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248A - 회전 가능한 마그네틱 마운트를 갖는 유도 충전기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마그네틱 마운트를 갖는 유도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248A
KR20200083248A KR1020190171263A KR20190171263A KR20200083248A KR 20200083248 A KR20200083248 A KR 20200083248A KR 1020190171263 A KR1020190171263 A KR 1020190171263A KR 20190171263 A KR20190171263 A KR 20190171263A KR 20200083248 A KR20200083248 A KR 20200083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stator
inductive charging
charger
i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시디 알브스
Original Assignee
스코쉐 인더스트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코쉐 인더스트리즈, 인크. filed Critical 스코쉐 인더스트리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08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Abstract

유도 충전 수신기 및 하나 이상의 결합 지점이 있는 전자 장치용 마그네틱 마운트. 마운트는 유도 충전 수신기가 유도 코일과 축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에 충전 전류를 전달하는 유도 코일을 갖는 정적 유도 충전 헤드를 갖는다. 원형 프레임이 있는 후면 플레이트가 정적 유도 충전 헤드와 회전 결합된다. 후면 플레이트는 또한 영구 마그넷이 전자 장치의 하나 이상의 결합 지점과 자기적으로 결합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마그넷 지지 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마그네틱 마운트를 갖는 유도 충전기{INDUCTIVE CHARGER WITH ROTATABLE MAGNETIC MOUNT}
본 출원은 2018년 12월 31일자로 출원되고 제목이 "회전 가능한 마그네틱 마운트를 갖는 유도 충전기"인 미국 가특허출원 제62/787,154호의 35 U.S.C. § 119(e)에 따른 이익과 관련이 있고 그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마운트 및 모바일 전자 장치의 배터리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마그네틱 마운트를 갖는 유도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휴대용 전자 장치가 현재 시장에 존재하지만, 많은 요구를 충족시키는 더 적은 범주의 장치에 대한 최근 수렴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이전에 음악 플레이어, 게임 콘솔, 개인 디지털 비서, 디지털 스틸 및 비디오 카메라, 전자 판독기, 매핑 및 탐색 장치 등 별도의 독립적인 장치에 제공되었을 수 있는 기능을 통합 한 스마트폰이다. 근거리 / 로컬 데이터 전송 링크를 위한 WiFi 및 블루투스뿐만 아니라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for GSM Evolution), LTE(Long Term Evolution) 및 통신 범위를 실질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표준을 구현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여러 근거리 통신 방식도 통합되었다.
다른 전자 장치와 마찬가지로 계속 작동하려면 전원 공급 장치에 따라 달라지므로, 스마트폰에는 온보드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분리 가능하거나 영구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몇 시간 활발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하루종일 대기 작동이 가능한 전원 용량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를 재충전하기 위해, 스마트폰은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온보드 충전 회로를 내장하고 있는데, 이는 전력망, 차량의 배터리/전기 시스템, 휴대용 외부 배터리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 전력 공급원 사이의 다양한 연결 방식이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가장 간단한 방법 중 하나는 장치의 해당 소켓 내에 수신되는 동축 커넥터 플러그가 있는 AC(교류) 전원 어댑터이다. 필요한 전류 용량에 따라 플러그와 소켓의 크기와 모양이 다를 수 있다. 제조업체들 사이에서 이러한 다양성과 표준화의 부재로 인해 유사한 전력 요구 사항을 가진 다른 장치와 호환되지 않는 수많은 독점적인 제조업체별 커넥터 및 어댑터가 확산되었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 장치를 위한 전력 연결을 표준화하기위한 노력이 있어 왔다.
대부분의 제조업체는 이제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를 사용하여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USB 표준과 관련 커넥터 구성은 수년에 걸쳐 발전해 왔으며 현재 세대에 따라 다른 세대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USB 상호 연결은 소켓에 수용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러그로 구성되지만 이러한 커넥터의 모양과 크기는 유형에 따라 다르다. USB는 주로 데이터 전송 링크이지만 이 표준은 서로 다른 전류 레벨에서 5V DC(직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하나의 라인을 형성하므로 제조업체 및 장치에 구애받지 않는 충전기 및 커넥터 케이블을 표준화할 수 있다. 즉, 표준 USB 케이블을 사용하여 벽면 소켓에 꽂힌 AC 어댑터, 12V 차량 소켓에 꽂혀있는 담배 라이터 어댑터 또는 휴대용 배터리에 USB 포트가 통합되어 있는지에 관계없이 모든 USB 포트에 연결할 수 있다 - 일관된 전압 및 전력이 연결 장치로 전달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어댑터 단부는 종종 USB A형 커넥터이며 스마트폰 단부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B 커넥터 또는 C 형 커넥터와 같은 작은 풋프린트 커넥터이다.
대부분은 충전 케이블을 스마트폰에 연결하는 것은 비교적 쉬운 수동 단계이다. 그러나, 반복되는 발생에 비해 실질적인 사용자 경험 부족이 될 수 있는 많은 제한이 있을 수 있다. 하나는 대부분의 USB 커넥터가 방향성이 있다는 것이다. 즉, 플러그는 소켓과 같은 방향으로 향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삽입할 수 없다. USB 충전 케이블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보기 흉한 케이블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해야 한다는 점에서 모든 케이블 또는 와이어 기반 연결에서 공통적인 제한 사항을 공유한다.
이러한 결함에 대한 응답으로 유도 충전이 개발되었다. 충전기 단부에는 전원에 연결되어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유도 코일이 있다. 이 전자기 에너지는 전자 장치의 해당 유도 코일에 의해 포착되고 전기 연결없이 충전 회로로 전달된다. Qi 충전 표준은 장치 단부 및 충전기 단부 유도 커플링의 작동 매개 변수 및 구성을 관리한다.
Qi와 같은 무선 유도 충전 방식을 사용하든 USB 케이블을 통한 유선 충전 방식을 사용하든, 스마트폰은 일반적으로 적극적으로 작동하거나 보지 않고 평평한 표면에 수평으로 놓인다. 잠시 동안 스마트폰과 상호 작용할 때, 스마트폰을 손에 들고 사용 후에 다시 내려놓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관련이 없거나 관련없는 기본 작업(예를 들면, 차량 운전, 컴퓨터 작업, 요리 등)을 수행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지만, 그런데도 스마트폰의 기능에 액세스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에서 무언가 보고자 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다양한 마운팅 장치가 개발되었다. 하나의 구성은 스마트폰을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크래들이며, 크래들은 흡입 컵, 접착제 또는 기타 부착 방식을 통해 표면에 장착된다. 압축 유지 메커니즘은 특히 충전 케이블을 연결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결합 및/또는 분리하기에 번거롭다. 보다 최근에는, 하나 이상의 영구 마그넷을 포함하는 마운트 헤드가 표면에 고정되고 금속 플레이트가 스마트폰의 후면에 부착되는 마그네틱 마운트가 이용되고 있다. 마운트의 마그넷(마그넷)은 금속판과 맞물리므로 스마트폰을 마운트에 해제 가능하게 맞물리게 된다.
