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137A - 배선 구조의 생산 방법, 배선 구조 - Google Patents

배선 구조의 생산 방법, 배선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137A
KR20200080137A KR1020190152400A KR20190152400A KR20200080137A KR 20200080137 A KR20200080137 A KR 20200080137A KR 1020190152400 A KR1020190152400 A KR 1020190152400A KR 20190152400 A KR20190152400 A KR 20190152400A KR 20200080137 A KR20200080137 A KR 20200080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wiring structure
blanket
touch panel
wir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5619B1 (ko
Inventor
아키토시 사카우에
유타카 타케자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with adaptable inter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7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other printing techniques, e.g. letterpress printing, intaglio printing, lithographic printing, offset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05K1/092Dispersed materials, e.g. conductive pastes or in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88Other aspects of conductors
    • H05K2201/0391Using different types of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63Meand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72Layout details of angles or cor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5Patterning and lithography; Masks; Details of resist
    • H05K2203/0502Patterning and lithography
    • H05K2203/0534Offset printing, i.e. transfer of a pattern from a carrier onto the substrate by using an intermediate member

Abstract

도전선으로 형성되는 제1 배선부(100, 130)와, 이 도전선보다 굵은 도전선으로 형성되고 또한 제1 배선부(100, 130)에 접속되는 제2 배선부(81, 82)를 포함하는 배선 구조를, 다음의 공정을 포함하는 오프셋 인쇄 방법으로 만든다. 제1 인쇄 공정: 제1 배선부(100, 130)를 만들기 위한 제1 도전 잉크를 제1 블랭킷으로부터 기부에 전사한다. 제2 인쇄 공정: 제2 배선부(81, 82)를 만들기 위한 제2 도전 잉크를 제1 블랭킷과 상이한 제2 블랭킷으로부터 기부에 전사한다.

Description

배선 구조의 생산 방법, 배선 구조{WIRING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WIRING STRUCTURE}
본 발명은 배선 구조의 생산 방법과 배선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실현되는 배선 구조와 그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
양호한 생산성의 관점에서, 터치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전자 디바이스의 배선 구조가 인쇄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는 미세한 패턴을 가지는 배선 구조의 형성에 적합하다.
도 1, 2a, 2b, 2c는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정전용량식 터치패널(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17-103317호 공보)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터치패널은 투명한 기부(10) 상에 제1 도체층, 절연층, 제2 도체층 및 보호막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가진다. 도 1에서는 센서 전극의 상세한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센서 전극은 제1 센서 전극과 제2 센서 전극을 포함한다. 제1 센서 전극은 제1 도체층에 형성되어 있고, 제2 센서 전극은 제2 도체층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센서 전극은 절연층에 의해 제2 센서 전극으로부터 절연되어 있다.
제1 센서 전극(30)은 센서 영역(20)의 단변(22)과 평행한 Y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전극열(33)을 포함한다. 각 전극열(33)은 센서 영역(20)의 장변(21)과 평행한 X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섬형상 전극(31)과, 복수의 연결부(32)를 포함한다. 각 연결부(32)는 이웃하는 섬형상 전극(31)을 연결한다.
제2 센서 전극(40)은 X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전극열(43)을 포함한다. 각 전극열(43)은 Y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섬형상 전극(41)과, 복수의 연결부(42)를 포함한다. 각 연결부(42)는 이웃하는 섬형상 전극(41)을 연결한다.
제1 센서 전극(30) 및 제2 센서 전극(40)의 각각은 가는 도전선으로 형성된 메시 구조를 가진다. 터치패널을 그 정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센서 전극(30)의 복수의 전극열(33)과 제2 센서 전극(40)의 복수의 전극열(43)은 섬형상 전극(31)과 섬형상 전극(41)이 오버랩하지 않고 또한 연결부(32)와 연결부(42)가 교차하는 상태로 서로 교차하고 있다.
