 20200084309 A KR20200084309 A KR 20200084309A KR 1020200064056 A KR1020200064056 A KR 1020200064056A KR 20200064056 A KR20200064056 A KR 20200064056A KR 20200084309 A KR20200084309 A KR 202000843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tank
- supply pipe
- larvae
- seawater
- Prior art date
Links
- 241001327110 Macrobrachium rosenbergii Speci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41000239290 Arane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366 juveni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418 lar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3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247197 Cephalocari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424 Crust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31 f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31 large-scale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로 일렬로 배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수조하우징(100); 유생이 입식되고 유생의 먹이생물이 포함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 내부에 각각 위치하고 그 상방이 개방되며 둘레를 따라 상기 유생과 상기 먹이생물의 크기보다 작은 다수개의 메쉬로 이루어진 케이지(200); 상기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 내부로 해수공급관(310)과 담수공급관(410)을 통해 각각 해수와 담수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의 일측에 마련된 해수탱크(300)와 담수탱크(400); 상기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수조 내의 수질 환경을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수조 내의 수질 환경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조 하우징 내의 물의 온도와 염분을 설정된 온도와 염분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히터와 상기 해수공급관(310)과 상기 담수공급관(41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로 일렬로 배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수조하우징(100); 유생이 입식되고 유생의 먹이생물이 포함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 내부에 각각 위치하고 그 상방이 개방되며 둘레를 따라 상기 유생과 상기 먹이생물의 크기보다 작은 다수개의 메쉬로 이루어진 케이지(200); 상기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 내부로 해수공급관(310)과 담수공급관(410)을 통해 각각 해수와 담수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의 일측에 마련된 해수탱크(300)와 담수탱크(400); 상기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수조 내의 수질 환경을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수조 내의 수질 환경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조 하우징 내의 물의 온도와 염분을 설정된 온도와 염분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히터와 상기 해수공급관(310)과 상기 담수공급관(41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생육 장치의 문제점인 사육수, 온도, 유생의 탈출 및 수질문제 등을 해결하고 유생의 안정적인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새우는 갑각류에 속하는 생물로서 약 2,500종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종에 따라 풍미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산물은 흔하게 국제적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특히 새우는 수산 및 양식업 관련 분야에서 중요 자원으로, 세계 해산물 소비량의 17% 이상을 차지한다고 집계된 바 있다 (De Grave, Cai & Anker, 2008).
이 중 큰징거미새우(Giant river prawn)은 징거미새우과의 민물새우이다. 태국이나 대만 등 아열대성 지역에서 자라며 수컷이 체장 약 40cm, 400g까지 자라는 세계 최대의 민물새우다.
고급 식재료로 인기가 높아 수산업의 주요한 소득원이다. 큰징거미새우는 6∼9개월 만에 최대 300~400g까지 성장이 가능하고 1kg당 4∼6만원을 호가하는 품종으로 부가가치가 높아 최근 국립수산과학원의 양식기술개발 보급으로 인하여 대한민국 어업에서도 양식산업화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국내 큰징거미새우 종묘생산 기술에 대한 특허는 전무한 상태이다.
특히, 본 종은 기수환경 즉 5~12psu 범위의 염분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를 조절 할 수 있는 특별한 사육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아열대생물 특성상 높은 온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28~30℃ 범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했다.
