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549A - 스테이터, 모터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테이터, 모터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549A
KR20200079549A KR1020207017445A KR20207017445A KR20200079549A KR 20200079549 A KR20200079549 A KR 20200079549A KR 1020207017445 A KR1020207017445 A KR 1020207017445A KR 20207017445 A KR20207017445 A KR 20207017445A KR 20200079549 A KR20200079549 A KR 20200079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tator
hollow
cylindrical
mold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382B1 (ko
Inventor
하루유키 하세가와
후미아키 츠치야
도시히로 다나카
도모히사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79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2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with slots
    • H02K15/026Wound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2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stators axially facing the rotor, i.e. with axial or conical air ga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56Manufacturing winding connections
    • H02K15/0068Connecting winding sections; Forming leads; Connecting leads to termin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2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with slots
    • H02K15/02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with slots for fastening to casing or support, respectively to shaft or hu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8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2Impregnating, heating or drying of windings, stators, rotors or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08Insulating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Abstract

스테이터(100)는, 인슐레이터(4)와, 권선(7)과, 스테이터 코어(2)와, 스테이터(100)의 전기적 접속이 행해지는 통 모양의 중공 단자(3)와, 스테이터 코어(2)와 중공 단자(3)의 외주면을 덮는 수지성의 성형재(5)를 구비한다. 중공 단자(3)의 내주면은, 성형재(5)로부터 노출되고, 중공 단자(3)의 일단으로부터 성형재(5)의 외부로 개구되어 있다. 스테이터(100)에 의하면, 배선을 중공 단자(3)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작업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테이터, 모터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스테이터 코어를 구비하는 스테이터, 스테이터와 로터를 구비하는 모터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스테이터 코어에 감겨지는 권선(卷線)과, 스테이터 코어의 외주부로부터 스테이터 코어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돌출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권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성의 단자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테이터에는, 스테이터 코어, 권선, 단자 등을 금형에 넣은 후에 수지를 사출하는 것에 의해서, 스테이터 코어, 권선, 단자 등이 성형재(成形材)에 의해 덮여지는 몰드 스테이터로 불리는 것이 있다. 이런 종류의 스테이터에서는, 스테이터의 외부의 기기로부터 신장되는 배선과 스테이터에 마련되는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스테이터의 단자의 선단을 성형재의 외부로 노출시키고, 성형재로부터 노출된 단자에 배선을 접속하는 구조가 채용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2875666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스테이터에서는, 성형재로부터 노출된 단자에 배선을 접속할 때, 용접, 납땜, 압착 등의 작업이 발생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려 스테이터의 생산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테이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를 구비하는 스테이터로서, 스테이터의 전기적 접속이 행해지는 통 모양의 중공 단자와, 스테이터 코어와 중공 단자의 외주면을 덮는 성형재를 구비하며, 중공 단자의 내주면은, 성형재로부터 노출되고, 중공 단자의 일단으로부터 성형재의 외부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테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중공 단자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중공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스테이터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스테이터 코어 등에 의해 구성되는 스테이터 조립체를 상형 및 하형에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상형 및 하형 내에 수지를 주입(注入)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상형이 떼어내어진 직후의 중공 단자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돌기 모양 성형재의 일부와 함께 저부가 제거된 후의 중공 단자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중공 단자에 단자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에 나타내는 중공 단자의 제1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5에 나타내는 중공 단자의 제2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에 나타내는 중공 단자의 제3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5에 나타내는 중공 단자의 제4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스테이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테이터, 모터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테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중공 단자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중공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테이터(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100)는, 프레임(1), 스테이터 코어(2), 중공 단자(3), 인슐레이터(4), 성형재(5), 프린트 기판(6) 및 권선(7)을 구비한다. 스테이터 코어(2)의 중심축(AX)이 신장되는 방향인 축방향은, 도 1 중에 화살표 D1으로 나타내어진다. 이하에서는, 중심축(AX)의 축방향 D1를 간단히 축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프레임(1)은 통 모양의 부재이다. 프레임(1)의 재료는 구리 합금, 주철, 철, 철 합금, 알루미늄 합금, 또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합금을 예시할 수 있다. 프레임(1)의 내측에 마련되는 스테이터 코어(2)는, 전자(電磁) 강판 모재(母材)로부터 고리 모양으로 타발된 복수의 박판(薄板)을, 축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박판은, 코킹,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스테이터 코어(2)는, 통 모양의 코어 백(back)과 코어 백의 내측으로부터 중심축(AX)을 향해서 신장되는 복수의 티스(teeth)로 구성된다. 또, 스테이터 코어(2)는, 전자 강판 모재로부터 고리 모양으로 타발된 복수의 박판을 적층하여 구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축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T자 형상으로 타발된 박판을 적층한 적층체를, 중심축(AX)의 회전 방향으로 고리 모양으로 배열한 것이라도 괜찮다.