각 전극열(33)의 X방향의 양단의 각각에 프레임선(51)의 일단이 접속하고 있다. 각 전극열(43)의 Y방향의 일단에 프레임선(52)의 일단이 접속하고 있다. 프레임선(51, 52)은 센서 영역(20)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프레임선(51, 52) 중 양단에 위치하는 것만이 도시되어 있다.
직사각형 형상의 기부(10)의 일방의 장변의 중앙 부분에 복수의 단자(53)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선(51, 52)의 타단은 단자(53)에 접속하고 있다. 프레임선(51, 52) 및 단자(53)는 제1 도체층에 형성되어 있다.
도 2c는 도 1에 나타내는 터치패널의 좌하측 각부(角部)에 있어서의 프레임선(51)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프레임선(51, 52)의 각각은 굵은 도전선으로 형성된 단선 구조를 가진다.
도 3a, 3b는 특허문헌 2(일본국 특개 2017-6110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오프셋 인쇄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전자 디바이스의 배선 구조를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로 형성하는 과정에서, 반복 인쇄 중의 인쇄 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는 오프셋 인쇄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오프셋 인쇄 장치는 베이스 유닛(61)과, 인쇄를 위한 판이 설치되는 판 스테이지 유닛(62)과, 판에 잉크 페이스트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 유닛(63)과, 판 스테이지 유닛(62) 상의 잉크 페이스트를 수취하는 블랭킷(64)과, 블랭킷(64)이 감긴 롤러 유닛(65)과, 블랭킷(64)이 수취한 잉크 페이스트가 전사되는 피인쇄체가 설치되는 워크 스테이지 유닛(66)과, 분할형 건조 유닛(67)을 포함한다. 분할형 건조 유닛(67)은 롤러 유닛(65)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분할형 건조 유닛(67)은 블랭킷(64)의 표면과 대향한다. 분할형 건조 유닛(67)은 블랭킷(64)이 흡수한 잉크의 용매를 건조시키기 위한 복수의 LED 광원을 포함한다. LED 광원은 롤러 유닛(65)의 축방향으로 늘어서 있다. 각 LED 광원의 광의 조사량은 독립적으로 변경된다.
오프셋 인쇄 장치는 반복 인쇄 중의 인쇄 품질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인쇄 패턴의 패턴 밀도를 고려하여 반복 인쇄 중의 블랭킷에 있어서의 용매의 농도를 제어한다. 이것은 블랭킷에 잔존해야 할 용매의 농도가 인쇄 패턴의 패턴 밀도에 따라 상이한 것에 기초한다.
구체적으로는 인쇄 패턴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m개의 영역 [i, j](i∈{1, 2, …, n}, j∈{1, 2, …, m})으로 분할하고, 영역마다 패턴 밀도를 구하고, 패턴 밀도에 최적인 광의 조사량을 결정한다. LED 광원은 영역 [i, j]에 최적인 조사량의 광을 블랭킷(64) 상의 당해 영역 [i, j]에 조사한다. 이 결과, 패턴 밀도에 따른 용매의 양이 블랭킷(64)의 당해 영역 [i, j]으로부터 증발한다. 따라서, 패턴 밀도에 관계없이 반복 인쇄 중의 인쇄 품질을 안정시킬 수 있다.
<선행 기술의 분석>
양호한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를 위해, 잉크 중의 용매를 흡수함으로써 팽윤하는 블랭킷의 팽윤량(흡수한 용매의 함유량)이 적정한 범위에 있는 것이 중요하다. 특허문헌 2가 개시하는 오프셋 인쇄 장치는 분할형 건조 유닛을 사용함으로써 영역마다의 팽윤량을 제어한다.
도체층이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터치패널에 있어서, 가는 도전선으로 형성된 메시 구조의 제1 센서 전극(30)의 잉크 밀도(단위면적당 잉크량)는 굵은 도전선으로 형성된 단선 구조의 프레임선(51, 52)의 잉크 밀도와 상이하므로, 메시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의 팽윤 상태는 단선 구조에 대응하는 영역의 팽윤 상태와 크게 상이하다.