그 외에 살아있는 먹이생물이 유생 사육조에서 빠져나가지 않는 사육수조가 필요하고 많은 양의 생물이 먹이를 섭이하고 발생하는 분비물 및 찌꺼기를 원활히 배출 할 수 있어야 하며, 유생기간동안 충분한 먹이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폐사가 발생하기 때문에 먹이를 섭이 할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적정 범위의 물의 온도 범위와 염도 범위를 유지하고, 종래 유수식에 의한 유생의 탈출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적정한 조도가 확보되지 않아 먹이 섭취가 저하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구조의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개로 일렬로 배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수조하우징(100); 유생이 입식되고 유생의 먹이생물이 포함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 내부에 각각 위치하고 그 상방이 개방되며 둘레를 따라 상기 유생과 상기 먹이생물의 크기보다 작은 다수개의 메쉬로 이루어진 케이지(200); 상기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 내부로 해수공급관(310)과 담수공급관(410)을 통해 각각 해수와 담수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의 일측에 마련된 해수탱크(300)와 담수탱크(400); 상기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수조 내의 수질 환경을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수조 내의 수질 환경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조 하우징 내의 물의 온도와 염분을 설정된 온도와 염분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히터와 상기 해수공급관(310)과 상기 담수공급관(41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수조 하우징의 일측에는 자연압에 의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배관(110)이 연통되어 있고, 상기 오버플로우배관(110)에는 배수관(12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지(200) 내의 수중에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에어레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조 하우징의 상단 테두리에는 유생과 먹이생물의 주광성을 이용할 수 있는 LED 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지(200)에 형성된 메쉬의 크기는 140㎛ 이상 1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수조 하우징 내부의 물의 온도가 28℃ 이상 30℃ 이하로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하고, 상기 수조 하우징 내부의 물의 염도가 5psu 이상 12psu 이하가 되도록 상기 해수공급관(310)과 상기 담수공급관(410)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한 쌍의 LED 램프의 조도가 3000lux 이상으로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에 의한다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첫째, 큰징거미생우 유생의 대량생산 가능한 이점이 있다.
둘째, 타 새우 및 생활사가 유사한 유생(특히 가재)을 사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셋째, 신 품종 개발을 통한 국내 소비자에게 다양한 수산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넷째, RAS 양식을 위한 기본 기술로 활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다섯째, 많은 양의 생물이 먹이 섭이하고 발생하는 분비물 및 찌꺼기를 원활히 배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섯째, 사육수 문제와 물의 적정 온도 유지 문제를 해결하고, 종래 문제가 되어 왔던 유생의 탈출 문제도 해결하며, 케이지와 먹이 유도등을 통해 먹이 문제도 해결하였으며,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케이지를 통해 그 위생성도 높아지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수조하우징을 나타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케이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해수공급관과 담수공급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센서부의 일 실시예인 프로브와 티타늄 히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오버플로우배관과 이에 연결된 배수관이 도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수조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을 통해 생산된 큰징거미새우 후기 유생을 나타내는 실제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제어부와 센서부와의 연동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수조하우징을 나타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케이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해수공급관과 담수공급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센서부의 일 실시예인 프로브와 티타늄 히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오버플로우배관과 이에 연결된 배수관이 도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수조 하우징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을 통해 생산된 큰징거미새우 후기 유생을 나타내는 실제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제어부와 센서부와의 연동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도시된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수조하우징(100)을 나타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케이지(200)를 나타내며, 도 7은 본 발명을 통해 생산된 큰징거미새우 후기 유생을 나타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제어부(600)와 센서부(500)와의 연동관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수조하우징(100), 케이지(200), 해수탱크(300)와 담수탱크(400), 센서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수조하우징(100)은 복수개로 일렬로 배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해수와 담수가 혼합된다.
도면상에는 5개로 구현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고 시설 환경 또는 작업 환경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하우징(100)은 큰징거미새우의 유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사육수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수조하우징(100)은 PP(폴리프로필렌) 또는 ABS 수지, PVC,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구성이 강하고 유생에 유해하지 않는 성분이라면 다양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수조하우징(100)의 폭은 유생의 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지만 보통 2만 마리 사육을 위한 기준으로 가로 60 cm, 세로 90 cm, 높이 40cm 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수조하우징(100)은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수(5~14 psu)로 조성된다.
다시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케이지(200)가 개시된다.