스테이터 코어(2)의 주위에는, 인슐레이터(4)가 마련된다. 인슐레이터(4)의 재료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또는 액정 폴리머라고 하는 절연성의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4)를 사이에 두고 스테이터 코어(2)에 마그네트 와이어를 코일 모양으로 감는 것에 의해, 권선(7)이 얻어진다. 마그네트 와이어는, 도전성의 전선과, 해당 전선의 표면에 마련되는 절연체로 구성된다. 해당 전선의 재료로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예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마그네트 와이어 중, 프린트 기판(6)에 접속되는 일단부만을 권선(7)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프린트 기판(6)은, 인슐레이터(4)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6)의 형상은, 중심축(AX)의 회전 방향으로 이어지는 고리 모양이라도 좋고, 사각의 판 형상이라도 괜찮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6)의 일방의 기판면(62)은 인슐레이터(4) 측에 배치되고, 프린트 기판(6)의 타방의 기판면(61)은, 프린트 기판(6)의 인슐레이터(4)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인슐레이터(4)에는, 미도시의 바인딩(binding) 핀이 마련되어 있고, 권선(7)의 단부는, 바인딩 핀에 감겨진 다음에, 도 2에 나타내는 프린트 기판(6) 상의 패턴 배선(61a)에 접속된다. 바인딩 핀은, 마그네트 와이어를 스테이터 코어(2)에 감기 시작할 때에 마그네트 와이어의 감기 시작 부분을 묶기 위한 감기 시작용 바인딩 핀, 스테이터 코어(2)에 감겨진 마그네트 와이어의 감기 종료 부분을 묶기 위한 감기 종료용 바인딩 핀 등이다. 마그네트 와이어의 감기 시작 부분과 마그네트 와이어의 감기 종료 부분은, 권선(7)의 단부에 상당한다. 패턴 배선(61a)에는, 권선(7)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을 예시할 수 있는데, 패턴 배선(61a)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테이터(100)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서 프린트 기판(6) 상에 마련되는 서미스트에 접속되는 것, 스테이터(100)에 조립되는 로터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홀(Hall) 소자에 접속되는 것이라도 괜찮다. 도 2에서는, 패턴 배선(61a)이 프린트 기판(6)의 인슐레이터(4) 측과는 반대측의 기판면(61)에 마련되어 있지만, 패턴 배선(61a)은, 중공 단자(3)와 권선(7)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으면, 프린트 기판(6)의 인슐레이터(4) 측의 기판면(62)에 마련해도 좋다. 중공 단자(3)의 구성의 상세는 후술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 단자(3)는, 스테이터(100)의 외부와의 전기적 접속이 행해지는 내주면(32)을 가지는 원통 모양의 도전성 부재이다. 중공 단자(3)의 내부에는 공동(空洞)(31)이 형성된다. 공동(31)은, 중공 단자(3)의 내주면(3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다. 공동(3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은, 원형이다. 또, 중공 단자(3)의 형상은, 원통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통 모양이라도 좋다. 공동(3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은, 후술하는 도전성의 단자를 삽입할 수 있고, 또한, 공동(31)에 삽입되는 해당 단자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가 중공 단자(3)의 내주면(32)에 접촉할 수 있는 크기가 된다. 중공 단자(3)의 재료에는, 구리 합금, 주철, 철, 또는 철 합금을 예시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 단자(3)의 타단인 축방향의 단부(33)는, 프린트 기판(6)의 기판면(61)에 접하고 있다. 중공 단자(3)의 단부(33)는, 중공 단자(3)의 프린트 기판(6) 측의 선단이다. 중공 단자(3)의 단부(33)는, 단부(33)가 개구된 상태에서 납땜에 의해 프린트 기판(6)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중공 단자(3)의 단부(33)를 프린트 기판(6)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중공 단자(3)의 단부(33) 근처의 외주면(39)과 프린트 기판(6)과의 사이에, 납땜(8)을 마련하는 납땜부에 의해, 중공 단자(3)가 프린트 기판(6)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중공 단자(3)가 납땜(8) 및 패턴 배선(61a)을 매개로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권선(7)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패턴 배선(61a)에의 중공 단자(3)의 접속은, 패턴 배선(61a)과 중공 단자(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면, 납땜 이외에도, 브레이징(brazing) 또는 용접에 의해서 행해져도 괜찮다. 또 도 1에서는, 중공 단자(3)의 단부(33)가 프린트 기판(6)의 기판면(61)에 접하고 있지만, 중공 단자(3)의 단부(33)를 프린트 기판(6)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중공 단자(3)를 프린트 기판(6)에 고정해도 괜찮다. 중공 단자(3)를 프린트 기판(6)의 관통공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중공 단자(3)의 위치 어긋남, 특히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중공 단자(3)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기 때문에, 납땜, 브레이징 또는 용접에 의해서 패턴 배선(61a)에 중공 단자(3)를 접속할 때의 작업이 용이화된다.
또, 중공 단자(3)의 단부(33)에는, 중공 단자(3)의 단부(33)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신장되는 장출부(張出部)를 마련해도 좋다. 장출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장출부가 없는 경우에 비해, 중공 단자(3)의 단부(33)와 프린트 기판(6)과의 접촉 면적이 크게 되어, 프린트 기판(6)에 중공 단자(3)를 안정되게 놓을 수 있기 때문에, 납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중공 단자(3)의 일단인 축방향의 단부(34)는, 후술하는 도전성의 단자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다. 중공 단자(3)의 내주면(32)은, 돌기 모양 성형재(51)로부터 노출되고, 중공 단자(3)의 단부(34)로부터 돌기 모양 성형재(51)의 외부로 개구되어 있다. 중공 단자(3)의 단부(34)는, 중공 단자(3)의 프린트 기판(6) 측과는 반대측의 선단이며, 돌기 모양 성형재(51)의 표면에 노출된다. 또, 중공 단자(3)의 단부(34)가 돌기 모양 성형재(51)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중공 단자(3)의 단부(34)에 돌기 모양 성형재(51)의 잔부 등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중공 단자(3)의 내주면(32)의 적어도 일부가 성형재(5)에 의해 덮여져 있지 않으면, 후술하는 도전성의 단자와 중공 단자(3)와의 전기적 접속은 가능하다.