도 5는 미사용의 블랭킷을 사용하여, 가는 도전선으로 형성된 메시 구조를 위한 인쇄 패턴의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인쇄 횟수와 블랭킷의 팽윤량과의 관계 및 굵은 도전선으로 형성된 단선 구조를 위한 인쇄 패턴의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인쇄 횟수와 블랭킷의 팽윤량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로부터, 굵은 도전선으로 형성된 단선 구조를 위한 인쇄 패턴의 경우의 팽윤 레이트(=팽윤량/인쇄 횟수)가 가는 도전선으로 형성된 메시 구조를 위한 인쇄 패턴의 경우의 팽윤 레이트보다 현저하게 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팽윤 레이트가 상이한 2종류의 배선 패턴을 1개의 블랭킷으로 동시에 인쇄하는 경우, 양자의 팽윤량이 적정 범위에 있을 때에 한하여 양호한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즉, 양호한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를 실시할 수 있는 인쇄 횟수는 도 5에 있어서 해칭을 붙여 나타낸 범위에 대응하는 인쇄 횟수 N(N=n2-n1)뿐이다.
인쇄 횟수를 증대시킴으로써 블랭킷의 사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상기 서술한 기술이 유용하다. 그러나, 분할형 건조 유닛 등의 장치가 필요하며, 패턴 밀도를 구한다는 번거로운 작업도 필요하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패턴 밀도의 산출 방법, 구체적으로는 1개의 영역의 면적을 S1으로 하고, 당해 영역 중의 인쇄 패턴의 합계 면적을 S2로 하고, 패턴 밀도 D를 D=S2/S1로 산출하는 방법에서는, 가는 도전선으로 형성되는 배선 구조를 위한 인쇄 패턴이 영역의 전체면에 존재하는 경우의 패턴 밀도가, 굵은 도전선으로 형성되는 배선 구조를 위한 인쇄 패턴이 영역의 일부에 존재하는 경우의 패턴 밀도와 거의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단순한 산출 방법으로는 팽윤량의 제어를 적정하게 행할 수 없다는 문제도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랭킷의 높은 사용 효율을 실현하는 인쇄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서술하는 기술 사항은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한정하기 위해서가 아니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이익을 받는 자(예를 들면 출원인과 권리자) 이외의 자에 의한 그러한 한정을 용인할 가능성의 표명도 아니며, 단지 본 발명의 요점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기재된다.
가는 도전선으로 형성되는 배선 구조를 위한 패턴 및 가는 도전선보다 굵은 도전선으로 형성되는 배선 구조를 위한 패턴을 상이한 인쇄 공정으로 인쇄한다. 가는 도전선으로 형성되는 배선 구조를 위한 패턴의 인쇄에서 사용하는 블랭킷은 굵은 도전선으로 형성되는 배선 구조를 위한 패턴의 인쇄에서 사용하는 블랭킷과 상이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팽윤 레이트가 상이한 패턴에 따라 상이한 블랭킷을 사용하므로, 블랭킷의 높은 사용 효율이 실현된다.
도 1은 종래의 터치패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에 나타내는 터치패널의 제1 센서 전극의 상세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나타내는 터치패널의 제2 센서 전극의 상세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c는 도 1에 나타내는 터치패널의 프레임선의 상세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a는 종래의 오프셋 인쇄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종래의 오프셋 인쇄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인쇄 패턴의 분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로 가는 도전선과 굵은 도전선을 반복 인쇄한 경우에 있어서의 인쇄 횟수와 블랭킷의 팽윤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배선 구조의 생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실시형태의 제1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에 있어서의 접속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c는 도 7a에 있어서의 단자의 상세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a는 실시형태의 제2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 있어서의 접속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c는 도 8a에 있어서의 단자의 상세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9a는 도 6의 프레임선 상에 도 7b의 접속부가 올라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9b는 도 6의 프레임선 상에 도 7c의 단자가 올라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9c는 도 6의 프레임선 상에 도 8b의 접속부가 올라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의 생산 방법의 플로우도이다.