유도 충전 기능이 통합된 스마트폰의 충전 코일은 본체 뒷면의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플래시 또는 조명 장치와 함께 후면 카메라(2개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음)와 같은 추가 기능으로, 영구 마그넷이 스마트폰의 전체 중량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크기여야 하는 금속판이 부착되는 면적이 감소 될 수 있다. 충전 코일이 마그네틱 헤드에 가장 균형 잡힌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플레이트를 마운팅하기 위해 중앙 영역을 차지하기 때문에 공간은 본체의 특정 위치에 대해 제한된다. 따라서 플레이트를 중심 이외의 영역에 배치해야 함으로써, 최적의 마운팅 결합을 얻을 수 없다. 더욱이, 종래의 스마트폰 장치는 그것의 방향을 감지하고 검출된 방향에 따라 가로 또는 세로 보기로 디스플레이를 조정할 수 있지만, 중심 외 위치에서 헤드에 스마트폰을 장착하는 것은 다른 방향,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으로의 전환을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당 업계에서는 유도 충전 특징을 포함하는 개선된 마그네틱 스마트폰 마운트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마그네틱 마운트가 회전 가능하고 다른 장치 방향 사이를 자유롭게 전환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회전 가능한 마그네틱 마운트를 갖춘 유도 충전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마운트 및 모바일 전자 장치의 배터리용 충전기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마그네틱 마운트를 갖는 유도 충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의 다양한 실시예를 고려한다. 도크는 구조적 마운트 인터페이스가 부착된 스테이터 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크는 중앙 개구에 의해 형성된 원형 베어링을 갖는 로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 프레임은 또한 원형 베어링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 마그넷 지지 암을 가질 수 있다. 로터 프레임이 그 원형 베어링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테이터 베이스가 있을 수 있다. 스테이터 베이스는 로터 프레임의 중앙 개구를 통해 스테이터 캡에 결합될 수 있다. 도크는 또한 스테이터 베이스에 마운트된 유도 충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대향 마그넷 지지 암의 각각에 마운트된 하나 이상의 영구 마그넷이 있을 수 있다.
원형 베어링은 내부 원주 둘레에 복수의 멈춤쇠를 형성할 수 있다.
스테이터 베이스는 외주 둘레에 이격된 하나 이상의 방사상으로 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각 돌출부는 스테이터 베이스 내에서 로터 프레임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원형 베어링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멈춤쇠 중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원형 베어링은 내부 원주 플랜지를 형성하고; 그리고 스테이터 캡은 원형 베어링의 내부 원주 플랜지와 슬라이딩 회전 결합으로 림을 형성할 수 있다.
스테이터 베이스는 스테이터 캡에 부착된 리테이너 허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 베이스에 부착되고 유도 충전 코일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포함하는 전력 상호 접속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상호 접속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일 수 있다.
전력 상호 접속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인쇄 회로 기판은 유도 충전 코일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유도 충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 충전 회로에 연결된 표시등을 더 포함하고, 유도 충전 회로에 의해 평가되는 대응하는 충전 회로 상태에 응답하여 표시등 상에 미리 정의된 출력이 생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 베이스에 부착되고 표시등과 광 통신하는 도광 베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 충전 코일에 부착되고 스테이터 면을 형성하는 스테이터 커버; 및 한 쌍의 대향 마그넷 지지 암 각각에 부착되고 장치 결합면을 형성하는 마그네틱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 결합면은 스테이터 면보다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조적 마운트 인터페이스는 구조물에 고정된 대응 조인트 소켓에 결합될 수 있는 조인트 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유도 충전 수신기와 하나 이상의 결합 지점을 갖는 전자 장치를 위한 마그네틱 마운트를 고려한다. 마운트는 유도 충전 수신기가 유도 코일과 축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에 충전 전류를 전달하는 유도 코일을 갖는 정적 유도 충전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는 또한 정적 유도 충전 헤드와 회전 결합되는 원형 프레임을 갖는 후면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는 또한 영구 마그넷이 전자 장치 상의 하나 이상의 결합 지점과 자기적으로 결합하도록 마운트되는 하나 이상의 마그넷 지지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정적 유도 충전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구조적 마운트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유도 충전 수신기와 하나 이상의 결합 지점이 있는 전자 장치용 마그네틱 마운트.
원형 프레임은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갖는 플랜지가 있는 중앙 개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정적 유도 충전 헤드는 원형 프레임의 전방 단부를 향하고 전방 단부와 회전 결합하는 스테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그리고 스테이터 베이스에 결합되는 스테이터 캡이 원형 프레임의 후방 단부를 향하며, 그리고 원형 프레임과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정적 유도 충전 헤드에 부착되고 유도 코일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포함하는 전력 상호 접속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적 유도 충전 헤드는 전면을 형성하고; 마그넷 지지 암은 각각 장치 결합 면을 형성하며; 그리고 정적 유도 충전 헤드의 전면은 마그넷 지지 암의 장치 결합면으로부터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원형 프레임은 내부 둘레 주위에 복수의 멈춤쇠를 형성하고; 그리고 정적 유도 충전 헤드는 외주 주위에 이격된 하나 이상의 방사상으로 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각 돌출부는 백 플레이트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원형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멈춤쇠 중 하나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마운트 및 모바일 전자 장치의 배터리용 충전기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한 마그네틱 마운트를 갖는 유도 충전기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의 이들 및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유사한 번호가 전체적으로 유사한 부분을 지칭하는 다음의 설명 및 도면과 관련하여 더 잘 이해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에 장착될 수 있는 유도 충전 수신기 및 마운트 결합 지점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모바일 장치의 후면 평면도이다.
도 4A는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의 분해 정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의 분해 후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1의 X-X 축을 따라 취한 조립된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1의 Y-Y 축을 따라 취한 조립된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스테이터 베이스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은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서 의도된 것이며, 그것이 개발 또는 이용될 수 있는 유일한 형태를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설명은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크를 개발하고 작동시키기 위한 기능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 상이한 실시예들에 의해 동일하거나 동등한 기능들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의, 제2의, 말단부, 중심부, 좌측, 우측 등과 같은 관계 용어의 사용은 그러한 요소들 간의 실제 그러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암시하지 않고 다른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
도 1 및 도 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바일 장치(12)가 마운트(장착)될 수 있는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10)의 일 실시예의 전면 및 후면을 각각 도시한다. 도크(10)는 일반적으로 유도 충전 헤드(16)와 함께 각각 마그넷(15)을 포함하는 제1 또는 상부 크래들 암(14a) 및 제2 또는 하부 크래들 암(14b)을 포함하는 한 쌍의 크래들 암(14)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크래들 암(14)을 참조하면, 상부 크래들 암(14a) 또는 하부 크래들 암(14b)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완전히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단지 일관성 및 편의를 위한 것이다.