또, 중공 단자(3)의 수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라도 괜찮다. 예를 들면, 스테이터(100)에는, 권선(7)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중공 단자(3)와, 미도시의 서미스트에서 검출된 온도 정보를 스테이터(100)의 외부의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중공 단자(3)와, 미도시의 홀 소자에서 검출된 위치 정보를 스테이터(100)의 외부의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중공 단자(3)를 마련해도 괜찮다. 중공 단자(3)가 복수인 경우, 중공 단자(3)의 수에 대응한 복수의 패턴 배선(61a)이 프린트 기판(6)에 마련된다. 또, 중공 단자(3)가 신장되는 방향은,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축방향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경사져 있어도 괜찮다.
성형재(5)는, 스테이터 코어(2)와, 중공 단자(3)와, 납땜(8)과, 프린트 기판(6) 상의 패턴 배선(61a)과, 프린트 기판(6)의 기판면(61)과, 프린트 기판(6)의 기판면(62)과, 인슐레이터(4)를 덮는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성형재(5)의 재료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닐 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페놀 수지, 바니스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테이터(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스테이터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스테이터 코어 등에 의해 구성되는 스테이터 조립체를 상형 및 하형에 넣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상형 및 하형 내에 수지를 주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상형이 떼어내어진 직후의 중공 단자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돌기 모양 성형재의 일부와 함께 저부가 제거된 후의 중공 단자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중공 단자에 단자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스테이터(100)를 제조하는 경우, 스텝 1에서, 도전성의 유저(有底, 바닥이 있는) 통 모양 단자(3A)와, 스테이터 코어(2)와, 프레임(1)이 제조된다.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제조 방법의 상세는 후술한다. 스텝 2에서,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단부(33)를 프린트 기판(6)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납땜에 의해 유저 통 모양 단자(3A)가 프린트 기판(6)에 고정된다. 또 스텝 2에서, 스테이터 코어(2)에 인슐레이터(4)가 조립된다. 스텝 3에서, 인슐레이터(4)를 사이에 두고 스테이터 코어(2)에 마그네트 와이어를 코일 모양으로 감는 것에 의해 권선(7)이 형성된다. 스텝 4에서, 권선(7)이 형성된 스테이터 코어(2)가 프레임(1)에 압입, 수축 끼워맞춤 또는 냉각 끼워맞춤되는 것에 의해, 스테이터 코어(2) 및 프레임(1)이 일체화된다.
도 4의 스텝 5에서, 일체화된 스테이터 코어(2) 및 프레임(1)에 하형(200)이 끼워넣어진다. 이 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형(200)의 하형 심봉(芯棒)(201)이 스테이터 코어(2)에 삽입되고, 프레임(1)의 축방향의 일단(11)이 하형(200)의 고정판(202)에 접한 곳에서, 스테이터 코어(2) 및 프레임(1)으로의 하형(200)의 끼워넣음이 완료된다. 스테이터 코어(2) 및 프레임(1)에 하형(200)이 끼워넣어진 후, 도 4의 스텝 6에서, 인슐레이터(4)와 대향하도록 프린트 기판(6)이 설치된다. 프린트 기판(6)의 설치 방법에는, 금속제 또는 수지제의 베이스 부품을 미리 제조해 두고, 베이스 부품을 인슐레이터(4) 또는 스테이터 코어(2)에 조립하고, 인슐레이터(4) 또는 스테이터 코어(2)에 조립된 베이스 부품에 프린트 기판(6)을 설치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도 4의 스텝 7에서, 프린트 기판(6)이 설치된 후, 도 2에 나타내는 프린트 기판(6) 상의 패턴 배선(61a)에 권선(7)이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스테이터 조립체(101)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도 4의 스텝 8에서, 스테이터 조립체(101)에 상형(300)이 끼워넣어진다. 상형(300)에는,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선단이 들어가는 구덩이 형상의 게이트(301)와, 게이트(301)와 연통하고 수지(5A)를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302)가 형성된다. 게이트(301)의 형상은, 스테이터 조립체(101)로의 상형(300)의 끼워넣음이 완료되었을 때에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선단이 상형(300)에 접촉하지 않고, 또한,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선단을 덮는 수지(5A)가 돌기 형상이 되는 형상이면 좋다. 여기서 말하는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선단은,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저부에 상당한다.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저부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스테이터 조립체(101)에 상형(300)이 끼워넣어진 후, 도 4의 스텝 9에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302)에 수지(5A)가 주입된다. 게이트(302)에 주입된 수지(5A)는, 게이트(301)를 거쳐, 유저 통 모양 단자(3A)와, 프린트 기판(6)과, 스테이터 코어(2)의 상형(300) 측에 마련되는 인슐레이터(4)에 이른다. 게다가 수지(5A)는, 스테이터 코어(2)를 구성하는 복수의 티스 내(內), 중심축(AX)의 회전 방향으로 인접하는 티스끼리의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고, 스테이터 코어(2)의 하형(200) 측에 마련되는 인슐레이터(4)에 이른다. 이것에 의해, 유저 통 모양 단자(3A)와, 도 2에 나타내는 납땜(8)과, 도 2에 나타내는 프린트 기판(6) 상의 패턴 배선(61a)과, 도 2에 나타내는 프린트 기판(6)의 기판면(61)과, 도 2에 나타내는 프린트 기판(6)의 기판면(62)과, 인슐레이터(4)가 수지(5A)에 의해 덮여진다. 