실시형태의 요점은 다음과 같다. 가는 도전선으로 형성된 제1 배선부와, 제1 배선부의 도전선보다 굵은 도전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1 배선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2 배선부를 가지는 배선 구조를 오프셋 인쇄로 만드는 과정에서, 제1 배선부를 위한 패턴과 제2 배선부를 위한 패턴을 따로따로 동일한 기부 상에 인쇄하고, 제1 배선부를 위한 패턴의 인쇄에 사용되는 블랭킷이 제2 배선부를 위한 패턴의 인쇄에 사용되는 블랭킷과 상이하다. 배선 구조가 형성된 기부는 프린트 배선판이라고 불리는 일도 있다. 이하, 배선 구조를 가지는 전자 디바이스의 예로서 터치패널을 채용하고,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터치패널은 가는 도전선으로 형성된 메시 구조를 가지는 제1 센서 전극 및 제2 센서 전극과, 제1 센서 전극 또는 제2 센서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프레임선과, 프레임선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를 포함한다. 프레임선은 굵은 도전선이며, 단자는 가는 도전선으로 형성된 메시 구조를 가진다.
제1 센서 전극, 제2 센서 전극, 프레임선 및 단자는 은 등의 도전 입자를 포함하는 도전 잉크를 사용하는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에 의해 형성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배선부가 3회의 인쇄 공정을 통하여 형성된다. 도 6, 7a, 7b, 7c, 8a, 8b, 8c는 각 인쇄 공정에서 형성되는 배선부의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최초의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로 기부(70) 상에 형성되는 프레임선(81, 82)의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센서 영역(90)을 둘러싸는 프레임 영역에 소정의 프레임선(81, 82)의 각각이 굵은 도전선으로서 형성된다. 프레임선(81, 82)의 선 폭은 실시형태에서는 40㎛이다.
도 7a, 7b, 7c는 프레임선(81, 82)이 형성된 기부(70) 상에 2회째의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로 형성되는 배선부의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 인쇄 공정에서, 제1 센서 전극(100)과 제1 더미 배선부(110)가 센서 영역(90)에 형성된다. 제1 센서 전극(100)은 Y방향으로 평행하게 늘어서는 복수의 전극열(103)을 포함한다. 각 전극열(103)은 X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섬형상 전극(101)과 복수의 연결부(102)를 포함한다. 각 연결부(102)는 이웃하는 섬형상 전극(101)을 연결한다. 제1 더미 배선부(110)는 센서 영역(90)에 있어서 제1 센서 전극(100)이 인쇄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형성된다. 제1 센서 전극(100)과 제1 더미 배선부(110) 사이에 간극(121)이 존재하고 있어, 제1 센서 전극(100)과 제1 더미 배선부(110)는 서로 절연되어 있다.
제1 센서 전극(100)과 제1 더미 배선부(110)의 각각은 동일한 메시 구조를 가진다. 이 메시 구조는 동일한 크기의 능형 칸을 가진다. 실시형태에서는 능형 칸의 1변의 길이는 400㎛이며, 메시 구조를 형성하는 가는 도전선의 선 폭은 7㎛이다.
각 전극열(103)의 X방향의 양단에 접속부(104)가 접속하고 있다. 도 7b는 접속부(104)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접속부(104)는 가는 도전선으로 형성된 메시 구조를 가진다. 실시형태에서는 접속부(104)의 칸은 1변의 길이가 20㎛인 정사각형이며, 메시 구조를 형성하는 가는 도전선의 선 폭은 7㎛이다.