모바일 장치(12)는 스마트폰으로 이해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후면(18)을 갖는 몸체를 특징으로 한다. 모바일 장치(12)의 외부 커버 아래에 그리고 몸체의 중앙에 위치된 것은, 유도 충전 헤드(16)의 대응 코일과 전자기적으로 결합 될 때, 모바일 장치(12)의 온보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또는 그것에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해,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유도 충전 수신기(2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크(10) 및 모바일 장치(12)에 의해 구현되는 충전 방식은 무선 전력 컨소시엄에 의해 설정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개방형 Qi 사양에 따른다. 이와 관련하여, 도크(10)는 전력 변환 유닛을 제어하는 시스템 유닛 및 수신 모바일 디바이스(12)로부터의 요청에 기초하여 유도 충전 코일로의 출력 전기 신호를 조절하는 통신 및 제어 유닛을 갖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2)는 배터리 또는 다른 부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2차 코일을 갖는 전력 픽업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력 픽업 유닛은 부하로 전달되는 전력을 조절하는 통신 및 제어 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 최대 10와트의 전력이 수신 모바일 장치(12)에 전달될 수 있다. Qi 충전기 구현은 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졌기 때문에, 추가적인 세부 사항은 생략될 것이다. 유도 충전 헤드(16)는 Qi 표준을 준수할 필요가 없으며, 임의의 다른 무선 전력 전송 양식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대체 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모바일 장치(12)는 하나 이상의 마그네틱 마운트 결합 지점(22)을 포함하고, 도시된 예시적인 구성은 제1 또는 상부 마그네틱 마운트 결합 지점(22a) 및 제2 또는 하부 마그네틱 마운트 결합 지점(22b)을 포함한다. 이러한 마그네틱 마운트 맞물림 지점(22)은 크래들 암(14)의 마그넷(15)과 상호 작용하여 모바일 장치(12)를 도크(10)에 기계적으로 유지, 홀드 또는 달리 마운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시된 예에서, 마그네틱 마운트 맞물림 지점(22)은 접착 스트립을 통해 후면(18)에 부착된 강자성(ferromagnetic) 플레이트이다. 접착제, 땜납 등과 같은 대안적인 부착 방식이 이용될 수 있지만, 플레이트가 애프터 마켓 액세서리로서 사용자에 의해 설치되기 때문에, 보다 간단한 고정 방법이 바람직할 수 있다. 현재 알려진 모바일 장치(12) 제조업체는 마그네틱 마운트 결합 지점(22)을 포함하지 않지만, 커버가 마그네틱 마운트 결합 지점(22)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구체적으로 위치된 금속 섹션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그네틱 마운트 맞물림 지점(22) 또는 플레이트는 크래들 암(14) 내에서 마그넷(15)과 정렬되도록 후면(18)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또는 상부 마그네틱 마운트 결합 지점(22a)과 제2 또는 하부 마그네틱 마운트 결합 지점(22b) 사이의 수직 분리는 제1 또는 상부 크래들 암(14a)과 제2 또는 하부 크래들 암(14b) 사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분리일 수 있다. 제1 또는 상부 마그네틱 마운트 결합 지점(22a)과 제2 또는 하부 마그네틱 마운트 결합 지점(22b) 사이의 특정 분리 거리는 변할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작동하는 동안 유도 충전 헤드(16)와의 전자기 간섭을 피하기 위해 유도 충전 수신기(20)와 겹치지 않아야 한다. 부가적으로, 후면(18)은 플레이트를 배치할 때 마찬가지로 피해야 하는 카메라 렌즈(24), 플래시/조명 유닛 등과 같은 다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모바일 장치(12)의 후면(18) 상의 특정 이용 가능한 공간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의 위치를 안내하기위한 상이한 템플릿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스마트폰을 위한 도크로 기술될 것이지만, 이것은 단지 예일 뿐이며 제한이 아니다. 평평한 또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후면(18)의 적어도 상기 언급된 기본 요소를 갖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전자 장치(18)(마그네틱 마운트를 위해 하나 이상의 마그네틱 마운트 맞물림 지점(22)이 배치될 수 있음), 및 유도 충전 수신기(20)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도크(10)가 마운트(장착)된 구조물의 이용 가능한 공간뿐만 아니라 이용되는 마그넷의 강도에 따라, 모바일 장치(12)의 크기 및 무게가 제한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도크(10)에 부착되고, 그리고, 도크(10)는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대시 보드 및 윈드 실드와 같은 차량 내부 또는 표면뿐만 아니라 에어컨 통풍구, 관형 구조 등을 포함한다. 도크(10)는 차량 설치 이외에도 주방 조리대, 책상, 선반 등과 같은 다른 표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크(10)는 구조적 마운트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구조적 마운트 인터페이스(26)는 도크(10)로부터 연장되는 스토크(28)에 장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일체로 형성된 조인트 볼이다. 조인트 볼은 볼-앤-소켓 조인트를 형성하기 위해 대응하는 조인트 소켓에 맞물릴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조인트 소켓은 차례로 구조물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물 마운트의 일부일 수 있다. 구조물 마운트는 흡입 컵 마운트, 접착 마운트, 클램프 마운트 또는 당 업계에 공지된 다른 유형의 마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크래들 암(14), 및 그 일부인 로터 프레임이 정적 유도 충전 헤드(16)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고려한다. 따라서, 유도 충전 수신기(20)와 무선 충전 링크를 유지하면서, 그것에 장착된 모바일 장치(12)는 가로 방향에서 세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2)는 충전 케이블을 제거하고 삽입하지 않고도 중단없이 계속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장치(12)는 원하는 대로 도크(10)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으며, 하나의 수동 모션은 도크(10)에 대한 기계적 연결뿐만 아니라 유도 충전 헤드(16)에 대한 충전 링크 모두를 정지시킨다. 이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도크(10)의 구조는 이제도 4A 및 4B의 분해 사시도에 추가하여 더 상세히 설명 될 것이다.
도크(10)는 일반적으로 로터 프레임(30)으로 구성되며, 이는 백 플레이트라고도 한다. 로터 프레임(30)은 원형 베어링(32) 또는 프레임 부분을 가지며, 그로부터 연장되는 전술한 한 쌍의 대향 크래들 암(14a, 14b)이 연장된다. 크래들 암(14)은 마그네틱(15)을 통합하기 때문에, 마그네틱 지지 암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크래들 암(14)은 원형 베어링(3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즉 주어진 반경에 의해 형성된 바와 같이 중심 축을 따라 원형 베어링(32)의 원주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 프레임(30)은 중앙 개구(34)를 추가로 형성한다. 원형 베어링(32)은 미리 형성된 두께를 갖는 아치형 단면 및 추가로 내부 원주 플랜지(36)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크래들 암(14) 그리고 확장하여 이들이 떨어져 있는 로터 프레임(30)은 유도 충전 헤드(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결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도 충전 헤드(16)는 스테이터 베이스 조립체(38)를 포함하는데 이는 로터 프레임(30)의 원형 베어링(32) 내에 수용된다. 도 2의 축 X-X를 따라 취해진 도 5a에서, 내주 플랜지(36)는 전방 림 측면(40a) 및 대향 후방 림 측면(40b)에 의해 형성된다. 스테이터 베이스 조립체(38)는 전방 림 측(40a)에 대향하여 위치되며, 원형 베어링(32) 내에서 회전하는 것이 고려된다.
다양한 실시예는 유도 충전 헤드(16)에 대한 위치로 동일하게 일시적으로 록킹되도록 원형 베어링(32)의 이러한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추가로 고려한다. 이를 위해, 원형 베어링(32)은 또한 그 내부 둘레 주위에 복수의 멈춤쇠(41)를 형성한다. 도 2의 Y-Y 축을 따라 취한 도 5b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멈춤쇠(41)는 원형 베어링(32)의 내부 둘레에 대해 압축될 수 있는 한 세트의 방사상으로 향하는 돌출부(42)와 맞물리는 것으로 고려된다. 로터 프레임(30)에 충분한 회전력이 가해지면, 멈춤쇠(41)에 대한 돌출부(42)의 마찰 잠금력이 극복될 수 있어, 원형 베어링(32)이 추가로 회전될 수 있다.