수지(5A)가 경화하는 것에 의해, 도 7에 나타내는 성형재(5) 및 돌기 모양 성형재(51)가 형성된다. 또,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프린트 기판(6) 측의 단부의 주위에는 납땜(8)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납땜(8)에 의해서,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프린트 기판(6) 측의 단부와 프린트 기판(6)과의 사이의 간극이 폐색된다. 또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프린트 기판(6)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는 폐색되어 있다. 따라서, 스텝 9의 수지 주입의 공정에서, 수지(5A)가,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양단부로부터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프린트 기판(6) 측의 단부를 개구시킨 상태로 함으로써,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제조시에,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편(片)측만 폐색하는 가공을 행하면 되기 때문에,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양측을 폐색하는 경우에 비해,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4의 스텝 10에서, 도 6에 나타내는 상형(300)이 떼어내어진다. 상형(300)이 떼어내어진 직후의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형상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 통 모양이다. 유저 통 모양 단자(3A)는, 중공의 통 모양부(36)와, 통 모양부(36)의 일방 단부에 마련되는 저부(35)에 의해 구성되고, 예를 들면 금속의 박판을 드로잉(drawing) 가공에 의해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저 통 모양 단자(3A)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납땜(8)에 덮여지는 부분 이외의 개소가 성형재(5) 및 돌기 모양 성형재(51)에 의해 덮여진다. 도 7에서는,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통 모양부(36)의 외주면(39)이 성형재(5) 및 돌기 모양 성형재(51)에 의해 덮여지고,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저부(35)의 표면이 돌기 모양 성형재(51)에 의해 덮여져 있다. 돌기 모양 성형재(51)는, 도 6에 나타내는 게이트(301)와 유저 통 모양 단자(3A)와의 사이의 간극에 충전된 수지(5A)의 일부가 경화한 것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상형(300)이 떼어내어진 후, 도 4의 스텝 11에서, 도 7에 나타내는 돌기 모양 성형재(51)의 일부와 저부(35)가 절삭 가공에 의해 제거된다. 즉, 돌기 모양 성형재(51)에 의해 덮여진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저부(35)가 돌기 모양 성형재(51)와 함께 제거된다. 도 8에 나타내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이 절삭 가공되는 개소이다. 그 결과, 제거되지 않고 남는 돌기 모양 성형재(51)의 표면에 중공 단자(3)의 단부(34)가 노출되고, 노출된 중공 단자(3)의 단부(34)에 개구부(34a)가 형성된다. 중공 단자(3)의 단부(34)의 단면(端面)과, 돌기 모양 성형재(51)의 외주면의 일부가, 동일한 평탄면을 구성한다. 중공 단자(3)의 단부(34)에 개구부(34a)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중공 단자(3)의 내주면(32)에 의해 형성되는 공동(空洞)(31)이 돌기 모양 성형재(51)의 외측과 이어진다. 이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스테이터(100)가 완성된다. 스테이터(100)에는, 로터와, 로터에 마련되는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베어링과, 복수의 베어링 각각의 외륜이 끼워넣어짐과 아울러 프레임(1)에 고정되는 플랜지가, 순서대로 조립된다.
중공 단자(3)의 공동(31)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의 단자(10)가 삽입된다. 단자(10)의 재료에는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예시할 수 있다. 단자(10)의 형상은, 원기둥 모양이라도 다각 기둥 모양이라도 괜찮다. 단자(10)에는, 스테이터(100)의 외부에 마련되는 기기로부터 신장되는 배선(12)이 접속된다. 해당 기기는, 예를 들면, 스테이터(100)의 권선(7)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변환 장치이다. 중공 단자(3)에 단자(10)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배선(12)은, 단자(10)와 중공 단자(3)와 납땜(8)과 패턴 배선(61a)을 매개로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권선(7)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의 기기로부터 신장되는 배선(12)이 단자(10)를 매개로 하여 중공 단자(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만, 단자(10)를 이용하는 대신에, 배선(12)을 직접 중공 단자(3)에 삽입해도 괜찮다. 예를 들면, 배선(12)이 단선의 경우, 단선인 배선(12)의 단면은, 도 8에 나타내는 중공 단자(3)의 공동(31)에 삽입할 수 있고, 또한, 배선(12)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가 중공 단자(3)의 내주면(32)에 접촉 가능한 크기가 된다. 이러한 배선(12)을 중공 단자(3)에 삽입함으로써, 배선(12)은, 중공 단자(3)와 납땜(8)과 패턴 배선(61a)을 매개로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권선(7)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전력 변환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권선(7)에 인가되고, 권선(7)에 전류가 흘러, 로터와 도 1에 나타내는 스테이터 코어(2)와의 사이에 자계가 발생한다. 로터에 영구자석이 이용되어 있는 경우, 이 영구자석에서 생긴 자계와 전술한 자계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전자력이 발생하고, 이 전자력에 의해 로터가 회전한다.