기부(70)의 일방의 장변(71)의 중앙 부분을 따라 단자(83)가 배열되어 있다. 도 7c는 단자(83)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단자(83)는 가는 도전선으로 형성된 메시 구조를 가진다. 단자(83)의 메시 구조는 접속부(104)의 메시 구조와 동일하다.
도 8a, 8b, 8c는 도 7a에 나타내는 배선부 상에 3회째의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로 형성되는 배선부의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도 7a에 나타내는 배선부가 형성된 후에 절연층이 형성되고, 이 후에 3회째의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가 실시된다. 이 인쇄 공정에서, 센서 영역(90)에 제2 센서 전극(130)과 제2 더미 배선부(140)가 형성된다. 제2 센서 전극(130)은 X방향으로 평행하게 늘어서는 복수의 전극열(133)을 포함한다. 각 전극열(133)은 Y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섬형상 전극(131)과 복수의 연결부(132)를 포함한다. 각 연결부(132)는 이웃하는 섬형상 전극(131)을 연결한다. 제2 더미 배선부(140)는 센서 영역(90)에 있어서 제2 센서 전극(130)이 인쇄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형성된다. 제2 센서 전극(130)과 제2 더미 배선부(140) 사이에 간극(151)이 존재하고 있어, 제2 센서 전극(130)과 제2 더미 배선부(140)는 서로 절연되어 있다.
제2 센서 전극(130)과 제2 더미 배선부(140)의 각각은 동일한 메시 구조를 가진다. 이 메시 구조는 동일한 크기의 능형 칸을 가진다. 실시형태에서는 이 메시 구조는 제1 센서 전극(100)과 제1 더미 배선부(110)가 가지는 메시 구조와 동일하다.
제1 센서 전극(100) 및 제1 더미 배선부(110)가 가지는 메시 구조의 능형 칸의 1변과 제2 센서 전극(130) 및 제2 더미 배선부(140)가 가지는 메시 구조의 능형 칸의 1변이 양자의 중점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센서 영역(90)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1변의 길이가 200㎛인 능형 칸이 형성되어 있다. 센서 영역(90)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센서 전극(100)의 전극열(103)과 제2 센서 전극(130)의 전극열(133)은 섬형상 전극(101)과 섬형상 전극(131)이 오버랩하지 않고 또한 연결부(102)와 연결부(132)가 교차하는 상태로 서로 교차하고 있다.
각 전극열(133)의 Y방향의 일단에 접속부(134)가 접속하고 있다. 도 8b는 접속부(134)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접속부(134)는 가는 도전선으로 형성된 메시 구조를 가진다. 접속부(134)의 메시 구조는 접속부(104)의 메시 구조와 동일하다.
3회째의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에 있어서도 단자(84)가 형성된다. 도 8c는 단자(84)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단자(83)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 상에 절연층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단자(84)는 단자(83) 상에 직접적으로 올라탄다. 단자(84)의 메시 구조는 단자(83)의 메시 구조와 동일하다. 단자(83)의 칸의 정사각형의 1변과 단자(84)의 칸의 정사각형의 1변이 양자의 중점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 이 때문에, 단자(83, 84)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1변의 길이가 10㎛인 정사각형의 칸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3회의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공정의 각각에서, 서로 상이한 블랭킷이 사용된다.
도 9a, 9b, 9c는 상이한 그라비어 오프셋 인쇄 공정에서 형성되는 배선부가 서로 도통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9a는 프레임선(81)의 일단 상에 접속부(104)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b는 프레임선(81)의 타단 상에 단자(83)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c는 절연층의 구멍(161)으로부터 노출되는 프레임선(82)의 일단 상에 접속부(134)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구멍(161)은 프레임선(82)의 일단에 대응하는 절연층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의 생산 방법은 굵은 도전선으로 형성되는 배선부(예를 들면 단선 구조를 가지는 프레임선)를 만들기 위한 도전 잉크를 제2 블랭킷으로부터 기부에 전사하는 인쇄 공정(S1)과, 가는 도전선으로 형성되는 배선부(예를 들면 메시 구조를 가지는 센서 전극)를 만들기 위한 도전 잉크를 제1 블랭킷으로부터 기부에 전사하는 인쇄 공정(S2)을 포함하고, 제1 블랭킷은 제2 블랭킷과 상이하다.