돌출부(42)와 원형 베어링(32)의 접촉을 제외하고, 로터 프레임(30)의 다른 부분과 스테이터 베이스 조립체(38) 사이의 부수적인 접촉만이 이해된다. 도 6은 스테이터 베이스 조립체(38)의 추가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이는 스테이터 베이스 프레임(44) 및 리테이너 허브(46)를 포함한다. 스테이터 베이스 프레임(44)은 바닥 림 부분(48) 및 외부 림 둘레(52)로부터 삽입된 상승된 내부 플랜지 부분(50)을 갖는 환형 구성을 갖는다. 융기된 내부 플랜지 부분(50)으로부터 스테이터 베이스 프레임(4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한 세트의 돌출 플랫폼(54)이 연장된다. 특히, 상승된 내부 플랜지 부분(50) 주위에서 서로 등거리 관계로 이격된 제1 돌출 플랫폼(54a), 제2 돌출 플랫폼(54b) 및 제3 돌출 플랫폼(54c)이 있다. 도 4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플랫폼(54)은 각각 돌출부(42)를 수용하는 각각의 크로스 보어(56)를 형성한다. 돌출 플랫폼(54)은 돌출부(42)가 로터 프레임(30)의 원형 베어링(32)과 접촉하도록 돌출부(42)가 그 범위를 약간 넘어서 연장되도록 상승된 내부 플랜지 부분(50)의 에지를 따라 위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승된 내부 플랜지 부분(50)의 모서리는 원형 베어링(32)과 접촉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상승된 내부 플랜지 부분(50)으로부터 제1트랙 플랫폼(58a), 제2 트랙 플랫폼(58b) 및 제3트랙 플랫폼(58c)을 포함하는 한 세트의 트랙 플랫폼(58)이 연장된다. 따라서, 트랙 플랫폼(58)은 돌출 플랫폼(54)과 교대하며, 각각의 돌출 플랫폼(54)은 하나의 트랙 플랫폼(58)과 다른 트랙 플랫폼(58) 사이에서 원주 중심에 있다. 트랙 플랫폼(58)은 일반적으로 융기된 내부 플랜지 부분(50)의 그것에 대응하는 부분 원호 치수를 갖는 상부 횡 방향 홈(60)을 형성한다.
스테이터 베이스 프레임(44)은 리테이너 허브(46)가 위치되는 중앙 개구(62)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테이너 허브(46)는 하부 림 부분(64a) 및 중간 림 부분(64b) 및 중앙 플랫폼(66)을 갖는 일련의 계단형 플랜지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 디스크이다. 리테이너 허브(46)는 스테이터 베이스 프레임(44)과 축 방향으로 정렬된다. 로터 프레임(30)의 다른 측면, 즉 후방 림(40b)에는 원형 베어링(32)의 중앙 개구(34)를 통해 스테이터 베이스 조립체(38)에 결합되거나 부착되는 스테이터 캡(68)이 있다. 스테이터 캡(68)은 마찬가지로 원형 베어링(32)의 후방 림(40b)과 회전 결합되는 외부 림(70)에 의해 형성된 원형 구성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림(70)은 숄더(72)에 의해 형성되는 반면, 원형 베어링(32)의 후방 림(40b)은 내부 플랜지(74)를 형성하고, 숄더(72)는 내부 플랜지(74)를 향한다. 도 5a는 솔더(72)가 내부 플랜지(74)로부터 약간 분리된 것을 도시하지만, 이들 두 표면은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원형 베어링(32)의 외부 림(70)은 스테이터 베이스 프레임(44)의 트랙 플랫폼(58) 상에 형성된 상부 횡 방향 홈(60)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고 아치형의 레일 세트(76)를 더 포함한다. 이는 스테이터 베이스 프레임(44)과 스테이터 캡(68)의 축 정렬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구상된다.
스테이터 캡(68)이 스테이터 베이스 조립체(38)에 부착되는 제1 방식이 있다. 특히, 스테이터 캡(68)은 그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이격된 보스(78)를 형성한다. 보스(78)는 각각 리테이너 허브(46)의 중앙 플랫폼(66)에 형성된 대응하는 체결구 구멍(80)과 정렬되는 체결구 관통 구멍(79)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5b의 단면도는 보스(78)와 중앙 플랫폼(66) 사이의 관계를 가장 잘 예시한다. 스크류와 같은 패스너가 리테이너 허브 단부 또는 스테이터 캡 단부로부터 삽입되어 리테이너 허브(46)를 스테이터 캡(68)에 고정시킬 수 있다.
스테이터 캡(68)이 스테이터 베이스 조립체(38)에 결합되는 제2 방식으로서는 연장되는 이격된 클립(82)의 세트가 있다. 도 5b를 특히 참조하면, 클립(82)은 스테이터 베이스 프레임(44)의 바닥 립(88)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후크 부분(86)을 갖는 웨지 단부(84)에 의해 형성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승된 내부 플랜지 부분(50)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트랙 플랫폼(58)은 융기된 내부 플랜지 부분(50)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그것의 대향하는 단부에서, 푸트(foot)(90)는 수평 및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두개의 푸트(90) 사이의 개구는 클립(82)이 삽입되는 곳이다. 웨지 단부(84)는 트랙 플랫폼(58)의 내부 림에 대해 눌려 질 때 구부러지고, 일단 후크 부분(86)이 트랙 플랫폼(58)의 바닥을 비운 후, 후크 부분(86)이 그에 고정된 상태에서 바닥 립(88)에 대해 뒤로 스냅된다. 따라서, 클립(82)의 원주 폭은 스테이터 베이스 프레임(44) 상에 형성된 2개의 푸트(90) 사이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 신장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 선을 따라, 각 클립(82)의 상대 위치는 트랙 플랫폼(58)의 각각의 푸트(90) 사이에 형성된 개구(92)와 일치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스테이터 캡(68)의 후면에는 전술한 구조적 마운트 인터페이스(26)가 마운트(장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이터 캡(68)은 전술한 보스(78) 및 클립(82)이 연장되는 내부 측면(94) 및 대향된 외부 측면(96)에 의해 형성된다. 스테이터 캡(68)의 중심은 스토킹(28)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마운팅 리세스(98)를 형성한다. 내부 측면(94)은 내부 측면(94)으로부터 외부 측면(96)으로 연장되는 중심 관통 구멍(102)을 갖는 다른 보스(100)를 형성한다. 쓰레드 파스너(104)는 내부 측면(94)으로부터 삽입되고, 구조적 장착 인터페이스에서 암나사와 맞물린다. 나사식 체결 구(104)의 헤드(105)는 보스(100)에 대해 압축되어, 구조적 마운트 인터페이스(26)를 스테이터 캡(68)에 결합시킨다.
도 4b를 참조하면, 리테이너 허브(46)에도 파워 인터커넥트 인터페이스(106)가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인터커넥트 인터페이스(106)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일 수 있다. 바람직하지만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전력 상호 접속 인터페이스(106)는 USB 타입 C 소켓이지만, 타입 C, 미니 타입 B 및 마이크로 타입 B와 같은 임의의 USB 포트 소켓 타입이 이용될 수 있다. 스테이터 베이스 조립체(38)와 스테이터 캡(68)이 함께 로터 프레임(30)을 사이에 두고 부착되면, 전력 상호 접속 인터페이스(106)는 스테이터 캡(68)의 내부 측면(96)을 향해 위치된다. 도 4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 캡(68)에 의해 형성되는 것은 바닥을 향한 개구(108)이다. 또한 전력 상호 접속 인터페이스(106)를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결합 플랫폼(110)이 있을 수 있다.