종래의 스테이터에서는, 스테이터의 외부의 기기로부터 신장되는 배선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가 중공 구조는 아니기 때문에, 해당 단자의 일부를, 수지가 경화하여 형성되는 성형재의 외부에 노출시켜 배선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금형에 수지를 충전하기 전에, 배치 코어(placed core), 인서트(insert) 등을 이용하여 해당 단자를 씰링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금형에 배치 코어 등을 설치하는 작업과, 수지의 충전이 완료된 후에 배치 코어 등을 떼어내는 작업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배치 코어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금형의 형상이 복잡하게 된다. 또 종래의 스테이터에서는, 배치 코어 등을 이용하는 대신에, 해당 단자에 씰제를 붙이고, 수지의 충전이 완료된 후에 씰제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해당 단자의 일부를, 수지가 경화하여 형성되는 성형재의 외부에 노출시키는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해당 단자에 씰제를 붙이는 작업과, 수지의 충전이 완료된 후에 씰제를 제거하는 작업이 발생한다. 또 종래의 스테이터에서는, 수지가 경화하여 형성되는 성형재의 외부에 노출된 해당 단자에 스테이터의 외부의 기기로부터 신장되는 배선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용접, 납땜, 압착 등의 작업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테이터에서는, 스테이터의 외부의 기기로부터 신장되는 배선을, 스테이터에 마련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많은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시간이 걸려 스테이터의 생산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테이터(100)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有底, 바닥이 있는) 통 모양 단자(3A)가 이용된다. 수지(5A)의 충전시에 배치 코어 등을 이용하여 유저 통 모양 단자(3A)를 씰링하지 않고, 수지(5A)가 경화하여 형성되는 성형재(5)에 의해 덮여진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선단을 돌기 모양 성형재(51)와 함께 제거하는 것만으로, 성형재(5)의 외부에 중공 단자(3)의 공동(31)을 노출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용접 등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배선(12) 또는 단자(10)를 중공 단자(3)의 공동(31)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배선(12)과 중공 단자(3)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12)을 중공 단자(3)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작업이 간소화되어, 스테이터(100)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 용접 등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 접속 불량의 발생 빈도가 저감되기 때문에, 스테이터(100)의 제조시에 접속 불량이 발생하여 수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리스크를 경감할 수 있다. 또, 접속 불량의 발생 빈도가 저감되는 것에 의해, 스테이터(100)를 구비한 모터의 동작 중에 배선(12)이 중공 단자(3)로부터 빠져 모터가 정지한다고 하는 리스크를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테이터(100)에서는, 용접 등을 행하는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스테이터(100)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테이터(100)에서는, 성형재(5)에 의해 덮여진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선단을 돌기 모양 성형재(51)와 함께 제거하는 것만으로, 성형재(5)의 외부에 중공 단자(3)의 공동(31)을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공 단자(3)와 배선(12) 또는 단자(10)와의 접속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테이터(100)에서는, 배치 코어 등의 형상에 맞추어 금형을 가공하지 않아도, 중공 단자(3)의 선단이 들어가는 단순한 형상의 구덩이 형상의 게이트(301)를 금형에 마련하면 되기 때문에, 금형의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중공 구조가 아닌 중실(中實)의 도전성 단자를 이용한 경우, 외부의 기기로부터 신장되는 배선(12)을 중실의 도전성 단자의 선단에 꽉 누른 상태에서 용접 등을 행할 필요가 있다. 중실의 도전성 단자는, 내부에 도체가 가득 찬 기둥 모양 단자이다. 따라서, 배선(12)을 중실의 도전성 단자의 선단에 꽉 누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기구가 필요하게 된다. 이 유지 기구는, 스테이터와 일체화시켜도 괜찮고, 스테이터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구조로 해도 괜찮지만, 어느 경우라도, 유지 기구의 제조, 접속 전의 스테이터에의 유지 기구의 장착 작업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스테이터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또 스테이터의 제조 코스트가 상승한다. 또 유지 기구가 스테이터와 일체화한 구조의 경우,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테이터(100)에 비해, 스테이터의 외곽 치수가 크게 되어, 스테이터의 설치 장소가 제한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테이터(100)에 의하면, 상기의 유지 기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중공 단자(3)의 공동(31)에 배선(12) 또는 단자(10)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배선(12) 또는 단자(10)를 중공 단자(3)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테이터(100)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고, 스테이터(100)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종래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에는, 중실의 도전성 단자에 미리 리드 선을 접속해 두고, 그 리드 선을 금형의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수지를 충전하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에서는, 수작업으로 중실의 도전성 단자에 리드 선을 접속하고, 또한 수작업으로 리드 선을 금형의 외부로 인출한 후에, 스테이터 조립체를 금형내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에서는, 스테이터의 제조 시간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여, 스테이터의 생산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테이터(100)에 의하면, 성형재(5)에 의해 덮여진 중공 단자(3)의 선단을 돌기 모양 성형재(51)와 함께 제거한 후, 성형재(5)의 외부로 노출된 중공 단자(3)의 공동(31)에 배선(12) 또는 단자(10)를 접속하면 된다. 그 때문에, 중실의 도전성 단자에 미리 리드 선을 접속하는 경우에 비해, 스테이터(100)의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스텝 1에서의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유저 통 모양 단자(3A)는, 금형에 주입된 수지(5A)가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내부에 침입하지 않는 구조이면 되고,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제조 방법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복수의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도 10은 도 5에 나타내는 중공 단자의 제1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통 모양 부재(30)는 도전성의 중공 파이프이며, 통 모양 부재(30)의 단부를 헤딩(heading) 가공,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눌러 찌부러뜨리는 것에 의해, 통 모양 부재(30)의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폐색되고, 폐색부(30a)를 구비한 유저 통 모양 단자(3A)가 제조된다. 폐색부(30a)는, 도 7에 나타내는 저부(35)에 상당한다. 폐색부(30a)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금형에 주입된 수지(5A)가 통 모양 부재(30)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유저 통 모양 단자(3A)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단부(33)가 납땜에 의해 프린트 기판(6)에 고정되는 경우, 폐색부(30a)는, 통 모양 부재(30)의 편측에만 마련해도 좋다.