가는 도전선의 인쇄와 굵은 도전선의 인쇄를 따로따로 행하고, 상이한 블랭킷을 사용함으로써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1) 블랭킷 내에 있어서 불균일한 팽윤 상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분할형 건조 유닛(특허문헌 2 참조)을 사용하여 블랭킷의 팽윤량을 영역마다 제어한다는 번거로운 일이 불필요하다. 또한 블랭킷 1개당의 인쇄 횟수가 증대하므로, 블랭킷의 사용 효율이 증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굵은 도전선의 인쇄에 사용하는 블랭킷에 의하면 양호한 인쇄를 행할 수 있는 인쇄 횟수 N1은 N1=n2-n0이며, 가는 도전선의 인쇄에 사용하는 블랭킷에 의하면 양호한 인쇄를 행할 수 있는 인쇄 횟수 N2는 N2=n3-n1이다. 따라서, 가는 도전선과 굵은 도전선을 동시에 인쇄하는 경우의 인쇄 횟수 N=n2-n1에 비해 현저하게 인쇄 횟수가 증대한다.
또 많은 공수가 필요한 블랭킷의 교환의 횟수를 저감할 수 있어, 인쇄 사이클 타임(print cycle time)을 단축할 수 있다.
(2) 가는 도전선을 인쇄하는 공정과 굵은 도전선을 인쇄하는 공정은 따로따로의 공정이므로, 서로 상이한 도전 잉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하는 도전 잉크의 용매량을 각 인쇄 공정에서 최적화할 수 있다. 블랭킷의 경도 등도 각 인쇄 공정에서 최적화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선의 인쇄 공정을 먼저 행하고, 센서 영역의 배선부의 인쇄 공정을 나중에 행함으로써, 센서 영역의 미세한 패턴을 가지는 배선부가 프레임선의 인쇄 공정에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터치패널에 있어서의 각 배선부를 형성하는 순서는 예를 들면 도 7의 배선부→절연층→도 6의 배선부→도 8의 배선부의 순서여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허용된다. 선택된 또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천적 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 또는 변형을 수반하여 다양한 실시 형태로 사용되며, 다양한 변경 또는 변형은 예상되는 용도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한 변경 및 변형 모두는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의도되며, 공정하게, 적법하게 또한 공평하게 주어진 범위에 따라 해석되는 경우에 동일한 보호가 부여되도록 의도된다.