케이지(200)는 이미 설명한 수조하우징(1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전체적으로 상방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현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케이지(200)는 유생이 입식되고 유생의 먹이생물이 포함되도록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 내부에 각각 위치하고 그 상방이 개방되며 둘레를 따라 유생과 먹이생물의 크기보다 작은 다수개의 메쉬로 이루어진다.
유생의 크기는 발생 초기 대략 400 ㎛이상이고 먹이생물인 Artemia는 대략 250 ㎛이다.
이에 케이지(2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메쉬 크기 역시 이들 유생과 먹이생물의 크기보다 작아야 한다. 본 출원인은 여러번의 실험을 거쳐 케이지(200)에 형성된 메쉬의 크기가 140㎛ 이상 160㎛ 이하인 경우 가장 효율적으로 유생과 먹이생물이 빠져나가지 않고, 유생의 먹이 활동이후 발생하는 분비물과 남은 사료의 찌거기가 원활히 빠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도 케이지(200)에 형성된 메쉬의 크기가 140㎛ 이상 160㎛ 이하인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지(200) 오염시에는 쉽게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구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성장된 후기 유생의 크기는 1cm 까지 사육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크기가 되면 사육 밀도와 여건상 분조를 실시해야 하는데, 케이지(200)의 교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노동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구현된다.
한편, 케이지(200)의 상단과 하단 둘레를 따라 틀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메쉬로 이루어진 부분을 지지한다. 이러한 틀의 재질은 플라스틱, PP(폴리프로필렌), 스테인레스, PVC, ABS수지, 아크릴의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 내부로 해수공급관(310)과 담수공급관(410)을 통해 각각 해수와 담수와 공급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의 일측에 마련된 해수탱크(300)와 담수탱크(400)가 개시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공급관(310)과 담수공급관(410)에 의해 해수와 담수가 각각 수조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고, 이러한 해수공급관(310)과 담수공급관(410)의 끝단은 케이지(20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보다 깨끗한 물이 바로 유입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센서부(500)의 일 실시예인 프로브(510)와 티타늄 히터(520)를 나타낸다.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 내부에는 수조 내의 수질 환경을 센싱하는 센서부(500)가 설치된다.
센서부(500)는 그 용도에 따라 수조 내의 물의 온도,PH, 용존산소 및 염분 등을 측정한다. 각각의 용도에 따른 센서는 일반적인 구성이라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때, 제어부(600)는 센서부(500)에 의해 센싱된 수조 내의 수질 환경 정보를 입력받는다.
제어부(600)는 수조 하우징 내의 물의 온도와 염분을 설정된 온도와 염분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수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히터와 해수공급관(310)과 담수공급관(410)의 개폐를 제어한다.
다만, 수조 하우징 내부의 히터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인 구성이라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어부(600)의 신호에 따라 그 온도가 가변될 수 있는 수중히터(200W 이상)도 가능하다.
제어부(600)에 의해 각각의 수조 하우징 별로 설치된 센서를 통해 온도를 확인하고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큰징거미새우는 아열대성 새우로써 28℃ 이상 30℃ 이하의 고온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어부(600)에 의해 티타늄 히터(520)의 ON/OFF를 통해 그 온도가 제어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오버플로우배관(110)과 이에 연결된 배수관(120)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자연압에 의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배관(110)이 연통되어 있고, 이 오버플로우배관(110)에는 배수관(12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오버플로우배관(110)이 수조하우징(100)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나, 반드시 그 수량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조하우징(100) 내의 물은 이 오버플로우배관(110)이 수조하우징(100)과 연결된 위치까지 채워지며, 그 이상의 물이 공급되는 경우 자연압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바, 오버플로우배관(110)의 위치로 그 수위가 결정된다.
이 오버플로우배관(110)의 하부에는 양 측으로 연장된 배수관(120)이 연결되어 있고, 이 배수관(120)은 수조하우징(100) 내의 물을 전량 배수하거나 청수(깨끗한 물로 순화)를 위한 배관이다.