도 11은 도 5에 나타내는 중공 단자의 제2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통 모양 부재(30)는 도전성의 중공 파이프이다. 통 모양 부재(30)의 단부를 고온이 될 때까지 가열하여 녹이는 것에 의해, 통 모양 부재(30)의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폐색되고, 용단부(溶斷部)(37)를 구비한 유저 통 모양 단자(3A)가 제조된다. 용단부(37)는, 도 7에 나타내는 저부(35)에 상당한다. 용단부(37)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금형에 주입된 수지(5A)가 통 모양 부재(30)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단부(37)는, 통 모양 부재(30)의 단부를 레이저에 의해 절단하는 것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도 11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에 의하면, 헤딩 가공 등을 행하는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통 모양 부재(30)의 단부를 녹이는 것만으로 유저 통 모양 단자(3A)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단부(33)가 납땜에 의해 프린트 기판(6)에 고정되는 경우, 용단부(37)는, 통 모양 부재(30)의 편측에만 마련해도 좋다.
도 12는 도 5에 나타내는 중공 단자의 제3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통 모양 부재(30)는 도전성의 중공 파이프이다. 통 모양 부재(30)의 단부에, 폐색 부재(38)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유저 통 모양 단자(3A)가 제조된다. 폐색 부재(38)는, 통 모양 부재(30)의 단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폐색하는 부재이며, 도 7에 나타내는 저부(35)에 상당한다. 폐색 부재(38)의 재료는, 금형에 주입된 수지(5A)의 열에 의해 용해하지 않는 재료이면 되고, 폐색 부재(38)의 재료에는, 접착제, 테이프, 금속편 또는 수지편을 예시할 수 있다. 금속편 또는 수지편은, 예를 들면 스테이터(100)의 제조 공정에서 생기는 스크랩(scrap) 등이라도 괜찮다. 폐색 부재(38)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금형에 주입된 수지(5A)가 통 모양 부재(30)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에 의하면, 헤딩 가공 등을 행하는 장치, 통 모양 부재(30)의 단부를 녹이는 도구등을 이용하지 않고, 통 모양 부재(30)의 단부에 폐색 부재(38)를 마련하는 것만으로 유저 통 모양 단자(3A)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단부(33)가 납땜에 의해 프린트 기판(6)에 고정되는 경우, 폐색 부재(38)는, 통 모양 부재(30)의 편측에만 마련해도 좋다.
도 13은 도 5에 나타내는 중공 단자의 제4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통 모양 부재(30)는 도전성의 중공 파이프이다. 통 모양 부재(3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동을 폐색하도록, 통 모양 부재(30)의 내부에 충전제(40)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유저 통 모양 단자(3A)가 제조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통 모양 부재(30)에서는, 통 모양 부재(30)의 일단측에만 충전제(40)가 충전되어 있다. 충전제(40)의 재료는, 실리콘 수지 등이지만, 금형에 주입된 수지(5A)의 열에 의해 용해하지 않고,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배선(12) 또는 단자(10)를 삽입할 때에 유저 통 모양 단자(3A)의 외부로 배출되는 유동성이 있는 재료이면 되고, 실리콘 수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충전제(40)는, 도 7에 나타내는 저부(35)에 상당한다. 충전제(4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금형에 주입된 수지(5A)가 통 모양 부재(30)의 일단측으로부터 통 모양 부재(30)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제조 방법에 의하면, 헤딩 가공 등을 행하는 장치, 통 모양 부재(30)의 단부를 녹이는 도구 등을 이용하지 않고, 통 모양 부재(30)의 내부에 충전제(40)를 충전하는 것만으로 유저 통 모양 단자(3A)를 제조할 수 있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통 모양 부재(30)에서는, 통 모양 부재(30)의 일단측에만 충전제(40)가 충전되고, 통 모양 부재(30)의 타단에는 충전제(40)가 충전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도 13에 나타내는 통 모양 부재(30)의 타단은, 도 7에 나타내는 프린트 기판(6)에 접하여, 납땜(8)에 의해 덮여진다. 이것에 의해, 수지(5A)가 통 모양 부재(30)의 타단으로부터 통 모양 부재(30)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모터(500)는, 도 1에 나타내는 스테이터(100)와, 로터(400)를 구비한다. 모터(500)는 동기(同期) 모터 또는 유도(誘導) 모터이다. 로터(400)는, 원통 모양의 로터 코어(401)와, 축방향으로 로터 코어(401)를 관통하는 샤프트(402)를 구비한다. 로터(400)는, 로터 코어(401) 및 샤프트(402) 이외에도, 샤프트(40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베어링과, 플랜지를 구비한다. 도 14에서는, 베어링 및 플랜지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플랜지는 프레임(1)의 단부에 고정되는 고리 모양 부재이다. 베어링의 외주부는, 플랜지의 지름 방향의 중심부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로터(400)는, 스테이터(1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중실의 도전성 단자를 이용한 경우, 해당 도전성 단자의 단부 부근에 배선(12) 또는 단자(10)의 단부가 접속되기 때문에, 접촉 면적이 작다. 중공 단자(3)를 구비하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모터(500)에서는, 중실의 도전성 단자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중공 단자(3)의 내주면과, 중공 단자(3)에 삽입된 배선 또는 단자의 외주면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진다. 