10…기부 20…센서 영역
21…장변 22…단변
30…제1 센서 전극 31…섬형상 전극
32…연결부 33…전극열
40…제2 센서 전극 41…섬형상 전극
42…연결부 43…전극열
51, 52…프레임선 53…단자
61…베이스 유닛 62…판 스테이지 유닛
63…잉크 공급 유닛 64…블랭킷
65…롤러 유닛 66…워크 스테이지 유닛
67…분할형 건조 유닛 70…기부
71…장변 81, 82…프레임선
83, 84…단자 90…센서 영역
100…제1 센서 전극 101…섬형상 전극
102…연결부 103…전극열
104…접속부 110…제1 더미 배선부
121…간극 130…제2 센서 전극
131…섬형상 전극 132…연결부
133…전극열 134…접속부
140…제2 더미 배선부 151…간극
161…구멍

Claims (10)

  1. 도전선으로 형성되는 제1 배선부와, 상기 도전선보다 굵은 도전선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배선부에 접속되는 제2 배선부를 포함하는 배선 구조를, 도전 잉크를 기부에 오프셋 인쇄함으로써 만드는 배선 구조의 생산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배선부를 만들기 위한 제1 도전 잉크를 제1 블랭킷으로부터 상기 기부에 전사하는 제1 인쇄 공정과,
    상기 제2 배선부를 만들기 위한 제2 도전 잉크를 상기 제1 블랭킷과 상이한 제2 블랭킷으로부터 상기 기부에 전사하는 제2 인쇄 공정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구조의 생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 잉크가 상기 제2 도전 잉크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구조의 생산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 공정이 상기 제2 인쇄 공정 뒤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구조의 생산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 공정이 상기 제2 인쇄 공정 뒤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구조의 생산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구조는 터치패널에서 사용되는 배선 구조이고,
    상기 제1 배선부는 상기 터치패널의 센서 영역에 형성되는 배선부이고,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센서 영역의 주위에 형성되는 배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구조의 생산 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구조는 터치패널에서 사용되는 배선 구조이고,
    상기 제1 배선부는 상기 터치패널의 센서 영역에 형성되는 배선부이고,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센서 영역의 주위에 형성되는 배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구조의 생산 방법.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구조는 터치패널에서 사용되는 배선 구조이고,
    상기 제1 배선부는 상기 터치패널의 센서 영역에 형성되는 배선부이고,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센서 영역의 주위에 형성되는 배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구조의 생산 방법.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구조는 터치패널에서 사용되는 배선 구조이고,
    상기 제1 배선부는 상기 터치패널의 센서 영역에 형성되는 배선부이고,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센서 영역의 주위에 형성되는 배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구조의 생산 방법.
  9. 도전선으로 형성된 제1 배선부 및 상기 도전선보다 굵은 도전선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배선부에 접속된 제2 배선부를 포함하는 배선 구조로서,
    상기 제1 배선부와 상기 제2 배선부가 서로 접속된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부 상에 상기 제1 배선부가 직접적으로 올라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구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구조는 터치패널에서 사용되는 배선 구조이고,
    상기 제1 배선부는 상기 터치패널의 센서 영역에 형성되는 배선부이고,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센서 영역의 주위에 형성되는 배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구조.
KR1020190152400A 2018-12-26 2019-11-25 배선 구조의 생산 방법, 배선 구조 KR102325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41999 2018-12-26
JP2018241999A JP7195917B2 (ja) 2018-12-26 2018-12-26 タッチパネルの生産方法、配線パターンの生産方法、タッチパネル及び配線パター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137A true KR20200080137A (ko) 2020-07-06
KR102325619B1 KR102325619B1 (ko) 2021-11-12

Family

ID=7112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400A KR102325619B1 (ko) 2018-12-26 2019-11-25 배선 구조의 생산 방법, 배선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093095B2 (ko)
JP (1) JP7195917B2 (ko)
KR (1) KR102325619B1 (ko)
CN (1) CN111381709A (ko)
TW (1) TWI7216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8201A (zh) * 2020-09-23 2022-03-29 天材创新材料科技(厦门)有限公司 叠构结构的制备方法、叠构结构及触控传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463A (ko) * 2009-10-23 201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20150041302A1 (en) * 2012-03-28 2015-02-12 Nissha Printing Co., Ltd.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s well as transfer ribbon for touch sensor manufacturi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6549A (ja) * 1996-09-19 1998-04-0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ブランケット、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KR101309861B1 (ko) * 2006-06-30 2013-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쇄 장치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및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KR101140997B1 (ko) * 2010-05-14 2012-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단층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JP2013208862A (ja) * 2012-03-30 2013-10-10 Fujitsu Component Ltd 導電パターンが積層された積層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積層構造体を備えるタッチパネル