전력 상호 접속 인터페이스(106)의 전력 전송 핀은 리테이너 허브(46)의 바닥에 장착된 인쇄 회로 기판(1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12)은 전술한 전력 변환 유닛, 통신 및 제어 유닛 등과 같은 Qi 충전 시스템의 구현에 이용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리테이너 허브(46)의 내부에 끼워 맞추기 위해, 인쇄 회로 기판(112)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되지만, 이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예일 뿐이다. 인쇄 회로 기판(112)이 리테이너 허브(46)의 하부 림 부분(48) 내에 위치되는 것 외에, 인쇄 회로 기판(112)은 도 5a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장착 보드(114)에 장착된다. 원형 마운팅 보드(114)에 관한 추가 세부 사항은 아래에서 고려될 것이다.
도크(10)는 유도 충전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유도 충전 헤드(16)는 이를 위한 충전 코일 조립체(11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충전 코일 조립체(116)는 유도 코일(118) 및 유도 코일(118)이 장착되는 코일 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코일 프레임(120)은 전자기장이 생성되는 동안 간섭을 피하기 위해 유도 코일(118)을 인쇄 회로 기판(112)으로부터 기계적으로 그리고 어느 정도 전자 기적으로 격리시킨다. 유도 코일(118)의 단부는 인쇄 회로 기판(112)에 장착된 충전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크(10)의 실시예는 Qi 무선 충전 표준을 구현할 수 있고, 따라서 유도 코일(118)의 크기 및 구성을 마찬가지로 이에 상응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유도 코일(118)의 노출된 와이어는 유도 충전 헤드(16)의 전면을 향해 배치되어 대응하는 유도 충전 수신기로의 전력 전달을 최대화할 수 있다. 유지 목적을 위해 유도 코일(118)의 전방에 원형 구성을 갖는 보호 시트 패널(122)이 있을 수 있다.
유도 충전 헤드(16)는 충전 코일 조립체(116) 위에 장착되고 스테이터 베이스 조립체(38)에 결합된 헤드 커버(124)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 커버(124)와 스테이터 베이스 조립체 사이에 커넥터 베젤(126)이 있을 수 있다. 커넥터 베젤(126)은 인쇄 회로 기판(112) 상에 조명 드라이버,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와 광 통신하는 도광체로서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 베젤(126)은 색상과 펄스 패턴이 변하는 상이한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12)가 능동적으로 충전되는 동안 커넥터 베젤(126)은 적색으로 깜박일 수 있다. 충전이 완료되면, 커넥터 베젤(126)은 녹색으로 점등될 수 있다. 상이한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다른 출력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크래들 암(14)은 각각 마그넷(15)을 지지하는 공동(128)을 형성한다. 더 상세하게, 제1 또는 상부 크래들 암(14a)은 리셉터클 프레임(132), 좌측 마그넷 슬롯(134a) 및 우측 마그넷 슬롯(134b)에 의해 형성되는 제1마그넷 리셉터클(130)에 수용 가능하다. 좌측 마그넷 슬롯(134a) 내에 좌측 마그넷(15a)이 수용되고, 우측 마그넷 슬롯(134b) 내에 우측 마그넷(15b)이 수용된다. 제1 마그넷 리셉터클(130a)은 통합된 암 필렛 커버(136)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만, 이는 암 필렛 커버(136)가 분리된 다른 실시예에서 예시될 바와 같이 선택적 사항이다. 암 필렛 커버(136)는 스테이터 베이스 조립체(38)의 외부 곡률에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방 마그넷 커버(138)는 각각의 마그넷 슬롯(134) 내에 마그넷(15)을 둘러싸고 있다. 리셉터클 프레임(132), 마그넷(15) 및 후방 마그넷 커버(138)를 포함하는 조립체는 제1 공동(128a) 내에 배치되고, 제1 암 커버(140a)는 상부 크래들 암(14a)에 부착된다.
제2 또는 하부 크래들 암(14b)은 전술한 제1 마그넷 리셉터클(130a)의 리셉터클 프레임(132)과 약간 다르게 구성된 리셉터클 프레임(142)에 의해 형성된 제2 마그넷 리셉터클(130b)에 맞물릴 수 있다. 즉, 통합된 암 필렛 커버는 없지만 분리 가능한/분리된 암 필렛 커버(144)가 존재한다. 제2 마그넷 리셉터클(130b)은 마찬가지로 좌측 마그넷(15a)을 수용하는 좌측 마그넷 슬롯(146a) 및 우측 마그넷(15b)을 수용하는 우측 마그넷 슬롯(146b)을 각각 포함한다. 제2 마그넷 리셉터클(130b), 마그넷(15) 및 후면 마그넷 커버(138)의 조립체는 암 플랫폼(148)에 장착된다. 차례로, 암 플랫폼(148)은 제2 크래들 암(14b)에 부착된다. 제2마그넷 리셉터클(130b)에 마운트되는 것은제2암 커버(140b)이다.
크래들 암(14), 구체적으로 그에 부착된 암 커버(140)는 각각 마운트될 때 모바일 장치(12)의 마그네틱 마운트 결합 지점(22)과 접촉하는 장치 결합 표면(150)을 형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암 커버(140)는 마그네틱 마운트 맞물림 지점(22)에 마찰 유지력을 부여할 수 있는 비-스크래치, 가요성 및/또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유도 충전 헤드(16)는 또한 헤드 페이스(152)를 형성한다. 그러나, 헤드 페이스(152)는 모바일 장치(12)의 커버와 접촉하고 약간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헤드 페이스(152)는 암 커버(140)의 장치 결합면(150)으로부터 다시 설정되거나, 대안적으로, 장치 결합면(150)은 헤드면(152)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된다. 로터 프레임(30)에 마운트될 때, 유도 충전 헤드(16)로부터의 마찰 저항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헤드 페이스(152)는 무선 충전 전력이 모바일 장치(12)로 전달되도록 하는 전자기 상호 작용을 여전히 달성하기 위해 유도 충전 수신기(20)에 충분히 근접한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세부 사항은 단지 예로서 그리고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대한 예시적인 논의를 목적으로 하며, 원리 및 개념적 측면의 가장 유용하고 쉽게 이해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것을 제공하는 원인으로 제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필요한 것보다 더 구체적으로 세부 사항을 보여 주려는 시도는 없고, 도면과 함께 설명은 본 개시의 몇몇 형태가 실제로 구현될 수 있는 방법을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한다.