따라서, 접촉 부분에서의 전기 저항이 저감되어, 모터 효율 및 모터 출력이 향상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중공 단자(3) 또는 유저 통 모양 단자(3A)는, 전술한 바인딩 핀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스테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스테이터(100A)에서는, 중공 단자(3)의 인슐레이터(4) 측의 단부를, 압입 등에 의해 인슐레이터(4)에 삽입 함으로써, 중공 단자(3)가 인슐레이터(4)에 고정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스테이터(100)의 구성과 동일 또는 동등하고, 동일 또는 동등의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5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프린트 기판(6)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중공 단자(3)를 인슐레이터(4)에 압입함으로써, 중공 단자(3)의 인슐레이터(4) 측의 단부가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도, 인슐레이터(4)에 의해 해당 개구가 폐색된다. 따라서, 금형에 주입된 수지(5A)가 중공 단자(3)의 인슐레이터(4) 측의 개구부로부터 중공 단자(3)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중공 단자(3)의 제조시에 중공 단자(3)의 편측만 폐색하는 가공을 행하면 되기 때문에, 중공 단자(3)의 양측을 폐색하는 경우에 비해, 중공 단자(3)의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선(7)의 단부가 중공 단자(3)에 감겨지는 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스테이터(100)에 비해 바인딩 핀의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단자(10)에는, 단자(10)의 외부의 기기로부터 신장되는 배선(12)에 미리 접속된 것을 이용해도 괜찮고, 미리 스테이터(100, 100A)에 마련한 것을 이용해도 괜찮다.
또, 중공 단자(3) 또는 유저 통 모양 단자(3A)는, 프린트 기판(6)의 지름 방향 외측 근처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지만, 중공 단자(3) 또는 유저 통 모양 단자(3A)가 마련되는 위치는, 저부(35)의 표면을 수지(5A)에 의해 덮을 수 있고, 또한, 저부(35)의 표면을 덮는 성형재(5)를 저부(35)와 함께 제거할 수 있는 위치이면,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중공 단자(3) 또는 유저 통 모양 단자(3A)는, 프린트 기판(6)의 지름 방향 내측 근처의 위치에 마련해도 좋고, 인슐레이터(4)의 지름 방향 내측 근처의 위치에 마련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프레임 2 : 스테이터 코어
3 : 중공 단자 3A : 유저 통 모양 단자
4 : 인슐레이터 5 : 성형재
5A : 수지 6 : 프린트 기판
7 : 권선 8 : 납땜
10 : 단자 11 : 일단
12 : 배선 30 : 통 모양 부재
30a : 폐색부 31 : 공동
32 : 내주면 33, 34 : 단부
34a : 개구부 35 : 저부
36 : 통 모양부 37 : 용단부
38 : 폐색 부재 39 : 외주면
40 : 충전제 51 : 돌기 모양 성형재
61, 62 : 기판면 61a : 패턴 배선
100, 100A : 스테이터 101 : 스테이터 조립체
200 : 하형 201 : 하형 심봉
202 : 장착판 300 : 상형
301, 302 : 게이트 401 : 로터 코어
402 : 샤프트 500 : 모터

Claims (10)

  1. 스테이터 코어를 구비하는 스테이터로서,
    상기 스테이터의 전기적 접속이 행해지는 통 모양의 중공 단자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중공 단자의 외주면을 덮는 성형재(成形材)를 구비하며,
    상기 중공 단자의 내주면은, 상기 성형재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중공 단자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성형재의 외부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공 단자의 타단은, 상기 타단이 개구된 상태에서 납땜에 의해 프린트 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마련되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감겨지는 권선(卷線)을 구비하며,
    상기 중공 단자의 타단은, 상기 인슐레이터에 고정되고,
    상기 중공 단자에는, 상기 권선의 단부가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공 단자의 타단은, 상기 타단이 개구된 상태에서 상기 인슐레이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테이터와 로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스테이터 코어를 구비하는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스테이터의 전기적 접속이 행해지는 유저(有底) 통 모양 단자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를, 성형재(成形材)에 의해 덮는 공정과,
    상기 성형재에 의해 덮여진 상기 유저 통 모양 단자의 저부를 상기 성형재와 함께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통 모양 부재의 단부를 눌러 찌부러뜨려 상기 통 모양 부재의 단부의 개구부를 폐색(閉塞)하는 것에 의해, 상기 유저 통 모양 단자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통 모양 부재의 단부를 녹여 상기 통 모양 부재의 단부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유저 통 모양 단자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통 모양 부재의 단부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를, 상기 통 모양 부재의 단부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상기 유저 통 모양 단자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통 모양 부재의 내부에 충전제를 충전하여 상기 통 모양 부재의 단부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유저 통 모양 단자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KR1020207017445A 2018-01-29 2018-01-29 스테이터, 모터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KR102153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02750 WO2019146108A1 (ja) 2018-01-29 2018-01-29 ステータ、モータ及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549A true KR20200079549A (ko) 2020-07-03
KR102153382B1 KR102153382B1 (ko) 2020-09-08

Family

ID=6609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445A KR102153382B1 (ko) 2018-01-29 2018-01-29 스테이터, 모터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92210B2 (ko)
JP (1) JP6498372B1 (ko)
KR (1) KR102153382B1 (ko)
CN (1) CN111656648B (ko)