WO2013161997A1 (ja) 2012-04-26 2013-10-31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透明導電基板の製造方法、透明導電基板及び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JP6112501B2 (ja) * 2012-10-05 2017-04-12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グラビアオフセット印刷機
KR102130592B1 (ko) * 2013-09-09 2020-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패널, 그리고 터치 패널용 도전층의 제조 방법
US9448672B2 (en) 2013-12-20 2016-09-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ouch panel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TWI612448B (zh) * 2013-12-20 2018-01-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US10394398B2 (en) * 2015-02-27 2019-08-27 Fujikura Ltd. Wiring body, wiring board, wiring structure, and touch sensor
JP6346584B2 (ja) * 2015-03-31 2018-06-20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061107A (ja) 2015-09-25 2017-03-30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オフセット印刷装置及び、オフセット印刷方法
JP6692634B2 (ja) 2015-12-01 2020-05-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6537960B2 (ja) 2015-12-01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絶縁層の形成方法、電子デバイスの生産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
JP2017107439A (ja) * 2015-12-10 2017-06-15 凸版印刷株式会社 フィルムセンサーモジュール及びフィルムセンサーモジュール用のフレキシブル基板
JP2018063578A (ja) 2016-10-13 2018-04-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印刷配線の製造方法
JP6348241B1 (ja) * 2017-02-14 2018-06-27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グラビアオフセット印刷用導電性ペースト、導電性パターンの形成方法、及び、導電性基板の製造方法
JP6386119B2 (ja) * 2017-03-07 2018-09-05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グラビアオフセット印刷機
JP2019046405A (ja) 2017-09-07 2019-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4463A (ko) * 2009-10-23 201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20150041302A1 (en) * 2012-03-28 2015-02-12 Nissha Printing Co., Ltd.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s well as transfer ribbon for touch sensor manufactu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95917B2 (ja) 2022-12-26
US20210240306A1 (en) 2021-08-05
JP2020106881A (ja) 2020-07-09
TWI721671B (zh) 2021-03-11
US20200210023A1 (en) 2020-07-02
CN111381709A (zh) 2020-07-07
US11301104B2 (en) 2022-04-12
KR102325619B1 (ko) 2021-11-12
TW202024885A (zh) 2020-07-01
US11093095B2 (en)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2705B2 (en) Electroconductive film
US9167688B2 (en) Micro-wire pattern for electrode connection
US9137893B2 (en) Micro-wire electrode buss
US20140209355A1 (en) Large-current micro-wire pattern
CN109643189B (zh) 印刷布线
CN109753194A (zh) 触控面板的生产方法
CN114222663B (zh) 用于在丝网印刷方法中使用的丝网印版、丝网印刷装置和丝网印刷方法
JP2014099570A (ja) 配線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センサシートならびにスクリーン印刷版
US9107316B2 (en) Multi-layer micro-wire substrate structure
US11301104B2 (en) Wiring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wiring structure
JP2017103317A (ja) 印刷配線、タッチパネル、電子デバイス及び印刷配線の生産方法、タッチパネルの生産方法
CN106054516A (zh) 一种掩膜板、阵列基板、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US11029791B2 (en) Touch panel including a layered structure with first and second mesh terminal layers directly overlaid on each other and touch panel production method
JP6498816B2 (ja) 印刷配線の製造方法
US11711895B2 (en) Wiring board production method and wiring board
CN114003144B (zh) 一种触控结构、触控显示装置和制作方法
CN213814632U (zh) 透明导电电极及具有其的触控屏和电子设备
CN219903740U (zh) 一种网版结构以及印刷设备
JP2017159478A (ja) 配線パターンの形成方法、電子デバイスの生産方法、印刷配線、電子デバイス及びグラビア版
CN106608122A (zh) 采用柔性版印刷的绝缘膜的形成方法及柔性版印刷版
KR20140092707A (ko) 도금 장치 및 도금 방법
JP2837300B2 (ja) 制御グリッドの形成方法
JPH0552879U (ja) 蛍光表示管
JPS58148494A (ja) 放電表示装置の電極形成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