Claims (20)

  1.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에 있어서, 도크는
    구조적 마운트 인터페이스가 부착된 스테이터 캡;
    중앙 개구에 의해 형성된 원형 베어링, 및 원형 베어링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 마그넷 지지 암을 갖는 로터 프레임;
    로터 프레임이 원형 베어링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로터 프레임의 중앙 개구를 통해 스테이터 캡에 결합된 스테이터 베이스;
    스테이터 베이스에 마운트된 유도 충전 코일; 및
    한 쌍의 대향 마그넷 지지 암의 각각에 마운트된 하나 이상의 영구 마그넷을 포함하는,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
  2. 제1항에 있어서,
    원형 베어링은 내부 원주 둘레에 복수의 멈춤쇠를 형성하는,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
  3. 제2항에 있어서,
    스테이터 베이스는 외주 둘레에 이격된 하나 이상의 방사상으로 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각 돌출부는 스테이터 베이스 내에서 로터 프레임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원형 베어링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멈춤쇠 중 하나에 결합될 수 있는,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
  4. 제1항에 있어서,
    원형 베어링은 내부 원주 플랜지를 형성하고; 그리고
    스테이터 캡은 원형 베어링의 내부 원주 플랜지와 슬라이딩 회전 결합으로 림을 형성하는,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
  5. 제1항에 있어서,
    스테이터 베이스는 스테이터 캡에 부착된 리테이너 허브를 더 포함하는,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
  6. 제1항에 있어서,
    스테이터 베이스에 부착되고 유도 충전 코일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포함하는 전력 상호 접속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
  7. 제6항에 있어서,
    전력 상호 접속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인,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
  8. 제6항에 있어서,
    전력 상호 접속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인쇄 회로 기판은 유도 충전 코일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유도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
  9. 제8항에 있어서,
    유도 충전 회로에 연결된 표시등을 더 포함하고, 유도 충전 회로에 의해 평가되는 대응하는 충전 회로 상태에 응답하여 표시등 상에 미리 정의된 출력이 생성되는,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
  10. 제9항에 있어서,
    스테이터 베이스에 부착되고 표시등과 광 통신하는 도광 베젤을 더 포함하는,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
  11. 제1항에 있어서,
    유도 충전 코일에 부착되고 스테이터 면을 형성하는 스테이터 커버; 및
    한 쌍의 대향 마그넷 지지 암 각각에 부착되고 장치 결합면을 형성하는 마그네틱 커버를 더 포함하는,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
  12. 제11항에 있어서,
    장치 결합면은 스테이터 면보다 바깥쪽으로 연장된,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
  13. 제1항에 있어서,
    구조적 마운트 인터페이스는 구조물에 고정된 대응 조인트 소켓에 결합될 수 있는 조인트 볼을 포함하는, 유도 충전기의 회전 가능한 도크.
  14. 유도 충전 수신기와 하나 이상의 결합 지점을 갖는 전자 장치용 마그네틱 마운트에 있어서, 마그네틱 마운트는
    유도 충전 수신기가 유도 코일과 축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에 유도 충전 전류를 전달하는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정적 유도 충전 헤드; 및
    정적 유도 충전 헤드와 회전 결합되는 원형 프레임, 및 영구 마그넷이 전자 장치 상의 하나 이상의 결합 지점과 자기적으로 결합하도록 마운트되는 하나 이상의 마그넷 지지 암을 갖는 후면 판을 포함하는, 유도 충전 수신기와 하나 이상의 결합 지점이 있는 전자 장치용 마그네틱 마운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정적 유도 충전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구조적 마운트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유도 충전 수신기와 하나 이상의 결합 지점이 있는 전자 장치용 마그네틱 마운트.
  16. 제14항에 있어서,
    원형 프레임은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갖는 플랜지가 있는 중앙 개구에 의해 형성되는, 유도 충전 수신기와 하나 이상의 결합 지점이 있는 전자 장치용 마그네틱 마운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정적 유도 충전 헤드는 원형 프레임의 전방 단부를 향하고 전방 단부와 회전 결합하는 스테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그리고 스테이터 베이스에 결합되는 스테이터 캡이 원형 프레임의 후방 단부를 향하며, 그리고 원형 프레임과 회전 결합되는, 유도 충전 수신기와 하나 이상의 결합 지점이 있는 전자 장치용 마그네틱 마운트.
  18. 제14항에 있어서,
    정적 유도 충전 헤드에 부착되고 유도 코일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포함하는 전력 상호 접속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유도 충전 수신기와 하나 이상의 결합 지점이 있는 전자 장치용 마그네틱 마운트.
  19. 제14항에 있어서,
    정적 유도 충전 헤드는 전면을 형성하고;
    마그넷 지지 암은 각각 장치 결합 면을 형성하며; 그리고
    정적 유도 충전 헤드의 전면은 마그넷 지지 암의 장치 결합면으로부터 후방에 위치되는, 유도 충전 수신기와 하나 이상의 결합 지점이 있는 전자 장치용 마그네틱 마운트.
  20. 제14항에 있어서,
    원형 프레임은 내부 둘레 주위에 복수의 멈춤쇠를 형성하고; 그리고
    정적 유도 충전 헤드는 외주 주위에 이격된 하나 이상의 방사상으로 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각 돌출부는 백 플레이트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원형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멈춤쇠 중 하나에 결합할 수 있는, 유도 충전 수신기와 하나 이상의 결합 지점이 있는 전자 장치용 마그네틱 마운트.
KR1020190171263A 2018-12-31 2019-12-19 회전 가능한 마그네틱 마운트를 갖는 유도 충전기 KR202000832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87154P 2018-12-31 2018-12-31
US62/787,154 2018-12-31
US16/238,379 2019-01-02
US16/238,379 US11011921B2 (en) 2018-12-31 2019-01-02 Inductive charger with rotatable magnetic mou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248A true KR20200083248A (ko) 2020-07-08

Family

ID=6880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263A KR20200083248A (ko) 2018-12-31 2019-12-19 회전 가능한 마그네틱 마운트를 갖는 유도 충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011921B2 (ko)
EP (1) EP3675317B1 (ko)
JP (1) JP2020110038A (ko)
KR (1) KR20200083248A (ko)
CN (1) CN111384750A (ko)
CA (1) CA30307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5153B2 (en) * 2017-11-01 2021-02-09 Joseph Todrzak Device for mobile device temperature control
USD969259S1 (en) * 2020-06-19 2022-11-08 Xiaowei Chen Magnetic gun mount
USD968125S1 (en) * 2020-06-19 2022-11-01 Xiaowei Chen Magnetic gun mount
US20220045527A1 (en) * 2020-08-05 2022-02-10 Apple Inc. Magnetically attachable charging devices
WO2022040946A1 (zh) * 2020-08-25 2022-03-03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手持云台、负载连接件、云台组件和快拆连接组件
WO2022140501A1 (en) * 2020-12-23 2022-06-30 Velocity Magnetics,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using ultra-capacitors
KR102539844B1 (ko) * 2021-01-08 2023-06-07 (주)주파집 방향 전환 구조의 충전기
WO2022160126A1 (zh) * 2021-01-27 2022-08-04 广东高普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支架以及智能拍摄系统
DE102021108726B3 (de) 2021-04-08 2022-08-04 memperience GmbH Fotobuch mit Medienwiedergabe
CN115447661A (zh) * 2021-06-08 2022-12-09 操纵技术Ip控股公司 柔性电机安装件
KR20240027009A (ko) * 2021-07-20 2024-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멀티 코일 무선 충전 시스템
WO2023080681A1 (ko) * 2021-11-05 2023-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멀티 코일 무선 충전 시스템
US11945371B2 (en) * 2021-12-08 2024-04-02 1LSS Inc. Fixed angle car mount for a mobile device
USD1024048S1 (en) * 2022-06-28 2024-04-23 Annex Products Pty Ltd Mounting head
USD1024049S1 (en) * 2022-06-28 2024-04-23 Annex Products Pty Ltd Mounting head
USD998745S1 (en) * 2023-03-31 2023-09-12 Meiqin Chu Gun magnet