다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 오버플로우배관(110)은 그 목적에 따라 해수, 담수 탱크와 연결되어 사육수를 회수해 일종의 순환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정 염분이 요구되는 경우 수조 하우징을 개별적으로 활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순환수조로 전환하여 일정 염분 조건하에 유생들을 사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수조하우징(100)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200) 내의 수중에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에어레이션(aeration)이 설치된다.
에어 스톤을 이용한 에어레이션(130)을 통해 케이지(200) 내의 수중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한편, 복수개의 수조하우징(100)의 상단 테두리에는 유생과 먹이생물의 주광성을 이용할 수 있는 LED 램프(1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LED 램프(주광색)를 사용하여 그 조도가 3,000 Lux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면상에는 수조하우징(100)의 앞부분에 설치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 위치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이 LED 램프(140)를 통해 빛의 방향이 한쪽으로만 치우치도록 유도함으로써 주광성이 있는 부유유생들과 먹이생물이 빛을 향해 모이게 되고 이에 따라 유생들과 먹이생물간의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높여 먹이 섭취기회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유생기에 많은 먹이를 섭이할 수 있게끔 유도하여 높은 성장과 생존율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 LED 램프(140)는 제어부(600)와 연동되어 명암조건 12시간 간격으로 조절된다.
제어부(600)는 수조하우징(100) 내부의 물의 온도가 28℃ 이상 30℃ 이하로 유지되도록 히터를 제어하고, 수조하우징(100) 내부의 물의 염도가 5psu 이상 12psu 이하가 되도록 해수공급관(310)과 담수공급관(410)의 개폐를 제어한다.
제어부(600)를 통해 해수공급관(310)과 담수공급관(410)의 개폐가 이루어져 작업자가 원하는 비율로 섞어 공급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어부(600)를 통해 사육수 문제와 물의 적정 온도 유지 문제를 해결하고, 종래 문제가 되어 왔던 유생의 탈출 문제도 해결하였다.
또한, 케이지(200)와 먹이 유도 등을 통해 먹이 문제도 해결하였으며,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케이지(200)를 통해 그 위생성도 높아지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수조하우징
200 : 케이지
300 : 해수탱크 400 : 담수탱크
500 : 센서부 600 : 제어부
300 : 해수탱크 400 : 담수탱크
500 : 센서부 600 : 제어부
Claims (5)
- 복수개로 일렬로 배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는 수조하우징;
유생이 입식되고 유생의 먹이생물이 포함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수조하우징 내부에 각각 위치하고 그 상방이 개방되며 둘레를 따라 상기 유생과 상기 먹이생물의 크기보다 작은 다수개의 메쉬로 이루어진 케이지;
상기 복수개의 수조하우징 내부로 해수공급관과 담수공급관을 통해 각각 해수와 담수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수조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된 해수탱크와 담수탱크;
상기 복수개의 수조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수조 내의 수질 환경을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수조 내의 수질 환경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조 하우징 내의 물의 온도와 염분을 설정된 온도와 염분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히터와 상기 해수공급관과 상기 담수공급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조 하우징의 일측에는 자연압에 의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배관이 연통되어 있고, 상기 오버플로우배관에는 배수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내의 수중에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에어레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조 하우징의 상단 테두리에는 유생과 먹이생물의 주광성을 이용할 수 있는 LED 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에 형성된 메쉬의 크기는 140㎛ 이상 1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조 하우징 내부의 물의 온도가 28℃ 이상 30℃ 이하로 유지되도록 상기 히터를 제어하고,
상기 수조 하우징 내부의 물의 염도가 5psu 이상 12psu 이하가 되도록 상기 해수공급관과 상기 담수공급관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한 쌍의 LED 램프의 조도가 3000lux 이상으로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4056A KR102297174B1 (ko) | 2018-02-12 | 2020-05-28 |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6980A KR20190097491A (ko) | 2018-02-12 | 2018-02-12 |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