DE (1) DE112018006419T5 (ko)
TW (1) TWI692180B (ko)
WO (1) WO20191461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53140A1 (en) * 2020-07-07 2023-08-10 Nippon Steel Corporation Adhesively-laminated core manufacturing method and adhesively-laminated core manufactur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807A (ja) * 1989-05-17 1991-01-24 American Teleph & Telegr Co <Att> 光学アセンブリー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2875666B2 (ja) 1991-11-18 1999-03-31 松下精工株式会社 樹脂モールドモータの固定子
JP2005080445A (ja) * 2003-09-02 2005-03-24 Yaskawa Electric Corp モールドモータのリード線引出し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0587A (en) * 1965-03-31 1967-10-31 Vincent K Smith Electrical plug and connector
US4540962A (en) 1984-05-29 1985-09-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Solenoid coil wire termination
US4586245A (en) * 1984-05-29 1986-05-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Solenoid coil wire termination
JP3730461B2 (ja) * 1999-10-28 2006-01-05 山洋電気株式会社 防水型ブラシレスファンモータ
JP2001352705A (ja) * 2000-06-12 2001-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JP3930340B2 (ja) * 2002-02-25 2007-06-13 ミネベア株式会社 回転電機
JP4425045B2 (ja) * 2004-04-14 2010-03-03 三菱電機株式会社 レゾルバ
JP4931449B2 (ja) * 2006-03-22 2012-05-1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
JP5389559B2 (ja) * 2009-07-23 2014-01-15 愛三工業株式会社 回転電動機の固定子及び燃料ポンプ
JP5434612B2 (ja) * 2010-01-14 2014-03-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端末接続装置
TWI612759B (zh) * 2012-03-29 2018-01-21 荏原製作所股份有限公司 密封電動機、真空泵
JP5745477B2 (ja) * 2012-08-10 2015-07-0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機の固定子、電動機および設備機器
JP6175708B2 (ja) * 2013-02-18 2017-08-09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モータ
US10153673B2 (en) * 2014-05-26 2018-12-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roduction method for rotating electrical machine
JP6480797B2 (ja) * 2014-07-08 2019-03-13 Kyb株式会社 ステータユニット、ステータユニットを備える回転電機及びステータ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17085843A (ja) * 2015-10-30 2017-05-18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ステータ、モータ及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807A (ja) * 1989-05-17 1991-01-24 American Teleph & Telegr Co <Att> 光学アセンブリー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2875666B2 (ja) 1991-11-18 1999-03-31 松下精工株式会社 樹脂モールドモータの固定子
JP2005080445A (ja) * 2003-09-02 2005-03-24 Yaskawa Electric Corp モールドモータのリード線引出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382B1 (ko) 2020-09-08
CN111656648B (zh) 2021-04-27
CN111656648A (zh) 2020-09-11
WO2019146108A1 (ja) 2019-08-01
DE112018006419T5 (de) 2020-08-27
US10992210B2 (en) 2021-04-27
JPWO2019146108A1 (ja) 2020-02-06
US20200395826A1 (en) 2020-12-17
JP6498372B1 (ja) 2019-04-10
TWI692180B (zh) 2020-04-21
TW201933730A (zh)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8423B2 (ja) モールドモータ
CN107846099B (zh) 定子及制造定子的方法
JP5872807B2 (ja) モータにおけるコイル巻線の結線構造およびモータ
JP4772070B2 (ja) ポンプ用電動機の固定子及びポンプ用電動機及びポンプ
CN107534343A (zh) 汇流条单元、具备该汇流条单元的旋转电机以及汇流条单元的制造方法
US11502575B2 (en) Motor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WO2018030480A1 (ja) モータ
WO2017018066A1 (ja) モータ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
CN108233559B (zh) 定子单元、马达、及定子单元的制造方法
WO2017130538A1 (ja) モータ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
KR101697704B1 (ko) 브러시리스 모터용 스테이터 장치
JP2018207582A (ja) 静止部、モータ、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
JP6498372B1 (ja) ステータ、モータ及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H11155249A (ja) モールドモータ
JP2007028824A (ja) 整流子及び電機子
WO2013150594A1 (ja) 回転電機、回転電機のボビン及びボビンの製造方法
JP5925330B2 (ja) 電動機、空気調和機、及び電動機の製造方法
WO2018062351A1 (ja) モータ
US7414344B2 (en) Commutator and an armature
CN111066227B (zh) 旋转电机的定子及定子的制造方法
WO2014076833A1 (ja) 回転電機の回転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856703B2 (en) Method for making a short-circuiting member and method for making a commutator
JP2020014366A (ja) ステータ及びステータ製造方法
JP4704834B2 (ja) 整流子及び電機子
WO2023132183A1 (ja) 回転電機の固定子、回転電機、回転電機の固定子の製造方法、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