Family Cites Families (1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9277A (en) 1965-06-02 1967-07-04 Orlando A Gaudino Coin, key and paper holder mountable on dashboard
US3642122A (en) 1969-10-13 1972-02-15 Dennis W Henderson Receptacle and retainer means
USD306396S (en) 1987-03-05 1990-03-06 Donald Brushaber Adjustable mooring bracket
USD317697S (en) 1988-08-22 1991-06-25 Quick Point, Inc. Combined coaster and cup cover
USD327840S (en) 1989-09-29 1992-07-14 Fairchild Industrial Products Company Flexible leaf suspension spring
US5213240A (en) 1991-05-06 1993-05-25 H. Dietz & Company, Inc. Magnetic tool holder
US5369565A (en) 1991-10-04 1994-11-29 Innova Electronics Corp. Modular power supply system
USD362230S (en) 1994-03-31 1995-09-12 SKM Corporation Car battery plug
USD362657S (en) 1994-06-17 1995-09-26 Oki Electric Cable Co., Ltd. Vehicle power adapter with voltage dropper
ITAN960024A1 (it) 1996-06-27 1997-12-29 Prisma Di Tarulli Dario Supporto magnetico universale per sostenere un telefono cellulare
USD398796S (en) 1996-11-22 1998-09-29 Uniclip As Mountable holding device for securing automotive accessories
GB2325377A (en) 1997-05-16 1998-11-18 Northern Telecom Ltd A method of installing and aligning an antenna using an adjustable mount
DE19800174C2 (de) 1998-01-05 2000-08-31 Herbert Richter Halterung
US6594051B1 (en) 1998-03-31 2003-07-15 Radix Micro Devices Plc Data communication system for hand-held computers
JP2000231910A (ja) 1999-02-12 2000-08-22 Tookado:Kk 電池パックの取り付け構造
KR19990022405U (ko) 1999-02-12 1999-07-05 김영훈 휴대폰홀더
US6305656B1 (en) 1999-02-26 2001-10-23 Dash-It Usa Inc. Magnetic coupler and various embodiments thereof
US6135408A (en) 1999-06-19 2000-10-24 Richter; Herbert Mobile telephone holder
US6888940B1 (en) 2000-04-12 2005-05-03 Daniel Deppen Magnetic holder for cell phones and the like
TW468410U (en) 2001-01-03 2001-12-11 Ying-Kai Jau Assembly of eyeglass case and its seat
US6502727B1 (en) 2001-07-26 2003-01-07 Daniel Decoteau Device and method for holding a handheld object
USD479196S1 (en) 2002-04-16 2003-09-02 Jen Hsieh Shih Plug for a vehicle
US7431251B2 (en) 2003-03-27 2008-10-07 Carnevali Jeffrey D Magnetic mounting platform
USD551058S1 (en) 2003-03-27 2007-09-18 Carnevali Jeffrey D Magnetic mounting platform
US7374142B2 (en) 2003-03-27 2008-05-20 Carnevali Jeffrey D Magnetic mounting apparatus
USD489578S1 (en) 2003-09-03 2004-05-11 Peng Hsiang Lai Lighted coaster
US7286881B2 (en) * 2003-10-02 2007-10-23 Medtronic, Inc. External power source having an adjustable magnetic core and method of use
US7481404B2 (en) 2003-10-31 2009-01-27 Carnevali Jeffrey D Flexible support arm
USD521850S1 (en) 2003-11-20 2006-05-30 Panavise Products, Inc. Window grip
USD530333S1 (en) 2004-02-03 2006-10-17 Herbert Richter Article support device
USD552454S1 (en) 2004-08-27 2007-10-09 Custom Plastics, Inc. Monitor support
US7021593B1 (en) 2004-10-26 2006-04-04 Eagle Fan Vacuum suction apparatus
USD543439S1 (en) 2005-03-08 2007-05-29 Paul Brassard Pedestal mount
US20060290654A1 (en) 2005-06-06 2006-12-28 Chin-Yang Wang Holder for electronic apparatus
US7480138B2 (en) 2005-06-30 2009-01-20 Symbol Technologies, Inc. Reconfigurable mobile device docking cradle
US7219867B2 (en) 2005-07-14 2007-05-22 Garmin Ltd. Mount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US20070018064A1 (en) 2005-07-20 2007-01-25 Chin-Yang Wang Holder
USD662491S1 (en) 2005-09-02 2012-06-26 Apple Inc. Docking station
USD565937S1 (en) 2006-01-26 2008-04-08 Kohler Co. Support
USD554984S1 (en) 2006-02-08 2007-11-13 Johan Stenberg Spring
USD553959S1 (en) 2006-02-14 2007-10-30 Paul Brassard Single connector windshield mount
USD554042S1 (en) 2006-12-08 2007-10-30 Harald Richter Object carrier with exchangable flexible support arm
USD563309S1 (en) 2007-01-05 2008-03-04 Harald Richter Object carrier with exchangeable flexible support arm
USD570836S1 (en) 2007-03-14 2008-06-10 Wen Jye Chen Mobile electronics holder
USD576865S1 (en) 2007-07-02 2008-09-16 Kinpo Electronics, Inc. Suction cup
CN201113495Y (zh) 2007-08-03 2008-09-10 刘昌荣 感应充电器
USD560592S1 (en) 2007-08-30 2008-01-29 Paul Brassard Low-profile, self-adhesive vehicle dashboard mount device holder with easily adjustable and removable pedestal
US20090134838A1 (en) * 2007-11-27 2009-05-28 Puthalath Koroth Raghuprasad Circular self-powered magnetic generator
USD588903S1 (en) 2007-12-24 2009-03-24 Carnevali Jeffrey D Suction cup clamp assembly
USD590835S1 (en) 2007-12-27 2009-04-21 Harald Richter Apparatus support device holder
USD592205S1 (en) 2007-12-31 2009-05-12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Electronic device mount
USD677709S1 (en) 2011-10-27 2013-03-12 Avaak, Inc. Electronic device mount
US8083370B2 (en) 2008-05-09 2011-12-27 The Sloan Company, Inc. Low profile extrusion
USD600991S1 (en) 2008-06-18 2009-09-29 Chin-Tsai Lai Handle of a ratchet screwdriver
US8054042B2 (en) 2008-08-11 2011-11-08 Griffin Technology, Inc. Modular power supply
TW201018098A (en) 2008-10-29 2010-05-01 bi-fen Lin Remote control and an attracting plate thereof
US8242741B2 (en) * 2008-12-18 2012-08-14 Motorola Mobility Llc Systems, apparatus and devices for wireless charging of electronic devices
US20110192857A1 (en) 2008-12-18 2011-08-11 Wayne Philip Rothbaum Magnetically Attached Accessories (For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s Device
USD609644S1 (en) 2009-02-20 2010-02-09 Beyond Electronics Inc. Piggyback dual car charger
USD603322S1 (en) 2009-05-26 2009-11-03 Usa Wireless Solutions Windshield mounting assembly for handheld GPS device
KR20110034773A (ko) * 2009-09-29 201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성 결합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기
US8400104B2 (en) 2010-04-06 2013-03-19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Gangable inductive battery charger
USD671074S1 (en) 2010-04-16 2012-11-20 Fujikura Ltd. Charging connector for electric vehicle
CN101881367B (zh) 2010-07-13 2013-05-22 广东铁将军防盗设备有限公司 支架协调结构
USD656899S1 (en) 2010-09-24 2012-04-03 Brad Webb Mobile vehicle dual power adapter
US20130187020A1 (en) 2010-11-17 2013-07-25 Octa Llc Mobile electronic device positioning unit
USD638008S1 (en) 2010-11-27 2011-05-17 Harald Richter Suction cup apparatus holder
CN202042680U (zh) 2010-12-11 2011-11-16 张志平 一种装有无线感应充电模块的电源插座