KR1020200064056A KR102297174B1 (ko) | 2018-02-12 | 2020-05-28 |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6980A Division KR20190097491A (ko) | 2018-02-12 | 2018-02-12 |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4309A true KR20200084309A (ko) | 2020-07-10 |
KR102297174B1 KR102297174B1 (ko) | 2021-10-28 |
Family
ID=7160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4056A KR102297174B1 (ko) | 2018-02-12 | 2020-05-28 |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717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3747A (ko) * | 2021-05-12 | 2022-11-21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풍력발전 케이블의 생물 위해성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5548A (ko) | 2021-12-07 | 2023-06-14 | 김성민 | 큰징거미새우 친환경 종묘 생육 방법 |
KR102597245B1 (ko) | 2023-07-24 | 2023-11-02 | 김은경 | 큰징거미새우 치하 중간 육성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35800A (ja) * | 2006-08-08 | 2008-02-21 | Shizuoka Prefecture | 甲殻類の飼育装置 |
KR20140012412A (ko) * | 2012-07-20 | 2014-02-03 | 조용현 | 갑각류 종묘 수거장치 |
KR101443851B1 (ko) | 2013-10-31 | 2014-09-24 |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 새우종묘의 생산 시스템 및 생산 방법 |
-
2020
- 2020-05-28 KR KR1020200064056A patent/KR1022971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35800A (ja) * | 2006-08-08 | 2008-02-21 | Shizuoka Prefecture | 甲殻類の飼育装置 |
KR20140012412A (ko) * | 2012-07-20 | 2014-02-03 | 조용현 | 갑각류 종묘 수거장치 |
KR101443851B1 (ko) | 2013-10-31 | 2014-09-24 |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 새우종묘의 생산 시스템 및 생산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3747A (ko) * | 2021-05-12 | 2022-11-21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풍력발전 케이블의 생물 위해성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7174B1 (ko) | 2021-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89083B1 (ko) | 갑각류의 유충 사육방법과 장치 | |
CN103109763B (zh) | 海水生态观赏水族箱的制作方法及海水生态观赏水族箱 | |
JP5610296B2 (ja) | 二枚貝等の底棲生物の多段式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バイオフィルター | |
KR20200084309A (ko) |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 |
JP2006254880A (ja) | カニ類等の池中養殖法 | |
CN104012435B (zh) | 中华鳑鲏(Rhodeus sinensis)高效繁殖方法 | |
CN110352893B (zh) | 一种黑鱼循环水净化养殖系统 | |
KR101773247B1 (ko) |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 치어 양식수조 | |
Liu et al. | Sea urchin aquaculture in China | |
CN109452203A (zh) | 一种许氏平鲉深水网箱大规格苗种培育方法 | |
JP2012120480A (ja) | カワニナ類の飼育方法およびカワニナ類飼育水槽 | |
KR20190097491A (ko) |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 |
KR101184458B1 (ko) | 갯지렁이의 종묘 생산을 위한 양식 장치 | |
JP2008125440A (ja) | サンゴ養殖方法 | |
KR101549211B1 (ko) | 어린 패류의 상향식 수류 실내사육장치 | |
Nabhitabhata et al. | Sepioteuthis lessoniana | |
JP2001103860A (ja) | 肉食性巻き貝の養殖方法および装置 | |
JP7170253B2 (ja) | 貝類の養殖装置 | |
JP2009060892A (ja) | 水生生物の幼生飼育器 | |
JP4675934B2 (ja) | アワビの陸上養殖方法及び陸上養殖装置 | |
KR101412045B1 (ko) | 이중배수장치가 장착된 수서생물 다단시스템 사육용 유리수조 | |
KR102150581B1 (ko) | 갑각류 양식장치 | |
CN111432633B (zh) | 用于培养普通章鱼真蛸的双幼体的方法 | |
JP4262102B2 (ja) | クマノミ類の生育方法および影響評価試験方法 | |
JP2003274793A (ja) | 蟹類の養殖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