TWI432347B (zh) 2011-03-11 2014-04-01 Wistron Corp 可自動調整方位的支架裝置,及該支架裝置與電子裝置的組合
USD681867S1 (en) 2011-03-11 2013-05-07 GE Lighting Solutions, LLC Suspended luminaire
KR20120129488A (ko) 2011-05-20 2012-11-28 (주)에스피에스 마그네틱 커넥팅 장치
US8393584B2 (en) 2011-05-20 2013-03-12 Salih Maurice Burns Apparatus for hold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043827A1 (en) 2011-08-10 2013-02-21 Nathan Daniel Weinstein Portable power charger
USD654874S1 (en) 2011-08-19 2012-02-28 Ever Win International Corporation USB vehicle power adapter
USD670157S1 (en) 2011-08-30 2012-11-06 Arkon Resources, Inc. Windshield suction pedestal
USD656465S1 (en) 2011-09-07 2012-03-27 Ever Win International Corporation Vehicle power adapter
GB201121098D0 (en) 2011-12-07 2012-01-18 Signals It Ltd Modular charging device
CN103166037B (zh) 2011-12-15 2017-02-0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电源
USD719959S1 (en) 2012-05-31 2014-12-23 Nite Ize, Inc. Large socket
US20150207351A1 (en) 2012-07-09 2015-07-23 Google Inc. Mobile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device
USD694249S1 (en) 2012-09-11 2013-11-26 Apple Inc. Stand
USD687441S1 (en) 2012-10-04 2013-08-06 Tony H. Janzen Locking tablet support
USD705211S1 (en) 2013-02-12 2014-05-20 Nokia Corporation Handset cradle
CN203193688U (zh) 2013-02-19 2013-09-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
USD709072S1 (en) 2013-02-26 2014-07-15 Palladium Safety Solutions, Inc. Releasable attachable holder for a computer tablet
USD700175S1 (en) 2013-04-17 2014-02-25 Bell Automotive Products, Inc. Mobile device mounting apparatus
USD713398S1 (en) 2013-04-24 2014-09-16 Custom Accessories Inc. Cell phone holder
KR101451277B1 (ko) 2013-05-23 2014-10-15 송순영 헬멧 장착용 거치대
US20140357094A1 (en) 2013-06-04 2014-12-04 Justin Chiwon Kim Auxiliary battery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WO2014205070A2 (en) 2013-06-18 2014-12-24 Digitecture, Inc. Modular wireless charging station and assembly
USD709066S1 (en) 2013-09-04 2014-07-15 Iottie, Inc. Mount for mobile device
CN203416030U (zh) 2013-09-18 2014-01-29 吴伟 一种usb接口的感应充电器
USD715132S1 (en) 2013-12-12 2014-10-14 Scosche Industries, Inc. Magnetic mounting system with straight stalk
USD718612S1 (en) 2013-12-12 2014-12-02 Scosche Industries, Inc. Magnetic mounting system with angled stalk
US9923392B2 (en) 2014-04-03 2018-03-20 Halo2Cloud, LLC Power charger with charge indicating power button
US9853507B2 (en) * 2014-05-05 2017-12-26 Apple Inc. Self-locating inductive coil
KR101529469B1 (ko) 2014-08-08 2015-06-17 김인규 무선 단말기 거치 겸용 충전 시스템
US9711980B2 (en) 2014-11-25 2017-07-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harging device for removable input modules
JP6485080B2 (ja) * 2015-02-02 2019-03-20 株式会社Ihi コイル装置の取付構造およびコイル装置
US10283984B2 (en) 2015-07-31 2019-05-07 Bretford Manufacturing, Inc. Charging locker
US20170104297A1 (en) * 2015-10-13 2017-04-13 Plugg Home Innovations LLC USB Lamp Base
WO2017069326A1 (ko) 2015-10-21 2017-04-27 권의준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US20170271900A1 (en) 2016-03-21 2017-09-21 Richcom Power LLC Charging system
US10374467B2 (en) * 2016-03-30 2019-08-06 Tdk Corporation Coil unit, wireless power feeding devic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10439411B2 (en) * 2016-04-30 2019-10-08 Lydia Ranjini Narayanasamy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connection by magnetic means
JP7004673B2 (ja) * 2016-06-17 2022-01-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ポータブルデバイス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充電機構
WO2018057717A1 (en) * 2016-09-24 2018-03-29 Radiant Physics Inc. Pressurized gas bearings for rotating machinery
KR101790891B1 (ko) 2016-10-04 2017-10-26 박서우 자석 부착식 무선 충전기
KR101718729B1 (ko) 2016-10-28 2017-03-22 비클시스템주식회사 휴대폰 거치 및 충전 구조
CN206195404U (zh) 2016-11-21 2017-05-24 珠海市古鑫电子科技有限公司 单体座式充电器及组合式座式充电器
US10132482B1 (en) * 2017-05-18 2018-11-20 Richard Redpath Ergonomic torch apparatus
CN108306391B (zh) 2018-03-28 2023-11-07 北京微格互动科技股份有限公司 磁吸充电支架
US10797496B2 (en) 2018-05-02 2020-10-06 Rufus Labs, Inc. Modular charging station
CN109038844B (zh) * 2018-07-24 2020-12-22 深圳市零壹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装置
US10778020B1 (en) 2018-12-04 2020-09-15 Michael K. Torem Multiport portable power b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11921B2 (en) 2021-05-18
CA3030713A1 (en) 2020-06-30
US20210242696A1 (en) 2021-08-05
EP3675317B1 (en) 2022-02-09
US20200212693A1 (en) 2020-07-02
EP3675317A1 (en) 2020-07-01
CN111384750A (zh) 2020-07-07
US11750031B2 (en) 2023-09-05
JP2020110038A (ja)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75317B1 (en) Inductive charger with rotatable magnetic mount
US7868585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US9793746B2 (en) Personal wireless charging systems
US9174121B2 (en) Video game controller charging system having a docking structure
US8868939B2 (en) Portable power supply device with outlet connector
US11509149B2 (en) Modular device charging station
US20180323636A1 (en)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s and ecosystem for surface-based wireless charging system
US201000222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ofitting a broad range of mobile devices to receive wireless power
US20090096415A1 (en) Retention of rechargeable devices
US20160072338A1 (en) Portable wireless power charging sysem
US20090015198A1 (en) Docking and charging station and method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496642B1 (en) Charging connector having a body with a magnetic member
JP2013529365A (ja) ポータブルデバイス用の電力モジュール
US11543856B1 (en) Modular electronic device system
US20220149448A1 (en) Shareable battery pack, trolley, power supply system, and portable ultrasonic system
KR101845832B1 (ko) 아답터 일체형 무선 충전기
KR101879551B1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US20020195991A1 (en) Charger for portable terminal
US20210226459A1 (en) Wireless charger device
CN113454521A (zh) 模块化眼戴设备腿
US20150035479A1 (en) Battery charger
CN220511229U (zh) 耳机充电盒
KR20160072437A (ko) 이동 단말기 거치대
KR20190074929A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WO2014040004A1 (en) Personal wireless charging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